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087B1 -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 Google Patents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087B1
KR100356087B1 KR1019990065619A KR19990065619A KR100356087B1 KR 100356087 B1 KR100356087 B1 KR 100356087B1 KR 1019990065619 A KR1019990065619 A KR 1019990065619A KR 19990065619 A KR19990065619 A KR 19990065619A KR 100356087 B1 KR100356087 B1 KR 100356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or
support
leveling device
fixed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5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5699A (ko
Inventor
송영택
Original Assignee
송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택 filed Critical 송영택
Priority to KR1019990065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087B1/ko
Priority to KR2019990030371U priority patent/KR200182708Y1/ko
Publication of KR20010065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0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6Spacers having means to adapt the spacing d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1Devices or auxiliary means for setting-out or checking the configuration of new surfacing, e.g. templates, screed or reference line supports; Applications of apparatus for measu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surface configuration of existing surfacing, e.g. profilograph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4Patterns or templates; Jointing rulers
    • E04F21/05Supports for jointing ru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공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고정홀(1)이 형성된 고정리브(2)가 돌출된 지지판(3)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3)의 중앙에 지지 몸체(4)가 외측에 수나사(5)가 절삭된 상태로 설치된 하부지지체(6)와, 이 하부지지체(6)의 지지 몸체(4)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암나사가 절삭된 상부 몸체(7)가 외측에 고정홀(1)이 형성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몸체(7)의 상단면에 로케이터(8)가 설치되되 이 로케이터(8)의 상부에 받침돌기(9)가 형성됨과 더불어 받침돌기(9)의 좌우에 로케이트 핀(10)이 형성되며, 상기 로케이터(8)의 상부에 로케이트 홀(11)이 다수 형성된 높이조절체(12) 및, 상기 높이조절체(12)의 로케이터(8)에 올려져 고정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레일 몸체(13)가 구비되고, 각각의 레일 몸체(13) 내측에 리베이팅 핀(14)이 삽입고정됨으로써 레일 몸체(1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레일 몸체(13)의 접촉면에 다수의 장공(15)이 형성된 레벨 조인트(16)로 이루어져,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정밀한 위치조절을 함으로써 바닥 시공시의 수평유지를 위한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시공성 향상에 따른 공사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A leveling device for carrying out the ground}
본 발명은 바닥 시공시에 사용되는 수평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정밀한 위치조절을 함으로써 바닥 시공시의 수평유지를 위한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저비용으로 다양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된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시에 건물의 바닥이나 방바닥 등과 같이 바닥을 평평하게 만들어주는 작업을 하게 되는 바, 상기와 같은 바닥 시공시 바닥의 높이를 수평되게 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바닥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전체적인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링 장치가 사용되는 것이다.
즉, 상기 레벨링 장치는 바닥 시공시 바닥에 놓여진 상태에서 바닥을 수평되게 높이조절을 함과 더불어 바닥에 공급되는 시멘트나 콘크리트 등에 뭍혀진 상태로 바닥의 내부에서 다수의 지지 구조물들과 함께 바닥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장비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레벨링 장치의 종래 구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정길이를 갖도록 된 몸체 프레임(101)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 프레임(101)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설치홀(102)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설치홀(102)에 철근(103)이 삽입고정된 상태로 상기 몸체 프레임(101)과 수직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몸체 프레임(101)의 좌우측에 높이조절용 나사(104)가 각각 설치된 구조이다.
즉, 상기 레벨링 장치(105)는 바닥 시공시 바닥의 높이를 상기 높이조절용 나사(104)의 회전에 의해 몸체 프레임(101)이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고, 상기 설치홀(102)을 통해 다수의 철근(103)을 고정설치함으로써 바닥에 내구성을 부여하는 지지 구조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벨링 장치(105)를 이용하여 바닥 시공을 하게 되는 바, 시공할 바닥면의 좌우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상기 레벨링 장치(105)를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레벨링 장치(105)의 높낮이를 정확하게 맞춘 후 다수의 철근(103)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배근작업을 완료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철근(103)에 콘크리트(106)를 타설하고 바닥을 고르는 장비(107)를 이용하여 바닥을 수평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레벨링 장치(105)는 높이조절용 나사(104)를 이용하여 그 높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고, 시멘트나 콘크리트에 의해 바닥의 내측에 수용되는 몸체 프레임(101)이 연속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바닥 내부의 시멘트나 콘크리트를 절단하게 되어 바닥 전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레벨링 장치(105)에 철근(103)을 설치하기가 까다롭기 때문에 전반적인 바닥 시공시의 작업성을 어렵게 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정밀한 위치조절을 함으로써 바닥 시공시의 수평유지를 위한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시공성 향상에 따른 공사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공면에 부착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리브가 돌출된 휠형태의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의 중앙에 원통형의 지지 몸체가 외측에 수나사가 절삭된 상태로 설치된 하부지지체와, 이 하부지지체의 지지 몸체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암나사가 절삭된 상부 몸체가 외측에 고정홀이 형성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몸체의 상단면에 원판형의 로케이터가 설치되되 이 로케이터의 상부에 받침돌기가 형성됨과 더불어 받침돌기의 좌우에 로케이트 핀이 형성되며, 상기 로케이터의 상부에 로케이트 홀이 다수 형성된 높이조절체 및, 상기 높이조절체의 로케이터에 올려져 고정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레일 몸체가 구비되고, 각각의 레일 몸체 내측에 다수의 리베이팅 핀이 삽입고정됨으로써 레일 몸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상기 레일 몸체의 접촉면에 다수의 장공이 형성된 레벨 조인트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상기의 레벨링 장치는 시공면에 고정설치되는 하부지지체와 이 하부지지체에 나사결합되는 높이조절체 및 이 높이조절체의 로케이터면에 고정되는 레벨 조인트로 이루어져, 체결수단의 삽입이나 용접 등에 의해 하부지지체의 지지판이 시공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체의 상부 몸체가 일정 높이를 가지면서 나사결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몸체의 고정홀을 통해 고정수단을 삽입함으로써 레벨링 장치의 높이를 셋팅하게 되며, 상기 높이조절체의 로케이터에 형성된 받침돌기에 상기 레벨 조인트를 삽입시킨 후 체결수단으로 고정함으로써 바닥의 높이를 맞추어 줌과 더불어 다수의 철근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레벨링 장치를 통해 바닥의 높이를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어 간편한 시공에 의한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바닥의 내측에 수용되는 레벨링 장치가 원통형으로 되어 시멘트나 콘크리트의 절단력을 배제함으로써 바닥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바닥 시공시의 작업성 향상으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를 이용하여 바닥 시공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벨 조인트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를 이용하여 바닥 시공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고정홀 2 : 고정리브
3 : 지지판 4 : 지지 몸체
5 : 수나사 6 : 하부지지체
7 : 상부 몸체 8 : 로케이터
9 : 받침돌기 10 : 로케이트 핀
11 : 로케이트 홀 12 : 높이조절체
13 : 레일 몸체 14 : 리베이팅 핀
15 : 장공 15a : 톱니
16 : 레벨 조인트 17 : 레벨링 장치
18 : 접지홀 19 : 고정용 클립
20 : 백업재 21 : 상단 백업재
22 : 하단 백업재 23 : 결합홈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벨 조인트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를 이용하여 바닥 시공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면, 바닥 시공시 바닥면을 수평되게 조절하는 레벨링 장치(17)가 시공면에 설치되되, 상기 레벨링 장치(17)는 시공면에 부착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홀(1)이 형성된 고정리브(2)가 돌출된 휠형태의 지지판(3)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3)의 중앙에 원통형의 지지 몸체(4)가 외측에 수나사(5)가 절삭된 상태로 설치된 하부지지체(6)와, 이 하부지지체(6)의 지지 몸체(4)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암나사가 절삭된 상부 몸체(7)가 외측에 고정홀(1)이 형성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몸체(7)의 상단면에 원판형의 로케이터(8)가 설치되되 이 로케이터(8)의 상부에 받침돌기(9)가 형성됨과 더불어 받침돌기(9)의 좌우에 로케이트 핀(10)이 형성되며, 상기 로케이터(8)의 상부에 로케이트 홀(11)이 다수 형성된 높이조절체(12) 및, 상기 높이조절체(12)의 로케이터(8)에 올려져 고정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레일 몸체(13)가 구비되고, 각각의 레일 몸체(13) 내측에 다수의 리베이팅 핀(14)이 삽입고정됨으로써 레일 몸체(1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레일 몸체(13)의 접촉면에 다수의 장공(15)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외측면에 횡방향으로 다수의 접지홀(18)이 형성된 레벨 조인트(16)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된 레벨링 장치(17)의 특징은 시공면에 고정설치되는 하부지지체(6)와 이 하부지지체(6)에 나사결합되는 높이조절체(12) 및 이 높이조절체(12)의 로케이터(8)면에 고정되는 레벨 조인트(16)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지지체(6)에 결합된 높이조절체(12)의 상하이동에 따라 전체적인 높이가 조절될 수 있고, 상기 높이조절체(12)의 상부에 설치된 로케이터(8)의 받침돌기(9)와 로케이트 핀(10)을 이용하여 상기 레벨 조인트(16)를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하부지지체(6)는 휠형태의 지지판(3)과 이 지지판(3)의 상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의 지지 몸체(4)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판(3)을 시공면에 접촉시킨 후 지지판(3)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홀(1)에 스크류를 삽입시켜 고정하거나 혹은 상기 지지판(3)의 외측에 설치된 다수의 고정리브(2)를 통해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체(6)의 지지판(3)에 고정용 클립(19)이 삽입설치되어, 바닥의 상부에 데크를 설치하여 시공할 때 데크와 상기 고정용 클립(19)을 용접함으로써 상기 하부지지체(6)를 바닥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바닥 시공시의 여러 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상기 레벨링 장치(17)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지지체(6)의 지지 몸체(4)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높이조절체(12)는 원통형의 상부 몸체(7)와 이 상부 몸체(7)에 고정된 원판형의 로케이터(8)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지지체(6)를 통해 상하이동되면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부 몸체(7)의 외측에 형성된 고정홀(1)에 고정수단을 삽입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로케이터(8)의 상부 외측면에는 전후좌우로 각각 대응되는 받침돌기(9)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돌기(9)의 좌우측에는 받침돌기(9)에 삽입고정되는 상기 레벨 조인트(16)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로케이트 핀(10)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로케이터(8)에 형성된 다수의 로케이트 홀(11)을 이용하여 상기 레벨 조인트(16)를 원하는 방향으로 고정설치함으로써 바닥 시공시의 기준 높이가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상기의 레벨링 장치(17)는 시공면에 고정설치되는 하부지지체(6)와 이 하부지지체(6)에 나사결합되는 높이조절체(12) 및 이 높이조절체(12)의 상부에 고정되는 레벨 조인트(16)로 이루어져,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하부지지체(6)의 지지판(3)이 시공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체(12)의 상부 몸체(7)가 일정 높이를 가지면서 나사결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몸체(7)의 고정홀(1)을 통해 고정수단을 삽입함으로써 레벨링 장치(17)의 높이를 셋팅하게 되며, 상기 높이조절체(12)의 로케이터(8)를 통해 바닥의 높이를 맞추어줄 수 있도록 된 상기 레벨 조인트(16)를 고정설치하거나 다수의 레벨 조인트(16)를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레벨링 장치(17)는 하부지지체(6)에 결합된 높이조절체(12)를 정역회전시킴으로써 그 전체의 높이를 높여주거나 낮추어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벨 조인트(16)의 특징은, 상기 레벨 조인트(16)의 레일 몸체(13)에 형성된 공간에 백업재(20)가 탈착가능하게 삽입설치되고, 또한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백업재(20)가 상단 백업재(21)와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하단 백업재(22)로 각각 분리된 상태로 상기 레일 몸체(13)에 고정설치된 것에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벨 조인트(16)의 레일 몸체(13) 일부가 소정각도로 절개되어 결합홈(23)이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레벨 조인트(16)를 수직 및 대각선방향으로 연결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레벨 조인트(16)의 레일 몸체(13)에 형성된 장공(15)에 톱니(15a)가 절삭되어 상기 높이조절체(12)의 로케이터(8)에 상기 레벨 조인트(16)가 그 위치를 조절하면서 정밀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레벨 조인트(16)는 'ㄴ'자형으로 절곡된 두 개의 레일 몸체(13)가 일정간격을 두고 리베이팅 핀(14)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제작되는 바, 상기 레일 몸체(13)의 외측면에는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접지홀(18)이 형성되어 콘크리트와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레일 몸체(13)의 접촉면에는 톱니(15a)가 절삭된 장공(15)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장공(15)에 체결수단을 삽입시켜 하부의 로케이터(8)에 형성된 로케이트 홀(11)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레벨 조인트(16)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일 몸체(13) 사이에 설치되는 리베이팅 핀(14)은 각각의 레일 몸체(13)를 지지함과 더불어 콘크리트 타설 후 레벨 조인트(16)를 손쉽게 제거함으로써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매립시에는 모체내에서 상기 리베이팅 핀(14)을 충격에 의해 분리시키거나 콘크리트의 수축작용으로 자동 분리되게 함으로써 모체에 크랙을 유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레벨 조인트(16)에 설치되는 백업재(20)는 콘크리트 양생 후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거 후 크랙 유도는 물론 별도의 컷팅작업을 할 필요가 없고, 또한 바닥 시공시 처음부터 상기 백업재(20)를 제거한 생태로 사용하게 되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스크리트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벨 조인트(16)의 선단부는 평평하게 제작되거나 혹은 돌출된 상태로 제작되어, 상기 레벨 조인트(16)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23)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높이조절체(12)의 상부에서 십자형으로 결합될 수 있고, 다수의 레벨 조인트(16)가 직선 및 대각선을 이루면서 바닥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벨 조인트(16)에 설치되는 백업재(20)가 2단을 이루는 경우에는 상부의 상단 백업재(21)와 하부의 하단 백업재(22)로 나뉘어져 설치되고, 상기 상단 백업재(21)는 콘크리트 양생후 제거하고, 상기 하단 백업재(22)는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콘크리트에 매립되면서 조인트 필러의 역할을 함으로써 바닥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옥상의 무근 콘크리트 타설시나 내부 토핑용으로 별도의 컷팅작업이 필요없기 때문에 원가절감과 바닥의 정밀한 시공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에 의하면, 바닥의 높이를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어 간편한 시공에 의한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바닥의 내측에 수용되는 레벨링 장치가 원통형으로 되어 시멘트나 콘크리트의 절단력을 배제함으로써 바닥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바닥 시공시의 작업성 향상으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레벨 조인트가 간편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여러가지 기능을 갖기 때문에 바닥 시공에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시공면에 부착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홀(1)이 형성된 고정리브(2)가 돌출된 휠형태의 지지판(3)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3)의 중앙에 수직상방향으로 원통형의 지지 몸체(4)가 외측에 수나사(5)가 절삭된 상태로 고정설치된 하부지지체(6);와
    상기 하부지지체(6)의 지지 몸체(4)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암나사가 절삭된 원통형의 상부 몸체(7)가 외측에 고정홀(1)이 형성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몸체(7)의 상단면에 원판형의 로케이터(8)가 설치되되 이 로케이터(8)의 상부에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받침돌기(9)가 형성됨과 더불어 받침돌기(9)의 좌우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로케이트 핀(10)이 형성되며, 상기 로케이터(8)의 상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로케이트 홀(11)이 다수 형성된 높이조절체(12); 및
    상기 높이조절체(12)의 로케이터(8)에 올려져 고정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레일 몸체(13)가 구비되되, 각각의 레일 몸체(13) 내측에 다수의 리베이팅 핀(14)이 삽입고정됨으로써 레일 몸체(1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 몸체(13)의 접촉면에 레일 몸체(13)를 상기 로케이터(8)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다수의 장공(15)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외측면에 횡방향으로 다수의 접지홀(18)이 형성된 레벨 조인트(16);로 이루어진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체(6)의 지지판(3)에 고정용 클립(19)이 삽입설치되어, 바닥의 상부에 데크를 설치하여 시공할 때 데크와 상기 고정용 클립(19)을 용접함으로써 상기 하부지지체(6)를 바닥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조인트(16)의 레일 몸체(13)에 형성된 공간에 백업재(20)가 탈착가능하게 삽입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재(20)가 상단 백업재(21)와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하단 백업재(22)로 각각 분리된 상태로 상기 레일 몸체(13)에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조인트(16)의 레일 몸체(13) 일부가 소정각도로 절개되어 결합홈(23)이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레벨 조인트(16)를 수직 및 대각선방향으로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조인트(16)의 레일 몸체(13)에 형성된 장공(15)에 톱니(15a)가 절삭되어 상기 높이조절체(12)의 로케이터(8)에 상기 레벨 조인트(16)가 그 위치를 조절하면서 정밀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KR1019990065619A 1999-12-30 1999-12-30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KR100356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619A KR100356087B1 (ko) 1999-12-30 1999-12-30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KR2019990030371U KR200182708Y1 (ko) 1999-12-30 1999-12-30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619A KR100356087B1 (ko) 1999-12-30 1999-12-30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371U Division KR200182708Y1 (ko) 1999-12-30 1999-12-30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699A KR20010065699A (ko) 2001-07-11
KR100356087B1 true KR100356087B1 (ko) 2002-10-18

Family

ID=196328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371U KR200182708Y1 (ko) 1999-12-30 1999-12-30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KR1019990065619A KR100356087B1 (ko) 1999-12-30 1999-12-30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371U KR200182708Y1 (ko) 1999-12-30 1999-12-30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27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854B1 (ko) * 2000-12-29 2003-06-25 송영택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3092A (zh) * 2020-11-24 2021-03-05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通用装配式自调平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854B1 (ko) * 2000-12-29 2003-06-25 송영택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708Y1 (ko) 2000-05-15
KR20010065699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100356087B1 (ko)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CN212176092U (zh) 无支撑点螺杆埋件定位装置和无支撑点杆状埋件定位装置
KR200169480Y1 (ko)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JP200401764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ブロックの型枠装置、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ブロック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ブロックを用いた基礎工法
JP2006322154A (ja) 建築物の基礎構築工法
KR100407860B1 (ko)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JP2004285607A (ja) コンクリートの水平面出し方法及び水平面出し補助具、並びに鉄筋用スペーサ
KR100388854B1 (ko)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KR200182815Y1 (ko)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장치
JPH07259049A (ja) 護岸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209778Y1 (ko)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KR200209779Y1 (ko)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KR200226645Y1 (ko)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KR100364117B1 (ko)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KR200179025Y1 (ko)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KR200237610Y1 (ko)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JP2000179152A (ja) コンクリート基礎の型枠組立構造及び基礎型枠組立施工方法
JPH074261Y2 (ja) 壁面施工用金具
CN219973957U (zh) 一种防墙体开裂的砌筑结构
JP3019138U (ja) 大梁の上面にコッターを製作するための型枠構造
JP3357613B2 (ja) 生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型枠装置
JPH074260Y2 (ja) 壁面施工構造
KR20100124577A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KR100390174B1 (ko) 타일 시공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