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523B1 -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 - Google Patents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523B1
KR100468523B1 KR10-2002-0018926A KR20020018926A KR100468523B1 KR 100468523 B1 KR100468523 B1 KR 100468523B1 KR 20020018926 A KR20020018926 A KR 20020018926A KR 100468523 B1 KR100468523 B1 KR 100468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block
frame
joint
construction
di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0345A (ko
Inventor
최영길
Original Assignee
(주)토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인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토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2-0018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523B1/ko
Publication of KR20030080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리블록의 시공 위치에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을 기준으로 유리블록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유리블록 설치 후 상기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거된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 자리의 줄눈에 채움재를 채워 넣어 마무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는 상기 줄눈용 프레임을 이용함으로서 줄눈 나누기가 용이하여 비 숙련자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으며, 용이한 시공방법으로 높은 시공품질을 기대할 수 있는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는 용이한 줄눈 나누기로 일정한 배열의 유리블록 시공이 가능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심미적으로 뛰어난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Glass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glass block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리블록 설치 시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을 이용함으로서 줄눈 나누기가 용이하며, 비 숙련자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유리블록은 유리 내부의 공기를 빼고, 완전 건조한 공기를 투입하여 봉합함으로서 벽돌 형상을 이루어 벽체를 형성하는 건축재료의 하나로,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며 뛰어난 단열, 채광, 방음 및 방화성으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리블록은 시공 시 벽돌이나 다른 형태의 건축재료보다 더 많은 주의를 요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유리블록은 벽돌의 경우처럼 일단과 이단이 어긋나는 형태로 시공되는 것이 아니라, 블록과 블록이 수직, 수평으로 열과 행을 맞춰 일정한 줄눈으로 나뉘어져 시공된다. 이 경우 일정한 줄눈은 건축학적, 심미학적, 구조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게된다.
종래의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는 다음과 같다. 유리블록의 시공위치에 프레임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설치하고자 하는 유리블록의 크기 및 줄눈이 맞도록 실측한 후, 상하로 쌓을 유리블록 단수를 표시한 다음 기준 실을 설치한다. 상기 기준 실 설치 후, 상기 프레임 하단의 줄눈 위치에 일정 두께의 몰탈을 깔고 유리블록 첫 단을 설치한다. 이 때 유리블록 첫 단은 가로 및 세로 줄눈의 기준이 됨으로 상당한 주의 및 기술을 요하게 된다. 유리블록의 첫 단 설치 완료 후, 기준 실을 이동해 가면서 그 다음 단의 시공을 계속 해 나간다.
유리블록 시공 시 유리블록은 비교적 무겁고, 벽돌이나 콘크리트 블록 같이 몰탈로부터 물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되는 몰탈이 경화 후 유리블록의 무게를 지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유리블록 공사에서 사용되는 적합한 몰탈의 형태는 시공 후 서서히 경화되는 형태의 것으로, 이 경우 유리블록은 일시에 단 두 세단만이 설치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바로 전에 설치한 블록의 무게가 아래쪽 줄눈 사이의 몰탈을 밀어내어 유리블록이 일정한 배열을 이루기 어렵게 되며 구조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게 되고, 시각적으로도 미관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유리블록은 두 세단 설치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그 다음 단을 시공할 수 있어 연차적인 시공이 어려우며, 시공 시 기준이 되는 기준실이 유동적인 것이어서 일정한 줄눈을 나누기 어렵다. 이러한 연유로 높은 시공품질은 기능공의 숙련도에 의존하게되며, 타 공사보다 더 많은 주의를 요하게 된다.
그밖에 유리블록의 시공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형틀 공법, 앵글 공법, 캐스트 아이언(cast iron)공법 등을 들 수 있다.
형틀 공법은 현장에서 슬래브 거푸집을 제작하고 그 위에 유리블록을 몰탈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양생한 후 거푸집을 해체하는 방법이다. 즉 유리블록이 시공될 부분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의 아래쪽에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거푸집 위에서 몰탈을 이용하여 유리블록을 설치하고, 유리블록 사이에 보강철근을 설치해 가면서 블록 하나 하나를 시공해 가는 공법이다. 또한 앵글 공법은 앵글로 유리블록을 고 정하기 위한 틀을 짜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이며, 캐스트 아이언은 유리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틀을 현장에서 주물로 제작하고 설치하여 유리블록을 설치하는 방법이다.
상기 공법들은 앞 서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시공품질이 기능공의 숙련도에 의존하게 되며, 높은 노무비 및 공기가 길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유리블록 공사 시 줄눈용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서 줄눈 나누기가 용이하며, 비 숙련자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는 용이한 시공방법으로 공기가 단축되며, 노무비의 절감으로 경제적인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리블록(20)의 시공 위치에 프레임(1)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1) 내부에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1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10)을 기준으로 유리블록(2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유리블록(20) 설치 후 상기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10)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거된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10) 자리의 줄눈에 채움재(4)를 채워 넣어 마무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에서 사용되는 상기 줄눈용 프레임(10)은 철제파이프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줄눈 위치 및 유리블록(20)의 크기에 맞게 프레임이 격자형상으로 나뉘어져 있고, 각각의 프레임은 미음자 형상으로 종래의 유리블록 시공줄눈 폭에 해당하는 10 X 10mm의 규격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의 자세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유리블록(20)의 시공위치에 프레임(1)을 설치한다. 유리 블록 시공 시 구조상의 보강을 요할 경우는 상기 프레임(1) 설치 후, 상기 프레임(1) 내부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보강철근을 설치한다. 이 때 설치되는 보강철근 중 세로철근(지름 6mm, 31)을 복근(사이 60mm)으로 하고 연결철근(지름 6mm)은 150mm 정도의 간격으로 용접하여 조립하고, 가로철근(자름 4mm, 30)을 복근(사이 45mm)으로 하여 연결철근(지름 4mm)을 래티스형으로 용접하여 조립한다. 이 때 상기 가로(30) 및 세로(31) 철근 대신 펀칭된 얇은 강판(두께 0.95mm #20)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유리블록(20) 시공 시 사용되는 보강철물은 아연도금 등의 방청처리 된 것이나, 스테인레스제를 사용한다.
상기 프레임(1)에 보강철근 설치 시, 가로(30) 및 세로(31) 철근은 620mm이하의 간격으로, 세로로 조립된 철근(31)은 블록 4개마다, 가로로 조립된 철근(30) 은 4단마다, 줄눈 나누기에 맞추어 조립하고 양끝은 가로, 세로 철근 모두 상기 프레임(1)에 정착한다. 상기 얇은 강판을 시공할 경우도 5단마다 줄눈에 맞추어 프레임(1)에 정착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 좌우에는 고무판과 같은 완충재(2)를, 상하에는 아스팔트계연질판을 넣어 유리블록(20)의 팽창을 잡아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 내부에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10)을 설치한다. 이 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클립 등의 가고정 철물을 이용하여 상기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10)을 상기 프레임(1)에 설치함으로서 추후 상기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10)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10) 설치 후, 상기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10)을 기준으로 유리블록(20)과 시멘트 몰탈(3)을 설치한다. 이 때 설치되는 유리블록(20)은 시멘트 몰탈(3)과 접촉되는 면에 염화비닐계 합성수지도료 1회를 칠한 후 모래를 뿌려 부착시킨 것으로, 통상 190 X 190 X 100mm 규격을 사용하며 그 외의 규격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시멘트 몰탈(3)은 방수재가 혼합된 것으로 시멘트(1):모래(3):물(0.5)의 비율로 배합된 것이다.
상기 프레임(1)에 시멘트 몰탈(3)을 가로 줄눈에 펴 바른 후, 상기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10)의 프레임 간격에 맞춰 유리블록(20)을 위치시켜 내리 눌러 쌓고 세로 줄눈에 빈틈없이 시멘트 몰탈(3)을 채워 넣는다. 이 때 상기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10)은 시공줄눈 위치 및 유리블록(20) 크기에 맞게 프레임이 나뉘어져 있으므로, 각각의 프레임 사이에 유리블록(20)을 끼워 넣고 시멘트 몰탈(3)을 채우기만 하면 되므로, 비 숙련자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다. 다만 유리블록(20) 시공 시 유리블록(20)의 턱이 지지 않도록 하며, 나비를 일정하고 줄바르게 쌓는 주의를 요한다. 상기 전술한 방법을 반복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한다.
상기 유리블록(20) 및 시멘트 몰탈(3)의 시공을 마친 후, 상기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10)을 제거하고, 프레임(10)의 위치에 코킹 등의 채움재(4)를 채워 넣어 줄눈 흙손으로 눌러 마무리한다.
상기 전술한 방법으로 시공된 본 발명의 유리블록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블록(20)의 시공 위치에 설치되는 프레임(1); 상기 프레임(1) 내부에 설치되는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10); 상기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10)을 기준으로 설치되는 유리블록(20); 상기 유리블록(20) 설치 후 제거되는 상기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10) 자리의 줄눈에 채워져 마무리되는 채움재(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리블록(20) 시공 시 연속벽이 4m이상 계속될 경우에는 4.6m 간격으로 신축줄눈을 설치하여 시공한다.
본 발명의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는 유리블록 공사 시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을 이용함으로서 줄눈 나누기 및 유리블록 설치가 용이하여 비 숙련자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으며, 노무비 및 공기가 절감되며 높은 시공품질을 기대할 수 있는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를 제공하 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는 용이한 줄눈 나누기로 일정한 배열의 유리블록 시공이 가능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심미적으로도 뛰어난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리블록 시공방법에서 사용되는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리블록 시공방법의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이 설치된 시공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의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이 설치된 실시예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에 따라 시공된 실시예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완충재
3 : 시멘트 몰탈 4 : 채움재
10 :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 20 : 유리블록
30 : 가로 철근 31 : 세로 철근

Claims (4)

  1. 유리블록의 시공 위치에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을 기준으로 유리블록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유리블록 설치 후 상기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거된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 자리의 줄눈에 채움재를 채워 넣어 마무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블록 시공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은 철제 파이프로, 시공줄눈 위치 및 유리블록의 크기에 맞게 프레임이 격자형상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블록 시공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의 각각의 프레임은 미음자 형상의 10 X 10mm 규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블록 시공방법.
  4. 유리블록의 시공 위치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
    상기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을 기준으로 설치되는 유리블록;
    상기 유리블록 설치 후 제거되는 상기 줄눈 나누기용 프레임 자리의 줄눈에 채워져 마무리되는 채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블록 구조.
KR10-2002-0018926A 2002-04-08 2002-04-08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 KR100468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926A KR100468523B1 (ko) 2002-04-08 2002-04-08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926A KR100468523B1 (ko) 2002-04-08 2002-04-08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345A KR20030080345A (ko) 2003-10-17
KR100468523B1 true KR100468523B1 (ko) 2005-02-21

Family

ID=3237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926A KR100468523B1 (ko) 2002-04-08 2002-04-08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5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775B1 (ko) * 2018-12-13 2019-05-15 남궁헌규 유리블록을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242A (ja) * 1991-08-23 1993-03-0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ブロツクパネルの製造方法
JPH09250190A (ja) * 1996-03-14 1997-09-2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防火戸用ガラスブロック及びそのパネル
KR980003206U (ko) * 1998-01-08 1998-03-30 이철훈 유리블럭
KR20000038270A (ko) * 1998-12-04 2000-07-05 최영길 유리블록 패널 및 유리블록 패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242A (ja) * 1991-08-23 1993-03-0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ブロツクパネルの製造方法
JPH09250190A (ja) * 1996-03-14 1997-09-2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防火戸用ガラスブロック及びそのパネル
KR980003206U (ko) * 1998-01-08 1998-03-30 이철훈 유리블럭
KR20000038270A (ko) * 1998-12-04 2000-07-05 최영길 유리블록 패널 및 유리블록 패널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775B1 (ko) * 2018-12-13 2019-05-15 남궁헌규 유리블록을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345A (ko)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3326C (en) Reinforcing spacer device
US7908804B2 (en) Structural lintel assembly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BG61821B1 (bg) Модулна стенна конструкция, съставена от елементи от бетон ипенопласт, и метод и съоръжение за построяването й
CN110409811B (zh) 含钢筋笼免拆成型柱模板、模板结构及建筑工艺
DE69836339D1 (de) Seitliche schalungsanordnung zur herstellung der verschalung eines baupaneels aus beton
CN110409813B (zh) 含钢筋笼免拆成型梁模板、模板结构及建筑工艺
RU2359090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сооружен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N102644382A (zh) 大模块墙体的安装工艺
KR100681308B1 (ko) 압축 시멘트판과 강재 샛기둥을 사용한 고정식 거푸집패널 시스템
US4131405A (en) Apparatus for producing structural panels
KR100468523B1 (ko)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
US20080236083A1 (en) Modular Concrete Wall System
WO2011085447A1 (en) A brick panel and method of forming a brick panel
JP2011069151A (ja) コンクリートパネル型枠
US8590242B1 (en) Insulated concrete wall
RU2270302C1 (ru) Комплект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и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стен здания сооружения
CN210659245U (zh) 含钢筋笼免拆成型柱模板及模板结构
WO2007039887A3 (en) A method of constructing a roof or floor slab
CN114575491B (zh) 一种异形复杂二次结构复合施工方法
KR200249907Y1 (ko)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
US6009678A (en) Virtual block for prefabrication slabs
CN210659251U (zh) 含钢筋笼免拆成型梁模板及模板结构
CN213204572U (zh) 一种装配给水管道的装配式复合墙
KR100297426B1 (ko) 유리블록 패널 및 유리블록 패널의 제조 방법
KR100504350B1 (ko) 건축물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