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585A -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간이형 입체경 - Google Patents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간이형 입체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585A
KR20140102585A KR1020130068042A KR20130068042A KR20140102585A KR 20140102585 A KR20140102585 A KR 20140102585A KR 1020130068042 A KR1020130068042 A KR 1020130068042A KR 20130068042 A KR20130068042 A KR 20130068042A KR 20140102585 A KR20140102585 A KR 20140102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eight
lenses
distance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4131B1 (ko
Inventor
최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글텍
Priority to JP2015556878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6514275A/ja
Priority to US14/766,919 priority patent/US20150370082A1/en
Priority to PCT/KR2014/001151 priority patent/WO2014126383A1/ko
Priority to CN201480009043.4A priority patent/CN105190408A/zh
Publication of KR20140102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02B27/027Viewing apparatus comprising magnify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4Viewing or reading apparatus having collapsible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02B30/37Collapsible stere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Lens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관람용 간이형 입체경이 개시된다. 이 입체경(10, 100)은 제1렌즈와 제2렌즈가 수평방향에 평행하도록 좌우에 병치되게 한 상태에서 제1렌즈와 제2렌즈의 수직방향 높이가 제1높이에서 제2높이까지의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를 잡아주는 렌즈높이조절부(30)를 구비한다. 또한, 제1렌즈의 중심과 제2렌즈의 중심 간의 수평방향 간격을 소정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렌즈간격조절부(50, 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안경테와 안경다리부를 포함하고, 그 안경테의 렌즈장착구의 수평방향 지름을 렌즈의 그것보다 더 크게 하여 두 렌즈의 수평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간이형 입체경 {Pocket stereoscope for viewing side by side stereo images}
본 발명은 입체영상을 볼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되는 입체경(stereoscop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 스테레오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관람할 수 있는 간이형 입체경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두 눈으로 사물을 관찰함에 있어서 같은 대상을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의 간격에 의하여 약간 다른 각도로 본 영상이 양쪽 안구를 통해 망막에 맺힌 다음 뇌로 전달된다. 사람의 뇌는 그 두 영상을 전달받아 합성하여 입체 공간의 원근감을 인식하게 된다. 최근에 3차원 입체영상의 매력이 알려지면서 입체영상의 생산과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방법 중 한 가지는, 사람이 두 눈으로 입체감을 느끼는 원리와 같게, 동일 대상을 약간의 시선각 편차를 갖는 두 가지 이미지로 표현하여 사람이 두 눈에 한 개씩 보이게 하는 방법이다. 이런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법으로 촬영된 스테레오 이미지를 입체영상으로 보기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입체경을 사용해야 한다.
여러 가지 입체경들 중에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 위에 올려놓고 그 영상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간이형 입체경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포켓형 입체경(Pocket stereoscope)(1)의 대표적인 예를 도시한다. 이 포켓형 입체경(1)은 렌즈장착판(3)에 좌우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된 두 개의 렌즈공 안에 두 개의 렌즈(2)가 장착되어 있고, 그 렌즈장착판(3)의 좌우 양측 단부에는 길이가 같은 네 개의 다리(4)가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도록 설치된 구조이다.
이 포켓형 입체경(1)의 구조적 특징은 입체영상으로 볼 대상물(5)과 두 렌즈(2) 사이의 이격거리가 고정되어 사용자가 조정할 수 없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두 렌즈(2) 사이의 간격도 고정되어 사용자가 조정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는 점이다. 대상물(5)에서 렌즈(2)까지의 이격거리는 일반적으로 50-100[mm] 정도가 바람직한데, 사람마다 시력 특성(초점 거리)이 다르므로 그에 따라 상기 이격거리의 최적값이 다를 수 있다. 그 이격거리가 조절이 불가하면 사람에 따라 초점거리가 맞지 않은 상태로 대상물(5)을 보게 될 수 있다. 또한, 통계자료에 의하면 사람의 두 눈의 간격은 나이, 성별, 인종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두 눈의 간격은 어린이가 성인이 되기까지 40~50mm 자라며, 성인 여성의 평균 눈 간격은 약 55mm이며 성인 남성은 65mm이며, 백인이 흑인과 황인종 보다 2~3mm 간격이 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렌즈(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는 구조인 경우, 렌즈 간격이 서로 다른 제품을 여러 종류로 만들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두 눈의 간격을 잘 모르는 것이 보통이므로 여러 제품들을 직접 착용해보고 그 중에서 자신의 눈 간격에 맞는 제품을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으로 사진이나 동영상을 보는 것이 일상화되었다. 3차원(3D)으로 볼 수 있도록 제작된 사진이나 동영상 콘텐츠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런 사진이나 동영상 콘텐츠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 스테레오 영상의 형태로 스마트폰 화면에 렌더링하고, 입체경을 이용하여 그 렌더링 화면을 보면 그 사진이나 동영상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입체영상 관람을 위해서는 스마트폰에 최적화된 입체경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두 렌즈와 스마트폰 화면 사이의 이격거리를 사용자의 초점거리 특성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입체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두 렌즈 사이의 간격을 사용자의 두 눈의 간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입체경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스마트폰의 화면에서 표시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스테레오 영상을 입체적으로 감상하는 데 최적화된 입체경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렌즈; 제2렌즈;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를 좌우에 병치되도록 잡아주는 렌즈테; 일측이 휴대형 영상재생기기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렌즈테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렌즈를 휴대형 영상재생기기의 화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지지해주는 렌즈다리부; 및 (i)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간의 수평방향 간격(이하, '렌즈 간 간격'이라 함)과, (ii) 상기 제1 및 제2 렌즈의 상기 휴대형 영상재생기기의 화면으로부터의 높이(이하, '화면에 대한 렌즈들의 높이'라 함)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가변시킬 수 있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휴대형 영상재생기기의 화면에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로 재생되는 영상을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를 통해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이 제공된다.
일예에 따르면,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화면에 대한 렌즈들의 높이'를 제1높이에서 제2높이까지의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테를 잡아주는 렌즈높이조절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렌즈높이조절부는, 상기 렌즈테의 일측 모서리에서 수직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1높이조절바; 상기 렌즈테의 타측 모서리에서 수직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2높이조절바; 및 상기 렌즈다리부에 좌우 양쪽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높이조절바 및 상기 제2높이조절바와 각각 맞물려 수직방향으로 활주 이동할 수 있도록 각각 안내해주는 제1 안내부 및 제2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높이조절부는 상기 제1높이조절바 및 상기 제2높이조절바의 상기 제1안내부 및 상기 제2안내부에 대한 활주 이동에 의해 상기 '화면에 대한 렌즈들의 높이'를 55~65mm의 범위 내에서 원하는 값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체경은, 바람직한 일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다리부가 수직방향으로 직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해주는 지지받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입체경은, 상기 지지받침부재 위에 얹혀 있는 휴대형 영상재생기기를 상기 지지받침부재 쪽으로 누르면서 잡아주는 누름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입체경은, 바람직한 다른 예에 따르면, 판형 부재로 된 상기 렌즈다리부의 배면 저부에서 상기 렌즈다리부의 후방으로 수평 연장되었다가 아래쪽으로 수직 절곡되어 소정길이 연장된 다음 상기 렌즈다리부의 전방으로 수평 연장된 형상을 가져, 스마트폰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자신과 상기 렌즈다리부의 저면 사이에 끼움 삽입되면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이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와 평행하게 되도록 잡아주는 끼움받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1렌즈테를 상기 제1 높이조절바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활주이동 가능하게 결합시켜주고 또한 상기 제2렌즈테를 상기 제2 높이조절바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활주이동 가능하게 결합시켜주어 상기 렌즈 간 간격이 소정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도록 해주는 렌즈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렌즈테는 상기 제1렌즈를 감싸는 제1렌즈테와 상기 제2렌즈를 감싸며 상기 제1렌즈테와 분리된 제2렌즈테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간격조절부는 상기 제1렌즈의 중심과 상기 제2렌즈의 중심 간의 수평방향 간격을 40~70mm의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상기 입체경은, 상기 렌즈다리부의 말단에 연결되어 영상재생기기의 몸체를 두 군데서 상기 몸체 일부를 감싸면서 잡아주도록 된 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1렌즈의 중심과 상기 제2렌즈의 중심 간의 수평방향 간격을 소정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렌즈간격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렌즈간격조절부는, 상기 렌즈테에 좌우 병치되게 마련된 제1 및 제2 렌즈장착구와, 상기 제1 및 제2 렌즈의 테두리 부분을 감싼 제1 및 제2 렌즈림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렌즈장착구는 상기 제1 및 제2 렌즈림에 비해 수평방향 지름이 더 커서 상기 제1 및 제2 렌즈림이 상기 제1 및 제2 렌즈장착구에 압입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렌즈 간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런 렌즈간격조절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렌즈장착구의 내측 상면 및 하면에는 복수 개의 걸림홈이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렌즈림의 외측 상면 및 하면에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복수 개의 걸림홈 중 어느 걸림홈에 걸리는지에 따라 상기 렌즈 간 간격이 조절된다.
상기 렌즈다리부는 상기 렌즈테로부터 직교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힌지부가 마련되어 상기 힌지부에서 접어서 부피가 감소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체영상 관람 대상물에 대한 두 렌즈의 수직방향 이격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에 의해,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눈의 초점거리에 맞도록 상기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두 렌즈가 관람 대상물에 대해 최적의 이격거리만큼 떨어져 있을 때, 그 관람 대상물이 가장 선명하게 보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입체경은 어떤 사용자가 사용하더라도 자신의 눈 특성에 맞는 맞춤형 초점거리를 최적상태로 조절할 수 있어 선명한 입체영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해준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사람들마다 두 눈 사이의 간격이 다른데,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입체경은 두 렌즈 간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어떤 사용자가 사용하더라도 자신의 눈 간격에 맞게 두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간격 조절 구조를 채용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렌즈 간격 사이즈를 갖는 입체경을 다양하게 만들 필요가 없어 생산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사용자들은 두 렌즈의 간격이 자신의 눈 간격에 꼭 맞춰진 상태로 입체영상을 관람할 수 있으므로 관람의 불편이 없고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으며 양질의 화질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체경은 최근에 나오는 스마트폰에 맞게 최적 설계된 것이어서, 스마트폰으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 스테레오 영상을 입체적으로 감상하기가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입체경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경의 구조를 도시한 조립상태 사시도, 분해 사시도, 그리고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체경의 구조를 도시한 조립상태 사시도, 분해 사시도, 그리고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체경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8은 입체경의 구조를 도시한 조립상태 사시도, 도 9는 안경다리부를 접은 상태도, 도 10은 스마트폰과 같은 영상재생기기에 장착한 사용상태도, 도 11은 두 렌즈를 분해한 사시도, 그리고 도 12의 (a)와 (b)는 두 렌즈의 간격이 최대와 최소로 조절된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 제1 실시예
먼저,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경(10)이 도시되어 있다. 입체경(10)은 렌즈높이조절부(30)를 갖는다. 그 렌즈높이조절부(30)는 판형의 수직지지부재(40)의 배면의 좌우 양쪽 지점에 같은 구조로 된 두 개의 안내부(36a, 36b)가 각각 마련된다. 각 안내부(36a 또는 36b)는 두 개의 가이드바가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된 채 수직지지부재(40)의 배면에 고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각 안내부(36a, 36b)는 수직방향으로 선형의 안내홈을 제공한다.
이 두 안내부(36a, 36b)의 안내홈 각각에는 제1 및 제2 높이조절바(32a, 32b)가 수직방향으로 활주 이동 가능하게 끼움 삽입되어 있다. 이 높이조절바(32a, 32b)는 사용자가 안내부(36a,36b)의 안내홈을 따라 높이조절바(32a, 32b)를 수직방향으로 활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1 및/또는 제2 렌즈부(20a, 20b)의 수직방향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하는 데 사용된다.
스마트폰(70)의 화면에서 사진이나 동영상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스테레오 형태로 존재하거나 디스플레이 될 때, 그 사진이나 동영상을 두 렌즈(22a, 22b)를 통해 선명한 입체영상으로 보려면 그 두 렌즈(22a, 22b)의 아래쪽에 놓이는 스마트폰(70)의 화면에서 그 두 렌즈(22a, 22b)까지의 거리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사람들 눈의 초점거리 편차를 고려할 때 55-65mm 정도의 범위가 적당하다. 즉, 두 렌즈(22a, 22b)의 수직방향 높이는 적어도 10mm 이상을 가변시킬 수 있어야 한다. 달리 말하면, 제1 및 제2 높이조절바(32a, 32b)가 제1 및 제2 안내부(36a, 36b)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ㅁ5mm 이상 활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조절바(32a, 32b)와 안내부(36a, 36b)의 길이는 이런 요구를 반영하여, 제1 및 제2 렌즈부(20a, 20b)의 원하는 수직방향 높이 조절 범위보다 더 길게 마련할 필요가 있다.
판형의 수직지지부재(40)는 자립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거나 또는 다른 보조 부재의 도움으로 직립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입체경(10)은 예컨대 수직지지부재(40)의 아래쪽 모서리에서 앞쪽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판형의 지지받침부재(6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받침부재(60)와 수직지지부재(40)는 서로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직지지부재(40)는 지지받침부재(60)의 도움으로 직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입체경(10)은 또한 제1렌즈부(20a)와 제2렌즈부(20b)를 포함하는 렌즈부(20)를 갖는다. 제1렌즈부(20a)는 제1렌즈(22a)와 그 제1렌즈(22a)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잡아주는 제1렌즈테(24a)를 포함한다. 제1렌즈테(24a)는 앞쪽의 한쪽 귀퉁이가 둥글게 잘려나간 라운드(25) 모양이다. 사용자의 코가 들어설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모양이다. 제1렌즈테(24a)의 뒤쪽 모서리는 제1높이조절바(32a)의 상단과 결합되어, 제1렌즈부(20a)가 제1높이조절바(32a)의 꼭대기에 매달려 있게 된다. 제1렌즈테(24a)와 제1높이조절바(32a)는 서로 상대적 이동이 불가하게 결합될 수도 있지만, 렌즈간격조절부(50)를 도입하여 제1렌즈테(24a)가 제1높이조절바(32a)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활주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렌즈테(24a)의 뒤쪽 모서리를 따라 돌출부(28)가 뒤쪽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1높이조절바(32a)의 상단에는 안내부재(33a)가 마련된다. 이 안내부재(33a)에는 돌출부(28)와 마주보는 면을 따라 돌출부(28)가 옆에서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잡아주면서도 그 돌출부(28)가 수평방향으로 활주이동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안내홈(34)이 마련된다. 이 돌출부(28)와 안내홈(34)으로 구성되는 렌즈간격조절부(50) 구조는 제1렌즈테(24a)가 제1높이조절바(32a)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활주 이동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제2렌즈부(20b)는 제2렌즈테(24b)의 구조만 제1렌즈테(24a)의 구조와 축대칭 관계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는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부분은 제1렌즈부(20a)와 같다. 그러므로 제2렌즈부(20b)는 제2높이조절바(32b)의 상단에 매달려 있는 형태로 결합되며, 제2높이조절바(32b)에 대하여 상대적 이동이 불가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제2렌즈테(24b)가 제2높이조절바(32b)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활주 이동할 수 있도록 제2높이조절바(32b)와 결합된다.
제1렌즈테(24a)와 제1높이조절바(32a) 간의 수평방향 활주이동 구조 및 제2렌즈테(24b)와 제2높이조절바(32b) 간의 수평방향 활주이동 구조는 모두 채용되어도 좋고 이 두 구조 중 어느 한 가지만 채용되어도 좋다. 이 두 개의 수평방향 활주이동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제1렌즈(22a)와 제2렌즈(22b) 간의 수평방향 간격('렌즈 간 간격'이라 함)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런 렌즈간격조절부(50)에 의해, 제1렌즈(22a)의 중심과 제2렌즈(22b)의 중심 간의 수평방향 간격은 적어도 40~70mm의 범위에서 원하는 값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렌즈테(24a, 24b)의 대면하는 두 모서리에는 돌출부(26)가 각각 마련하여, 두 렌즈테(24a, 24b)의 돌출부(26)가 서로 맞닿았을 때의 제1렌즈(22a)의 중심과 제2렌즈(22b)의 중심 간의 수평방향 간격이 40mm가 되도록 두 렌즈테(24a, 24b)와 돌출부(26)의 치수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지지받침부재(60) 위에 스마트폰(70)이 얹혀 있을 때, 그 스마트폰(70)이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그 스마트폰(70)을 지지받침부재(60) 쪽으로 눌러서 잡아주는 누름부재(46)를 더 마련할 수도 있다. 이 누름부재(46)는 수직지지부재(40)의 좌우 양 옆에 마련되며, 탄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체경(100)을 도시한다. 이 입체경(100)은 제1 실시예의 입체경(10)과 비교할 때, 렌즈간격조절부를 구성하는 요소들과 스마트폰(70)을 잡아주는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다.
입체경(100)의 렌즈간격조절부(150)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제1 및 제2 렌즈테(124a, 124b)의 뒤쪽 모서리 부분(153a, 153b)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개구(152a, 152b)가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그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높이조절바(132a, 132b)의 상단에는 각각 U자형 걸림부(154a, 154b)가 마련된다. 그 U자형 걸림부(154a, 154b)의 어느 하나의 수직부가 개구(152a, 152b) 속에 삽입되면, 그 개구(152a, 152b)를 정의하는 뒤쪽 모서리 부분(153a, 153b)이 U자형 걸림부(154a, 154b) 속에 삽입되어 얹힌다. 이런 형태로 제1 및 제2 렌즈테(124a, 124b)가 제1 및 제2 높이조절바(132a, 132b)와 서로 수평방향으로 상대적인 활주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런 형태로 개구(152a, 152b)와 U자형 걸림부(154a, 154b)가 입체경(100)의 렌즈간격조절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이 렌즈간격조절 메커니즘 역시 적어도 40~70mm의 범위에서 제1렌즈(22a)의 중심과 제2렌즈(22b)의 중심 간의 수평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준다.
입체경(100)은 제1 실시예의 입체경(10)의 지지받침부재(60) 대신에 끼움받침부재(160)를 구비한다. 이 끼움받침부재(160)는 대략 'ㄷ' 모양으로 절곡된 판형 구조체로서 그 위쪽 입구부가 지지받침부재(60)의 배면 저부에 고정 연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판형인 수직지지부재(40)의 배면 저부에서 그 수직지지부재(40)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스마트폰(70)의 일측 모서리를 잡기에 충분한 길이)만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었다가 아래쪽으로 수직 절곡되어 소정길이(스마트폰(70)의 두께보다 약간 더 크게) 연장된 다음 그 수직지지부재(40)의 전방으로 즉, 렌즈부(20a, 20b)가 있는 방향으로 수평 연장(수평연장부)된 형상을 가진다. 이에 의해, 그 'ㄷ' 모양 지지받침부재(60)는 스마트폰(70)의 일측 모서리가 그 'ㄷ' 모양 구조체의 개구 속으로 끼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런 끼움받침부재(160)는, 스마트폰(70)의 상변 모서리 부분이 끼움받침부재(160)의 수평연장부와 수직지지부재(40)의 저면 사이에 끼움 삽입되면, 그 스마트폰(70)의 화면이 제1 및 제2 렌즈(20a, 20b)와 평행하게 되도록 스마트폰(70)을 잡아준다.
입체경(100)의 제1 및 제2 렌즈(20a, 20b)의 수직방향 높이 조절 메커니즘은 제1 실시예의 입체경(10)의 그것과 동일하다.
(3) 제3 실시예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체경(200)의 구조를 도시한 조립상태 사시도, 안경다리부(230a, 230b)를 접은 상태도, 스마트폰과 같은 영상재생기기(70)에 장착한 사용상태도, 두 렌즈(22a, 22b)를 분해한 사시도, 그리고 두 렌즈(22a, 22b)의 간격이 최대와 최소로 조절된 상태도이다.
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입체경(200)은 앞의 두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전체적 형상이 안경 형상으로 디자인 되어 있으며 좌우 안경다리부(230a, 230b)가 접이식으로 되어 있으며, 두 렌즈(22a, 22b) 간 간격은 조절가능하나, 두 렌즈(22a, 22b)의 영상재생기기(예: 스마트폰)(70)의 화면으로부터의 높이 조절은 불가한 구조로 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체경(200)은 좌우 양쪽에 렌즈장착구를 제공하는 제1 및 제2 렌즈테(224a, 224b)가 서로 연결되고 가운데에 코받침이 마련된 안경테(220)와, 이 안경테(220)의 좌우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소정길이 연장된 제1 및 제2 렌즈다리부(230a, 230b), 그리고 이 제1 및 제2 렌즈다리부(230a, 230b)의 말단에 연결되어 영상재생기기(70)의 몸체 두 군데서 일부를 감싸면서 잡아주도록 된 파지부(240a, 240b)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구조가 안경 형상과 유사하게 디자인 되어 있다.
제1 및 제2 렌즈다리부(230a, 230b)는 렌즈테(224)로부터 직교방향으로 조금 떨어진 지점에 힌지부(232)가 마련되어 그 부분에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입체경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 렌즈다리부(230a, 230b)는 힌지부(232)에서 접어서 보관하기 간편하도록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파지부(240a, 240b)는
Figure pat00001
모양으로 디자인하고 그 개방된 입구의 크기가 영상재생기기(70)의 두께와 비슷하거나 약간 작게 하여, 파지부(240a, 240b)가 그 안에 수납된 영상재생기기(70)를 조이면서 잡아주도록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 상태에서 벗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파지부(240a, 240b)의 끝을 점 더 크게 만드는 것이 좋다. 도 10은 영상재생기기(70)을 파지부(240a, 24b)에 끼워서 입체경(200)을 영상재생기기(70)의 몸체에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두 렌즈(22a, 22b)를 통해 그 영상재생기기(70)의 화면에서 사이드-바이-사이드 형태로 재생되는 영상을 보면 그 영상이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된다.
제1 및 제2 렌즈테(224a, 224b)에는 각각 렌즈장착구(221a, 221b)가 마련된다. 제1 및 제2 렌즈(22a, 22b)는 렌즈림(223a, 223b)에 의해 테두리 부분이 감싸여져 있다. 이 렌즈장착구(221a, 221b)와 렌즈림(223a, 223b)에는 렌즈간격조절부(250a, 250b)가 마련된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렌즈간격조절부(250a)는 제1 렌즈장착구(221a)의 내측 상면과 하면에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252a)들과, 제1 렌즈림(223a)의 외측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된 걸림돌기(254a)를 포함한다. 복수의 걸림홈(252a)은 예컨대 3개 이상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렌즈간격조절부(250b)를 구성하는 제2렌즈(22b)의 렌즈림(223b) 및 제2 렌즈장착구(221b)의 구조도 제1렌즈(22a)의 렌즈림(223a) 및 제1 렌즈장착구(221a)와 같다.
제1 및 제2 렌즈장착구(221a, 221b)는 그 수직방향 지름이 렌즈림(223a, 223b)이 압입 결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나, 수평방향 지름은 렌즈림(223a, 223b)의 수평방향 지름보다 더 크다. 따라서 제1 및 제2 렌즈림(223a, 223b)은 제1 및 제2 렌즈장착구(221a, 221b)에 압입 체결되고, 외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렌즈(22a)를 제1 렌즈장착구(221a)에 장착하면, 제1렌즈림(223a)의 걸림돌기(254a)가 복수의 걸림홈(252a)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걸려있게 된다. 사용자가 제1렌즈(22a)에 수평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걸림돌기(254a)가 걸리는 걸림홈(252a)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렌즈(22b)도 마찬가지다.
두 렌즈(22a, 22b)가 걸려있는 걸림홈(252a, 252b)의 위치에 따라, 그 두 렌즈(22a, 22b)의 수평방향 간격이 결정된다. 사용자는 힘을 가해 제1 렌즈(22a)의 걸림돌기(254a)가 걸리는 걸림홈(252a)의 위치와 제2 렌즈(22b)의 걸림돌기(254b)가 걸리는 걸림홈(252b)의 위치를 이동시켜 자신의 두 눈의 간격에 맞게 두 렌즈(22a, 22b)의 수평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두 렌즈(22a, 22b)의 간격 d 가 가장 넓게 벌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b)는 가장 좁게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두 렌즈(22a, 22b) 간 간격 d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40~70mm의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에 관한 위의 설명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렌즈간격조절부(50, 150)를 마련하지 않을 수도 있고, 그 경우, 두 렌즈테(24a, 24b)를 분리하지 않고 일체로 만드는 것이 제조 상 간단할 것이다. 또한, 렌즈테, 수직지지부재, 지지받침부재, 끼움받침부재 등의 모양이나 형상도 다르게 디자인할 수 있다. 나아가 렌즈높이조절부(30)와 렌즈간격조절부(50, 15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도 렌즈부의 수직방향 활주이동과 수평방향 활주 이동을 보장하는 것이라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다른 것들을 채용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등가적인 의미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화들은 전부 본 발명의 권리범위 안에 속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주로는 포켓형 입체경을 제조하는 데 이용될 수 있지만, 사이드 바이 사이드 스테레오 스틸 이미지나 동영상을 감상하기 위한 다양한 입체경 제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0, 100, 200: 입체경 20a, 20b: 렌즈부
22a, 22b: 렌즈 24a, 24b, 124a, 124b: 렌즈테
28: 돌출부 30: 렌즈높이조절부
34: 안내홈 32a, 32b: 높이조절바
36a, 36b: 안내부 40: 수직지지부재
46: 누름부재 50, 150, 250: 렌즈간격조절부
60: 지지받침부재 70: 스마트폰 1
52a, 152b: 개구 154a, 154b: U자형 걸림부
160: 끼움받침부재 220: 안경테
221a, 221b: 렌즈장착구 223a, 223b: 렌즈림
224a, 224b: 렌즈테 230a, 230b: 안경다리부
232: 힌지부 240a, 240b: 파지부

Claims (12)

  1. 제1렌즈;
    제2렌즈;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를 좌우에 병치되도록 잡아주는 렌즈테;
    일측이 휴대형 영상재생기기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렌즈테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렌즈를 휴대형 영상재생기기의 화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지지해주는 렌즈다리부; 및
    (i)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간의 수평방향 간격(이하, '렌즈 간 간격'이라 함)과, (ii) 상기 제1 및 제2 렌즈의 상기 휴대형 영상재생기기의 화면으로부터의 높이(이하, '화면에 대한 렌즈들의 높이'라 함)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가변시킬 수 있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휴대형 영상재생기기의 화면에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로 재생되는 영상을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를 통해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화면에 대한 렌즈들의 높이'를 제1높이에서 제2높이까지의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테를 잡아주는 렌즈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높이조절부는, 상기 렌즈테의 일측 모서리에서 수직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1높이조절바; 상기 렌즈테의 타측 모서리에서 수직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2높이조절바; 및 상기 렌즈다리부에 좌우 양쪽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높이조절바 및 상기 제2높이조절바와 각각 맞물려 수직방향으로 활주 이동할 수 있도록 각각 안내해주는 제1 안내부 및 제2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높이조절부는 상기 제1높이조절바 및 상기 제2높이조절바의 상기 제1안내부 및 상기 제2안내부에 대한 활주 이동에 의해 상기 '화면에 대한 렌즈들의 높이'를 55~65mm의 범위 내에서 원하는 값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다리부가 수직방향으로 직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해주는 지지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받침부재 위에 얹혀 있는 휴대형 영상재생기기를 상기 지지받침부재 쪽으로 누르면서 잡아주는 누름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6. 제1항에 있어서, 판형 부재로 된 상기 렌즈다리부의 배면 저부에서 상기 렌즈다리부의 후방으로 수평 연장되었다가 아래쪽으로 수직 절곡되어 소정길이 연장된 다음 상기 렌즈다리부의 전방으로 수평 연장된 형상을 가져, 스마트폰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자신과 상기 렌즈다리부의 저면 사이에 끼움 삽입되면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이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와 평행하게 되도록 잡아주는 끼움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테는 상기 제1렌즈를 감싸는 제1렌즈테와 상기 제2렌즈를 감싸며 상기 제1렌즈테와 분리된 제2렌즈테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1렌즈테를 상기 제1 높이조절바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활주이동 가능하게 결합시켜주고 또한 상기 제2렌즈테를 상기 제2 높이조절바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활주이동 가능하게 결합시켜주어 상기 렌즈 간 간격이 소정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도록 해주는 렌즈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1렌즈의 중심과 상기 제2렌즈의 중심 간의 수평방향 간격을 40~70mm의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렌즈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다리부의 말단에 연결되어 영상재생기기의 몸체를 두 군데서 상기 몸체 일부를 감싸면서 잡아주도록 된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1렌즈의 중심과 상기 제2렌즈의 중심 간의 수평방향 간격을 소정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렌즈간격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간격조절부는, 상기 렌즈테에 좌우 병치되게 마련된 제1 및 제2 렌즈장착구와, 상기 제1 및 제2 렌즈의 테두리 부분을 감싼 제1 및 제2 렌즈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렌즈장착구는 상기 제1 및 제2 렌즈림에 비해 수평방향 지름이 더 커서 상기 제1 및 제2 렌즈림이 상기 제1 및 제2 렌즈장착구에 압입 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렌즈 간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렌즈장착구의 내측 상면 및 하면에는 복수 개의 걸림홈이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렌즈림의 외측 상면 및 하면에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복수 개의 걸림홈 중 어느 걸림홈에 걸리는지에 따라 상기 렌즈 간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다리부는 상기 렌즈테로부터 직교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힌지부가 마련되어 상기 힌지부에서 접어서 부피가 감소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KR1020130068042A 2013-02-14 2013-06-13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간이형 입체경 KR101514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556878A JP2016514275A (ja) 2013-02-14 2014-02-12 サイドバイサイド映像を立体映像として見えるようにする簡易型立体鏡
US14/766,919 US20150370082A1 (en) 2013-02-14 2014-02-12 Simple stereoscope for allowing side-by-side image to be seen as three-dimensional image
PCT/KR2014/001151 WO2014126383A1 (ko) 2013-02-14 2014-02-12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간이형 입체경
CN201480009043.4A CN105190408A (zh) 2013-02-14 2014-02-12 将并排影像显示为立体影像的简易型立体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123 2013-02-14
KR20130001123 2013-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585A true KR20140102585A (ko) 2014-08-22
KR101514131B1 KR101514131B1 (ko) 2015-04-21

Family

ID=51747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042A KR101514131B1 (ko) 2013-02-14 2013-06-13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간이형 입체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370082A1 (ko)
JP (1) JP2016514275A (ko)
KR (1) KR101514131B1 (ko)
CN (1) CN1051904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170B1 (ko) * 2015-03-11 2016-09-13 공석태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
KR20160108123A (ko) * 2015-03-04 2016-09-19 최해용 휴대용 절첩식 가상 현실 기기
KR20180050637A (ko) * 2018-05-08 2018-05-15 최해용 휴대용 가상현실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81794A1 (en) * 2014-06-30 2015-12-31 Arthur Melvin Shulenberger Viewing adapter for smartphone or similiar electronic device
US9897818B2 (en) * 2015-10-06 2018-02-20 Handstands Promo, Llc Ocular frame for stereoscopic image viewer
US20170255229A1 (en) * 2016-03-04 2017-09-07 DODOcase, Inc. Virtual reality viewer
CN105867632B (zh) * 2016-04-26 2019-09-27 上海与德通讯技术有限公司 透镜的调整装置及所适用的智能眼镜
CN105974593A (zh) * 2016-07-29 2016-09-28 上海新镜科技有限公司 一种虚拟现实眼镜
JP6920724B2 (ja) * 2017-07-21 2021-08-18 株式会社アルファコード Vr用メガネ
RU201761U1 (ru) * 2020-06-01 2021-01-12 Данил Владимирович Рябой Разборный линзовый стереоско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4170Y2 (ko) * 1984-09-18 1986-12-12
JP2971958B2 (ja) * 1991-01-09 1999-11-08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ステレオビュアー
JP2575908Y2 (ja) * 1992-04-21 1998-07-02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パッケージ兼用ステレオビュアー
JP2001127852A (ja) * 1999-10-28 2001-05-11 Seiko Epson Corp カバーガラス及び光学部品
JP3608781B2 (ja) * 2001-04-24 2005-01-12 直美 奥山 携帯型機器表示部用拡大鏡
JP3885994B2 (ja) 2001-11-07 2007-02-28 富士通株式会社 表示拡大装置
JP2005173091A (ja) * 2003-12-10 2005-06-30 Yasushi Haruta ステレオビュア及びステレオマウントフレーム
KR200423015Y1 (ko) 2006-05-25 2006-08-02 박요섭 안경
JP2011154145A (ja) * 2010-01-27 2011-08-11 Panasonic Corp 双眼レンズ及び電子機器
JP2011154144A (ja) * 2010-01-27 2011-08-11 Panasonic Corp 立体画像表示機能付き電子機器
JP2012022018A (ja) * 2010-07-12 2012-02-02 Panasonic Corp 立体表示装置
CN102455517B (zh) * 2010-10-22 2013-08-28 佛山普立华科技有限公司 可调节镜框宽度的3d眼镜
KR20120090869A (ko) * 2011-02-08 2012-08-17 방경란 휴대용 3d 뷰어
CN202003094U (zh) * 2011-03-29 2011-10-05 章炳义 立体观片观屏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123A (ko) * 2015-03-04 2016-09-19 최해용 휴대용 절첩식 가상 현실 기기
KR101657170B1 (ko) * 2015-03-11 2016-09-13 공석태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
KR20180050637A (ko) * 2018-05-08 2018-05-15 최해용 휴대용 가상현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90408A (zh) 2015-12-23
US20150370082A1 (en) 2015-12-24
JP2016514275A (ja) 2016-05-19
KR101514131B1 (ko)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131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간이형 입체경
KR101419007B1 (ko) 스마트폰용 헤드마운트형 스테레오스코피 장치
CN204013703U (zh) 一种用于手机的立体图像浏览装置
JP4601609B2 (ja) 画像表示装置
US20140146282A1 (en) Adjustable eyeglass frame
CN105549209B (zh) 3d显示装置及其光栅周期调节方法
KR101650706B1 (ko)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
KR20100054120A (ko) 사용자 맞춤형 입체영상용 안경
KR20120090869A (ko) 휴대용 3d 뷰어
CN205608301U (zh) 一种手机眼镜架
CN200956273Y (zh) 头戴式显示器
CN106556928B (zh) 一种头戴式视频透视显示装置
WO2014126383A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간이형 입체경
US9910286B2 (en) TwinScope 3-D viewer
US20160011430A1 (en) Holographic 3d eyewear for video gaming
EP2625561B1 (en) Glasses
KR101180990B1 (ko) 부착형 입체 영상용 안경
KR101657170B1 (ko)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
KR20170074330A (ko) 조립식 안경
CN105589198A (zh) 一种头戴式显示器
CN204287608U (zh) 一种头戴式显示器
JPH0373913A (ja) 光学収束の新原理に基づく万能立体ビュアー
JP2014053782A (ja) 立体画像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立体画像データ処理方法
CN204679719U (zh) 3d眼镜
KR101338238B1 (ko)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시청용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