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6437A - 당대사 관련 효소의 활성을 촉진하는 명월초 물 추출물 - Google Patents

당대사 관련 효소의 활성을 촉진하는 명월초 물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6437A
KR20140096437A KR1020130008672A KR20130008672A KR20140096437A KR 20140096437 A KR20140096437 A KR 20140096437A KR 1020130008672 A KR1020130008672 A KR 1020130008672A KR 20130008672 A KR20130008672 A KR 20130008672A KR 20140096437 A KR20140096437 A KR 20140096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xtract
present
activity
water
glucosid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면
윤광섭
김태우
김대중
이재성
임재천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풀잎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풀잎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8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6437A/ko
Publication of KR20140096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월초 물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글루코키나제(glucokinase)와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pyruvate dehydrogenase) 및 아세틸 코에이 카르복시라제(Acetyl CoA carboxylase)의 활성을 증가시키면서 α-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의 활성은 억제하여 실질적인 항당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명월초 물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당대사 관련 효소의 활성을 촉진하는 명월초 물 추출물{glucose-regulating enzymes activity of water extract from Sambungnyawa}
본 발명은 명월초 물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글루코키나제(glucokinase)와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pyruvate dehydrogenase) 및 아세틸 코에이 카르복시라제(Acetyl CoA carboxylase)의 활성을 증가시키면서 α-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의 활성은 억제하여 실질적인 항당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명월초 물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인슐린량의 부족으로 정상인보다 혈액 중의 포도당(혈당) 농도가 높아져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되는 만성질환으로,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의 B 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부족, 뇌하수체전엽 · 부신(副堅) · 갑상선 등의 내분비선 기능항진(機能元進), 중추신경 특히 시상하부(視床下部)의 병변 등을 원인으로 들 수 있는데, 이들 인자가 합쳐져서 발병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당뇨병은 제1형 당뇨병(type 1 diabetes mellitus, NIDDM)과 제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mellitus, IDDM)으로 나누어지며, 제 1형 당뇨병은 인슐린 의존형으로서 면역학적 기전에 의해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거나 유전자 발현 이상으로 인슐린 생성장애에 기인하며 소아기에 발병하는 형태이고,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이 주된 역할을 하는 형태로 인슐린 비의존성으로 초기에는 인슐린의 생성이 정상이나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한 인슐린의 대사조절 능력의 저하로 시작되어 궁극적으로는 췌장세포의 인슐린 분비장애에 이르게 되며 40세 이상의 성인이 된 후에도 발병하며 과체중과 비만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당뇨병의 형태로 성인형 당뇨병으로 불린다.
현재 국내의 당뇨병 환자는 전체인구 4800만 명 중 약 5%인 240만 명 정도로 추산되며 절반 이상은 아직 자신이 당뇨병환자임을 모르고 있으나 조만간 당뇨병으로 진전될 예비환자로 선진국의 예에서 판단하건대 소득향상과 식생활의 변화, 생활습관의 편리성 추구와 한편 노령화로 인한 당뇨병환자 수는 이보다 더욱 증가될 전망이다. 당뇨병의 90% 이상이 성인형의 제2형 당뇨병이며, 노령화와 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해 제2형 당뇨병 환자수의 증가가 전체 당뇨병 환자 증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추세이다.
당뇨는 발병 원인이 다양하지만 어떤 형태의 당뇨이던지 증상의 개선이나 치유를 위한 기본원리는 식사 후 체내로 흡수된 당을 각 조직의 세포가 이용하는 속도를 증가시켜 혈중에 당이 과도하게 머무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며 이는 약물이나 천연소재를 막론하고 공통으로 적용된다. 이를 위해서는 세포 내 당을 분해하여 에너지 대사의 기질로 사용하는데 관여하는 효소인 글루코키나제(glucokinase) 및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pyruvate dehydrogenase)의 활성 증가 정도와 에너지를 생성하고 남은 잉여의 당을 지방으로 전환하는데 관여하는 효소인 아세틸-코에이 카르복시라제(Acetyl-CoA carboxylase)의 활성 증가 및 α-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의 활성 억제가 필요하다.
상기의 효소들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글루코키나제(glucokinase)는 세포 내 당 이용 대사에 관여하는 첫 단계 효소로, 당이 세포 내에 유입되면 당을 분해하여 세포 내 당 농도가 저하되는데, 세포 내 당 농도가 저하되면 혈액으로부터 당이 유입되어 결국 혈당이 저하된다.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pyruvate dehydrogenase)는 상기 글루코키나제(glucokinase) 등에 의해 세포 내 당의 분해 과정 중 생성되는 피루베이트(pyruvate)를 아세틸 코에이(acetyl CoA)로 비가역적으로 전환시키는 효소이다.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를 거친 당 대사물은 다시 당으로 가역적 생성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세포 내 당 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데, 세포 내 당 농도가 저하되면 혈당이 세포로 유입되어 결국 혈당이 저하된다.
아세틸-코에이 카르복시라제(Acetyl-CoA carboxylase)는 동물 조직의 지방산 생합성에 대해 속도를 제한하는 효소로, 세포 내에서 당이 TCA cycle를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이때 남은 잉여의 당을 지방으로 전환시키는 것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α-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는 탄수화물을 분해하여 포도당으로 전환시키는 효소로, 식후 혈당상승에 크게 기여하는 효소이다. 따라서, α-글루코시다제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식후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가 지연되어 혈당이 현저히 감소되고 이에 혈중 인슐린(insulin) 농도도 감소되므로, 점차적으로 공복 시 혈당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Figure pat00001
< 세포 내 당 대사 >
이들 효소의 활성조절과 관련된 바이오 소재들을 과학적 검증을 통해 발굴하고 기능성 바이오 식품으로 개발하는 기술은 당뇨 완치제가 존재하지 않는 시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항당뇨 소재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8167호(지골피, 동충하초, 가시오가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2010.12.0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02668호(항당뇨 조성물, 2010.01.07)를 특허출원한 바 있다. 하지만 이들 소재 외에 새로운 항당뇨 소재에 대하여 더욱 예의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동결건조된 명월초를 기류식 분쇄분급기를 이용하여 초미세분말화하여 항당뇨 효과가 증진된 명월초 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당뇨 효과가 매우 높은 명월초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당뇨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명월초를 동결건조시킨 후, 기류식 분쇄방식으로 초미세 분쇄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수득된 명월초 초미세분말을 증류수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월초 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명월초 물 추출물을 함유하고, 글루코키나제(glucokinase),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pyruvate dehydrogenase) 및 아세틸 코에이 카르복시라제(Acetyl CoA carboxylase)의 활성은 증가시키는 반면 α-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의 활성은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당뇨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명월초 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당뇨 조성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겠다.
(A) 명월초를 동결건조시킨 후, 기류식 분쇄방식으로 초미세 분쇄시키는 단계
본 단계는 명월초 초미세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로, 명월초를 동결건조시킨 후, 기류식 분쇄방식으로 초미세 분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명월초는 삼붕냐와(Sambung Nyawa(Gynura procumbens (Lour.) Merr.))라고도 하는데, 인도네시아어로 「Sambung = 영속성, Nyawa = 생명」, 즉 생명을 이어주는 잎 (영어명 : Life sustainable Plant) 이라는 뜻을 가진 약용식물로서, 과꽃(Asteraceae)과의 일종으로, 중국에서는 전통 약초로 사용하고 있다. 삼붕냐와는 기침, 기관지염, 폐결핵, 혈액순환, 타박상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동남아시아 및 인도네시아에서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해서 식용으로 이용하고, 건강 증진을 위한 특정 야채로 간주되어 귀빈 접대용으로 이용되었다. 삼붕냐와의 서식지는 파푸아뉴기니를 포함한 동남아시아 일대이며, 고도 1,000 내지 1,200m에서 잘 자란다. 삼붕냐와는 줄기가 하나이며, 이 줄기를 기준으로 잎이 퍼진 형태로 자라나고, 잎은 색깔이 초록색이며, 모양은 달걀 모양이고, 크기는 길이 6㎝, 폭 3.5㎝ 정도이다. 잎의 상단부는 뾰족하고 하단부는 타원형이다. 잎 가장자리는 평평하거나 1.5㎝ 단위로 파도 꼴이다. 잎의 양 표면부는 부드럽고 선이 선명하다. 꽃이나 씨는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명월초(삼붕냐와)를 수분함량이 5%정도 되도록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하는데, 이때, 콜드트랩(Cold Trap)은 -30 ~ -50℃, 진공도는 1.0 Torr ~ 1.0 10-5Torr, Shelf Temp는 초기 60 ~ 98℃, 중기 60 ~ 85℃, 후기 30 ~ 55℃로 맞춰준 다음 최종 품온이 30 ~ 60℃가 되게 하여 풍속 1m/sec 의 조건으로 24 ~ 48시간 동결 건조한 후, 기류식 분쇄방식을 사용하여 400 ~ 600 메쉬의 크기로 분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명월초의 유효생리활성성분이 손상되지 않아 명월초의 유효생리활성성분을 유효하게 추출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명월초를 기류식 분쇄방식을 사용하여 초미세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기류식 분쇄방식은 격한 기류 중에서 피분쇄물끼리를 충돌시켜 분쇄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류식 분쇄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종래 분쇄기의 마찰에 의한 분쇄열 발생, 분쇄가 쉽지 않은 섬유질 등의 분쇄효율 저하 및 이로 인한 영양성분 또는 유효성분의 상실, 고유의 색, 향 등의 상실이라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설비 투자나 운전 비용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품온 40℃미만의 온도로 400 ~ 600 메쉬의 크기로 분쇄하는데, 이와 같이 저온분쇄함에 따라 명월초의 유효생리활성성분의 파괴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류식 분쇄분급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류식 분쇄분급기의 작동 조건은 스크류 컨베이어 31Hz, 분급기 23Hz, 송풍기 23Hz, 분쇄기 64Hz의 조건에서 분쇄공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상기 (A)단계에서 수득된 명월초 초미세분말을 증류수로 추출하는 단계
본 단계는 상기 (A)단계에서 수득된 명월초 초미세분말을 증류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이다.
이때,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명월초 초미세분말 대비 10 ~ 15배의 증류수를 가한 후, 50 ~ 70℃에서 22 ~ 26시간 쉐이킹 인큐베이션(shaking incubation)을 한 후, 1000 ~ 5000rpm으로 20 ~ 40분 동안 원심분리를 한 후, 0.35 ~ 0.55㎛로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명월초 물 추출물은 1Brix°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수득한 명월초 물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후 분말로 제조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득한 여과액을 -90 ~ 70℃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명월초 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항당뇨 조성물은 글루코키나제(glucokinase),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pyruvate dehydrogenase) 및 아세틸 코에이 카르복시라제(Acetyl CoA carboxylase)의 활성은 증가시키는 반면 α-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의 활성은 억제시켜 실질적인 항당뇨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항당뇨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며, 부작용이나 독성이 거의 없어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당뇨의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이용시에 당해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예를 들면 경구제, 파우치제, 또는 드링크제 등의 음료수의 형태로 제형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복용량은, 그 제제 형태,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및 이것에 적용되는 환자의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고, 일정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제제 중에 함유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성인 1일당 예컨대 10mg ∼ 2000 ㎎/㎏이다. 물론 복용량은, 각종 조건에 의해서 변동하기 때문에, 상기 투여량보다 적은 양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고, 또는 범위를 초과하여 필요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원하는 조성물의 형태에 따라 통상의 보조제 또는 첨가제, 또는 감미료, 예를 들면 감초, 비타민 C, 구연산, 니코틴산, 안식향산나트륨, 아스파탐, 사카린, 펙틴, 말리톨, 솔비톨, 자일리톨, 구아검, 탈지분유 및 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하여 기호도나 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동결건조된 명월초를 기류식 분쇄분급기를 이용하여 초미세분말화하여 항당뇨 효과가 증진된 명월초 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당뇨 효과가 매우 높은 명월초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당뇨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명월초 물 추출물의 추출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명월초 물 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명월초 물 추출물의 HepG2 세포에서의 글루코키나아제,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 아세틸-코에이 카르복시라제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명월초 물 추출물의 α-글루코시다제 활성 억제 정도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세포 배양 >
간암 세포주인 HepG2(Hepatocellular carcinoma)는 한국 세포주 은행(Korean Cell Line Bank, KCLB)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HepG2 세포는 Minimum essential medium(MEM)배지에 10% fetal bovine serum(FBS), 1% penicillin-streptomycin 가 첨가된 배지를 사용하여 37℃ 및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제조예 1 : 명월초 분쇄물의 제조
삼붕냐와(명월초)를 수분함량 5중량%까지 동결건조한 후, 기류식 분쇄분급기를 이용하여 품온 40℃ 미만의 온도로 400 ~ 600mesh의 입자 크기로 초미쇄 분쇄하여 명월초 분쇄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명월초의 동결건조조건은 다음과 같다. 콜드트랩(Cold Trap)은 -30 ~ -50℃, 진공도는 1.0 Torr ~ 1.0 10-5Torr, Shelf Temp는 초기 60 ~ 98℃, 중기 60 ~ 85℃, 후기 30 ~ 55℃로 맞춰준 다음 최종 품온이 30 ~ 60℃가 되게 하여 풍속 1m/sec 의 조건으로 24 ~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였다.
또한, 기류식 분쇄분급기의 작동 조건은 스크류 컨베이어 31Hz, 분급기 23Hz, 송풍기 23Hz, 분쇄기 64Hz이다.
제조예 2 : 명월초 물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명월초 분쇄물 무게 대비 10.7배의 증류수를 넣은 후, 60℃에서 24시간 shaking incubation한 후 3,000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0.45㎛로 여과하였다(1brix). 이후, 동결건조기로 -80℃에서 동결 건조하였다.
실험예 1 : 명월초 물 추출물의 세포 내 독성여부 평가
명월초 물추출물의 세포 내 독성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2-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환원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생존률을 측정하였다. 즉, HepG2 Cell을 96-well plates에 1×104 cells/mL 농도로 100 ㎕씩 분주한 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FBS와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 명월초 물 추출물을 250 ~ 5000ppm 농도별로 제조한 후 세포에 처리하였고, 처리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MEM배지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MTT 용액(5mg/ml)을 가하여 주고 4시간 더 배양하여 MTT를 환원시킨 후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암 조건에서 30분간 건조한 후 DMSO를 100 ㎕씩 분주하여 1시간 동안 shaking한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는데, 명월초 물 추출물을 250 ~ 5000ppm의 농도로 처리한 후 HepG2세포의 생존률을 무처리군과 비교한 결과, 500ppm 이하의 농도에서는 90%이상의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나, 1000ppm이상의 농도에서는 대부분의 소재가 90% 이하의 생존율로 세포 독성을 나타내어 이 후 실험에 사용할 명월초 물 추출물의 농도를 100, 250, 500 ppm으로 정하였다.
실험예 2 : Reverse transcription -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HepG2 세포내 당대사 관련 효소인 글루코키나제(glucokinase,GK),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pyruvate dehydrogenase, PDH), 아세틸-코에이 카르복시라제(acetyl-CoA carboxylase, ACC)의 mRNA 발현을 알아보기 위하여 RT-PCR을 실시하였다.
< cDNA 합성 >
First-stand cDNA를 생산하기 위하여 super script revers transcriptase(II)를 이용하였다. 즉, 먼저 oligo(dT)15 primer와 dNTP mix를 동일량 섞어 2 ㎕를 PCR 튜브에 넣고 추출한 RNA(2g)와 nuclease free water로 최종 부피가 13 ㎕가 되도록 맞추고 65℃에서 5분 동안 가열한 후 즉시 얼음에서 냉각시켰다. 5X first-strand 완충액 4㎕, nuclease free water 1㎕, DTT (100mM) 1 ㎕ 및 super script revers transcriptase(II) 1 ㎕를 첨가한 후 교반하였다. 그 후 50℃에서 60분, 70℃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 PCR 반응 >
GoTaqGreen Master mix 2x 10 ㎕, forward primer와 reverse primer를 각각 0.5 ㎕, nuclease free water 8 ㎕ 그리고 앞에서 합성한 first-strand cDNA(DNA template) 1 ㎕을 PCR tube에 넣은 후 vortexing하였다. mRNA 발현을 보기 위해 측정하고자 하는 primer가 혼합되어 있는 혼합물을 94℃에서 4분간 pre-denature시킨 후, 측정하고자 하는 primer의 조건을 정하여 각 온도와 시간에 맞추어 denaturation, annealing, extension을 실시하여 증폭시켰다. 최종적으로 72℃에서 5분간 extension 반응을 시켰다. PCR 산물은 0.002% ethidium bromide가 첨가된 1.2% agarose gel에 100V에서 20분간 전기영동한 후 자외선광으로 유전자 발현 정도를 알아보았다. 그 밴드의 강도를 SigmaGel(Jandel Scientific, San Rafael, CA, USA) 소프트웨어에 의해 분석 정량하고, 내부 표준물로써 β-actin를 사용하였다. 하기 표 1는 PCR primer sequences이다.
Figure pat00002
명월초 물 추출물이 고포도당 배지를 처리한 HepG2 세포의 glucokinase mRNA, pyruvate dehydrogenase mRNA, acetyl CoA carboxylase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은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의하면, 명월초 물 추출물(500ppm)은 대조군(100%)에 비하여 glucokinase mRNA 발현이 105% 정도 증가하였고, 명월초 물 추출물(100, 250, 500ppm)은 대조군(100%)에 비교하여 pyruvate dehydrogenase mRNA 발현이 200% 이상 대폭 증가, 특히 250ppm의 경우에는 대략 250% 정도 대폭 증가하였으며, 명월초 물 추출물(100, 250, 500ppm)이 대조군(100%)과 비교하여 대략 200% 정도 높은 활성(199%, 194%)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 명월초 물 추출물의 α-glucosidase 억제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제조예 2의 명월초 물 추출물의 α-glucosidase 억제를 측정하였다. 이때, 비교예로는 명월초의 일반분쇄물(100~150mesh)을 물 추출한 후 동결건조한 분말을 이용하였다.
α-글루코시다제의 활성억제 측정은 in vitro에서 기질과의 반응역학분석 (kinetic analysis) 방법으로 억제율을 측정하여 명월초 물 추출물의 분쇄정도에 따른 혈당조절 기능을 규명하였다. 'Synthetic substrate'인 2.5mM p-니트로페닐 α-D- 글루코스피라노사이드(p-nitrophenyl α-D-glucospyranoside)를 포스페이트 버퍼(phosphate buffer; pH 6.8)에 첨가한 후, α-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 활성 억제 실험을 할 각각의 추출물 시료를 넣고 그 혼합액에 효소용액(enzyme solution)을 첨가하였다. 효소용액을 첨가한 후,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키고 0.1M NaOH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켜 기질(substrate)인 pNPG로부터 유리되어 나오는 반응 생성물인 p-니트로페놀(p-nitrophenol)을 스펙트로메터(spectrometer) 기기로 405㎚에서 측정하여 α-글루코시다제 활성의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는데, 이에 의하면 명월초를 초미세분쇄한 경우는 일반 분쇄한 경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α-glucosidase 억제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예에서 대조구로 사용한 아카보스 (acarbose)는 전분 가수분해 효소인 α-glucosidase의 저해제로서 탄수화물이 소장에서 분해, 흡수되는 속도를 지연시켜 줌으로써 인슐린 내성환자의 당뇨병 발생을 억제하거나 당뇨병 환자의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약품인데, 본 제조예 2의 명월초 물 추출물 3,000ppm(32.3%)은 acarbose 500ppm(30.8%) 보다 높은 제율(43.3%)을 나타내었다.

Claims (5)

  1. (A) 명월초를 동결건조시킨 후, 기류식 분쇄방식으로 초미세 분쇄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수득된 명월초 초미세분말을 증류수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월초 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명월초는 콜드 트랩(Cold Trap)은 -30 ~ -50℃, 진공도는 1.0 Torr ~ 1.0 10-5Torr, 셸프 온도(Shelf Temp)는 초기 60 ~ 98℃, 중기 60 ~ 85℃, 후기 30 ~ 55℃의 조건에서 최종 품온이 30 ~ 60℃가 되도록 동결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월초 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동결건조된 명월초를 기류식 분쇄분급기를 이용하여 품온 40℃ 미만의 온도로 400 ~ 600 메쉬의 크기로 초미세 분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월초 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명월초 초미세분말 대비 10 ~ 15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50~70℃에서 22~26시간 쉐이킹 인큐베이션(shaking incubation)을 한 후, 1000~5000rpm으로 20 ~ 40분 동안 원심분리를 하고 0.35~0.55㎛로 여과하여 수득한 여과액을 -90 ~ 70℃로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월초 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명월초 물 추출물을 함유하고,
    글루코키나제(glucokinase),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pyruvate dehydrogenase) 및 아세틸 코에이 카르복시라제(Acetyl CoA carboxylase)의 활성은 증가시키는 반면 α-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의 활성은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20130008672A 2013-01-25 2013-01-25 당대사 관련 효소의 활성을 촉진하는 명월초 물 추출물 KR20140096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672A KR20140096437A (ko) 2013-01-25 2013-01-25 당대사 관련 효소의 활성을 촉진하는 명월초 물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672A KR20140096437A (ko) 2013-01-25 2013-01-25 당대사 관련 효소의 활성을 촉진하는 명월초 물 추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437A true KR20140096437A (ko) 2014-08-06

Family

ID=51744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672A KR20140096437A (ko) 2013-01-25 2013-01-25 당대사 관련 효소의 활성을 촉진하는 명월초 물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643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770A (ko) * 2017-01-05 2018-07-13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명월초에서 분리한 화합물 등을 이용한 항당뇨 조성물
KR20180094366A (ko) * 2017-02-15 2018-08-23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가시파래 추출물 등을 이용한 항당뇨 조성물
KR101976710B1 (ko) * 2018-02-28 2019-05-09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명월초잎, 산수유, 야생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98371B1 (ko) * 2020-04-09 2021-09-07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명월초 캘러스 유래 pdr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770A (ko) * 2017-01-05 2018-07-13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명월초에서 분리한 화합물 등을 이용한 항당뇨 조성물
KR20180094366A (ko) * 2017-02-15 2018-08-23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가시파래 추출물 등을 이용한 항당뇨 조성물
KR101976710B1 (ko) * 2018-02-28 2019-05-09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명월초잎, 산수유, 야생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98371B1 (ko) * 2020-04-09 2021-09-07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명월초 캘러스 유래 pdr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ua et al. Traditional uses and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Amorphophallus konjac K. Koch ex NE Br.
KR101135576B1 (ko)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6395311B2 (en) Multicomponent biological vehicle
JP5568806B2 (ja) 糖尿病または糖尿病合併症予防剤
Sangeetha et al. The amazing bamboo: a review on its medicinal and pharmacological potential
Bermano et al. Seaweed-derived bioactives as potential energy regulators in obesity and type 2 diabetes
CN101829209B (zh) 果味甜茶茶多酚的制备方法
JP2006045212A (ja) 特定のキナ酸誘導体を含有する経口用組成物
KR20140096437A (ko) 당대사 관련 효소의 활성을 촉진하는 명월초 물 추출물
JP2009023984A (ja) 脂肪分解促進剤及び飲食品
CN101861988B (zh) 果味甜茶黄酮含片的制备方法
KR101588378B1 (ko)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
KR100549089B1 (ko) 장기능 및 변비 질환 개선용 건강 기능성식품
KR102005031B1 (ko)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인삼열매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4606277B (zh) 葛花处理物的应用、以及含有葛花处理物的饮食品和化妆品
KR101723402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당뇨, 당뇨합병증 또는 당뇨로 인한 질환을 예방,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1846B1 (ko) 세포내 당 소모대사 관련 주요 효소 mRNA 발현을 증감시키는 천연소재 배합물 조성
KR20150051811A (ko) 홍삼추출물 및 인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02255837A (ja) アルドースレダクターゼ阻害剤
KR102006551B1 (ko) 가시파래 추출물, 새싹인삼 등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El-Kholie et al. The effect of products containing stevia and samwa leaves on diabetic rats
KR20200101114A (ko) 구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세포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KR20160058201A (ko) 발효 미생물을 이용한 수경재배 인삼 잎 분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수경재배 인삼 잎 분말
KR20110118748A (ko) 한대리곰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11759B1 (ko) 카카오닙스를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