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6102A - 박리 장치 - Google Patents

박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6102A
KR20140096102A KR20147014932A KR20147014932A KR20140096102A KR 20140096102 A KR20140096102 A KR 20140096102A KR 20147014932 A KR20147014932 A KR 20147014932A KR 20147014932 A KR20147014932 A KR 20147014932A KR 20140096102 A KR20140096102 A KR 20140096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guide member
mortar
cutter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14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4395B1 (ko
Inventor
가즈마사 다카기
에이조 다카기
마사유키 아사쿠라
다츠야 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마루타카코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마루타카코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마루타카코교
Publication of KR20140096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planing, e.g. channelling by means of plan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과제>
박리 작업시에 발생하는 소리를 허용 가능한 조용한 소리로 할 수 있고, 콘크리트 몸체로부터 모르타르를 부드럽게 박리 가능한 박리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박리 장치(10A)는, 모르타르(21)의 외면과 병행하여 일방향으로 뻗어 있는 안내 부재(12)와, 모르타르(21)의 외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1고정 수단(15)과, 일방향 전방으로 신장 가능한 피스톤 로드(42)를 갖고 모르타르(21)와 안내 부재(12) 사이에 위치하는 유압 잭(13)과, 잭(13)을 안내 부재(1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연결 수단(18)과, 피스톤 로드(42)의 선단부에 위치하여 콘크리트 몸체(20)로부터 모르타르(21)를 박리하는 커터(14)로 형성되어 있다. 박리 장치(10A)에서는, 잭(13)의 로드(42)가 일방향 전방으로 점차 신장되는 것에 수반하여, 커터(14)가 일방향 전방으로 점차 전진하면서, 커터(14)의 날 끝(50)이 콘크리트 몸체(20)로부터 소정 두께의 모르타르(21)를 박리한다.

Description

박리 장치{PEELING DEVICE}
본 발명은, 구조물의 소정의 개소에 시공된 시멘트 경화물을 박리하는 박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서는, 콘크리트 몸체의 표면에 소정 두께의 모르타르를 시공함으로써 마무리가 행하여지고 있으나, 세월이 지난 후의 모르타르의 개수(改修) 공사, 벽이나 천장의 두께 증가에 의한 내진 보강 공사 등의 필요가 발생한 경우, 새로운 마무리 시공이나 두께 증가에 앞서 콘크리트 몸체의 표면에 시공된 모르타르의 박리 작업이 행하여진다. 종래, 모르타르 박리 작업은, 소형 착암기나 해머 드릴을 사용하여 작업원이 직접 깎아내기 작업을 행하여 기설의 모르타르의 해체를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소형 착암기나 해머 드릴 등의 깎아내기 기계는, 컴프레서에 의한 압축 공기를 보내, 모르타르에 진동 및 타격을 가함으로써 모르타르의 파괴를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타격음이 크고, 작업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공사 대상 건축물이 24시간의 영업 체제이거나, 정적이 요구되는 병원이나 학교 등인 경우에는, 박리 작업에 수반되는 소음 때문에 작업 시간대가 대폭 제한되어, 박리 작업의 완료까지 장기간을 요함과 아울러, 박리 작업에 높은 인건비가 드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들 타격·진동계의 깎아내기 기계의 경우에는, 타격 및 진동이 몸체에도 전달되기 때문에, 몸체에 크랙 등의 손상이 유발될 우려가 있다. 또한, 내진 보강 공사에서는, 강도가 낮은 모르타르를 완전히 제거하고 콘크리트 몸체만을 노출시킬 필요가 있으나, 국소적으로 깎아내기를 행하는 그들 깎아내기 기계로는 구석구석까지 모두 모르타르를 박리하는 데에 장시간을 요함과 아울러, 높은 정밀도로 모르타르를 박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들 깎아내기 기계를 이용한 경우, 해체된 모르타르가 잔 파쇄편이 되어, 많은 분진이나 먼지가 발생하여, 작업 환경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모르타르 박리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모르타르 박리 방법은, 콘크리트 몸체의 표면에 모르타르가 소정의 두께 치수로 시공된 모르타르 마무리면을 대상으로 하여, 회전축에 지지된 원판상의 콘크리트 커터를 가지고 들어가, 회전축을 콘크리트 몸체면에 대하여 직교적으로 유지하면서, 콘크리트 몸체와 모르타르의 경계부에 콘크리트 커터를 삽입하고, 콘크리트 커터를 콘크리트 몸체면에 대하여 평행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모르타르를 절삭 분리한다. 이 방법은, 소음이 작고, 짧은 공사 기간에 콘크리트 몸체의 표면에 시공된 모르타르를 해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81975호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모르타르 박리 방법은, 콘크리트 커터를 회전시켜 모르타르를 절삭하면서 그 커터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모르타르의 절삭면과 커터의 날 끝이 서로 스쳐 큰 절삭음이 발생하며, 깎아내기 기계에 의해 깎아내기 작업을 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낮게 억제할 수 있으나, 박리 작업에 있어서 발생하는 소리를 허용 가능한 조용한 소리에 가깝게 하기가 어렵다. 또한, 이 모르타르 박리 방법은, 콘크리트 커터의 주연(周緣)에 쐐기상 칩편(chip piece)이 설치되어, 콘크리트 커터의 회전에 수반되는 쐐기상 칩편의 회전 동작으로 모르타르를 부수기 때문에, 모르타르의 박리 방향에 대하여 쐐기상 칩편의 박리력이 집중되기 어려워, 모르타르에 큰 박리력을 전달할 수 없고, 견고하게 시공된 모르타르의 경우, 그 모르타르를 부드럽게 박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리 작업시에 발생하는 소리를 허용 가능한 조용한 소리로 할 수 있고, 시멘트 경화물을 부드럽게 박리할 수 있는 박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고,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박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박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제는, 구조물의 소정의 개소에 시공된 시멘트 경화물을 박리하는 박리 장치이다.
상기 전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특징은, 박리 장치가, 시멘트 경화물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치수 이간함과 아울러 시멘트 경화물의 외면과 병행하여 일방향으로 뻗어 있는 안내 부재와, 안내 부재의 시멘트 경화물의 외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1고정 수단과, 일방향 전방으로 신장 가능한 피스톤 로드를 갖고 시멘트 경화물과 안내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잭과, 잭을 안내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연결 수단과,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에 위치하여 구조물로부터 시멘트 경화물을 박리하는 커터로 형성되고, 박리 장치에서는, 잭의 피스톤 로드가 일방향 전방으로 점차 신장되는 것에 수반하여, 커터가 일방향 전방을 향하여 점차 전진하면서, 커터가 구조물로부터 소정 두께의 시멘트 경화물을 박리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 박리 장치에서는, 잭의 피스톤 로드를 일방향 전방으로 신장시킨 후, 피스톤 로드를 일방향 후방으로 후퇴시킴으로써 1회마다의 박리 공정이 완료되고, 최초의 박리 공정을 행한 후, 잭과 안내 부재의 연결을 해제함과 아울러, 잭을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켜 그 잭을 안내 부재에 다시 연결하여, 다음 회의 박리 공정을 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는, 제1고정 수단이, 구조물에 천공된 앵커 홀에 고정된 제1앵커와, 앵커 홀로부터 노출되는 제1앵커의 자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안내 부재를 시멘트 경화물을 향하여 누르는 누름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는, 제1연결 수단이, 잭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안내 부재를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와, 안내 부재에 천공되어 일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늘어서는 복수의 관통공과, 슬라이더에 천공된 관통공과, 그들 관통공에 삽탈(揷脫) 가능하게 삽입된 연결핀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는, 박리 장치가, 커터를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제2연결 수단이,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에 천공된 관통공과, 커터에 천공된 관통공과, 그들 관통공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핀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는, 박리 장치가, 안내 부재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안내 부재의 일방향 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2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제2고정 수단이, 안내 부재의 전단부에 맞닿는 제1전단판과, 제1전단판에 이어져 구조물에 맞닿는 제2전단판과, 구조물에 천공된 앵커 홀에 삽입되어 제2전단판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제2앵커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는, 박리 장치가, 안내 부재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안내 부재의 일방향 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3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제3고정 수단이, 안내 부재의 후단부에 맞닿는 제1후단판과, 제1후단판에 이어져 구조물에 맞닿는 제2후단판과, 구조물에 천공된 앵커 홀에 삽입되어 제2후단판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제3앵커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는, 커터가, 시멘트 경화물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하는 날 끝과, 날 끝에 이어지는 장착 베이스로 형성되고, 장착 베이스의 정상부가, 안내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닿아, 커터의 시멘트 경화물의 외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 박리 장치에서는, 날 끝의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치수를 조절함으로써, 구조물로부터 박리하는 시멘트 경화물의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박리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는, 안내 부재가, 박리하는 상기 시멘트 경화물의 그 박리 길이 이상의 길이 치수를 갖고 일방향으로 뻗어 있는 금속 파이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는, 시멘트 경화물이, 구조물의 콘크리트 몸체에 시공된 소정 두께의 모르타르이고, 박리 장치가, 콘크리트 몸체로부터 모르타르를 박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 박리 장치에서는, 시멘트 경화물의 박리시에 발생하는 음압 레벨이 20~40dB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는, 잭이, 전동 유압 펌프에 접속된 유압 잭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박리 장치에 의하면, 잭의 피스톤 로드가 일방향 전방으로 점차 신장되는 것에 수반하여, 커터가 일방향 전방을 향하여 점차 전진하면서, 커터가 구조물로부터 소정 두께의 시멘트 경화물을 벗겨내기 때문에, 시멘트 경화물의 절삭면과 커터가 서로 스치는 것에 의한 큰 절삭음의 발생이 없어, 박리 작업시에 발생하는 소리를 허용 가능한 조용한 소리로 할 수 있다. 박리 장치는, 잭의 피스톤 로드로부터 커터로 직선적으로 힘(토크)이 전달되어, 커터의 직진력을 시멘트 경화물의 박리 개소에 집중시킬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시멘트 경화물에 큰 박리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견고하게 시공된 시멘트 경화물이라도 그 경화물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다. 박리 장치는, 잭을 이용함으로써, 구조물로부터 시멘트 경화물을 부드럽게 박리할 수 있기 때문에,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시멘트 경화물의 박리 작업을 완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로부터 한 번에 넓은 범위에 걸쳐 시멘트 경화물의 박리를 행할 수 있어, 박리 작업을 저렴하게 행할 수 있다. 박리 장치는, 구조물에 불필요한 진동이 전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고, 구조물로부터 시멘트 경화물을 박리할 수 있다. 또한, 구조물로부터 시멘트 경화물을 높은 정밀도로 단기간에 구석구석까지 모두 박리할 수 있고, 박리 작업에 있어서 분진이나 먼지의 발생이 적어, 양호한 환경에서 박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잭의 피스톤 로드를 일방향 전방으로 신장시킨 후, 피스톤 로드를 일방향 후방으로 후퇴시킴으로써 1회마다의 박리 공정이 완료되고, 최초의 박리 공정을 행한 후, 잭과 안내 부재의 연결을 해제함과 아울러, 잭을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켜 그 잭을 안내 부재에 다시 연결하여, 다음 회의 박리 공정을 행하는 박리 장치는, 피스톤 로드의 그 신장 치수만큼의 박리를 행한 후, 잭을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켜 다시 안내 부재에 연결하여, 추가로 피스톤 로드의 그 신장 치수만큼의 박리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박리 공정을 반복하여 행할 수 있어, 시멘트 경화물의 박리 길이가 긴 경우라도, 구조물로부터 박리 대상의 모든 시멘트 경화물을 박리할 수 있다. 박리 장치는, 박리 공정을 반복하여 행하는 작업으로서 잭을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그 잭을 안내 부재에 연결할 뿐이며, 다른 작업을 수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번거롭지 않아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시멘트 경화물의 박리를 완료할 수 있다.
제1고정 수단이, 제1앵커와, 제1앵커의 자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안내 부재를 시멘트 경화물을 향하여 누르는 누름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박리 장치는, 커터를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박리 작업 중에, 안내 부재를 시멘트 경화물의 외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커터로부터 안내 부재로 작용하지만, 제1앵커와 누름판에 의하여 안내 부재의 시멘트 경화물의 외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커터를 시멘트 경화물에 확실하게 파고들게 할 수 있어, 구조물로부터 소정 두께의 시멘트 경화물을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1연결 수단이 잭의 후단부에 연결된 슬라이더와 안내 부재에 천공된 복수의 관통공과 슬라이더에 천공된 관통공과 그들 관통공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된 연결핀으로 형성되어 있는 박리 장치는, 슬라이더와 연결핀을 통해 잭과 안내 부재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연결핀을 빼냄으로써 잭과 안내 부재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어, 박리 장치에 의한 복수 회의 박리 공정을 용이하게 반복할 수 있다. 박리 장치는, 박리 공정을 반복하여 행하는 작업으로서 잭을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슬라이더와 연결핀을 통해 잭과 안내 부재를 연결할 뿐이며, 다른 작업을 수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번거롭지 않아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박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커터를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제2연결 수단이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에 천공된 관통공과 커터에 천공된 관통공과 그들 관통공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핀으로 형성되어 있는 박리 장치는, 연결핀을 통해 피스톤 로드와 커터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연결핀을 빼냄으로써 피스톤 로드와 커터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어,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파손된 커터를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다. 박리 장치는, 파손된 커터를 새로운 커터와 간단히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박리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항상 박리 기능을 갖는 커터를 사용함으로써 구조물로부터 시멘트 경화물을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다.
안내 부재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그 안내 부재의 일방향 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2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제2고정 수단이 안내 부재의 전단부에 맞닿는 제1전단판과 제1전단판에 이어져 구조물에 맞닿는 제2전단판과 제2전단판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제2앵커로 형성되어 있는 박리 장치는, 커터(피스톤 로드)를 일방향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작업 중에, 안내 부재를 그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커터로부터 안내 부재로 작용하지만, 제1 및 제2전단판과 제2앵커에 의하여 안내 부재의 일방향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안내 부재나 커터가 시멘트 경화물에 대해 어긋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박리 공정을 행한 후에 커터를 일방향 후방으로 부드럽게 후퇴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다음의 박리 공정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안내 부재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그 안내 부재의 일방향 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3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제3고정 수단이 안내 부재의 후단부에 맞닿는 제1후단판과 제1후단판에 이어져 구조물에 맞닿는 제2후단판과 제2후단판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제3앵커로 형성되어 있는 박리 장치는, 커터(피스톤 로드)를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박리 작업 중에, 안내 부재를 그 일방향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커터로부터 안내 부재로 작용하지만, 제1 및 제2후단판과 제3앵커에 의하여 안내 부재의 일방향 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박리 작업 중에 있어서의 안내 부재나 커터가 시멘트 경화물에 대해 어긋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커터를 시멘트 경화물에 확실하게 파고들게 할 수 있어, 구조물로부터 소정 두께의 시멘트 경화물을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다.
커터가 시멘트 경화물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하는 날 끝과 그 날 끝에 이어지는 장착 베이스로 형성되고, 안내 부재가 장착 베이스의 정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닿아 커터의 시멘트 경화물의 외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박리 장치는, 커터(피스톤 로드)를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박리 작업 중에, 커터를 시멘트 경화물의 외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그 커터에 작용하지만, 제1앵커 및 누름판에 의해 고정된 안내 부재가 커터의 시멘트 경화물의 외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기 때문에, 커터의 날 끝을 시멘트 경화물에 확실하게 파고들게 할 수 있어, 구조물로부터 소정 두께의 시멘트 경화물을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다.
커터의 날 끝의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치수를 조절함으로써, 구조물로부터 박리하는 시멘트 경화물의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박리 치수를 조절할 수 있는 박리 장치는, 커터의 날 끝의 치수를 작게 함으로써, 구조물로부터 박리하는 시멘트 경화물의 박리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커터의 날 끝의 치수를 크게 함으로써, 구조물로부터 박리하는 시멘트 경화물의 박리 치수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로부터 박리하는 시멘트 경화물의 박리 치수(박리 면적)에 대응할 수 있어, 구조물로부터 시멘트 경화물을 원하는 박리 치수만큼 박리할 수 있다.
안내 부재가 시멘트 경화물의 박리 길이 이상의 길이 치수를 갖고 일방향으로 뻗어 있는 금속 파이프인 박리 장치는, 안내 부재의 길이 치수를 변경함으로써, 구조물로부터 박리하는 시멘트 경화물의 박리 길이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로부터 박리하는 시멘트 경화물의 박리 길이에 대응할 수 있어, 구조물로부터 시멘트 경화물을 원하는 길이만큼 박리할 수 있다. 박리 장치는, 제1앵커 및 누름판에 의해 고정된 소정 길이 치수의 안내 부재가 커터의 시멘트 경화물의 외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기 때문에, 커터를 시멘트 경화물에 확실하게 파고들게 할 수 있어, 구조물로부터 소정 두께의 시멘트 경화물을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다.
시멘트 경화물이, 구조물의 콘크리트 몸체에 시공된 소정 두께의 모르타르이고, 콘크리트 몸체로부터 모르타르를 박리하는 박리 장치는, 잭의 피스톤 로드가 일방향 전방으로 점차 신장되는 것에 수반하여, 커터가 일방향 전방을 향하여 점차 전진하면서, 커터가 콘크리트 몸체로부터 소정 두께의 모르타르를 박리하기 때문에, 큰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콘크리트 몸체로부터 모르타르를 박리할 수 있다. 박리 장치는, 잭의 피스톤 로드로부터 커터로 직선적으로 힘(토크)이 전달되어, 커터의 직진력을 모르타르의 박리 개소에 집중시킬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모르타르에 큰 박리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견고하게 시공된 모르타르라도 그 모르타르를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다. 박리 장치는, 잭을 이용함으로써, 콘크리트 몸체로부터 모르타르를 부드럽게 박리할 수 있기 때문에,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박리 작업을 완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몸체에 불필요한 진동이 전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콘크리트 몸체에 손상을 주지 않고, 모르타르를 박리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몸체로부터 모르타르를 높은 정밀도로 단기간에 구석구석까지 모두 박리할 수 있고, 박리 작업에 있어서 분진이나 먼지의 발생이 적어, 양호한 환경에서 박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시멘트 경화물의 박리시에 발생하는 음압 레벨이 20~40dB의 범위에 있는 박리 장치는, 박리시에 발생하는 음압 레벨이 상기 범위에 있기 때문에, 큰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구조물로부터 시멘트 경화물을 박리할 수 있어, 박리 작업시에 발생하는 소리를 허용 가능한 조용한 소리로 할 수 있다. 박리 장치는, 정적의 환경이 요구되는 장소에 만들어진 구조물에 대하여 시멘트 경화물의 박리 작업을 행할 수 있어, 박리 작업의 작업 시간대가 제한되는 일은 없으며, 단기간에 시멘트 경화물의 박리를 완료할 수 있다.
잭이, 전동 유압 펌프에 접속된 유압 잭인 박리 장치는, 잭으로서 유압으로 작동하는 잭을 사용함으로써, 피스톤 로드로부터 커터로 큰 힘(토크)을 전달할 수 있어, 시멘트 경화물에 큰 박리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구조물로부터 시멘트 경화물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다.
도 1은 일례로서 나타내는 박리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박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박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L-L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커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박리 장치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박리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으로부터 이어지는 박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로부터 이어지는 박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로부터 이어지는 박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로부터 이어지는 박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일례로서 나타내는 박리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박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박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M-M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박리 장치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박리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로부터 이어지는 박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으로부터 이어지는 박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로부터 이어지는 박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례로서 나타내는 박리 장치(10A)의 상면도인 도 1 등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박리 장치의 상세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한편, 도 2는, 박리 장치(10A)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박리 장치(10A)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L-L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5는, 커터(14)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일방향(도 1에 나타내는 건축물에서는 전후 방향)을 화살표 A로 나타내고, 일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도 1에 나타내는 건축물에서는 상하 방향)을 화살표 B로 나타낸다. 도 1~도 4에서는, 박리 장치(10A)를 건축물의 내벽(11)의 상부에 설치한 상태로 나타낸다. 도 2에서는, 안내 부재(12)의 전후단부(29, 35)나 제1고정 수단(15)의 도시를 생략하고, 도 2, 3에서는, 유압 튜브(4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5에서는, 안내 부재(12)나 피스톤 로드(42)를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이 박리 장치(10A)는, 구조물의 콘크리트 몸체(20)의 외면에 시공된 모르타르(21)(시멘트 경화물)의 박리에 사용된다. 한편, 박리 장치(10A)는, 모르타르(21)의 박리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박리에도 사용할 수 있다. 구조물에는, 오피스 빌딩이나 인텔리전트 빌딩, 집합 주택, 병원, 학교, 원자력 발전소, 옥내 주차장, 지하 주차장 등의 모든 건축물이 포함되고, 또한, 댐이나 다리, 도로, 외벽 등의 모든 구축물이 포함된다.
이하, 박리 장치(10A)가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벽(11)에 설치된 경우를 예로 하여 장치를 설명한다. 한편, 박리 장치(10A)는, 건축물의 내벽(11)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마루 슬래브나 캔틸레버 슬래브, 천장 슬래브, 기둥, 보에 설치하여, 그들에 시공된 모르타르(21)의 박리에 사용할 수도 있다. 그들 도면에서는 박리 장치(10A)가 건축물(구조물)의 내벽(11)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건축물의 내벽(11)에 있어서의 장치(10A)의 설치 방향(안내 부재가 뻗어 있는 방향)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은 없고, 장치(10A)를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으면, 장치(10A)를 모든 방향에 설치할 수 있다. 박리 장치(10A)는, 일방향으로 뻗어 있는 안내 부재(12)와, 유압 잭(13) 및 커터(14)와, 제1~제3고정 수단(15~17) 및 제1~제2연결 수단(18, 19)을 구비하고 있다.
안내 부재(12)는, 일방향으로 뻗어 있는 중공 통상의 금속 파이프(철 파이프나 알루미늄 파이프, 스테인리스강 파이프 등)이고, 그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한편, 안내 부재(12)는, 원형뿐만 아니라, 그 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안내 부재(12)는, 모르타르(21)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치수 이간함과 아울러 모르타르(21)의 외면과 병행하도록 건축물의 내벽(11)에 설치되어 있다. 안내 부재(12)는, 박리하는 모르타르(21)의 그 박리 길이 이상의 길이 치수를 갖고 있으면 되며, 그 길이 치수에 특별히 한정은 없다. 안내 부재(12)에는, 그것을 관통하여 일방향으로 등간격 이간(소정 치수 이간)하여 늘어서는 복수의 관통공(22)(제1연결 수단(18))이 천공되어 있다. 안내 부재(12)는, 제1~제3고정 수단(15~17)에 의해 내벽(11)에 설치, 고정되어 있다.
제1고정 수단(15)은, 일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늘어서, 모르타르(21)의 외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안내 부재(12)의 이동을 저지한다. 한편, 도 1에서는, 제1고정 수단(15)이 2개 도시되어 있으나, 고정 수단(15)의 수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안내 부재(12)의 길이 치수에 따라 3개 이상의 고정 수단(15)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고정 수단(15)은, 내벽(11)(콘크리트 몸체(20) 및 모르타르(21))에 천공된 앵커 홀(23)에 삽입, 고정된 제1앵커(24)와, 앵커 홀(23)로부터 노출되는 앵커(24)의 자유단부(25)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누름판(26)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앵커(24)는, 2개의 제1앵커가 안내 부재(12)를 사이에 둔 상태로 부재(12)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앵커(24)로는, 그 상세한 도시는 하지 않았으나, 캡슐식 앵커나 수지 주입 앵커, 스크루 앵커, 커트 앵커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1앵커(24)는, 강철로 만들어져 있으나, 강철 외에 스테인리스강이나 알루미늄 합금, 티탄 합금 등의 금속, 또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져 있어도 된다.
누름판(26)은, 폭 방향으로 긴 금속판으로서, 그 중앙부에 폭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개구(27)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판(26)의 개구(27)에는, 제1앵커(24)의 자유단부(25)가 삽탈 가능하게 삽통(揷通)되어 있다. 제1앵커(24)의 자유단부(25)에 형성된 수나사에는, 육각 너트(28)가 나착(螺着)되어 있다. 너트(28)에 의해 누름판(26)이 모르타르(21)의 외면을 향하여 눌려 누름판(26)이 제1앵커(24)와 너트(28)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누름판(26)에 의해 안내 부재(12)가 모르타르(21)의 외면을 향하여 눌려 있다.
제2고정 수단(16)은, 안내 부재(12)의 전단부(29)에 설치되어 있다. 제2고정 수단(16)은, 안내 부재(12)의 전단부(29)에 맞닿는 제1전단판(30)과, 제1전단판(30)에 이어져 내벽(11)(모르타르(21))에 맞닿는 제2전단판(31)과, 내벽(11)(콘크리트 몸체(20) 및 모르타르(21))에 천공된 앵커 홀(32)에 삽입된 제2앵커(33)로 형성되어 있다. 제1전단판(30)과 제2전단판(31)은, 철이나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그들 판(30, 31)이 일체가 되어 L자 형상의 스토퍼를 형성하고 있다.
제2전단판(31)의 중앙부에는, 판(31)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에는, 앵커 홀(32)로부터 노출되는 제2앵커(33)의 자유단부(34)가 삽탈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관통공으로부터 노출되는 제2앵커(33)의 자유단부(34)에 형성된 수나사에는, 육각 너트(28)가 나착되어 있다. 한편, 제2앵커(33)로는, 제1앵커(24)와 마찬가지로, 캡슐식 앵커나 수지 주입 앵커, 스크루 앵커, 커트 앵커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전단판(30, 31)이 제2앵커(33)와 육각 너트(28)에 의하여 내벽(11)(모르타르(21))에 고정됨과 아울러, 안내 부재(12)의 일방향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2고정 수단(16)(제1전단판(30))에 의해 저지된다.
제3고정 수단(17)은, 안내 부재(12)의 후단부(35)에 설치되어 있다. 제3고정 수단(17)은, 안내 부재(12)의 후단부(35)에 맞닿는 제1후단판(36)과, 제1후단판(36)에 이어져 내벽(11)(모르타르(21))에 맞닿는 제2후단판(37)과, 내벽(11)(콘크리트 몸체(20) 및 모르타르(21))에 천공된 앵커 홀(38)에 삽입된 제3앵커(39)로 형성되어 있다. 제1후단판(36)과 제2후단판(37)은, 철이나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그들 판(36, 37)이 일체가 되어 L자 형상의 스토퍼를 형성하고 있다.
제2후단판(37)의 중앙부에는, 판(37)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에는, 앵커 홀(38)로부터 노출되는 제3앵커(39)의 자유단부(40)가 삽탈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관통공으로부터 노출되는 제3앵커(39)의 자유단부(40)에 형성된 수나사에는, 육각 너트(28)가 나착되어 있다. 한편, 제3앵커(39)로는, 제1앵커(24)와 마찬가지로, 캡슐식 앵커나 수지 주입 앵커, 스크루 앵커, 커트 앵커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후단판(36, 37)이 제3앵커(39)와 육각 너트(28)에 의하여 내벽(11)(모르타르(21))에 고정됨과 아울러, 안내 부재(12)의 일방향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3고정 수단(17)(제1후단판(36))에 의해 저지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건축물의 기둥이나 보의 외면에 안내 부재(12)의 전단부(29)나 후단부(35)를 맞닿게 하고, 기둥이나 보를 제2고정 수단(16)이나 제3고정 수단(17)으로서 이용하여, 기둥이나 보에 의해 부재(12)의 일방향 전방이나 일방향 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으면, 제2고정 수단(16)(제1전단판(30), 제2전단판(31), 제2앵커(33))이나 제3고정 수단(17)(제1후단판(36), 제2후단판(37), 제3앵커(39))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유압 잭(13)은, 안내 부재(12)와 모르타르(21)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유압 잭(13)은, 안내 부재(12)의 후단부에 제1연결 수단(18)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유압 잭(13)은, 원통 형상의 유압 실린더(41)와 원기둥 형상의 피스톤 로드(42)를 갖는다. 유압 실린더(41)의 전단부와 중간부에 있어서의 둘레벽에는, 유압 튜브(43)가 장착되어 있다. 유압 튜브(43)는, 전동 유압 펌프(44)에 접속되어 있다. 유압 잭(13)에서는, 유압 펌프(44)로부터 송출되는 유압 오일(유압 작동유)에 의해 피스톤 로드(42)가 일방향 전방으로 신장(전진)됨과 아울러 일방향 후방으로 후퇴한다. 한편, 잭으로서 유압 잭(13) 외에, 수압 잭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1연결 수단(18)은, 유압 잭(13)(유압 실린더(41))의 후단부에 연결된 슬라이더(45)와, 안내 부재(12)에 천공된 관통공(22) 및 슬라이더(45)(후기하는 통 부재(48))에 천공된 관통공(46)과, 그들 관통공(22, 46)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된 연결핀(47)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45)는, 철이나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다. 슬라이더(45)는, 안내 부재(12)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진 원통 형상의 통 부재(48)와, 통 부재(48)의 후단부에 연결된 받침대(49)로 형성되어 있다. 통 부재(48)와 받침대(49)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일체로 되어 있다. 통 부재(48)는, 안내 부재(12)의 외주면에 있어서 일방향 전방과 일방향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받침대(49)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성형되고, 양 측벽과 저벽을 갖는다. 받침대(49)의 내측에는 유압 실린더(41)의 후단부가 수납되고, 용접에 의해 실린더(41)의 후단부가 받침대(49)에 고정되어 있다. 받침대(49)의 저벽(저면)은, 내벽(11)(모르타르(21))의 외면에 맞닿아 있다. 관통공(46)은, 통 부재(48)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관통함과 아울러 일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늘어서 있다. 연결핀(47)은, 철이나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다.
통 부재(48)를 안내 부재(12)의 외주면에 끼우고, 안내 부재(12)에 형성된 관통공(22)과 통 부재(48)에 형성된 관통공(46)을 일치시킨 후, 그들 관통공(22, 46)에 연결핀(47)을 삽입함으로써, 유압 잭(13)을 안내 부재(12)에 연결할 수 있다. 역으로, 연결핀(47)을 그들 관통공(22, 46)으로부터 빼냄으로써, 유압 잭(13)과 안내 부재(12)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유압 잭(13)과 안내 부재(12)의 연결을 해제한 후, 슬라이더(45)를 일방향 전방 또는 일방향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고, 그들 관통공(22, 46)에 연결핀(47)을 삽입함으로써, 잭(13)을 안내 부재(12)의 소정의 개소에 설치할 수 있다.
커터(14)는, 강철로 만들어지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르타르(21)를 박리하는 날 끝(50)과, 날 끝(50)에 이어지는 장착 베이스(51)로 형성되어 있다. 커터(14)는, 제2연결 수단(19)을 통해 피스톤 로드(42)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연결 수단(19)은, 피스톤 로드(42)의 선단부에 천공된 2개의 관통공(52)과, 커터(14)의 장착 베이스(51)에 천공된 2개의 관통공(53)과, 그들 관통공(52, 53)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핀(54)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핀(54)은, 철이나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다. 날 끝(50)은, 모르타르(21)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하고, 콘크리트 몸체(20)의 외면에 맞닿아 있다. 한편, 도 5의 커터(14)에서는, 날 끝(50)과 장착 베이스(51)가 일체로 되어 있으나, 날 끝(50)을 갖는 날과 장착 베이스(51)가 분리 가능하며, 장착 베이스(51)에 날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장착 베이스(51)는, 정상부(55) 및 저부(57)와, 정상 저부(55, 57)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56)를 갖는다. 장착 베이스(51)의 정상부(55)는, 안내 부재(12)의 외주면의 형상과 거의 동일한 반원 형상으로 성형되고, 안내 부재(12)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닿아 있다. 장착 베이스(51)의 정상부(55)가 안내 부재(12)의 외주면에 맞닿음으로써, 콘크리트 몸체(20)의 외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커터(14)(날 끝(50))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다.
장착 베이스(51)의 중간부(56)에는, 피스톤 로드(42)의 선단부를 삽탈 가능하게 삽통시키는 삽통공(58)과, 로드(42)의 선단이 맞닿는 맞닿음면(59)이 형성되어 있다. 삽통공(58)은, 일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한편, 제2연결 수단(19)을 형성하는 관통공(52)은, 장착 베이스(51)의 중간부(56)에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장착 베이스(51)의 저부(57)는, 모르타르(21)의 외면에 맞닿아 있다.
피스톤 로드(42)의 선단부를 장착 베이스(51)의 삽통공(58)에 삽입하고, 로드(42)의 선단을 장착 베이스(51)의 맞닿음면(59)에 맞닿게 하면, 로드(42)의 선단부에 천공된 관통공(52)과 장착 베이스(51)에 천공된 관통공(53)이 일치한다. 그들 관통공(52, 53)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그들 관통공(52, 53)에 연결핀(54)을 삽입함으로써, 커터(14)를 피스톤 로드(42)의 선단부에 연결할 수 있다.
역으로, 연결핀(54)을 그들 관통공(52, 53)으로부터 빼냄으로써, 커터(14)와 피스톤 로드(42)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커터(14)(날 끝(50))는, 유압 잭(13)의 피스톤 로드(42)가 일방향 전방으로 신장되면, 그것에 수반하여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하고, 피스톤 로드(42)가 일방향 후방으로 후퇴하면, 그것에 수반하여 일방향 후방으로 이동한다.
도 6은, 박리 장치(10A)를 사용한 모르타르(21)의 박리 방법(박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으로부터 이어지는 박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일방향(도 6에 나타내는 건축물에서는 전후 방향)을 화살표 A로 나타내고, 일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도 6에 나타내는 건축물에서는 상하 방향)을 화살표 B로 나타낸다.
박리 장치(10A)를 이용한 모르타르(21)의 박리 방법은, 장치 설치 공정, 제1박리 공정, 제1이동 공정, 제2박리 공정, 제2이동 공정···제n 이동 공정, 제n 박리 공정, 장치 분리 공정의 각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행하여진다. 한편, 장치 설치 공정은, 장치 준비 공정, 안내 홈 제작 공정, 커터 설치 구멍 제작 공정, 앵커 고정 공정, 장치 고정 공정을 포함하고, 장치 분리 공정은, 장치 고정 해제 공정, 앵커 절단 공정을 포함한다.
그들 도면에 기초하여 모르타르(21)의 박리 방법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가장 먼저 그들 공정을 실시하는 사전 준비로서, 모르타르(21)를 박리하는 내벽(11)의 박리 개소를 결정하고, 모르타르(21)의 박리 폭 치수(박리하는 모르타르(21)의 폭 방향의 치수)를 결정함과 아울러, 모르타르(21)의 박리 길이 치수(박리하는 모르타르(21)의 일방향의 치수)를 결정하고, 모르타르(21)의 박리 깊이 치수(박리하는 모르타르(21)의 콘크리트 몸체(20)를 향한 깊이 치수)를 결정한다.
한편, 모르타르(21)의 박리 폭 치수에 의해, 커터(14)의 날 끝(50)의 폭 치수가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모르타르(21)의 박리 폭 치수가 큰 경우, 날 끝(50)의 폭 치수가 큰 커터(14)가 사용되고, 모르타르(21)의 박리 폭 치수가 작은 경우, 날 끝(50)의 폭 치수가 작은 커터(14)가 사용된다. 박리 장치(10A)에서는, 날 끝(50)의 폭 치수(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치수)를 조절함으로써, 콘크리트 몸체(20)로부터 박리하는 모르타르(21)의 박리 폭 치수(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박리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들 치수를 결정한 후, 모르타르(21)의 박리 개소에 박리 장치(10A)를 설치하는 장치 설치 공정을 실시한다. 피스톤 로드(42)의 선단부를 장착 베이스(51)의 삽통공(58)에 삽입하고, 로드(42)의 선단을 장착 베이스(51)의 맞닿음면(59)에 맞닿게 하여, 관통공(52, 53)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그들 관통공(52, 53)에 연결핀(54)을 삽입하고, 제2연결 수단(19)에 의해 로드(42)의 선단부에 커터(14)를 연결한다. 박리 장치(10A)에서는, 연결핀(54)을 통해 피스톤 로드(42)와 커터(14)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연결핀(54)을 빼냄으로써 로드(42)와 커터(14)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어,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파손된 커터(14)(날 끝(50))를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슬라이더(45)의 통 부재(48)를 안내 부재(12)의 외주면에 끼우고, 관통공(22, 46)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그들 관통공(22, 46)에 연결핀(47)을 삽입하고, 제1연결 수단(18)에 의해 안내 부재(12)에 유압 잭(13)을 연결한다(장치 준비 공정). 박리 장치(10A)에서는, 슬라이더(45)와 연결핀(47)을 통해 유압 잭(13)과 안내 부재(12)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연결핀(47)을 빼냄으로써 잭(13)과 안내 부재(12)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장치 준비 공정과 병행하여, 또는, 장치 준비 공정에 의해 모르타르 박리 장치(10A)를 준비한 후,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르타르(21)의 박리 폭의 외연(外緣)을 따라 일방향으로 직선상으로 뻗어 있는 2조의 안내 홈(60)을 넣는다(안내 홈 제작 공정).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커터를 이용하여, 박리 폭의 외연을 따라 모르타르(21)를 절삭하여 안내 홈(60)을 만든다. 그들 안내 홈(60)의 홈 깊이는, 모르타르(21)의 박리 깊이와 동일하다.
안내 홈(60)은, 그들 안내 홈(60)의 내측에 시공되어 있는 모르타르(21)만을 박리하고, 안내 홈(60)의 외측에 시공되어 있는 모르타르(21)의 박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만들어진다. 한편, 내벽(11)의 전역에 있어서 모르타르(21)를 박리하는 경우, 안내 홈(60)의 제작을 생략할 수 있다. 안내 홈(60)을 만든 후, 안내 홈(60) 사이의 개소의 모르타르(21)를 깎아내고, 그 개소에 커터(14)가 들어가는 커터 설치 구멍(61)을 뚫는다(커터 설치 구멍 제작 공정). 구체적으로는, 코어 드릴을 이용하여 커터(14)의 길이 치수 및 폭 치수와 거의 동일한 길이 및 폭의 커터 설치 구멍(61)을 만든다.
안내 홈(60)을 만들고, 커터 설치 구멍(61)을 만든 후, 제1~제3고정 부재(15~17)를 설치하는 개소에 원통 형상의 앵커 홀(23, 32, 38)을 천공하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들 앵커 홀(23, 32, 38)에 제1~제3앵커(24, 33, 39)를 설치, 고정시킨다(앵커 고정 공정). 그들 앵커 홀(23, 32, 38)은, 진동 드릴(전동 공구)(도시 생략)에 의해 천공한다. 앵커 홀(23, 32, 38)은, 모르타르(21)(모르타르층)를 관통하여, 콘크리트 몸체(20)에 도달되어 있다.
제1~제3앵커(24, 33, 39)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면, 앵커 홀(23, 32, 38)의 깊이 치수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다. 앵커 홀(23, 32, 38)을 천공한 후, 제1~제3앵커(24, 33, 39)를 그 앵커 홀(23, 32, 38)에 삽입, 고정시킨다. 앵커(24, 33, 39)를 각 앵커 홀(23, 32, 38)에 고정시킨 후, 유압 잭(14)을 연결한 안내 부재(12)를 그들 안내 홈(60)의 폭 방향 중앙에 제1~제3고정 수단(15~17)을 통해 설치, 고정시킨다(장치 고정 공정).
장치 고정 공정에서는, 안내 부재(12)를 안내 홈(60)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시키고, 커터(14)를 커터 설치 구멍(61)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슬라이더(45)의 받침대(49)의 저벽을 안내 홈(60) 사이의 모르타르(21)에 맞닿게 한다. 다음으로, 누름판(26)의 개구(27)에 제1앵커(24)의 자유단부(25)를 삽통시키고, 자유단부(25)에 육각 너트(28)를 나착하여 누름판(26)을 제1앵커(24) 및 너트(28)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누름판(26)을 고정시키면, 너트(28)에 의해 누름판(26)이 모르타르(21)의 외면을 향하여 눌림과 아울러, 누름판(26)에 의해 안내 부재(12)가 모르타르(21)의 외면을 향하여 눌려, 부재(12)가 누름판(26)에 의해 고정된다(제1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 박리 장치(10A)에서는, 커터(14)를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박리 작업 중에, 안내 부재(12)를 모르타르(21)의 외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커터(14)로부터 안내 부재(12)로 작용하지만, 제1앵커(24)와 누름판(26)에 의하여 안내 부재(12)의 모르타르(21)의 외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커터(14)의 날 끝(50)을 모르타르(21)에 확실하게 파고들게 할 수 있다.
제1고정 수단(15)에 의해 안내 부재(12)를 고정시킨 후, 제2전단판(31)의 관통공에 제2앵커(33)의 자유단부(34)를 삽통시키고, 제1전단판(30)을 안내 부재(12)의 전단부(29)(전단)에 맞닿게 하고, 관통공으로부터 노출되는 제2앵커(33)의 자유단부(34)에 육각 너트(28)를 나착하고, 제2앵커(33) 및 육각 너트(28)에 의해 제1 및 제2전단판(30, 31)을 모르타르(21)의 외면에 고정시킨다. 안내 부재(12)의 전단부(29)는, 제1 및 제2전단판(30, 31)에 의해 고정된다(제2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
박리 장치(10A)에서는, 커터(14)(피스톤 로드(42))를 일방향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작업 중에, 안내 부재(12)를 그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커터(14)로부터 안내 부재(12)로 작용하지만, 제1 및 제2전단판(30, 31)과 제2앵커(33)에 의하여 안내 부재(12)의 일방향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안내 부재(12)나 커터(14)가 모르타르(21)에 대해 어긋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박리 공정을 행한 후에 커터(14)를 일방향 후방으로 부드럽게 후퇴시킬 수 있다.
제2고정 수단(16)에 의해 안내 부재(12)의 전단부(29)를 고정시킨 후, 제2후단판(37)의 관통공에 제3앵커(39)의 자유단부(40)를 삽통시키고, 제1후단판(36)을 안내 부재(12)의 후단부(35)(후단)에 맞닿게 하고, 관통공으로부터 노출되는 제3앵커(39)의 자유단부(40)에 육각 너트(28)를 나착하고, 제3앵커(39) 및 육각 너트(28)에 의해 제1 및 제2후단판(36, 37)을 모르타르(21)의 외면에 고정시킨다. 안내 부재(12)의 후단부(35)는, 제1 및 제2후단판(36, 37)에 의해 고정된다(제3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
박리 장치(10A)에서는, 커터(14)(피스톤 로드(42))를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박리 작업 중에, 안내 부재(12)를 그 일방향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커터(14)로부터 안내 부재(12)로 작용하지만, 제1 및 제2후단판(36, 37)과 제3앵커(39)에 의하여 안내 부재(12)의 일방향 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박리 작업 중에 있어서의 안내 부재(12)나 커터(14)가 모르타르(21)에 대해 어긋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커터(14)의 날 끝(50)을 모르타르(21)에 확실하게 파고들게 할 수 있다.
도 8은, 도 7로부터 이어지는 박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로부터 이어지는 박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로부터 이어지는 박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장치 고정 공정이 완료된 후, 제1박리 공정을 실시한다. 제1박리 공정에서는, 전동 유압 펌프(44)의 스위치를 ON으로 하고, 도시 생략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유압 잭(13)을 가동시켜, 잭(13)의 피스톤 로드(42)를 도 8에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일방향 전방으로 신장(전진)시킨다. 피스톤 로드(42)를 일방향 전방으로 신장시키면, 그것에 의하여 커터(14)가 일방향 전방을 향하여 점차 전진하고, 커터(14)의 날 끝(50)이 콘크리트 몸체(20)로부터 소정 두께의 모르타르(21)를 점차 박리한다(제1박리 공정).
유압 잭(13)의 피스톤 로드(42)를 일방향 전방으로 최대로 신장시키고, 로드(42)가 신장된 만큼의 모르타르(21)를 박리한 후,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유압 잭(13)을 가동시켜, 잭(13)의 피스톤 로드(42)를 도 8에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일방향 후방으로 후퇴시킨다. 로드(42)를 후퇴시킴으로써, 제1박리 공정(1회의 박리 공정)이 완료된다. 한편, 모르타르(21)(시멘트 경화물)의 박리시에 발생하는 음압 레벨은, 50~80dB의 범위에 있다. 그 음압 레벨은, 소음계를 사용하여, 그 소음계를 박리 장치(10A)로부터 1.2m 떨어뜨려 측정한 값이다. 박리 장치(10A)는, 커터(14)의 날 끝(50)이 일방향 전방으로 직진하고, 날 끝(50)이 모르타르(21)를 벗겨내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모르타르(21)의 절삭면과 커터(14)(날 끝(50))가 서로 스치는 일은 없어, 큰 절삭음의 발생도 없다.
제1박리 공정이 완료된 후, 관통공(22, 46)으로부터 연결핀(47)을 빼내어, 안내 부재(12)와 유압 잭(13)의 연결을 해제한다. 안내 부재(12)와 유압 잭(13)의 연결을 해제한 후, 슬라이더(45)의 통 부재(48)를 안내 부재(12)의 외주면에 있어서 도 9에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유압 잭(13)을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킨다(제1이동 공정). 잭(13)의 일방향 전방으로의 최대 이동 거리는, 커터(14)의 날 끝(50)이 다음으로 박리하는 모르타르(21)에 맞닿을 때까지의 거리이다.
유압 잭(13)을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관통공(22, 46)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그들 관통공(22, 46)에 연결핀(47)을 다시 삽입하고, 안내 부재(12)에 유압 잭(13)을 다시 연결하여 제2박리 공정을 실시한다. 제2박리 공정에서는, 전동 유압 펌프(44)의 스위치를 ON으로 하고,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유압 잭(13)을 가동시켜, 잭(13)의 피스톤 로드(42)를 도 10에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일방향 전방으로 신장(전진)시킨다.
피스톤 로드(42)를 일방향 전방으로 신장시키면, 그것에 의하여 커터(14)가 일방향 전방을 향하여 점차 전진하고, 커터(14)의 날 끝(50)이 콘크리트 몸체(20)로부터 소정 두께의 모르타르(21)를 점차 박리한다(제2박리 공정). 유압 잭(13)의 피스톤 로드(42)를 일방향 전방으로 최대로 신장시키고, 로드(42)가 신장된 만큼의 모르타르(21)를 박리한 후,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유압 잭(13)을 가동시켜, 잭(13)의 피스톤 로드(42)를 도 10에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일방향 후방으로 후퇴시킨다. 로드(42)를 후퇴시킴으로써, 제2박리 공정(다음의 1회의 박리 공정)이 완료된다.
제2박리 공정이 완료된 후, 관통공(22, 46)으로부터 연결핀(47)을 빼내어, 안내 부재(12)와 유압 잭(13)의 연결을 해제한다. 안내 부재(12)와 유압 잭(13)의 연결을 해제한 후, 슬라이더(45)의 통 부재(48)를 안내 부재(12)의 외주면에 있어서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유압 잭(13)을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킨다(제2이동 공정). 유압 잭(13)을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기술한 순서로 다시 모르타르(21)의 박리 작업을 행한다. 모르타르(21)의 박리 길이에 따라 이동 공정과 박리 공정을 반복하여(제n 이동 공정, 제n 박리 공정), 박리 대상의 모르타르(21) 전부를 박리하고 이동 공정과 박리 공정이 완료된다.
이동 공정과 박리 공정이 완료된 후, 장치 분리 공정을 실시한다. 제1앵커(24)의 자유단부(25)에 나착한 육각 너트(28)를 자유단부(25)로부터 분리하여, 제1앵커(24) 및 너트(28)에 의한 누름판(26)의 고정을 해제함과 아울러, 제1앵커(24)의 자유단부(25)로부터 누름판(26)을 빼내어, 누름판(26)에 의한 안내 부재(12)의 고정을 해제한다(제1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의 해제)(장치 고정 해제 공정).
다음으로, 제2앵커(33)의 자유단부(34)에 나착한 육각 너트(28)를 자유단부(34)로부터 분리하여, 제2앵커(33) 및 육각 너트(28)에 의한 제1 및 제2전단판(30, 31)의 모르타르(21)에 대한 고정을 해제함과 아울러, 제1 및 제2전단판(30, 31)에 의한 안내 부재(12)의 전단부(29)의 고정을 해제한다(제2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의 해제)(장치 고정 해제 공정).
또한, 제3앵커(39)의 자유단부(40)에 나착한 육각 너트(28)를 자유단부(40)로부터 분리하여, 제3앵커(39) 및 육각 너트(28)에 의한 제1 및 제2후단판(36, 37)의 모르타르(21)에 대한 고정을 해제함과 아울러, 제1 및 제2후단판(36, 37)에 의한 안내 부재(12)의 후단부(35)의 고정을 해제한다(제3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의 해제)(장치 고정 해제 공정). 제1~제3고정 수단(15~17)에 의한 고정을 해제한 후, 안내 부재(12)를 내벽(11)으로부터 내려, 박리 장치(10A)를 박리 개소로부터 분리한다(장치 분리 공정).
장치 분리 공정이 완료된 후, 앵커 절단 공정을 실시한다. 앵커 절단 공정에서는, 앵커 홀(23, 32, 38)로부터 노출되는 제1~제3앵커(24, 33, 39)의 자유단부(25, 34, 40)를 커터를 사용하여 절단한다. 이상의 각 공정을 완료함으로써 모르타르(21)의 박리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1회째의 박리 공정에서 박리 작업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제1박리 공정 완료 후, 즉시 장치 분리 공정을 실시한다.
박리 장치(10A)는, 유압 잭(13)의 피스톤 로드(42)가 일방향 전방으로 점차 신장되는 것에 수반하여, 커터(14)의 날 끝(50)이 일방향 전방을 향하여 점차 전진하면서, 날 끝(50)이 콘크리트 몸체(20)로부터 소정 두께의 모르타르(21)를 벗겨내기 때문에, 모르타르(21)의 절삭면과 커터(14)(날 끝(50))가 서로 스치는 것에 의한 큰 절삭음의 발생이 없어, 박리 작업시에 발생하는 소리를 허용 가능한 조용한 소리(음압 레벨이 50~80dB인 소리)로 할 수 있다.
박리 장치(10A)는, 유압 잭(13)의 피스톤 로드(42)로부터 커터(14)의 날 끝(50)으로 직선적으로 힘(토크)이 전달되어, 날 끝(50)의 직진력을 모르타르(21)의 박리 개소에 집중시킬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모르타르(21)에 큰 박리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박리하는 모르타르(21)의 박리 폭이나 박리 길이, 박리 깊이가 커, 견고하게 시공된 모르타르(21)라도 그 모르타르(21)를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다.
박리 장치(10A)는, 유압 잭(13)과 커터(14)를 이용함으로써, 콘크리트 몸체(20)로부터 모르타르(21)를 부드럽게 박리할 수 있기 때문에, 단기간(짧은 공사 기간)에 효율적으로 박리 작업을 완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몸체(20)로부터 한 번에 넓은 범위에 걸쳐 모르타르(21)의 박리를 행할 수 있어, 박리 작업을 저렴하게 행할 수 있다.
박리 장치(10A)는, 모르타르(21)의 박리 작업 중에 콘크리트 몸체(20)에 불필요한 진동이 전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콘크리트 몸체(20)에 손상을 주지 않고, 모르타르(21)를 박리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몸체(20)로부터 모르타르(21)를 높은 정밀도로 단기간에 구석구석까지 모두 박리할 수 있고, 박리 작업에 있어서 분진이나 먼지의 발생이 적어, 양호한 환경에서 박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박리 장치(10A)는, 피스톤 로드(42)의 최대 신장 치수만큼의 박리를 행한 후, 분리한 유압 잭(13)을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켜 다시 안내 부재(12)에 연결하여, 추가로 피스톤 로드(42)의 최대 신장 치수만큼의 박리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박리 공정을 반복하여 행할 수 있어, 내벽(11)에 있어서의 모르타르(21)의 박리 길이가 긴 경우라도, 콘크리트 몸체(20)로부터 모든 모르타르(21)를 박리할 수 있다. 박리 장치(10A)는, 박리 공정을 반복하여 행하는 작업으로서 유압 잭(13)을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연결시킬 뿐이며, 다른 작업을 수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번거롭지 않아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모르타르(21)의 박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일례로서 나타내는 박리 장치(10B)의 상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박리 장치(10B)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박리 장치(10B)의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M-M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에서는, 일방향(도 11에 나타내는 건축물에서는 상하 방향)을 화살표 A로 나타내고,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 11에 나타내는 건축물에서는 가로 방향)을 화살표 B로 나타낸다. 도 11, 12에서는, 박리 장치(10B)를 내벽(11)에 설치한 상태로 나타낸다. 도 12에서는, 제1고정 수단(15)이나 안내 부재(12)의 전단부(29)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 박리 장치(10B)는,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내벽(11)의 콘크리트 몸체(20)의 외면에 시공된 모르타르(21)(시멘트 경화물)의 박리에 사용된다. 박리 장치(10B)는, 일방향으로 뻗어 있는 2개의 안내 부재(12)와, 2개의 유압 잭(13) 및 2개의 커터(14)와, 제1~제2고정 수단(15, 16) 및 제1~제2연결 수단(18, 19)을 구비하고 있다.
그들 안내 부재(12)는, 가로 방향으로 이간 병행하여 늘어서 있다. 안내 부재(12)는, 도 1의 안내 부재와 마찬가지로, 일방향으로 뻗어 있는 중공 통상의 금속 파이프(철 파이프나 알루미늄 파이프, 스테인리스강 파이프 등)이고, 그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안내 부재(12)는, 모르타르(21)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치수 이간함과 아울러 모르타르(21)의 외면과 병행하도록 건축물의 내벽(11)에 설치되어 있다. 안내 부재(12)는, 박리하는 모르타르(21)의 그 박리 길이 이상의 길이 치수를 갖는다. 그들 안내 부재(12)에는, 그것을 관통하여 일방향으로 등간격 이간(소정 치수 이간)하여 늘어서는 복수의 관통공(22)(제1연결 수단(18))이 천공되어 있다. 안내 부재(12)는, 제1 및 제2고정 수단(15, 16)에 의해 내벽(11)에 설치, 고정되어 있다.
제1고정 수단(15)은, 일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늘어서고, 안내 부재(12)의 모르타르(21)의 외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제1고정 수단(15)은, 내벽(11)에 천공된 앵커 홀(23)에 삽입, 고정된 제1앵커(24)와, 앵커 홀(23)으로부터 노출되는 앵커(24)의 자유단부(25)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누름판(26)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앵커(24)는, 1개의 제1앵커가 안내 부재(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누름판(26)은, 도 1의 박리 장치(10A)에 사용한 누름판과 동일하고, 그 개구(27)에 제1앵커(24)의 자유단부(25)가 삽통되어 있다. 제1앵커(24)의 자유단부(25)에 형성된 수나사에는, 육각 너트(28)가 나착되어 있다. 너트(28)에 의해 누름판(26)이 모르타르(21)의 외면을 향하여 눌려 누름판(26)이 제1앵커(24)와 너트(28)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누름판(26)에 의해 그들 안내 부재(12)가 모르타르(21)의 외면을 향하여 눌려 있다.
제2고정 수단(16)은, 안내 부재(12)의 전단부(29)에 설치되어, 안내 부재(12)의 일방향 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제2고정 수단(16)은, 안내 부재(12)의 전단부(29)에 맞닿는 제1전단판(30)과, 제1전단판(30)에 이어져 내벽(11)(모르타르(21))에 맞닿는 제2전단판(31)과, 내벽(11)(콘크리트 몸체(20) 및 모르타르(21))에 천공된 앵커 홀(32)에 삽입된 제2앵커(33)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전단판(30, 31)은, 박리 장치(10A)에 사용한 제1 및 제2전단판과 동일하고, 제2전단판(31)의 관통공에 제2앵커(33)의 자유단부(34)가 삽통되어 있다.
제2앵커(33)의 자유단부(34)에 형성된 수나사에는, 육각 너트(28)가 나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전단판(30, 31)이 제2앵커(33)와 육각 너트(28)에 의하여 내벽(11)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안내 부재(12)의 후단부(35)(후단)가 마루 슬래브에 맞닿아 있어, 안내 부재(12)의 일방향 후방으로의 이동이 마루 슬래브에 의해 저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 1의 박리 장치(10A)와 달리, 제3고정 수단(17)의 설치가 생략되어 있다.
그들 유압 잭(13)은, 안내 부재(12)와 모르타르(21) 사이에 위치하고, 안내 부재(12)의 후단부에 제1연결 수단(18)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유압 잭(13)은, 도 1의 박리 장치(10A)에 사용한 유압 잭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들 제1연결 수단(18)은, 유압 실린더(41)의 후단부에 연결된 슬라이더(45)와, 안내 부재(12)에 천공된 관통공(22) 및 슬라이더(45)에 천공된 관통공(46)과, 연결핀(47)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45)는, 안내 부재(12)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진 원통 형상의 통 부재(48)와, 통 부재(48)의 후단부에 연결된 받침대(49)로 형성되어 있다. 통 부재(48)는, 안내 부재(12)의 외주면에 있어서 일방향 전방과 일방향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받침대(49)의 내측에는 유압 실린더(41)의 후단부가 수납되고, 용접에 의해 실린더(41)의 후단부가 받침대(49)에 고정되어 있다. 받침대(49)의 저벽은, 모르타르(21)의 외면에 맞닿아 있다.
슬라이더(45)의 통 부재(48)를 안내 부재(12)의 외주면에 끼우고, 관통공(22, 46)끼리를 일치시킨 후, 그들 관통공(22, 46)에 연결핀(47)을 삽입함으로써, 유압 잭(13)을 안내 부재(12)에 연결할 수 있다. 역으로, 연결핀(47)을 그들 관통공(22, 46)으로부터 빼냄으로써, 유압 잭(13)과 안내 부재(12)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유압 잭(13)과 안내 부재(12)의 연결을 해제한 후, 슬라이더(45)를 일방향 전방 또는 일방향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고, 그들 관통공(22, 46)에 연결핀(47)을 삽입함으로써, 유압 잭(13)을 안내 부재(12)의 소정의 개소에 설치할 수 있다.
커터(14)는, 날 끝(50) 및 장착 베이스(51)로 형성되고, 제2연결 수단(19)을 통해 피스톤 로드(42)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도 5 참조). 제2연결 수단(19)은, 피스톤 로드(42)의 선단부에 천공된 2개의 관통공(52)과, 커터(14)의 장착 베이스(51)에 천공된 2개의 관통공(53)과, 연결핀(54)으로 형성되어 있다. 날 끝(50)은, 모르타르(21)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하고, 콘크리트 몸체(20)의 외면에 맞닿아 있다.
장착 베이스(51)의 정상부(55)가 안내 부재(12)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닿고, 그것에 의하여 날 끝(50)의 콘크리트 몸체(20)의 외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다. 장착 베이스(51)의 중간부(56)에는, 피스톤 로드(42)의 선단부를 삽탈 가능하게 삽통시키는 삽통공(58)과, 로드(42)의 선단이 맞닿는 맞닿음면(59)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베이스(51)의 저부(57)는, 모르타르(21)의 외면에 맞닿아 있다.
피스톤 로드(42)의 선단부를 장착 베이스(51)의 삽통공(58)에 삽입하고, 로드(42)의 선단을 장착 베이스(51)의 맞닿음면(59)에 맞닿게 하여, 관통공(52, 53)끼리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그들 관통공(52, 53)에 연결핀(54)을 삽입함으로써, 커터(14)를 피스톤 로드(42)의 선단부에 연결할 수 있다. 역으로, 연결핀(54)을 그들 관통공(52, 53)으로부터 빼냄으로써, 커터(14)와 피스톤 로드(42)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커터(14)(날 끝(50))는, 유압 잭(13)의 피스톤 로드(42)가 일방향 전방으로 신장되면, 그것에 수반하여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하고, 로드(42)가 일방향 후방으로 후퇴하면, 그것에 수반하여 일방향 후방으로 이동한다.
도 15는, 박리 장치(10B)를 사용한 모르타르(21)의 박리 방법(박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로부터 이어지는 박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으로부터 이어지는 박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로부터 이어지는 박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서는, 일방향(도 15에 나타내는 건축물에서는 상하 방향)을 화살표 A로 나타내고,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 15에 나타내는 건축물에서는 가로 방향)을 화살표 B로 나타낸다. 그들 도면에 기초하여 모르타르(21)의 박리 방법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의 박리 장치(10A)와 마찬가지로, 사전에 모르타르(21)를 박리하는 내벽(11)의 박리 개소를 결정하고, 모르타르(21)의 박리 폭 치수를 결정함과 아울러, 모르타르(21)의 박리 길이 치수를 결정하고, 모르타르(21)의 박리 깊이 치수를 결정한다.
그들 치수를 결정한 후, 모르타르(21)의 박리 개소에 그들 박리 장치(10B)를 설치하는 장치 설치 공정을 실시한다. 피스톤 로드(42)의 선단부를 장착 베이스(51)의 삽통공(58)에 삽입하고, 로드(42)의 선단을 장착 베이스(51)의 맞닿음면(59)에 맞닿게 하여, 관통공(52, 53)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그들 관통공(52, 53)에 연결핀(54)을 삽입하고, 제2연결 수단(19)에 의해 로드(42)의 선단부에 커터(14)를 연결한다. 슬라이더(45)의 통 부재(48)를 안내 부재(12)의 외주면에 끼우고, 관통공(22, 46)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그들 관통공(22, 46)에 연결핀(47)을 삽입하고, 제1연결 수단(18)에 의해 안내 부재(12)에 유압 잭(13)을 연결한다(장치 준비 공정).
장치 준비 공정과 병행하거나, 또는, 장치 준비 공정에 의해 모르타르 박리 장치(10B)를 준비한 후,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커터를 이용하여, 모르타르(21)의 박리 폭의 외연을 따라 일방향으로 직선상으로 뻗어 있는 2조의 안내 홈(60)을 넣는다(안내 홈 제작 공정). 안내 홈(60)을 만든 후, 코어 드릴을 이용하여, 안내 홈(60) 사이의 개소의 모르타르(21)를 깎아내고, 그 개소에 그들 커터(14)가 들어가는 커터 설치 구멍(61)을 뚫는다(커터 설치 구멍 제작 공정). 안내 홈(60)을 만들고, 커터 설치 구멍(61)을 만든 후, 제1 및 제2고정 부재(15, 16)를 설치하는 개소에 원통 형상의 앵커 홀(23, 32)을 천공하고, 그들 앵커 홀(23, 32)에 제1 및 제2앵커(24, 33)를 설치, 고정시킨다(앵커 고정 공정).
제1및 제2앵커(24, 33)를 각 앵커 홀(23, 32)에 고정시킨 후, 유압 잭(14)을 연결한 그들 안내 부재(12)를 안내 홈(60)의 가로 방향 중앙에 제1 및 제2고정 수단(15, 16)을 통해 설치, 고정시킨다(장치 고정 공정). 그들 안내 부재(12)를 안내 홈(60)의 가로 방향 중앙에 위치시키고, 커터(14)를 커터 설치 구멍(61)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슬라이더(45)의 받침대(49)의 저벽을 안내 홈(60) 사이의 모르타르(21)에 맞닿게 한다.
다음으로, 누름판(26)의 개구(27)에 제1앵커(24)의 자유단부(25)를 삽통시키고, 자유단부(25)에 육각 너트(28)를 나착하여 누름판(26)을 제1앵커(24) 및 너트(28)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누름판(26)을 고정시키면, 너트(28)에 의해 누름판(26)이 모르타르(21)의 외면을 향하여 눌림과 아울러, 누름판(26)에 의해 안내 부재(12)가 모르타르(21)의 외면을 향하여 눌려, 부재(12)가 누름판(26)에 의해 고정된다(제1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
제1고정 수단(15)에 의해 안내 부재(12)를 고정시킨 후, 제2전단판(31)의 관통공에 제2앵커(33)의 자유단부(34)를 삽통시키고, 제1전단판(30)을 안내 부재(12)의 전단부(29)(전단)에 맞닿게 하고, 관통공으로부터 노출되는 제2앵커(33)의 자유단부(34)에 육각 너트(28)를 나착하고, 제2앵커(33) 및 육각 너트(28)에 의해 제1 및 제2전단판(30, 31)을 모르타르(21)의 외면에 고정시킨다. 안내 부재(12)의 전단부(29)는, 제1 및 제2전단판(30, 31)에 의해 고정된다(제2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 유압 잭(13)을 연결한 안내 부재(12)를 내벽(11)에 고정시킨 도 16의 상태에서는, 그들 잭(13)에 연결된 커터(14)의 각 날 끝(50)이 가로 방향으로 가지런히 늘어서 있다.
장치 고정 공정이 완료된 후, 전동 유압 펌프(44)의 스위치를 ON으로 하고,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그들 유압 잭(13)을 가동시켜, 잭(13)의 피스톤 로드(42)를 도 16에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일방향 전방으로 신장(전진)시킨다. 이때, 그들 피스톤 로드(42)가 동기하여 신장되고, 커터(14)의 각 날 끝(50)이 가로 방향으로 가지런한 상태에서 그들 커터(14)가 동일한 속도로 일방향 전방으로 신장(전진)된다. 그것에 의하여 그들 커터(14)가 동기하여 일방향 전방을 향하여 점차 전진하고, 커터(14)의 각 날 끝(50)이 콘크리트 몸체(20)로부터 소정 두께의 모르타르(21)를 점차 박리한다(제1박리 공정).
그들 유압 잭(13)의 피스톤 로드(42)를 동기시키면서 일방향 전방으로 최대로 신장시키고, 그들 로드(42)가 신장된 만큼의 모르타르(21)를 박리한 후, 잭(13)의 로드(42)를 도 16에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일방향 후방으로 후퇴시킨다. 그들 피스톤 로드(42)를 후퇴시킴으로써, 제1박리 공정(1회의 박리 공정)이 완료된다. 한편, 모르타르(21)(시멘트 경화물)의 박리시에 발생하는 음압 레벨은, 50~80dB의 범위에 있다. 그 음압 레벨은, 소음계를 사용하여, 그 소음계를 박리 장치(10B)로부터 1.2m 떨어뜨려 측정한 값이다. 박리 장치(10B)는, 그들 커터(14)의 날 끝(50)이 일방향 전방으로 동기하여 직진하고, 날 끝(50)이 모르타르(21)를 벗겨내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모르타르(21)의 절삭면과 커터(14)(날 끝(50))가 서로 스치는 일은 없어, 큰 절삭음의 발생도 없다.
제1박리 공정이 완료된 후, 관통공(22, 46)으로부터 연결핀(47)을 빼내어, 안내 부재(12)와 유압 잭(13)의 연결을 해제하고, 슬라이더(45)의 통 부재(48)를 안내 부재(12)의 외주면에 있어서 도 17에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유압 잭(13)을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킨다(제1이동 공정). 유압 잭(13)을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관통공(22, 46)에 연결핀(47)을 다시 삽입하고, 안내 부재(12)에 유압 잭(13)을 다시 연결하고,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잭(13)을 가동시켜, 그들 잭(13)의 피스톤 로드(42)를 도 18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일방향 전방으로 신장(전진)시킨다.
이때, 제1박리 공정과 마찬가지로, 그들 피스톤 로드(42)가 동기하여 가동되고, 커터(14)의 각 날 끝(50)이 가로 방향으로 가지런한 상태에서 그들 커터(14)가 동일한 속도로 일방향 전방으로 신장(전진)된다. 그것에 의하여 그들 커터(14)가 동기하여 일방향 전방을 향하여 점차 전진하고, 커터(14)의 각 날 끝(50)이 콘크리트 몸체(20)로부터 소정 두께의 모르타르(21)를 점차 박리한다(제2박리 공정).
유압 잭(13)의 피스톤 로드(42)를 일방향 전방으로 최대로 신장시키고, 그들 로드(42)가 신장된 만큼의 모르타르(21)를 박리한 후,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유압 잭(13)을 가동시켜, 잭(13)의 로드(42)를 동기시키면서 도 18에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일방향 후방으로 후퇴시킨다. 그들 로드(42)를 후퇴시킴으로써, 제2박리 공정이 완료된다.
제2박리 공정이 완료된 후, 관통공(22, 46)으로부터 연결핀(47)을 빼내어, 안내 부재(12)와 유압 잭(13)의 연결을 해제하고, 슬라이더(45)의 통 부재(48)를 안내 부재(12)의 외주면에 있어서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유압 잭(13)을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킨다(제2이동 공정). 유압 잭(13)을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기술한 순서로 다시 모르타르(21)의 박리 작업을 행한다. 모르타르(21)의 박리 길이에 따라 이동 공정과 박리 공정을 반복하여(제n 이동 공정, 제n 박리 공정), 박리 대상의 모르타르(21) 전부를 박리하고 이동 공정과 박리 공정이 완료된다.
이동 공정과 박리 공정이 완료된 후, 제1앵커(24)의 자유단부(25)에 나착한 육각 너트(28)를 분리하여, 제1앵커(24) 및 너트(28)에 의한 누름판(26)의 고정을 해제함과 아울러, 제1앵커(24)의 자유단부(25)로부터 누름판(26)을 빼내어, 누름판(26)에 의한 안내 부재(12)의 고정을 해제한다(제1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의 해제)(장치 고정 해제 공정).
다음으로, 제2앵커(33)의 자유단부(34)에 나착한 육각 너트(28)를 분리하여, 제2앵커(33) 및 육각 너트(28)에 의한 제1 및 제2전단판(30, 31)의 모르타르(21)에 대한 고정을 해제함과 아울러, 제1 및 제2전단판(30, 31)에 의한 안내 부재(12)의 전단부(29)의 고정을 해제한다(제2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의 해제)(장치 고정 해제 공정). 제1 및 제2고정 수단(15, 16)에 의한 고정을 해제한 후, 안내 부재(12)를 내벽(11)으로부터 내려, 박리 장치(10B)를 박리 개소로부터 분리한다(장치 분리 공정).
장치 분리 공정이 완료된 후, 앵커 절단 공정을 실시한다. 앵커 절단 공정에서는, 앵커 홀(23, 32)로부터 노출되는 제1~제2앵커(24, 33)의 자유단부(25, 34)를 커터를 사용하여 절단한다. 이상의 각 공정을 완료함으로써 모르타르(21)의 박리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1회째의 박리 공정에서 박리 작업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제1박리 공정 완료 후, 즉시 장치 분리 공정을 실시한다.
박리 장치(10B)는, 그들 유압 잭(13)의 피스톤 로드(42)가 일방향 전방으로 동기하면서 점차 신장되는 것에 수반하여, 커터(14)의 각 날 끝(50)이 일방향 전방을 향하여 점차 전진하면서, 그들 날 끝(50)이 콘크리트 몸체(20)로부터 소정 두께의 모르타르(21)를 벗겨내기 때문에, 모르타르(21)의 절삭면과 커터(14)(날 끝(50))가 서로 스치는 것에 의한 큰 절삭음의 발생이 없어, 박리 작업시에 발생하는 소리를 허용 가능한 조용한 소리로 할 수 있다.
박리 장치(10B)는, 그들 유압 잭(13)의 피스톤 로드(42)로부터 커터(14)의 각 날 끝(50)으로 직선적으로 힘(토크)이 전달되어, 그들 날 끝(50)의 직진력을 모르타르(21)의 박리 개소에 집중시킬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모르타르(21)에 큰 박리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박리하는 모르타르(21)의 박리 폭이나 박리 길이, 박리 깊이가 커, 견고하게 시공된 모르타르(21)라도 그 모르타르(21)를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다.
박리 장치(10B)는, 안내 부재(12)에 설치된 그들 커터(14)의 날 끝(50)을 동기시켜 일방향 전방으로 전진시키기 때문에, 날 끝(50)의 직진력이 그들 날 끝(50)으로부터 모르타르(21)로 구석구석까지 모두 전달되어, 가로 방향의 넓은 범위에 걸쳐 모르타르(21)를 한 번에 박리할 수 있어, 한 번의 박리 작업으로 많은 모르타르(21)를 벗겨낼 수 있다.
박리 장치(10B)는, 그들 유압 잭(13)을 이용함으로써, 콘크리트 몸체(20)로부터 소정 두께의 모르타르(21)를 부드럽게 박리할 수 있기 때문에, 단기간(짧은 공사 기간)에 효율적으로 박리 작업을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몸체(20)에 불필요한 진동이 전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콘크리트 몸체(20)에 손상을 주지 않고, 모르타르(21)를 박리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몸체(20)로부터 넓은 면적의 모르타르(21)를 높은 정밀도로 단기간에 구석구석까지 모두 박리할 수 있고, 박리 작업에 있어서 분진이나 먼지의 발생이 적어, 양호한 환경에서 박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박리 장치(10B)는, 그들 피스톤 로드(42)의 최대 신장 치수만큼의 박리를 행한 후, 분리한 그들 유압 잭(13)을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켜 다시 안내 부재(12)에 연결하여, 추가로 피스톤 로드(42)의 최대 신장 치수만큼의 박리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박리 공정을 반복하여 행할 수 있어, 내벽(11)에 있어서의 모르타르(21)의 박리 길이가 긴 경우라도, 콘크리트 몸체(20)로부터 모든 모르타르(21)를 박리할 수 있다. 박리 장치(10B)는, 모르타르 박리 공정을 반복하여 행하는 작업으로서 그들 유압 잭(13)을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잭(13)을 안내 부재(12)에 연결시킬 뿐이며, 다른 작업을 수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번거롭지 않아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모르타르(21)의 박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10A 박리 장치 10B 박리 장치
11 내벽 12 안내 부재
13 유압 잭(잭) 14 커터
15 제1고정 수단 16 제2고정 수단
17 제3고정 수단 18 제1연결 수단
19 제2연결 수단 20 콘크리트 몸체
21 모르타르 22 관통공
23 앵커 홀 24 제1앵커
25 자유단부 26 누름판
29 전단부 30 제1전단판
31 제2전단판 32 앵커 홀
33 제2앵커 34 자유단부
35 후단부 36 제1후단판
37 제2후단판 38 앵커 홀
39 제3앵커 40 자유단부
41 실린더 42 피스톤 로드
44 전동 유압 펌프 45 슬라이더
46 관통공 47 연결핀
48 통 부재 49 받침대
50 날 끝 51 장착 베이스
52 관통공 53 관통공
54 연결핀 60 안내 홈
61 커터 설치 구멍

Claims (13)

  1. 구조물의 소정의 개소에 시공된 시멘트 경화물을 박리하는 박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 장치가, 상기 시멘트 경화물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치수 이간함과 아울러 당해 시멘트 경화물의 외면과 병행하여 일방향으로 뻗어 있는 안내 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의 상기 시멘트 경화물의 외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1고정 수단과, 일방향 전방으로 신장 가능한 피스톤 로드를 갖고 상기 시멘트 경화물과 상기 안내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잭과, 상기 잭을 상기 안내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연결 수단과,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구조물로부터 시멘트 경화물을 박리하는 커터로 형성되고,
    상기 박리 장치에서는, 상기 잭의 피스톤 로드가 일방향 전방으로 점차 신장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커터가 일방향 전방을 향하여 점차 전진하면서, 당해 커터가 상기 구조물로부터 소정 두께의 상기 시멘트 경화물을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장치에서는, 상기 잭의 피스톤 로드를 일방향 전방으로 신장시킨 후, 당해 피스톤 로드를 일방향 후방으로 후퇴시킴으로써 1회마다의 박리 공정이 완료되고, 최초의 박리 공정을 행한 후, 상기 잭과 상기 안내 부재의 연결을 해제함과 아울러, 상기 잭을 일방향 전방으로 이동시켜 그 잭을 안내 부재에 다시 연결하여, 다음 회의 박리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 수단이, 상기 구조물에 천공된 앵커 홀에 고정된 제1앵커와, 상기 앵커 홀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제1앵커의 자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안내 부재를 상기 시멘트 경화물을 향하여 누르는 누름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 수단이, 상기 잭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내 부재를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와, 상기 안내 부재에 천공되어 일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늘어서는 복수의 관통공과, 상기 슬라이더에 천공된 관통공과, 그들 관통공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된 연결핀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장치가, 상기 커터를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 수단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에 천공된 관통공과, 상기 커터에 천공된 관통공과, 그들 관통공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핀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장치가, 상기 안내 부재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당해 안내 부재의 일방향 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2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 수단이, 상기 안내 부재의 전단부에 맞닿는 제1전단판과, 상기 제1전단판에 이어져 상기 구조물에 맞닿는 제2전단판과, 상기 구조물에 천공된 앵커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전단판을 당해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제2앵커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장치가, 상기 안내 부재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당해 안내 부재의 일방향 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3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3고정 수단이, 상기 안내 부재의 후단부에 맞닿는 제1후단판과, 상기 제1후단판에 이어져 상기 구조물에 맞닿는 제2후단판과, 상기 구조물에 천공된 앵커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후단판을 당해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제3앵커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가, 상기 시멘트 경화물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하는 날 끝과, 상기 날 끝에 이어지는 장착 베이스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 베이스의 정상부가, 상기 안내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닿아, 상기 커터의 상기 시멘트 경화물의 외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장치에서는, 상기 날 끝의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치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구조물로부터 박리하는 시멘트 경화물의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박리 치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가, 박리하는 상기 시멘트 경화물의 그 박리 길이 이상의 길이 치수를 갖고 일방향으로 뻗어 있는 금속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경화물이, 상기 구조물의 콘크리트 몸체에 시공된 소정 두께의 모르타르이고, 상기 박리 장치가, 상기 콘크리트 몸체로부터 상기 모르타르를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장치에서는, 상기 시멘트 경화물의 박리시에 발생하는 음압 레벨이 50~80dB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잭이, 전동 유압 펌프에 접속된 유압 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장치.
KR1020147014932A 2011-12-06 2012-12-05 박리 장치 KR101794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66734A JP5635484B2 (ja) 2011-12-06 2011-12-06 剥離装置
JPJP-P-2011-266734 2011-12-06
PCT/JP2012/081553 WO2013084955A1 (ja) 2011-12-06 2012-12-05 剥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102A true KR20140096102A (ko) 2014-08-04
KR101794395B1 KR101794395B1 (ko) 2017-11-06

Family

ID=48574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932A KR101794395B1 (ko) 2011-12-06 2012-12-05 박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45589A1 (ko)
EP (1) EP2789773A4 (ko)
JP (1) JP5635484B2 (ko)
KR (1) KR101794395B1 (ko)
CN (1) CN104066908B (ko)
WO (1) WO20130849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8204A (zh) * 2014-12-05 2016-08-24 遵义市美仑空间个性艺术装饰材料中心 一种壁纸剥离刀
JP6562399B2 (ja) * 2015-11-20 2019-08-21 株式会社丸高工業 壁材剥離装置
CN106639264A (zh) * 2016-12-28 2017-05-10 田国华 一种环保型墙面水泥拉毛机
CN108242273A (zh) * 2017-12-28 2018-07-03 中核四0四有限公司 一种用于放射性混凝土构筑物浅层剥离的装置
CN112081403B (zh) * 2020-09-17 2022-12-09 四川省第一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建筑外墙清理机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7364A (en) * 1959-10-23 1961-01-10 Caterpillar Tractor Co Bulldozer blade support and angling adjustment
DE2254525A1 (de) * 1972-11-08 1974-05-09 Karl M Mayer Vorrichtung zum saeubern, ent-, verputzen und bemalen der aussenfassaden von bauwerken
DE2356527A1 (de) * 1973-11-13 1975-05-22 Voegele Ag J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nuten, insbesondere zur aufnahme von dauermarkierungen, in strassendecken
US4484559A (en) * 1982-03-01 1984-11-27 Mcdermott Incorporated Apparatus for removing material such as concrete from underwater pipelines
CN85102514B (zh) * 1985-04-08 1986-11-05 核工业部建筑机械开发公司 预应力混凝土空心板单板成型挤压机
DE3722546A1 (de) * 1987-07-08 1989-01-26 Singh Amar Jit Verfahren zum schneiden, ritzen oder abloesen von stoffen, z. b. bauteilen
JPH0696914B2 (ja) * 1988-06-16 1994-11-30 東京オートマック株式会社 高速振動を利用した剥離方法及びその装置
DE3916186A1 (de) * 1989-05-18 1990-11-29 Siemen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fernen einer schicht an einer behaelterwand
JP3406251B2 (ja) 1999-09-09 2003-05-12 佐藤工業株式会社 モルタル剥離用コンクリートカッター
JP4284693B2 (ja) * 2000-08-28 2009-06-24 株式会社大林組 コンクリート躯体表面のモルタル層の剥離装置
KR20020045175A (ko) * 2000-12-08 2002-06-19 조대연 고강도 긴장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
CN2535212Y (zh) * 2002-04-02 2003-02-12 曹利华 墙体切割机
JP2005002756A (ja) * 2003-06-11 2005-01-06 Misumi Tokushu:Kk モルタル、シリンダーコンクリート層等の仕上材の除去装置
JP2005067143A (ja) * 2003-08-27 2005-03-17 Ohbayashi Corp 表面剥離装置
JP5443184B2 (ja) * 2010-01-28 2014-03-19 日本プロジェクト株式会社 モルタル層の剥離方法
CN201808129U (zh) * 2010-09-15 2011-04-27 山东省交通规划设计院 混凝土衬砌切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89773A1 (en) 2014-10-15
JP5635484B2 (ja) 2014-12-03
CN104066908A (zh) 2014-09-24
CN104066908B (zh) 2016-05-18
EP2789773A4 (en) 2015-10-21
US20140345589A1 (en) 2014-11-27
KR101794395B1 (ko) 2017-11-06
WO2013084955A1 (ja) 2013-06-13
JP2013119707A (ja) 201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395B1 (ko) 박리 장치
JP7092288B2 (ja) 構造物の補強工法
JP5641476B2 (ja) フライスヘッド及びパイルヘッドを機械加工する方法
KR101548894B1 (ko) 모르타르 박리 방법
KR102120971B1 (ko) 회동 암파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파쇄 방법
JP6411048B2 (ja) 解体方法
JP5795232B2 (ja) 解体方法
CN204622344U (zh) 一种用于切割钢筋混凝土支撑梁的钻孔装置
CN106284338B (zh) 用于pcmw工法桩间顶入锚杆的机械式钉锚装置及使用方法
WO2015108098A1 (ja) 解体方法
JP2014084620A (ja) 剥離方法
CN216839418U (zh) 一种扩大头锚索/杆施工装置
CN221053753U (zh) 一种水渠模板隔距装置
JP2024025545A (ja) 解体方法
JP5986512B2 (ja) 解体方法
JP6211346B2 (ja) 杭頭処理方法および破砕装置
JP2006070582A (ja) 建物の免震化工法
CN107252926A (zh) 管道铲孔装置
JP2017119999A (ja) 解体装置
CN105735631A (zh) 一种悬挑脚手架钢梁锚固装置
CN114215055A (zh) 一种扩大头锚索/杆施工装置及方法
CN205147751U (zh) 一种发电机推力头卡环拆卸工具
TW202223204A (zh) 延伸鋼管、岩盤補強用鋼管、及採用岩盤用補強鋼管的施工方法
JP2011032790A (ja) シールド機発進時のバッキング防止装置
KR20050013704A (ko) 콘크리트 구조물을 철거하기 위한 절단방법 및 그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