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241U -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241U
KR19990015241U KR2019970028470U KR19970028470U KR19990015241U KR 19990015241 U KR19990015241 U KR 19990015241U KR 2019970028470 U KR2019970028470 U KR 2019970028470U KR 19970028470 U KR19970028470 U KR 19970028470U KR 19990015241 U KR19990015241 U KR 199900152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formwork panel
support
plate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준원
Original Assignee
임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준원 filed Critical 임준원
Priority to KR2019970028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5241U/ko
Publication of KR199900152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241U/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고안은 건축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푸집판넬의 높이를 조절하여주는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판넬이 설치완료된 상태에서도 조절너트의 죄고 푸는 동작에 의해 거푸집판넬의 미세높이를 조절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정확하게 거푸집을 설치할수 있게되고 아울러 향상된 작업성과 신속한 작업성을 얻을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거푸집판넬(113)을 상,하측으로 승강시켜서 높이를 조절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대(101)에 결합되는 승강판(106)과,
상기 승강판(06)을 거푸집판넬(113)이 안착된 상태에서도 미세조절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승강판의 미세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
본고안은 건축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푸집판넬의 높이를 조절하여 주는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판넬이 설치완료된 상태에서도 조절너트의 죄고 푸는 동작에 의해 거푸집판넬의 미세높이를 조절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정확하게 거푸집을 설치할수 있게되고 아울러 향상된 작업성과 신속한 작업성을 얻을수 있는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짐은 시멘트몰탈을 소정의 형상으로 만들기 위하여 설치되어 진다.
상기의 거푸집은 여러장의 판넬을 이용하여 시멘트몰탈이 투입될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거푸집판넬의 설치는 작업자가 못을 박아 설치를 하였기 때문에 판넬의 종열과 횡열 그리고 판넬들간의 높이가 서로 정확하게 맞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거푸집판넬들을 이용하여 시멘트몰탈을 한뒤 양생을 시키면 시멘트벽이 울퉁불퉁하게 되고 벽체의 상단부가 일정하게 정열되지 못하게 되므로 보충시공을 해야하는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고안이 1997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호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동일 출원인임)이다.
상기의 높이조절장치는 거푸집판넬들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출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대의 일측안내공을 따라 승강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이 일정높이로 승강된뒤 그위치를 유지할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받침판의 고정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는 받침판의 높이를 먼저 일률적으로 맞추어 놓은 상태에서 상기의 받침판에 거푸집판넬을 안착시키게 된다.
즉, 상기 받침판과 연결된 보울트에 채결되어 있는 너트를 풀어서 받침판을 상,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받침판에 연결된 고정편이 일측안내공을 따라 승강을 하게 되므로 받침판의 높이를 맞출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받침판의 높이를 맞춘뒤에는 다시 상기의 너트를 보울트에 죄면 너트의 체결력에 의해 보울트에 결합된 걸리편이 높이조절홈에 조여지면서 조절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받침판에 거푸집판넬을 안착시킬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고안은 받침판의 높이를 먼저 맞춘뒤 거푸집판넬을 정열시키는 수단이므로 거푸집판넬이 정열완료된 상태에서 받침판의 높이를 재조절하기가 매우 힘들게 된다.
즉, 상기의 받침판을 재조절 하기 위해서는 너트를 풀어서 받침판을 이동시켜야 하는바, 상기의 받침판에는 상당한 무게의 거푸집판넬이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사람이 힘을 모아 상기의 거푸집판넬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 비로소 재조정을 할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판에 거푸집이 안착완료된 상태에서는 받침판의 높이를 재조정하기가 매우 힘들고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고안의 목적은,
지지대의 승강판에 거푸집판넬이 안착완료된 상태에서도 승강판의 높이를 용이 하게 조절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향상된 작업성을 얻을수 있고 정확한 시공을 할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거푸집판넬을 안착하고 있는 승강판을 고정편으로 연결하고 있는 나사봉에 체결된 조절너트의 회전및 역회전에 의해 승강시킬수 있도록 하면 본고안의 목적을 달성 할수 있게 된다.
도1은 본고안 높이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2는 본고안 높이조절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단면도
도3은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설명>
101-지지대 102-삽입공간
103-브라케트 104-승강공
105-통공 106-승강판
107-고정공 108-와셔
109-삽입공 110-나사봉
111-고정편 112-조절너트
113-거푸집판넬
본고안의 구성을 도1 내지 도3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거푸집판넬(113)을 상,하측으로 승강시켜서 높이를 조절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대(101)에 결합되는 승강판(106)과,
상기 승강판(06)을 거푸집판넬(113)이 안착된 상태에서도 미세조절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승강판의 미세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의 미세조절수단은 승강판(106)에 형성되는 고정공(107)과,
상기 고정공(107)으로 지지대(101)의 승강공(104)을 관통하여 결합된뒤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111)과,
상기 상기 고정편(111)으로 결합되어 승강공(104)을 따라 상,하측 으로 이동되면서 승강시 승강판(106)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공(104)과 접촉되는 와셔(108)와,
상기 와셔(108)가 결합된 고정편(111)을 지지하기 위하여 고정편(111)에 부착되는 나사봉(110)과,
상기 나사봉(110)을 죄고 푸는 동작으로 승강판(106)을 승강시켜 높이를 조절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브라케트(103)의 통공(105)으로 노출된 나사봉(110)에 체결 되는 조절너트(112)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의 와셔(108)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승강판(106)이 하강시 지지대(101)의 높이와 동일하게 안착되도록 지지대(101)에 삽입공간(102)을 더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의 승강판(106)이 하강시 지지대(101)의 상면과 접촉되면서 안착되도록 지지대(101)에 삽입공간(102)없는 상태의 평판으로 더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의 작용을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고안의 지지대(101)를 거푸집판넬(113)을 설치할 위치에 횡열과 종열을 맞추어 정열시킨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01)에결합된 승강판(106)에는 거푸집판넬(113)을 올려놓는다.
상기와 같이 승강판(106)에 올려진 거푸집판넬(113)은 임시로 올려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정확한 높이를 유지할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고안의 브라케트(103)에 결합된 조절너트(112)를 회전시키면 나사봉(110)이 브라케트(103)의 통공(105)을 통해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승강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봉(110)의 승강에 의해 나사봉(110)에 형성된 고정편(111)도 승강을 할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편(111)에 삽입공(109)을 결합하고 있는 와셔(108)도 지지대(101)의 승강공(104)의 안내를 받으면서 승강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111)을 고정공(107)으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고 있는 승강판(106)도 도2와 같이 승강할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승강판(106)에 거푸집판넬(113)을 안착시킨 상태에서도 승강판(106)의 미세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와셔(108)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승강판(1060의 승강시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게된다.
또한, 상기의 지지대(101)에 도1과 같이 형성된 삽입공간(102)에 의해 승강판(106)이 하강시 지지대(101)의 높이와 동일하게 안착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보다 폭넓은 높이조절을 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3과 같이 지지대(101)를 삽입공간(102)없는 상태의 평판으로 형성시키면 승강판(106)이 하강시 지지대(101)의 상면과 접촉되면서 안착되어지므로 보다 안정된 지지를 할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은, 거푸집판넬을 안착하고 있는 승강판을 고정편으로 연결 하고 있는 나사봉에 체결된 조절너트의 회전및 역회전에 의해 지지대의 승강판에 거푸집판넬이 안착완료된 상태에서도 승강판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향상된 작업성을 얻을수 있고 정확한 시공을 할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거푸집판넬(113)을 상,하측으로 승강시켜서 높이를 조절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대(101)에 결합되는 승강판(106)과,
    상기 승강판(06)을 거푸집판넬(113)이 안착된 상태에서도 미세조절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승강판의 미세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의 미세조절수단은 승강판(106)에 형성되는 고정공(107)과,
    상기 고정공(107)으로 지지대(101)의 승강공(104)을 관통하여 결합된뒤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111)과,
    상기 상기 고정편(111)으로 결합되어 승강공(104)을 따라 상,하측 으로 이동되면서 승강시 승강판(106)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공(104)과 접촉되는 와셔(108)와,
    상기 와셔(108)가 결합된 고정편(111)을 지지하기 위하여 고정편(111)에 부착되는 나사봉(110)과,
    상기 나사봉(110)을 죄고 푸는 동작으로 승강판(106)을 승강시켜 높이를 조절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브라케트(103)의 통공(105)으로 노출된 나사봉(110)에 체결 되는 조절너트(112)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와셔(108)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승강판(106)이 하강시 지지대(101)의 높이와 동일하게 안착되도록 지지대(101)에 삽입공간(102)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승강판(106)이 하강시 지지대(101)의 상면과 접촉되면서 안착되도록 지지대(101)에 삽입공간(102)없는 상태의 평판으로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
KR2019970028470U 1997-10-14 1997-10-14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 KR199900152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470U KR19990015241U (ko) 1997-10-14 1997-10-14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470U KR19990015241U (ko) 1997-10-14 1997-10-14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241U true KR19990015241U (ko) 1999-05-15

Family

ID=69676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470U KR19990015241U (ko) 1997-10-14 1997-10-14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524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743B1 (ko) * 2000-07-12 2003-08-19 (주)거화종합건축사사무소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743B1 (ko) * 2000-07-12 2003-08-19 (주)거화종합건축사사무소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9908A (en) Post base elevator
JPH05214731A (ja) 柱脚固定装置
WO200607639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modular building
KR19990015241U (ko) 거푸집판넬의 높이조절장치
KR100466869B1 (ko) 바닥슬라브 거푸집 지지서포트용 신축부재
KR200168782Y1 (ko) 거푸집 판넬의 높이조절장치
KR100731303B1 (ko) 거푸집 높이조절장치
US4656753A (en) Post support unit for a building profile
KR200182815Y1 (ko)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장치
KR100745024B1 (ko)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KR200182865Y1 (ko) 거푸집 레벨 조정장치
KR200291498Y1 (ko) 레벨조절용 거푸집 받침대
CN213062762U (zh) 一种装配式地面快速调平装置
KR102250673B1 (ko) 건축용 외장패널 수평조절장치 및 설치방법
JPH0450329Y2 (ko)
KR200280824Y1 (ko) 마루바닥 시공장치
KR200298087Y1 (ko) 바닥슬라브 거푸집 지지서포트용 신축부재
KR100417021B1 (ko) 건축물 외벽 치장용 석재 고정장치
CN214819560U (zh) 一种预制墙板吊环高度定位装置
JPH074260Y2 (ja) 壁面施工構造
KR950008947Y1 (ko) 천정 판재 조립구
KR200365824Y1 (ko)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 구조
KR20030035733A (ko) 거푸집 패널용 수평 고정장치
JPH0128124Y2 (ko)
KR200242422Y1 (ko) 조립식 티형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