KR20140108140A - 인공젖꼭지 및 인공젖꼭지를 가지는 포유기 - Google Patents
인공젖꼭지 및 인공젖꼭지를 가지는 포유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08140A KR20140108140A KR1020140022455A KR20140022455A KR20140108140A KR 20140108140 A KR20140108140 A KR 20140108140A KR 1020140022455 A KR1020140022455 A KR 1020140022455A KR 20140022455 A KR20140022455 A KR 20140022455A KR 20140108140 A KR20140108140 A KR 201401081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ipple
- artificial nipple
- ventilation member
- artificial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45—Aesthetic properties
- A61J11/005—Aesthetic properties for imitating a nipp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4—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angled, e.g. in respect to the bott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유아의 포유운동에 적합한 인공젖꼭지 및 인공젖꼭지를 가지는 포유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인공젖꼭지(2)는 상단에 오버행부(77)를 가지는 기부(71)와, 오버행부(77)의 위쪽에 형성된 젖꼭지 몸통부(72, 73) 및 유공(74a)을 가지는 유두부(74)를 구비하고, 젖꼭지 몸통부(72, 73) 및 유두부(74)가 전체적으로 대략 원추형상이며, 대략 원추형상의 중심축선(C1)이 기부(71)의 중심축선(C2)에 대하여 수유시의 위턱측으로 경사져 있다.
인공젖꼭지(2)는 상단에 오버행부(77)를 가지는 기부(71)와, 오버행부(77)의 위쪽에 형성된 젖꼭지 몸통부(72, 73) 및 유공(74a)을 가지는 유두부(74)를 구비하고, 젖꼭지 몸통부(72, 73) 및 유두부(74)가 전체적으로 대략 원추형상이며, 대략 원추형상의 중심축선(C1)이 기부(71)의 중심축선(C2)에 대하여 수유시의 위턱측으로 경사져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공젖꼭지 및 인공젖꼭지를 가지는 포유기에 관한 것이다.
우유나 사전에 착취한 모유 등의 영유아용 음료를 수용하는 보틀 등의 포유기 본체에 장착하는 인공젖꼭지 및 인공젖꼭지를 가지는 포유기가, 영유아의 수유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인공젖꼭지 본체의 형상이, 표유기 중심축선 둘레에 회전대칭, 예를 들어 대략 원추체 형상으로 되는 인공젖꼭지 및 포유기가 공지이다(특허문헌 1).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92551호
영유아의 포유운동은 인공젖꼭지를 문 입술 형상의 변화나 혀의 연동운동을 따르는 복잡한 것이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인공젖꼭지 본체와 같이, 포유기 중심축선 둘레에 회전대칭인 형상이, 포유운동에 적합하다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젖꼭지 본체의 형상이 포유운동에 적합한 형상이 아닌 경우에는, 포유기로부터 구강 내에 방출된 음료가 마셔지지 않고 입 밖으로 흘러 효율적으로 수유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영유아가 인공젖꼭지를 깨물 때, 윗입술이 인공젖꼭지 본체와의 마찰에 의하여 입 안쪽으로 감아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더욱이, 인공젖꼭지를 문 영유아는 수유를 목적으로 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으로 놀이로서 강하게 깨물거나 잡아당기거나 하기 때문에, 인공젖꼭지 본체가 포유기로부터 빠져버리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영유아의 포유운동에 적합한 인공젖꼭지 및 인공젖꼭지를 가지는 포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단에 오버행부를 가지는 기부(基部)와, 상기 오버행부의 위쪽에 형성된 젖꼭지 몸통부 및 유공(乳孔)을 가지는 유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젖꼭지 몸통부 및 상기 유두부가 전체적으로 대략 원추형상이며, 그 대략 원추형상의 중심축선이, 상기 기부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수유시의 위턱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젖꼭지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젖꼭지 몸통부가, 위쪽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축소되는 고리형상의 볼록한 곡면인 제 1 젖꼭지 몸통부 및 제 2 젖꼭지 몸통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젖꼭지 몸통부 및 상기 제 2 젖꼭지 몸통부 사이는, 고리형상의 오목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조임부에 의하여 구획되고, 제 2 젖꼭지 몸통부 및 상기 유두부 사이는 고리형상의 오목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조임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젖꼭지가 제공된다.
즉, 이들 실시형태에서는, 젖꼭지 몸통부 및 유두부의 전체적으로 대략 원추형상의 중심축선이, 기부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수유시의 위턱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통하여, 인공젖꼭지의 위턱측 부분을 영유아의 위턱에 밀착시킨 상태로, 인공젖꼭지의 아래턱측에 광범위한 영역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혀의 운동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영유아의 포유운동에 적합한 인공젖꼭지 및 인공젖꼭지를 가지는 포유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유두부가 대략 구형상이고, 수유시의 상기 유두부의 아래턱측 면에는, 오목한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젖꼭지가 제공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두부의 아래턱측 면에 오목한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통하여, 영유아의 포유운동에 있어서 융기시킨 혀의 선단이 유두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음료의 방출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젖꼭지 몸통부의 위턱측 면은, 그 아래턱측 면에 비하여 면 전체적으로 요철이 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젖꼭지가 제공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공젖꼭지의 위턱측 부분이 영유아의 위턱에 밀착하여, 안정적인 포유운동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인공젖꼭지의 위턱측 부분이 영유아의 위턱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흡인에 의하여 구강 내를 확실하게 저압으로 할 수 있어, 효율적인 수유가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인공젖꼭지의 위턱측 면 전체적으로 요철이 적기 때문에, 영유아의 윗입술이 인공젖꼭지와의 마찰에 의하여 입 안쪽으로 감겨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설치부재에 대하여 그 인공젖꼭지를 설치한 경우, 설치부재와 상기 오버행부(77)가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젖꼭지가 제공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영유아가 인공젖꼭지를 안쪽까지 깨물어도, 설치부재와 인공젖꼭지의 오버행부 사이에 입술이 끼이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유공이 상기 유두부의 위턱측 가까이의 꼭대기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젖꼭지가 제공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공이 유두부의 위턱측 가까이의 꼭대기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방출된 음료가 직접 목구멍 안쪽에 직접 닿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실시형태의 인공젖꼭지와 포유기 본체를 구비하는 포유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유아의 포유운동에 적합한 인공젖꼭지 및 인공젖꼭지를 가지는 포유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공통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포유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유기의 인공젖꼭지를 포함하는 부분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포유기의 설치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설치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설치부재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포유기의 인공젖꼭지의 제 1 통기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 1 통기부재의 바닥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제 1 통기부재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제 1 통기부재의 선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제 1 통기부재의 선 C-C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포유기의 인공젖꼭지의 제 2 통기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 2 통기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제 2 통기부재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포유기의 인공젖꼭지의 인공젖꼭지 본체의 상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인공젖꼭지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인공젖꼭지 본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인공젖꼭지 본체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인공젖꼭지 본체의 선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 1 통기부재와 제 2 통기부재와의 끼워맞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의 포유기의 유량측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포유기의 인공젖꼭지를 포함하는 부분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포유기의 설치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설치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설치부재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포유기의 인공젖꼭지의 제 1 통기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 1 통기부재의 바닥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제 1 통기부재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제 1 통기부재의 선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제 1 통기부재의 선 C-C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포유기의 인공젖꼭지의 제 2 통기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 2 통기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제 2 통기부재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포유기의 인공젖꼭지의 인공젖꼭지 본체의 상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인공젖꼭지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인공젖꼭지 본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인공젖꼭지 본체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인공젖꼭지 본체의 선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 1 통기부재와 제 2 통기부재와의 끼워맞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의 포유기의 유량측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모든 도면에 걸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공통의 참조부호를 붙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포유기(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포유기(1)의 인공젖꼭지(2)를 포함하는 부분종단면도이다. 한편, 본 명세서 중에서는, 포유기(1)의 각 구성부재의 설명에 있어서, 수평면에 세운 상태의 포유기(1) 내에서의 배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 또는 '하'로 규정한다.
포유기(1)는 인공젖꼭지(2)와, 설치부재(3)와, 포유기 본체(4)를 가지고 있다. 인공젖꼭지(2)는 벤트부품인 제 1 통기부재(5)와, 벤트스토퍼인 제 2 통기부재(6)와, 인공젖꼭지 본체(7)를 가지고 있다. 포유기 본체(4)는 우유나 사전에 착취한 모유 등의 영유아용 음료를 수용하는 보틀 등이고, 예를 들어 유리나 경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된다. 인공젖꼭지 본체(7)는 제 1 통기부재(5) 및 제 2 통기부재(6)를 통하여 포유기 본체(4)에 장착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설치부재(3)를 포유기 본체(4)에 대하여 나사결합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포유기(1)의 설치부재(3)의 상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설치부재(3)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설치부재(3)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다.
설치부재(3)는 원통형 부재이고, 경질의 합성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설치부재(3)는 설치부재 본체(31)와, 설치부재 본체(31)의 상단으로부터 직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플랜지부(32)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32)는 위쪽 개구(33)를 구획하고 있다. 인공젖꼭지(2)는 개구(33)를 통하여 위쪽으로 돌출된다. 플랜지부(32)의 아랫면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끼워맞춤 돌기(34)(도 5)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돌기(3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공젖꼭지 본체(7)의 끼워맞춤 홈(75a)과 끼워맞춘다. 설치부재 본체(31)의 하단둘레는, 위쪽 개구(33)보다 직경이 큰 개구(35)를 구획하고 있다. 설치부재 본체(31)의 내주면에는, 포유기 본체(4)의 상단부분의 외주면에 설치된 수나사부(41)(도 2)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도 1의 포유기(1)의 인공젖꼭지(2)의 제 1 통기부재(5)의 상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 1 통기부재(5)의 바닥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제 1 통기부재(5)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제 1 통기부재(5)의 선 B-B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7의 제 1 통기부재(5)의 선 C-C에서의 단면도이다.
제 1 통기부재(5)는 도너츠 형상 및 평판 형상의 부재이고, 연질의 합성수지 등의 탄성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를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제 1 통기부재(5)의 외주면 아래쪽에는, 직경방향 바깥측으로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플랜지부(51)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 1 통기부재(5)의 윗면에는, 4개의 원형의 끼워맞춤 구멍(52a, 52b, 52c, 52d)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구멍(52a, 52b, 52c, 52d)의 각각은, 제 1 통기부재(5)의 중심축선 둘레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끼워맞춤 구멍(52a, 52b, 52c)의 각각의 안에는, 각각 역류방지밸브(53, 54, 55)가 설치되어 있다. 끼워맞춤 구멍(52d)의 안에는 역류방지밸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폐색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통기부재(5)는 역류방지밸브(53, 54, 55)로서의 3개의 통기구멍(53, 54, 55)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끼워맞춤 구멍(52d)에 대응하는 제 1 통기부재(5)의 뒷면에는, 폐색된 보스부(56)가 형성되고, 제 1 통기부재(5)의 중앙에는 개구(57)가 형성되어 있다.
역류방지밸브(53, 54, 55)의 각각은, 한쌍의 밸브체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역류방지밸브(53)는 도 7 및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한쌍의 밸브체(53a, 53b)를 가지고 있다. 밸브체(53a, 53b)는 끼워맞춤 구멍(52a)의 내주면으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평판형상의 가동조각이다. 각 밸브체(53a, 53b)의 선단 사이에는, 제 1 통기부재(5)의 직경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슬릿(53c)이 형성된다. 도 8은 슬릿(53c)을 통과하는 단면도이므로, 도 8에 슬릿(53c)은 나타나지 않으며, 한쪽 밸브체(53a)만이 나타나 있다. 제 1 통기부재(5)의 아랫면 밸브체(53a, 53b)의 주위에는 장벽(53d)이 형성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밸브체(53a, 53b)가 쐐기형상의 단면이 되도록 슬릿(53c)이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통기부재(5)의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하는 기체 등의 흐름에 의한 압력은, 밸브체(53a, 53b)가 보다 폐쇄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즉, 슬릿(53c)은 폐쇄된 상태 그대로이고, 역류방지밸브(53)는 제 1 통기부재(5)의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하는 흐름에 대하여는 폐쇄되어 있다. 한편, 제 1 통기부재(5)의 위쪽에서 아래쪽을 향하는 흐름에 의한 압력은, 밸브체(53a, 53b)의 선단이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슬릿(53c)이 개구되고, 역류방지밸브(53)는 제 1 통기부재(5)의 위쪽에서 아래쪽을 향하는 흐름에 대하여는 개방된다.
그 밖의 역류방지밸브(54, 55)는 밸브체의 형상 이외의 기본적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는, 역류방지밸브(53)와 마찬가지이므로 간단히 설명한다. 역류방지밸브(54)는 한쌍의 밸브체(54a, 54b)를 가지고 있다. 밸브체(54a, 54b)는 끼워맞춤 구멍(52b)의 내주면으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곡면현상의 가동조각이다. 각 밸브체(54a, 54b)의 선단 사이에는, 제 1 통기부재(5)의 직경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슬릿(54c)이 형성된다. 제 1 통기부재(5)의 아랫면 밸브체(54a, 54b)의 주위에는, 격벽(54d)이 형성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밸브체(54a, 54b)가 원호형상의 단면이 되도록 슬릿(54c)이 폐쇄되어 있다. 즉, 평상시에는 밸브체(54a, 54b)가 전체적으로 1개의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역류방지밸브(55)는 한쌍의 밸브체(55a, 55b)를 가지고 있다. 밸브체(55a, 55b)는 끼워맞춤 구멍(52c)의 내주면에서 가로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평판형상의 가동조각이다. 각 밸브체(55a, 55b)의 선단 사이에는, 제 1 통기부재(5)의 직경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슬릿(55c)이 형성된다. 제 1 통기부재(5)의 아랫면 밸브체(55a, 55b)의 주위에는 격벽(55d)이 형성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밸브체(55a, 55b)가 직선형상의 단면이 되도록 슬릿(55c)이 폐쇄되어 있다. 즉, 평상시에는 밸브체(55a, 55b)가 전체적으로 1개의 평면을 형성한다.
상술한 3개의 역류방지밸브(53, 54, 55)는 이 기재순서대로 개방되는데에 필요한 흐름에 의한 압력, 즉 각 슬릿(53c, 54c, 55c)이 개구되는데에 필요한 흐름에 의한 압력이 커진다. 이것은 한쌍의 밸브체가 제 1 통기부재(5)의 위쪽에서 아래쪽을 향하는 흐름에 의한 압력을 받은 경우에 있어서, 각 밸브체의 선단을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분력의 크기에 의존한다. 각 역류방지밸브가 각각이 개방되는 흐름방향으로 동일한 압력을 받았을 때, 즉 동일한 압력차 하에 배치되었을 때, 각 밸브체에 작용하는 힘의 분력의 크기는, 쐐기형상으로 배치된 밸브체 쪽이 원호형상으로 배치된 밸브체보다 크고, 원호형상으로 배치된 밸브체 쪽이 직선형상으로 배치된 밸브체보다 크다. 따라서, 동일한 압력차 하에 배치되었을 때의 각 슬릿(53c, 54c, 55c)의 개구면적은, 이 기재순서대로 작아지며, 역류방지밸브(53, 54, 55)의 유량도 이 순서대로 감소한다.
도 11은 도 1의 포유기(1)의 인공젖꼭지(2)의 제 2 통기부재(6)의 상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 2 통기부재(6)의 정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제 2 통기부재(6)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다.
제 2 통기부재(6)는 도너츠 형상 및 평판형상의 부재이고, 경질의 합성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제 2 통기부재(6)의 윗면 개구(61) 근방에는, 위쪽으로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지지벽(6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통기부재(6)의 아랫면에는 그 외주둘레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둘레벽(6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통기부재(6)의 아랫면에는 둘레벽(63)에 의하여 구획된 오목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4)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통기부재(5)가 끼워맞추어진다.
지지벽(62)이 형성된 제 2 통기부재(6)의 윗면 부분에 대응하는 아랫면 부분의 일부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속이 빈 보스부(65)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통기부재(6)의 윗면에는, 제 2 통기부재(6)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방향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면 반원형의 홈(6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면 반원형의 홈(66)은 속이 빈 보스부(65) 내로 연통하고, 통기구멍(67)을 형성하고 있다.
도 14는 도 1의 포유기(1)의 인공젖꼭지(2)의 인공젖꼭지 본체(7)의 상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인공젖꼭지 본체(7)의 정면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인공젖꼭지 본체(7)의 우측면도이고, 도 17은 도 14의 인공젖꼭지 본체(7)의 선 A-A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18은 도 16의 인공젖꼭지 본체(7)의 선 B-B에서의 단면도이다.
인공젖꼭지 본체(7)는 전체가 속이 빈 부재이고, 연질의 합성수지 등의 탄성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를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인공젖꼭지 본체(7)는 기부(71)와, 제 1 젖꼭지 몸통부(72)와, 제 2 젖꼭지 몸통부(73)와, 유두부(74)를 가지고 있다. 기부(71)는 플랜지부(75)와, 목부(76)와, 오버행부(77)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75)는 원통형상의 목부(76)의 하단에서 직경방향 바깥측으로 고리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부(75)의 윗면에는, 설치부재(3)의 플랜지부(32) 아랫면에 설치된 끼워맞춤 돌기(34)와 끼워맞추는 고리형상의 끼워맞춤 홈(75a)이 형성되어 있다(도 2). 플랜지부(75)의 외부직경, 제 1 통기부재(5)의 플랜지부(51)의 외부직경 및 제 2 통기부재(6)의 외부직경은 대략 동일하다. 플랜지부(75)의 개구(78)의 내부직경, 제 1 통기부재(5)의 개구(57)의 내부직경 및 제 2 통기부재(6)의 개구(61)의 내부직경은 대략 동일하다(도 2).
목부(76)는 설치부재(3)의 개구(33) 내에 끼우도록, 설치부재(3)의 플랜지부(32)의 두께보다도 축방향으로 아주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목부(76)의 외부직경은 아래쪽 플랜지부(75) 및 위쪽 오버행부(77)에 비하여 아주 약간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오버행부(77)는 목부(76)의 상단에서 위쪽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확대되는 고리형상의 볼록한 곡면이고, 오버행부(77)에 있어서 최대의 외부직경을 가지는 고리형상 부분인 최대직경부(77a)를 통하여 제 1 젖꼭지 몸통(72)에 이른다. 한편, 오버행부(77)는 목부(76)의 상단에서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고리형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제 1 젖꼭지 몸통부(72)와, 제 2 젖꼭지 몸통부(73)와, 유두부(74)는 전체적으로 유두부(74)의 선단을 꼭대기점으로 하는 대략 원추형상이다. 이러한 대략 원추형상의 중심축선(C1)은 기부(71)의 중심선축(C2)에 대하여 위턱측으로 경사져 있다. 바꿔말하면, 인공젖꼭지 본체(7)는 기부(71), 즉 오버행부(77)의 최대직경부(77a)보다 아래쪽 부분이 중심축선(C2)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대칭의 보빈 형상인데, 최대직경부(77a)보다 위쪽은, 대략 원추체를 기울여 기부(71) 상에 배치한 것과 같은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포유기(1)는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고, 수유시에는 도 16에 있어서 우측이 위턱측이고 좌측이 아래턱측이 되도록 영유아에게 물릴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사각은 7°인데, 그 밖의 각도여도 좋다.
제 1 젖꼭지 몸통부(72) 및 제 2 젖꼭지 몸통부(73)는 위쪽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축소되는 고리형상의 볼록한 곡면이다. 제 1 젖꼭지 몸통부(72) 및 제 2 젖꼭지 몸통부(73) 사이는 고리형상의 오목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조임부(79)에 의하여 구획된다. 바꿔말하면, 모두 볼록한 곡면인 제 1 젖꼭지 몸통부(72) 및 제 2 젖꼭지 몸통부(73)는 제 1 조임부(79)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젖꼭지 몸통부(72)는 오버행부(77)의 최대직경부(77a)와 제 1 조임부(79)에 의하여 구획된다.
유두부(74)는 대략 구형상이고, 위턱측 가까이의 꼭대기부 근방에는 수유를 위한 관통구멍인 유공(74a)(도 14)이 형성되어 있다. 유공(74a)이 위턱측 가까이의 꼭대기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영유아가 수유할 때, 방출된 음료가 목구멍 안쪽에 직접 닿는 것이 방지된다. 유공(74a)은 바람직하게는 방출된 음료가 위턱을 거쳐 목구멍에 도달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유두부(74)의 아래턱측이나 조금 위쪽 부분에는 오목한 곡면(74b)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한 곡면(74b)은 중심축선(C1)보다 더욱 위턱측으로 경사진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젖꼭지 몸통부(73) 및 유두부(74) 사이는 고리형상의 오목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조임부(80)에 의하여 구획된다. 바꿔말하면, 볼록한 곡면인 제 2 젖꼭지 몸통부(73) 및 대략 구형상인 유두부(74)는 제 2 조임부(80)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젖꼭지 몸통부(73)는 제 1 조임부(79)와 제 2 조임부(80)에 의하여 구획된다.
다음으로, 인공젖꼭지 본체(7)를 문 영유아의 포유운동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인공젖꼭지 본체(7)의 또 다른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영유아는 혀의 연동운동에 의하여 인공젖꼭지 본체(7)로부터 음료를 흡인하면서 짜낸다. 이때 영유아는 융기시킨 혀의 선단으로 인공젖꼭지 본체(7)를 위턱으로 누르면서, 목구멍 안쪽으로 그 융기를 이동시킨다. 즉, 인공젖꼭지 본체(7)는 그 아래턱측 면을 혀의 융기한 부분에 의하여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누른다 인공젖꼭지 본체(7)에서의 혀가 지나는 경로, 즉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난 아래턱측 부분의 영역(R)의 경도를 조정함으로써, 혀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인공젖꼭지 본체(7) 자체의 기능으로서, 영유아의 혀의 연동운동을 유발하도록 하여, 영유아가 보다 매끄럽게 포유운동을 행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영유아의 포유운동은 융기시킨 혀의 선단을 제 2 젖꼭지 몸통부(73)의 아래턱측 부분인 맞닿음부(73a)에 누름으로써 개시된다. 따라서, 우선은 이 부분이 눌리기 쉽도록 인공젖꼭지 본체(7)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오버행부(77)의 내면과 제 1 젖꼭지 몸통부(72)의 내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동(空洞)부(81)의 존재에 의하여 실현된다. 즉, 융기시킨 혀의 선단에 의하여, 제 2 젖꼭지 몸통부(73)의 맞닿음부(73a)가 눌리면, 제 1 젖꼭지 몸통부(72)의 상부가 공동부(81) 내주로 탄성변형한다. 이어서, 융기시킨 혀의 선단이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제 1 젖꼭지 몸통부(72)의 상부가 복원되고, 그 복원력이 혀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조력한다. 이때, 인공젖꼭지 본체(7)의 내부에서는 유두부(74)를 향하여 음료가 서서히 압축된다.
영유아의 포유운동의 개시점인 제 2 젖꼭지 몸통부(73)의 다음으로 찌그러지기 쉽도록 형성해야하는 부분은, 유두부(74)와 제 2 조임부(80)의 경계영역, 즉 유두부(74)의 오목한 곡면(74b)의 하단 부분(K)이다. 이것은 혀가 지나는 경로에서의 부분(K)의 전후, 즉 제 2 조임부(80)의 상부(J)와 유두부(74)의 오목한 곡면(74b)의 중앙(C)을 보다 얇게 함으로써 실현된다. 오목한 곡면(74b)의 하단 부분(K)을 찌그러지기 쉽도록 형성함으로써, 유공(74a)으로부터 음료를 효율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 2 조임부(80)의 상부(J)를 0.9mm의 두께로 하고, 유두부(74)의 오목한 곡면(74b)의 중앙(C)을 0.8mm의 두께로 하며, 유두부(74)의 오목한 곡면(74b)의 하단 부분(K)을 1.3mm의 두께로 한다.
더욱이, 영유아의 포유운동은 융기시킨 혀의 선단에서 유두부(74)의 선단까지 누름으로써 종료되어 다시 개시점으로 되돌아가는데, 유두부(74) 전체를 구형상, 즉 볼록한 곡면으로 한 경우에서는, 융기시킨 혀의 선단이 종료점 직전에서 미끄러져버려, 경로로부터 탈락하여, 음료의 방출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인공젖꼭지 본체(7)의 유두부(74)는, 상술한 오목한 곡면(74b)을 가지고 있으므로, 융기시킨 혀의 선단을 유두부(74)의 경로로부터 탈락시키지 않고 종료점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인공젖꼭지 본체(7)는 영유아의 혀가 지나는 경로 상에, 상술한 다양한 특징적 구성을 가짐으로써, 영유아의 혀의 연동운동을 유발하도록 하여, 영유아가 보다 매끄럽게 포유운동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젖꼭지 몸통부(72) 및 제 2 젖꼭지 몸통부(73)의 위턱측 면은, 그 아래턱측 면에 비하여 볼록한 곡면의 돌출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공젖꼭지 본체(7)의 위턱측 면 전체적으로 요철이 적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공젖꼭지 본체(7)의 위턱측 부분이, 영유아의 위턱에 밀착하여, 안정적으로 포유운동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인공젖꼭지 본체(7)의 위턱측 부분이, 영유아의 위턱에 밀착하고 있으므로, 흡인에 의하여 구강 내를 확실하게 저압으로 할 수 있어, 효율적인 수유가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인공젖꼭지 본체(7)의 위턱측 면 전체적으로 요철이 적음으로써, 영유아의 윗입술이 인공젖꼭지 본체(7)와의 마찰에 의하여 입안측으로 감겨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인공젖꼭지 본체(7)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부(71)의 중심축선(C2)에 대하여, 대략 원추체의 중심축선(C1)이 위턱측으로 경사져 있음으로써, 인공젖꼭지 본체(7)의 위턱측 부분을 영유아의 위턱에 밀착시킨 상태로, 인공젖꼭지 본체(7)의 아래턱측에 광범위한 영역과 큰 공동부(81)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혀의 운동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인공젖꼭지 본체(7)는 연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양하게 착색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인공젖꼭지는, 투명하거나 백색의 탁한 실리콘 수지로 형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인공젖꼭지 본체(7)는 핑크나 살구색 등의 난색, 또는 그 밖의 색상으로 착색하여도 좋다. 인공젖꼭지 본체(7) 전체를 착색하여, 투명하거나 백색의 탁한 색상 이외의 색상으로 함으로써, 병원 내 등에서 타인의 포유기와의 혼동을 방지하고,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난색계로 착색함으로써, 영유아의 식욕 증진에 기여하고, 영유아에게 상냥함이나 친밀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인공젖꼭지 본체(7)를 부분적으로 착색함으로써 도형이나 모양을 실시하여, 디자인성이 높은 인공젖꼭지로 할 수 있다. 한편, 착색 대신에, 각인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사용시의 방향을 판별하기 쉽도록, 위쪽을 의미하는 'UP' 등의 문자를 각인하여도 좋다.
도 19는 제 1 통기부재(5)와 제 2 통기부재(6)의 끼워맞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포유기(1)를 조립하기 전에, 우선 제 1 통기부재(5)와 제 2 통기부재(6)를 끼워맞출 필요가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통기부재(5)는 통기구멍에 상당하는 3개의 역류방지밸브(53, 54, 55)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 압력차 하에 있어서, 각 역류방지밸브(53, 54, 55)에 의하여 얻어지는 유량은 다르므로, 적절한 역류방지밸브를 1개 선택한다. 선택한 역류방지밸브가 배치된 끼워맞춤 구멍에 대하여, 제 2 통기부재(6)의 보스부(65)를 삽입하도록, 제 1 통기부재(5)에 대하여 제 2 통기부재(6)를 위에서부터 씌워, 끼워맞춤이 완성된다. 즉, 제 2 통기부재(6)의 오목부(64) 내에 제 1 통기부재(5)가 끼워맞춰지고, 이때, 제 2 통기부재(6)의 둘레벽(63)의 하단면과, 제 1 통기부재(5)의 플랜지부(51)의 윗면이 맞닿는다. 그 결과, 일체가 된 제 1 통기부재(5)와 제 2 통기부재(6)의 위쪽과 아래쪽을 연통하는 1개의 통기구멍, 즉 선택한 역류방지밸브에 상당하는 통기구멍이 얻어진다. 바꿔말하면, 제 1 통기부재(5)와 제 2 통기부재(6)는, 유량조정기구를 구성한다. 한편, 선택한 역류방지밸브를 통한 기체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도록, 제 2 통기부재(6)의 속이 빈 보스부(65) 및 홈(66), 즉 통기구멍(67)의 형상 등이 설계된다.
더욱이, 포유기(1)의 조립 전에, 설치부재(3)에 대하여 인공젖꼭지 본체(7)를 설치한다. 즉, 설치부재(3)의 아래쪽에서 개구(35) 및 개구(33)를 통과하여, 인공젖꼭지 본체(7)를 삽입한다. 적어도 인공젖꼭지 본체(7)의 오버행부(77)의 최대 직경부(77a)의 외부직경은, 설치부재(3)의 개구(33)의 내부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인공젖꼭지 본체(7)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삽입한다. 최종적으로, 설치부재(3)의 플랜지부(32)가 인공젖꼭지 본체(7)의 목부(76)에 배치될 때까지 인공젖꼭지 본체(7)를 삽입한다. 인공젖꼭지 본체(7)의 설치부재(3)에 대한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는(도 2), 설치부재(3)의 플랜지부(32)의 끼워맞춤 돌기(34)는 인공젖꼭지 본체(7)의 플랜지부(75)의 끼워맞춤 홈(75a)과 끼워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만일 영유아가 인공젖꼭지 본체(7)를 강하게 깨물고 잡아당기더라도, 인공젖꼭지 본체(7)가 설치부재(3)로부터 쉽게 빠지는 일은 없다.
여기에서, 설치부재(3)에 대하여 인공젖꼭지(2)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설치부재(3)의 플랜지부(32)와 인공젖꼭지 본체(7)의 오버행부(77)는 떨어져 있다. 더욱이, 오버행부(77)는 목부(76)의 상단에서 위쪽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확대되고 있으므로, 직경방향 바깥측을 향하여 양부재의 간격이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만일 영유아가 인공젖꼭지 본체(7)를 안쪽까지 깨물었다고 하여도, 설치부재(3)의 플랜지부(32)와 인공젖꼭지 본체(7)의 오버행부(77)의 사이에 입술이 끼이는 일은 없다.
최종적인 포유기(1)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음료를 넣은 포유기 본체(4)의 개구단 상에, 상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예를 들어 역류방지밸브(53)를 선택하여 끼워맞춘 제 1 통기부재(5) 및 제 2 통기부재(6)를 놓는다. 이어서, 사전에 설치한 설치부재(3) 및 인공젖꼭지 본체(7)를 위에서부터 씌우고, 설치부재(3)를 포유기 본체(4)에 대하여 나사결합함으로써 조립이 완성된다(도 2). 이때, 제 2 통기부재(6) 윗면에 형성된 지지벽(62)이 인공젖꼭지 본체(7)의 하단면과 맞닿아 있다. 따라서, 설치부재(3)를 포유기 본체(4)에 대하여 나사결합할 때, 너무 강하게 닫았더라도 제 2 통기부재(6)의 윗면과 인공젖꼭지 본체(7)의 하단면이 밀착하는 것이 방지되어, 통기구멍(67)이 폐색되는 것이 방지된다.
영유아가 인공젖꼭지(2)를 흡인하여 포유기(1) 내의 압력이 저하되면, 포유기(1) 내외간에 압력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압력차에 의하여 역류방지밸브가 개방되고, 설치부재(3)의 암나사부(36) 및 포유기 본체(4)의 수나사부(41) 사이의 간격, 통기구멍(67)을 통과하고, 최후에는 역류방지밸브(53)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포유기 내에 들어간다. 한편, 역류방지밸브(53)가 있음으로써, 포유기(1) 내에서 음료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20은 도 1의 포유기(1)의 유량측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측정방법은, 상온의 물을 포유기(1)에 넣고, 진공펌프(P)에 의하여 -13kPa의 압력으로 흡인하여, 흡인된 물의 유량을 측정한다. 포유기(1)로부터 흡인된 물은, 용기(100) 내에 수용된다. 쐐기형상의 역류방지밸브(53)를 통하여 통기시킨 경우, 원형상의 역류방지밸브(54)를 통하여 통기시킨 경우, 및 직선형상의 역류방지밸브(55)를 통하여 통기시킨 경우에 대하여, 각각 26.1(ml/min), 23.3(ml/min), 및 18.0(ml/min)이라는 결과가 되었다. 한편, 포유기(1) 내에 통기를 시키지 않은 경우, 즉 포유기(1) 내의 압력이 계속 저하되는 경우에는, 14.1(ml/min)이라는 결과가 되었다.
이상으로부터, 영유아의 수유시의 흡인력에 따라서, 제 1 통기부재(5)의 통기구멍(53, 54, 55)에 대하여 제 2 통기부재(6)의 통기구멍(67)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연통시킴으로써, 포유기(1) 밖에서 안으로 유입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유시의 흡인력이 강한 영유아의 경우에는, 포유기(1) 바깥에서 안으로 유입되는 기체의 유량이 적어지도록, 제 1 통기부재(5)의 통기구멍(55)을 선택한다. 그 결과, 흡인에 의하여 저하된 포유기(1) 내의 압력이 좀처럼 상승하지 않아, 영유아가 1회의 수유동작으로 수유할 수 있는 음료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한편, 수유시의 흡인력이 약한 영유아의 경우에는, 포유기(1) 바깥에서 안으로 유입되는 기체의 유량이 많아지도록, 제 1 통기부재(5)의 통기구멍(53)을 선택한다. 그 결과, 흡인에 의하여 저하된 포유기(1) 내의 압력이 바로 상승하여, 영유아가 1회의 수유동작으로 수유할 수 있는 음료의 양을 많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영유아에게 있어서 적절한 수유시간 또는 음료의 유량(예를 들어, 포유기 내의 음료를 다 마시는데에 필요한 시간이 15~20분 정도)을 간편한 방법으로 조정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통기구멍의 연통이 제 1 통기부재(5) 및 제 2 통기부재(6)의 오목부(끼워맞춤구멍) 및 볼록부(보스부)의 끼워맞춤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통기구멍의 연통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기구멍의 연통이 제 1 통기부재 및 제 2 통기부재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끼워맞춤에 의하지 않고, 즉 볼록부를 가지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서로의 통기구멍을 위치맞춤함으로써 행하여도 좋다. 또한, 제 1 통기부재의 윗면에 위쪽으로 연장되는 속이 빈 복수의 보스부를 설치하고, 그 보스부 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역류방지밸브를 설치하며, 대응하는 제 2 통기부재에는 관통구멍을 설치하여 끼워맞추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동일 압력차 하에서의 유량의 조정은, 통기구멍의 개구면적의 조정과 대략 동일하므로,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밸브체의 형상이 다른 역류방지밸브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히 제 1 통기부재에 대하여 개구면적이 다른 복수의 관통구멍을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더욱이, 제 1 통기부재가 개구면적이 다른 복수의 관통구멍을 가지는 경우, 제 2 통기부재의 속이 빈 보스부 내에만 역류방지밸브를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통기구멍은 3개였는데, 2개 또는 4개 이상이어도 좋다.
상술한 인공젖꼭지 본체의 특징은, 상술한 포유기뿐만 아니라, 종래형태의 포유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1: 포유기
2: 인공젖꼭지
3: 설치부재
4: 포유기 본체
7: 인공젖꼭지 본체
71: 기부
72: 73: 젖꼭지 몸통부
74: 유두부
74a: 유공
77: 오버행부
C1, C2: 중심축선
2: 인공젖꼭지
3: 설치부재
4: 포유기 본체
7: 인공젖꼭지 본체
71: 기부
72: 73: 젖꼭지 몸통부
74: 유두부
74a: 유공
77: 오버행부
C1, C2: 중심축선
Claims (7)
- 상단에 오버행부를 가지는 기부와, 상기 오버행부의 위쪽에 형성된 젖꼭지 몸통부 및 유공을 가지는 유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젖꼭지 몸통부 및 상기 유두부가 전체적으로 대략 원추형상이며, 이 대략 원추형상의 중심축선이, 상기 기부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수유시의 위턱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젖꼭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 몸통부가, 위쪽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축소하는 고리형상의 볼록한 곡면인 제 1 젖꼭지 몸통부 및 제 2 젖꼭지 몸통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젖꼭지 몸통부 및 상기 제 2 젖꼭지 몸통부 사이는, 고리형상의 오목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조임부에 의하여 구획되며, 제 2 젖꼭지 몸통부 및 상기 유두부 사이는, 고리형상의 오목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조임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젖꼭지.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두부가 대략 구형상이고, 수유시의 상기 유두부의 아래턱측 면에는, 오목한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젖꼭지.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 몸통부의 위턱측 면은, 그 아래턱측 면에 비하여 면 전체적으로 요철이 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젖꼭지.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설치부재에 대하여 그 인공젖꼭지를 설치한 경우에, 설치부재와 상기 오버행부(77)가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젖꼭지.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이, 상기 유두부의 위턱측 가까이의 꼭대기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젖꼭지.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공젖꼭지와 포유기 본체를 구비하는 포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3040025A JP2014166267A (ja) | 2013-02-28 | 2013-02-28 | 人工乳首及び人工乳首を有する哺乳器 |
JPJP-P-2013-040025 | 2013-02-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8140A true KR20140108140A (ko) | 2014-09-05 |
KR102143533B1 KR102143533B1 (ko) | 2020-08-11 |
Family
ID=51430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2455A KR102143533B1 (ko) | 2013-02-28 | 2014-02-26 | 인공젖꼭지 및 인공젖꼭지를 가지는 포유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2014166267A (ko) |
KR (1) | KR102143533B1 (ko) |
CN (1) | CN104013535A (ko) |
HK (1) | HK1198119A1 (ko) |
TW (1) | TWI606822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7474B1 (ko) * | 2020-03-06 | 2021-01-26 | 에스투엔 주식회사 | 수유용 젖병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62275B2 (en) * | 2015-07-02 | 2017-05-30 | Sue S. Lee | Oral devices |
CN206102990U (zh) * | 2016-07-01 | 2017-04-19 | 王小娟 | 一种人工奶嘴及哺乳器 |
GB2612826A (en) * | 2021-11-12 | 2023-05-17 | Mayborn Uk Ltd | Nipple and nipple assembly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15535A (ja) * | 1991-10-30 | 1993-05-14 | Pigeon Corp | 哺乳器用乳首 |
JPH10155879A (ja) * | 1996-11-29 | 1998-06-16 | Pigeon Corp | 人工乳首 |
JP2009106614A (ja) * | 2007-10-31 | 2009-05-21 | Jex Inc | 哺乳瓶用人工乳首 |
JP2011092551A (ja) * | 2009-10-30 | 2011-05-12 | Pigeon Corp | 人工乳首およびこれを用いた哺乳器 |
JP2011527585A (ja) * | 2008-07-12 | 2011-11-04 | マパ・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タク・ハフツング | 哺乳瓶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41628U (ko) * | 1980-03-25 | 1981-10-26 | ||
US7122045B2 (en) * | 2001-11-13 | 2006-10-17 | Playtex Products, Inc. | Nipple |
TWI329012B (en) * | 2005-12-08 | 2010-08-21 | Otsuka Pharma Co Ltd | Artificial nipple for a nursing bottle |
DE102007027960B4 (de) * | 2007-06-19 | 2011-06-01 | Mapa Gmbh | Sauger |
-
2013
- 2013-02-28 JP JP2013040025A patent/JP2014166267A/ja active Pending
-
2014
- 2014-02-19 TW TW103105498A patent/TWI606822B/zh active
- 2014-02-26 KR KR1020140022455A patent/KR10214353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2-28 CN CN201410073528.1A patent/CN104013535A/zh active Pending
- 2014-11-19 HK HK14111661.9A patent/HK1198119A1/xx unknow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15535A (ja) * | 1991-10-30 | 1993-05-14 | Pigeon Corp | 哺乳器用乳首 |
JPH10155879A (ja) * | 1996-11-29 | 1998-06-16 | Pigeon Corp | 人工乳首 |
JP2009106614A (ja) * | 2007-10-31 | 2009-05-21 | Jex Inc | 哺乳瓶用人工乳首 |
JP2011527585A (ja) * | 2008-07-12 | 2011-11-04 | マパ・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タク・ハフツング | 哺乳瓶 |
JP2011092551A (ja) * | 2009-10-30 | 2011-05-12 | Pigeon Corp | 人工乳首およびこれを用いた哺乳器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7474B1 (ko) * | 2020-03-06 | 2021-01-26 | 에스투엔 주식회사 | 수유용 젖병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606822B (zh) | 2017-12-01 |
KR102143533B1 (ko) | 2020-08-11 |
JP2014166267A (ja) | 2014-09-11 |
CN104013535A (zh) | 2014-09-03 |
HK1198119A1 (en) | 2015-03-13 |
TW201501709A (zh) | 2015-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93568A (en) | Nipple for nursing bottles | |
CA2466631C (en) | Nipple | |
US5791503A (en) | Nursing bottle with anti-air ingestion valve | |
US11951075B2 (en) | Bottle teat and cap for a drinking bottle | |
JP2006505353A (ja) | 人工乳首 | |
KR20140108140A (ko) | 인공젖꼭지 및 인공젖꼭지를 가지는 포유기 | |
US20150202122A1 (en) | Teat for Feeding Bottle | |
JP2013502243A (ja) | 乳首ユニット | |
TW201534294A (zh) | 具有一通氣奶嘴之嬰兒奶瓶總成 | |
US20180250199A1 (en) | Nipple and Nipple Assembly | |
KR20100055429A (ko) | 음용을 위한 흡입 장치 | |
KR20140108139A (ko) | 인공젖꼭지 및 인공젖꼭지를 가지는 포유기 | |
TWI791480B (zh) | 奶瓶奶嘴及於其中形成開口之方法 | |
US11426331B2 (en) | Pacifier for infants | |
JP2004129940A (ja) | 哺乳器 | |
EP1297814A1 (en) | Thick feed baby teat | |
JP6017723B1 (ja) | 人工乳首構造 | |
KR200441202Y1 (ko) | 수유용 젖꼭지 | |
CN219354701U (zh) | 训练奶嘴及包含该训练奶嘴的容器 | |
JP2010136774A (ja) | 人工乳首及びほ乳瓶 | |
CN216798248U (zh) | 偏心流道奶嘴 | |
JPS6028443Y2 (ja) | 哺乳器用乳首 | |
CN116251025A (zh) | 训练奶嘴及包含该训练奶嘴的容器 | |
CN111714378A (zh) | 奶嘴及具有该奶嘴的哺乳器 | |
WO2007111444A1 (en) | Functional feeding bott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