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506A -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 - Google Patents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506A
KR20140103506A KR1020130016956A KR20130016956A KR20140103506A KR 20140103506 A KR20140103506 A KR 20140103506A KR 1020130016956 A KR1020130016956 A KR 1020130016956A KR 20130016956 A KR20130016956 A KR 20130016956A KR 20140103506 A KR20140103506 A KR 20140103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rack
hinged
mold
concret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1786B1 (ko
Inventor
강남훈
Original Assignee
강남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훈 filed Critical 강남훈
Priority to KR20130016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786B1/ko
Publication of KR20140103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05Making of concrete parts of the track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2Moulds with adjustable parts specially for modifying at will the dimensions or form of the moulded art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00General structure of permanent way
    • E01B2/006Deep foundation of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8Deep or vertical found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철도 궤도의 레일 간견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진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그 힌지결합된 부위와 대향된 반대쪽 부위가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승강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승강플레이트의 경사각도를 조절해주는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결합되어 철도 궤도가 설치되는 현장의 계획 선형에 맞게 3차원 입체 형상의 콘크리트블록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을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철도 궤도가 설치되는 현장의 계획 선형에 의해 캔트가 정해지면, 궤광 조립대의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된 각도조절수단을 통해 고정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승강플레이트를 승강시켜 현장의 계획 선형에 따른 캔트와 동일한 기울기가 되도록 한 후 승강플레이트 상부의 고정부재에 고정된 거푸집을 이용하여 정확한 캔트가 적용된 3차원 입체 형상의 콘크리트블록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3차원 입체 형상의 콘크리트블록을 효과적이면서 정밀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Track skeleton assembly equipment for 3D precast slab track manufacturing}
본 발명은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철도 궤도의 곡선구간에서 요구되는 정확한 캔트가 적용된 3차원 입체형상의 콘크리트블록을 공장에서 정확하고 간단하게 사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궤도(軌道, Track)는 레일과 그 부속품, 침목 및 도상(선로 바닥)으로 구성되는데, 견고한 노반 위에 도상을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고, 그 위에 침목을 일정 간격으로 부설하며, 침목 위에 두 줄의 레일을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체결한 것으로서, 노반과 함께 열차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도상 윗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궤광(track skeleton)이라 함은 레일, 침목, 선로바닥의 조건이 구비된 상태에서 침목과 레일이 상호 체결된 사다리 모양인 것을 말하며, 이러한 궤광은 선로를 부설하거나 궤도를 갱신할 때에는 도상 위에 침목을 깔고, 그 침목 위에 레일을 체결하는 것이 종래의 일반적인 공사방법이었으나, 최근에는 공사의 편의와 공사 기간의 단축 등, 효율적 공사를 시행하기 위하여 공장에서 사전에 조립 되어진 궤광을 선로바닥에 부설하는 공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한편, 직결궤도(直結軌道, solid bed track)는 재래형 궤도구조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레일을 궤도지지체에 직접적으로 결합시킨 궤도로서, 무도상 궤도나 무침목 궤도를 포함한다.
그리고 궤도의 구성 중 도상은 자갈도상과 콘크리트도상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도상은 침목매입식 콘크리트도상, 직결식 콘크리트도상 및 플로팅 슬래브(Floating Slab)도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도상은 통상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도상을 형성하는 공정에 의하고 있는데, 궤도를 이루는 노선의 선형은 많은 종곡선과 평면곡선의 변화를 이루면서 복잡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직선과 평탄의 원칙으로 노선을 설계하는 것이 설계의 원칙이지만, 철도의 선형은 그 특성상 많은 곡선과 구배를 설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되는 것이 현실적인 과제이다.
그리고 직선 선로의 경우라면 양측 레일의 높이가 같게 되지만, 곡선 선로의 경우에는 열차의 주행에 의한 원심력과 열차의 무게로 인한 중력의 합이 궤간 중심에 오도록 하기 위하여 양 레일간의 높이차(Cant, 이하 캔트라 칭함)에 의한 기울기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차량의 곡선 주행 시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궤광의 설치 정밀도가 중요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캔트는 내측레일을 기준으로 외측레일을 높게 하여 중력과 원심력의 합력이 궤간 중앙부에 작용하도록 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열차가 곡선부를 통과할 때 차량에 발생하는 원심력이 곡선외측으로 작용하여 차량이 외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승차감이 나빠지고, 차량의 중량과 횡압이 외측레일에 부담을 주어 궤도 보수량을 증가시키고, 레일에 손상을 줌에 따라 이러한 악영향을 피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곡선로에서 연속적으로 곡률이 변하는 완화구간을 만약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시공을 하게 되면 그 정밀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직선로와 곡선로를 연결하는 완화곡선구간의 횡방향 및 종방향 구배를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곡선로와 직선로를 연결하는 완화곡선구간은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곡률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여기에 맞춰 배근 설치 및 콘크리트도상 성형을 정확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도상의 시공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 현장에서 콘크리트도상을 시공하는 방법의 경우, 현장까지 콘크리트가 운반되어야 하므로 콘크리트의 특성상 묽은 콘크리트, 즉 슬럼프가 높은 콘크리트가 적용되었다.
특히 대부분의 콘크리트도상은 터널 또는 지하구간에 설치되는데, 고가구간에서는 펌프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묽은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처럼 현장 타설시 묽은 콘크리트가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묽은 콘크리트의 단점인 콘크리트 블리딩에 의한 균열,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또한 캔트 설정시 묽은 콘크리트가 중력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도상 단면에 오차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도록 슬럼프가 낮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도상을 시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콘크리트도상을 현장타설방법이 아닌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여 도상을 형성하는 공장제작 슬래브도상이 제안된바 있으며, 이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21609호 및 제0657623호, 공개특허 제2009-0073530호 및 제2009-0072213호 등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현장에서 요구되는 선형, 구배, 캔트를 구비한 콘크리트블록을 공장에서 제조할 수 있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14442호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궤도 부설방법"에 대하여 특허등록을 받았으며, 이를 시공 현장에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14442호에 따른 시공 방법은 3차원 입체형상의 콘크리트블록을 공장에서 제조할 때 임시레일조립대와 같은 복잡한 구조물들은 현장에서 측량한 계획 선형에 맞게 일일이 가설해야하므로 가설에 따른 작업시간 및 경비의 소모가 많은 문제가 있었다.
특히 캔트가 서로 다른 계획 선형인 경우 그러한 다양한 캔트가 적용되는 임시 레일 조립대를 매번 가설 및 철거해야 함에 따라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3차원 입체 형상의 콘크리트블록을 신속하고 연속적으로 생산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철도 궤도의 곡선구간에 적용되는 3차원 입체 형상의 콘크리트블록을 제작함에 있어서, 곡선구간에서 필요로 하는 캔트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3차원 입체 형상의 콘크리트블록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와 관련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은,
철도 궤도의 레일 간격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진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그 힌지결합된 부위와 대향된 반대 부위가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플레이트와; 승강플레이트의 승강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승강플레이트의 경사각도를 조절해주는 각도조절수단과; 승강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 및 고정부재의 상면에 결합되어 철도 궤도가 설치되는 현장의 계획 선형에 맞게 3차원 입체 형상으로 콘크리트블록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을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고정플레이트는, 공장 지반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 상에 피봇 조립되어 좌,우회전되며, 상부 일측에 이송스크류가 구비된 회전부재; 및 회전부재 상에서 이송스크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며, 상면에는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힌지부가 구비된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고정플레이트와 승강플레이트의 힌지결합 부위는, 고정플레이트의 상면중 안쪽 또는 중앙 또는 바깥쪽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것과 관련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거푸집은, 승강플레이트의 상면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사방 테두리에 각각 수직 상방을 향하도록 힌지 조립되는 외측판을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거푸집의 바닥판 저면에는 한 쌍의 캐치부재가 형성되고, 고정부재의 상면에는 두부가 캐치부재에 파지되는 임시레일이 설치된 것과 관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거푸집은,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한 쌍의 내측판이 구비된 것과 관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거푸집은, 내부에 폭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다수개의 구획판이 구비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각도조절수단은, 승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의 힌지결합된 지점과 대향되는 고정플레이트의 어느 한쪽 상면에 저면이 힌지결합되는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며, 상단에는 승강플레이트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철도 궤도가 설치되는 현장의 계획 선형에 의해 캔트가 정해지면, 궤광 조립대의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된 각도조절수단을 통해 고정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승강플레이트를 승강시켜 현장의 계획 선형에 따른 캔트와 동일한 기울기가 되도록 한 후 승강플레이트 상부의 고정부재에 고정된 거푸집을 이용하여 정확한 캔트가 적용된 3차원 입체 형상의 콘크리트블록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3차원 입체 형상의 콘크리트블록을 정밀하면서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궤광 조립대의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궤광 조립대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궤광 조립대가 철도 궤도의 곡선 구간에 상응하게 선형 조절되는 과정을 예시한 요부 평면도이다.
도 4a, 4b, 4c 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궤광 조립대를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 5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일체형 3차원 입체 형상의 콘크리트블록이 제작될 수 있는 궤광 조립대를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 5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분리형 3차원 입체 형상의 콘크리트블록이 제작될 수 있는 궤광 조립대를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 6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궤광 조립대에 의해 만들어진 일체형 3차원 입체 형상의 콘크리트블록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궤광 조립대에 의해 만들어진 분리형 3차원 입체 형상의 콘크리트블록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궤광 조립대에 의해 만들어진 매립형 궤도의 일체형 3차원 입체 형상의 콘크리트블록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궤광 조립대에 의해 만들어진 매립형 궤도의 분리형 3차원 입체 형상의 콘크리트블록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3D PST 제조라 함은 철도 궤도를 이룰 수 있는 3차원 입체 형상의 콘크리트블록(이하 "3D 콘크리트블록" 이라 칭함)을 제조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3D PST 제조는 3D 콘크리트블록의 제조에 앞서 임시의 철도 궤도를 설치하여 현장의 계획 선형을 측정하게 된다.
즉, 철도 궤도가 형성되어야 하는 지형의 선형을 고려하여 계획 선형을 정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광파기 등을 이용하여 철도 궤도 및 레일이 형성되는 지점의 위치정보를 측정하고, 시공되어야 하는 레일의 설계조건에 따라 레일의 계획 선형을 정하게 되며, 일반철도, 고속철도, 지하철은 현장에서 측량한 계획 선형과 반대로 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현장의 계획 선형이 정해진 후에는 현장에서 측정한 계획 선형을 기준으로 하여 공장에서 3D 콘크리트블록을 제작하기 위해 궤광 조립대가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궤광 조립대는 크게 고정플레이트와, 승강플레이트와, 각도조절장치와, 고정부재와, 거푸집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도 1 과 도 2 와 도 3 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정플레이트(100)는,
철도 궤도의 레일 간격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진 장방형의 베이스부재(110)와, 회전부재(120)와, 이동부재(13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으로, 베이스부재(110)는 공장 지반에 고정 설치되며, 곡선의 철도 궤도에 상응하게 배치되고, 금속판 또는 프레임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면이 도시되지 않은 체결수단을 이용해 베이스부재(110)를 지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부재(110)의 사방으로 플랜지부(112)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피봇힌지부(111)가 구비된다.
그리고 회전부재(120)는 바닥면이 베이스부재(110)와 상응하는 길이와 폭으로 구성되고, 전술한 피봇힌지부(111)를 통해 베이스부재(110)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치하도록 힌지조립되어 베이스부재(110)의 피봇힌지부(111)를 중심으로 대략 20˚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이때 피봇힌지부(111)의 피봇지점은 베이스부재(110)의 중심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구성됨에 따라 회전부재(120)가 베이스부재(110)로부터 회전될 때 양단부가 서로 다른 회전 반경으로 회전되어 횡단 선형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회전부재(120)의 상부 일측에는 이송스크류(1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면에는 수평가이드부(122)가 구비되고, 회전부재(120)의 상부로 이동부재(130)가 연결되면서 이동부재(130)의 저면이 회전부재(120)의 이송스크류(121)에 나사 조립되어 이송스크류(121)의 회전에 의해 이동부재(130)가 이송스크류(121)의 축 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동부재(130)의 양측면에는 회전부재(120)의 수평가이드부(122)와 조립되는 가이드휠(132)이 더 구비된 것이며, 이동부재(130)의 상면에는 상부를 향해 일정한 길이로 돌출 형성된 힌지부(131)가 구비된 것인데, 이때 힌지부(131)는 이동부재(130)의 상면 중 중앙 또는 내측에 해당하는 안쪽 또는 외측에 해당하는 바깥쪽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승강플레이트(200)는,
고정플레이트(100)의 이동부재(130) 상부에 구비된 힌지부(131)와 승강플레이트의 저면이 힌지결합됨에 따라 이동부재(130)의 힌지부(131)를 힌지점으로 하여 승강플레이트(200)는 계획 선형에 따른 캔트에 맞게 힌지부(131)와 대향된 반대쪽 부위가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이동부재(130)의 힌지부(131)는 이동부재(130)의 상부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진 안쪽 또는 바깥쪽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중앙에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동부재(130)와 승강플레이트(200)가 힌지결합되는 힌지점이 도 4a 와 같이 이동부재(130)의 안쪽으로 설정되는 경우 안쪽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승강플레이트(200)의 바깥쪽이 이동부재(130)로부터 상하 승강될 수 있는 것이며, 이동부재(130)와 승강플레이트(200)가 힌지결합되는 힌지점이 도 4b 와 같이 이동부재(130)의 바깥쪽으로 설정되는 경우 바깥쪽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승강플레이트(200)의 안쪽이 이동부재(130)로부터 상하 승강될 수 있는 것이고, 이동부재(130)와 승강플레이트(200)가 힌지결합되는 힌지점이 도 4c와 같이 이동부재(130)의 중앙에 설정되는 경우 중앙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승강플레이트(200)의 양쪽이 상하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각도조절수단(300)은,
고정플레이트(100)의 이동부재(130)와 힌지결합된 승강플레이트(200)가 이동부재(130)로부터 상하 승강될 때 그 승강을 제어해주는 수단으로서, 그러한 각도조절수단(300)의 실시 예로는 이동부재(130)와 승강플레이트(200)를 연결하고 있는 힌지점과 대향되는 이동부재(130)의 반대쪽 표면에 실린더(310)의 저면이 힌지결합되고, 그러한 실린더(310)에 내외부를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되는 피스톤(320) 상단은 전술한 이동부재(130)의 반대쪽 표면과 대향되는 승강플레이트(200)의 한쪽 저면에 힌지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승강플레이트(200)를 회전시킬 경우 회로적으로 구성되는 제어부(도면중 미도시)를 통해 피스톤(320)을 정확히 승강시켜 승강플레이트(200)의 경사각도를 철도 궤도의 계획 선형의 따른 캔트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각도조절수단(300)은 전술한 실린더(310)와 피스톤(3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부재(130)에 설치되는 세트스크류와 승강플레이트(200)에 설치되어 세트스크류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형 너트의 구성을 통해 세트스크류의 정역회전에 따라 승강플레이트(200)가 상하로 승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부재(130)에 호형의 랙기어를 상향 설치하고, 승강플레이트(200)의 끝단에는 그러한 랙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기어를 설치하여 피니언기어의 구동에 의해 승강플레이트(200)가 랙기어를 따라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서로 대향된 이동부재(130)의 상면과 승강플레이트(200)의 저면에 전자석을 설치하여 전자석의 전류변화를 통해 승강플레이트(200)의 승강을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 밖에도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 변형 가능한 것이다.
고정부재(400)는,
승강플레이트(200)의 상면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치개수 및 설치간격은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승강플레이트(200)의 상면 중심에서 양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이격되며 상단이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는 한 쌍으로 구성된 것이다.
거푸집(500)은,
도 5a 와 같이 고정부재(400)의 상면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며, 3D 콘크리트블록(600a)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거푸집(500)은 저면이 고정부재(400)의 상면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3D 콘크리트블록(600a)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510)과, 그러한 바닥판(510) 사방 테두리에 각각 수직 상방으로 세워지는 형태로 힌지 조립되어 3D 콘크리트블록(600a)의 외측면을 구성하는 외측판(520)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거푸집(500)은 구성은 일체형 3D 콘크리트블록(600a)으로 제작되는 경우에 적용되며, 도 5b 와 같이 분리형 3D 콘크리트블록(600b)인 경우에는 거푸집(50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한 쌍의 내측판(530)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고정부재(400)의 상부에 거푸집(500)를 결합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거푸집(500)의 바닥판(510) 저면에는 한 쌍의 캐치부재(511)가 형성되고, 고정부재(400)의 상면에는 임시레일(410)을 설치하여, 임시레일(410)의 두부(411)가 거푸집(500) 바닥판(510) 저면에 형성된 캐치부재(511)에 의해 파지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계획 선형에 맞게 설치된 임시레일(410)을 통해 거푸집(500)에 의해 만들어지는 3D 콘크리트블록(600a)(600b)을 더욱 정밀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고정부재(400)와 거푸집(500)의 결합은 전술한 캐치부재(511)와 임시레일(410)의 구성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한 직접 결합방식이나 힌지를 이용한 결합방식을 통해 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이 밖에 다양한 체결방법으로 변형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를 통해 3D 콘크리트블록이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철도 궤도가 설치되어야 하는 현장의 계획 선형을 측정한 다음 그러한 계획 선행에 의해 캔트를 설정한 후 고정플레이트(100)에 설치된 각도조절수단(300)을 이용하여 고정플레이트(100)에 힌지결합된 승강플레이트(200)의 힌지점과 대향된 반대부위를 상측으로 승강시켜 승강플레이트(200)의 경사각을 계획 선형에 의해 측정된 캔트에 맞도록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플레이트(200)의 경사각이 정확하게 조절된 다음 승강플레이트(200)의 고정부재(400)에 설치된 거푸집(500)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과정을 거치게 되면 정확한 캔트가 적용된 3D 콘크리트블록이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궤광 조립대에 의해 만들어어질 수 있는 3D 콘크리트블록(600a)(600b)(600c)(600d)은 전술한 바와 같이 거푸집(500)의 구성에 따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작 가능하며, 일체형 3D 콘크리트블록(600a)과 다르게 거푸집(500)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판(530)을 설치하여 콘크리트가 외측판(520)과 내측판(530)의 사이에만 타설되도록 한 후 양생시키면 분리형태의 3D 콘크리트블록(600b)이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매립형 궤도인 경우에는 거푸집(500)의 바닥면에 매립홈(도면중 미표기)이 형성될 수 있도록 매립홈 성형부재(도면중 미도시)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후 양생시켜 3D 콘크리트블록(600c)(600d)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매립형 궤도 또한 내측판(530)을 사용하여 일체형 3D 콘크리트블록(600c)과 분리형 3D 콘크리트블록(600d)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3D 콘크리트블록(600a)(600b)(600c)(600d)을 구간별로 일정하게 나누어 성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거푸집(500) 내부에 폭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다수개의 구획판(540)을 설치하여 구간별로 일정하게 나누어지도록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도 6a 은 본 발명에 따른 궤광 조립대에 의해 제작된 일체형 3D 콘크리트블록(600a)을 예시한 것이고,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궤광 조립대의 거푸집(500)에 내측판(530)이 구비되어 제작된 분리형 3D 콘크리트블록(600b)을 예시한 것이며, 도 6c 는 본 발명에 따른 궤광 조립대의 거푸집(500)에 매립홈 성형부재가 구비되어 제작된 매립형 궤도의 일체형 3D 콘크리트블록(600c)을 예시한 것이며, 도 6d 는 본 발명에 따른 궤광 조립대의 거푸집(500)에 내측판(530)과 매립홈 성형부재가 함께 구비되어 제작된 매립형 궤도의 분리형 3D 콘크리트블록(600d)을 예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고정플레이트 110 : 베이스부재
111 : 피봇힌지부 112 : 플랜지부
120 : 회전부재 121 : 이송스크류
122 : 수평가이드부 130: 이동부재
131 : 힌지부 132 : 가이드휠
200 : 승강플레이트 300 : 각도조절수단
310 : 실린더 320 : 피스톤
400 : 고정부재 410 : 임시레일
411 : 두부 500 : 거푸집
510 : 바닥판 511 : 캐치부
520 : 외측판 530 : 내측판
540 : 구획판 600a,600b,600c,600d : 3D 콘크리트블록

Claims (8)

  1. 철도 궤도를 이룰 수 있는 3차원 입체 형상의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궤광 조립대에 있어서,
    상기 철도 궤도의 레일 간견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진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그 힌지결합된 부위와 대향된 반대쪽 부위가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플레이트;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승강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승강플레이트의 경사각도를 조절해주는 각도조절수단;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결합되어 철도 궤도가 설치되는 현장의 계획 선형에 맞게 3차원 입체 형상의 콘크리트블록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공장 지반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 피봇 조립되어 좌,우회전되며, 상부 일측에 이송스크류가 구비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 상에서 이송스크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며,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힌지부가 구비된 이동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승강플레이트의 힌지결합 부위는,
    고정플레이트의 상면중 안쪽 또는 중앙 또는 바깥쪽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승강플레이트의 상면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사방 테두리에 각각 수직 상방을 향하도록 힌지 조립되는 외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바닥판 저면에는 한 쌍의 캐치부재가 형성되고, 고정부재의 상면에는 두부가 상기 캐치부재에 파지되는 임시레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에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한 쌍의 내측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
  7.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있어서,
    상기 거푸집에는 내부에 폭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다수개의 구획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승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의 힌지결합된 지점과 대향되는 고정플레이트의 어느 한쪽 상면에 저면이 힌지결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내에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며, 상단은 승강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
















KR20130016956A 2013-02-18 2013-02-18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 KR101491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6956A KR101491786B1 (ko) 2013-02-18 2013-02-18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6956A KR101491786B1 (ko) 2013-02-18 2013-02-18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506A true KR20140103506A (ko) 2014-08-27
KR101491786B1 KR101491786B1 (ko) 2015-02-11

Family

ID=5174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6956A KR101491786B1 (ko) 2013-02-18 2013-02-18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7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499A (ko) * 2016-09-30 2018-04-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종별 분리가 가능한 콘트롤 포인트 기반 비정형 외장패널의 3d 프린팅 시스템 및 방법
KR101942191B1 (ko) * 2017-08-09 2019-01-29 씨제이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구조물 천단부 자동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멀티 금형 몰드
KR101949339B1 (ko) * 2018-12-11 2019-02-18 주식회사 씨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
IT201900015743A1 (it) * 2019-09-06 2021-03-06 Overail S R L Cassero per la realizzazione di piattaforme ferroviari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790B1 (ko) * 2017-05-23 2017-09-13 (주)대우건설 다양한 곡률 변경 및 횡구배 변화에 대응 가능한 가변형 거푸집 시스템
KR102472657B1 (ko) * 2021-12-24 2022-11-30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궤도용 가변형 몰드 및 이의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3979A1 (de) * 1999-12-31 2001-07-19 Otmar Fahrion Anlage zur Herstellung von Fahrwegelementen
KR100394743B1 (ko) * 2000-07-12 2003-08-19 (주)거화종합건축사사무소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
KR100429270B1 (ko) * 2001-07-05 2004-05-04 (주)청호종합기술단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시공용 이동식 동바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499A (ko) * 2016-09-30 2018-04-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종별 분리가 가능한 콘트롤 포인트 기반 비정형 외장패널의 3d 프린팅 시스템 및 방법
KR101942191B1 (ko) * 2017-08-09 2019-01-29 씨제이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구조물 천단부 자동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멀티 금형 몰드
KR101949339B1 (ko) * 2018-12-11 2019-02-18 주식회사 씨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
IT201900015743A1 (it) * 2019-09-06 2021-03-06 Overail S R L Cassero per la realizzazione di piattaforme ferroviarie
WO2021044390A1 (en) * 2019-09-06 2021-03-11 Overail S.R.L. Formwork for the construction of railway platforms
AU2020343519B2 (en) * 2019-09-06 2023-04-20 Overail S.R.L. Formwork for the construction of railway platfor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786B1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786B1 (ko)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
KR101557024B1 (ko)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레일매립형 콘크리트블록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레일매립형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매립형 철도궤도 부설방법
KR101434911B1 (ko) 매립형 궤도를 구성하는 레일의 선형설정을 위한 레일 조립대
KR101549082B1 (ko) 3d pst 제조장치
KR101114442B1 (ko)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궤도 부설방법
KR101158466B1 (ko) 교체가 용이한 3차원 입체형상의 궤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이 궤도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궤도 부설방법 및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궤도 부설방법
KR20120120680A (ko) 모노레일용 곡선 궤도빔의 몰드실 제조 장치
CN106626012B (zh) 整体移转式跨座式单轨pc轨道梁模板
KR101393490B1 (ko) 3차원 프리캐스트 슬래브궤도 제조용 단독지주형 궤도선형조정장치
CN102660925A (zh) 一种变幅宽曲线桥移动模架
KR101493313B1 (ko) 3d pst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거푸집 장치
CN201756667U (zh) 无砟轨道板调整器
CN106758577B (zh) 底模可移动的整体移转式跨座式单轨pc轨道梁模板
CN201756666U (zh) 无砟轨道板调整器
CN206812174U (zh) 整体移转式跨座式单轨pc轨道梁模板
KR102161144B1 (ko)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KR20130009391A (ko) 철도 궤도용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철도 궤도 부설방법
CN208179882U (zh) 一种跨座式单轨轨道梁的模板系统
EP1092065A1 (en) Railway system and its supporting structure, as well as their method of construction
CN206736636U (zh) 底模可移动的整体移转式跨座式单轨pc轨道梁模板
KR20100105174A (ko) 교량용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KR20170001392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철제 거푸집
KR101245527B1 (ko) 단위블록을 이용한 3차원 입체형상의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궤도 부설방법
KR101311327B1 (ko) 곡선빔의 현장 제조 방법
KR101115365B1 (ko) 프리케스트 슬래브 궤도 시공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