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580A -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감시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감시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580A
KR20140105580A KR1020147019839A KR20147019839A KR20140105580A KR 20140105580 A KR20140105580 A KR 20140105580A KR 1020147019839 A KR1020147019839 A KR 1020147019839A KR 20147019839 A KR20147019839 A KR 20147019839A KR 20140105580 A KR20140105580 A KR 20140105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vehicle seat
seat
event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9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3440B1 (ko
Inventor
사샤 에크호프
토마스 캐스트너
Original Assignee
존슨 콘트롤즈 메탈즈 앤드 메카니즘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콘트롤즈 메탈즈 앤드 메카니즘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존슨 콘트롤즈 메탈즈 앤드 메카니즘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4010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4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4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the shape of the seat being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purpose or for particula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시트 레일(1)들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경사지는 스톱 면(5)을 갖고 한 쌍의 시트 레일(1)들 상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스톱 요소(4), 및 스톱 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정상 위치에 배열되는 접촉 면(8,18,28)을 갖고 차량 시트 상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스톱 보디(6)를 갖는,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감시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사고의 경우에 간단한 방식으로 자동차 시트의 후방 변위 운동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는 장치를 이용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차량 시트를 갖는 자동차와의 뒷-부분 충돌에서 발생하는 충돌 위치에서 스톱 요소(4)의 스톱 면(5) 및 스톱 보디(6)의 접촉 면(8)이 접촉하게 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스톱 요소(4) 및 스톱 보디(7)가 서로에 대해 장착 상태로 구현되고 배열되며 결과적으로 사고에 의해 유발되는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가 감소된다.

Description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감시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DEVICE FOR SELECTIVELY MONITORING AND REDUCING THE BACKWARD DISPLACEMENT OF A VEHICLE SEAT IN THE EVENT OF AN ACCIDENT}
본 발명은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제어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 한 쌍의 시트 레일들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경사지는 스톱 면을 갖는 한 쌍의 시트 레일들 상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스톱 요소, 및
- 스톱 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정상 위치에 배열되는 접촉 면을 갖는 차량 시트 상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스톱 보디를 가진다.
교통 사고들, 특히 자동차들의 뒷-부분(tail-end) 충돌 사고들의 경우에, 상승력(arising force)들로 인해 차량 시트가 후방 하향 운동, 즉 차량 내의 차량 시트의 설치 위치에 대해서 차량 및 차량 플로어의 후면의 방향으로의 운동을 수행할 위험이 있다. 결과적으로, 차량 내에 존재하는 승객에 대한 특별한 위험이 있다. 한편으로, 차량 시트가 시트 레일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완되거나 시트 레일 시스템이 변형됨으로써, 그에 의해 유발된 차량 시트의 비제어식 운동들이 차량 시트 상에 존재하는 승객 및 차량 내에 존재하는 다른 것들을 위태롭게 할 위험이 있다. 또한, 차량 시트 상에 위치된 승객이 변위됨으로써, 안전 시스템들, 예를 들어 에어백 및 시트벨트가 더 이상 그의 기능을 최적상태로 충족하지 못하게 된다.
한 쌍의 시트 레일들 상의 차량 시트의 안정화를 달성하고 충돌의 경우에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방지해야 하는 몇몇 장치들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모든 공지된 장치들은 각각의 경우에, 여러 이동가능한 구성요소들을 갖는 상이한 매우 복잡한 기구들을 기초로 하며, 이들 구성요소들의 운동 시퀀스는 통상적으로 차량 구조물 또는 시트를 지지하는 한 쌍의 시트 레일들에 있는 차량 시트의 잠금 또는 체결을 유도하는 기계 신호 또는 전자 신호에 의해 촉발된다.
이들 장치들의 본질적인 단점은 외부 신호들에 의한 이들 기구들의 촉발 필요성, 기구들의 복잡성 및 잠금 기구들의 이동가능한 구성요소들의 복잡성에 있는데, 이는 그의 운동이 한편으로, 기구의 우발적 촉발 후에 차량 시트의 잠금의 특정 시간 지연을 유도하며, 다른 한편으로 기구들의 복잡성 증가에 따라 고장률이 증가하고 그에 상응하여 신뢰성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능동형 이동가능한 구성요소들의 사용 없이도, 자동차 사고의 경우에 간단한 방식으로 자동차 시트의 후방 변위 운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기초로 한다.
이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장치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추가의 개량들이 종속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사고의 경우에 차량 시트의 후방 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 및 감소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한 쌍의 시트 레일들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경사지는 스톱 면을 갖는 한 쌍의 시트 레일들 상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스톱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스톱 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차량 시트의 정상 위치에 배열되는 접촉 면을 갖는 차량 시트 상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스톱 보디를 더 포함한다. 차량 시트를 갖는 자동차와 뒷-부분 충돌의 경우에 발생하는 충돌 위치에서 스톱 요소의 스톱 면 및 스톱 보디의 접촉 면이 접촉하게 되도록 상기 스톱 요소 및 스톱 보디가 서로에 대해 장착 상태로 설계되고 배열되며, 결과적으로 사고에 의해 유발되는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가 방지되거나 적어도 감소된다.
여기서, 충돌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차량 시트의 가능한 운동 경로에 대한 유리한 제한을 유발시키며, 그에 의해서 차량 사고의 경우에 시트의 붕괴가 방지된다. 또한, 그에 의해서 사고의 경우에 승객에 대한 부상 위험이 상당히 감소되는 위치에, 차량 시트 상에 존재하는 승객이 유지되게 보장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 인해서 장애 없이 그의 기능을 충족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안전 시스템들, 예를 들어 벨트 또는 에어백에 대한 위치에 승객이 유지되게 보장된다.
게다가, 스톱 요소의 스톱 면과 스톱 보디의 접촉 면 사이의 부가의 지지는 충돌의 경우에 발생하는 차량 시트로부터 차량 구조물로의 힘들의 전달에 대한 추가의 개선을 허용하며, 이는 시트 체결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에 대한 하중의 감소를 유도한다.
스톱 요소 및/또는 스톱 보디는 원칙적으로 임의의 재료로 구성되나, 바람직하게 이들은 한 쌍의 시트 레일들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시트 구조물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스톱 요소 및/또는 스톱 보디는 개별 구성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거나 복수의 구성 요소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스톱 요소 및/또는 스톱 보디를 형성하는 구성요소가 추가의 기능을 갖는, 예를 들어 지지 구조물 또는 차량 안전 장비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스톱 요소의 하나 이상의 측면은 사고의 경우에 발생하는 충돌 위치에서 스톱 보디의 하나 이상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스톱 면으로서 설계되며, 이는 접촉 면으로 지칭된다. 정규 작동에서, 스톱 요소의 스톱 면뿐만 아니라, 스톱 보디의 접촉 면은 서로 거리를 두고 접촉 없이 정상 위치에 배열된다. 단지, 사고에 의해 유발되는 차량 시트에의 힘의 인가는 정상 위치로부터 충돌 위치로의 전환을 유도한다.
여기서, 사고의 경우에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제어 및 감소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차량 시트의 적어도, 한 쌍의 시트 레일들에 부착된다. 차량 시트의 양측 시트 레일 쌍 모두에의 배열이 또한 가능하며, 이는 뒷-부분 충돌 사고의 경우에 차량 시트의 개선된 안정화를 초래하며 사고에 의해 유발된 차량 시트로부터 차량 구조물로의 개선된 힘 전달을 보장한다.
원칙적으로, 스톱 면 및/또는 접촉 면은 임의의 형상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톱 면 및/또는 접촉 면은 모두가 평탄하게 설계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접촉 면의 형상은 스톱 면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됨으로써, 자동차의 뒷-부분 충돌의 경우에 충돌 위치로의 차량 시트의 전환의 경우에 스톱 요소의 스톱 면 및 스톱 보디의 접촉 면이 가능한 최대 범위로 전면 접촉하게 된다. 스톱 면과 접촉 면 사이의 광범위하고 균일한 표면 접촉으로 인해, 사고에 의해 유발된 시트 레일들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한 두 개의 구성요소들의 특정한 시프팅의 경우에라도 사고에 의해 유발된 힘들의 균일한 전달이 차량 시트로부터 스톱 요소로 발생하며 시트의 후방 변위가 선택적으로 차단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부가로, 스톱의 표면 구조물은 원칙적으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추가의 개량에 따라서 스톱 면은 거친 표면 구조물을 갖는데, 이는 충돌의 경우에 서로에 대한 충돌 중에 두 개의 구성요소들의 정지 마찰을 유리한 방식으로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추가의 개량에 따라서 스톱 면은 한 쌍의 시트 레일들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15°내지 55°만큼, 바람직하게 25°내지 45°만큼, 특히 바람직하게 35°만큼 경사진다. 여기서 차량 내에 있는 차량 시트의 시트 레일들의 설치 위치에 대한 스톱 면의 경사는 운행 방향에 대한 감소를 진행시키며, 그에 의해서 사고의 경우에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에 의해 접촉 면으로부터 스톱 면으로 전달되는 힘들이 효율적이고 제어된 방식으로 수용되며 두 개의 면들이 서로로부터 미끄러져나가는 것을 신뢰성 있게 방지하는 것이 간단한 방식으로 보장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접촉 면 및 스톱 면은 서로에 작은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정상 위치에 배열되며, 그에 의해서 충돌의 경우에 전면 접촉이 가능한 신속하게 가능한 최대 범위로 보장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톱 보디가 차량 시트의 차량 시트 프레임의 구성요소와 일체로 형성, 바람직하게 차량 시트의 시트 링크를 비딩(beading)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에 의해, 유리한 방식으로 한편으로 스톱 보디가 차량 시트 프레임의 구성요소에 밀접하게 연결되며, 다른 한편으로 스톱 보디의 비용 효율적이고 간단한 제조 및 조립이 이에 의해 가능해지는 것을 보장한다. 게다가, 스톱 요소가 한 쌍의 시트 레일들에 폼-로킹(form-locking) 및/또는 접합 방식으로 연결되고/되거나 스톱 보디가 차량 시트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시트 링크 또는 시트 프레임에 폼-로킹 및/또는 접합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공지된 체결 수단, 예를 들어 스크류들, 볼트들, 리벳들, 또는 핀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스톱 요소가 추가의 유지 요소를 갖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유지 요소는 또한, 충돌의 경우에 시트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거나, 차량의 추가의 구성 요소를 지지할 수 있거나 시트, 예를 들어 안전 벨트 시스템, 팔 받침 또는 임의의 다른 리테이너를 각각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추가의 실시예에 따라서, 스톱 보디가 접촉 면의 영역에 구멍형 오목부를 가지며, 충돌 위치에서 스톱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핀이 접촉 면의 영역에 있는 스톱 보디의 구멍형 오목부와 결합하도록 설계되고 배열되는 스톱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핀을 스톱 요소가 가지며, 그에 의해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가 방지되거나 적어도 특히 효율적으로 감소되는 것이 제공된다. 구멍형 오목부 내의 핀의 결합은 한 쌍의 시트 레일들로부터 차량 시트의 강력한 변형 또는 심지어 찢김이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사고들에서 특히 유리한 접촉 면 및 스톱 면이 서로 미끄러져 버리는 충돌의 경우에 간단한 방식으로 극히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라서, 구멍형 오목부 내에 핀의 결합에 의해서 스톱 보디와 스톱 요소 사이의 기계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자동차의 뒷-부분 충돌의 경우에 한 쌍의 시트 레일들을 지나친 차량 시트의 측면 미끄럼이 추가로 방지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대체 실시예에서, 동일한 유리한 효과가 스톱 요소에 대한 스톱 보디의 각진 배열에 의해 또한 달성될 수 있다. 둘 모두의 실시예들의 경우에, 차량 시트의 측면 안정화가 한 쌍의 시트 레일들의 진행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달성됨으로써, 사고로 인한 차량 시트로부터 나머지 차량 구조물로 특별히 제어된 힘들의 전달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추가의 실시예에 따라서, 스톱 요소는 정상 위치로부터 충돌 위치로의 전환 후에 스톱 요소의 후속 변형을 일으키고 따라서 선택적인 에너지 관리로 인해 차량 시트에 작용하는 가속력들의 감소를 유도하는 바람직하게 오목부 형상의 변형 구역을 가지며, 그에 의해서 차량 시트의 승객에 대한 부상 위험이 상당히 감소된다.
상기 오목부는 바람직하게, 한 쌍의 시트 레일들의 조절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스톱 요소의 길이의 절반을 초과하는 길이에 걸쳐서 관통한다. 오목부는 아주 특히 바람직하게, 한 쌍의 시트 레일들의 조절 방향에 평행하게 스톱 요소의 거의 전체 길이를 관통한다. 한 쌍의 시트 레일들의 조절 방향에 직각인 오목부의 횡단 면적은 원칙적으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유리한 추가의 실시예에 따라서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설계된다.
이후에, 본 발명의 여러 전형적인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차량 시트에 속한 시트 링크 상의 스톱 보디 및 한 쌍의 시트 레일들 상의 스톱 요소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2는 장착된 스톱 보디 및 스톱 요소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스톱 보디 및 스톱 요소를 갖는 시트 링크의 제 3 실시예를 통한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며,
도 4는 오목부를 갖춘 스톱 보디 및 핀과 변형 구역을 갖춘 스톱 요소의 제 3 실시예를 통한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사고의 경우에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제어 및 감소시키기 위한, 도 1에 나타낸 장치의 실시예는 차량 시트의 상부 시트 레일(3)의 정상부(3a) 상에 배열되는 스톱 요소(4) 및 차량 시트의 시트 링크(6) 상에 형성되는 대응 스톱 보디(7)를 가진다.
여기서, 차량 시트는 차량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하부 시트 레일(2) 및 하부 시트 레일(2)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열되는, 차량 시트를 지지하는 상부 시트 레일(3)로 구성되는 한 쌍의 시트 레일(1)에 부착된다.
금속 스톱 요소(4)는 상부 시트 레일(3)의 정상부(3a)에 고정적으로 나사고정되며, 여기서 금속 스톱 요소는 차량 시트의 안전 벨트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체결하기 위한 추가의 유지 요소(4a)를 갖는 다-기능 보디로서 설계된다.
스톱 요소(4)는 부드러운 표면 구조물을 갖춘 평탄 스톱 면(5)을 가지며 상부 시트 레일(3)의 표면(3a)에 대해 35°의 각도로 배열된다. 스톱 보디(7)는 비딩(beading)으로서 차량 시트 프레임(9)의 시트 링크(6)로부터 일체로 설계되며 비딩의 바닥 측에 평탄 접촉 면(8)을 가진다.
스톱 보디(7)의 접촉 면(8)은 스톱 요소(4)의 스톱 면(5)에 대응하게 설계되며,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면(8)은 스톱 면(5)의 각도에 따라 경사지며, 유사하게 상부 시트 레일(3)에 대해 35°만큼 경사진다. 따라서, 접촉 면(8) 및 스톱 면(5)은 사고로 인한 차량 시트의 하방 및/또는 후방 변위의 경우에 전면(full face)과 접촉한다.
대조적으로, 조립된 작동 준비 상태에 있는 정상 위치의 접촉 면(8)과 스톱 면(5)은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교통 사고, 특히 뒷부분 충돌의 경우에, 차량 시트를 갖춘 시트 링크(6)는 차량 후면의 방향으로 그리고 동시에 차량 플로어의 방향으로 가속된다. 여기서, 접촉 면(8)은 스톱 면(5)과 접촉하게 되며, 이런 상태는 충돌 위치로서 정의된다. 여기서, 접촉 면(8)과 스톱 면(5) 사이에서 차량 시트로부터 차량 구조물로의 힘 전달이 발생하며, 사고에 의해 유발된 힘들로 인한 차량 시트의 최대 가능한 운동 경로는 단축되며, 따라서 차량 시트로의 운동 에너지의 전달이 감소된다.
스톱 보디(7)에 대한 접촉 면(8), 및 스톱 요소(4) 상의 스톱 면(5)의 각진 배열로 인해서, 충돌의 경우에 차량 내의 차량 시트의 설치 위치에 대한 최소의 하방 및 후방 운동에 본질적으로 제한되는 가능한 최대 범위로 제어되는 운동을 시트가 견뎌냄으로써, 차량 내에 존재하는 안전 장비, 예를 들어 안전 벨트 또는 에어백이 그의 기능을 충족할 수 있도록 위치된 상태를 차량 시트 상에 존재하는 승객이 유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스톱 요소(4)는 차량 내의 차량 시트의 설치 위치에 대한 차량 시트의 측면 운동을 방지하도록 설계되고 배열되며, 따라서 충돌의 경우에 제어된 힘 감소 및 목표한 차량 시트의 안내를 지원한다.
사고의 경우에 차량 시트의 후방 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의 추가의 실시예는 상부 시트 레일(13) 상에 용접되는 스톱 요소(14) 및 비딩으로서 시트 링크(16)에 형성되는, 접촉 면(18)을 갖는 스톱 보디(17)를 가진다.
도 2에 사시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 면(1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차량 시트에 설치된 자동차의 뒷-부분 충돌의 경우에, 스톱 요소(14) 상에 배열되는 거친 표면 구조물을 갖춘 스톱 면(15)과 접촉하게 되도록 설계되고 배열된다. 접촉 면(18)과 스톱 면(15) 사이의 접촉은 차량 내의 차량 시트의 설치 위치에 대한 차량 시트 프레임(19)의 후방 운동 및 하방 운동을 방지하거나 각각 감소시키며 차량 시트를 체결하기 위한 나머지 연결 수단 상의 하중 감소를 유도하는 시스템 내측으로 차량 시트와 시트 레일 사이에 추가의 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스톱 면(15)은 상부 시트 레일(13)에 거의 평행하게 설계됨으로써, 뒷-부분 충돌 사고의 경우에 본 실시예에서 차량 플로어의 방향으로 차량 시트의 하방 운동이 초기에 방지되며, 그 후에 스톱 면(15)과 접촉 면(18) 사이의 정지 마찰에 의해 차량 시트의 후방 운동이 방지된다.
게다가, 스톱 요소(14)는 적어도, 접촉 면(18)과 스톱 면(15)이 접촉하는 충돌 위치에서 시트 프레임(19)의 일부가, 스톱 면(15)이 위치되는 스톱 요소(14)의 상승 측과 스톱 요소(14)의 일부이고 그에 의해 양 측들에서 둘러싸이는 추가의 유지 요소(14a)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그에 의해서 차량 시트의 설치 위치에 대한 측면 운동이 방지된다.
추가의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스톱 보디(27)는 차량 시트의 시트 링크(26)의 비딩으로서 설계되며, 여기서 시트 링크(26)는 긴 구멍형 오목부(31)를 가진다. 적절한 스톱 보디(27)와 대응 스톱 요소(24)를 통한 두 개의 횡단면들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며, 여기서 도 4는 도 3의 뷰(view)에 대해 90°만큼 회전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뷰를 도시한다.
스톱 요소(24)는 스톱 면을 가지며, 스톱 면의 중심에 돌출 핀(34)을 가진다. 여기서, 스톱 면(25)은 그로부터 돌출하는 핀(34)으로부터 스톱 면(25)의 외측 에지들 쪽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뒷-부분 충돌의 경우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차량 시트는 정상 위치로부터 충돌 위치로 전환되며, 여기서 차량 시트에 연결된 시트 링크(26)는 차량의 후면 방향으로 이동하며 사고에 의해 유발된 힘들로 인해 차량 플로어는 차량 시트에 작용한다. 여기서, 스톱 요소(24)의 핀(34)은 시트 링크(26) 내의 구멍형 오목부(31)와 결합함으로써, 차량 후면 방향으로 또는 차량 시트의 설치 위치에 대한 측면 방향으로 차량 시트의 효과적인 운동이 구멍형 오목부(31)의 측면 에지(32,33)들 중의 하나와 핀(34)의 접촉으로 인해 방지된다.
구멍형 오목부(31) 내의 핀(34)의 결합 이외에 정상 위치로부터 충돌 위치로의 차량 시트의 전환 중에, 스톱 보디(27)에 있는 접촉 면(28)이 또한 스톱 요소(24)의 스톱 면(25)과 접촉하게 되며, 그에 의해서 차량 플로어의 방향으로 차량 시트의 운동이 또한 방지된다.
두 면(25,28)들의 접촉 및 구멍형 오목부(31) 내의 핀(34)의 결합으로 인해,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는 거의 완전하게 제거되며 스톱 보디(27)로부터 스톱 요소(24)로의 힘의 특히 효율적인 전달이 보장된다.
게다가, 스톱 요소(24)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스톱 요소(24)를 완전히 관통하는 오목부(35) 형태의 변형 요소를 가진다.
오목부(34)의 형상은 사고의 경우에 스톱 요소(24)의 변형이 제어되도록 설계되며, 그에 의해서 차량 시트에 작용하는 가속력들이 목표한 에너지 관리의 일부로서 감소되며, 그에 의해서 차량 시트 상의 차량 승객에 대한 부상 위험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1 : 한 쌍의 시트 레일들
2 : 하부 시트 레일
3 : 상부 시트 레일
3a : 정상부
4 : 스톱 요소
4a : 유지 요소
5 : 스톱 면
6 : 시트 링크
7 : 스톱 보디
8 : 접촉 면
9 : 차량 시트 프레임
12 : 하부 시트 레일
13 : 상부 시트 레일
14 : 스톱 요소
14a : 유지 요소
15 : 스톱 면
16 : 시트 링크
17 : 스톱 보디
18 : 접촉 면
19 : 차량 시트 프레임
24 : 스톱 요소
25 : 스톱 면
26 : 시트 링크
27 : 스톱 보디
28 : 접촉 면
31 : 오목부
32 : 에지들
33 : 에지들
34 : 핀
35 : 변형 구역

Claims (10)

  1. - 한 쌍의 시트 레일(1)들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경사지는 스톱 면(5,15,25)을 갖는 한 쌍의 시트 레일(1)들 상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스톱 요소(4,14,24), 및
    - 스톱 면(5,15,25)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정상 위치에 배열되는 접촉 면(8,18,28)을 갖는 차량 시트 상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스톱 보디(7,17,27)를 갖는,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제어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트를 갖는 자동차와의 뒷-부분 충돌의 경우에 발생하는 충돌 위치에서 스톱 요소(4,14,24)의 스톱 면(5,15,25) 및 스톱 보디(7,17,27)의 접촉 면(8,18,28)이 접촉하게 되도록 상기 스톱 요소(4,14,24) 및 스톱 보디(7,17,27)가 서로에 대해 장착 상태로 설계되고 배열되며 결과적으로 사고에 의해 유발되는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가 방지되거나 적어도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제어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보디(7,17,27)는 차량 시트의 차량 시트 프레임(9,19)의 구성요소와 일체로 설계, 바람직하게 차량 시트의 시트 링크(6,16,26)를 비딩함으로써 일체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제어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요소(4,14,24)는 추가의 유지 요소(4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제어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접촉 면(8,18,28)의 영역에 있는 스톱 보디(7,17,27)는 구멍형 오목부(31)를 가지며, 스톱 요소(4,14,24)는 충돌 위치에서 스톱 면(5,15,25)으로부터 돌출하는 핀(34)이 접촉 면(8,18,28)의 영역에 있는 스톱 보디(7,17,27)의 구멍형 오목부(31)와 결합하게 되도록 설계되고 배열되는 스톱 면(5,15,25)으로부터 돌출하는 핀(3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제어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요소(4,14,24)는 정상 위치로부터 충돌 위치로의 전환 중에 스톱 요소(4,14,24)의 목표한 변형을 일으키는 바람직하게 오목부 형태인 변형 구역(3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제어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31)는 한 쌍의 시트 레일(1)들의 조절 방향에 평행한 스톱 요소(4,14,24)의 길이 절반을 초과하여 관통하는,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시트 레일(1)들의 조절 방향에 평행한 스톱 요소(4,14,24)의 길이 전체를 관통하며,
    상기 한 쌍의 시트 레일(1)들의 조절 방향에 직각인 오목부(31)의 횡단 면적이 바람직하게 다이아몬드-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제어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면(5,15,25)은 평탄하게 형성되고/되거나 거친 표면 구조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제어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면(5,15,25)은 상기 한 쌍의 시트 레일들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15°내지 55°만큼, 바람직하게 25°내지 45°만큼, 특히 바람직하게 35°만큼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제어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면(8,18,28) 및 스톱 면(5,15,25)은 정상 위치에서 서로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제어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면(8,18,28)은 스톱 면(5,15,25)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제어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KR1020147019839A 2011-12-16 2012-11-29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감시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KR101623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56572.8 2011-12-16
DE102011056572 2011-12-16
DE102012104277.2 2012-05-16
DE102012104277.2A DE102012104277B4 (de) 2011-12-16 2012-05-16 Vorrichtung zur gezielten Kontrolle und Reduzierung der Rückverlagerung eines Fahrzeugsitzes bei einem Unfall
PCT/EP2012/073934 WO2013087415A1 (de) 2011-12-16 2012-11-29 Vorrichtung zur gezielten kontrolle und reduzierung der rückverlagerung eines fahrzeugsitzes bei einem unf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580A true KR20140105580A (ko) 2014-09-01
KR101623440B1 KR101623440B1 (ko) 2016-05-23

Family

ID=4852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839A KR101623440B1 (ko) 2011-12-16 2012-11-29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감시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79997B2 (ko)
EP (1) EP2790961B1 (ko)
JP (1) JP5873186B2 (ko)
KR (1) KR101623440B1 (ko)
CN (1) CN103998287B (ko)
DE (1) DE102012104277B4 (ko)
IN (1) IN2014KN01009A (ko)
WO (1) WO20130874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0124B4 (de) * 2016-01-08 2021-08-05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Fahrzeugsitz mit einem höheneinsteller
US11535138B2 (en) * 2016-02-08 2022-12-27 Adient Us Llc Device for influencing a backward movement of a seat and seat
DE102016217848B4 (de) * 2016-07-14 2021-08-12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Längseinsteller sowie Fahrzeugsitz
JP6410403B2 (ja) * 2016-11-09 2018-10-24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02019215985A1 (de) * 2019-10-17 2021-04-2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zeugkonsolensystem und Kraftfahrzeug
JP2023003137A (ja) 2021-06-23 2023-01-11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8376A (en) * 1968-09-20 1971-05-11 Toyota Motor Co Ltd Seat construction of a vehicle
CN2232370Y (zh) 1995-06-10 1996-08-07 冯明 汽车驾驶员安全座椅
JP3376887B2 (ja) * 1997-10-13 2003-0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4099683B2 (ja) * 1998-09-25 2008-06-1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9922626B4 (de) 1999-05-18 2005-11-17 Keiper Gmbh & Co.Kg Längsein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046203A1 (de) 2000-09-19 2002-06-06 Keiper Gmbh & Co Zusatzverriegelung für Fahrzeugsitz-Längseinstellvorrichtung
DE10210555B4 (de) * 2002-03-09 2005-12-22 Keiper Gmbh & Co.Kg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35086B4 (de) * 2002-07-31 2009-10-29 Johnson Controls Gmbh Sicherheitseinrichtung für Fahrzeugsitze
DE202004003359U1 (de) * 2004-03-04 2004-04-29 Keiper Gmbh & Co. Kg Zusatzverriegelung für einen längseinstellbaren Fahrzeugsitz
JP4899206B2 (ja) 2005-03-31 2012-03-21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の高さ調整装置
JP4177390B2 (ja) * 2006-05-22 2008-1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2007320385A (ja) * 2006-05-31 2007-12-13 Shiroki Corp シート
DE102006044757A1 (de) 2006-09-20 2008-04-03 Allsafe Jungfalk Gmbh & Co. Kg Vorrichtung zur Festlegung einer Sitzstruktur
DE202007009795U1 (de) * 2007-02-21 2008-06-26 Keiper Gmbh & Co.Kg Fahrzeugsitz, insbesondere Nutzfahrzeugsitz
DE102007039862B4 (de) 2007-08-23 2019-09-2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itzhöhenverstell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sowie ein Kraftfahrzeugsitz
FR2920358B1 (fr) 2007-08-28 2011-03-2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tructur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reglable en hauteur
JP5343372B2 (ja) * 2008-03-06 2013-11-1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02008025135A1 (de) 2008-05-26 2009-12-03 Sitech Sitztechnik Gmbh Sitzanordnung
JP5026478B2 (ja) 2009-07-30 2012-09-12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リフタ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104277A1 (de) 2013-06-20
IN2014KN01009A (ko) 2015-10-09
DE102012104277B4 (de) 2021-04-08
CN103998287A (zh) 2014-08-20
JP2015505772A (ja) 2015-02-26
KR101623440B1 (ko) 2016-05-23
EP2790961A1 (de) 2014-10-22
US9579997B2 (en) 2017-02-28
JP5873186B2 (ja) 2016-03-01
WO2013087415A1 (de) 2013-06-20
CN103998287B (zh) 2016-11-16
EP2790961B1 (de) 2018-09-19
US20140339863A1 (en)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440B1 (ko)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감시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US9718386B2 (en) Vehicle seat having a seatbelt anchor bracket
CN109476244B (zh) 纵向调节器和车辆座椅
EP3789238B1 (en) An energy absorbing mounting structure
CN112533789B (zh) 用于在碰撞事件中车辆座椅减速的车辆座椅的座椅导轨模块
EP2492158B1 (en) Seat belt assembly
US6497455B1 (en) Vehicle seat with occupant protection devices
CN106697065A (zh) 车身结构和具有其的车辆
CN109476242B (zh) 纵向调节器和车辆座椅
KR20200054956A (ko) 충돌 시 차량 좌석을 감속시키기 위한 차량 좌석용 좌석 레일 모듈
EP1070657B1 (en) Automotive vehicle body structure
GB2493077A (en) Adapter apparatus comprising energy absorption device for a vehicle seat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US6719369B1 (en) Child seat arrangement on a motor vehicle seat
US20020053820A1 (en) Device for guiding a seat of a vehicle
US20070228784A1 (en) Vehicle safety seat
JP2006504563A (ja) 分離ユニットの形態の乗員室を備えた自動車
US10703234B2 (en) Seat carrier for a vehicle seat
KR100502511B1 (ko) 버스용 운전석 시트의 충격 흡수 장치
KR102634408B1 (ko) 차량의 서브마린 방지 시트 벨트 및 그 작동 방법
CN213920758U (zh) 汽车座椅、缓冲支架、车辆
KR101315794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KR100412468B1 (ko) 목 부상 방지용 자동차 시트 고정구조
KR20200051906A (ko) 차량 충돌 사고가 발생시 자동차용 끼임 방지 시트 조립 구조
KR20050058096A (ko) 차량 시트 레일 보강 구조
JP2000103274A (ja) 自動車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