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207A -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207A
KR20140103207A KR1020130015858A KR20130015858A KR20140103207A KR 20140103207 A KR20140103207 A KR 20140103207A KR 1020130015858 A KR1020130015858 A KR 1020130015858A KR 20130015858 A KR20130015858 A KR 20130015858A KR 20140103207 A KR20140103207 A KR 20140103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interior material
ceiling
layer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남
조진호
이철현
유종현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30015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3207A/ko
Publication of KR20140103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60R13/0218Roof or head liners supported by adhesion with the roof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87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integrating other function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는 자동차 내부의 천정부에 부착되어 천정부의 강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적인 자동차용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포체층, 상기 발포체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보강재층 및 상기 보강재층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필름층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DAMPING LINER FOR AUTOMOTIVE TOP CEILING}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는 자동차 내부의 천정부에 부착되어 천정부의 강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적인 자동차용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포체층, 상기 발포체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보강재층 및 상기 보강재층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필름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는 자동차 내부의 천정부에 부착되어 천정부의 강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적인 자동차용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포체층, 상기 발포체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보강재층 및 상기 보강재층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필름층으로 이루어진다.
자동차의 천정부 내장재는 차량의 천정부위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고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며, 자동차 실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감성적인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종래의 자동차의 천정부 내장재는 주요소재로 스틸재질이 부착된 내장재를 사용하여, 그 구성은 보강용 프레임과 제진재가 별도로 구성된다. 전술한 보강프레임은 주요소재가 스틸재질로 이루어져, 가로방향인 선의 형태로만 적용이 가능하여 천정부의 구조적 적용이 어려우며, 별도의 제진재를 사용하여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해야 하는 단점을 나타낸다. 또한, 주요소재가 스틸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의 전체 중량이 증가하고 소음 및 진동 차단에 있어서도 비효율적인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스틸재질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의 주요소재를 열경화성 수지를 발포시킨 발포 폼으로 대체함으로써,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의 경량화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자동차내 천정부의 구조적 적용이 용이한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체층, 상기 발포체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보강재층 및 상기 보강재층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필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를 제공함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는 고정클립을 이용하여 차량의 천정부에 내장재를 부착 또는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발포체층은 열경화성 수지를 발포시킨 발포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발포 폼은 10 내지 300kg/m3의 밀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강재층은 종이, 필름 및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름은 올레핀계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멜라민 수지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섬유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는 열경화성 수지를 발포시킨 발포 폼을 주요소재로 하여,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의 경량화 및 강성증대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자동차내 천정부의 구조적 적용이 용이하여 천정부의 구조적 강성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와 종래의 스틸재질이 부착된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의 강성시험을 위한 시험 적용 부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와 종래의 스틸재질이 부착된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의 강성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단, X-축:FREQUENCY(Hz), Y-축:PHASE 및 MAGNITUDE(㎨/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와 종래의 스틸재질이 부착된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의 강성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단, X-축:FREQUENCY(Hz), Y-축:PHASE 및 MAGNITUDE(㎨/N))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는 발포체층(10), 전술한 발포체층(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보강재층(20) 및 전술한 보강재층(2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필름층(30)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발포체층(10)은 열경화성 수지를 발포시킨 발포 폼으로 이루어지며, 10 내지 300kg/m3의 밀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의 전체 중량을 경량화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내장재를 지지하는 지지체 역할을 한다. 전술한 열경화성 수지를 발포시킨 발포 폼은 10kg/m3 미만의 밀도로 형성될 경우에는 발포 폼이 견고하게 형성되지 못하여 천정부 내장재의 강성보완 및 댐핑효과를 나타낼 수 없으며, 300kg/m3를 초과하는 밀도로 형성될 경우에는 천정부 내장재의 중량 증대에 따른 작업성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내장재를 지지하고 전체의 중량을 경량화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열경화성 수지의 발포 폼이 10 내지 300kg/m3의 밀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열경화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멜라민 수지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보강재층(20)은 종이, 필름 및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자동차의 내부 및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고,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필름은 올레핀계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필름으로 10㎛ 이상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전술한 필름의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 천정부 내장재의 강성 및 형상을 유지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이며, 전술한 열경화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멜라민 수지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섬유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30 내지 600g/㎡의 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술한 섬유는 중량이 30g/㎡ 미만일 경우에는 천정부 내장재의 심재의 강성 및 형상을 유지하는 능력이 저하되며, 600g/㎡을 초과할 경우에는 천정부 내장재의 심재와 복합성형시 심재의 파손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한 종이는 10㎛ 이상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두께가 10㎛ 미만으로 이루어질 경우, 천정부 내장재의 강성 및 형상을 유지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10㎛ 이상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필름층(30)은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며, 차량이 운행하는 동안 외부 열에 의해 용융되어 천정부 내장재와 차량의 천정부 간의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아이소뷰틸렌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포체층(10), 전술한 발포체층(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보강재층(20) 및 전술한 보강재층(2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필름층(30)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는 고정클립(40)을 이용하여 차량의 천정부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고정클립(40)을 이용하여 천정부 내장재를 천정부에 부착시킴으로써, 천정부 내장재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고정클립(40)은 차량의 천정부에 내장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클립 또는 핀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필름층(30)이 자동차의 천정부와 서로 맞닿아 위치하도록 한 후, 자동차의 천정부에 전술한 고정클립(40)을 이용하여 내장재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의 중량 및 강성에 대한 효과를 시험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시험예>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와 종래의 스틸재질이 부착된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의 중량비교시험 및 강성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도 3 내지 5에 나타내었다.
단, 시험방법은 먼저 차량의 천정부 내장재를 시험하기 위하여 천정부 내장재를 탈거한 후, 시험자가 천정부 내장재를 임팩트 해머로 가진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진동이 전달되는 경로에 있는 천정부 내장재의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에 가속도계를 부착한 후, 부착된 가속도계 주위 2㎝ 이내의 임팩트 해머로 원하는 축 방향(z방향)으로 신호를 평균하고자 하는 횟수만큼 가진하여 측정한 신호를 signal analizer로 입력하여 실시하였다.
전술한 도 3 내지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는 종래의 스틸재질이 부착된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에 비하여 약 2kg의 전체중량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스틸재질이 부착된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가 약 2kgf/mm/stiff의 강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는 열경화성 수지를 발포시킨 발포 폼을 주요소재로 하여,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의 경량화 및 강성증대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자동차내 천정부의 구조적 적용이 용이하여 천정부의 구조적 강성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10 ; 발포체층
20 ; 보강재층
30 ; 필름층
40 ; 고정클립

Claims (9)

  1. 발포체층;
    상기 발포체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보강재층; 및
    상기 보강재층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필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는 고정클립을 이용하여 차량의 천정부에 내장재를 부착 또는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층은 열경화성 수지를 발포시킨 발포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폼은 10 내지 300kg/m3의 밀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층은 종이, 필름 및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올레핀계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
  7. 청구항 3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멜라민 수지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
KR1020130015858A 2013-02-14 2013-02-14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 KR201401032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858A KR20140103207A (ko) 2013-02-14 2013-02-14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858A KR20140103207A (ko) 2013-02-14 2013-02-14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207A true KR20140103207A (ko) 2014-08-26

Family

ID=5174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858A KR20140103207A (ko) 2013-02-14 2013-02-14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32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7827A1 (ko) * 2015-09-30 2017-04-06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과 섬유층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외장재
KR20180013360A (ko) * 2016-07-29 2018-02-07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 발포 시트를 포함하는 헤드라이너 패널
US10696012B2 (en) 2015-08-13 2020-06-30 Huvis Corporation Composite of multilayer structure comprising polyester foam and polyester resin layer, and use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6012B2 (en) 2015-08-13 2020-06-30 Huvis Corporation Composite of multilayer structure comprising polyester foam and polyester resin layer, and use thereof
WO2017057827A1 (ko) * 2015-09-30 2017-04-06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과 섬유층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외장재
WO2017057826A1 (ko) * 2015-09-30 2017-04-06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 발포 시트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포함하는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외장재
US10946626B2 (en) 2015-09-30 2021-03-16 Huvis Corporation Composite comprising polyester foam sheet and polyester resin layer, and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comprising same
US11192342B2 (en) 2015-09-30 2021-12-07 Huvis Corporatio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automobile comprising polyester resin foam layer and fiber layer
KR20180013360A (ko) * 2016-07-29 2018-02-07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 발포 시트를 포함하는 헤드라이너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3731B2 (ja) サイドシルガーニッシュ
US8690228B2 (en) Load bearing panel assembly
MX2009008419A (es) Panel de proteccion acustico para vehiculo que incluye una capa selladora impregnada.
JP2007223606A (ja) 音響効果のある車両部品
CN107580560A (zh) 车辆悬架的减震器组件和悬架系统
KR20140103207A (ko) 자동차용 천정부 내장재
JP2009018794A (ja) 自動車の車両前部
US20070092690A1 (en) Interior finishing component for a motor vehicle
JP5114306B2 (ja) 自動車用路面側吸音フロアーアンダーカバー
JP2019524546A (ja) 歩行者保護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JP5081546B2 (ja) 車両のフロアカーペット用スペーサ及びフロアカーペット敷設構造
US8585122B2 (en) Vehicle door lining
US7931951B2 (en) Carpet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7195641A (ja) 耐震支持装置
US6966592B2 (en) Resin-made floor panel structure
JP3273222B2 (ja) 遮音材
EP1852314B1 (en) Vehicle trim component comprising small-sized distance pieces
JP7254414B2 (ja) ルーフ構造
JP2019507047A (ja) 車両用成形トリム部品
KR101140172B1 (ko) 차량의 임팩트패드용 발포 금형구조
US20170368802A1 (en) Flat Motor Vehicle Composite Structure Component Having a Metal Sheet Component and a Flat Inherently Rigid Reinforcement Component of Porous Plastic Connected to Same
JP6316645B2 (ja) 自動車用防音構造
EP3235709B1 (en) Vehicle body assembly
KR20080036705A (ko) 헤드라이너 조립체
JP6543106B2 (ja) 吸音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