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637A - 휴대용 가상현실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상현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637A
KR20180050637A KR1020180052422A KR20180052422A KR20180050637A KR 20180050637 A KR20180050637 A KR 20180050637A KR 1020180052422 A KR1020180052422 A KR 1020180052422A KR 20180052422 A KR20180052422 A KR 20180052422A KR 20180050637 A KR20180050637 A KR 20180050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substrate
virtual reality
folded
len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500B1 (ko
Inventor
최해용
Original Assignee
최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용 filed Critical 최해용
Priority to KR1020180052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5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50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2228
    • G02B27/2257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02B30/37Collapsible stere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가상현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착되는 스마트폰에 대한 좌, 우측 렌즈의 초점거리와 일치하는 길이를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을 기준 축으로 전면에 스마트폰을 장착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장착수단과, 상기 기판 후면에 기판을 기준 축으로 좌, 우로 절첩 되는 좌, 우 렌즈판 구조로 구성하여
사용시는 스마트폰을 간단히 장착하여 좌, 우측렌즈와 초점이 일치하고 휴대시는 좌, 우 렌즈판과 좌우 지지판을 절첩하여 박막형태로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 가상현실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가상현실장치{A portable virtual reality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영상을 체험할 수 있는 가상현실 장치이다.
특히 절첩 시 박막구조로 전환되어 부피가 종래 가상현실 장치 대비 최대 1/40 이상 축소되고 무게도 1/5 이상으로 가볍게 구성되어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간편하며 사용 시 영상을 변환하거나 조정
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휴대용 가상 현실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종래 가상현실장치는 도 5와 같은 형태로 보급되고 있으나 예를 들면 부피가 가로X 세로 X 두께가 7cmX14cmX 10cm 로 매우 크고 무게가 450g 이나 나가는 등 휴대가 곤란하고 무거워 사용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388988호 및 미국 공개 특허 US 2011/0234584 "Head-Mounted Display Device"와 같은 장치도 부피가 매우 크고 무게가 무거워 휴대가 불편하고 무게가 무거워 장시간머리에 쓰고 사용이 어려우며 제작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을 상기 장치 내부에 장착하는 사용구조이므로 사용 시 장착된 스마트폰을 작동하거나 프로그램을 바꿀 수 없으며 화면이나 프로그램을 바꿀 시는 일일이 스마트폰을 별도로 꺼내어 작동시키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문헌 출원번호 10-2012-0091346 미국 공개 특허 공개특허 US 2011/023458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피를 최소화하고 무게를 현저히 감소시키며 사용이 간편하며 장착된 스마트폰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상현실 장치는 상기 좌, 우 고정대가 2분할되어 절첩되는 좌, 우 지지판과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좌, 우 고정대와 2분할되어 절첩되는 좌, 우 렌즈판과
상기 좌, 우 렌즈 판과 상기 좌, 우 지지판 중심에 구성되어 상기 좌, 우 렌즈 판과 상기 좌, 우 지지판의 스마트폰과의 간격을 지지하는 기판으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판의 길이는 상기 좌, 우 렌즈 초점 위치에 스마트폰이 위치하는 거리와 동일하게 구성한다.
좌, 우 고정대 또는 그 이면에는 필요에 따라 덮개 구조로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은 휴대용 가상현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착되는 스마트폰에 대한 좌, 우측 렌즈의 초점거리와 일치하는 길이를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을 기준 축으로하여 전면에 좌우로 절첩 되고 전개되는 좌, 우측 지지판과, 상기 기판 후면에 기판을 기준 축으로 좌, 우로 절첩 되는 좌, 우 렌즈판 구조로 구성하여
사용시는 스마트폰을 간단히 장착하여 좌, 우측렌즈와 초점이 일치하고 휴대시는 좌, 우 렌즈판과 좌우 지지판을 절첩하여 박막형태로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 으로 구성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예는
사용 시는 기판 전면에 구성된 좌, 우 지지판을 전개하고 그 이면에 구성된 좌, 우 고정대에 스마트폰을 장착하고 기판 후면의 좌, 우 렌즈판을 전개하여 사용하며
사용 후에는 좌, 우 고정대에서 스마트폰을 분리하고 좌, 우 고정대와 좌, 우 렌즈판을 절첩하여 간단히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 우 고정대에 스마트폰을 장착할 시 스마트폰의 좌, 우면과 표면이 노출되므로 스마트폰의 필요 작동 부위를 스마트 폰이 장착된 상태에서 컨트롤 할 수 있다.
또한 좌, 우 렌즈의 초점거리와 스마트폰의 거리가 일치하게끔 구성된 지지대의 길이는 좌, 우 렌즈판을 좌,우로 전개하는 동작만으로 자동적으로 좌, 우 렌즈판의 초점이 스마트폰에 일치하게 되어 사용이 매우 간편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대의 역할은 스마트폰 화면의 가운데에 위치하게 되므로 좌, 우 눈으로 관측시 영상이 관측자의 시야각으로 인해 3개 이상 중복되어 보이는 현상을 차단하여 하나의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 시는 좌, 우 렌즈판과 좌, 우 고정대를 지지대 기준하여 좌, 우 절첩함으로써 그 부피는 도5의 종래 스마트폰을 장착하는 VR기기 대비 부피는 최대 1/40 이상, 무게는 1/4 이상 획기적으로 감소 되어 포켓에 손쉽게 휴대가능 하며 필요시 수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구조가 기본구조만 절첩되는 구조이므로 재료비를 1/4 이상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경제적인 제조가를 실현함으로써 선물용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구성 설명도
도 1의 (b)는 본 발명이 절첩 시 형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스마트폰이 장착된 구성 설명도
도 3는 본 발명의 외면이 케이스로 구성된 외형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이 별도의 케이스에 장착된 설명도
도 5는 종래 VR 기기의 외형도
도 1의 (a)와 같이 기판(1)을 기준으로 전단에 90°각도 기준 하여 좌, 우 절첩 될 수 있게끔 좌, 우 지지판(2, 2a)을 경첩(4)에 의해 지지하고 상기 좌, 우 지지판(2, 2a) 이면에는 스마트폰을 고정하고 분리할 수 있는 좌, 우 고정대(3, 3a)를 구성한다.
기판(1) 후단부에는 도 1의 (b)와 같이 기판(1)의 경첩(5)을 기준으로 90°각도 기준 하여 좌, 우 절첩 될 수 있는 좌, 우 렌즈판(6, 6a)을 구비하고 상기 좌, 우 렌즈판(6, 6a)에는 각각 좌, 우측 렌즈(7, 7a)를 구비한다.
상기 기판(1)의 길이는 좌, 우 고정대(3, 3a)에 장착되는 스마트폰(200)의 표면과 좌, 우측렌즈(7, 7a)의 초점거리가 일치하게끔 좌, 우측렌즈(7, 7a)의 초점거리와 같은 길이로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좌, 우 지지판(3, 3a)을 전개하여 상기 좌, 우 지지판(3. 3a) 이면에 구성된 좌, 우 고정대(3, 3a)에 스마트폰(200)을 장착하고,
기판(1) 후면의 좌, 우 렌즈판(7, 7a)을 전개하여 스마트폰(200)과 좌, 우측렌즈(7, 7a)를 병행 시켜 스마트폰(200) 표면에 좌, 우측렌즈(7, 7a)의 초점거리가 자동으로 맞추어지게끔 구성한다.
즉, 기판(1)의 위치가 가운데에 위치하고 그 길이를 좌, 우측 렌즈(7, 7a)의 초점거리와 일치하게 구성함으로써 초점거리가 자동으로 맞추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기판(1)의 위치는 좌, 우 지지판(3, 3a)의 중심과 좌, 우 렌즈판(6, 6a)중심에 구성하는 이유는 좌, 우 지지판(3, 3a)에 노출되는 스마트폰의 좌, 우 영상과 상기 좌, 우측 렌즈(7, 7a)의 광축과 일치하여 관측자는 하나의 입체 영상으로 시청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기판(1)의 위치가 좌, 우 지지판(3, 3a)의 중심과 좌, 우 렌즈판(6, 6a)의 중심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좌우 영상의 경계를 상기 기판(1)이 차단하여 시야각에 따라 2개~3개로 보이는 복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좌, 우 지지판(3, 3a) 형태가 도 2와 같이 스마트폰의 표면이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영상을 관측하면서 동시에 스마트폰의 표면에서 프로그램 작동, 변경, 구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1의 (a)와 도 1의 (b)와 같이 사용 후에는 기판(1)을 기축으로 하여 좌, 우측 지지판(2, 2a)을 절첩하고 좌, 우 렌즈판(6, 6a)을 절첩하면 도 1의 (b)처럼 박막구조가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확대렌즈의 초점거리를 6cm로 가정하여 동일한 렌즈 기준으로 본 발명을 실시 한 결과 도 1의 (b)와 같이 본 발명의 절첩 시 부피는 가로x 세로 x 두께가 7cm x 4cm x 1.5cm로 박막형태가 되어 그 부피가 42㎤에 불과했으나 기존 제품의 부피는 도 5와 같이 가로 x 세로 x 두께는 12cm x 17cm x 10cm =2,040㎤에 달했다.
즉, 본 발명의 부피는 도 5의 종래 기존의 VR기기 대비 최대 1/40 이상으로 현저히 감소되었다.
무게 또한 도 5의 종래 VR 기기 무게 440g 대비 본 발명의 무게는 60g으로 1/5 이상으로 현저히 감소되었다.
사용 방법에 있어서도 도 2와 같이 스마트폰(200)의 표면이 좌, 우측 지지판(2, 2a)내부에서 노출된다.
따라서 도 5의 종래의 VR 기기처럼 스마트폰을 분리하여 별도로 화면을 컨트롤 한 다음 다시 스마트폰을 장착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수시로 스마트폰의 표면을 콘트롤 할 수 있으므로 화면 변환, 프로그램변환, 화면 작동 등을 VR 화면을 관측하면서 동시에 조정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3처럼 좌, 우측 기기판(2, 2a)의 외면구조를 케이스(300) 형태로 구성하여 절첩 휴대 시 케이스(300) 내부에 본 장치(100)가 내장되게 하고 사용 시는 좌, 우측 지지판(2,2a) 전개에 따라 동시에 케이스(300)도 전개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 우 고정대(3, 3a) 구조는 상기 좌, 우가 분리된 케이스 형태로 구성하거나 또는 스마트폰(200)을 장착 고정할 수 있는 공지된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좌, 우측 지지판(2, 2a)에 연결된 좌, 우 고정대(3, 3a)와 같은 상기 스마트 폰을 장착, 고정할 수 있는 장치는 하나의 고정대 형태 등공지된 여러가지 스마트 폰(200) 장착고정 장치형태로 대체하여 기판(1) 앞면에 결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판(1) 또는 좌, 우측 지지판(2, 2a) 부위에 별도의 밴드를 구비하여 머리에 장착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무게가 매우 가벼우므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는 절첩 휴대시 박막 카드 구조가 되므로 포켓 등에 휴대가 간편하게 된다.
경첩(4, 5)의 구조는 전개 후 고정되는 경첩 등, 공지된 여러 종류의 경첩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 시는 자동적으로 화면 초점이 일치되고 간단히 스마트폰(100)을 장착 분리할 수 있고, 박막으로 절첩하여 최소 부피가 되게 하고 무게도 현저히 감소시키므로 포켓 등에 넣는 등 휴대가 간편하다.
또한, 사용이 간단하면서 제조비용이 현저히 절감되고 스마트폰 화면을 관측하면서 동시에 화면 컨트롤이 가능하므로 가상현실은 물론 게임용으로 가능하다.
1. 기판
2. 좌측지지판 2a. 우측지지판
3. 좌측고정대 3a. 우측고정대
4. 경첩 5. 경첩
6. 좌측렌즈판 6a. 우측렌즈판
7. 좌측렌즈 7a. 우측렌즈
100. VR기 200. 스마트폰
300. 케이스

Claims (2)

  1. 일반 스마트폰을 장착하고 분리하며 좌, 우측 렌즈(7, 7a)로 가상현실 영상을 관측하는 휴대용 가상현실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좌, 우 영상 표면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좌, 우측 렌즈(7, 7a) 사이를 지지하는 하나의 기판(1);과
    상기 기판(1) 후면에 좌, 우 렌즈판(6, 6a)를 지지하기 위한 경첩(5); 과
    상기 경첩(5)에서 상기 기판(1)의 좌, 우 양방향으로 각각 절첩되는 좌, 우 렌즈판(6, 6a);과
    상기 좌, 우 렌즈판(6, 6a)에 구비하는 좌, 우측 렌즈(7, 7a); 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지지대(1)의 길이는 상기 좌, 우측 렌즈(7, 7a)와 상기 스마트폰의 표면이 갖는 간격과 일치하게 구성하여
    사용 시는 상기 기판(1)의 길이가 상기 좌, 우측 렌즈(7, 7a)의 초점거리와 일치하고
    휴대 시는 좌, 우 렌즈판(6, 6a)이 경첩(5)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1)의 좌, 우 양면으로 90도 각도로 회전 절첩하여 전체의 구성 형태가 박막형태로 되는 것이 특징인 휴대용 가상현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 앞면에 하나의 고정대 형태와 같은 공지된 스마트 폰 장착 수단과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인 휴대용 가상현실 장치

KR1020180052422A 2018-05-08 2018-05-08 휴대용 가상현실장치 KR102055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422A KR102055500B1 (ko) 2018-05-08 2018-05-08 휴대용 가상현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422A KR102055500B1 (ko) 2018-05-08 2018-05-08 휴대용 가상현실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140A Division KR101913887B1 (ko) 2014-12-31 2014-12-31 휴대용 가상현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637A true KR20180050637A (ko) 2018-05-15
KR102055500B1 KR102055500B1 (ko) 2020-01-22

Family

ID=6218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422A KR102055500B1 (ko) 2018-05-08 2018-05-08 휴대용 가상현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614A (ko) * 2021-03-25 2022-10-0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vr 헤드셋 기기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1562A (en) * 1950-08-18 1952-12-16 Oliver M Stone Collapsible stereoscope
US4789220A (en) * 1987-04-24 1988-12-06 Wolcott Kinnard Stereoscopic print viewer
KR950012328U (ko) * 1993-10-04 1995-05-17 최해용 박막형, 절첩식 입체 영상 관측기
WO2006067640A2 (en) * 2004-12-21 2006-06-29 Silviu Reinhorn Collapsible portable display
JP2011154145A (ja) * 2010-01-27 2011-08-11 Panasonic Corp 双眼レンズ及び電子機器
US20110234584A1 (en) 2010-03-25 2011-09-29 Fujifilm Corporation Head-mounted display device
KR20120091346A (ko) 2009-11-10 2012-08-1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가늠맞춤된 밴드가 형성된 궐련지, 담배, 및 제조방법
KR20120090869A (ko) * 2011-02-08 2012-08-17 방경란 휴대용 3d 뷰어
KR20140001722A (ko) * 2012-06-27 2014-01-07 최해용 카드형 입체안경
KR101419007B1 (ko) * 2013-01-08 2014-07-11 주식회사 고글텍 스마트폰용 헤드마운트형 스테레오스코피 장치
KR20140102585A (ko) * 2013-02-14 2014-08-22 주식회사 고글텍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간이형 입체경
US9405126B1 (en) * 2010-06-11 2016-08-02 George Margolin Eye level viewfinder and three dimensional virtual reality viewing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1562A (en) * 1950-08-18 1952-12-16 Oliver M Stone Collapsible stereoscope
US4789220A (en) * 1987-04-24 1988-12-06 Wolcott Kinnard Stereoscopic print viewer
KR950012328U (ko) * 1993-10-04 1995-05-17 최해용 박막형, 절첩식 입체 영상 관측기
WO2006067640A2 (en) * 2004-12-21 2006-06-29 Silviu Reinhorn Collapsible portable display
KR20120091346A (ko) 2009-11-10 2012-08-1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가늠맞춤된 밴드가 형성된 궐련지, 담배, 및 제조방법
JP2011154145A (ja) * 2010-01-27 2011-08-11 Panasonic Corp 双眼レンズ及び電子機器
US20110234584A1 (en) 2010-03-25 2011-09-29 Fujifilm Corporation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9405126B1 (en) * 2010-06-11 2016-08-02 George Margolin Eye level viewfinder and three dimensional virtual reality viewing device and method
KR20120090869A (ko) * 2011-02-08 2012-08-17 방경란 휴대용 3d 뷰어
KR20140001722A (ko) * 2012-06-27 2014-01-07 최해용 카드형 입체안경
KR101419007B1 (ko) * 2013-01-08 2014-07-11 주식회사 고글텍 스마트폰용 헤드마운트형 스테레오스코피 장치
KR20140102585A (ko) * 2013-02-14 2014-08-22 주식회사 고글텍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간이형 입체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614A (ko) * 2021-03-25 2022-10-0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vr 헤드셋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500B1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887B1 (ko) 휴대용 가상현실장치
JP6517717B2 (ja) 携帯用折り畳み式仮想現実機器
JP3231329U (ja) 3d及び/又は2d高品質ビデオ撮影、写真撮影、自撮り録画用のカメラシステム及び非電気的3d/マルチビデオ及び静止フレームビューアーと一体化される多目的携帯機器ケース/カバー
JP7155267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US10491785B1 (en) Interchangeable media prompting assembly and method for prompting
KR102304308B1 (ko) 시선 조정 메커니즘을 갖춘 전자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TWI708988B (zh) 可多鏡頭換位的裝置
US20190068765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ugmented viewing of real world objects
CA2978850C (en) Stereo viewer and/or stereo view finder
US20200110241A1 (en) Virtual reality video device for educational video monitor
KR20180050637A (ko) 휴대용 가상현실장치
KR102455241B1 (ko) 교육 영상모니터용 가상현실 영상 장치
JP2013190450A (ja) ステレオビューア及び表示装置
JP2006292907A (ja) スクリーンスタンド
US20140177051A1 (en) Holographic Display System
KR20180085569A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JP3202689U (ja) 虚像観察台
JP2013190451A (ja) ステレオビューア及び表示装置
KR101402727B1 (ko) 접이식 영상 확대경용 마운트
KR102231403B1 (ko) 편배율 접안렌즈가 결합된 입체경 장치
KR20130022497A (ko) 반사판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 및 휴대 단말기 거치대
CN110618534B (zh) 一种立体显示眼镜
JP2017221364A (ja) メイクアップ補助具
KR101797878B1 (ko) 광축 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WO2016183518A1 (en) Camera obscu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