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170B1 -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 - Google Patents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170B1
KR101657170B1 KR1020150070957A KR20150070957A KR101657170B1 KR 101657170 B1 KR101657170 B1 KR 101657170B1 KR 1020150070957 A KR1020150070957 A KR 1020150070957A KR 20150070957 A KR20150070957 A KR 20150070957A KR 101657170 B1 KR101657170 B1 KR 101657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olded
image
video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석태
Original Assignee
공석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석태 filed Critical 공석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2B27/2257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 판의 전방에 영상 기기를 수용하는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를 포함하여 좌우측 영상이 합쳐진 입체영상을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피를 작게 차지하는 박막형으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Portable headset for observing solid image}
본 발명은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 판의 전방에 영상 기기를 수용하는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를 포함하여 좌우측 영상이 합쳐진 입체영상을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피를 작게 차지하는 박막형으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영상 관측기에는 좌우측 접안 렌즈의 렌즈 축선 상에 좌측 영상 필름과 우측 영상 필름이 각각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관측자가 좌측 접안 렌즈를 통하여 좌측 영상 필름을, 그리고 우측 접안 렌즈를 통하여 우측 영상 필름을 관측하면 관측자의 눈에는 상기 좌우측 영상 필름이 합쳐져서 입체 영상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입체 영상 관측기는 좌측 및 우측 영상 필름을 이용한 입체 영상을 보이도록 하는 것으로 입체 영상 관측기의 외면을 이루는 하우징에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구비하는 3D용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기기를 별도로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는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가 존재하지 않고 있다.
또한 종래의 입체 영상 관측기는 영상 기기와 렌즈 간의 거리를 일정 거리 이상 이격시켜야 하므로 입체 영상 관측기 외면을 이루는 하우징의 크기가 커져서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기 입체 영상 관측기의 외면을 이루는 하우징이 고정형으로 되어 있어서 부피가 크며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20-0226991 호(2001년03월31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으로 구성되는 좌우측 분할 3D용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기기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는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을 분리할 수 있고, 외부 하우징을 접을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여 공간 활용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은,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수직판 및 상기 한 쌍의 제 1 및 제 2 수직판 사이를 연결하며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판 및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판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측에 위치하며, 좌우로 좌측 및 우측 접안 렌즈가 구비되는 렌즈 판; 및 상기 렌즈 판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좌측 접안 렌즈 및 우측 접안 렌즈에 대응되는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구비하는 3D용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기기를 수용하는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제 1 및 제 2 수직판 또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수평판은 접철부에 의해 접어서 다단으로 포개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철부는 힌지 또는 주름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1 및 제 2 수직판은 각각 중앙에는 전후 방향으로 제 1 힌지가 형성되고, 상하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상기 제 1 힌지와 나란하게 제 2 및 제 3 힌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힌지를 기준으로 3단으로 접어서 포개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판의 대향하는 내측면 상측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홈; 상기 제 1 수평판의 중앙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 상기 제 1 수평판의 전면 양측단에 하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한 쌍의 영상 기기 전면 지지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판의 선단에 상호 마주보면 대향되게 돌출되는 한 쌍의 영상 기기 후면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 판은: 상단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과의 결합시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으로 가이드되어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에 걸림 지지되는 상부 가이드 판; 상기 렌즈 판의 전면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과의 결합시에 상기 좌측 접안 렌즈 및 우측 접안 렌즈를 구획하도록 된 한 쌍의 격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턱의 하단에는 상기 한 쌍의 격판의 상단부가 결합시에 수용되는 격판 지지홈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 수평판인 상기 제 1 수평판은 상기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 내측까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 수평판인 상기 제 2 수평판은 상기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 영역을 포함하는 외측까지 연장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영상 기기 전면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영상 기기 후면 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상기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이며, 상기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에 수용되는 상기 영상 기기는 그 전면이 상기 한 쌍의 영상 기기 전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그 후면이 상기 한 쌍의 영상 기기 후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가이드 판 및 상기 한 쌍의 격판은 상기 렌즈 판 몸체에 대해 접철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하로 접을 수 있도록 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에 따르면, 렌즈 판의 전방에 영상 기기를 수용하는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를 포함하여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으로 구성되는 좌우측 분할 3D용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기기를 용이하게 수용하여 좌우측 영상이 합쳐진 입체영상을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피를 작게 차지하는 박막형으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경제성이 보다 우수한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의 렌즈 판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의 하우징과 렌즈 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의 하우징의 접철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의 렌즈 판의 접철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1)은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수직판(11, 12) 및 상기 한 쌍의 제 1 및 제 2 수직판 사이를 연결하며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수평판(13, 14)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판(11, 12) 및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판(13, 14)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측에 위치하며, 좌우로 좌측 및 우측 접안 렌즈(22, 21)가 구비되는 렌즈 판(20); 상기 렌즈 판(20)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좌측 접안 렌즈(22) 및 우측 접안 렌즈(21)에 대응되는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구비하는 3D용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기기(40)를 수용하는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1)의 재질은 골판지가 바람직하나, 플라스틱 또는 나무 등의 재질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 있어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10)은 전후가 개방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으로 구성된 제 1 및 제 2 수직판(11, 12)과 이들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수평판(13, 1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1 및 제 2 수평판(13, 14)의 후면측은 사용자의 안면 및 콧등이 수용되도록 대략 원호형의 곡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 판(20)은 대략 직사각판상으로서 좌우로 대칭되게 좌측 접안 렌즈(22) 및 우측 접안 렌즈(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 접안 렌즈(21, 22)의 거리는 성인의 양 눈의 중심 거리의 평균인 대략 63mm∼65mm가 바람직하나, 그 치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렌즈 판(20)은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판(11, 12) 및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판(13, 14)에 의해 둘러싸이는 하우징(10)의 대략 중앙 내측을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끼움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30)는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판(11, 12)과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판(13, 14)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렌즈 판(20)의 전방 공간 에서 영상 기기(40)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즉, 상기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30)는 상기 렌즈 판(20)의 좌측 접안 렌즈(22) 및 우측 접안 렌즈(21)에 대응되는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이 구비되는 영상 기기(4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상기 영상 기기(40)는 상기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30) 내에 수용되어 그 디스플레이에는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이 구비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1) 내에 장착시에는 좌측 접안 렌즈(22)의 렌즈 축선상에 좌측 영상이, 우측 접안 렌즈(21)의 렌즈 축선상에 우측 영상이 대응되어 관측자의 눈에는 좌우측 영상이 합쳐져서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된다.
이러한 영상 기기(40)는 스마트 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스마트폰의 좌우 입체 영상 앱 프로그램을 통해 디스플레이상에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이 표시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 영사 기기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제 1 및 제 2 수직판(11, 12)의 대향하는 내측면 상측에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홈(1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수평판인 제 1 수평판(13)은 영상 기기(40)가 수용되는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30) 내측까지 형성되고, 하우징(10)의 하부 수평판인 제 2 수평판(14)은 상기 제 1 수평판(13)과 비교하여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30) 영역을 포함하는 외측까지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수평판(13)의 대략 중앙의 하면에는 일정 폭방향으로 들어간 위치에는 걸림턱(16)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6)의 하단에는 격판 지지홈(16-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수평판(13)의 전면 양측단에는 하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한 쌍의 영상 기기 전면 지지부(17)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판(11, 12)의 전단에는 상호 마주보면 대향되게 돌출되는 한 쌍의 영상 기기 후면 지지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수평판(13)의 전면 양측단에 형성된 한 쌍의 영상 기기 전면 지지부(15)와 상기 한 쌍의 영상 기기 전면 지지부(17)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판(11, 12)의 전단에 상호 마주보면 형성되는 한 쌍의 영상 기기 후면 지지부(18)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상기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30)이며, 상기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30)에 수용되는 영상 기기(40)는 그 전면이 상기 한 쌍의 영상 기기 전면 지지부(17)에 의해 지지되고, 그 후면이 한 쌍의 영상 기기 후면 지지부(18)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영상 기기(40)가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30) 내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수평판(13)의 후면부는 평판상 대략 원호형의 안면 수용홈(13-1)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응하는 제 2 수평판(14)의 후면부 중앙은 사용자의 콧등이 수용될 수 있도록 대략 원호형의 제 1 절취부(14-1)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의 렌즈 판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사각판상의 렌즈 판(20)은 상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장착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판(11, 12)의 대향하는 내측면 상측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홈(13)으로 가이드되어 끼워지는 상부 가이드 판(23)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직사각판상의 렌즈 판(20)의 전면 중앙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격판(24)이 더 구비되어 장착시에는 좌측 접안 렌즈(22) 및 우측 접안 렌즈(21)가 확실히 구획되어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30)에 장착된 영상 기기(40)의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구분하여 관측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가이드 판(23)은 렌즈 판 몸체에 대해 힌지(23-1)를 통해 연결되어 상하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격판(24)도 각각 한 쌍의 힌지(24-1) 구조에 의해 상하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렌즈 판(20)의 하면 중앙에는 상측으로 사용자의 콧등이 수용될 수 있도록 대략 원호형의 제 2 절취부(25)로 이루어진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의 하우징과 렌즈 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판(20)의 하우징(10) 내에 장착시에 상기 직사각판상의 렌즈 판(20)의 상측에 형성된 상부 가이드 판(23)은 제 1 및 제 2 수직판(11, 12)의 대향하는 내측면 상측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홈(13)으로 가이드되어 끼워짐과 동시에 상부 가이드 판(23)은 상기 제 1 수평판(13)의 걸림턱(16)에 걸려 지지되어 진다.
이때, 직사각판상의 렌즈 판(20)의 전면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격판(24)은 그 상단부가 격판 지지홈(16-1) 내에 수용되어 좌측 접안 렌즈(22) 및 우측 접안 렌즈(21)가 확실히 구획되어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30)에 장착된 영상 기기(40)의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구분하여 관측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수평판(13)의 후면부에 형성된 안면 수용홈(13-1)을 통해서는 사용의 얼굴 안면이 수용되어 지고, 제 2 수평판(14)의 원호형의 제 1 절취부(14-1) 및 렌즈 판(20)의 제 2 절취부(25)를 통해서는 사용자의 콧등이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의 하우징의 접철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수직판(11, 12)이 접이식으로 상하로 접철가능하도록 되어 미사용시에는 간단히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수직판(11, 12)이 각각 상하로 형성된 3개의 힌지(19-1, 19-2, 19-3) 구조에 의해 상하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좀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 쌍의 제 1 및 제 2 수직판(11, 12)은 각각 중앙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제 1 힌지(19-2)가 형성되고, 상하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상기 제 1 힌지(19-2)와 나란하게 제 2 및 제 3 힌지(19-1, 19-3)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힌지를 기준으로 3단으로 접어서 포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도시된 예에서는 3 개의 힌지에 의해 3단으로 접은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4단 이상으로 접어서 포갤 수 있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접철부의 구조가 힌지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주름부 형태의 접철부 구조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 있어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제 1 및 제 2 수직판(11, 12) 대신에 제 1 및 제 2 수평판(13, 14)에도 접철부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의 렌즈 판의 접철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상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부 가이드 판(23) 및 한 쌍의 격판(24)이 접이식으로 상하로 접철가능하도록 되어 미사용시에는 간단히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 가이드 판(23)은 렌즈 판 몸체에 대해 힌지(23-1) 구조에 의해 상하로 접을 수 있도록 됨과 아울러, 한 쌍의 격판(24)도 각각 한 쌍의 힌지(24-1) 구조에 의해 상하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 5a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판(20)을 하우징(10) 내에 장착한 후에, 영상 기기(40)를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30) 내에 고정한 후, 사용자는 양손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1)의 측방을 잡고서 사용자의 이마쪽을 제 1 수평판(13)의 후면부에 형성된 안면 수용홈(13-1)을 통해서 밀착하고, 하측으로 사용자의 콧등을 제 2 수평판(14)의 원호형의 제 1 절취부(14-1) 및 렌즈 판(20)의 제 2 절취부(25)를 통해서 밀착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좌우 눈을 이용하여 좌측 접안 렌즈(22)의 렌즈 축선상에 좌측 영상이, 우측 접안 렌즈(21)의 렌즈 축선상에 우측 영상이 대응되도록 하여 관측함으로써, 관측자의 눈에는 좌우측 영상이 합쳐져서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
10: 하우징
11, 12: 제 1 및 제 2 수직판
13, 14: 제 1 및 제 2 수평판 13-1: 안면 수용홈
14-1: 제 1 절취부 15: 가이드 홈
16: 걸림턱 16-1: 격판 지지홈
17: 영상 기기 전면 지지부 18: 영상 기기 후면 지지부
19-1, 19-2, 19-3: 힌지
20: 렌즈 판
21: 좌측 접안 렌즈 22: 우측 접안 렌즈
23: 상부 가이드 판 24: 격판
25: 제 2 절취부
30: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 40: 영상 기기

Claims (8)

  1.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수직판 및 상기 한 쌍의 제 1 및 제 2 수직판 사이를 연결하며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판 및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판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측에 위치하며, 좌우로 좌측 및 우측 접안 렌즈가 구비되는 렌즈 판; 및
    상기 렌즈 판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좌측 접안 렌즈 및 우측 접안 렌즈에 대응되는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을 구비하는 3D용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기기를 수용하는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제 1 및 제 2 수직판 또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수평판은 접철부에 의해 접어서 다단으로 포개어지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판의 대향하는 내측면 상측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홈;
    상기 제 1 수평판의 중앙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
    상기 제 1 수평판의 전면 양측단에 하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한 쌍의 영상 기기 전면 지지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판의 선단에 상호 마주보면 대향되게 돌출되는 한 쌍의 영상 기기 후면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 판은:
    상단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과의 결합시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으로 가이드되어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에 걸림 지지되는 상부 가이드 판;
    상기 렌즈 판의 전면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과의 결합시에 상기 좌측 접안 렌즈 및 우측 접안 렌즈를 구획하도록 된 한 쌍의 격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힌지 또는 주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및 제 2 수직판은 각각 중앙에는 전후 방향으로 제 1 힌지가 형성되고, 상하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상기 제 1 힌지와 나란하게 제 2 및 제 3 힌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힌지를 기준으로 3단으로 접어서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하단에는 상기 한 쌍의 격판의 상단부가 결합시에 수용되는 격판 지지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 수평판인 상기 제 1 수평판은 상기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 내측까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 수평판인 상기 제 2 수평판은 상기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 영역을 포함하는 외측까지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영상 기기 전면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영상 기기 후면 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상기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이며, 상기 영상 기기 수용 공간부에 수용되는 상기 영상 기기는 그 전면이 상기 한 쌍의 영상 기기 전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그 후면이 상기 한 쌍의 영상 기기 후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판 및 상기 한 쌍의 격판은 상기 렌즈 판 몸체에 대해 접철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하로 접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
KR1020150070957A 2015-03-11 2015-05-21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 KR101657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500 2015-03-11
KR20150033500 2015-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170B1 true KR101657170B1 (ko) 2016-09-13

Family

ID=5694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957A KR101657170B1 (ko) 2015-03-11 2015-05-21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1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5159A (zh) * 2017-02-10 2018-08-17 浙江唯见科技有限公司 一种vr眼镜
CN109445101A (zh) * 2018-12-07 2019-03-08 歌尔科技有限公司 折叠式头戴设备
WO2019198945A1 (ko) * 2018-04-12 2019-10-17 정관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991Y1 (ko) 2000-08-18 2001-06-15 주식회사후후 입체영상 관측기
KR20140102585A (ko) * 2013-02-14 2014-08-22 주식회사 고글텍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간이형 입체경
CN204188882U (zh) * 2014-07-24 2015-03-04 张寿兰 可携式虚拟现实眼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991Y1 (ko) 2000-08-18 2001-06-15 주식회사후후 입체영상 관측기
KR20140102585A (ko) * 2013-02-14 2014-08-22 주식회사 고글텍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간이형 입체경
CN204188882U (zh) * 2014-07-24 2015-03-04 张寿兰 可携式虚拟现实眼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5159A (zh) * 2017-02-10 2018-08-17 浙江唯见科技有限公司 一种vr眼镜
WO2019198945A1 (ko) * 2018-04-12 2019-10-17 정관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CN109445101A (zh) * 2018-12-07 2019-03-08 歌尔科技有限公司 折叠式头戴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1131B2 (en) Virtual-reality or augmented-reality viewer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002775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3d image via a media device
KR101657170B1 (ko) 접이식 휴대용 입체 영상 관측 헤드셋
KR20160081381A (ko) 휴대용 가상현실장치
JP2007075300A (ja) 立体視眼鏡
KR101514131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간이형 입체경
EP3170046A1 (en) Near-eye display system
JP2010230701A (ja) 眼鏡装着型画像表示装置
BR102017012189A2 (pt) Óculos de realidade virtual dobráveis
KR20120090869A (ko) 휴대용 3d 뷰어
KR101295280B1 (ko) 안경
CN109188850A (zh) 一种基于棱镜反射分光的单镜头3d拍摄结构
CN105717642B (zh) 便携式虚拟现实眼镜
JP6584864B2 (ja) 立体表示具
US20180192177A1 (en) Extended reality headsets including removable ear cups and related structures
US9910286B2 (en) TwinScope 3-D viewer
KR101829952B1 (ko) 입체영상시청이 가능한 단말기포장박스
JP6443014B2 (ja) 携帯端末用観察部材
CN106646875B (zh) 头戴显示设备及其显示模组
JP3185458U (ja) 映像観察装置
KR101402727B1 (ko) 접이식 영상 확대경용 마운트
JP2016110053A (ja) 携帯端末用観察部材
KR20180033382A (ko)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529043B1 (ko) 입체 영상 시청용 장치
JP6885045B2 (ja) 端末閲覧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