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933A - 당뇨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 Google Patents

당뇨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933A
KR20140102933A KR1020130016459A KR20130016459A KR20140102933A KR 20140102933 A KR20140102933 A KR 20140102933A KR 1020130016459 A KR1020130016459 A KR 1020130016459A KR 20130016459 A KR20130016459 A KR 20130016459A KR 20140102933 A KR20140102933 A KR 20140102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betes
marker composition
gene
single nucleotide
hum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1083B1 (ko
Inventor
이인규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6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083B1/ko
Publication of KR20140102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27Hybridisation assays for detection of mutation or polymorphis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ath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ERRγ (Estrogen-related receptor gamma) 유전자의 S179A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부위를 포함하는 당뇨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상기 마커 조성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진단 키트 및 상기 마커 조성물을 이용한 당뇨병의 진단 또는 발병 가능성에 관한 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간 ERRγ 유전자의 S179A 단일염기다형성 부위의 대립 유전자형을 확인함으로써 당뇨병의 진단 또는 발병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으며, 상기 단일염기다형성의 대립 유전자형이 T/G인 제2형 당뇨병 환자는 대립 유전자형이 T/T인 제2형 당뇨병 환자에 비해 공복 및 식후 (2시간) 혈당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고 비만한 경향이 있어, 이를 통해 제2형 당뇨병에 대한 유전적 감수성을 진단하고 향후 적절한 치료 방법을 도입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당뇨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s of diabetes}
본 발명은 인간 ERRγ (Estrogen-related receptor gamma) 유전자의 S179A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부위를 포함하는 당뇨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상기 마커 조성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진단 키트 및 상기 마커 조성물을 이용한 당뇨병의 진단 또는 발병 가능성에 관한 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2003년 인간유전체사업 (Human genome project)의 완료에 따라 인간 유전체에 대한 정보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질병의 유전적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질병 유전체 연구 분야에 대한 관심과 중요도가 증대되고 있다.
최근 식생활 및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 당뇨, 심혈관 질환 등 생활습관질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환경적인 요인의 통제를 통한 이들 질병 억제에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보다 근본적인 유전적 요인들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 단일염기다형성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칩을 이용한 타이핑 기술의 개발로 인간 유전체에 존재하는 대량의 유전 형질을 빠른 속도로 분석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를 이용한 대규모 유전 형질 질병 관련성 연구가 현실화되었다.
단일염기다형성은 인간 유전체에 약 0.1%(약 1000 염기에 1 염기)의 비율로 존재하는 가장 빈도가 높은 다형으로, 유전체 유전자에서 하나의 염기가 다른 염기로 치환하는 것에 의해, 예컨대 야생형이 G/C 염기 쌍인데 대하여, 다형성에서는 A/T 염기 쌍으로 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이중가닥 염색체의 각각의 대립유전자가 다형 형태인 경우(동형접합다형성)와, 한쪽이 야생형, 다른 쪽이 다형성인 경우(이형접합다형성)가 존재한다. 이러한 하나의 염기의 변이는, 코돈 변이에 의한 변이 아미노산의 합성(미스센스 변이)이나 종결 코돈의 생성에 의한 불완전 단백질의 합성(넌센스 변이)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단일염기다형성의 유무가 여러 가지 질병에 관련하는 것이 명백해지고 있으며, 진단이나 유전적 치료법 등을 목적으로 단일염기다형성의 유무를 정확히 판정하는 것(SNP 타이핑)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또한, 단일염기다형성은 질환이 쉽게 걸리는 성질이나 약제 반응성에 관련되는 유전자를 탐색할 때의 유용한 다형성 마커이기도 하고, 테일러 메이드(tailor-made) 의료를 위한 중요한 유전자 정보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한편, 혈당의 항상성은 간에서의 포도당 생성과 근육과 지방조직에서 포도당 이용의 균형에 의해 유지된다. 간에서의 포도당 대사의 불균형은 인슐린 저항성과 당뇨병과 연관 있으며, 포도당 대사에는 cAMP 의존 경로에 작용하는 길항 호르몬인 글루카곤과 PI3K (phosphatidylinositol3 kinase) 경로를 통해 작용하는 인슐린이 관여한다. 공복 상태에서는 글루카곤에 의해 글리코겐분해와 포도당신생이 일어나면서 항상성을 유지한다. 간에서의 포도당 신생 조절은 PEPCK (phosphoenolpyrubate carboxykinase)와 G6Pase (glucose-6-phophatase)와 같은 당신생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 인자와 연관이 있다. 반면에 섭취 상태에서는 인슐린이 전사인자인 Foxo1 (factor forkgead box O1)을 PKB (Akt/protein kinase B)를 통해 인산화시켜 핵 밖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간의 당신생을 억제한다.
고아핵수용체인 ERRγ (Estrogen-related receptor gamma)는 정상적인 공복 상태와 당뇨병이 있을 때 간에서 유도되어 PEPCK, G6Pase와 같은 당생성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여 간에서의 당생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섭취나 인슐린에 의해 PKB(Akt/protein kinase B)가 ERRγ를 직접적으로 인산화시키면 ERRγ가 핵 밖으로 이동하여 PEPCK와 G6Pase 당신생이 억제된다. 최근 연구에서는 ERRγ의 역작용제인 GSK5182가 당뇨병이 있는 쥐에서 당생성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켜 혈당을 감소시켰다고 발표하였다. 뿐만 아니라 ERRγ가 지방세포의 분화에서 지방생성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한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당뇨병을 진단하기 위한 새로운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계속한 결과, 인간 ERRγ (Estrogen-related receptor gamma) 유전자의 S179A 단일염기다형성을 분석함으로써, 제2형 당뇨병의 진단, 발병 가능성 및 이에 대한 유전적 감수성을 진단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간 ERRγ (Estrogen-related receptor gamma) 유전자의 S179A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부위를 포함하는 당뇨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마커 조성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진단 키트 및 상기 마커 조성물을 이용한 당뇨병의 진단 또는 발병 가능성에 관한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간 ERRγ 유전자의 S179A 단일염기다형성 부위를 포함하는 당뇨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커 조성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진단 키트 및 상기 마커 조성물을 이용한 당뇨병의 진단 또는 발병 가능성에 관한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간 ERRγ 유전자의 S179A 단일염기다형성 부위의 대립 유전자형을 확인함으로써 당뇨병의 진단 또는 발병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으며, 상기 단일염기다형성의 대립 유전자형이 T/G인 제2형 당뇨병 환자는 대립 유전자형이 T/T인 제2형 당뇨병 환자에 비해 공복 및 식후 (2시간) 혈당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고 비만한 경향이 있어, 이를 통해 제2형 당뇨병에 대한 유전적 감수성을 진단하고 향후 적절한 치료 방법을 도입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간 ERRγ 유전자의 S179A 단일염기다형성 부위를 포함하는 당뇨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당뇨병은 바람직하게는 제2형 당뇨병이다.
본 발명에서 "진단”은 병리 상태의 존재 또는 특징을 확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상, 당뇨병의 발병 여부를 확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당뇨병에 대한 감수성(susceptibility)을 판정하는 것, 당뇨병에 걸린 한 객체의 예후(prognosis) 즉, 당뇨병 치료 시 또는 치료 후 재발, 전이, 약물 반응성, 내성 등과 같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마커"는 인간 ERRγ 유전자의 S179A 단일염기다형성 부위를 분석할 수 있는 물질로써 인간 ERRγ 유전자의 S179A 단일염기다형성 부위를 포함하는 10 내지 400 개의 연속 염기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상보적 폴리뉴클레오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프라이머 (primer)"란 적절한 완충용액 중의 적절한 조건 (예를 들면, 4개의 다른 뉴클레오시드 트리포스페이트 및 DNA, RNA 폴리머라제 또는 역전사 효소와 같은 중합제) 및 적당한 온도 하에서 주형-지시 DNA 합성의 시작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단일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말한다. 상기 프라이머의 적절한 길이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 15 내지 30 뉴클레오티드이다. 짧은 프라이머 분자는 일반적으로 주형과 안정한 혼성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더 낮은 온도를 필요로 한다. 프라이머 서열은 주형과 완전하게 상보적일 필요는 없으나, 주형과 혼성화할 정도로 충분히 상보적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는 예를 들면, 포스포르아미다이트 고체 지지체 방법과 같은 당 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또한, 공지된 방법으로 메틸화, 캡화 등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방향(forward) 프라이머" 및 "역방향(reverse) 프라이머"는 유전자 증폭반응에 의해 증폭되는 유전자의 특정 부위의 3'-말단 및 5'-말단에 각각 결합하여 DNA 합성의 개시점으로 작용하는 프라이머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프로브"란 상보적인 염기서열과 특이적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짧게는 수 염기 내지 길게는 수백 염기에 해당하는 RNA 또는 DNA 등의 핵산 단편을 의미하며, 라벨링 되어 있어서 특정 염기서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브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프로브, 단쇄 DNA(single stranded DNA) 프로브, 이중쇄 DNA(double stranded DNA) 프로브, RNA 프로브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일염기다형성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은 게놈에서 단일염기(A, T, C또는 G)가 종의 멤버들 간 또는 한 개체(individual)의 쌍 염색체 간에 다른 경우에 발생하는 DNA 서열의 다양성을 의미한다. 즉, 어느 집단에 있어 전체 게놈에 있는 일부 염기가 염색체마다 다른 경우가 존재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SNP는 300 내지 1000개의 염기에 하나 정도 존재하기 때문에 인간 게놈 DNA 전체에는 적어도 300만 개의 SNP가 존재하게 된다. SNP의 종류로는, 프로모터 영역 등의 전사활성 조절에 관계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rSNP (regulatory SNP), 엑손 (exon) 부분에서 아미노산 변이를 일으키는 cSNP (coding SNP), 인트론 (intron) 영역에 존재하는 iSNP (intronic SNP), 엑손부분에서 사일런스 (silence) 변이를 일으키는 sSNP (silent SNP), 및 그 외 게놈 영역에서 나타나는 gSNP (genome SNP)와 같은 SNP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간 ERRγ 유전자(Gene ID: 2104)의 엑소 3의 179번째 아미노산 위치 (S179A)에서 단일염기다형성 부위의 대립 유전자형을 확인하였으며, 제2형 당뇨병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T/G 대립 유전자형의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2형 당뇨병 환자군 내에서 T/G 대립 유전자형을 가진 환자는 T/T 대립 유전자형을 가진 환자에 비해 공복 및 식후 (2시간) 혈당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고 비만한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인간 ERRγ 유전자의 S179A 단일염기다형성 부위를 분석함으로써 당뇨병의 진단, 발병 가능성에 대한 정보 제공, 향후 치료 방법에 대한 정보 제공 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커 조성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진단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키트"는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로부터 유래된 게놈 DNA, 본 발명의 인간 ERRγ 유전자의 S179A 단일염기다형성 부위를 포함하는 10 내지 400 개의 연속 염기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상보적 폴리뉴클레오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 외에도, 분석하고자 하는 방법에 따라 적당량의 DNA 중합 효소(예를 들면, Thermus aquaticus (Taq), Thermus thermophilus (Tth), Thermusfiliformis, Thermis flavus, Thermococcus literalis 또는 Pyrococcus furiosus (Pfu)로부터 수득한 열 안정성 DNA 중합효소), dNTP 혼합물, PCR 완충용액 및 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CR 산물의 증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전기영동 수행에 필요한 구성 성분들이 본 발명의 키트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키트는 마이크로어레이 칩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대상 시료에서 DNA를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분리된 DNA에서 인간 ERRγ 유전자의 S179A 단일염기다형성 부위의 대립 유전자형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진단 또는 발병 가능성에 관한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c) 상기 (b) 단계에서 확인된 인간 ERRγ 유전자의 S179A 단일염기다형성 부위의 대립 유전자형이 T/G인 경우, 당뇨병의 발병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의 진단 또는 발병 가능성에 관한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시료는 혈액, 조직, 세포, 혈청, 혈장, 타액, 객담, 머리카락 및 소변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a) 단계에서 DNA는 gDNA 및 cDNA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 DNA의 분리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페놀/클로로포름 추출법, SDS 추출법, CTAB 분리법(Cetyl Trimethyl AmmoniumBromide; Murray et al., Nuc. Res., 4321-4325, 1980)등을 이용하거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DNA 추출 키트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대상 시료가 mRNA일 경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총 RNA를 분리한 후, cDNA를 합성하여 이용한다.
상기 (b) 단계에서 단일염기다형성 부위의 대립 유전자형 분석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에 의한 혼성화 방법, 대립유전자 특이적 프로브 혼성화 방법(allele-specific probe hybridization), 대립 유전자 특이적 증폭 방법(allele-specific amplification), 서열분석법(sequencing), 5' 뉴클레아제 분해법(5' nuclease digestion), 분자 비콘 어세이법(molecular beacon assay), 올리고뉴클레오티드 결합 어세이법(oligonucleotide ligation assay), 크기 분석법(size analysis) 및 단일 가닥 배좌 다형성법(single-stranded conformation polymorphism)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실험 대상의 선정
2006년 8월부터 2012년 2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에서 제2형 당뇨병으로 진단되거나 치료받고 있는 20세 이상의 환자 6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제2형 당뇨병 환자군은 혈액검사상 공복 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제2형 당뇨병의 병력이 있는 자로 정했다. 대조군으로는 2006년 6월부터 11월까지 울진군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건강검진 결과, 나이 60세 이상, 당화혈색소 5.8% 이하, 공복 혈당 100mg/dL 이하, 당뇨병의 과거력이 없는 222명을 선정하였다. 모든 참여자들의 나이, 성별, 키, 몸무게를 기록하였고, 설문지 조사를 통해 흡연력,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고혈압 유무를 조사하였으며, 혈액학적 검사로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공복 혈당, 당화혈색소, C-반응성 단백 (C-reactive protein) 및 혈청 크레아티닌을 측정하였다. 모든 검사들은 임상시험 심사위원회(IRB)의 기준에 맞게 참여자들의 자발적인 동의하에 시행되었다.
실시예 2. DNA 분리
모든 대상군에서 6 ㎖의 혈액을 채혈하여 공지된 방법에 따라 DNA를 분리하였다. 건조시킨 DNA를 TE 완충용액 (10 mM Tris HCl, pH 8.0, 1 mM EDTA)에 녹여, 농도를 분광 광도계로 측정한 후 -70℃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3. 대상 환자의 임상적 특징
실시예 1에서 선정한 실험 대상의 임상적 특징을 표 1에 나타내었다.
Type 2 DM
(n = 640)
대조군
(n = 222)
P
성별 M/F 317/323 M/F 96/126 0.105
나이 60.23±12.16 67.80±5.48 <0.001
BMI (kg/m2) 23.78±3.54 23.09±3.01 0.009
무게 (kg) 62.45±11.51 57.07±.24 <0.001
허리 둘레 (cm) 84.13±9.82 81.13±8.55 <0.001
엉덩이 둘레(cm) 89.74±9.87 91.44±5.90 0.002
수축기 BP (mmHg) 130.85±18.61 129.60±18.96 0.434
이완기 BP (mmHg) 78.55±11.03 77.45±10.05 0.221
FBS (mg/dL) 164.89±72.36 87.99±8.02 <0.001
2PPBS (mg/dL) 252.34±100.66 104.68±19.12 <0.001
HbA1c (%) 8.95±2.38 5.38±0.31 <0.001
LDL 콜레스테롤 (mmol/L) 114.96±43.10 110.47±28.01 0.159
HDL 콜레스테롤 (mmol/L) 46.68±16.15 49.93±11.45 0.002
중성지방 (mmol/L) 160.78±127.00 121.23±68.08 <0.001
총 콜레스테롤 (mmol/L) 186.10±57.05 194.04±31.18 0.016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형 당뇨병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체질량 지수를 비롯한 몸무게, 허리 둘레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대조군에서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았으며, 제2형 당뇨병 환자군에서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4. 유전자 다형성 분석
먼저, 상기 실시예 2에서 분리한 DNA의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위해 하기 표 2의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DNA 400 ng, 센스 프라이머 10 pM, 안티센스 프라이머 10 pM, dNTP 2.5 mM, 2 unit의 Taq 폴리머라아제 및 중합효소 연쇄반응 완충용액 (10 mM Tris-HCl, 50 mM KCl, 0.1% Triton X-100)을 혼합하여 총 반응액이 20 ㎕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DNA 증폭을 위한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상기 반응액을 95℃에서 30초 가열하여 주형 DNA를 전-변성 (pre-denaturation)하고, 이후 95℃에서 30초 변성 (denaturation), 63.5℃에서 30초간 어닐링 (annealing), 72℃에서 40초 동안 신장(extension)시키는 단계를 총 35번 반복하여 DNA를 증폭시킨 후, 마지막으로 72℃에서 10분간 신장 (extension) 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1.0% 아가로오스 겔을 이용하여 100 V에서 30여 분 전기영동 시행하여, PCR 산물을 확인하였다.
센스 프라이머 5'-GCAGAGCATCCAGCTTGATG-3' (서열번호 1)
야생형 안티센스 프라이머 5'-AAGCGGCAAGCCTGGCAGCA-3 (서열번호 2)
SNP형 안티센스 프라이머 5'-AAGCGGCAAGCCTGGCAGCC-3' (서열번호 3)
야생형 프라이머와 SNP 형 프라이머에 의한 PCR 반응의 상대적인 비율로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유전자형 Type 2 DM (n=640) 대조군
(n=222)
P OR (95% CI) Adjusted OR (95% CI)
TT 527(82.3%) 201(90.5%) 0.004 2.052(1.253-3.361) 1.718(1.026-2.876)
TG 113(17.7%) 21(9.5%)
GG 0(0%) 0(0%)
총합 640(100%) 222(100%)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형 당뇨병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인간 ERRγ 유전자의 S179A 유전자 다형성 부위의 TG 유전자형의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17.7% vs 9.5%, P = 0.004). 또한, 제 2형 당뇨병의 발병률을 예측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TG 유전자형은 우도비가 2.052(95% CI: 1.253-3.361, P = 0.004)로, 예측인자로서의 통계적인 의미가 있었으며, 연령과 성별, 체질량지수로 보정한 후에도 우도비가 1.718 (95% CI: 1.026-2.876, P = 0.040)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ERR γ 유전자형에 따른 임상적 특징
제2형 당뇨병 환자군 내에서 ERRγ 유전자형에 따른 임상적 특징을 표 4에 나타내었다.
TT(n = 527) TG (n = 113) P
성별 255/ 272 64/49 0.386
나이 60.50±12.41 58.98±10.92 0.230
FBS(mg/dL) 165.40±74.88 162.60±59.83 0.684
2PPBS(mg/dL) 252.51±103.61 251.54±86.49 0.924
drug naive FBS(mg/dL) 184.84±65.16
(n = 80)
212.97±72.11
(n = 36)
0.040
drug naive 2PPBS(mg/dL) 273.46±98.20
(n = 80)
326.13±123.12
(n =36)
0.026
HbA1c(%) 8.99±2.39 8.77±2.32 0.389
BMI(kg/m2) 23.49±3.51 25.13±3.40 0.000
무게 (kg) 61.37±11.17 67.49±11.78 0.000
허리 둘레 (cm) 83.44±.47 87.27±10.79 0.000
엉덩이 둘레(cm) 89.01±.79 93.12±9.58 0.000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형 당뇨병 환자군 내에서 TG 유전자형을 가진 군은 TT 유전자형을 가진 군에 비해 성별, 연령의 분포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BMI, 무게, 허리 둘레, 엉덩이 둘레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다 (all P < 0.001). 또한,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drug naive) 환자군 내에서 TG 유전자형을 가진 군은 TT 유전자형을 가진 군에 비해 공복 혈당과 식후 2시간 혈당이 유의하게 높았다 (P = 0.040 및 P = 0.0260).
<110>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20> 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s of diabetes <130> 127 <160> 3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400> 1 gcagagcatc cagcttgatg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Wild type antisense primer <400> 2 aagcggcaag cctggcagca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NP type antisense primer <400> 3 aagcggcaag cctggcagcc 20

Claims (8)

  1. 인간 ERRγ (Estrogen-related receptor gamma) 유전자(Gene ID: 2104)의 S179A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부위를 포함하는 당뇨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은 제2형 당뇨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조성물은 인간 ERRγ 유전자의 S179A 단일염기다형성 부위를 포함하는 10 내지 400 개의 연속 염기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그의 상보적 폴리뉴클레오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마커 조성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진단 키트.
  5. (a) 대상 시료에서 DNA를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분리된 DNA에서 인간 ERRγ 유전자(Gene ID: 2104)의 S179A 단일염기다형성 부위의 대립 유전자형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진단 또는 발병 가능성에 관한 정보 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시료는 혈액, 조직, 세포, 혈청, 혈장, 타액, 객담, 머리카락 및 소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의 진단 또는 발병 가능성에 관한 정보 제공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단일염기다형성 부위의 대립 유전자형 분석은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에 의한 혼성화 방법, 대립유전자 특이적 프로브 혼성화 방법(allele-specific probe hybridization), 대립 유전자 특이적 증폭 방법(allele-specific amplification), 서열분석법(sequencing), 5' 뉴클레아제 분해법(5' nuclease digestion), 분자 비콘 어세이법(molecular beacon assay), 올리고뉴클레오티드 결합 어세이법(oligonucleotide ligation assay), 크기 분석법(size analysis) 및 단일 가닥 배좌 다형성법(single-stranded conformation polymorphis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의 진단 또는 발병 가능성에 관한 정보 제공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c) 상기 (b) 단계에서 확인된 인간 ERRγ 유전자의 S179A 단일염기다형성 부위의 대립 유전자형이 T/G인 경우, 당뇨병의 발병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의 진단 또는 발병 가능성에 관한 정보 제공방법.
KR1020130016459A 2013-02-15 2013-02-15 당뇨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뇨병의 진단 또는 발병 가능성에 관한 정보제공방법 KR101501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459A KR101501083B1 (ko) 2013-02-15 2013-02-15 당뇨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뇨병의 진단 또는 발병 가능성에 관한 정보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459A KR101501083B1 (ko) 2013-02-15 2013-02-15 당뇨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뇨병의 진단 또는 발병 가능성에 관한 정보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933A true KR20140102933A (ko) 2014-08-25
KR101501083B1 KR101501083B1 (ko) 2015-03-10

Family

ID=51747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459A KR101501083B1 (ko) 2013-02-15 2013-02-15 당뇨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뇨병의 진단 또는 발병 가능성에 관한 정보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0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083B1 (ko) 201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783B1 (ko) Cyp3a5 및 cyp3a7 유전자 부위의 염기서열 다형성을 이용한 타크로리무스 혈중 약물 농도 예측 방법
WO2009104730A1 (ja) 高血圧感受性遺伝子群の同定
KR101249635B1 (ko) 양극성 장애 진단용 egr2 유전자 snp, 그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KR20110034297A (ko) 내인성 아토피 피부염 진단용 마커 및 그의 용도
JP2010502205A (ja) Gtpシクロヒドロラーゼ1遺伝子(gch1)中の疼痛保護的ハプロタイプの診断のためのsnpの使用
KR101501083B1 (ko) 당뇨병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뇨병의 진단 또는 발병 가능성에 관한 정보제공방법
KR101992952B1 (ko) 콜레스테롤 유출능과 관련된 심혈관질환의 발병 위험을 예측하기 위한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5904501B2 (ja) 2型糖尿病の検出方法
WO2009055596A2 (en) Methods of using genetic variants to diagnose and predict metabolic syndrome and associated traits
KR101617612B1 (ko) 한국인의 고혈압 예측용 snp 마커
KR101546069B1 (ko) 대사증후군 예측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092580B1 (ko) 위암 감수성 예측용 vcan 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한위암 감수성 예측 방법
KR101141546B1 (ko) Ankrd15, hpd, psmd9, wdr66, gpc6, pax9, lrrc28, tns4, axl, 및 hnrpul1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단일염기다형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 및 진단키트, 및 이를 이용한 분석방법
KR20110011306A (ko) 텔로미어 유지 유전자를 이용한 폐암 감수성 진단용 마커 및 폐암 감수성 예측 및 판단 방법
KR101167945B1 (ko) Atg16l1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단일염기다형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 및 진단키트, 및 이를 이용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 분석방법
KR100785391B1 (ko) 비만 발생위험도 예측용 Wnt10Β 단일염기 다형성 마커
JP4444576B2 (ja) 2型糖尿病関連遺伝子
KR20150092937A (ko) 한국인의 고혈압 예측용 snp 마커
WO2013035861A1 (ja) 加齢黄斑変性の易罹患性判定方法、プライマー対、プローブ、加齢黄斑変性診断キット、加齢黄斑変性の治療薬及び加齢黄斑変性の治療薬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KR101546070B1 (ko) 대사증후군 예측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Sadia et al. Development of T-ARMS-PCR to Detect MYBPC3 Gene Variation in Hypertrophic Cardiomyopathy (HCM) Patients
KR101071081B1 (ko) Defa4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단일염기다형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 및 진단키트, 이를 이용한 검출 방법
KR101061540B1 (ko) 단일염기다형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를 포함하는마이크로어레이 및 진단키트, 이를 이용한 검출 방법
KR101167942B1 (ko) Alg12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단일염기다형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 및 진단키트, 및 이를 이용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 분석방법
KR100803258B1 (ko) 단일염기다형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그를 포함하는마이크로어레이 및 진단키트, 그를 이용한 b형 간염백신에 대한 항체-무반응 진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