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360A - 플로팅 도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로팅 도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360A
KR20140107360A KR1020147018266A KR20147018266A KR20140107360A KR 20140107360 A KR20140107360 A KR 20140107360A KR 1020147018266 A KR1020147018266 A KR 1020147018266A KR 20147018266 A KR20147018266 A KR 20147018266A KR 20140107360 A KR20140107360 A KR 20140107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onnector
post
brac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더스틴 아이멜
커티스 다운즈
댄 구드리
Original Assignee
이-즈 덕,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6088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10736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즈 덕,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이-즈 덕,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07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3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63B3/08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with detachably-connec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41/00Design characteristics
    • B63B2241/02Design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hapes
    • B63B2241/10Design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hapes by particular three dimensional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B63C1/06Arrangements of pumping or filling equipment for raising or lowering d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간략히 기재하면, 플로팅 도크 시스템은 커넥터 수용 소켓을 포함하는 도크 부재 및 도크 부재들을 함께 고정하거나 도크 부재에 부속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소켓에 수용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 및 포스트로부터 연장되는 브레이스를 포함한다. 포스트는 브레이스의 좌우 폭보다 큰 좌우 폭을 가진다. 포스트와 브레이스는 평평하며, 커넥터에 대하여 대체로 수평인 상부 표면을 정의한다. 포스트는 대체로 갈고리 형상인 한 쌍의 말단 영역 사이에 연결되는 대체로 볼록한 중간부를 포함한다. 도크 시스템은 또한 도크 부재의 바닥에 고정가능한 관형의 부상 부재 바디를 가지는 보조 부상 시스템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워터 포트는 물과 작용하여 바디의 내부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바디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에어 포트는 적어도 하나의 워터 포트 상부에 수직하는 위치에서 바디의 표면에 형성된다. 에어 포트는 에어 튜브를 통하여 펌프와 상호작용하도록 배치된다. 밸브는 (바디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하여) 펌프와 상호작용하는 바디 내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거나 (공기가 바디 내부를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하여) 대기와 상호작용하는 바디 내부에 배치되도록 챔버와 펌트 사이의 에어 튜브에 위치한다.

Description

플로팅 도크 시스템{FLOATING DOCK SYSTEM}
관련 상호 참조 출원(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
본 출원은 2011년 12월 14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61/570519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연방 관련 선언(STATEMENT REGARDING FEDERALLY)
후원 연구 또는 부서(SPONSORED RESEARCH OR DEVELOPMENT)
해당사항 없음
본 출원은 드라이브-온(drive-on) 선박용 리프트(watercraft lifts), 플로팅 도크 세그먼트 등과 같은 도크 부재를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 시스템, 플로팅 도크를 조립하기 위한 커넥터 및 선박용 리프트를 위한 보조적인 부상 부재에 관한 것이다.
플로팅 도크 시스템은 커넥터에 의하여 함께 조립되는 (직선 영역(rectilinear sections) 및 선박용 리프트와 같은) 선택된 도크 부재로부터 만들어진다. 직선 영역은 갑판 영역, 부두 등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선박용 리프트는 형성된 갑판 영역, 부두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수년 동안, 다양한 유형의 커넥터들이 개발되었으며 사용되었다. 커넥터 또는 커넥터의 일부는 도크 섹션 아래로부터 설치되도록 요구되기도 한다. 설치가 용이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박용 리프트는 SeaDoo® 및 WaveRunner®의 이름으로 판매되는 소형 개인용 선박(또는 PWCs), 또는 (예를 들어, 4500lbs의 무게를 가지는 선박인) 대형 선박을 수용할 수 있다. 대형 선박일수록 일반적으로 큰 엔진을 가지며, 이에 따라 선박의 후부가 무겁다. 일반적인 선박용 리프트를 이용할 경우, 선박의 무거운 후부가 충분히 무거울 수 있으며, 선박용 리프트의 자연 부력은 선박의 후부를 원하는 정도로 물 밖으로 올릴 수 없다.
간략히 기재하면, 플로팅 도크 시스템은 상부 표면, 비닥 표면, 앞벽, 후미벽 및 측벽을 포함하는 제1 도크 부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수용 소켓은 상기 벽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바디(body)의 벽으로부터 내부로 이격된(spaced inwardly) 소켓 메인 영역 및 상기 벽으로부터 상기 소켓 메인 영역으로 연장하는 소켓 입구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 메인 영역 및 상기 소켓 입구 영역은 상기 바디의 아래에서 모두 개방된다. 상기 소켓 메인 영역은 상기 입구 영역의 좌우 폭(side-to-side width)보다 큰 좌우 폭을 가진다.
커넥터는 도크 부재를 다른 도크 부재에 연결하거나 도크 부재에 부속물을 탑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로부터 연장되는 브레이스(brace)를 포함한다. 상기 포스트는 상기 브레이스의 좌우 폭보다 큰 좌우 폭을 가지고; 상기 포스트는 상기 커넥터 소켓 메인 영역에 수용되는 크기이다. 상기 커넥터 브레이스는 상기 커넥터 소켓 입구 영역을 통하여 연장되는 크기의 좌우 폭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가 상기 소켓 내에 수용될 때 상기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수용 소켓으로부터 수평으로 끌어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소켓 메인 영역의 상기 앞 표면을 맞물리게 한다.(engage).
커넥터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는 대체로 갈고리 형상인 한 쌍의 말단 영역 사이에 연결되는 대체로 볼록한(generally convex) 중간부를 포함한다. 갈고리 형상인 말단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의 중심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의 길이를 연장하는 수직 면에 대하여 대체로 대칭적이다.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체로 직사각형인 프리즘 형상을 가지며 포스트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커넥터는 대체로 평평한 상부 표면을 정의한다.
커넥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 및 브레이스의 바닥으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플랜지는 도크 부재의 바닥에서 커넥터 수용 소켓으로의 개구의 대응 크기보다 더 큰 (좌우 크기와 같은) 크기를 가진다. 그러므로, 플랜지는 커넥터가 도크 부재의 커넥터 수용 소켓에 배치될 때 도크 부재의 바닥을 맞물릴 것이다.
커넥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두 개의 포스트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포스트는 상기 브레이스의 반대 측에 위치한다. 커넥터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레이스는 상기 제1 포스트가 상기 소켓 메인 영역에 수용될 때, 상기 제1 도크 부재에 상기 제2 도크 부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포스트가 상기 제1 도크 부재의 상기 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진다.
커넥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브레이스 상에 말단 벽을 포함하며 상기 말단 벽은 상기 포스트에 대향되거나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상기 브레이스의 상기 말단 벽에 탑재되는 부속물(accessory)을 포함한다. 상기 부속물은 대체로 S 형상인 가이드 포스트이며, 상기 커넥터에 대하여 중심이 된다(pivotal).
도크 시스템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크 시스템은 제2 도크 부재를 포함한다. 제2 도크 부재는 상부 표면, 하부 표면, 앞벽, 후미벽 및 측벽들을 포함하며, 상기 벽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수용 소켓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수용 포켓은 제1 도크 부재의 커넥터 수용 소켓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1 및 제2 도크 부재의 커넥터 수용 소켓은 제1 및 제2 도크 부재의 벽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도크 부재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때 상기 제2 도크 부재의 상기 커넥터 수용 소켓은 상기 제1 도크 부재의 상기 커넥터 수용 소켓과 함께 정렬된다(aligned).
상기 제2 도크 부재는 상기 제1 도크 부재의 좌우 폭보다 작은 좌우 폭을 가질 수 있다.
도크 부재는 보조 부상 부재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부상 시스템은 도크 부재의 하부에서 고정되는 부상 부재를 포함한다. 하부 표면, 상부 표면, 측벽들, 후미 벽 및 앞벽을 포함하는 부상 부재 바디는 결합하여 챔버를 정의한다. 상기 부상 부재가 사용되고 있을 때 물과 작용하여 상기 챔버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디의 상기 하부 표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워터 포트(water port)를 포함한다. 그리고, 에어 포트는 상기 바디의 표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워터 포트 상에 이격되어 위치한다. 에어 튜브는 한 말단이 상기 에어 포트에 연결되며, 다른 말단이 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챔버를 공기로 채우도록 사용된다. 밸브는 상기 챔버 및 상기 펌프 사이에서 상기 에어 튜브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는 상기 펌프가 상기 챔버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상기 챔버와 작용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챔버가 대기와 작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챔버가 대기와 상호작용하는 경우, 도크 부재의 무게는 도크 부재가 물에서 낮아지도록할 수 있다. 도크 부재를 낮추는 것은 물이 워터포트를 통하여 부상 부재 바디로 들어오도록 할 것이며, 공기는 에어포트를 통하여 챔버 밖으로 나가도록 할 것이다.
부상 시스템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상 부재 바디는 바디의 후미 벽으로부터 후미 방향으로 연장하는 서로 떨어진 한 쌍의 램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램프 부재는 부상 부재가 탑재되는 도크 부재로 입구를 정의한다.
부상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상 부재 바디는 상기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벽에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소켓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소켓은 상기 바디의 벽으로부터 내부로 이격되는 소켓 메인 영역 및 상기 벽으로부터 상기 소켓 메인 영역으로 연장되는 소켓 입구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 메인 영역 및 상기 소켓 입구 영역은 상기 바디의 하부에서 모두 개방되고, 상기 소켓 메인 영역은 상기 소켓 입구 영역의 좌우 폭보다 더 큰 좌우 폭을 가진다. 상기 소켓 입구 영역은 측벽들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소켓 메인 영역은 뒷 벽, 대향 측벽들 및 앞 표면에 의하여 정의된다. 상기 소켓 입구 영역은 상기 소켓 메인 영역의 상기 앞 표면으로 개방된다. 부상 부재의 커넥터 소켓은 상기 바디 상부 표면에서 개방되어, 부상 부재의 커넥터 소켓은 부상 부재가 연결되는 도크 부재의 커넥터 수용 소켓과 함께 정렬될 수 있다.
부상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상 부재는 상기 커넥터 수용 소켓 아래의 하부 소켓을 포함한다. 하부 소켓은 측벽들 및 뒷벽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하부 소켓의 전체 폭에 대하여 상기 바디 벽으로 개방된다.
부상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상 부재는 상기 챔버의 하부 표면에 형성되는 채널들을 포함한다. 채널들은 적어도 하나의 워터 포트와 작용하는 하나의 단부를 포함한다.
부상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상 부재 바디는 바디의 상부 표면 상에 위치 부재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위치 부재들은 도크 부재의 하부 표면에 있는 하는 리세스(recesses)에 수용되도록 하는 크기이다.
도 1은 선박용 리프트 형태의 도크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 2는 연관 팽창 부재를 가진 선박용 리프트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크 부재의 커넥터 수용부를 나타내는 도 2의 원 A를 따르는 확대 하부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선 B-B를 따르는 커넥터 수용부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제1 풀(full) 커넥터의 투시 및 상부 평면도이다;
도 5A 및 5B는 제1 하프(half) 커넥터의 투시 및 상부 평면도이다;
도 6A는 도크 부재의 커넥터 소켓에 수용된 풀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 투시도이다;
도 6B는 도크 부재의 커넥터 소켓에 수용된 하프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 투시도이다;
도 6C는 풀 커넥터에 의하여 연결된 두 개의 도크 부재를 통하여 얻어진 확대 수평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풀 커넥터의 투시도이다;
도 8은 제2 하프 커넥터의 투시도이다;
도 9는 팽창 부재 및 가이드 포스트 형태의 보조 수단으로 맞추어진 선박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10은 팽창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 11은 하프 커넥터에 탑재된 가이드 포스트의 투시도이다;
도 12는 리프트에 연결되는 팽창 부재와 리프트 및 팽창 부재에 연결되는 가이드 포스트를 나타내는 도 9의 라인 A-A를 따라 형성된 단면도이다;
도 13은 팽창 부재와 보조 부상 부재로 맞추어진 선박용 리프트의 투시도이다.
도 14는 보조 부상 부재의 제1 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 15A 및 15B는 보조 부상 부재의 제2 실시예의 상부 및 하부 투시도이다.
도 16은 보조 부상 부재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 15A의 라인 B-B를 따라 형성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보조 부상 부재의 외곽을 나타내는 도 15A의 라인 C-C를 따라 형성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라인 D-D를 따라 형성된 부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라인 E-E를 따라 형성된 부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함께 고정되는 선박용 리프트 및 보조 부상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0A는 도 20의 라인 A-A를 따라 리프트 및 팽창 부재에 탑재된 부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0B는 도 20A의 라인 B-B를 따라 리프트 및 팽창 부재에 탑재된 부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대응하는 참조 번호는 도면을 통하여 사용될 것이다.
하기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것이며, 한정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 상세한 발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청구된 발명을 수행하는 최선의 모드를 포함하여, 청구된 발명의 몇 가지 실시예, 적용예, 변형예, 대체예 및 용도를 기술하고 있다. 또한, 청구된 발명은 본 출원에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또는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 따른 상세한 구조 또는 구성의 배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구된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사용되는 어법 및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의 용도가 아니다.
도 1-2는 드라이브-온 선박용 리프트의 형태에서 도크 부재 10를 도시한다. 드라이브-온 선박용 리프트 10는 도면에 개시되어 있으나, 아래에 기술되는 커넥터는 직선의 도크 영역과 같은, 다른 도크 시스템 구성요소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드라이브-온 선박용 리프트 10는 대체로 상부 표면 14, 앞벽 16, 측벽들 18, 및 바닥(bottom) 표면 20을 포함하는 상부 데크 영역 12을 포함한다. 앞 및 측벽은 리프트 10가 도크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수용 소켓 22을 포함한다. 커넥터 수용 소켓 22은 도크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크 부재들을 함께 고정시키는 커넥터들을 수용한다. 부가적인 커넥터 슬롯들 21도 제공될 수 있다. 커넥터 슬롯들 24은 참조에 의하여 여기에서 포함되는 US Pat. No. 5,281,055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로드에 의하여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영역을 포함하는 커넥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하여 설계된다. 드라이브-온 선박용 리프트 10는 함께 출원(및 동일 소유자의) 참조에 의하여 여기에서 포함되는 US Pat. App. No. 61/545,395에 기재된 리프트일 수 있다.
커넥터 소켓 22은 도 3A 및 3B에서 더욱 상세하게 도시된다. 여기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소켓 22은 도크 부재의 바닥 표면 20에서 개방된다. 커넥터 소켓 22은 대체로 T-형상이며, 입구 영역 26 및 메인 영역 28을 포함한다. 입구 영역 26은 메인 영역 28보다 (좌우로) 더 좁으며, 대향하여 비스듬한 측벽들 26a 및 상부 표면 26b에 의하여 정의된다. 메인 영역 28은 비스듬한 측벽들 28a, 상부 표면 28b, 경사진 후미벽 28c, 및 입구 영역 26의 반대 편에 위치하는 앞쪽 표면 28d에 의하여 정의된다. 도 3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영역 상부 표면 28b는 입구 영역 상부 표면 26b 상에서 수직이며, 그런 이유로 메인 영역 28의 상부 영역은 후미 벽 28c을 향한 앞쪽 표면 28e을 더 포함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입구 영역 26은 메인 영역 28보다 (좌우로) 더 좁다. 그런 이유로, 입구 영역 26은 메인 영역 28에 대한 입구를 정의한다. 또한, 입구 영역 상부 표면 26b은 대체로 U-형상의 컷아웃(cut out) 30을 포함하며, 홀 32은 도크 부재의 상부 표면 14으로부터 소켓 메인 영역 28의 상부 표면 28b까지 연장한다.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 32는 납작(contersunk)하다.
두 개의 도크 멤버 10는 풀 커넥터 300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제1 풀 커넥터 300는 도 4A-B에서 도시된다. 제1 풀 커넥터 300는 대체로 직사각형 프리즘 형상인 브레이스 304에 의하여 연결되는 대체로 점점 가늘어지는 핸들바 형상의 한 쌍의 포스트 302를 포함한다. 포스트 302는 소켓 메인 영역 68의 좌우 폭과 거의 동일한 좌우 폭 W1을 가진다; 그리고 브레이스는 소켓 입구 영역 26의 좌우 폭과 거의 동일한 좌우 폭 W2를 가진다. 이에 따라, 커넥터 포스트의 좌우 폭 W1은 브레이스 304의 좌우 폭 W2보다 크다. 각 포스트 302는 대체로 곡선이거나 갈고리 모양인 한 쌍의 말단 영역 305을 연결하는 대체로 볼록한 중간 영역 303을 포함한다. 포스트 말단 영역 305의 전체 형상은 등 지느러미와 거의 유사한 형상의 말단 영역을 가진다. 포스트 302 및 브레이스 305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이에 따라 커넥터 300는 대체로 평평한(generally flat) 상부 표면 308을 정의한다. 플랜지 306는 커넥터 300의 전체 기판 주위에서 연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300의 측 표면은 바깥 방향으로 경사지며, 이에 따라 커넥터 포스트 및 브레이스의 결합된 둘레는 커넥터의 상부보다 베이스에서 더 크다. 결국, 개구들(openings) 309은 포스트 305에 형성되며, 커넥터 소켓에서 수신될 때 커넥터 소켓 메인 영역 28에서 개구 32와 함께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종종 (두 개의 도크 부재를 함께 대향되도록 연결하는 것과 같이) 도크 부재에 부속품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프 커넥터 310는 이러한 목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하프 커넥터 310는 도 5A-B에서 도시된다. 하프 커넥터 310는 단일의 포스트 302' 및 풀 커넥터 300의 브레이스 304의 길이의 절반인 브레이스 304'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2 커넥터 310는 실질적으로 풀 커넥터 300의 형상 및 크기의 절반이다(즉, 풀 커넥터 300는 브레이스 304의 중심을 통하여 수직으로 자른다). 포스트 302'는 풀 커넥터 300의 포스트 302와 동일한 형상이다. 하프 커넥터 브레이스 304'는 포스트 302와 떨어져 대향하는 외부 벽 304a을 가진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 커넥터 310는 외부 표면 304a이 도크 시스템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300와 함께, 커넥터 310는 대체로 평평한 상부 표면을 정의한다. 플랜지 306'는 커넥터 310의 전체 기판 주위에서 연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310의 측 표면은 외부를 향하여 경사지며, 커넥터 포스트 및 브레이스의 결합된 둘레는 커넥터의 상부에서 보다 베이스에서 더욱 크다.
도 6A-C는 커넥터 소켓 22에서 수용된 커넥터 300 및 310를 도시한다. 각 커넥터에 대하여, 포스트 305, 305'는 소켓 메인 영역 28에서 수용되며, 포스트 304, 304'는 입구 영역 28을 통하여 연장된다. 도 6C에서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포스트 305의 앞쪽 가장자리는 소켓 메인 영역 28의 앞쪽 가장자리 28d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도 6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300를 통하여 도크 부재들이 연결되는 경우, 커넥터 포스트 305는 두 개의 도크 부재의 수평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켓 메인 영역 벽들 28e과 함께 억지끼워맞춤을 형성할 것이다.
풀 및 하프 커넥터 330 및 340를 대체하는 구조는 각각 도 7 및 8에서 도시된다. 아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풀 및 하프 커넥터 330 및 340는 커넥터 300 및 310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할 것이다.
제2 풀 커넥터 330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프리즘 형상의 브레이스 334에 의하여 연결되는 대체로 짧은(truncated) 직사각형인 프리즘 형상의 한쌍의 포스트 332를 포함한다. 포스트 332는 브레이스 334보다 더 길며, 이에 따라 포스트 332의 상부 표면은 브레이스 334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다. 포스트 332는 브레이스 304의 좌우 폭 W2보다 큰 좌우 폭 W1을 가진다. 플랜지 336는 풀 커넥터 330의 전체 베이스 주변에서 연장한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프 커넥터 340는 제2 풀 커넥터 330에 기반한다. 이러한 하프 커넥터 340는 단지 하나의 포스트 332' 및 반(half)의 브레이스 334'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하프 커넥터 340는 실질적으로 커넥터 330의 반의 형상 및 크기이다(즉, 풀 커넥터 330는 브레이스 334'의 중심을 통하여 수직으로 자른다). 하프 커넥터 310와 함께, 하프 커넥터 340의 브레이스 334는 커넥터 포스트 332'와 떨어져서 대향하는 외부의 대체로 수직인 벽 334a를 가진다. 풀 커넥터 330와 함께, 포스트 332'의 상부 표면은 브레이스 334'의 상부 표면 위에서 이격된다. 또한, 커넥터 340의 측 표면은 외부를 향하여 경사지며, 이에 따라 커넥터 포스트 및 브레이스의 결합된 둘레는 커넥터의 상부에서보다 베이스에서 더 크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크 부재 10는 참조에 의하여 여기에서 포함되는 US Pat. App. No. 61/545,395에 개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브-온 선박용 리프트이다. 선박용 리프트 10는 좁은 좌우 폭을 가진다. 이에 따라, 선박용 리프트에 수용되는 선박의 측면은 선박용 리프트 10의 가장자리로 바깥으로 연장될 수 있거나, 심지어는 선박용 리프트 10로부터 돌출될 수도 있다. 설계적 고려를 위하여, 선박용 리프트 10를 따라 전체 폭 도크 부재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또는 중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부재 100는 선박용 리프트 10에 연결될 수 있다. 팽창 부재 100의 프로파일은 대체로 리프트 10의 프로파일에 대응하나, 팽창 부재 100는 넓지 않다. 팽창 부재 100는 상부 데크 영역 110으로부터 후미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사진 선박 수용 영역 122을 포함한다. 상부 데크 영역 110은 상부 표면 124, 측벽 118, 및 앞쪽 벽 126을 포함한다. 후미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수용 영역 122은 상부 표면 128, 측 표면들 130 및 후미 가장자리 132를 포함한다. 수용 영역 122은 아래 방향 및 후미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이에 따라 그 측벽들 130은 수용 영역 122의 앞쪽(데크 영역 110의 뒤)에서보다 후미 가장자리 132에서 더욱 짧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측벽들 130은 상부 데크 영역 110의 측벽들 118의 연장이다. 좁은 그루브 127는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수용 영역 122의 상부 표면 128에서 형성된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부재 100의 그루브 127는 연결 시에 선박용 리프트 10에서 대응하는 그루브와 함께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그루브 127는 팽창 부재 100의 상부 표면 124으로부터 물을 제거한다.
팽창 부재 100의 측벽은 팽창 부재 100가 도크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도록 커넥터 수용 소켓 170을 포함한다. 부가적인 커넥터 슬롯 120 및 121은 부가 장치를 팽창 부재 100에 연결하거나 탑재하도록 제공된다. 커넥터 수용 소켓 170은 도크 부재 10의 커넥터 수용 소켓 22과 동일하다. 도크 부재 10 및 팽창 부재 100의 커넥터 수용 소켓은 도 6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부재가 서로 인접하는 경우 서로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켓 170은 선박용 리프트의 벽으로부터 내부로 이격되는 제1 영역 170a을 포함하며, 커넥터 포스트 302를 수용하는 모양 및 크기를 가진다. 예를 들면, 소켓 영역 170a은 대체로 짧은 직사각형 피라미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소켓 170에서 커넥터 포스트 302를 수용한다. 소켓 영역 170a은 선박용 리프트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상부 표면 170a-1까지 윗방향으로 연장한다. 소켓 연결 영역 170b은 선박용 리프트의 측벽으로부터 소켓 영역 170a까지 연장한다. 소켓 영역 170b은 선박용 리프트 10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윗 방향으로 연장하나, 소켓 영역 170a보다 더 짧다. 또한, 소켓 영역 170b은 소켓 영역 170a보다 (좌우로) 더 좁다. 그러므로, 소켓 영역 170b은 소켓 영역 170a로의 입구로 보일 수 있다.
도 2 및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유닛 100이 리프트 10에 인접하여 위치할 때, 팽창 유닛 100의 커넥터 소켓 170은 리프트 10에서 커넥터 소켓 22과 함께 정렬된다. 소켓 22 및 170은 대체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풀 커넥터 300가 두 개의 부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 대향하는 포스트 302는 커넥터 수용 소켓 22 및 170의 소켓 영역 28 및 170a에서 각각 수용될 것이며; 브레이스 304는 커넥터 수용 소켓 22 및 170의 소켓 영역 26 및 170b을 통하여 각각으로 연장할 것이다. 커넥터 포스트 302 및 소켓 영역 28 및 170a이 브레이스 302 및 소켓 입구 영역 26 및 170b보다 넓기 때문에, 커넥터 포스트 302는 리프트 10 및 팽창 부재 100가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리프트의 측벽 및 팽창 부재에 근접하는 소켓 메인 영역 28 및 170a의 벽을 맞물리게 할 것이다. 즉, 풀 커넥터 300는 두 개의 도크 부재를 함께 지지하기 위하여 두 개의 도크 부재의 커넥터 수용 소켓과 억지끼워맞춤을 형성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 커넥터의 포스트 302는 그들의 상부 표면에 홀 309을 포함한다. 이러한 홀은 커넥터가 소켓 내에 수용되는 경우 소켓 22 및 170의 상부 표면에 홀 32 및 172로 각각 정렬된다. 스크류, 볼트 등은 도크 부재에서 이러한 홀들을 통하여 커넥터 포스트 302로 이동할 수 있으며, 커넥터들을 제자리에 고정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풀 커넥터 300는 평평한 상부 표면을 형성하며, 커넥터들 330에서, 포스트 332의 상부는 브레이스 334의 상부 표면 위에 있다. 커넥터 330가 소켓 170 내에 위치하는 경우, 커넥터 330의 포스트 332는 커넥터 소켓 170의 상부 표면까지 연장할 것이다. 그러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300는 커넥터 330보다 더 짧으며, 소켓 입구 영역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종종 도크 시스템 부재에 부속품을 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속품은 소정 개수의 아이템, 예를 들어 포스트(posts), 벤치(benches), 사다리(ladder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속품들은 하프 커넥터를 이용하여 도크 부재에 탑재된다. 도 3 및 3A는 가이드 포스트 500의 형태로, 도크 시스템에 탑재된 부속품을 도시한다.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포스트 500는 하프 커넥터의 외벽에 탑재될 수 있다. 가이드 포스트 500가 커넥터 340에 탑재됨을 보여줌에도 불구하고, 가이드 포스트(뿐만 아니라 다른 부속품)는 하프 커넥터 310의 외벽 304a에 고정될 수 있다. 하프 커넥터는 팽창 부재 100의 소켓 170 또는 리프트 10의 소켓 22에 풀 커넥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용된다. 가이드 포스트 500는 대체로 S-형상이며, 횡단 영역 500c에 의하여 결합되는 상부 영역 500a 및 하부 영역 500b을 포함한다. 상부 영역 500a은 하프 커넥터로부터 대체로 수직하게 윗 방향으로 연장한다. 가이드 포스트는 예를 들어, 튜브를 이용하여 하프 커넥터 브레이스의 외벽에 탑재될 수 있으며, 가이드 포스트는 하프 커넥터와의 관계에서 회전하거나 및/또는 상승하는 것을 허락한다. 이는 도 9 및 12의 왼쪽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가 리프트로부터 떨어져 연장하는 것을 허락하거나 또는 도 9 및 12의 오른쪽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를 넘어서도록 연장하는 것을 허락한다. 가이드 포스트 500는 리프트 10로의 입구를 만드는 것에 의하여 선박을 리프트 10로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리프트 10로의 입구는 두 개의 포스트 간의 대략 중간 길일 것이다. 하프 커넥터에 대하여 중심이 되는 가이드 포스트의 능력은 가이드 포스트가 다른 크기의 선박에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에를 들면, 소형의 선박(예를 들어 PWC)이 리프트에서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 포스트들은 모두 (도 9 및 12의 오른쪽에서 있는 가이드 포스트와 같이) 내부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반면에, 대형의 선박이 리프트에서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 포스트들은 모두 (도 9 및 12의 왼쪽에 있는 가이드 포스트와 같이)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포스트 50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플라스틱 및 나무와 같은 다른 적절한 물질들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선박은 대체로 후미가 크다. 그러므로, 선박이 선박용 리프트 10에 도킹될 때, 리프트는 후미 방향으로 경사질 것이다. 그러므로, 리프트 10의 후미는 리프트의 앞보다 더 낮을 것이다. 실제로, 선박의 후미가 충분히 무거울 경우, 리프트 10의 후미 가장자리는 물에 잠길 수 있으며, 선박 엔진은 물 속에 존재할 수 있다. 리프트 10의 후미를 올리기 위하여, 리프트 10가 물 밖으로 선박의 후미를 끌어올릴 수 있도록, 보조적인 부상 부재 200가 도 1, 17 및 17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프트 10의 바닥 후미에 탑재될 수 있다. 리프트를 위한 일차적인 수단, 보조적인 부상 부재 200가 (직사각형 도크 영역과 같은) 다른 도크 부재에 탑재될 수 있음에도 불과하고, 이러한 도크 부재는 부가적인 부력을 필요로 한다.
도 14 내지 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적인 부상 부재 200는 하부 표면 201, 대체로 수직인 앞벽 202, 대체로 수직인 측벽들 204 및 서로 분리되는 한 쌍의 램프 부재들 206, 및 후미 방향으로 연장하는 후미 벽 208을 가진다. 램프 부재 206는 부상 부재 200의 후미에 U-형상의 외관을 제공한다. 하부 표면 201의 앞쪽 영역은 완만하게 경사지거나 윗 방향으로 곡선 형상을 이룬다. 부상 부재 200는 관형이며, 챔버 216를 정의한다. 대체로 수평인 상부 표면 210은 선박용 리프트 10의 하부 표면에서 대응하는 리세스(recesses) 314(도 2)와 함께 고정되는 형상 및 크기의 상승되는 영역 212을 정의한다. 상승되는 영역 212은 세 개의 독립적인 직사각형 프리즘 형상으로부터 형성되는 대체로 U-형상이다. 그러나, 당업자는 상승되는 영역 212이 리프트 10의 리세스 314 하부 표면 내에서 고정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상승 영역 212은 리프트 10에 대하여 부상 부재 200를 배치하기 위한 포지셔너를 정의할 수 있다.
각 램프 영역 206은 경사진 램프 표면 220, 대체로 수직인 외부 측벽 222, 바닥 224 및 내부를 향하여 각이 진 내부 측벽 226을 포함하는 대체로 삼각 프리즘 형상이다. 경사진 램프 표면 220의 상부 가장자리 228는 상부 표면 210에 대체로 평행하며, 하부 또는 후미 가장자리 230는 상부 가장자리 228의 대체로 아래에 있다. 경사진 램프 표면 220은 상부 표면 210으로부터 후미 방향 및 아래 방향으로 연장한다. (램프 영역 206 및 상부 표면 210 간의 연결을 정의하는) 상부 가장자리 228는 하부 가장자리 230보다 대체로 더 넓다. 부상 부재 200가 리프트 10에 대하여 위치할 때, 램프 영역은 도 13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리프트로 향하는 입구의 반대 측에서 리프트의 뒤로부터 후미 방향으로 연장한다. 그러므로, 램프 영역은 리프트로의 입구를 더 정의한다. 또한, 경사진 램프 표면 220 및 내부를 향하여 각이 진 내측벽 226의 구조는 선박이 수용 영역 22으로 들어오는 것을 가이드하며 정렬을 도울 수 있다.
부상 부재 200의 측벽 204은 부상 부재 200가 리프트 10에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 수용 소켓 270을 포함한다. 소켓 270은 팽창 부재 100의 소켓 170과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소켓 170과 달리, 소켓 270은 소켓의 상부 및 바닥 모두에서 개방된다. 소켓 270은 부상 부재의 측벽으로부터 더 넓은 제1 영역 270a까지 연장하는 입구 영역 270b을 포함한다. 도 15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은 소켓의 전체 높이를 따라 부상 부재의 벽 204으로 개방된다. 부상 부재는 또한 경사진 슬라이드 벽 및 후미 벽을 가지는 소켓 270 아래에 하부 슬롯 271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하부 슬롯 271은 벽 204에서 완전히 개방되며 슬롯에서 수용되기 위하여 커넥터의 바닥 플랜지를 허용하는 크기이다. 도 1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270은 하부 슬롯 271의 상부로부터 위를 향하여 연장되며, 슬롯 271의 상부 표면보다 더 좁은 하부 개구를 가진다.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 커넥터 또는 하프 커넥터는 부상 부재 200를 리프트 10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부상 부재가 리프트에 대하여 위치되는 경우, 부상 부재 소켓 270은 리프트 소켓 22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커넥터 포스트는 소켓 제1 영역에 수용되며; 커넥터 브레이스는 소켓 입구 영역으로 연장한다. 커넥터는 도 13 및 20 A-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의 소켓 22으로 소켓 270의 상부를 통하여 연장한다. 그러므로, 주목할만하게, 부상 부재 200의 소켓 270은 커넥터보다 짧다. 도 13 및 20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부상 부재가 리프트에 연결되어 있을 때, 하프 커넥터의 브레이스는 풀 커넥터의 브레이스의 길이의 절반이며, 하프 커넥터 브레이스는 리프트의 측벽과 같은 높이의 측벽을 가진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 커넥터의 브레이스는 커넥터 소켓으로 개구를 닫는다. 도 20A에서, 하프 커넥터는 도면의 왼쪽에서 도시된다. 그러나, 도면의 오른쪽에서, 팽창 부재가 리프트 10로도 연결되는 경우, 풀 커넥터가 사용된다.
부상 부재 200는 부상 부재의 외부에 부상 부재 200의 챔버를 위치시키는 하부 표면에 포트 23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230는 램프 영역 206 근처에서 부상 부재의 후미를 향하도록 위치한다. 부상 부재 200는 부상 부재의 내부와 작용하는 펌프 제어 유닛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부상 부재의 앞에 부상 부재에 연결되는 공기 튜브 242를 이용하여 펌프 240(도 16)에 연결된다. 챔버 216에 대한 공기 튜브의 입구는 포트 230의 레벨보다 위에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상 부재의 상부 표면 근처에 있다. 밸브 244는 공기 튜브 242를 가진 라인에 위치한다. 밸브는 퍼프가 부상 부재와 작용하는 제1 위치 및 부상 부재의 내부가 대기와 작용하는 제2 위치, 예를 들면 포트 246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러므로, 밸브는 3방 밸브이다. 제2 위치에서의 밸브를 이용하면, 리프트 10 상에서 선박의 무게로 인하여 물은 부상 부재에서 공기를 대체할 수 있다. 즉, 선박의 무게로 인하여 리프트에 적용된 아래 방향 힘은 물이 포트 230를 통하여 부상 부재로 들어가도록 할 것이다. 포트에 의하여 대체된 공기는 밸브 포트 246를 통하여 부상 부재를 빠져 나갈 것이다. 역으로, 밸브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펌프는 공기가 부상 부재 챔버로 들어가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부상 부재로 들어오는 공기는 포트 230를 통하여 물을 끌어 낼 것이다. 부상 부재는 하부 표면에서 채널들 248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1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표면의 후미 길이까지 앞을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세로의 채널들 248a 및 포트들 230과 상호작용하여 세로의 채널들을 배치시키는 가로의 대체로 U-형상인 채널 248b이 있다. 채널들 248은 챔버 내의 물이 포트들 230을 향하여 용이하게 흐르도록 하며, 이에 따라 챔버 내의 물을 비울 수 있다. 부상 부재를 공기로 채우는 것은 리프트에 설치된 선박의 후미 말단을 물 밖으로 충분히 끌어올리기 위하여 리프트의 부력을 증가시킬 것이다. 부상 부재는 선박의 후미로 물이 들어가도록 하기 위하여 밸브를 제2 위치로 돌리는 것에 의하여 부상 부재에서 공기를 비워낼 수 있다. 펌프 240는 솔라 패널, 12V 전원(즉, 배터리로부터)을 통하여, 또는 110V 전원으로부터(즉, 전기 a/c 콘센트로부터) 얻어진 전기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펌프? 또한 수동으로 조작될 수도 있다.
펌프 240는 부상 부재 200로부터 공기를 제거하거나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자동 제어부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프 제어 유닛은 부상 부재 200 내부가 미리 결정된 압력에 도달하였을 경우 또는 리프트 영역이 레벨에 도달한 경우 셧오프될 것이다. 예를 들면, 머큐리 스위치 등은 리프트 10가 레벨에 도달한 경우 회로를 개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상기 구조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수반되는 도면에 도시된 모든 구성들은 예시로 해석될 수 있으며, 한정의 의미로 사용될 수 없다.

Claims (22)

  1. 상부 표면, 바닥 표면, 앞벽, 후미벽 및 측벽들을 포함하는 제1 도크 부재; 상기 벽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수용 소켓; 그리고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수용 소켓은 바디(body)의 벽으로부터 내부로 이격된(spaced inwardly) 소켓 메인 영역 및 상기 벽으로부터 상기 소켓 메인 영역으로 연장하는 소켓 입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 메인 영역 및 상기 소켓 입구 영역은 상기 바디의 하부에서 모두 개방되며; 상기 소켓 메인 영역은 상기 입구 영역의 좌우 폭(side-to-side width)보다 큰 좌우 폭을 가지고; 상기 소켓 메인 영역은 뒷벽, 대향 측벽 및 앞 표면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소켓 입구 영역은 상기 소켓 메인 영역의 상기 앞 표면으로 개방되며;
    상기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로부터 연장되는 브레이스(brace)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는 상기 브레이스의 좌우 폭보다 큰 좌우 폭을 가지고; 상기 포스트는 상기 커넥터 소켓 메인 영역에 수용되는 크기이고; 상기 커넥터 브레이스는 상기 커넥터 소켓 입구 영역을 통하여 연장되는 크기의 좌우 폭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는 상기 소켓 내에 수용되며, 상기 커넥터 포스트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수용 소켓으로부터 수직으로 끌어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소켓 메인 영역의 상기 앞 표면을 맞물리게 하는(engage)
    플로팅 도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는 대체로 점점 가늘어지는 플로팅 도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는 대체로 갈고리 형상인 한 쌍의 말단 영역 사이에 연결되는 대체로 볼록한(generally convex)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갈고리 형상인 말단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의 중심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의 길이를 연장하는 수직 면에 대하여 대체로 대칭적인 플로팅 도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는 제1 포스트이고; 상기 커넥터는 제2 포스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포스트는 상기 브레이스에 대향되게 위치하며; 상기 브레이스는 상기 제1 포스트가 상기 소켓 메인 영역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1 도크 부재에 상기 제2 도크 부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포스트가 상기 제1 도크 부재의 상기 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는 플로팅 도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브레이스 상에 말단 벽을 포함하며; 상기 말단 벽은 상기 포스트에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브레이스의 상기 말단 벽에 탑재되는 부속물(accessory)을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물은 대체로 S 형상인 가이드 포스트이며, 상기 가이드 포스트는 상기 커넥터에 대하여 중심이 되는(pivotal) 플로팅 도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표면, 바닥 표면, 앞벽, 후미벽 및 측벽을 포함하는 제2 도크 부재; 및 상기 벽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수용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수용 소켓은 상기 바디의 벽으로부터 내부로 이격된(spaced inwardly) 소켓 제1 영역 및 상기 벽으로부터 상기 소켓 제1 영역으로 연장되는 소켓 입구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소켓 제1 영역 및 상기 소켓 입구 영역은 모두 상기 바디의 하부에서 개방되며; 상기 소켓 제1 영역은 상기 입구 영역의 좌우 폭보다 더 큰 좌우 폭을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도크 부재의 상기 커넥터 수용 소켓은 상기 제1 및 제2 도크 부재의 상기 벽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도크 부재가 서로 인접하여 위치할 때 상기 제2 도크 부재의 상기 커넥터 수용 소켓은 상기 제1 도크 부재의 상기 커넥터 수용 소켓과 함께 정렬되는(aligned) 플로팅 도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크 부재는 상기 제1 도크 부재의 좌우 폭보다 작은 좌우 폭을 가지는 플로팅 도크 시스템.
  9. 대체로 점점 가늘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로부터 연장되는 브레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는 대체로 갈고리 형상인 한 쌍의 말단 영역 사이에 연결되는 대체로 볼록한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갈고리 형상의 말단 영역은 상기 포스트의 중심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의 길이를 연장하는 수직 면에 대하여 대체로 대칭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는 상기 브레이스의 좌우 폭보다 (상기 갈고리 형상의 말단 영역의 반대 단부들로부터 측정된 바와 같이) 더 큰 좌우 폭을 가지는, 플로팅 도크 시스템의 부재를 연결하도록 적용되는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는 제1 포스트이며; 상기 커넥터는 대체로 점점 가늘어지는 제2 포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스트는 상기 제1 포스트에 대체로 유사한 형상이고; 상기 제1 및 제2 포스트는 상기 브레이스의 반대 단부에 위치하는 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프리즘 형상을 가지는 커넥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는 대체로 평평한(flat) 상부 표면을 정의하는 커넥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 및 상기 브레이스의 바닥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커넥터.
  14. 결합되어 챔버를 형성하는 하부 표면, 상부 표면, 측벽들, 후미 벽 및 앞벽을 포함하는 바디를 가지는 부상 부재(floatation member);
    상기 부상 부재가 사용되고 있을 때 물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챔버를 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디의 상기 하부 표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워터 포트(water port);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워터 포트 상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바디의 표면에 형성되는 에어 포트(air port)를 포함하는 드라이브-온 선박용 리프트를 위한 부상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에어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튜브는 한 말단이 상기 에어 포트에 연결되고, 다른 말단이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펌프는 상기 챔버를 공기로 채우는데 사용되는 부상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및 상기 펌프 사이에서 상기 에어 튜브의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펌프가 상기 챔버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상기 챔버와 작용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챔버가 대기와 작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부상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 부재 바디는 상기 바디의 후미 벽으로부터 후미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이격된 램프 부재를 포함하는 부상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벽에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소켓은 상기 바디의 벽으로부터 내부로 이격되는 소켓 메인 영역 및 상기 벽으로부터 상기 소켓 메인 영역으로 연장되는 소켓 입구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소켓 메인 영역 및 상기 소켓 입구 영역은 상기 바디의 하부에서 모두 개방되고; 상기 소켓 메인 영역은 상기 입구 영역의 좌우 폭보다 더 큰 좌우 폭을 가지고; 상기 소켓 입구 영역은 측벽들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소켓 메인 영역은 뒷 벽, 대향 측벽들 및 앞 표면에 의하여 정의되며; 상기 소켓 입구 영역은 상기 소켓 메인 영역의 상기 앞 표면으로 개방되는 부상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소켓은 상기 바디 상부 표면에서 개방되는 부상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수용 소켓 아래의 하부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소켓은 측벽들 및 뒷벽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하부 소켓은 상기 하부 소켓의 전체 폭에 대하여 상기 바디로 개방되는 부상 시스템.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 부재는 상기 챔버의 하부 표면에 형성되는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워터 포트와 작용하는 하나의 단부를 포함하는 부상 시스템.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상부 표면 상에 위치 부재를 포함하는 부상 시스템.
KR1020147018266A 2011-12-14 2012-02-03 플로팅 도크 시스템 KR201401073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70519P 2011-12-14 2011-12-14
US61/570,519 2011-12-14
PCT/US2012/023716 WO2013089812A1 (en) 2011-12-14 2012-02-03 Floating dock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360A true KR20140107360A (ko) 2014-09-04

Family

ID=4860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266A KR20140107360A (ko) 2011-12-14 2012-02-03 플로팅 도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079641B2 (ko)
EP (1) EP2791001A4 (ko)
JP (1) JP2015500178A (ko)
KR (1) KR20140107360A (ko)
CN (1) CN103998337A (ko)
AR (1) AR085351A1 (ko)
AU (1) AU2012352960A1 (ko)
BR (1) BR112014013359A2 (ko)
CA (1) CA2850923A1 (ko)
CL (1) CL2014001408A1 (ko)
DO (1) DOP2014000113A (ko)
MX (1) MX347746B (ko)
WO (1) WO20130898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2400B (zh) * 2015-11-13 2018-12-04 舟山长宏国际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引导船舶进坞装置
US11377180B2 (en) * 2020-04-13 2022-07-05 Gary A. Bridges Buoyancy tank with integrated cylindrical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8179A (en) * 1975-11-28 1977-04-19 National Hydro-Hoist Company Pontoon system for supporting watercraft on a body of water
US4474504A (en) 1983-04-20 1984-10-02 Columbia Building Materials, Inc. Underwater erosion control system having primary elements including truncated conical recesses for receiving articulated interconnect links
JPS60112909A (ja) * 1983-11-19 1985-06-19 Takeshi Hayashi 係船装置
JP2544612B2 (ja) * 1987-02-20 1996-10-16 大豊建設 株式会社 作業台船
US5140922A (en) * 1990-12-24 1992-08-25 James W. Bowman Lift for a watercraft
US5281055C1 (en) * 1992-07-17 2001-08-14 Marine Floats Inc Floating dock
US5941660A (en) 1997-03-03 1999-08-24 Rueckert; David Modular watercraft support structure
US5931113A (en) * 1997-09-12 1999-08-03 Ocean Innovations, Inc. Floating drive on dry dock assembly having a supporting beam
US6073572A (en) 1998-11-02 2000-06-13 Schafer Systems Inc. Floating dock
US6179525B1 (en) * 1999-05-11 2001-01-30 Schafer Systems Inc. Floating dock section
US6526902B1 (en) 2001-10-26 2003-03-04 Ocean Innovations, Inc. Drive-on dry dock
US6745714B1 (en) * 2001-10-29 2004-06-08 Jet Dock Systems, Inc. Control for variable buoyancy floating dock
WO2005076926A2 (en) * 2004-02-06 2005-08-25 E-Z Dock, Inc. Floating drive-on watercraft dock
US7225751B2 (en) * 2005-06-01 2007-06-05 David Rueckert Connecting link assembly and socket arrangement for assembly of floating drive-on dry docks
US7481175B2 (en) * 2006-01-20 2009-01-27 Joseph Dickman Floating dock
US8905670B1 (en) * 2009-09-30 2014-12-09 Apq Development, Llc Snap-fit joint for plastic frame elements and frames formed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91001A4 (en) 2016-04-20
JP2015500178A (ja) 2015-01-05
BR112014013359A2 (pt) 2017-06-13
EP2791001A1 (en) 2014-10-22
MX347746B (es) 2017-05-11
CA2850923A1 (en) 2013-06-20
WO2013089812A1 (en) 2013-06-20
CN103998337A (zh) 2014-08-20
MX2014006877A (es) 2014-08-21
DOP2014000113A (es) 2014-10-15
CL2014001408A1 (es) 2014-11-07
AU2012352960A1 (en) 2014-04-17
US9079641B2 (en) 2015-07-14
US20130152844A1 (en) 2013-06-20
AR085351A1 (es)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178B2 (en) Modular floating watercraft port assembly
US7225751B2 (en) Connecting link assembly and socket arrangement for assembly of floating drive-on dry docks
US8876435B2 (en) Floating dock, connection system, and accessories
US20140010593A1 (en) Pneumatic Boat Lift with Boat-Carrying and Boat-Guiding Air Tanks
EP1718523B1 (en) Multidirectional floating dock element
US7168380B2 (en) Boat lift systems
US6102616A (en) Wave break
ES2254879T3 (es) Aparato para amarre adecuado para barco cisterna que transporta gas licuado.
JP2010536634A5 (ko)
EP0158640A1 (en) Watercraft stabilizer flotation structure
JP2014532005A (ja) 調整可能な腹盤木を有する乗り入れ式船舶リフト
KR20140107360A (ko) 플로팅 도크 시스템
US5875727A (en) Lift for a personal watercraft
KR102076497B1 (ko) 소형 선박 침몰 방지 및 인양용 부유식 도크
US20140251196A1 (en) Compact self-monitoring self-stabilizing air displacement watercraft lift
KR101902130B1 (ko) 카타마란 구조선
KR20070104066A (ko) 소형 선박용 부선대
JPH0421005B2 (ko)
CA2770645A1 (en) Pneumatic boat lift with boat-carrying and boat-guiding air tanks
JP2636156B2 (ja) 3本フロート式浮船台
KR20160004321U (ko) 데크하우스의 교체가 용이한 다목적 폰툰보트
KR101549198B1 (ko)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KR101302206B1 (ko)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