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144B1 -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 Google Patents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144B1
KR102161144B1 KR1020190126809A KR20190126809A KR102161144B1 KR 102161144 B1 KR102161144 B1 KR 102161144B1 KR 1020190126809 A KR1020190126809 A KR 1020190126809A KR 20190126809 A KR20190126809 A KR 20190126809A KR 102161144 B1 KR102161144 B1 KR 102161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upper structure
posture control
control unit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영
Original Assignee
황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영 filed Critical 황선영
Priority to KR1020190126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8Control of attitude, i.e. control of roll, pitch, or y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차대, 상기 차대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차축, 상기 차축의 양 측 말단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 및 상기 차대와 차축을 연결하며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차대와 차축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복수의 수평유지실린더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차대의 상부 전방에 구비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제1자세제어부; 및 상기 차대의 상부 후방에 구비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제2자세제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대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1자세제어부 및 차대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2자세제어부가 구비됨으로써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1자세제어부 및 제2자세제어부의 상부에 미세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자세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HEIGHT-ADJUSTABLE TRANSPORTER FOR BRIDGE CONSTRUCTION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차대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1자세제어부 및 차대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2자세제어부가 구비됨으로써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1자세제어부 및 제2자세제어부의 상부에 미세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자세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강이나 하천, 계곡, 도심구간 등을 가로질러 철도나 도로를 가설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특히 상기 교량은 교각 및 교대, 상판 등 대부분의 구조를 가설 장소에서 제작하여 시공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가설 장소의 교통 상황에 따라 시공상의 불편함이 야기될 수 있고, 교통 체증을 유발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각 및 교대 등의 하부구조는 가설장소에서 제작 시공하고 상판 등의 상부구조는 별도의 제작 장소에서 제작 후 가설 장소로 이동시켜 하부 구조와 합체시키는 교량 가설 공법이 종종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 제 10-0891961 호에는 가설구조물을 이용하여 도로 또는 철도의 노후된 교량이나 무도상 교량을 유도상화 하기 위한 교량 교체공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가설구조물을 이용하여 도로 또는 철도의 노후된 교량이나 무도상 교량을 유도상화 하기 위한 교량 교체공법 및 그 장치는 기존 교량 하부쪽을 가로질러 콘크리트 기초부를 설치한 후 그 위에 레일 선로를 설치하고, 상기 레일 한 쪽에 가설벤트를 설치한 후 가설벤트 위에 신설교량을 시공하고 크레인 등으로 기존 교량을 철거한 후 가설벤트를 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신설 교량을 기존 교량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레일을 따라 가설 벤트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작업 반경이 제한적이고 구조가 복잡하며 높낮이를 조절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0891961 호(2009.03.30.) 등록특허공보 제 10-1500302 호(2014.05.2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대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1자세제어부 및 차대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2자세제어부의 사이에 높이조절실린더부가 구비됨으로써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1자세제어부 및 제2자세제어부의 상부에 미세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자세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는, 차대, 상기 차대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차축, 상기 차축의 양 측 말단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 및 상기 차대와 차축을 연결하며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차대와 차축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복수의 수평유지실린더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차대의 상부 전방에 구비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제1자세제어부; 상기 차대의 상부 후방에 구비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제2자세제어부; 및 상기 제1자세제어부 및 제2자세제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미세조절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자세제어부 및 제2자세제어부에는, 상기 차대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수평받침부재;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되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상부수평받침부재; 하부 말단이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의 좌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1수직고정받침부재; 하부 말단이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의 우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2수직고정받침부재; 상기 한 쌍의 제1수직고정받침부재에 수직으로 내삽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부 말단이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수직이동받침부재; 상기 한 쌍의 제2수직고정받침부재에 수직으로 내삽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부 말단이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수직이동받침부재; 및 각각 상기 한 쌍의 제1수직고정받침부재의 사이 및 한 쌍의 제2수직고정받침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되, 일단은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조절실린더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자세제어부 및 제2자세제어부에는, 상기 한 쌍의 제1수직고정받침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1수평연결대; 및 상기 한 쌍의 제2수직고정받침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2수평연결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자세제어부 및 제2자세제어부는, 하부는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구조물의 기울어짐에 대응되면서 상기 상부구조물의 지지높이를 조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자세제어부 및 제2자세제어부에는, 상기 제1자세제어부 및 제2자세제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구 형상의 돌기부; 및 하부는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는 구 형상의 결합홈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구조물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평평한 형상의 받침대로 형성되는 헤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조절부에는,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지지부를 푸쉬함으로써 상기 상부구조물을 이동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조절실린더; 및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회전베어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조절부에는 상기 제1자세제어부 및 제2자세제어부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조절실린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조절실린더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패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베어링에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이 상기 바퀴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조절롤러; 및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이 상기 바퀴의 진행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조절롤러가 포함되며, 상기 제1조절롤러 및 제2조절롤러는 각각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교량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며 제1지지턱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지지탑, 교량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탑과 마주하며 상기 제1지지턱에 대응되는 제2지지턱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지지탑 및 상기 제1지지턱 및 제2지지턱에 구비되어 상부구조물의 자세를 조절시키는 자세조절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세조절부는, 상기 제2지지턱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턱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자세실린더; 상기 제1지지턱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제2지지턱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자세실린더; 및 상기 제1지지턱 및 제2지지턱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며 상기 제1자세실린더 및 제2자세실린더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자세조절대차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세조절부에는 상기 자세조절대차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자세조절대차에 지지되는 상부구조물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형패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은, 교량의 하부에 트랜스포터가 이동되기 위한 이동로를 조성하는 이동로조성단계; 신설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고려하여 지지력 강화를 위한 교대와 교각의 기초부를 보강하는 보강작업단계; 지내력을 확보하고 지반 평탄을 위하기 위해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기초 콘크리트 양생 후 신설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가설벤트를 제작하는 가설벤트제작단계; 교량의 기존 상부구조물을 교체하기 위한 신설 상부구조물을 제작하는 상부구조물제작단계; 교량의 기존 상부구조물을 철거하는 상부구조물철거단계; 및 트랜스포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작단계에서 제작한 신설 상부구조물을 이동시켜 설치하는 상부구조물설치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에 의하면, 차대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1자세제어부 및 차대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2자세제어부가 구비됨으로써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1자세제어부 및 제2자세제어부의 상부에 미세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자세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의 돌기부 및 헤드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의 미세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의 미세조절부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의 제1지지탑, 제2지지탑 및 자세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높이 가변형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차대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1자세제어부 및 차대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2자세제어부가 구비됨으로써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1자세제어부 및 제2자세제어부의 상부에 미세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자세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b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는 본체부(100), 제1자세제어부(200a), 제2자세제어부(200b) 및 미세조절부(5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는 교량 시공시 신설된 상부구조물(10)을 리프팅하여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자세를 교정하면서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원하는 자세로 정위치 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는 일반적으로 시공하고자 하는 상부구조물(10)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을 각각 리프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는 복수로 구비되어 교량 시공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차대(110), 상기 차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차축(120), 상기 차축(120)의 양 측 말단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130) 및 상기 차대(110)와 차축(120)을 연결하며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차대(110)와 차축(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복수의 수평유지실린더(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차대(110)는 대략적인 형상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차대(110)의 직사각 형상은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의 형상이 대체적으로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기 차대(110)의 직사각 형상은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을 리프팅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실시 환경에 따라서 다른 다각 형상 또는 원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차축(120)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차대(11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지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바퀴(130)와 함께 상기 차대(11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차축(120)의 양 측 말단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13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형태의 공기주입식 바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평유지실린더(140)는 유압을 이용하여 간격을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유지실린더(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대(110)와 차축(120)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차대(110)의 균형을 유지하여 상기 차대(110)가 수평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지면으로부터 상기 차대(11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자세제어부(200a)는 상기 차대(110)의 상부 전방에 구비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고, 상기 제2자세제어부(200b)는 상기 차대(110)의 상부 후방에 구비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며, 상기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는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지지높이를 조절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는 유압을 이용하여 간격을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는, 하부는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210)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부는 상기 상부구조물(10)의 기울어짐에 대응되면서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지지높이를 조절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에는, 하부수평받침부재(210), 상부수평받침부재(220),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 제1수직이동받침부재(250), 제2수직이동받침부재(260) 및 수평조절실린더(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210)는 상기 차대(110)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 제1수직이동받침부재(250), 제2수직이동받침부재(260) 및 수평조절실린더(270)를 하부에서 받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220)는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지지하되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210)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210)와 동일한 형상의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 제1수직이동받침부재(250), 제2수직이동받침부재(260) 및 수평조절실린더(27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의 바로 아래 구비되어 직접 접촉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는 하부 말단이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210)의 좌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후술되는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와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후술되는 제1수직이동받침부재(250)가 상기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의 내에 내삽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는 하부 말단이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210)의 우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와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후술되는 제2수직이동받침부재(260)가 상기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의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수직이동받침부재(250)는 상기 한 쌍의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에 각각 수직으로 내삽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부 말단이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2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22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수직이동받침부재(260)는 상기 한 쌍의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에 각각 수직으로 내삽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부 말단이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2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22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수직이동받침부재(250) 및 제2수직이동받침부재(260)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 및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수직이동받침부재(250) 및 제2수직이동받침부재(260)의 크기는 상기 제1수직이동받침부재(250) 및 제2수직이동받침부재(260)가 상기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 및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에는, 상기 제1수직이동받침부재(250) 및 제2수직이동받침부재(260)가 상기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 및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의 내부에 내삽된 상태에서 인입 및 인출되면서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220)의 수직 높이를 설정한 뒤에 상기 설정된 높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수직이동받침부재(250) 및 제2수직이동받침부재(260)가 상기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 및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에 삽입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310)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핀(310)은 상기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와 제1수직이동받침부재(250) 및 상기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와 제2수직이동받침부재(260)를 각각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수직이동받침부재(250)와 제2수직이동받침부재(260)가 각각 상기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와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수평조절실린더(270)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의 사이 및 한 쌍의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의 사이에 구비되되, 일단은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210)의 상부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2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유압 및 공압 등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220)의 수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10) 수평을 조절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는,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210)와 상부수평받침부재(2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 제1수직이동받침부재(250) 및 제2수직이동받침부재(260)가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210)와 상부수평받침부재(22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하고,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210)와 상부수평받침부재(2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수평조절실린더(270)가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220)의 수평을 조절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의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하여 자세를 교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수평조절실린더(270)의 일단에는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210)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1힌지부(27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수평조절실린더(270)의 타단에는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220)의 하부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2힌지부(27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힌지부(271) 및 제2힌지부(272)는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210)와 상부수평받침부재(220)의 수평이 맞지 않더라도 상기 한 쌍의 수평조절실린더(270)가 이에 대응되면서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22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에는 상기 한 쌍의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1수평연결대(280) 및 상기 한 쌍의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2수평연결대(29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연결대(280) 및 제2수평연결대(290)는 상기 한 쌍의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를 서로 연결하여 서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와 한 쌍의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미세조절부(500)는 상기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미세조절부(500)는 상기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10)과 접촉되어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자세를 미세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복수의 미세조절부(500)는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자세를 미세하게 조절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정밀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의 돌기부 및 헤드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4a 내지 도 4c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에는 상기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의 상부에 형성되는 구 형상의 돌기부(410) 및 하부는 상기 돌기부(410)에 대응되는 구 형상의 결합홈(421)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구조물(10)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평평한 형상의 받침대(422)로 형성되는 헤드부재(42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는 상기 돌기부(410)가 상기 헤드부재(420)의 결합홈(421)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재(420)가 상기 돌기부(4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가 상기 상부구조물(10)의 기울어짐에 대응되면서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지지높이를 조절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헤드부재(420)는 상기 돌기부(410)가 상기 결합홈(4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홈(421)의 형상이 상기 돌기부(410)의 절반 이상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결합홈(421)의 형상은 상기 헤드부재(420)가 상기 돌기부(4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구조물(10)의 기울어짐에 따라 회전될 수 있는 구조라면 실시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의 미세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의 미세조절부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5a 내지 도 6d에 따르면, 본 발명의 미세조절부(500)에는,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지지부(11)를 푸쉬함으로써 상기 상부구조물(10)을 이동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조절실린더(510) 및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의 하중을 지지하는 회전베어링(52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세조절부(500)에는 상기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조절실린더(51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조절실린더(51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패드(53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실린더(510)는 상기 회전패드(530)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자세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상부구조물(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지지부(11)를 밀어주고 상기 회전베어링(520)은 상기 조절실린더(510)에 의해 밀리는 상부구조물(1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베어링(520)에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구조물(10)이 상기 바퀴(130)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조절롤러(521) 및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구조물(10)이 상기 바퀴(130)의 진행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조절롤러(522)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1조절롤러(521) 및 제2조절롤러(522)는 각각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10)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조절롤러(521) 및 제2조절롤러(522) 중 상기 조절실린더(510)에 의해 이동되는 상부구조물(10)의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조절롤러만 상기 상부구조물(10)과 접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의 제1지지탑, 제2지지탑 및 자세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7a 내지 도 7c에 따르면, 본 발명의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에는, 교량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며 제1지지턱(710)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지지탑(700), 교량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탑(700)과 마주하며 상기 제1지지턱(710)에 대응되는 제2지지턱(810)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지지탑(800) 및 상기 제1지지턱(710) 및 제2지지턱(810)에 구비되어 상부구조물(10)의 자세를 조절시키는 자세조절부(90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에는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10)의 자세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센서(610) 및 상기 검출센서(610)에서 검출되는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10)의 자세 정보에 따라 상기 자세조절부(900)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6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검출센서(610)를 통해 검출되는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10)의 자세 정보에 따라 상기 자세조절부(900)를 제어하여 상부구조물(10)의 자세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구조물(10)이 교량에 진입하기 전에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자세를 미리 조절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는, 상기 본체부(100)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교량으로 운반하기 전에,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탑(700) 및 한 쌍의 제2지지탑(800)에서 상기 자세조절부(900)에 의해 자세가 미리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구조물(10)을 교량으로 운반하면서 충돌에 의해 상기 상부구조물(10)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세조절부(900)에는, 상기 제2지지턱(81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턱(7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자세실린더(910), 상기 제1지지턱(71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제2지지턱(8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자세실린더(920) 및 상기 제1지지턱(710) 및 제2지지턱(810)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구조물(10)을 지지하며 상기 제1자세실린더(910) 및 제2자세실린더(92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자세조절대차(93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제1자세실린더(910) 및 한 쌍의 제2자세실린더(920)는 상기 자세조절대차(9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상기 자세조절대차(930)에 지지된 상부구조물(1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자세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자세조절대차(930)는 상기 한 쌍의 제1자세실린더(910) 및 한 쌍의 제2자세실린더(92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어도 상기 제1지지턱(710) 및 제2지지턱(8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세조절부(900)에는 상기 자세조절대차(9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자세조절대차(930)에 지지되는 상부구조물(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형패드(940)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형패드(940)는 상기 자세조절대차(930)와 상부구조물(1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자세조절대차(930)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상부구조물(1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형패드(940)는 상기 자세조절대차(930)에 접촉되는 하부접촉부(941), 상기 하부접촉부(941)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구조물(10)과 접촉되는 상부접촉부(942) 및 상기 상부접촉부(942)가 상기 하부접촉부(941)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943)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형패드(940)의 형상 및 구조는 다양한 실시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자세조절대차(930)에 지지된 상부구조물(10)이 회전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높이 가변형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8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은, 이동로조성단계(S10), 보강작업단계(S20), 가설벤트제작단계(S30), 상부구조물제작단계(S40), 상부구조물철거단계(S50) 및 상부구조물설치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로조성단계(S10)는 교량의 하부에 트랜스포터(1)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로를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이동로조성단계(S10)에는 교량의 인근에 관(흄관)을 매설하여 하천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관의 주변으로 토사를 매설하여 이동로를 조성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량의 인근에 매설되는 관은 흄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작업단계(S20)는 상기 이동로조성단계(S10) 이후 신설 상부구조물(10)의 하중을 고려하여 지지력 강화를 위한 교대와 교각의 기초부를 보강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설벤트제작단계(S30)는 상기 보강작업단계(S20) 이후 지내력을 확보하고 지반 평탄을 위하기 위해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기초 콘크리트 양생 후 신설 상부구조물(10)을 지지하는 가설벤트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가설벤트제작단계(S30)에는, 복수의 기초 포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초 포트의 상부에 가설벤트 및 주형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설벤트 및 주형의 상부에 작업발판 및 안전펜스를 설치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제작을 위한 발판이고, 상기 안전펜스는 상기 상부구조물(10)을 제작하는 근로자의 안전을 위한 펜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구조물제작단계(S40)는 교량의 기존 상부구조물을 교체하기 위한 신설 상부구조물(10)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상부구조물제작단계(S40)에는, 복수의 신설 거더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신설 거더의 사이에 복수의 가로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신설 거더 및 가로보와 인접한 위치에 철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신설 거더 및 가로보와 인접한 위치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단계,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자갈을 포설하고 PC침목을 배열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에는 신설 상부구조물의 교체 전 교각의 설치 높이에 따라 상기 가설벤트의 일부를 제거하고, 상기 트랜스포터(1)를 상기 신설 상부구조물(10)의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신설 상부구조물(10)을 인상시키는 인상단계(s45)가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9a 내지 도 9c에 따르면, 도 9a는 본 발명의 트랜스포터(1)가 상부구조물(10)의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구조물(10)의 높이를 상부 방향으로 가변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트랜스포터(1)가 높이가 가변된 상부구조물(10)을 기존의 교량으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c는 본 발명의 트랜스포터(1)가 상기 상부구조물(10)을 인상시킬 때의 지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인상단계(s45)에서 상기 트랜스포터(1)가 상기 신설 상부구조물(10)의 하부로 이동되어 신설 상부구조물(10)을 인상시키는 지점은 상기 상부구조물(10)의 굽힘 강성이 EI일 때 상기 상부구조물(10) 양단의 처짐이 상기 상부구조물(10) 중심의 처짐과 같아질 수 있는 길이비 a/L을 구하고 이를 근거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구조물(10) 양단의 처짐이 상기 상부구조물(10) 중심의 처짐과 같아지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 상부구조물(10) 양단의 처짐이 상기 상부구조물(10) 중심의 처짐이 같을 때 상기 상부구조물(10)의 변형이 가장 적으며, 상기 상부구조물(10)의 변형이 가장 적을 때 교량이 내려놓아야 상기 상부구조물(10)이 상기 트랜스포터(1)에 의해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a는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양단에서 트랜스포터까지의 거리이며, L은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거리이다.)
먼저 B는 상기 트랜스포터(1)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근간이 되는 지점이고, C는 다른 트랜스포터(1)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근간이 되는 지점으로, B, C에서의 반력 성분을 구한다.
Figure 112019104276419-pat00001
(여기서, Rb는 B 지점에서의 반력 성분이고 Rc는 C 지점에서의 반력 성분 이다.)
이후 상기 상부구조물(10)을 세 구간으로 나누고 굽힘모멘트를 구한다.
Figure 112019104276419-pat00002
(여기서, q는 자중에 의한 단위 길이 당 하중이다.)
이후 특이함수를 사용하여 (1), (2), (3) 식을 하나로 다음과 같이 구하고,
Figure 112019104276419-pat00003
이후 (4) 식을
Figure 112019104276419-pat00004
에 대입한 후 두 번 적분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9104276419-pat00005
(여기서, E는 영률(Young's modulus)이고, I는 굽힘 강성이며, υ는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처짐량)
이후 경계조건으로부터 적분상수 C1과 C2를 구한다.
Figure 112019104276419-pat00006
이후 적분상수 C1과 C2를 (6) 식에 대입하여 처짐식을 얻는다.
Figure 112019104276419-pat00007
이때, 상기 상부구조물(10) 양단의 처짐이 상기 상부구조물(10) 중심의 처짐과 같으므로 v(0) = v(L/2)이 된다.
Figure 112019104276419-pat00008
Figure 112019104276419-pat00009
Figure 112019104276419-pat00010
즉, 상기 인상단계(S45)에서 상기 트랜스포터(1)가 상기 신설 상부구조물(10)의 하부로 이동되어 신설 상부구조물(10)을 인상시키는 지점은 B 지점과 C 지점이 될 수도 있고, 지점은 B 지점과 C 지점 부근의 지점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구조물철거단계(S50)는 교량의 기존 상부구조물을 철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상부구조물철거단계(S50)는 열차 통행이 없는 야간 시간대를 활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에는, 상기 트랜스포터(1)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구조물(10)을 제1지지탑(700) 및 제2지지탑(800)으로 이동시켜 상기 신설 상부구조물(10)의 위치 및 자세를 교정하는 교정단계(S5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정단계(S55)에는 상기 신설 상부구조물(10)을 상기 제1지지탑(700) 및 제2지지탑(800)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지지탑(700) 및 제2지지탑(800)으로 이동된 상부구조물(10)이 상기 제1지지탑(700) 및 제2지지탑(8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자세가 교정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부구조물설치단계(S60)는 트랜스포터(1)를 이용하여 상기 제작단계(S40)에서 제작한 신설 상부구조물(10)을 이동시켜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상기 상부구조물설치단계(S60)에는 상기 신설 상부구조물(10)을 교각의 사이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트랜스포터(1)를 제어하여 상기 신설 상부구조물(10)의 위치 및 자세를 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포터(1)를 제어하여 상기 신설 상부구조물(10)을 교좌장치에 안착시키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정단계(S55)를 거친 상부구조물(10)은 상기 상부구조물설치단계(S60)에서 상기 트랜스포터(1)의 미세조절부(500)에 의해 미세한 자세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에는 상기 신설 상부구조물(10)의 설치가 끝난 이후 현장을 정리하고 하천을 복구하여 마무리하는 현장정리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차대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1자세제어부 및 차대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2자세제어부가 구비됨으로써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1자세제어부 및 제2자세제어부의 상부에 미세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자세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 : 트랜스포터
10 : 상부구조물 11 : 고정지지부
100 : 본체부 110 : 차대
120 : 차축 130 : 바퀴
140 : 수평유지실린더
200a : 제1자세제어부 200b : 제2자세제어부
210 : 하부수평받침부재 220 : 상부수평받침부재
230 : 제1수직고정받침부재 240 : 제2수직고정받침부재
250 : 제1수직이동받침부재 260 : 제2수직이동받침부재
270 : 수평조절실린더
271 : 제1힌지부 272 : 제2힌지부
280 : 제1수평연결대 290 : 제2수평연결대
310 : 고정핀
410 : 돌기부 420 : 헤드부재
421 : 결합홈 422 : 받침대
500 : 미세조절부 510 : 조절실린더
520 : 회전베어링
521 : 제1조절롤러 522 : 제2조절롤러
530 : 회전패드
600 : 중앙제어부 610 : 검출센서
700 : 제1지지탑 710 : 제1지지턱
800 : 제2지지탑 810 : 제2지지턱
900 : 자세조절부 910 : 제1자세실린더
920 : 제2자세실린더 930 : 자세조절대차
940 : 회전형패드 941 : 하부접촉부
942 : 상부접촉부 943 : 회전축

Claims (13)

  1. 차대(110), 상기 차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차축(120), 상기 차축(120)의 양 측 말단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130) 및 상기 차대(110)와 차축(120)을 연결하며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차대(110)와 차축(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복수의 수평유지실린더(140)를 포함하는 본체부(100);
    상기 차대(110)의 상부 전방에 구비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상기 차대(110)의 상부 후방에 구비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제2자세제어부(200b);
    가 포함되며,
    상기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미세조절부(50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미세조절부(500)에는,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지지부(11)를 푸쉬함으로써 상기 상부구조물(10)을 이동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조절실린더(510); 및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의 하중을 지지하는 회전베어링(520)이 포함되며,
    상기 회전베어링(520)에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구조물(10)이 상기 바퀴(130)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조절롤러(521); 및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구조물(10)이 상기 바퀴(130)의 진행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조절롤러(522)가 포함되고,
    상기 제1조절롤러(521) 및 제2조절롤러(522)는,
    각각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10)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2. 차대(110), 상기 차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차축(120), 상기 차축(120)의 양 측 말단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130) 및 상기 차대(110)와 차축(120)을 연결하며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차대(110)와 차축(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복수의 수평유지실린더(140)를 포함하는 본체부(100);
    상기 차대(110)의 상부 전방에 구비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상기 차대(110)의 상부 후방에 구비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제2자세제어부(200b);
    가 포함되며,
    교량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며 제1지지턱(710)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지지탑(700); 교량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탑(700)과 마주하며 상기 제1지지턱(710)에 대응되는 제2지지턱(810)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지지탑(800); 및 상기 제1지지턱(710) 및 제2지지턱(810)에 구비되어 상부구조물(10)의 자세를 조절시키는 자세조절부(90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자세조절부(900)에는,
    상기 제2지지턱(81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턱(7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자세실린더(910); 상기 제1지지턱(71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제2지지턱(8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자세실린더(920); 및 상기 제1지지턱(710) 및 제2지지턱(810)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구조물(10)을 지지하며 상기 제1자세실린더(910) 및 제2자세실린더(92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자세조절대차(93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에는,
    상기 차대(110)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수평받침부재(210);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지지하되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210)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상부수평받침부재(220);
    하부 말단이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210)의 좌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
    하부 말단이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210)의 우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
    상기 한 쌍의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에 수직으로 내삽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부 말단이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22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수직이동받침부재(250);
    상기 한 쌍의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에 수직으로 내삽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부 말단이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22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수직이동받침부재(260); 및
    각각 상기 한 쌍의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의 사이 및 한 쌍의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의 사이에 구비되되, 일단은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210)의 상부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22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조절실린더(27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에는,
    상기 한 쌍의 제1수직고정받침부재(230)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1수평연결대(280); 및
    상기 한 쌍의 제2수직고정받침부재(240)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2수평연결대(29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는,
    하부는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2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구조물(10)의 기울어짐에 대응되면서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지지높이를 조절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에는,
    상기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의 상부에 형성되는 구 형상의 돌기부(410); 및
    하부는 상기 돌기부(410)에 대응되는 구 형상의 결합홈(421)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구조물(10)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평평한 형상의 받침대(422)로 형성되는 헤드부재(42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절부(500)에는,
    상기 제1자세제어부(200a) 및 제2자세제어부(200b)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조절실린더(51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조절실린더(51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패드(53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조절부(900)에는,
    상기 자세조절대차(9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자세조절대차(930)에 지지되는 상부구조물(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형패드(94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9.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지는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에 있어서,
    교량의 하부에 트랜스포터가 이동되기 위한 이동로를 조성하는 이동로조성단계(S10);
    신설 상부구조물(10)의 하중을 고려하여 지지력 강화를 위한 교대와 교각의 기초부를 보강하는 보강작업단계(S20);
    지내력을 확보하고 지반 평탄을 위하기 위해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기초 콘크리트 양생 후 신설 상부구조물(10)을 지지하는 가설벤트를 제작하는 가설벤트제작단계(S30);
    교량의 기존 상부구조물을 교체하기 위한 신설 상부구조물(10)을 제작하는 상부구조물제작단계(S40);
    교량의 기존 상부구조물을 철거하는 상부구조물철거단계(S50); 및
    트랜스포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작단계(S40)에서 제작한 신설 상부구조물(10)을 이동시켜 설치하는 상부구조물설치단계(S6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90126809A 2019-10-14 2019-10-14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KR102161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809A KR102161144B1 (ko) 2019-10-14 2019-10-14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809A KR102161144B1 (ko) 2019-10-14 2019-10-14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144B1 true KR102161144B1 (ko) 2020-09-29

Family

ID=7266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809A KR102161144B1 (ko) 2019-10-14 2019-10-14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1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41787A (zh) * 2023-12-04 2024-01-05 普达迪泰(成都)智造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多自由度调姿的移动平台
CN117492476A (zh) * 2024-01-03 2024-02-02 四川公路桥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运梁炮车自动化调姿系统和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512U (ko) * 1996-12-27 1998-09-25 추호석 중장비의 아웃트리거 플로트 이동장치
KR100891961B1 (ko) 2008-08-06 2009-04-15 석정건설(주) 가설구조물을 이용하여 도로 또는 철도의 노후된 교량이나 무도상 교량을 유도상화 하기 위한 교량 교체공법 및 그 장치
KR101400302B1 (ko) * 2013-11-12 2014-05-30 석정건설(주) 교량 가설용 높이 가변형 트랜스포터
KR101500302B1 (ko) 2014-05-01 2015-03-09 박승수 스크롤 압축기 및 팽창기
KR101689028B1 (ko) * 2016-01-25 2016-12-23 주식회사 특수건설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
KR101916168B1 (ko) * 2017-12-18 2018-11-30 주식회사 특수건설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512U (ko) * 1996-12-27 1998-09-25 추호석 중장비의 아웃트리거 플로트 이동장치
KR100891961B1 (ko) 2008-08-06 2009-04-15 석정건설(주) 가설구조물을 이용하여 도로 또는 철도의 노후된 교량이나 무도상 교량을 유도상화 하기 위한 교량 교체공법 및 그 장치
KR101400302B1 (ko) * 2013-11-12 2014-05-30 석정건설(주) 교량 가설용 높이 가변형 트랜스포터
KR101500302B1 (ko) 2014-05-01 2015-03-09 박승수 스크롤 압축기 및 팽창기
KR101689028B1 (ko) * 2016-01-25 2016-12-23 주식회사 특수건설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
KR101916168B1 (ko) * 2017-12-18 2018-11-30 주식회사 특수건설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41787A (zh) * 2023-12-04 2024-01-05 普达迪泰(成都)智造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多自由度调姿的移动平台
CN117341787B (zh) * 2023-12-04 2024-02-27 普达迪泰(成都)智造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多自由度调姿的移动平台
CN117492476A (zh) * 2024-01-03 2024-02-02 四川公路桥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运梁炮车自动化调姿系统和方法
CN117492476B (zh) * 2024-01-03 2024-03-19 四川公路桥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运梁炮车自动化调姿系统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4242B2 (ja) 桁の架設工法
KR102161144B1 (ko)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CN110195382B (zh) 路基结构和采用该路基结构抬升轨道结构的方法
CN111139749A (zh) 一种大跨度上承式连续钢桁梁悬臂架设施工方法
CN113152306B (zh) 小半径大坡度预制t梁架设施工方法
CN109629439B (zh) 一种独塔斜拉桥施工方法
CN107178042A (zh) 一种大跨度倒三角型钢管混凝土拱桥钢拱的施工方法
JP5184248B2 (ja) 立体交差の施工方法
CN107571392A (zh) 一种用于横张法预应力预制小箱梁施工的制梁台座
KR101400302B1 (ko) 교량 가설용 높이 가변형 트랜스포터
CN113957793A (zh) 一种复杂市域环境预制箱梁支架施工方法
CN111236089A (zh) 现有桥梁上部结构不均匀顶升系统及不均匀顶升施工方法
KR100454406B1 (ko) 가벤트를 이용하여 철도교의 강교를 콘크리트교로치환하여 유도상화하는 공법 및 그 장치
JP2006028881A (ja) 自走式pc床版架設機およびpc床版の架設工法
KR20050108867A (ko) 철도교량의 상부구조물 교체 및 이를 이용한 유도상화방법.
CN110529146B (zh) 一种用于单线隧道仰拱施工的设备及其施工方法
CN211872669U (zh) 现有桥梁上部结构不均匀顶升系统
JP5187969B2 (ja) 直上高架橋の施工装置及び施工方法
CN108708292A (zh) 一种工字型钢混组合梁混凝土叠合施工装置及施工方法
KR20100034097A (ko) 유형 채널 브리지 제작용 대차 시스템
KR101082418B1 (ko) 교량용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KR20190122925A (ko)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KR102161168B1 (ko)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KR100565361B1 (ko) 횡방향 이동수단을 이용한 연속압출공법에 의한 교량시공방법
CN111705682A (zh) 一种跨电气化铁路加宽桥梁上部结构拆除与重建的施工方法及其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