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350A - 침입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침입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5350A
KR20140095350A KR1020130008230A KR20130008230A KR20140095350A KR 20140095350 A KR20140095350 A KR 20140095350A KR 1020130008230 A KR1020130008230 A KR 1020130008230A KR 20130008230 A KR20130008230 A KR 20130008230A KR 20140095350 A KR20140095350 A KR 20140095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carbon dioxide
determined
vibration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진
김덕용
Original Assignee
(주) 텔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텔트론 filed Critical (주) 텔트론
Priority to KR1020130008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5350A/ko
Publication of KR20140095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06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having fluid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침입 방지 장치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감지 여부에 따라 해당하는 상태의 움직임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움직임 감지부,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여 감지된 이산화탄소량에 해당하는 상태의 이산화탄소량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이산화탄소량 감지부, 그리고 상기 움직임 감지부와 상기 이산화탄소량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이면 이산화탄소량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량을 판정하고, 판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 이상일 경우,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움직임 감지 신호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량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건물 내에 침입자가 발생했는지를 판정하므로, 사람이 아닌 동물이나 비생명체에 의해 움직임이 유발되더라고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로 잘못 판정하는 문제가 해소된다.

Description

침입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HTOD FOR PROTECTING INTRUSION}
본 발명은 침입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택이나 사무실 등을 비우는 경우,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집안이나 사무실과 같이 보안이 필요한 건물에 침입 방지 장치를 설치한다.
따라서, 무단으로 건물에 침입한 침입자가 발생하면, 전용 선 도는 자동 호출 전화 등을 통해 해당 보안 업체에 알려, 보안 담당자가 출동하도록 한다.
이때, 침입자의 발생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종래에는 움직임 감지부를 이용하여 건물 내에 침입자가 발생했는지를 판정하였다.
하지만, 이 경우, 사람이 아닌 고양이나 개와 같은 동물이 침입할 경우 또는 바람 등에 의해 비생명체가 흔들릴 경우에는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로 감지하여, 건물 내에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로 잘못 판정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오판정 시에도, 경비 업체의 보안 담당자의 출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많은 비용 낭비와 시간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정작 침입자가 발생하여 긴급 출동이 이루어져 하는 상황일 때, 오판정으로 인한 불필요한 출동으로 인해 신속하고 적절한 대체를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만족도와 신뢰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불법으로 침입하는 침입자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정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침입자 판정 동작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켜 경제적 손실 및 시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침입 방지 장치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감지 여부에 따라 해당하는 상태의 움직임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움직임 감지부,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여 감지된 이산화탄소량에 해당하는 상태의 이산화탄소량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이산화탄소량 감지부, 그리고 상기 움직임 감지부와 상기 이산화탄소량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이면 이산화탄소량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량을 판정하고, 판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 이상일 경우,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이고 판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 미만이면, 판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보다 적은 값으로 정해진 제2 설정 이산화탄소량 이상인지를 판정하고, 판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상기 제2 설정 이산화탄소량 이상일 경우, 사람이 아닌 동물에 의해 상기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고, 판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상기 제2 설정 이산화탄소량 미만일 경우, 비생명체에 의해 상기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적외선 감지부, RF 감지부 및 초음파 감지부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침입 방지 장치는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진동의 양에 따라 해당하는 상태의 진동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판정된 진동의 양이 설정 진동량 이상이면,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움직임이 발생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로 판정되면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판정된 진동의 양이 설정 진동량 이상이고 상기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로 판정되지 않으면 건물의 벽, 천정 및 바닥 중 적어도 한 곳이 파손된 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침입 방지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경고부로 상기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침입 방지 방법은 움직임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움직임이 발생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일 경우, 이산화탄소량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이산화탄소량을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상기 이산화탄소량이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그리고 판정된 상기 이산화탄소량이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 이상일 경우,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다른 침입 방지 방법은 판정된 상기 이산화탄소량이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 미만일 경우, 판정된 상기 이산화탄소량이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보다 작은 양을 갖는 제2 설정 이산화탄소량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상기 이산화탄소량이 제2 설정 이산화탄소량 이상일 경우, 사람이 아닌 동물이 상기 움직임을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그리고 판정된 상기 이산화탄소량이 제2 설정 이산화탄소량 미만일 경우, 비생명체가 상기 움직임을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다른 침입 방지 방법은 상기 진동량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진동량을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진동량과 설정 진동량을 비교하여, 판정된 진동량이 상기 설정 진동량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진동량이 상기 설정 진동량 이상일 때, 움직임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움직임이 발생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건물의 벽, 천정 및 바닥 중 적어도 한 곳이 파손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다른 침입 방지 방법은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되면, 경고부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움직임 감지 신호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량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건물 내에 침입자가 발생했는지를 판정한다. 이로 인해, 사람이 아닌 동물이나 비생명체에 의해 움직임이 유발되더라고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로 잘못 판정하는 문제가 해소된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행해지는 긴급 출동 상황 등이 예방되므로, 경제적인 손실뿐만 아니라 시간적인 손실이 방지되고, 또한 침입 방지 장치의 신뢰도가 증가하여 사용자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 방지 장치는 생명체와 비생명체를 포함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감지 여부에 따라 해당하는 상태의 움직임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움직임 감지부(11), 이산화탄소(CO2)의 양을 감지하여 감지된 이산화탄소량에 해당하는 상태의 이산화탄소량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이산화탄소(CO2)량 감지부(13),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진동의 양에 따라 해당하는 상태의 진동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감지부(15), 움직임 감지부(11), 이산화탄소량 감지부(13) 및 진동 감지부(15)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20), 제어부(20)에 연결되어 있는 경고부(30), 제어부(20)에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40), 통신부(40)와 통신을 실시하는 경비 시스템(50), 그리고 통신부(40)와 통신을 실시하는 개인 단말기(60)를 구비한다.
움직임 감지부(11)는 건물 내 사람 및 동물 등과 같은 생명체뿐만 아니라 의자와 책상 등과 같은 비생명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본 예에서, 건물은 침입 방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움직임 감지부(11), 이산화탄소량 감지부(13) 진동 감지부(15) 및 경고부(30)가 설치된 곳을 지칭이며, 비생명체는 생명이 없는 물체뿐만 아니라 식물도 포함된다.
움직임 감지부(11)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자연계에 존재하는 물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에너지를 검출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초전형 적외선 (pyroelectric infrared) 감지부와 같은 적외선(infrared) 감지부, 정해진 크기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물체로 발사한 후 물체에서 반사되는 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RF(radio frequency) 감지부 및 초음파 감지부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량 감지부(13)는 물체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평균 호기량은 5400ml/min이고, 평균 몸무게를 갖고 있는 강아지의 호기량은 216ml/min로서 사람이 아닌 생명체나 비생명체의 호기량은 사람의 호기량보다 매우 적다.
진동 감지부(15)는 진동판 등을 이용하여 발생한 진동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감지된 진동량에 해당하는 상태의 진동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본 예에서, 진동 감지부(15)는 건물의 천장, 벽 및 바닥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움직임 감지부(11), 이산화탄소량 감지부(13) 및 진동 감지부(15) 각각의 설치 개수는 건물의 크기에 따라 정해지며, 예를 들어, 각 감지부(11, 13, 15)는 약 80㎡ 내지 100㎡의 영역마다 또는 약 10m 내지 30m마다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각 감지부(11, 13, 15)의 감지거리 및 감지 면적은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진동 감지부(15)에서 인가되는 진동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건물의 벽, 천장 및 바닥 중 적어도 하나에 충격(즉, 진동)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움직임 감지부(11)에서 인가되는 움직임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공간 내에 움직이는 물체가 존재하는 감지한다.
설정 진동량 이상의 큰 진동이 발생할 경우, 제어부(20)는 드릴(drill)이나 자동차 등에 의해 건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이 파손된 상태로 판정하여 불법 침입자가 발생 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진동이 발생하지 않거나 설정 진동량 미만의 진동이 발생할 경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사람 및 동물과 같은 생명체 또는 비생명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정한다. 이때,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부(20)는 이산화탄소량 감지부(13)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유발한 물체가 사람이지 아니면 사람을 제외한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생명체(이하, '사람이 아닌 동물'이라 함)인지를 판정하여, 해당 건물 내에 침입자가 발생했는지 판정한다.
경고부(30)는 제어부(20)와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2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경고등(31)과 부저(buzzer)(32)를 구비한다.
제어부(20)는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되면 경고등(31)과 부저(32)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경고부(30)를 동작시킨다.
송수신부(30)는 제어부(20)와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2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송수신부(30)는 제어부(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한다.
경비 시스템(50)은 송수신부(40)와 연결되어 있고, 송수신부(40)를 통해 제어부(20)와 통신한다.
따라서, 제어부(20)의 동작에 의해 건물 내에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되면, 제어부(20)는 송수신부(40)를 통해 경비 시스템(50)으로 긴급 상황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
긴급 상황 알림 신호를 수신한 경비 시스템(50)은 침입자가 발생한 곳을 파악하여 보안 담당자와 사용자에게 현재의 긴급 상황을 알려준다.
이로 인해, 보안 담당자는 해당 건물로 긴급 출동하여 도난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본 예에서, 송수신부(40)와 경비 시스템(50) 간의 통신은 유선으로 실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통신도 가능하다.
개인 단말기(60)는 휴대용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일 수 있고, 송수신부(40)와 개인 단말기(60) 간의 통신은 무선 인터넷 또는 유선 인터넷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이다.
본 예에서, 경비 시스템(50)과 사용자 단말(60)간 역시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이 행해진다.
다음, 도 2를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침입 방지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어 침입 방지 장치의 동작이 시작되어 제어부(20) 역시 동작이 시작되면(S10), 제어부(20)는 먼저 진동 감지부(15)에서 출력되는 진동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건물 내에 발생하는 진동량을 판정한다(S11).
판정된 진동량이 설정 진동량 이상일 경우, 제어부(20)는 움직임 감지부(11)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움직임 감지부(11)가 설치된 건물 내에 움직임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3).
이러한 크기의 설정 진동량은 해당 건물의 벽, 천정 및 바닥 중 적어도 하나가 뚫려지거나 차량 등에 의해 파손될 때 발생하는 진동량을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판정된 진동량이 설정 진동량 이상일 경우, 제어부(20)는 벽, 천정 및 바닥 중 적어도 한 곳이 파손된 상태로 판정한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부(20)는 움직임 감지부(11)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S15) 해당 건물 내에 움직임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S17).
판독된 움직임 감지 신호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로 판정되면, 제어부(20)는 건물 내에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경고부(30)의 경고등(31)과 부저(32)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S19) 경고등(31)과 부저(32)를 동작시켜, 외부 사람들에게 불법으로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를 알린다.
또한, 제어부(20)는 긴급 상황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고, 송수신부(40)를 통해 긴급 상황 알림 신호를 경비 시스템(50)과 사용자 단말(60)로 전송한다(S19).
이때, 제어부(20)는 저장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침입자가 발생한 건물의 주소와 같은 위치 정보 그리고 사용자 전화 번호 등과 같이 사용자 정보도 함께 경비 시스템(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저장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해야 해당 사용자 단말(60)로 긴급 상황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는 경비 시스템(50)과 사용자 단말(60)로 침입자 발생 상태를 알려주는 문자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경비 시스템(50)으로 긴급 상황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경비 시스템(50)는 경비업체에게 현재 상황을 알려줘 해당 건물로 보안 담당자가 신속하게 출동하도록 하고, 또한, 해당 건물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60)로 불법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를 알려주는 등 긴급 조치를 실시한다.
하지만, 단계(S17)에서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감지되면, 제어부(20)는 차량 등으로 인해 건물의 벽, 천정 및 바닥 중 적어도 한 곳이 파손된 상태로 판정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긴급 상황 알림 신호를 발생시켜 경비 시스템(50)과 사용자 단말(60)로 긴급 상황 알림 신호를 출력하여(S21), 경비업체와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을 알려준다. 따라서, 보안 담당자와 사용자가 건물 파손 상태를 신속히 인지하여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다. 이 상태는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가 아니므로, 제어부(20)는 경고부(30)를 구동하지 않는다. 이때, 제어부(20)는 경비 시스템(50)과 사용자 단말(60)로 파손 발생 상태를 알려주는 문자 정보도 함께 전송할 있다.
하지만, 단계(S13)에서 판정된 진동량이 설정 진동량보다 작을 경우, 제어부(20)는 움직임 감지부(11)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공간 내에 움직임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S23).
판독된 움직임 감지 신호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로 판정되면(S25), 제어부(20)는 해당 건물 내에 사람이나 동물과 같은 생명체가 침입한 상태로 판정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침입자가 사람인지 아니면 사람이 아닌 동물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이산화탄소량 감지부(13)에서 출력되는 이산화탄소량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공간 내의 이산화탄소량을 판정한다(S27).
다음, 제어부(20)는 판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설정 CO2량)보다 큰지를 판정한다(S29).
이때,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은 사람의 분당 평균 호기랑(ml/min)과 건물의 크기 등을 고려해야 정해질 수 있고, 한 예로서,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은 1000ml/min 내지 2000ml/min 범위 내의 한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판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제어부(20)는 사람이 침입한 상태로 판정하여, 단계(S19)와 동일하게, 경고등(31)과 부저(32)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경고부(30)를 동작시키고(S31) 또한, 긴급 상황 알림 신호를 발생시킨 후 경비 시스템(50)과 사용자 단말(60)로 긴급 상황 알림 신호를 전송하여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를 알려준다(S31).
이로 인해, 경비 시스템(50)은 경비업체에게 현재 상황을 알려줘 해당 건물로 보안 담당자가 신속하게 출동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60)로 불법 침입자 발생 상태를 알려주는 긴급 조치를 실시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60)로 현재 긴급 상황을 신속하게 인지하므로 필요한 후속 조치를 수행하게 된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이때, 제어부(20)는 경비 시스템(50)과 사용자 단말(60)로 침입자 발생 상태를 알려주는 문자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단계(S29)에서, 판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보다 작을 경우, 제어부(20)는 움직임을 유발한 물체가 사람이 아닌 동물이거나 비생명체로 판정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판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제2 설정 이산화탄소량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정한다(S33).
이때, 제2 설정 이산화탄소량은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보다 적고, 해당 건물 내에 사람이 아닌 동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의 평균 이산화탄소량과 해당 건물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판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제2 설정 이산화탄소량 이상일 경우, 제어부(20)는 사람이 아닌 동물이 움직임을 유발한 상태로 판정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사람이 아닌 동물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를 알려주는 신호를 생성한 후, 송수신부(40)를 통해 경비 시스템(50)와 사용자 단말(60)로 전송한다(S25). 이때, 사람이 아닌 동물로 인한 움직임 유발 상태를 알려주는 문자 전송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고, 이미 설명한 것처럼, 위치 정보와 사용자 정보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하지만, 단계(S33)에서 판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제2 설정 이산화탄소량보다 적을 경우, 제어부(20)는 커튼, 종이, 식물 등과 같은 비생명체가 바람 등에 의해 흔들려 움직임이 유발된 상태로 판정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비생명체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를 알려주는 신호를 생성한 후, 송수신부(40)를 통해 경비 시스템(50)와 사용자 단말(60)로 전송한다(S37). 이때, 비생명체로 인한 움직임 유발 상태를 알려주는 문자 전송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고, 이미 설명한 것처럼, 위치 정보와 사용자 정보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람이 아닌 동물을 불법 침입자로 오인하여 불필요하게 긴급 조치가 행해지는 문제가 방지되므로, 경제적 손실 및 시간 손실이 방지되고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예에서, 침입자가 발생할 경우, 경고부(30)를 구동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대안적 예에서, 침입자가 발생하더라고 경고부(30)를 구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침입자는 자신의 칩임 상태가 발각된 상태를 알지 못하므로, 보안 담당자에게 검거될 확률이 증가하여 경제적 피해를 방지하고 추가 범죄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 움직임 감지부 13: 이산화탄소량 감지부
15: 진동 감지부 20: 제어부
30: 경고부 31: 경고등
32: 부저 40: 송수신부
50: 경비 시스템 60: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감지 여부에 따라 해당하는 상태의 움직임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움직임 감지부,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여 감지된 이산화탄소량에 해당하는 상태의 이산화탄소량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이산화탄소량 감지부, 그리고
    상기 움직임 감지부와 상기 이산화탄소량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이면 이산화탄소량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량을 판정하고, 판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 이상일 경우,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침입 방지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이고 판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 미만이면, 판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보다 적은 값으로 정해진 제2 설정 이산화탄소량 이상인지를 판정하고,
    판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상기 제2 설정 이산화탄소량 이상일 경우, 사람이 아닌 동물에 의해 상기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고, 판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상기 제2 설정 이산화탄소량 미만일 경우, 비생명체에 의해 상기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는
    침입 방지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적외선 감지부, RF 감지부 및 초음파 감지부 중 하나로 이루어진 침입 방지 장치.
  4. 제1항에서,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진동의 양에 따라 해당하는 상태의 진동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판정된 진동의 양이 설정 진동량 이상이면,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움직임이 발생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로 판정되면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는
    침입 방지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판정된 진동의 양이 설정 진동량 이상이고 상기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로 판정되지 않으면 건물의 벽, 천정 및 바닥 중 적어도 한 곳이 파손된 상태로 판정하는 침입 방지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에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경고부로 상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침입 방지 장치.
  7. 움직임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움직임이 발생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일 경우, 이산화탄소량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이산화탄소량을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상기 이산화탄소량이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그리고
    판정된 상기 이산화탄소량이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 이상일 경우,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침입 방지 방법.
  8. 제7항에서,
    판정된 상기 이산화탄소량이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 미만일 경우, 판정된 상기 이산화탄소량이 제1 설정 이산화탄소량보다 작은 양을 갖는 제2 설정 이산화탄소량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상기 이산화탄소량이 제2 설정 이산화탄소량 이상일 경우, 사람이 아닌 동물이 상기 움직임을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그리고
    판정된 상기 이산화탄소량이 제2 설정 이산화탄소량 미만일 경우, 비생명체가 상기 움직임을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침입 방지 방법.
  9. 제7항에서,
    상기 진동량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진동량을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진동량과 설정 진동량을 비교하여, 판정된 진동량이 상기 설정 진동량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진동량이 상기 설정 진동량 이상일 때, 움직임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움직임이 발생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건물의 벽, 천정 및 바닥 중 적어도 한 곳이 파손된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침입 방지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한 항에서,
    침입자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되면, 경고부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침입 방지 방법.
KR1020130008230A 2013-01-24 2013-01-24 침입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140095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230A KR20140095350A (ko) 2013-01-24 2013-01-24 침입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230A KR20140095350A (ko) 2013-01-24 2013-01-24 침입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350A true KR20140095350A (ko) 2014-08-01

Family

ID=5174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230A KR20140095350A (ko) 2013-01-24 2013-01-24 침입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53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856B1 (ko) * 2017-08-01 2018-07-20 정은철 방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856B1 (ko) * 2017-08-01 2018-07-20 정은철 방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30804B (zh) 智能屏障报警装置
US7916018B2 (en) Wireless door contact sensor with motion sensor disable
EP1815450B1 (en) Mems sensor unit for security applications
ATE381084T1 (de) Fernaktiviertes mehrstufiges alarmsystem
JP2005078639A (ja) 統合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7164474A (ja) 侵入警戒システム
CN105844209A (zh) 基于红外辐射探测的访客识别
US110161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system device tamper detection
JP2010152677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並びにセキュリティ方法
JP4875313B2 (ja) 監視装置
EP3408842B1 (en) Security system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40095350A (ko) 침입 방지 장치 및 방법
US20050088523A1 (en) Burglarproof security system
CN107067635A (zh) 一种多模块控制机器人
KR20120066940A (ko) 엘리베이터 방범시스템
WO2004079687A1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車両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並びに設定方法
EP3227868B1 (en) Surveillance method and system.
JP2007066153A (ja) 防犯装置
JP2005284370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5107696A (ja) 防犯システム
KR20110060398A (ko) 매설 침입자 경보기
KR200163416Y1 (ko) 전화경보장치
US20120126977A1 (en) Alarm system having an indicator light that is external to an enclosed space for indicating an intrusion into the enclosed space and a method for installing the alarm system
JP2005141456A (ja) 監視防犯方法及びシステム
TWI586166B (zh) Mobile indoor monito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