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773A -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 - Google Patents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773A
KR20140099773A KR1020130012603A KR20130012603A KR20140099773A KR 20140099773 A KR20140099773 A KR 20140099773A KR 1020130012603 A KR1020130012603 A KR 1020130012603A KR 20130012603 A KR20130012603 A KR 20130012603A KR 20140099773 A KR20140099773 A KR 20140099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ackaging
air permeable
film
permeable film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진
서정문
민승기
백인현
김영한
Original Assignee
대륭포장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륭포장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륭포장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2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9773A/ko
Publication of KR20140099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2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은,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기부를 포함하는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의 적어도 일 부분에 형성된 홈부로 구성되며, 상기 홈부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적어도 일 부분이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VENTILATIVE FILM FOR PACKING FOOD}
본 발명은 홈부를 포함하는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홈부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적어도 일 부분이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홈부를 통해서 기체의 유통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을 사용하여 음식물과 같은 소정의 물건을 밀폐 포장하여 보관한 후 상기 물건을 예컨대 전자레인지와 같은 가열 기구를 이용하여 조리할 경우 포장 내부 압력 조절 및 포장 수단의 용이한 제거가 가능해지는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소위 비닐 등으로 불리는 필름은 산업 전반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특히, 음식물을 포함한 각종 식재료 등의 포장에 사용되는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은 식재료의 신선도 유지가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된다.
이러한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을 사용하여 음식물 등을 밀폐 포장한 후, 전자레인지 등의 가열 기구를 이용하여 이를 가열할 경우, 필름 내에 포장된 음식물이 가열됨에 따라서 필름 내의 용적 및 압력이 증가하여 필름이 팽창하며, 필름 내의 용적 및 압력이 더욱 증가할 경우 소정의 파열음과 함께 필름이 파단되기도 한다. 이러한 파열음의 발생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포장된 필름을 제거하고 음식물을 가열할 경우 음식물 내의 수분이 가열 과정에서 이탈하여 음식물의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기성 특징을 갖는 통기성 필름은 공기 또는 기체 등은 투과할 수 있으나 액체는 투과할 수 없는 필름을 지칭한다. 특히, 통기성필름은 부패하기 쉬운 내용물을 담고 있는 밀폐 포장용기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가스를 배출시키면서, 포장용기 내의 수분은 외부로 증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출원번호 10-2011-001417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홈부를 포함하는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적어도 일 부분이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홈부를 통해서 기체의 유통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을 사용하여 음식물과 같은 소정의 물건을 밀폐 포장하여 보관한 후 상기 물건을 예컨대 전자레인지와 같은 가열 기구를 이용하여 조리할 경우 압력 조절 및 포장 수단의 용이한 제거가 가능해지는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은,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기부를 포함하는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의 적어도 일 부분에 형성된 홈부로 구성되며, 상기 홈부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적어도 일 부분이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은 박막 구조를 갖는 수개의 층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의 두께 대비 상기 홈부의 깊이는, 0.5 내지 0.9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의 깊이는. 15um 내지 20um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의 폭은, 20um 내지 60um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는, 적어도 일 부분이 곡률을 갖는 만곡부를 갖는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 제조 방법은, 레이저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를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에 조사하여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는, 상기 홈부가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적어도 일 부분이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의 적어도 일 부분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조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은 홈부를 포함함에 따라서, 상기 홈부를 통해서 기체의 유통이 가능해진다. 즉, 예컨대 상기 홈부는 기체의 유통을 가능하게 하는 통기부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을 사용하여 소정의 물건을 포장하는 포장 수단을 구성할 경우,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을 통해 구성된 포장 수단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 사이의 유통이 가능해지며, 따라서 포장 수단 내의 물건의 신선도 유지가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을 사용하여 음식물과 같은 소정의 물건을 포장하여 보관한 후, 상기 물건을 예컨대 전자레인지와 같은 가열 기구를 이용하여 조리할 경우 가열 압력 조절 및 포장 수단의 용이한 제거가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을 포함한 포장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을 포함한 포장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하부", "상부", “측부”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부재를 뒤집을 경우, 다른 부재의 “상부"로 기술된 부재는 다른 부재의 "하부”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상부"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부재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부재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부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부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방향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은 예컨대 박막 구조의 합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박막 구조는 단일층 뿐만 아니라 복수의 재질이 적층된 복층 구조를 갖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층과 폴리에틸렌층이 소정의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착되어 구성된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적어도 일 부분에 홈부(20)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20)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적어도 일 부분이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즉, 예컨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 실선 형태의 홈부(20)가 형성될 수 있고,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부분적으로 연속을 이루는 파선 형태의 홈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홈부(2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곡률을 갖는 곡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연속을 이루는 파선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파선을 구성하는 각각의 홈부(20)는 서로 동일선상에서 연장되지 아니하고 서로 상이한 선상에서 연장되는 파선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은 홈부(20)를 갖는 외에도 상기 홈부(20) 사이, 또는 소정의 부분에 미세 홀(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홀(30)은 홈부(20)와 같이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일부분이 얇게 구성되되 홈부(20)에 비해서 연속성이 적고 점 형태로 구성된 부분일 수 있으며, 또는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일부분을 관통하게 구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홈부(20)는 소정의 깊이를 갖게 구성되며, 예컨대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홈부(20)는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또는 소정의 화학적, 물리적 처리 방법을 통해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은 홈부(20)를 포함함에 따라서, 상기 홈부(20)를 통해서 기체의 유통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홈부(20)는 기체의 유통을 가능하게 하는 통기부로 기능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은 통기성이 확보된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을 사용하여 소정의 물건을 밀폐 포장하는 포장 수단을 구성할 경우,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을 통해 구성된 포장 수단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 사이의 유통이 가능해질 수 있다. 예컨대, 포장 수단 내에 음식물, 및 식재료 등이 거치될 경우, 상기 홈부(20)를 통해서 공기 유통이 가능해지므로 포장 수단 내의 음식물의 신선도 유지가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을 사용하여 음식물 등을 밀폐 포장하여 보관한 후, 예컨대 전자레인지와 같은 가열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가열 압력 조절 및 포장 수단의 용이한 제거가 가능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으로 구성된 포장 수단을 사용하여 음식물 등을 밀폐 포장한 후 이를 전자레인지와 같은 가열 기구에 넣어 가열할 때, 포장 수단 내의 공기 및 수분이 가열됨에 따라서 포장 수단 내의 용적 및 내압이 소정 범위 이상으로 증가하면 상기 홈부(20)를 통해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파단이 이루어져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으로 구성된 포장 수단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파단은 상기 홈부(20)가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일 부분이 연속적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으로 구성된 포장 수단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때, 상기 파단시까지는 상기 포장 수단은 밀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포장 수단 내의 음식물 등의 수분이 지나치게 발산되는 것이 방지되어 수분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의 식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단시까지 상기 포장 수단이 밀봉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서 포장 수단 내의 압력이 높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예컨대 압력용기와 같이 조리에 있어서 더욱 유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홈부(20)의 폭 W 이 지나치게 클 경우 상기 홈부(20)가 형성된 부위를 통해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이 원하지 아니하게 파단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홈부(20)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 및 기타 내용물의 신선도에 악영향을 주는 가스 등이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부(20)의 폭 W 이 지나치게 작을 경우 홈부(20)를 통해 달성되는 통기성 및 가열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파단 효과가 확보되지 아니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20)의 폭 W 은 20 내지 60um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홈부(20)의 깊이 T 가 지나치게 깊을 경우 상기 홈부(20)가 형성된 부위를 통해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이 원하지 아니하게 파단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홈부(20)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 및 기타 내용물의 신선도에 악영향을 주는 가스 등이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부(20)의 깊이 T 가 지나치게 얕을 경우 홈부(20)를 통해 달성되는 통기성 및 가열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파단 효과가 확보되지 아니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20)의 깊이 T 는 15 내지 20um 일 수 있다. 한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두께 K 와 홈부(20)의 깊이 T 의 비율은 0.5 내지 0.9 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을 사용한 포장 수단(10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을 사용하여 음식물(F)과 같은 소정의 물건을 포장하는 포장 수단(1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은 홈부(20)로 구성된 통기부를 가짐에 따라서 포장 수단(100) 내에 거치된 음식물(F) 등의 신선도 유지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포장 수단(100)으로 포장된 음식물(F) 등을 예컨대 전자 레인지와 같은 가열 장치를 통해 가열할 때, 포장 수단(100) 내부의 기체, 및 포장 수단(100) 내부에 거치된 음식물(F) 내의 수분 등이 가열됨에 따라서 포장 수단(100) 내의 용적이 증가하고 내압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포장 수단(100)에 홈부(20)가 형성됨에 따라서 소정의 내압 이상으로 증가하면 상기 홈부(20)를 통해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이 파단되어 포장 수단(100)이 개방되며 따라서 포장 수단(100)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장된 음식물(F) 등을 가열하기 전에 별도로 상기 포장 수단(100)을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열 및 조리 과정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파단은 상기 홈부(20)가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일 부분이 연속적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으로 구성된 포장 수단(10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정의 내압에 도달하여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이 파단되고 포장 수단(100)이 개방되기까지는 상기 포장 수단(100)은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포장 수단(100) 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음식물(F)의 식감이 개선될 수 있다. 즉, 포장 수단(100)을 제거한 상태에서 가열할 때는 가열 과정에서 음식물(F) 내의 수분이 음식물(F)로부터 발산하여 음식물(F)이 건조해지고 식감이 저하될 수 있으나, 포장 및 밀봉을 유지한 상태에서 가열함에 따라서 수분의 과도한 발산이 방지되며 따라서 음식물(F)의 식감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압력용기와 같이 비교적 큰 내압 상태에서 가열 및 조리 과정이 이루어져 가열 시간이 단축되며 식감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을 제조하는 방법은, 레이저를 발생하는 단계와, 레이저를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에 조사하여 홈부(2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는 소정의 레이저 조사 장치(L)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이저는 소정의 펄스 레이저일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예컨대, 펄스 레이저의 경우 펄스 지속 시간을 조절함에 따라서 상기 홈부(20)의 길이 및 연속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 예로, 비교적 펄스 지속 시간이 짧은 펄스 레이저의 경우 레이저와 매질의 상호 작용으로 물체에 있는 전자에 에너지가 전달되어 원자격자를 붕괴시키는 어블레이션(Ablation)에 의해서 가공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열이 주변으로 전달되기 전에 가공이 종료되어 가공부 주변의 손상이나 구조 변경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은 소정의 이송 장치(R)에 의해서 레이저 조사 장치(L)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이송 장치(R)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이 권취될 수 있는 소정의 로울러를 포함하고, 상기 로울러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송 장치(R)를 통해 제공된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적어도 일 부분은 레이저 조사 장치(L)에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를 통해서 형성된 홈부(20)가 적어도 일 방향으로 적어도 일 부분이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이저는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적어도 일 부분에 대해서 소정의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이저 조사 장치(L)는 레이저 광선을 연속적으로 조사하거나, 또는 일정 주기의 펄스형 레이저 광선을 조사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레이저 조사 장치(L)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는 하나 외에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복수 부분에 대해서 동시에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레이저는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일 부분에 대하여 1회 조사되는 경우 외에,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일 부분에 대하여 복수 횟수 조사될 수 있다. 예컨대,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일 부분에 대해서 제1 레이저가 조사된 후, 이어서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이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제1 레이저가 조사된 부위에 제2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레이저에 의해서 형성된 홈부(20)가 직선 형상을 갖는 경우 외에, 상기 레이저 조사 장치(L)와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이 서로 상대 운동하여 상기 홈부(20)가 소정의 곡선 또는 수개의 대각선 형상을 이루는 경우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에 레이저가 조사됨에 따라서,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일부가 제거되어 상기 홈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사되는 레이저의 세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이 이동하는 속도, 중첩적으로 조사되는 레이저의 개수 등을 조절함에 따라서 홈부(20)의 깊이 및 폭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 20: 홈부
30: 홀 100: 포장 수단

Claims (7)

  1.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기부를 포함하는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적어도 일 부분에 형성되며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부(20)로 구성되며,
    상기 홈부(20)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적어도 일 부분이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은,
    박막 구조를 갖는 수개의 층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두께 대비 상기 홈부(20)의 깊이는, 0.5 내지 0.9 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20)의 깊이는.
    15um 내지 20 um 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20)의 폭은,
    20um 내지 60um 인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20)는,
    적어도 일 부분이 곡률을 갖는 만곡부를 갖는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
  7. 레이저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를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에 조사하여 홈부(2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는,
    상기 홈부(20)가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적어도 일 부분이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의 적어도 일 부분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조사되는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10) 제조 방법.
KR1020130012603A 2013-02-04 2013-02-04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 KR20140099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603A KR20140099773A (ko) 2013-02-04 2013-02-04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603A KR20140099773A (ko) 2013-02-04 2013-02-04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773A true KR20140099773A (ko) 2014-08-13

Family

ID=5174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603A KR20140099773A (ko) 2013-02-04 2013-02-04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97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140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소재의맥 불규칙 패턴의 미세 홈을 포함하는 통기성 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140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소재의맥 불규칙 패턴의 미세 홈을 포함하는 통기성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5755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packaging a product
EP2983894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packaging a product
US9409691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elf-venting packaging
TW201422499A (zh) 積層薄膜及包裝容器
US9126734B2 (en) Self venting steam valve for flexible packaging bags and pouches used in cooking of foods
JP2020510585A (ja) 食品パッケージ用の一方向弁
KR20140099773A (ko) 식품포장용 통기성 필름
US20200231355A1 (en) Package, apparatus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such a package
KR101463754B1 (ko) 전자렌지용 포장백 필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전자렌지용 포장백
JP6724365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容器
KR20160016615A (ko) 과채의 살균방법 및 그 장치
KR102586672B1 (ko)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
KR101819597B1 (ko) 신선 또는 발효 식품 포장지의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20200094197A (ko) 제품을 진공 포장하기 위한 플랜트 및 공정
SE1350794A1 (sv) Förpackning för livsmedel och metod för förpackning av livsmedel
KR101801862B1 (ko) 불규칙 패턴의 미세 홈을 포함하는 통기성 필름
WO2020067092A1 (ja) 青果物鮮度保持包装袋、青果物入り包装体およ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6610151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包装袋
JP6897049B2 (ja) 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6146861A8 (es) Método de preparación de un milhojas de patata envasado, y milhojas de patat obtenidos
JP2016130141A (ja) レンジ調理用包装体
JP2016043947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体
JP5187715B2 (ja) 容器入り製品の加熱殺菌方法
JP2020050443A (ja) 青果物鮮度保持包装袋、青果物入り包装体およ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2019127277A (ja) 蒸気抜き機構を有するパウ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