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743B1 -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743B1
KR100394743B1 KR10-2000-0039943A KR20000039943A KR100394743B1 KR 100394743 B1 KR100394743 B1 KR 100394743B1 KR 20000039943 A KR20000039943 A KR 20000039943A KR 100394743 B1 KR100394743 B1 KR 100394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fixed
formwork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9066A (ko
Inventor
박정선
Original Assignee
(주)거화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화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거화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0-0039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4743B1/ko
Publication of KR2000005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라브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수평판과 벽체측을 향한 선단측에 직각상으로 상향 절곡된 고정수직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판재와; 상기 고정판재의 고정수평판 후단측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수평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지지장공과 상기 지지장공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삽입공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금구와; 상기 지지금구의 삽입공을 통해 지지장공에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링홈과 지지링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조립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조임볼트가 나사조임을 허용하는 너트공이 형성된 지지날개 및 상기 원통부의 하단에서 벽체측을 향해 돌출된 받침부가 일체로 형성된 조절부재와; 및 상기 조정판재의 고정수직판과 상기 조절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수직판에 밀착되도록 하향절곡된 채 상,하로 슬라이딩작동하는 가동수직판과 상기 조절부재의 조임날개에 나사조임되는 조임볼트에 의하여 압착되도록 상향절곡된 지지수직판 및 웨지핀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거푸집 받침부재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발명이다.

Description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Horizontality and height controlling device of mould}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축물을 구축할 때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기 위하여 바닥면이나 슬라브에 설치되는 거푸집들이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경우는 슬라브를 구축할 때에나 벽체 및 기둥을 구축할 때에도 거푸집을 사용하고 있으며, 벽체를 구축할 경우에는 타이볼트 등을 이용하여 내,외측 거푸집을 벽체의 두께만큼 이격시킨 다음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벽체를 구축하고 있는데, 벽체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경우는 목제 거푸집을 사용하는 한편 안쪽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경우는 대체로 철제 거푸집(일명 유로폼)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콘크리트몰탈고 구축된 슬라브의 바닥면은 정확한 수평면을 이루지 못하고 일측으로 경사지거나 또는 울퉁불퉁한 면을 이루고 있게 되므로 거푸집을 슬라브 바닥면에 지지시킨 채 좌,우측으로 연속해서 설치하게 될 경우에는 각 거푸집들은 수평상태로 설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높이가 서로 어긋난 상태로 설치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콘크리트로 구축된 슬라브 바닥이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각목을 슬라브 바닥에 수평상으로 놓고 그 밑에 두께가 얇은 판재를 끼워주는 수단으로 각목의 수평을 맞추어 주므로서 그 각목 위에 설치되는 거푸집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슬라브 바닥에 놓여진 개개의 각목 자체는 수평을 맞출 수 있지만 벽체를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각목들 모두가 같은 높이의 수평을 이루도록 높이를 조절하는 데에는 구조상 곤란하며, 특히 각목 위에 거푸집을 여러단으로 설치한 상태에서는 수평조절은 물론이고 높이조절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공고일자 2000년 2월 15일)에 등록실용신안 제 163444 호로 공고된 거푸집 수평지지장치는 수평지지대의 "ㄱ"자형 지지판의 수직면에 형성된 수직장공을 통해 볼트를 끼워넣고 너트로 나사체결하는 구조로서 상기 수직장공의 범위내에서 수평지지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지지판의 수평면에 받쳐진 거푸집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지지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수직장공을 관통하여 체결된 볼트의 이동범위가 매우 좁기 때문에 거푸집의 상,하 조절높이가 좁은 범위에서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거푸집을 설치하기 전 상태에서만 수평지지대의 지지판을 상,하로의 높이조절이 가능할 뿐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에서 사실상 높이조절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조절판 위에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에서도 수평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벽체를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각 거푸집들이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높이조절도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거푸집들을 정렬시켜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슬라브 바닥과 하단측 거푸집과의 사이를 막아주어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이 누설되지 않게 함과 동시 거푸집의 이면을 강하게 압착하여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으며, 또 벽체를 구축한 후에는 거푸집과 함께 해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슬라브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수평판과 벽체측을 향한 선단측에 직각상으로 상향 절곡된 고정수직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판재와;
상기 고정판재의 고정수평판 후단측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수평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지지장공과 상기 지지장공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삽입공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금구와;
상기 지지금구의 삽입공을 통해 지지장공에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링홈과 지지링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조립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조임볼트가 나사조임을 허용하는 너트공이 형성된 지지날개 및 상기 원통부의 하단에서 벽체측을 향해 돌출된 받침부가 일체로 형성된 조절부재와; 및
상기 조정판재의 고정수직판과 상기 조절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수직판에 밀착되도록 하향절곡된 채 상,하로 슬라이딩작동하는 가동수직판과 상기 조절부재의 조임날개에 나사조임되는 조임볼트에 의하여 압착되도록 상향절곡된 지지수직판 및 웨지핀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거푸집 받침부재;
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고정판재의 후단측에 용접되는 지지금구는 벽체측을 향해 개구되는 "U"자형으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상기 조절볼트의 링홈의 삽입을 허용하면서 지지링을 회전가능하게 구속하는 지지플랜지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고정판재는 조절부재와 조절볼트를 각각 하나씩만 조립할 수 있도록 작은 규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재의 지지날개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수직지지판과 상기 한쌍의 수직지지판 사이에는 상기 조절볼트 하단의 지지링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금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 실시예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 실시예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8은 도 6 실시예의 조립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거푸집 수평 및 높이조절장치
2 : 고정판재 21 : 고정수평판
22 : 고정수직판 3 : 지지금구
31 : 지지장공 32 : 삽입공
33 : 지지플랜지 4 : 조절부재
41 : 원통부 42 : 지지날개
43 : 받침부 44 : 조임볼트
45 : 너트공 5 : 조절볼트
51 : 링홈 52 : 지지링
6 거푸집 받침부재 61 : 가동수직판
62 : 지지수직판 63 : 수평받침판
64 : 결속공 7 : 거푸집
71 : 웨지핀공 8 : 웨지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 실시예의 조립상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 실시예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 실시예의 조립상태 단면도인 바,
도면부호 1은 거푸집 수평 및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거푸집 수평 및 높이조절장치(1)는 고정판재(2)와 지지금구(3)와 조절부재(4)와 조절볼트(5) 및 거푸집 받침부재(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재(2)는 슬라브 바닥(G)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평판(21)과 구축하고자 하는 벽체측을 향한 선단부에 상향을 향해 직각상으로 절곡된 고정 수직판(22)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수평판(21)에는 다수의 못구멍(23)을 뚫어져 있어 상기 고정판재(2)를 슬라브 바닥(G)에 고정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금구(3)는 상기 고정판재(2)의 고정수평판(21) 후단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용접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금구(3) 각각의 상면에는 고정판재(2)의 길이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되는 지지장공(31)과 삽입공(32)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32)은 지지장공(31)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절볼트(5)의 하단부가 지지금구(3)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상기 조절부재(1)는 상기 조절볼트(5)를 나사조립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원통부(41)와 상기 원통부(41) 양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날개(42) 및 상기 원통부(41)의 하단에 벽체를 향해 길게 돌출되는 받침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의 지지날개(42) 각각에는 조임볼트(44)가 나사조립되는 너트공(45)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조절볼트(5)는 상기 조절부재(4)의 원통부(41)에 나사식으로 조립되면서 하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지지금구(3)에 결속되는데, 상기 조절볼트(5) 하단의 지지링(51)은 상기 지지금구(3)의 삽입공(32)의 내경과 일치하거나 조금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링(51) 위에 형성된 링홈(52)은 상기 지지금구(3)의 지지장공(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일 수 있는 외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볼트(5)를 조절부재(4)의 원통부(41)를 나사식으로 관통시켜 그 하단의 지지링(51)을 상기 지지금구(3)의 삽입공(32)으로 삽입시킨 후 일측으로 이동시켜 링홈(52)이 지지장공(31)에 끼이도록 하면 상기 조절볼트(5)는 지지금구(3)에 회전가능하게 구속된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이 조절볼트(5)의 하단을 지지금구(3)에 구속시킨 상태에서 조절볼트(5)를 좌 또는 우로 돌려주게 되면 상기 조절부재(4)는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거푸집 받침부재(6)는 상기 고정판재(2)의 고정수직판(22)과 조절부재(4) 사이에 설치되는데, 상기 거푸집 받침부재(6)의 선단측에 하향을 향해 직각상으로 절곡된 가동수직판(61)은 상기 고정수직판(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며, 후단측에 상향을 향해 직각상으로 절곡된 지지수직판(62)은 상기 조절부재(4)의 양측 지지날개(42) 각각의 너트공(45)에 나사조립되어 관통하는 조임볼트(44)에 의하여 압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푸집 받침부재(6)의 수평받침판(63)은 거푸집(7)과 같은 폭을 가지면서 거푸집(7)을 받쳐주며, 또한 상기 수평받침판(63)에는 거푸집(7)에 형성된 웨지핀공(71)으로 삽입되는 웨지핀(8)이끼워지는 결속공(64)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다음, 도 4 및 도 5의 실시예는 상기 고정판재(2)의 고정수평판(21) 양측에 용접되는 지지금구(3)를 고정수직판(22)을 향해 개구된 "U"자형으로 형성한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의 "U"자형으로 된 지지금구(3)의 상단에는 조절볼트(5)의 하단에 형성된 링홈(52)의 삽입을 허용하면서 지지링(51)은 회전가능하게 구속하는 지지플랜지(33)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 도 6 내지 도 8의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고정판재(2)를 작은 규격으로 제작하여 조절부재(4)와 조절볼트(5) 각각을 하나씩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는 "U"자형으로 된 지지금구(3)의 양측에 수직지지판(24)을 대향 설치하여 상기 조절부재(4)의 양측 지지날개(42)를 승강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각 실시예에서의 조절부재(4)의 원통부(41) 및 지지날개(42)에 나사조립되는 조절볼트(5)의 머리부와 조임볼트(44)의 머리부 각각에는 구멍(53)(46)을 뚫어주어 뾰족한 도구 예를 들면, 건설현장의 작업자들이 항시 휴대하고 있는 철사 결속봉(갈쿠리 형상으로 된 도구)이나 드라이버 등의 도구로서 나사조임 및 나사풀림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거푸집 수평 및 높이조절장치(1)는 구축하고자 하는 벽체의 두께만큼 이격시켜 설치하는 것으로, 우선 상기 고정판재(2)를 슬라브 바닥(G)에 위치시킨다음 고정수평판(21)에 형성된 못구멍(23)으로 못을 박아주게 되면 상기 고정판재(2)는 슬라브 바닥(G)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어서 상기 조절부재(4)의 원통부(41)를 나사조립되어 관통된 조절볼트(5)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링(51)을 지지금구(3)의 지지장공(31)에 구속시키는데, 이때에는 상기 조절부재(4)의 원통부(41) 하단이 지지금구(3) 상면에 안착된 상태가 되게 한 다음 상기 조절부재(4)의 받침부(43) 위에 거푸집 받침부재(6)를 올려 놓는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조절부재(4)의 받침부(43) 위에 거푸집 받침부재(6)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조절볼트(5)를 좌 또는 우로 돌리게 되면 상기 조절볼트(5)는 그 하단의 지지링(51)이 상기 지지금구(3)의 지지장공(31)에 회전가능하게 구속되어 있으므로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는 반면에 상기 조절볼트(5)에 나사조립된 조절부재(4)는 조절볼트(5)의 나사산을 타고 승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조절부재(4)의 받침부(43) 위에 올려져 있는 거푸집 받침부재(6)도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브 바닥(G)이 일측으로 경사진 경우 양측의 조절부재(4)를 지지금구(3) 상면에 밀착되게 안착시킨 상태에서 받침부(43)에 얹어놓은 상기 거푸집 받침부재(6)는 슬라브 바닥(G)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므로 작업자는 수평수포기 등으로 그 경사진 각도를 확인한 다음 낮은 위치에 있는 쪽의 조절볼트(5)를 회전조작하여 조절부재(4)를 상승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거푸집 받침부재(6)를 수평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거푸집(7)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거푸집 받침부재(6)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거푸집 받침부재(6) 위에 거푸집(7)을 설치하고 웨지핀(8)으로 결속시킨 상태에서도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조절볼트(5)는 거푸집 받침부재(6)에 설치된 거푸집(7)의 안쪽에서 길게 돌출된 상태이므로 조절볼트(5)의 회전조작이 용이하며, 또한 상기 조절볼트(5)는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한편 조절볼트(5)가 회전함에 따라 조절부재(4)는 조절볼트(5)를 타고 상,하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거푸집 받침부재(6)에 중량이 걸리게 되더라도 상기 조절볼트(5)를 힘들이지 않고 회전조작하여 거푸집(7)이 설치된 상기 거푸집 받침부재(6)를 승강시켜 수평조절과 함께 높이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거푸집 수평 및 높이조절장치(1)에 수개의 거푸집(7)을 일정 높이로 다단 적층시켰을 때 거푸집(7)이 일측으로 경사지고 또한 서로 인접한 거푸집들이 높이가 일치하지 아니할 경우 낮은 쪽에 있는 상기 조절볼트(5)를 회전조작하여 상기 조절부재(4)를 상승시켜서 거푸집(7)을 수평상태로 조절하는 것이며, 나아가 상기 거푸집 수평 및 높이조절장치(1)의 양측 조절볼트(5) 모두를 적절히 회전조작하여 각 거푸집(7)들의 높낮이를 조절하므로서 서로 인접한 거푸집(7)들의 높이를 수평상태로 일치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조절볼트(5)의 회전조작으로 거푸집(7)의 수평 및 높이조절 완료이 되면 이어서 조임볼트(44)를 나사조임하여 서푸집 받침부재(6)의 상기 조임볼트(44)의 단부가 지지수직판(62)을 강하게 압착토록 하므로서 상기 거푸집 받침부재(6)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이렇게되면 다단으로 적층조립된 각 거푸집(7)들은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실시예는 거푸집 수평 및 높이조절장치(1)의 고정판재(2)의 후단 양측에 용접, 고정되는 지지금구(3)를 "U"자형으로 구성한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의 "U"자형의 지지금구(3)는 고정수직판(22)을 향해 개구된 쪽에서 상기 조절볼트(5)의 하단 링홈(52)을 지지플랜지(33)에 끼워주게 되면 지지링(51)이 상기 지지플랜지(33)에 회전가능하게 걸림되므로서 상기 조절볼트(5)를 회전조작하여 상기 조절부재(4)를 승강시키는 수단으로 거푸집 받침부재(6)과 그 위에 적층설치된 거푸집(7)의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실시예는 거푸집 수평 및 높이조절장치(1)의 고정판재(2)를 작은 규격으로 구성한 다음 조절부재(4)와 조절볼트(5) 각각은 하나씩만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한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는 기존의 거푸집 설치구조와 같이 슬라브 바닥(G)에 각목을 괴어놓고 그 각목 위에 거푸집(7)을 설치하고자 할 때 슬라브 바닥(G)이 수평을 이루지 못함으로 인하여 거푸집(7)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될 경우 낮은 부분에 상기 실시예의 고정판재(2)를 못으로 고정시킨 다음 조절부재(4)의 받침부(43)로 각목을 지지하거나 또는 거푸집(7)을 직접 지지시킨 상태로 설치한 후 조절볼트(5)를 회전조작하여 상기 조절부재(4)를 승강시키는데, 이때 상기 조절부재(4)의 양측 지지날개(42)는 수직지지판(24)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므로 상기 조절부재(4)는 수직지지판(24)에 밀착 지지된 채 승강이동하게 되어 각목 또는 거푸집(7)을 안정되게 받쳐준 상태에서 거푸집(7)의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는 고정판재(2) 자체가 작은 규격의 단일구조로 되어 있어 거푸집(7) 설치시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요구되는 장소로 쉽게 운반하여 설치하는 수단으로 거푸집(7)의 수평 및 높이조절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조절볼트(5)의 머리부와 조임볼트(44)의 머리부 각각에 관통하는 구멍(53)(46)을 형성하므로서 나사조임 및 나사풀림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즉,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는 데에서 작업하는 대부분 작업자는 철근을 결속하는 철사 결속구나 드라버 등의 도구를 반드시 휴대하고 있으므로 거푸집(7)을 설치할 때 조절볼트(5)를 회전조작하여 거푸집의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철사 결속봉이나 드라이버를 상기 조절볼트(5)의 구멍(53)에 끼워놓고 회전조작할 수 있으며, 또한 거푸집 받침부재(6)에 거푸집(7)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조절볼트(5)를 힘들이지 않고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거푸집(7)의 수평 및 높이조절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슬라브 위에 다단으로 설치된 안쪽의 거푸집(7)과 바깥쪽의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벽체의 구축을 완료한 후에는 각 거푸집(7)들을 연결하고 있던 웨지핀(8)들을 빼내면서 거푸집(7)들을 해체한 다음 상기 거푸집 수평 및 높이조절장치(1)를 조립의 역순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다음 작업장소로 운반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절부재를 승강조절하는 조절볼트가 거푸집받침부재의 지지수직판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채 수직상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조절볼트의 회전조작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상기 거푸집 받침부재에 거푸집을 다단으로 적층, 조립시킨 상태에서도 상기 조절볼트를 힘들이지 않고 회전조작할 수 있으므로 거푸집의 수평조절이 용이함은 물론 각 거푸집들이 똑같은 높이로 높이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조절볼트의 회전조작을 갈쿠리 모양으로 된 철사 결속봉이나 드라이버 등의 도구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거푸집의 수평 및 높이조절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므로서 거푸집의 설치를 단시간내에 완료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져다주어 콘크리트타설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하여 콘크리트 벽체의 구축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슬라브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수평판과 벽체측을 향한 선단측에 직각상으로 상향 절곡된 고정수직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판재와;
    상기 고정판재의 고정수평판 후단측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수평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지지장공과 상기 지지장공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삽입공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금구와;
    상기 지지금구의 삽입공을 통해 지지장공에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링홈과 지지링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조립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조임볼트가 나사조임을 허용하는 너트공이 형성된 지지날개 및 상기 원통부의 하단에서 벽체측을 향해 돌출된 받침부가 일체로 형성된 조절부재와; 및
    상기 조정판재의 고정수직판과 상기 조절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수직판에 밀착되도록 하향절곡된 채 상,하로 슬라이딩작동하는 가동수직판과 상기 조절부재의 조임날개에 나사조임되는 조임볼트에 의하여 압착되도록 상향절곡된 지지수직판 및 웨지핀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거푸집 받침부재;
    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재의 후단측에 용접되는 지지금구는 벽체측을 향해 개구되는 "U"자형으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상기 조절볼트의 링홈의 삽입을 허용하면서 지지링을 회전가능하게 구속하는 지지플랜지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재는 조절부재와 조절볼트를 각각 하나씩만 조립할 수 있도록 작은 규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재의 지지날개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수직지지판과 상기 한쌍의 수직지지판 사이에는 상기 조절볼트 하단의 지지링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금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
KR10-2000-0039943A 2000-07-12 2000-07-12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 KR100394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943A KR100394743B1 (ko) 2000-07-12 2000-07-12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943A KR100394743B1 (ko) 2000-07-12 2000-07-12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066A KR20000059066A (ko) 2000-10-05
KR100394743B1 true KR100394743B1 (ko) 2003-08-19

Family

ID=1967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943A KR100394743B1 (ko) 2000-07-12 2000-07-12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47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262B1 (ko) * 2001-10-23 2005-04-27 주식회사 일호 거푸집 패널용 수평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930B1 (ko) * 2001-03-20 2003-11-07 태성판넬 주식회사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및 그 조립과 해체방법
KR100702484B1 (ko) * 2006-03-24 2007-04-02 대산건설 주식회사 거푸집용 받침틀
KR100932529B1 (ko) * 2007-11-13 2009-12-17 이은수 거푸집 지지용 수평틀 어셈블리
KR101491786B1 (ko) * 2013-02-18 2015-02-11 강남훈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
KR101616867B1 (ko) * 2015-06-18 2016-04-29 유대식 벽체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CN114658083B (zh) * 2022-02-14 2023-10-20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装配式生态截水沟加固支撑结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3319U (ko) * 1978-08-25 1980-03-04
JPH02190571A (ja) * 1989-01-18 1990-07-26 Nagashima Kogyo Kk パネル支持具
JPH0317084A (ja) * 1989-05-31 1991-01-25 Basf Ag トリフエンジオキサジンの製造方法
JPH09235880A (ja) * 1996-03-04 1997-09-09 Daisue Kensetsu Kk 柱システム型枠の柱脚部位置決め治具、補助型枠及び建込み工法
KR19990015241U (ko) * 1997-10-14 1999-05-15 임준원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
KR200168782Y1 (ko) * 1997-07-03 2000-02-01 임준원 거푸집 판넬의 높이조절장치
KR200182865Y1 (ko) * 1999-12-28 2000-05-15 에스케이건설주식회사 거푸집 레벨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3319U (ko) * 1978-08-25 1980-03-04
JPH02190571A (ja) * 1989-01-18 1990-07-26 Nagashima Kogyo Kk パネル支持具
JPH0317084A (ja) * 1989-05-31 1991-01-25 Basf Ag トリフエンジオキサジンの製造方法
JPH09235880A (ja) * 1996-03-04 1997-09-09 Daisue Kensetsu Kk 柱システム型枠の柱脚部位置決め治具、補助型枠及び建込み工法
KR200168782Y1 (ko) * 1997-07-03 2000-02-01 임준원 거푸집 판넬의 높이조절장치
KR19990015241U (ko) * 1997-10-14 1999-05-15 임준원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
KR200182865Y1 (ko) * 1999-12-28 2000-05-15 에스케이건설주식회사 거푸집 레벨 조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262B1 (ko) * 2001-10-23 2005-04-27 주식회사 일호 거푸집 패널용 수평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066A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1043A (en) Precast concrete building module form
KR100394743B1 (ko)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
KR20070043743A (ko) 건축용 동바리
KR100643529B1 (ko) 건축용 벽체 가시설 거푸집구조
US20070163205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decks
KR102477121B1 (ko) 유로폼용 데크패널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KR200415034Y1 (ko) 거푸집 설치용 지주
JP2720382B2 (ja) 独立フーチング基礎の形成方法
JP4108071B2 (ja) 壁型枠等の建入れサポート方法
KR101832180B1 (ko) 원 스탭 드롭방식을 이용한 슬라브패널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KR200281361Y1 (ko) 높이가 조절되는 코너거푸집
CN215905762U (zh) 一种组合式塔身及其基座结构
KR200184988Y1 (ko) 키커블럭을 이용한 철재 거푸집 설치구조
US200601505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ision slip-forming of complex precast shapes
EP3134586B1 (en) Device and method for anchoring an overhanging element to a construction
KR200156465Y1 (ko) 레벨링 거푸집
CN218802981U (zh) 可周转的模具
US20090301002A1 (en) System for constructing a semi-prefabricated building
EP1321602A1 (en) Formwork for concrete structure
KR200278253Y1 (ko)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
KR200397246Y1 (ko) 높이조절식 거푸집 받침장치
KR200163444Y1 (ko) 거푸집용수평지지장치
KR200362839Y1 (ko) 지하옹벽용 대형거푸집 고정구조
KR100459011B1 (ko) 다층콘크리트 건축물의 연결부재 및 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