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815Y1 -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815Y1
KR200182815Y1 KR2019990028046U KR19990028046U KR200182815Y1 KR 200182815 Y1 KR200182815 Y1 KR 200182815Y1 KR 2019990028046 U KR2019990028046 U KR 2019990028046U KR 19990028046 U KR19990028046 U KR 19990028046U KR 200182815 Y1 KR200182815 Y1 KR 200182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tate
piece member
sides
adjusting piec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규근
Original Assignee
채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규근 filed Critical 채규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8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이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그 구성품이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하며, 바닥면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바닥면을 균일한 수평상태로 시공할 수 있도록 그 구성을 수평상태의 바닥면을 시공하기 위한 통상의 프리폼에 있어서, 절곡되어 겹쳐져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삽입공이 형성하되, 그 삽입공의 양측으로 수직선상의 장공이 형성되는 조절편부재와; 상기 조절편부재의 양측면으로 일반적인 고정수단에 의해 체결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체결면과 재치면을 형성하되, 상기 체결면에는 양측으로 수직선상의 장공이 형성된 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부재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장치{an apparatus for constructing the floor horizontally}
본 고안은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이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그 구성품이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하며, 바닥면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바닥면을 균일한 수평상태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발전소, 공항, 학교, 도서관, 백화점, 체육관 및 기념관 등과 같은 건축물의 바닥면은 비교 균일한 수평상태로 시공되어야 마감재 및 추후로 설치되는 여러 시설 등의 설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러한 종래의 바닥면 시공방법에는 가장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철근을 체결한 후 타설된 콘크리트를 공급한 다음 거푸집 등을 사용하여 평탄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거푸집의 설치 및 제거에 많은 번거러움이 발생함은 물론 거푸집의 제거시 콘크리트가 파손되는 문제점 및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거푸집을 현수하는 별도의 현수장치등이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또한, 거푸집의 연결구등의 별도로 구비됨은 물론 그 연결부의 바닥면이 돌출되는 문제점과, 또 거푸집의 비틀림으로 인해 바닥면의 표면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고 부분 부분이 함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 프리폼(freeform)이 안출되었는 데,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종래 수평상태의 바닥면을 시공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 상측에 상면이 평면상태인 지지턱(5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바닥으로 재치되는 재치리이브(54)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턱(52)과 재치리이브(54) 사이에는 함입되어 상측과 하측으로 일정간격을 갖도록 다수의 철근 삽입공(55a)이 형성된 지지벽(55)으로 구성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프리폼(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의 양측으로 놓은 상태에서 먼저 프리폼(50)의 그 자체의 수평을 조절하여 맞추고, 그 연결되는 길이방향의 프리폼(50)과 프리폼(50)을 몰타르하여 연결시킨 후, 삽입공(55a)으로 철근을 삽입한 다음 타설된 콘크리트를 공급하고, 지지턱(52)의 상면으로 통상의 표면처리 진동기를 재치하여 이동시키면서 공급된 콘크리트의 표면을 수평상태로 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프리폼(50)은 그 자체가 철심을 내장하면서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관계로, 양생과정이 번거럽고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특히 동절기에는 생산량이 극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그 높이가 일정한 높이로 한정되도록 성형됨에 따라 그 자체를 수평상태로 조절하는 과정이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 및 지지턱(52)의 상면 폭으로 인하여 평탄성을 갖도록 시공된 후에도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그 지지턱(52)이 위치한 부분에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도 5는 종래 또 다른 수평상태의 바닥면을 시공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바닥편(62)의 상면에 한쌍의 나선봉(64)이 설치된 받침부재(65)와; 상기 나선봉(6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절곡되어 수직면(66)과 수평면(68)이 형성된 수평조절편(69)으로 구성되되, 상기 수평면(68)에는 상기 나선봉(64)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또 다른 프리폼(60)은 받침부재(65)의 나선봉(64)에서 수평조절편(69)의 높이를 수평면(68)으로 체결되는 상,하 너트(64a)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은 있었다.
그러나, 상기 수평조절편(69)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나선봉(64)으로 체결된 수평면(68)의 상,하 너트(64a)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상측너트(64a)와 하측너트(64a)를 일일이 작업자가 조절해야 하므로, 그 높이조절공정이 상당히 번거러워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또 철근 등을 별도로 체결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 또한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높이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그 구성품이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하며, 바닥면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바닥면을 균일한 수평상태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평상태의 바닥면을 시공하기 위한 통상의 프리폼에 있어서, 절곡되어 겹쳐져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삽입공이 형성하되, 그 삽입공의 양측으로 수직선상의 장공이 형성되는 조절편부재와; 상기 조절편부재의 양측면으로 일반적인 고정수단에 의해 체결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체결면과 재치면을 형성하되, 상기 체결면에는 양측으로 수직선상의 장공이 형성된 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부재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편부재의 삽입공이 상측과 하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쌍의 지지부재를 체결면이 맞닿도록 일체로 형성하되, 그 체결면 사이로 조절편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 조절편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2b는 본 고안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도.
도 3b는 도 3a에 따른 조절편부재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
도 4는 종래 수평상태의 바닥면을 시공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종래 또 다른 수평상태의 바닥면을 시공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절편부재 12 : 삽입공
14,24 : 장공 20 : 지지부재
21 : 인입홈 22 : 끼움홈
26 : 체결면 28 : 재치면
30 : 보강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 수평상태의 바닥면을 시공하기 위한 통상의 프리폼에 있어,
절곡되어 겹쳐져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삽입공(12)이 형성하되, 그 삽입공(12)의 양측에는 수직선상의 장공(14)이 형성되는 조절편부재(10)와;
상기 조절편부재(10)의 양측면으로 일반적인 고정수단인 고정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체결면(26)과 재치면(28)을 형성하되, 상기 체결면(26)에는 양측으로 수직선상의 장공(24)이 형성된 수개의 끼움홈(22)이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부재(2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지지부재(20)에 형성되는 끼움홈(22)과 장공(24)은 조절편부재(10)에 형성되는 삽입공(12)과 장공(1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는 본 고안 조절편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측면도로, 상기한 조절편부재(10)의 삽입공(12)을 상측과 하측으로 단차지게 형성시켜, 삽입공(12)으로 삽입되어 결속되는 철근 등을 바닥면의 높낮이에 따라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b는 본 고안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 상기한 한쌍의 지지부재(20)를 체결면(26)이 맞닿도록 일체로 형성하되, 그 체결면(26) 사이로 상기 조절편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21)을 형성시켜 구성품을 보다 간소화하고, 조립고정 또한 간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각각의 지지부재(20)를 조절편부재와 맞닿게 하여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20)의 인입홈(21)으로 조절편부재를 삽입시켜 바로 체결하여 높이조절을 할 수 있어 조립공정 상에서 분리된 각각의 지지부재(20)를 맞닿게 하는 한번의 조립공정을 삭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따른 조절편부재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로, 먼저 바닥 슬라브의 판넬에 한쌍의 지지부재(20)의 재치면(28)을 사용하여 재치하고, 그 체결면(26) 사이로 조절편부재(10)를 삽입시킨 후 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장공(14)(24)에 일반적인 고정수단인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조절편부재(10)를 가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조절편부재(10)의 상단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조절편부재(10)를 상하측으로 이동시켜 수평상태를 맞춘 후 장공(14)(24)으로 체결되어 있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조절편부재(10)가 상하측으로 유동될 수 있는 것을 삽입공(12)과 끼움홈(22)의 양측으로 형성된 장공(14)(24)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절편부재(10)가 수평상태로 위치하여 고정되면 그 조절편부재(10)에 형성된 삽입공(12)으로 철근 등의 일단을 삽입시킨 후 철근을 결속하는 작업을 행한다.
그 후, 상기 철근 결속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조절편부재(10) 사이로 타설된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표면처리 진동기를 상기 조절편부재(10)의 상단으로 올려 놓은 다음 진동기를 작동시켜 이동시킴에 따라 주입된 콘크리트의 표면이 균일한 평탄성을 가지게 시공되면서 모든 작업공정이 완료되어 지는 것이다.
또한, 도 3a에서와 같이 지지부재(20)와 지지부재(20)의 사이 조절편부재(10)의 일면에는 콘크리트가 공급된 상태에서 그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서나 진동기가 재치되어 이동시에 조절편부재(10)가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고정방식인 스크류 체결방식이나, 일반적인 결합방식인 용접등으로 고정되는 보강편(30)을 설치함으로써, 지지부재(20) 사이의 조절편부재(1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닥면의 수평상태로 시공하기 위한 프리폼의 높이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그 구성품이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하며, 바닥면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균일한 수평상태로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수평상태의 바닥면을 시공하기 위한 통상의 프리폼에 있어서, 절곡되어 겹쳐져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삽입공(12)이 형성하되, 그 삽입공(12)의 양측으로 수직선상의 장공(14)이 형성되는 조절편부재(10)와; 상기 조절편부재(10)의 양측면으로 일반적인 고정수단에 의해 체결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체결면(26)과 재치면(28)을 형성하되, 상기 체결면(26)에는 양측으로 수직선상의 장공(24)이 형성된 수개의 끼움홈(22)이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부재(1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편부재(10)의 삽입공(12)이 상측과 하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지지부재(20)를 체결면(26)이 맞닿도록 일체로 형성하되, 그 체결면(26) 사이로 조절편부재(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장치.
KR2019990028046U 1999-12-13 1999-12-13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장치 KR20018281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234A KR100356352B1 (ko) 1999-12-13 1999-12-13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234A Division KR100356352B1 (ko) 1999-12-13 1999-12-13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815Y1 true KR200182815Y1 (ko) 2000-05-15

Family

ID=196254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046U KR200182815Y1 (ko) 1999-12-13 1999-12-13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장치
KR1019990057234A KR100356352B1 (ko) 1999-12-13 1999-12-13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234A KR100356352B1 (ko) 1999-12-13 1999-12-13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28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012B1 (ko) * 2019-08-09 2020-06-08 주식회사 브이이에스 클린부스의 하부밀폐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236B1 (ko) * 2002-11-06 2006-01-23 송영택 레벨링 장치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0771441B1 (ko) * 2006-07-13 2007-10-30 송영택 레벨링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플로어 폴리싱 시스템
KR102158431B1 (ko) * 2019-08-27 2020-09-21 주식회사 비비엠코리아 복합 강관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KR102639995B1 (ko) 2023-07-04 2024-02-22 원유상 몰탈을 이용한 셀프레벨링 시공 방법 및 그에 의한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012B1 (ko) * 2019-08-09 2020-06-08 주식회사 브이이에스 클린부스의 하부밀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900A (ko) 2001-07-04
KR100356352B1 (ko) 200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999B1 (ko) 개량형 동바리, 자립식 개량형 동바리 및 이를 이용한거푸집 설치구조
KR100558596B1 (ko)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KR200182815Y1 (ko)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장치
JP4982217B2 (ja) 設備用基礎構造体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JP3673108B2 (ja) 中空スラブのボイド部材設置方法
KR100357488B1 (ko) 슬래브 및 보 동시 구축용 테이블 폼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JP2931761B2 (ja) 外壁材取付用固定装置及び同固定装置を用いた中・高層建築物の積層工法
KR200249907Y1 (ko)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
JP2007217871A (ja) 乾式基礎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238510Y1 (ko) 건설용 철근의 이격구
KR102150222B1 (ko) 트러스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JPH07286332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の施工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据付用スペーサー
KR200367616Y1 (ko) 거푸집 지지용 수직조절대
KR100453952B1 (ko) 매설용 앵커볼트의 고정구조
CN214055790U (zh) 吊钉绑扎工装
KR100459011B1 (ko) 다층콘크리트 건축물의 연결부재 및 그 설치방법
KR100356087B1 (ko)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KR200151563Y1 (ko) 슬라브용 패널 지지장치
KR200365824Y1 (ko)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 구조
KR200242422Y1 (ko) 조립식 티형 옹벽
KR200215026Y1 (ko)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200389431Y1 (ko) 바닥 콘크리트층의 수평레벨링장치
KR200289691Y1 (ko) 천정 및 벽면 패널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