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497A - 반사판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 및 휴대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반사판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 및 휴대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497A
KR20130022497A KR1020110084807A KR20110084807A KR20130022497A KR 20130022497 A KR20130022497 A KR 20130022497A KR 1020110084807 A KR1020110084807 A KR 1020110084807A KR 20110084807 A KR20110084807 A KR 20110084807A KR 20130022497 A KR20130022497 A KR 20130022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reflector
reflecting plate
mount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4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2497A/ko
Publication of KR20130022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4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은 하부에 복수의 바퀴를 포함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상면에 배치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틀이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상면 일 영역에서 오목하게 패인 반사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및 상기 반사부의 전체면에 부착되는 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은 상기 반사부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부반사판과 상기 반사부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반사판과 상기 하부반사판은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며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사판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 및 휴대 단말기 거치대{ROBOT SUPPOR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ER HAVING REFLECTIVE PLAT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 및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정보 단말기 거치 상태에서 휴대 정보 단말기의 후방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 및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정보 단말기로 핸드폰 뿐만아니라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가 많이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대표적인 예로 애플(Apple) 사(社)의 iPad(이하, '아이패드'라 함)를 들수 있다.
태블릿 컴퓨터는 터치스크린 형식의 디스플레이부가 입력장치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컴퓨터를 말하는 바, 휴대성이 뛰어난 반면 종래 노트북 컴퓨터에 대응하는 작업처리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장점 때문에 최근 그 사용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한편, 아이패드와 같은 휴대 정보 단말기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상기 휴대 정보 단말기와 관련된 부가적인 제품들이 많이 생산되고 있다. 그 중에 하나로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을 들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은 상기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며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실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로봇이다. 또한 상기 로봇은 휴대단말기를 로봇의 제어 및 사용자 입출력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갖추어,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로봇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로봇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를 탑재하여 이용하는 로봇은 대량생산에 따른 저가화, 표준화된 플랫폼에 의한 응용프로그램 개발의 용이성이 가능하고, 인터넷통신, 사용자 인터페이스, 연산기능, 원격통화기능, 각종센서 등의 휴대 단말기 기능의 활용을 가능케 하는 이점이 있어 향후 기술 개발 분야에 있어 주목받는 분야 중의 하나이다.
이하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에 대하여 도면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40) 거치로봇은 크게 거치대(10)와 몸체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30)는 하부의 이동부(32)와 상기 이동부(32)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부(31)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32)는 하부에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을 덮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도면에서 이동수단으로 바퀴(33)가 표현되었으며 상기 바퀴(33)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1)는 상기 이동부(32)보다 얇은 폭을 가지며 상부로 솟은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대(10)를 지지하고 있다.
이때, 상기 거치대(10)와 상기 지지부(31) 사이에는 상기 거치대(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대(10)는 휴대 단말기(40)를 거치하고 고정할수 있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4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대(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40)가 상기 거치대(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틀(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틀(12)은 상기 거치대(1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40)의 두께만큼 상부로 돌출된 다음 상기 휴대 단말기(40)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40)가 상, 하부로 이탈될 수없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틀(12)은 상기 휴대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 영역(45)은 가리지 않을 만큼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40)는 주로 카메라가 후면에 배치되며, 전면에 배치되더라도 해상도가 후면카메라(42)에 비해 낮을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휴대 단말기(40) 거치로봇의 거치대(10)는 상기 휴대 단말기(40)를 단순히 거치하는 개념으로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휴대 단말기(40)의 후면카메라(42)가 향하는 방향은 상기 거치대(10)의 일면에 막혀있어 상기 후면카메라(42)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능 중에 카메라로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사진을 찍는 등의 여러 기능이 있음에도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은 사용자로 하여금 이러한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의 거치대에 반사판을 배치하여 휴대 단말기가 후면카메라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면에 있는 임의의 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 및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하부에 복수의 바퀴를 포함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상면에 배치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틀이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상면 일 영역에서 오목하게 패인 반사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및 상기 반사부의 전체면에 부착되는 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은 상기 반사부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부반사판과 상기 반사부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반사판과 상기 하부반사판은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며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반사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카메라가 상기 하부반사판을 바라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와 상기 몸체부의 지지부 사이에 상기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거치각도를 조절하는 거치각도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사판 상의 일 영역에 소정의 두께로 설치되는 광학거리 보상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서 상기 상부반사판과 상기 하부반사판 사이에 상기 상부반사판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경사각도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사판은 상기 상부반사판, 하부반사판 각각이 평면이거나 일정한 곡률로 굴곡되는 곡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사판의 상기 상부반사판, 하부반사판 각각은 평면이며, 상기 반사판은 상기 상부반사판과 상기 하부반사판이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직선에 대해 마주보며 45ㅀ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틀이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된 거치부;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부 상부의 일 영역에서 오목하게 패인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부반사판과 상기 반사부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반사판과 상기 하부반사판은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며 경사진 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카메라가 상기 하부반사판을 바라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 및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로 하여금 후면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의 영상을 취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가 전면카메라와 후면카메라를 동시에 배치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로 하여금 입체영상을 획득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일부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광학거리 보상부재가 설치된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일부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c는 전면카메라와 후면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일부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곡면반사판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일부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경사각도조절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 및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ㅇ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ㅇ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은 크게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 몸체부(300)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300)는 이동부(320) 및 지지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는 거치부(110)와 반사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300)의 이동부(320)는 하부에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을 이동시킬수 있는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상기 도면에서는 바퀴(330)로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이동부(320)의 상부에는 지지부(310)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310)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지지부(310)는 원통형태의 기둥 내부에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의 위치를 상, 하로 조절할수 있는 승강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구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둥근 형상의 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의 내부로 긴 막대형태의 승강축이 상하로 움직이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10)의 상부에는 거치대각도조절부(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거치대각도조절부(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의 상하좌우 거치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거치대각도조절부(200)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기 편하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의 상하, 좌우 각도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거치대각도조절부(200)의 상하 각도이동은 지면의 한 직선과 상기 지면에 수직한 직선이 이루는 각의 범위를 0ㅀ~ 90ㅀ범위라고 할 때, 그 각도 범위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각도조절부(200)의 좌우 각도이동은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가 바라보는 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일 방향의 지면과 평행한 성분에 대하여, 상기 성분을 포함하는 지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0ㅀ~ 360ㅀ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대각도조절부(200)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은 위치이동을 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방향으로 휴대 단말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각도조절부(200)의 상면에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가 설치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는 거치부(110)와 반사부(115)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110)는 다수의 측면에 형성된 틀과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보다 넓거나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편평한 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사부(115)는 상기 거치부(110) 상면에서 타면보다 오목하게 패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치부(110)의 틀(120, 125)은 상기 거치부(110)의 상부측면을 제외하고 다른 모든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틀(120, 125)은 상기 거치부(11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거치부(110) 내부 방향으로 각이 져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있다.
이때, 상기 틀 중 하부측 틀(120)은 휴대 단말기가 하부로 떨어지지 않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거치부(110)의 하부측면 전체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틀 중 양측 틀(125)은 휴대 단말기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거치부(110)의 좌우측면의 일 부분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는 아이패드와 같은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를 거치하는 용도로 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부(115)는 상부경사면(115a)과 하부경사면(115c), 그리고 상부경사면(115a)과 하부경사면(115c)을 잇는 중간면(115b)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115)의 전면에는 반사판(130)이 부착된다. 상기 반사판(130)은 상부반사판(130a), 하부반사판(130c), 중간판(130b)으로 구성되며, 상부반사판(130a)은 상부경사면(115a)에 부착되고, 하부반사판(130c)은 하부반사판(130c)에 부착되고, 중간판(130b)은 중간면(115b)에 부착되어 상부반사판(130a)과 하부반사판(130c)을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반사판(130)의 재질은 거울이나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130)은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경로에 상기 반사판이 배치되면 되므로, 중간판(130b)이 생략된 채로 상부반사판(130a), 하부반사판(130c)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판(130)은 휴대 단말기의 후면카메라의 이용을 위한 구성으로서 다른 도면을 통해 상기 반사판(130)의 역할 및 효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알아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은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에 휴대 단말기(400)가 거치된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400)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의 하부측 틀(120)과 양측 틀(125)에 의하여 지지 및 고정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400)의 상부 후면에는 후면카메라(42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400)는 상부의 일 영역을 제외하고 배면이 거치부(110)에 의해 거치되는 형태로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400)의 후면카메라(420)가 배치된 영역은 거치부(110)에 의해 지지되지 않으며 반사부(115)과 중첩해 있다.
상기 후면카메라(420)가 바라보는 방향에는 반사부(115) 전면에 부착된 반사판(130)중 하부반사판(130c)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부반사판(130c)과 상부반사판(130a)은 중간판(130b)에 대해 45ㅀ의 각도를 가지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반사판과 상기 하부반사판이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직선에 대해 마주보며 45ㅀ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판(130b)은 하부반사판(130c)과 상부반사판(130a)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400)의 전방에 배치된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L)이 상기 반사판(130)에 입사될 경우 가장 먼저 상부반사판(130a)에 입사되는데 이때, 빛(L)의 입사방향과 상부반사판(130a)이 이루는 각도는 45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반사판(130a)에서 반사된 빛(L)은 종전의 빛(L)의 경로에 대해 90ㅀ로 반사되어 중간판(130b)의 상부를 지나 하부반사판(130c)을 향해 입사할 수 있다.
하부반사판(130c)으로 입사된 빛(L)은 상부반사판(130a)으로부터 입사한 빛(L)의 경로에 대해 역시 90ㅀ로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반사판(130c)에서 반사된 빛(L)은 상기 하부반사판(130c)과 45ㅀ로 반사되어 휴대 단말기(400)의 후면카메라(420)에 입사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판(130)은 상부반사판(130a)과 하부반사판(130c)에서 빛(L)이 90ㅀ로 반사되게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400)의 전방에 배치된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L)을 후면카메라(420)로 입사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는 휴대 단말기(400)의 전방에 배치된 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후면카메라(420)로 획득한 피사체의 영상은 상기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L)이 우회경로를 통하여 후면카메라(420)로 입사하므로 전면카메라(미도시)로 찍은 경우보다 거리가 더 멀게 찍힐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일부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후면카메라(420)가 배치하는 위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후면의 일 영역(425)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상부반사판(130a)에서 반사하는 지점을 R이라고 할때, R부터 중간판(130b) 상부를 지나는 빛(L)의 이동거리가 L2가 되고 하부반사판(130c)에서 반사된 빛(L)의 이동거리가 L1이 되므로 이를 합산한 거리는 L3가 되는데, 상기 L3를 R에서 상기 빛(L)이 R로 입사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보면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배면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중간판(130b)의 상부에 광학거리 보상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거리 보상부재가 설치된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일부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광학거리 보상부재(150)는 상부반사판(130a), 중간판(130b), 하부반사판(130c)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학거리 보상부재(150)는 피사체에서 반사된 상기 빛(L)이 반사판(130)을 통해 우회하는 경로의 어느 한 영역에 배치하게 된다.
상기 광학거리 보상부재(150)는 상기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L)의 거리를 단축시키는 가변망원렌즈 또는 줌 렌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학거리 보상부재(150)에 의해 상기 후면카메라(420)의 위치가 상기 휴대 단말기(400) 상부의 일 영역(425)에 배치된 것과 같은 광학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400)가 후면카메라(420)와 전면카메라를 동시에 구비하는 경우에는 입체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도 4c는 전면카메라와 후면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일부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광학거리 보상부재(150)는 반사판(130)으로 이동하게 되는 빛(L)의 경로를 보상해주므로 후면카메라(420)가 광학적으로 작용하는 위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400)의 상부 일 영역(425)에 해당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400)의 전면카메라(440)는 후면카메라(420)가 배치된 위치와 비슷한 위치에 면을 달리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카메라(440)와 후면카메라(420)는 동일 수직선상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400) 전방의 한 피사체를 바라보는 카메라는 전면카메라(440)와 후면카메라(420)가 되고, 상기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L)은 전면카메라(440)로 입사되는 빛(L)과 후면카메라(420)로 입사되는 빛(M) 두 가지가 존재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람이 지각하는 입체감은 관찰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위치에 따른 수정체의 두께 변화 정도, 양쪽 눈과 대상물과의 각도 차이, 그리고 좌우 눈에 보이는 대상물의 위치 및 형태의 차이, 대상물의 운동에 따라 생기는 시차, 그 밖에 각종 심리 및 기억에 의한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긴다.
그 중에서도 사람의 두 눈이 가로 방향으로 약 6~7㎝가량 떨어져 위치함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양안 시차에 의해 대상물에 대한 각도 차이를 가지고 바라보게 되고, 이 차이로 인해 각각의 눈에 들어오는 이미지가 서로 다른 상을 갖게 되며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 두 개의 정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의 3차원 입체 영상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400)가 전면카메라(440)와 후면카메라(420)를 구비할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의해 서로 다른 2개의 경로로 한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L, M)을 받아 들이게 되어 상기 피사체에 대하여 입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판(130)은 곡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바 이것은 도 5를 통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반사판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일부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곡면반사판(230)은 상기 거치부(110)의 상부 평면에 대해 상부면(230a)과 하부면(230c) 각각이 일정한 곡률을 가지며 하부로 오목하게 굴곡된 반사부(미도시)의 전체면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의 상부와 하부를 잇는 직선을 a축이라고 하고, 상기 거치부의 양측면을 잇는 직선을 b축(미도시)이라고 할때, 상기 도면에서는 a축(미도시)에 대해서만 단면을 제시하여 2차원 상으로만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b축에 대해서도 일정한 곡률로 굴곡이 형성되어 있어 3차원상으로 균일한 곡률을 가지는 굴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곡면반사판(230)의 상부면(230a)에는 외부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L)이 입사되며, 상기 빛(L)이 입사되는 각도는 빛(L)이 입사하는 지점의 접선에 대하여 45ㅀ가 된다.
상기 상부면(230a)에 빛(L)이 입사하는 지점의 접선은 도 3에서 설명한 상부반사판(130a)의 전면이 이루는 선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빛(L)은 곡면반사판(230)의 상부면(230a)에 입사한 빛(L)의 경로에 대해 90ㅀ의 각도를 가지며 반사하고, 상기 반사된 빛(L)은 곡면반사판(230)의 하부면(230a)으로 입사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된 빛(L)이 곡면반사판(230)의 하부면(230c)으로 입사하는 각도는 빛(L)이 입사하는 지점의 접선에 대하여 45ㅀ가 된다. 상기 하부면(230c)에 빛(L)이 입사하는 지점의 접선은 도 3에서 설명한 하부반사판(130c)의 전면이 이루는 선과 동일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곡면반사판(230)의 하부면(230c)에 입사한 빛(L)은 곡면반사판(230)의 상부면(230a)에서 반사된 빛(L)의 경로에 대해 90ㅀ의 각도를 가지며 반사되어 휴대 단말기(400)의 후면카메라(420)로 입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곡면반사판(230)은 빛(L)이 반사되는 경로에 배치되는 것이므로 상부면(230a)과 하부면(230c)만 균일한 굴곡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곡면반사판(230)은 반사부(미도시)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반사판은 볼록렌즈와 유사한 광학적 역할을 하여 전방의 피사체에 대한 후면카메라의 광학적위치를 보다 앞으로 당겨줄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상부반사판(130a)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각도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경사각도조절부를 포함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10)에 하부측 틀(120), 양측 틀(125)을 구비할 수 있고 반사부(115)에 반사판(13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반사판(130a)과 중간판(130b) 사이에는 상부반사판(130a)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경사각도조절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판(130b)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부반사판(130a)와 하부반사판(130c)의 사이에 경사각도조절부(17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각도조절부(170)는 상기 상부반사판(130a)과 하부반사판(130c) 사이에서 접하는 선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힌지 축(미도시)과 힌지축 고정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축이 형성된 양 끝면에 대응되는 거치부(110)에는 상기 힌지축이 삽입될수 있는 구멍이 형성될수 있으며 상기 양 끝면에서 힌지축 고정대가 부착되어 힌지 축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반사판(130a)이 부착된 거치부(110) 영역은 상기 힌지 축과 일 영역에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반사판(130a)이 부착된 거치부(110) 영역이 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젖혀지거나 굽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 전방에 배치된 피사체를 조명할 수 있는 각도 범위를 더욱 확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거치대 110 : 거치부
115 : 반사부 130 : 반사판
170 : 경사각도조절부 200 : 거치대각도조절부
300 : 몸체부 310 : 지지부
320 : 이동부 400 : 휴대 단말기
420 : 후면카메라 440 : 전면카메라

Claims (9)

  1. 하부에 복수의 바퀴를 포함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상면에 배치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틀이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상면 일 영역에서 오목하게 패인 반사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및
    상기 반사부의 전체면에 부착되는 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은 상기 반사부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부반사판과 상기 반사부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반사판과 상기 하부반사판은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며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 로봇.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반사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카메라가 상기 하부반사판을 바라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와 상기 몸체부의 지지부 사이에 상기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거치각도를 조절하는 거치각도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 로봇.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상의 일 영역에 소정의 두께로 설치되는 광학거리 보상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 로봇.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서 상기 상부반사판과 상기 하부반사판 사이에 상기 상부반사판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경사각도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 로봇.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상부반사판, 하부반사판 각각이 평면이거나 일정한 곡률로 굴곡되는 곡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 로봇.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상기 상부반사판, 하부반사판 각각은 평면이며, 상기 반사판은 상기 상부반사판과 상기 하부반사판이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직선에 대해 마주보며 45ㅀ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 로봇.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
  9.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틀이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된 거치부;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부 상부의 일 영역에서 오목하게 패인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부반사판과 상기 반사부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반사판과 상기 하부반사판은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며 경사진 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카메라가 상기 하부반사판을 바라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20110084807A 2011-08-24 2011-08-24 반사판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 및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130022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807A KR20130022497A (ko) 2011-08-24 2011-08-24 반사판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 및 휴대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807A KR20130022497A (ko) 2011-08-24 2011-08-24 반사판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 및 휴대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497A true KR20130022497A (ko) 2013-03-07

Family

ID=48175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807A KR20130022497A (ko) 2011-08-24 2011-08-24 반사판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 및 휴대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24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3880A1 (en) * 2016-09-30 2018-04-05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ereoscopic vision with head mounted display
CN109015688A (zh) * 2018-08-30 2018-12-18 广东宏穗晶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头部可摇摆的机器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3880A1 (en) * 2016-09-30 2018-04-05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ereoscopic vision with head mounted display
US10828560B2 (en) 2016-09-30 2020-11-10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ereoscopic vision with head mounted display
CN109015688A (zh) * 2018-08-30 2018-12-18 广东宏穗晶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头部可摇摆的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3593B2 (ja) 入出力構造を有する着用可能な装置
CN110476105B (zh) 均匀性提高并且颜色之间的交叉耦合减少的波导显示器
US10345602B2 (en) Microdisplay based immersive headset
JP6358248B2 (ja) 表示装置
JP6035415B2 (ja) 入力及び出力構造を有する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EP2814252B1 (en) Head mounted display with remote control
CN105938247B (zh) 便携式折叠虚拟现实装置
JP2015521395A (ja) 入出力機構を有する着用可能な装置
JPWO2014168010A1 (ja) 画像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
EP3251341B1 (en) Electronic system with gaze alignment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11381377B (zh) 一种近眼显示设备
TWI585464B (zh) 擴增顯示裝置及擴增顯示系統
CN205142341U (zh) 具有弯曲光学元件的成像装置
TW201905539A (zh) 用於眼鏡之可拆卸地可附接擴增實境系統
US11909896B2 (en) Smartphone binoculars
JP2017134399A (ja) 眼幅の調整を必要としないメガネなし3d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30022497A (ko) 반사판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 및 휴대 단말기 거치대
CN107111139A (zh) 用于显示内容的设备和方法
KR102516769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CN211669451U (zh) 一种近眼显示设备
CN209842265U (zh) 一种高倍率变焦穿戴设备
CN207557586U (zh) 一种头戴式显示装置
JP7485426B1 (ja) 頭部装着型撮像装置および視線画像調整方法
JP2021026078A (ja) 拡張現実提供装置
KR101474116B1 (ko)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