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907Y1 -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907Y1
KR200249907Y1 KR2020010020323U KR20010020323U KR200249907Y1 KR 200249907 Y1 KR200249907 Y1 KR 200249907Y1 KR 2020010020323 U KR2020010020323 U KR 2020010020323U KR 20010020323 U KR20010020323 U KR 20010020323U KR 200249907 Y1 KR200249907 Y1 KR 200249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formwork
anchor
horizontal
horizont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운
김영식
김강
Original Assignee
쌍용건설 주식회사
남광토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건설 주식회사, 남광토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0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9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907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 및 슬래브의 구축시 슬래브의 수평레벨을 조절하고 동시에 벽체 거푸집의 적정한 하부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작업성이 용이한 조립식으로 설치되며 재활용이 가능한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거푸집 레벨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슬래브의 두께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슬래브 거푸집에 설치되어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슬래브에 일부 돌출되도록 매립되는 앵커부재; 및, 길이방향의 부재로, 상기 슬래브에 돌출된 앵커부재에 조립, 결속되는 수평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재로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수평부재를 적용할 수 있는데, 이는 수평부재의 재활용을 가능케 하며 콘크리트 타설하여 벽체 완성 후 수평부재 설치 부위의 양호한 마감처리를 가능케 한다.

Description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Device for adjusting level of a concrete form}
본 고안은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벽체및 슬래브의 구축시 슬래브의 수평레벨를 조절하고 동시에 벽체 거푸집의 적정한 하부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작업성이 용이한 조립식으로 설치되며 재활용이 가능한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거푸집 레벨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특히 아파트와 같이 내력벽식 구조의 시공에서, 벽체의 시공은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하루정도 경과하여 미경화된 콘크리트 슬래브에 벽체의 위치를 측량하여 먹줄작업 한 후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어 벽체 거푸집 내에 벽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벽체 거푸집은 유니트 거푸집 패널을 복수개 결합함으로써 완성된다. 통상 유니트 거푸집 패널은 300, 450, 600 ×1200㎜을 표준규격으로 하여 제작되므로, 일반적으로 층고가 2600㎜로 시공되는 아파트의 경우 한 층 정도의 벽체 거푸집은 한 장의 크기가 600 ×1200㎜ 인 2개의 유니트 거푸집 패널을 상하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런 경우 통상 슬래브의 두께를 150㎜로 하여 시공되는바 2개의 유니트 거푸집 패널을 사용하여 벽체 거푸집을 완성하게 되어도 50㎜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차이분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각재의 수평목을 설치하여 왔다. 즉, 수평목은 유니트 거푸집 패널을 이용하여 정확한 치수의 벽체 거푸집을 완성하기 위해 벽체 거푸집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정한 하부높이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평목을 이용한 벽체 거푸집의 설치는, 완성된 슬래브에 벽체의 위치를 측량하고 먹줄작업하여 벽체의 위치를 설정한 후 벽체 위치와 외접하도록 슬래브에 수평목을 고정 설치하고 이어 수평목에 거푸집 패널을 설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평목은 주로 앵커나 못을 직접 타격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앵커의 사용은 수평목을 쉽게 파손시켜 재활용을 어렵게 하고 콘크리트 구조체에 충격을 가하여 안전상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 타설시 소요두께의 슬래브가 형성되지 않고 시공오차가 발행하는 경우에는 수평목을 콘크리트 슬래브에 설치하고 상기 수평목 하부에 합판을 괴어 그 높이를 맞춘 후 수평목 상부에 거푸집 패널을 올려 설치하여 벽체 거푸집을 완성하여 왔다. 하지만, 이러한 시공방법은 일일이 작업자가 높낮이를 측정하여 수평목을 설치하고 그 밑에 합판을 계속 잘라서 높이가 맞춰질 때까지 괴도록 하는바 거푸집 설치공정이 상당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벽체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벽체가 완성된 후 수평목 및 합판의 제거 후에는 표면처리 불량으로 추가로 미장작업이 요구되는 등 작업상 불편함을 초래하기도 했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종래의 수평목을 사용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벽체 및 슬래브의 구축시 슬래브의 수평레벨을 조절하면서 동시에 벽체 거푸집의 적정한 하부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벽체 및 슬래브의 구축시 슬래브의 수평레벨를 조절하고 동시에 벽체 거푸집의 적정한 하부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공정이 간편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거푸집 레벨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슬래브에 타격(충격)없이 볼트 체결 조립만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구조체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푸집 레벨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각재의 수평목을 대신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알루미늄 소재의 수평부재를 적용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폐자재의 양산을 감소시킬 수 있는 거푸집 레벨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로폼 등과 같은 기존의 거푸집 패널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거푸집 레벨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의 구체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와 벽체 거푸집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의 사용하여 구조체를 시공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00: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
110: 앵커부재 111: 받침지지구
112: 앵커볼트 113: 너트
120: 수평부재 122: 결속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은 벽체 및 슬래브의 구축시 슬래브의 수평레벨 조절하고 동시에 벽체 거푸집의 적정한 하부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슬래브의 두께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슬래브 거푸집에 설치되어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슬래브에 일부 돌출되도록 매립되는 앵커부재; 및, 길이방향의 부재로, 상기 슬래브에 돌출된 앵커부재에 조립, 결속되는 수평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앵커부재는 슬래브의 두께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슬래브 거푸집에 고정, 설치되어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슬래브에 일부 돌출되도록 매립된다. 상기 앵커부재에는 슬래브의 두께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적정 위치(통상 아파트의 슬래브의 경우에는 앵커부재 바닥면에서 150m 높이선상)에 장착되거나 표시될 수있도록 처리된다. 즉, 슬래브 거푸집 설치가 완료되면 벽체 위치를 고려하여 슬래브 거푸집에 앵커부재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앵커부재의 장착되거나 표시된 슬래브 두께 확인 수단으로 슬래브의 수평레벨을 조절하면서 소요두께의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완성하게 된다.
수평부재는 종래에 사용하던 수평목을 대신하여 적용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슬래브가 완성되면 슬래브 상부로 돌출된 앵커부재와 조립 결속하여 벽체 거푸집의 적정한 하부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부재의 높이는 층고, 슬래브 두께, 거푸집 패널의 규격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예, 층고 2600㎜, 슬래브 두께 150㎜, 거푸집 패널 600 ×1200㎜를 적용하는 경우 수평부재의 높이는 50㎜가 적당), 수평부재의 상하부면에는 각각 벽체 거푸집과 앵커부재와 결속하기 위한 결속수단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수평부재는 하부로는 상기 앵커볼트와 결속되고 상부로는 벽체 거푸집과 결속하게 됨으로써 일정 규격으로 제작된 거푸집 패널을 정확한 치수의 벽체 거푸집으로 완성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로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수평부재를 적용할 수 있는데, 이는 수평부재의 재활용을 가능케 하며(전용회수의 증가) 콘크리트 타설하여 벽체 완성 후 수평부재 설치 부위의 양호한 마감처리를 가능케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100)의 구체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100)와 거푸집 패널(20)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도1의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100)의 사용하여 구조체를시공한 상태의 단면도로, 본 고안의 구체예에서는 거푸집 패널로는 일정간격으로 타이홀(Tie Hole)이 형성된 유로폼을 적용하고 있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부재(110)는 받침지지구(111), 상기 받침지지구(111) 상부측으로 연장 결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앵커볼트(112), 상기 앵커볼트(112)와 체결하는 제1너트(113a) 및 제2너트(113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수평부재(120)는 ㄷ자형상 단면을 갖는 알루미늄 소재의 부재이며 상·하부면에는 각각 벽체 거푸집 패널(20)과 상기 앵커부재(110)와 결속하기 위한 결속수단으로 결속홀(122)이 형성되고 있다. ㄷ자형상의 단면은 수직면이 벽체를 형성하는 면이되고 상·하부면이 각각 유로폼의 벽체거푸집과 앵커부재와 조립식으로 결속하는 결속면을 구성하게 되는바, 가장 바람직한 단면형상이 된다.
도2와 같이 받침지지구(111)는 앵커부재(120)가 슬래브 거푸집(10) 위에서 기립하여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받침지지구(111)로써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ㄷ자형상의 앵글부재를 적용하여 상기 구멍에 수나사가 형성된 앵커볼트(112)를 삽입하고 앵커볼트에 제3너트를 체결하면, 받침지지구(111)와 앵커볼트(112)를 조립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받침지지지구(111)와 앵커볼트(112)의 조립식 체결은 본 발명의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를 이용 슬래브 및 벽체의 완성 후 거푸집을 해체할 때, 슬래브 거푸집의 접하여 설치된 받침지지구(111)를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립된 앵커볼트(112)와 분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받침지지구(111)의 재활용을 가능케 한다. 즉, 슬래브 거푸집 해체시 상기 앵커볼트(112)와 체결된 제3너트를 푸는 것으로 받침지지구(111)는 제거된다.
제1너트(113a)는 슬래브의 소요 두께(d)로서 결정된 체결 위치에서 앵커볼트(112)에 체결되어 슬래브 두께 확인 수단으로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너트(113a)의 체결위치로 슬래브의 수평레벨(제1너트의 상부 표면과 슬래브의 표면이 일치하도록 한다.)을 조절하면서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소요 두께(d)의 슬래브(10a)를 완성한다
이어 수평부재의 하부면에 형성된 결속홀(122)을 앵커볼트(112)가 통과되도록 수평부재(120)를 설치하고 제2너트(113b)를 수평부재의 결속홀(122)을 통과한 앵커볼트(112)에 조임체결함으로써 수평부재(120)를 앵커부재(110)에 결속시킨다. 이로써 본 고안의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100)는 완전 설치되고 벽체 거푸집 패널(20)은 수평부재(120)의 지지에 의해 일정한 하부높이를 가진 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2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예에서는 거푸집 패널(20)로 일정간격으로 티이홀이 형성된 유로폼을 적용하는 바, 슬래브에 고정, 설치된 수평부재(120)의 상부측으로 벽체 거푸집 패널(20)을 결속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핀홀이 형성된 웨지핀(Wedge Pin, 22)을 거푸집 패널(20)의 타이홀과 수평부재의 결속홀(122)이 일치하는 부분에 삽입하고 이어 상기 웨지핀(22)의 핀홀에 고정핀(23)을 삽입하여 웨지핀(22)과 고정핀을 결속하는 결속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다른 결속방법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부재(110)의 고정·설치, 콘크리트 슬래브(10a)의 완성, 수평부재(120)의 결속, 벽체 거푸집 패널(20)의 설치, 벽체콘크리트의 타설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 벽체(20a)가 완성된다. 이후 충분한 양생기간을 거치면 거푸집을 해체(슬래브 거푸집(10), 받침지지구(111), 벽체 거푸집 패널(20) 및 수평부재(120)의 제거)하게 되는데, 볼트 체결 방법으로 설치된 받침지지구(111)와 수평부재(120)는 부재의 파손없이 용이하게 해체시킬 수 있게 되어 계속해서 전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는 본 고안의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는 벽체 시공에 적용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기둥과 같은 수직구조물의 구축을 위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고안의 거푸집 레벨 조절장치는 벽체 및 슬래브의 구축시 슬래브의 수평레벨를 조절하고 동시에 벽체 거푸집의 적정한 하부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공정이 간편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콘크리트 슬래브에 타격(충격)없이 볼트 체결 조립만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구조체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기존에 적용하던 각재의 수평목을 대신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알루미늄 소재의 수평부재를 적용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폐자재의 양산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유로폼 등과 같은 기존의 거푸집 패널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4)

  1. 벽체 및 슬래브의 구축시 슬래브의 수평레벨 조절하고 동시에 벽체 거푸집의 적정한 하부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슬래브의 두께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슬래브 거푸집에 설치되어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슬래브에 일부 돌출되도록 매립되는 앵커부재; 및,
    길이방향의 부재로, 상기 슬래브에 돌출된 앵커부재에 조립, 결속되는 수평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수평부재는 ㄷ자형상 단면을 갖는 알루미늄 소재의 부재로, 상·하부면에는 각각 벽체 거푸집과 앵커부재와 결속하기 위한 결속수단이 형성된 수평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수평부재의 하부면에는 앵커부재와의 결속수단으로 결속홀이 형성되고,
    앵커부재는 슬래브 거푸집에 고정되는 받침지지구, 상기 받침지지구 상부측으로 연장 결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앵커볼트, 상기 앵커볼트와 체결하는 제1너트및 제2너트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너트가 슬래브의 소요 두께로서 결정된 체결 위치에서 앵커볼트에 체결되고 상기 수평부재의 하부면에 형성된 결속홀을 상기 앵커볼트가 통과되도록 수평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2너트가 수평부재의 결속홀을 통과한 앵커볼트에 조임체결됨으로써 수평부재가 앵커부재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받침지지구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ㄷ자형상의 앵글부재로, 상기 구멍에 수나사가 형성된 앵커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앵커볼트에 제3너트를 체결함으로써 받침지지구와 앵커볼트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
KR2020010020323U 2001-07-05 2001-07-05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 KR2002499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323U KR200249907Y1 (ko) 2001-07-05 2001-07-05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323U KR200249907Y1 (ko) 2001-07-05 2001-07-05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907Y1 true KR200249907Y1 (ko) 2001-11-16

Family

ID=7310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323U KR200249907Y1 (ko) 2001-07-05 2001-07-05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90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569B1 (ko) * 2006-03-16 2007-11-02 깨뱉시스템주식회사 거푸집의 부양설치구조
CN110578371A (zh) * 2019-10-07 2019-12-17 山东华泰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特大型钢结构支撑骨架
KR20230053381A (ko) * 2021-10-14 2023-04-21 주식회사 화이트금속 높이조절 모듈형 찬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569B1 (ko) * 2006-03-16 2007-11-02 깨뱉시스템주식회사 거푸집의 부양설치구조
CN110578371A (zh) * 2019-10-07 2019-12-17 山东华泰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特大型钢结构支撑骨架
CN110578371B (zh) * 2019-10-07 2024-03-29 山东华泰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特大型钢结构支撑骨架
KR20230053381A (ko) * 2021-10-14 2023-04-21 주식회사 화이트금속 높이조절 모듈형 찬넬
KR102660987B1 (ko) * 2021-10-14 2024-04-26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높이조절 모듈형 찬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3210A (en) Apparatus for setting anchor bolts and other objects in concrete slabs
US7908804B2 (en) Structural lintel assembly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070267552A1 (en) Post stand and related method of installation
JP3269808B2 (ja) 生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型枠装置
KR200249907Y1 (ko)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
JPH07331830A (ja) コンクリート建築物における手摺の取付方法およびそ の取付装置
KR100356352B1 (ko)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방법 및 그 장치
JP3347937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組立工法及びこの工法に使用する型枠固定具並びにレベル調整材の位置決め具
JPH0138947B2 (ko)
TWI843396B (zh) 女兒牆之製作方法
KR200163444Y1 (ko) 거푸집용수평지지장치
JP3244102U (ja) スチールハウスの基礎構造およびそれに用いるアンカーセット
KR200205908Y1 (ko)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구조
JP3356853B2 (ja) 型枠装置
JP2786412B2 (ja) コンクリート建築物の外装パネル被覆構造及び被覆施工方法
JPH11182040A (ja) 床、天井用コンクリート型枠構造
KR20100000269U (ko) 도로 경계석의 연결구조
JPS6334036Y2 (ko)
JPH07113240A (ja) 住宅用布基礎とその施工方法
KR100468523B1 (ko)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
RU2176704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каркаса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зданий
JP3010355B1 (ja) 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ート床の打ち継ぎ部の施工法
KR200241818Y1 (ko) 상층부 벽체거푸집용 기준목 받침장치
JP3282027B2 (ja) 型枠ユニット、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KR200223685Y1 (ko) 바닥콘크리트의 수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