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429A - 음용을 위한 흡입 장치 - Google Patents

음용을 위한 흡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429A
KR20100055429A KR1020107003728A KR20107003728A KR20100055429A KR 20100055429 A KR20100055429 A KR 20100055429A KR 1020107003728 A KR1020107003728 A KR 1020107003728A KR 20107003728 A KR20107003728 A KR 20107003728A KR 20100055429 A KR20100055429 A KR 20100055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bottle
drinking
suction
sl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엑크하르트 이체크
Original Assignee
마파게엠베하 굼미-운트 플라스틱 베르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파게엠베하 굼미-운트 플라스틱 베르케 filed Critical 마파게엠베하 굼미-운트 플라스틱 베르케
Publication of KR20100055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1Teats having means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5Mouth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1Teats having means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 A61J11/0015Teats having means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by size or shape of th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2Teats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 A61J11/045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with interlocking means, e.g. protrusions or indentations on the t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연성의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포유병 젖꼭지는, 중공의 흡입 니플, 포유병의 병 구멍에 고정시키기 위한 원주형의 설치용 에지부, 설치용 에지부와 흡입 니플 사이에 위치하는 중공의 전환 부위, 및 흡입 니플의 끝 부분에서 흡입 니플의 바깥쪽 면으로부터 안쪽 면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흡입 니플의 바깥쪽 면으로부터 안쪽 면으로 갈수록, 평행하게 정렬된 서로 간의 거리가 감소되는 2개의 음용 슬롯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용을 위한 흡입 장치{SUCKING DEVICE FOR DRINKING PURPOSES}
본 발명은 연성의 탄력성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진 포유병 젖꼭지(bottle teat)에 관한 것이다.
포유병 젖꼭지는 젖먹이와 유아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데에 사용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포유병 젖꼭지는 중공(hollow)의 흡입 니플(suction nipple)과 원주형의 설치용 에지부(mounting edge)를 포함하는데, 원주형의 설치용 에지부는 포유병에 있는 구멍(opening)에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설치용 에지부는 흡입 니플보다 단면이 크기 때문에, 흡입 젖꼭지와 설치용 에지부 사이에, 흡입 니플부터 설치용 에지부까지 연장된 중공의 전환 부위(transition zone)가 존재한다. 전환 부위의 끝 부분에, 흡입 니플은 액체가 빠져나갈 수 있는 음용 홀(drinking hole)을 갖는다. 밸브 슬롯(valve slot)을 가진 벤틸레이션 밸브(ventilation valve)는 전환 부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포유병 젖꼭지는 나사체결 링(threaded ring)에 의해 병의 개구 에지(aperture edge)에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포유병 젖꼭지는, 설치용 에지부가 나사체결 링의 환형(annular)의 플랜지(flange) 아래에 위치하게 될 때까지, 나사체결 링을 통해 미끄러져 들어간다. 나사체결 링은 포유병의 외부 쓰레드(thread)에 나사체결된다. 이에 의하여, 설치용 에지부는 포유병 구멍의 구멍 에지와 나사체결 링 사이에 클램핑된다. 마찬가지로, 포유병의 구멍 에지 상의 설치용 에지부의 장착 영역에 적절한 채널에 의해 벤틸레이션 밸브를 구현하는 것이 주지되어 있다.
유아는 포유병에 채워진 액체나 유동식(fluid food)을 흡입 니플(suction nipple)을 통해 흡입함으로써 먹을 수 있다. 이 경우, 음식이 음용 홀을 통해 빠져나가고, 벤틸레이션 밸브를 통해 외부와의 압력 보상(pressure compensation)이 생긴다.
종래의 포유병 젖꼭지는 음식을 조금씩만 공급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음용 홀을 너무 크게 하면, 액체는 아무런 방해 없이 공급될 수 있지만, 유아가 그것을 흡입할 수는 없다. 그 결과, 유아는 음식을 섭취하는 훈련이 되지 않고, 음식을 흘릴 수도 있다. 또한, 음식의 섭취는 압력 밸런스를 제한하는 벤틸레이션 밸브에 의해 제한된다.
CH 357 149에는, 음용 슬롯이 흡입 니플의 길이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흡입 니플의 바깥쪽 끝 부분에서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된 포유병 젖꼭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은 공급할 음식의 흐름을 증가시키면서도, 자연적인 흡입 과정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또한 신뢰성 있는 밀봉을 제공하고, 음식을 흘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연성의 탄력성을 가진의 재료로 만든 포유병 젖꼭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범위의 독립항의 특징을 갖는 포유병 젖꼭지에 의해 달성된다. 포유병 젖꼭지의 실시예의 장점은 특허청구범위의 종속항에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유병 젖꼭지는,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을 갖는 연성의 탄력성을 가진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 중공의 흡입 니플,
- 포유병의 병 구멍에 고정시키기 위한 원주형의 설치용 에지부,
- 설치용 에지부와 흡입 니플 사이의 중공의 전환 부위, 및
- 흡입 니플의 끝 부분에서 흡입 니플의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고, 흡입 니플의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감소되는 2개의 음용 슬롯.
본 발명에 따른 포유병 젖꼭지에서, 공급할 음료나 음식의 흐름을 증가시키는 것은, 흡입 니플의 바깥쪽에서부터 안쪽으로 갈수록 서로의 거리가 감소되는 2개의 평행한 음용 슬롯에 의해 달성된다. 다시 말하면, 흡입을 하게 되면, 흡입 니플의 슬롯들 사이에 위치한 영역이 약간 상승하고, 양쪽 슬롯에 방해받지 않는 큰 갭이 형성되고, 이 갭을 통해, 액체가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 적절한 음식량이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해, 종래의 젖꼭지에 대해 슬롯을 변형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매우 높은 흡입 압력에 의해서만 달성된다. 흡입 니플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향해 서로 간의 거리가 일정한 평행한 슬롯의 경우에도, 사실상 슬롯들 사이의 영역이 상승될 수는 있다. 그러나, 출구 흐름 단면은, 슬롯들 사이의 영역이 흡입 니플의 바깥쪽 위로 상승할 때에만 개방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높은 흡입 작용을 필요로 한다. 흡입이 없으면, 본 발명의 포유병 젖꼭지는 특히 안전하게 폐쇄되는데, 이는 2개의 슬롯 사이의 흡입 니플의 영역이 일종의 쐐기(wedge)를 형성함으로써, 2개의 슬롯의 바깥쪽에 매우 근접해서 위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포유병 젖꼭지는, 흡입할 때에 많은 양이 나오도록 하고, 압력이 제거되면 안전하게 밀봉되도록 함으로써, 어린아이가 컵으로 마시는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특히 적합하다. 이를 위하여, 마시는 법을 배우기 위한 종래의 음용 컵으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흡입 니플은 설치용 에지부에 대하여 편심되어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2개의 음용 슬롯은 서로 대해 각도를 두고 경사져 있다. 예를 들면, 각도는 0°에서 180°까지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에서 90°까지의 범위가 된다. 슬롯은 적절한 나이프 또는 절단 장치에 의해 포유병 젖꼭지에 형성될 수 있다.
포유병 젖꼭지는 적절한 연성의 탄력성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의하면, 포유병 젖꼭지는 천연 고무나 실리콘으로 만들거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thermoplastic elastomer)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유병 젖꼭지는 사출성형을 행한 후에, 슬롯을 나이프로 기계 가공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이하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포유병 젖꼭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포유병 젖꼭지를 왼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포유병 젖꼭지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라인 IV-IV을 따라 절취한, 포유병 젖꼭지의 흡입 니플의 상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흡입 압력이 가해졌을 때의 흡입 니플의 상부를, 절단한 수직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포유병 젖꼭지(1)는 중공의 흡입 니플(2)을 포함한다. 흡입 니플은, 중공의 전환 부위(3)을 통해, 병의 구멍 영역에 고정시키기 위한 설치용 에지부(4)에 결합된다.
흡입 니플(2)은 바깥쪽 끝 영역(5) 쪽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tapering) 타원형(oval)의 단면을 갖는다. 흡입 니플(2)에서, 설치용 에지부(4)에 가장 가까이 있는 쪽의 면(6)은, 흡입 니플(2)의 반대쪽 면, 즉 설치용 에지부(4)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쪽 면(7)보다 곡률이 작다. 흡입 니플(2)의 면(7)은 전환 부위(3) 쪽으로 갈수록 오목한 둥근면(8)을 이루며 연장되어 있다.
포유병 젖꼭지(2)의 바깥쪽 끝 영역(5)은 바깥쪽을 행해 돌출되어 있는데, 다시 말하면 돔 모양(dome-shaped)으로 되어 있다. 바깥쪽 끝 영역(5)에는, 수직 단면에서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는 2개의 음용 슬롯(9, 10)이 있다. 본 예에서, 이들 2개의 음용 슬롯(9, 10) 사이의 각도는 대략 20 °내지 30°이다. 음용 슬롯(9, 10)은 포유병 젖꼭지의 바깥쪽 면(11)으로부터 안쪽 면(12)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음용 슬롯(9, 10) 사이의 각도에 의해, 이들 간의 거리는, 흡입 니플(2)의 바깥쪽 면(11)에서 안쪽 면(12)으로 갈수록 감소되어 있다.
흡입 니플(2)의 바깥쪽 끝 부분(5)을 위에서 보면, 음용 슬롯(9, 10)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음용 슬롯(9, 10)은 각각 추가의 음용 슬롯(13, 14)에 의해 각각 교차되어 있다. 이 추가의 음용 슬롯(13, 14)도 또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들은, 흡입 니플의 바깥쪽 면(11)으로부터 안쪽 면(12)으로, 서로에 대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연장되어 있다. 이 추가의 음용 슬롯(13, 14)은 이들이 각각 정렬된 음용 슬롯(9, 10)보다 각각 더 짧다. 추가의 음용 슬롯(13, 14)은, 음용 슬롯(9, 10)의 끝 부근에서 서로 멀리 떨어져서 배치된다.
흡입 니플(2)은 전환 부위(3)로 점진적으로 통과한다. 전환 부위(3)에서, 포유병 젖꼭지(1)는 설치용 에지부(4)의 더 큰 직경까지 점진적으로 확장되어 있다. 전환 부위(3)는 원주형의 바깥쪽 에지(15)를 갖는다. 원주형의 협착부(circumferential constriction: 16)는 비드형(bead-shaped) 에지(15)와 설치용 에지부(4) 사이에 위치한다.
원주형의 바깥쪽 에지(15)의 영역에는, 흡입 니플(2)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반대쪽에 위치하고, 설치용 에지부(4)에 대하여 편심되어 정렬된 함몰부(depression: 17)가 위치한다. 이 함몰부(17) 내에 벤틸레이션 밸브(ventilation valve: 18)가 위치한다. 벤틸레이션 밸브(18)는 서로 교차하는 2개의 밸브 슬롯(19, 20)을 포함한다. 밸브 슬롯(19, 20)은 전환 부위(3)의 바깥쪽 면으로부터 안쪽 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설치용 에지부(4)는 상부 에지 상에 원주형 보스(circumferential boss: 22)를 갖는, 평평한 편심 장착 플랜지(21)를 포함한다.
포유병 젖꼭지의 내부에는, 중공의 공간(23)이 존재한다. 이 중공의 공간은 설치용 에지부(4)에 의해 둘러싸인 구멍으로부터 전환 부위(3)와 포유병 젖꼭지(2)를 통해 음용 슬롯(9, 10)과 음용 슬롯(13, 14)까지 연장되어 있다.
사용 중에는, 포유병 젖꼭지(1)가 유동식으로 채워진 도시 안 된 포유병의 구멍의 에지 상의 도시 안 된 나사체결 링에 의해 잠겨지게 된다.
음식이 빠져나갈 때, 포유병은, 흡입 니플(2)이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유지된다. 젖먹이가 흡입 니플을 빨 때에는, 2개의 음용 슬롯(9, 10)과 추가의 음용 슬롯(13, 14)을 통해 특히 큰 공급이 이루어진다. 또한, 포유병 젖꼭지(1)는, 음용 슬롯(9, 10) 사이의 쐐기형 영역에 의해, 특히 밀접하게 폐쇄된다. 또한, 벤틸레이션 밸브(16)의 치수와 구성은 이러한 높은 흐름에 의한 압력 보상(pressure compensation)에 유리하다.

Claims (26)

  1. 연성(soft)의 탄력성(elastic)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포유병 젖꼭지(bottle teat)로서,
    중공(hollow)의 흡입 니플(suction nipple)(2);
    포유병(drinking bottle)의 병 구멍(bottle open)에 고정시키기 위한 원주형의 설치용 에지부(mounting edge)(4);
    상기 설치용 에지부(4)와 상기 흡입 니플(2) 사이에 위치하는 중공의 전환 부위(transition zone)(3); 및
    상기 흡입 니플(2)의 끝 부분에서 상기 흡입 니플(2)의 바깥쪽 면(11)으로부터 안쪽 면(12)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 니플(2)의 바깥쪽 면(11)으로부터 상기 안쪽 면(12)으로 갈수록, 평행하게 정렬된 서로 간의 거리가 감소되는 2개의 음용 슬롯(drinking slot)(9, 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병 젖꼭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니플(2)의 바깥쪽 끝 부분에서는 상기 음용 슬롯(9, 10)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포유병 젖꼭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슬롯(9, 10)과 교차하며, 상기 흡입 니플(2)의 상기 바깥쪽 면(11)으로부터 상기 안쪽 면(12)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상기 끝 부분에 정렬된 제2 음용 슬롯(13, 14)을 더 포함하는 포유병 젖꼭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용 슬롯(13, 14)은 각각 상기 음용 슬롯(9, 10)과 하나씩 교차되어 있는, 포유병 젖꼭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슬롯(9, 10)과 교차하는 상기 제2 음용 슬롯(13, 14)은 서로에 대해 오프셋(offset)되어 있는, 포유병 젖꼭지.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용 슬롯(13, 14)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 포유병 젖꼭지.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용 슬롯(13, 14) 간의 거리는, 상기 흡입 니플의 상기 바깥쪽 면(11)으로부터 상기 안쪽 면(12)까지 변화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포유병 젖꼭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용 슬롯(13, 14)은 상기 음용 슬롯(9, 10)에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포유병 젖꼭지.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슬롯(9, 10)은 상기 제2 음용 슬롯(13, 14)보다 더 길게 되어 있는, 포유병 젖꼭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니플(2)은 직사각형으로 길쭉하게(oblong)하게 되어 있는, 포유병 젖꼭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슬롯(9, 10)은 직사각형의 길쭉한 단면의 단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음용 슬롯(13, 14)은 상기 직사각형의 길쭉한 단면의 장축에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는, 포유병 젖꼭지.
  12.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니플(2)은 상기 바깥쪽 끝 부분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taper off) 단면을 갖는, 포유병 젖꼭지.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니플(2)은 상기 설치용 에지부(4)에 대해 편심(eccentrical)되어 정렬된, 포유병 젖꼭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니플(2)의, 상기 설치용 에지부(4)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한쪽 면(6)은, 상기 흡입 니플(2)의, 상기 설치용 에지부(4)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면보다 작은 곡률을 갖는, 포유병 젖꼭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니플(2)은 상기 설치용 에지부(4)로부터 멀리 떨어진 면 상의 상기 전환 부위(3)를 향하는 둥근 부분(7)을 포함하는, 포유병 젖꼭지.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위(3)는 돔 모양(dome-shaped)으로 되어 있는, 포유병 젖꼭지.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용 에지부(4)와 상기 전환 부위(3) 사이에 원주형의 협착부(constriction)(6)가 배치된, 포유병 젖꼭지.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벤틸레이션 밸브(ventilation valve)(18)를 더 포함하는 포유병 젖꼭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벤틸레이션 밸브(18)는 상기 전환 부위(3)의 바깥쪽 면으로부터 상기 전환 부위(3)의 안쪽 면까지 연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밸브 슬롯(18, 19)을 포함하는, 포유병 젖꼭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벤틸레이션 밸브(18)는 상기 전환 부위(3)의 함몰부(depression)(17) 내에 위치하는, 포유병 젖꼭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17)는 상기 돔 모양의 전환 부위(3)의 바깥쪽 에지부(outer edge)(15)에 위치하는, 포유병 젖꼭지.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벤틸레이션 밸브(17)는 상기 전환 부위(3)의 바깥쪽 에지부(15) 내의 상기 흡입 니플(2)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포유병 젖꼭지.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용 에지부(4)는 설치용 플랜지(21)를 포함하는, 포유병 젖꼭지.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용 플랜지(21)는 상부 에지 상의 원주형 보스(circumferential boss)(22)를 포함하는, 포유병 젖꼭지.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용 에지부(4)는 환형(annular)의 원형 모양을 갖는 것인, 포유병 젖꼭지.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연 고무나 실리콘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로 이루어진 포유병 젖꼭지.
KR1020107003728A 2007-08-21 2008-07-31 음용을 위한 흡입 장치 KR201000554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39355.7 2007-08-21
DE102007039355A DE102007039355B3 (de) 2007-08-21 2007-08-21 Trinksau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429A true KR20100055429A (ko) 2010-05-26

Family

ID=3877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728A KR20100055429A (ko) 2007-08-21 2008-07-31 음용을 위한 흡입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9289357B2 (ko)
EP (1) EP2182910B1 (ko)
JP (1) JP2010536444A (ko)
KR (1) KR20100055429A (ko)
CN (1) CN101790363B (ko)
AU (1) AU2008290927A1 (ko)
BR (1) BRPI0815228A2 (ko)
CA (1) CA2696969A1 (ko)
DE (2) DE202007013400U1 (ko)
ES (1) ES2386688T3 (ko)
HK (1) HK1141705A1 (ko)
MX (1) MX2010001672A (ko)
TW (1) TW200911221A (ko)
WO (1) WO2009024252A1 (ko)
ZA (1) ZA2010009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3436B2 (en) 2010-03-19 2013-11-05 Pura Stainless Llc Plastic-free device for fluid storage and delivery
GB2490735A (en) * 2011-05-13 2012-11-14 Mothercare Uk Ltd An infant feeding bottle with an offset teat arranged with respect to bottle grip portions
WO2013023703A1 (de) 2011-08-18 2013-02-21 Agai Gmbh Trinksauger für kleinkinder
WO2013090803A1 (en) * 2011-12-15 2013-06-20 Jrap, Inc. Lids for beverage containers
EP2614809B1 (de) 2012-01-15 2014-04-02 Dr. med. Bettina von Seefried GmbH Trinksauger für Kleinkinder oder Betagte
USD724233S1 (en) 2012-09-05 2015-03-10 Pura Stainless Llc Fluid container top
USD758789S1 (en) 2013-05-15 2016-06-14 Pura Stainless Llc Combined fluid container top and straw
USD750490S1 (en) 2014-03-06 2016-03-01 Pura Stainless Llc Fluid container spout
EP3042644B1 (de) 2015-01-09 2021-04-14 MAPA GmbH Trinksauger mit gelasertem Kapillarschlitz
GB2541883B (en) * 2015-08-28 2018-05-02 Jackel International Ltd Nipple and nipple assembly
USD820085S1 (en) 2017-05-19 2018-06-12 Pura Stainless Llc Fluid container spout with straw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5971C (ko) 1955-09-27
CH357149A (de) 1957-03-26 1961-09-30 Harle Guy Jean Louis Sauger an einer Säuglingsflasche
US2989961A (en) * 1959-01-02 1961-06-27 Blanchett Carl Tubular valve
FR1582948A (ko) * 1968-08-27 1969-10-10
US3674183A (en) * 1971-02-01 1972-07-04 Herny B Venable Dispensing device
JPS6028444Y2 (ja) * 1979-12-24 1985-08-28 ピジョン株式会社 哺乳器用乳首
CA1188724A (en) 1981-06-14 1985-06-11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Device for correcting an image on a picture tube having in-line electron guns and a coil assembly for the device
BE892238A (fr) * 1981-06-17 1982-06-16 Otk Keskusosuusliike Distributeur de liquides a auto-fermeture et son element de fermeture
IL65953A0 (en) * 1981-06-17 1982-09-30 Otk Keskusosuusliike Dispenser for fluids
CA1200785A (en) * 1982-11-08 1986-02-18 Walter G. Berghahn Dispenser with self-sealing applicator
DE8430000U1 (de) * 1984-10-09 1985-02-14 Behling, Bernd, 1000 Berlin Trinksauger
US5784999A (en) * 1994-01-25 1998-07-28 Merrick's, Inc. Animal feeding nipple
FR2732590B1 (fr) * 1995-04-10 1997-06-20 Busnel Marie Claire Tetine pour biberon, ainsi qu'un biberon equipe d'une telle tetine
US5601207A (en) * 1996-03-13 1997-02-11 Paczonay; Joseph R. Bite valve having a plurality of slits
US5797505A (en) * 1996-05-31 1998-08-25 Kaura; Kam Debris immune animal feeding nipple
US6161710A (en) * 1997-11-03 2000-12-19 Dieringer; Mary F. Natural nipple baby feeding apparatus
US6645228B2 (en) * 2001-11-13 2003-11-11 Playtex Products, Inc. Nipple
US6530504B2 (en) * 2001-03-02 2003-03-11 Seaquist Closures Foreign, Inc. Multiple orifice valve
US20020158075A1 (en) * 2001-03-26 2002-10-31 Caldicott Robert John One material, one piece spill-proof closure
PA8578901A1 (es) * 2002-08-05 2004-04-23 Nouri E Hakim "productos para beber sin derrames" "no-spill drinking products"
ATE390908T1 (de) 2005-01-13 2008-04-15 Lamprecht Ag Sauger für trinkgefässe, insbesondere säuglingsflaschen
EP1681045B1 (de) * 2005-01-13 2009-05-06 Lamprecht AG Sauger für Trinkgefässe, insbesondere Säuglingsflaschen
DE202005014621U1 (de) * 2005-09-12 2007-02-01 Mapa Gmbh Gummi- Und Plastikwerke Trinksau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90363B (zh) 2013-05-29
CA2696969A1 (en) 2009-02-26
EP2182910A1 (de) 2010-05-12
TW200911221A (en) 2009-03-16
WO2009024252A1 (de) 2009-02-26
US20110062105A1 (en) 2011-03-17
CN101790363A (zh) 2010-07-28
AU2008290927A1 (en) 2009-02-26
US9289357B2 (en) 2016-03-22
MX2010001672A (es) 2010-03-11
DE202007013400U1 (de) 2007-11-29
DE102007039355B3 (de) 2009-02-26
HK1141705A1 (en) 2010-11-19
ES2386688T3 (es) 2012-08-27
WO2009024252A8 (de) 2010-03-18
JP2010536444A (ja) 2010-12-02
EP2182910B1 (de) 2012-05-23
ZA201000924B (en) 2010-10-27
BRPI0815228A2 (pt) 201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5429A (ko) 음용을 위한 흡입 장치
JP5513493B2 (ja) 吸い込み乳首ユニット
US9168204B2 (en) Teat unit
CN1972660B (zh) 奶瓶
US11951075B2 (en) Bottle teat and cap for a drinking bottle
KR20080045286A (ko) 젖병 젖꼭지
US10123946B2 (en) Teat for feeding bottle
RU2733476C2 (ru) Раздел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бутылочки для кормления и бутылочка для кормления
US20180250199A1 (en) Nipple and Nipple Assembly
JP2020058849A (ja) 乳児用吸い飲み容器のための吸い口
US20190046413A1 (en) Teats for feeding bottles
EP1297814B1 (en) Thick feed baby teat
JP2014166267A (ja) 人工乳首及び人工乳首を有する哺乳器
CN105025865B (zh) 流动控制和训练杯阀组件
JP6157149B2 (ja) 人工乳首及び人工乳首を有する哺乳器
CN209596229U (zh) 一种奶嘴及使用该奶嘴的哺乳器
CN109363945A (zh) 一种具有回气阀的奶嘴及使用该奶嘴的哺乳器
CN109350540A (zh) 一种奶嘴及使用该奶嘴的哺乳器
CN203763518U (zh) 可调流量软硬结合硅胶奶嘴
SK501032017U1 (sk) Uzáver nápojovej fľaše
KR20070019529A (ko) 기능성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