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034Y1 - 거푸집 설치용 지주 - Google Patents

거푸집 설치용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034Y1
KR200415034Y1 KR20060004380U KR20060004380U KR200415034Y1 KR 200415034 Y1 KR200415034 Y1 KR 200415034Y1 KR 20060004380 U KR20060004380 U KR 20060004380U KR 20060004380 U KR20060004380 U KR 20060004380U KR 200415034 Y1 KR200415034 Y1 KR 200415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fixed
fixing
installation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04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환웅
박정웅
Original Assignee
한광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광건설(주) filed Critical 한광건설(주)
Priority to KR20060004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0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1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 설치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거푸집 설치용 지주는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설치봉과; 설치봉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바닥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닥고정몸체와; 설치봉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거푸집에 고정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거푸집고정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거푸집 설치용 지주는, 하단부가 바닥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거푸집에 고정되며 바닥에 고정되는 부분 및 거푸집에 고정되는 부분이 회전 가능하도로 되어 있어 비스듬히 설치된 상태에서 길이조절수을 통해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거푸집의 설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거푸집의 견고한 설치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거푸집, 설치, 각도, 기울기, 조절

Description

거푸집 설치용 지주{THE PROP FOR INSTITUTION OF MOLDING BOX}
도 1은 본 고안의 거푸집 설치용 지주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거푸집 1a. 거푸집용 판넬
1b. 볼트체결홀 2. 핀
3. 못 4. 철근
10. 설치봉 11. 작은 관체
12. 큰 관체 20. 길이조절수단
21. 핀홀 22. 고정핀
23. 수나사부 23a. 가이드홈
24. 제1암나사몸체 25. 제2암나사몸체
30. 바닥고정몸체 31. 못구멍
32. 볼트삽입구멍 40. 거푸집고정몸체
41. 홀 42. 삽입돌기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 등을 위하여 설치되는 거푸집을 지지해 주는 거푸집 설치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건물의 기둥 및 벽과 슬래브 등을 시공할 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이 설치된다.
이러한 거푸집 중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의 경우 거푸집의 하부를 받쳐주는 수단이 요구되므로 종래에는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1989-0012299호(고저조절식 거푸집 지지주)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주로 거푸집의 하부를 받쳐주고 있었다.
그러나 건물의 기둥이나 벽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은 상기와 같은 지주를 사용하지 못하므로 단순히 철사로 묶은 뒤 양측에서 나무로 고정시켜 놓거나 철사나 와이어 등으로 끌어당겨 고정시켜 놓고 있었다.
그런데 건물의 벽이나 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을 상기와 같이 나무로 고정시켜 놓거나 철사 및 와이어로 고정시켜 놓는 방법을 통해서는 거푸집이 소정의 각도로 세워지도록 하는 것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즉, 기둥은 수직으로 세워지고, 벽은 대부분 수직으로 세워지지만 특별한 경 우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각도로 세워지기도 하는데 상기와 같이 나무나 철사 또는 와이어를 사용하는 방법을 통해서는 거푸집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던 것이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이나 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의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거푸집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거푸집 설치용 지주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거푸집 설치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설치봉의 하단부가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단부가 거푸집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하되 하단부와 상단부의 고정된 부분이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봉이 비스듬히 설치되어 거푸집을 지지하면서 길이 조절에 따라 거푸집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거푸집 설치용 지주는,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설치봉을 갖는다.
또, 설치봉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바닥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닥고정몸체를 갖는다.
또, 설치봉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거푸집에 고정 가능 하도록 되어 있는 거푸집고정몸체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이나 기둥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설치각도 즉, 거푸집이 세워지는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거푸집의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설치봉(10)은 하부가 바닥에 고정된 상태에서 거푸집(1)에 연결되는 상부가 전, 후진되도록 하여 즉,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여 거푸집(1)이 세워지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설치봉(10)에는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길이조절수단(20)이 구비된다.
이러한 길이조절수단(20)은 이미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1989-0012299호와 같이 작은 관체가 큰 관체 내부로 삽입되거나 돌출됨으로써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된 구조에서 큰 관체에 고정된 고정수단이 작은 관체를 가압하여 작은 관체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작은 관체를 가압하는 구조는 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는 길이조절 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도 1 및 도 2와 같은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의 길이조절수단(20)은 작은 관체(11)가 큰 관체(12) 내부로 삽입되거나 돌출됨으로써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된 구조에 적용되어 있으며, 핀홀(21)과 고정핀(22)과 수나사부(23)와 제1암나사몸체(24)를 가지고 있다.
핀홀(21)은 작은 관체(11)에 형성되어 있는데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을 때 길이 조절의 폭이 커 바람직하다.
고정핀(22)은 상기 핀홀(21)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큰 관체(12)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수나사부(23)는 큰 관체(12)에 형성되어 있고, 핀홀(21)에 삽입된 고정핀(22)이 큰 관체(12)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 하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23a)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1암나사몸체(24)는 수나사부(23)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핀홀(21)에 삽입된 고정핀(22)의 하부에 위치되어 고정핀(22)을 받쳐주는 것이다.
따라서 제1암나사몸체(24)가 수나사부(23)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큰 관체(12)를 따라 서서히 전, 후진되면 고정핀(22)이 제1암나사몸체(24)를 따라 움직여 작은 관체(11)가 상, 하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제1암나사몸체(24)와의 사이에 고정핀(22)을 두고 수나사부(23)에 체결되는 제2암나사몸체(25)를 구비하면 고정핀(22)이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암나사몸체(25)를 갖는 지주는 거푸집(1)의 양측이 아닌 일측 에만 설치하여도 거푸집의 견고한 설치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바닥고정몸체(30)는 설치봉(10)의 하단부를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바닥고정몸체(30)는 바닥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닥고정몸체(30)를 바닥에 고정함에 있어서 못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바닥고정몸체(30)에 다수 개의 못구멍(31)을 형성하거나 앙카볼트를 박아 고정할 수도 있도록 볼트삽입구멍(3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본 고안은 비스듬히 설치된 설치봉(10)의 길이를 조절하여 거푸집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므로 바닥고정몸체(30)를 설치봉(10)에 연결함에 있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거푸집고정몸체(40)는 설치봉(1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거푸집(1)에 고정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치봉(10)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즉, 설치봉(10)의 상단부를 곧바로 거푸집에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곧바로 고정할 경우에는 설치봉(10)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때 고정된 부분이 적절한 각도를 유지할 수 없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거푸집고정몸체(40)를 거푸집에 고정함에 있어서 나무 재질의 거푸집에 못을 박아 고정할 수 있도록 거푸집고정몸체(40)에 다수 개의 못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또, 거푸집에 형성된 각종 홈이나 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다수 개의 거푸집용 판넬(1a)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조립식으로 완성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거푸집용 판넬(1a)의 볼트체결홀(1b)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도 2와 같이 거푸집용 판넬(1a)의 볼트체결홀(1b)d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홀(41)이 형성된 삽입돌기(42)를 거푸집고정몸체(40)에 구비함으로써 사용시 삽입돌기(42)를 볼트체결홀(1b)에 삽입한 후 핀(2)을 홀(41)에 끼워 고정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수직으로 세워진 콘크리트 벽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설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설치봉(10)의 하단부는 바닥고정몸체(30)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고, 설치봉(10)의 상단부는 거푸집고정몸체(40)에 의해 거푸집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즉, 설치봉(10)이 기울어져 있는 상태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과 거푸집(1)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거푸집(1)이 완성되었을 때 거푸집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지 못하므로 설치봉(10)에 구비된 길이조절수단(20)을 통해 설치봉(10)의 길이를 조절하면 거푸집(1)의 설치 각도를 수직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길이조절수단(20)의 예로 설명하면, 설치봉(10)의 길이가 길어져야 거푸집(1)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는 조건에서는 고정핀(22)이 상부로 이동될수 있도록 제2암나사몸체(25)를 회전시켜 상부로 충분히 이동시킨다.
제2암나사몸체(25)가 상부로 이동되면 제1암나사몸체(24)를 회전시켜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고정핀(22)도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암나사몸체(24)에 의해 고정핀(22)이 상부로 이동되면 작은 관체(11)가 큰 관체(12)로부터 더욱 돌출되면서 길이가 들어난다.
설치봉(10)의 길이가 짧아져야 거푸집(1)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는 조건에서는 고정핀(22)이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1암나사몸체(24)를 회전시켜 하부로 이동시킨다.
제1암나사몸체(24)가 하부로 이동되면 제2암나사몸체(25)를 회전시켜 고정핀(22)을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암나사몸체(25)에 의해 고정핀(22)이 하부로 이동되면 작은 관체(11)가 큰 관체(12) 내로 들어가면서 길이가 줄어든다.
상기와 같이 설치봉(10)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더라도 설치봉(10)과 바닥고정몸체(30)의 연결부 및 설치봉(10)과 거푸집고정몸체(40)의 연결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바닥이나 거푸집에 고정된 부분이 적절하게 대응된다.
제1암나사몸체(24)와 제2암나사몸체(25)의 사이에 고정핀(22)이 위치된 상태로 상호 가압하도록 회전시켜 놓으면 외압이 작용하여도 설치봉(10)의 길이가 변하지 않게 되므로 도 2와 같이 거푸집의 어느 한 방향에만 본 고안의 지주를 설치하 여도 거푸집의 견고한 설치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제2암나사몸체(25)를 갖지 않는 지주는 거푸집의 양측에 설치하여 거푸집의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거푸집 설치용 지주는, 하단부가 바닥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거푸집에 고정되며 바닥에 고정되는 부분 및 거푸집에 고정되는 부분이 회전 가능하도로 되어 있어 비스듬히 설치된 상태에서 길이조절수을 통해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거푸집의 설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거푸집의 견고한 설치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Claims (5)

  1. 지주에 있어서,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설치봉과;
    상기 설치봉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바닥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닥고정몸체와;
    상기 설치봉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거푸집에 고정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거푸집고정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거푸집 설치용 지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봉은 작은 관체가 큰 관체 내부로 삽입되거나 돌출됨으로써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된 것이고,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작은 관체에 형성된 핀홀과;
    상기 핀홀에 삽입되는 고정핀과;
    상기 큰 관체에 형성되며 핀홀에 삽입된 고정핀이 큰 관체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 하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홈을 갖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에 체결되고 핀홀에 삽입된 고정핀의 하부에 위치되어 고정핀을 받쳐주는 제1암나사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설치 용 지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고정몸체에는 바닥에 고정함에 있어 못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고 앙카볼트를 박아 고정할 수도 있도록 다수 개의 못 구멍과 볼트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설치용 지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고정몸체는 거푸집용 판넬의 볼트체결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삽입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설치용 지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나사몸체와의 사이에 고정핀을 두고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제2암나사몸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설치용 지주.
KR20060004380U 2006-02-16 2006-02-16 거푸집 설치용 지주 KR200415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4380U KR200415034Y1 (ko) 2006-02-16 2006-02-16 거푸집 설치용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4380U KR200415034Y1 (ko) 2006-02-16 2006-02-16 거푸집 설치용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034Y1 true KR200415034Y1 (ko) 2006-04-26

Family

ID=4042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04380U KR200415034Y1 (ko) 2006-02-16 2006-02-16 거푸집 설치용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0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1272A1 (en) * 2007-04-20 2008-10-30 Craig Myhre Window opening protector
KR200448793Y1 (ko) 2008-04-11 2010-05-24 윤병주 거푸집수평조절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1272A1 (en) * 2007-04-20 2008-10-30 Craig Myhre Window opening protector
KR200448793Y1 (ko) 2008-04-11 2010-05-24 윤병주 거푸집수평조절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2149A (en) Construction device
KR200415034Y1 (ko) 거푸집 설치용 지주
US20100162656A1 (en) Middle pour anchor bolt holder
CN113738023B (zh) 一种半预制半现浇型构造柱及其组装结构和施工方法
ITBO20060649A1 (it) Apparato per l'ancoraggio rigido tra travi prefabbricate portasolaio e pilastri prefabbricati, nelle costruzioni edilizie con intelaiatura pluripiano ed in cemento armato.
JP2017061841A (ja) コンクリート型枠構造体
KR200352506Y1 (ko) 거푸집 지지구조
JP2009114738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接合構造
KR20220010301A (ko) 유로폼용 데크패널
JP6231060B2 (ja) 耐震性石積構造及び耐震性石積構造の施工方法
JPH09184143A (ja) 独立フーチング基礎の形成方法
JP5658455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2006138143A (ja) ブロック及びその固定方法
JPH038954A (ja) 壁用コンクリートパネルおよびコンクリートパネルを用いた壁の施工方法
JPH10131485A (ja) コンクリート型枠支持具
JP7275793B2 (ja) 位置調整装置及び構真柱の位置調整方法
JPH0562161B2 (ko)
JP7422497B2 (ja) 柱状基礎構造体成型部材、建築基礎の施工方法
KR101110744B1 (ko) 경사구조물의 수직 포스트텐션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9275475A (ja) アンカーボルトによる支柱の立設工法及びアンカーボルトベンダー
CN210857601U (zh) 用于装配式剪力墙的抗剪组件
JPH068468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立設方法
JP2977139B2 (ja) 構築物設置用の立上り部構築工法と立上り部材
KR200233319Y1 (ko) 조립식 l형 옹벽
JP6062587B1 (ja) 浮かし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