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274A -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4274A
KR20140094274A KR1020130006881A KR20130006881A KR20140094274A KR 20140094274 A KR20140094274 A KR 20140094274A KR 1020130006881 A KR1020130006881 A KR 1020130006881A KR 20130006881 A KR20130006881 A KR 20130006881A KR 20140094274 A KR20140094274 A KR 20140094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weight
parts
cosmetic composition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5327B1 (ko
Inventor
김기훈
경기열
고은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30006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327B1/ko
Publication of KR20140094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 A61K8/7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containing perfluoro groups, e.g. perfluoro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 유화 화장료의 조성으로 불소계 원료를 함유시킴으로써 사용 시 피부보습력은 확보하면서 사용감이 크게 개선된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Having Liquid Crystal Structure}
본 발명은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Liquid crystal)은 고체와 액체의 중간상태를 일컫는 용어로, 대개 친수성 부분과 친유성 부분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유기분자들이 친수성 부분과 친유성 부분으로 일정하게 배열하여 여러 층을 이루고 있는 라멜라 구조가 생성되는 계(system)를 뜻한다. 액정은 액체와 고체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 점도와 유동성 측면에서는 액체의 특성을 보이고, 빛의 산란과 반사 같은 물성에 있어서는 고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등 고유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화장품, 의약품, 식품 및 전자공업 등의 분야에서 그 응용범위가 넓다.
화장품 분야에서 액정은 유화물의 제조 시 계면에서 형성되어 유화물의 안정성을 높이고, 유화계 내에서 팽윤을 일으켜 크림이나 유액의 점도와 경도를 높이는 작용을 한다.
비특허문헌 1,2에 의하면, 액정은 그 구조가 생체 세포막간지질의 구성 형태와 비슷하여 피부보호막 형성 및 보습 기능뿐만 아니라 여러 수용성, 유용성 효능 성분들의 보존성 및 안정성을 높여주고, 이들 성분들의 효과적인 전달매체로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액정을 이용한 화장품의 경우 상대적으로 고가의 제조 단가로 인해 실용성이 떨어지고 액정의 안정적인 형성과 유지를 위해 양호한 사용감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Cosmetics Toiletes [53-56p, vol. 106, 1991] Cosmetics Toiletes [94-104p, vol. 109, 1994]
이에, 본 발명자는 기존 액정 유화 화장료 조성물들이 가지고 있는 제형 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액정 유화 기술이 가지는 장점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화장료 조성에 불소계 원료를 적용시킴으로써 최소한의 원료만으로 액정을 안정적으로 생성하고 사용감까지 개선시킨 액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액정 유화 기술에 적용된 바 없는 불소계 원료를 사용하여 피부친화력 및 피부 보습력이 있으며, 사용감이 개선된 액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불소계 원료 및 액정유화제를 포함하는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유성 베이스; 및 수성 베이스;를 각각 가온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및
수성 베이스와 유성 베이스를 혼합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유성 베이스 및/또는 수성 베이스를 불소계 원료를 포함하는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불소계 원료를 함유함에 따라 피부보습력은 확보하면서 사용감이 크게 개선되어, 크림, 로션, 에센스 등의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불소계 원료가 유상에 포함된 실시예 1의 액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유화 상태를 보여주는 현미경사진(Leica DFC295, 16x, 독일)이다.
도 2는 불소계 원료가 수상에 포함된 실시예 2의 액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유화 상태를 보여주는 현미경사진(Leica DFC295, 16x, 독일)이다.
본 발명은 불소계 원료 및 액정유화제를 포함하는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불소계 원료를 수상 및/또는 유상에 포함할 수 있고, 유상이 수상과 접하는 계면을 액정이 감싸고 있는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불소계 원료는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구체적으로, 퍼플루오로폴리메틸이소프로필 에테르, 폴리퍼플루오로에테옥시메톡시 디플루오로하이드록시에틸 에테르, 폴리퍼플루오로에테옥시메톡시 디플루오로에틸 피이지 포스페이트 및 폴리퍼플루오로에테옥시메톡시 디플루오로메틸 디스테아라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불소계 원료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0.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지나치게 뻣뻣한 사용감을 보이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미끈거리는 사용감을 보이고 안정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액정 유화제는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피토스테롤,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토코페롤, 피이지-20 피토스테롤, 세틸 알코올 및 하이드로지네이티드 레시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Nikkomulese LC-EF 또는 Nikkomulese LC일 수 있다. 상기 Nikkomulese LC-EF는 Nikko Chemiclas사에서 시판되는 제품으로, 이의 구체적인 성분은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피토스테롤,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하이드로지네이티드 레시친 및 토코페롤의 혼합물이다. 또한, 상기 Nikkomulese LC 역시 Nikko Chemiclas사에서 시판되는 제품으로, 이의 구체적인 성분은 베헤닐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피이지-20 피토스테롤, 세틸 알코올, 피토스테롤,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하이드로지네이티드 레시친 및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이다.
상기 액정 유화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0.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액정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피부자극의 위험이 있고, 사용감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불소계 원료, 액정 유화제 외에 액정 막강화제, 점증제, 보습제 및 정제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 막강화제로는 제형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고급 알코올, 고급 지방산 및 지방산 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산은 탄소수 12 내지 20의 지방산이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익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고급 알코올은 탄소수 12 내지 22의 알코올이며, 세틸알코올, 라놀린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라우릴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지방산 글리세라이드는 탄소수 6 내지 20이며, 모노 글리세라이드, 디 글리세라이드, 트리 글리세라이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액정막강화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1.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액정막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사용감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점증제는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잔탄검 및 카르복시 비닐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0.0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제형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형의 점도가 과하게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1,3-부틸렌 글리콜, 1,2-헥산디올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0.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제형의 보습력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사용감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정제수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5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제형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90 중량부를 초과하면 액정 형성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상기 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수, 로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파운데이션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불소계 원료를 주성분으로 하여 종래의 액정 유화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보습력이 향상되며 사용감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성 베이스 및 수성 베이스를 각각 가온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및
수성 베이스와 유성 베이스를 혼합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유성 베이스 및/또는 수성 베이스에 불소계 원료를 포함하는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수성 베이스와 유성 베이스를 각각 가온시켜 용해시킨다.
이때, 수성 베이스와 유성 베이스 각각을 70 내지 90 ℃로 가온시켜 충분히 녹인다. 상기 유성 베이스는 액정 유화제 및 액정 막강화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성 베이스는 점증제, 보습제 및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불소계 원료는 수성 베이스; 유성 베이스; 또는 수성 베이스와 유성 베이스 모두에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 부분에 불소계 원료가 유성 베이스에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수성 베이스에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이 뒷받침되어 있는 바, 불소계 원료가 유성 베이스와 수성 베이스 모두에 포함시켜 사용하여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하는데 문제가 없음은 당분야에서 자명하다.
그런 다음, 가온된 상태에서 수성 베이스와 유성 베이스를 혼합한다. 즉, 70 내지 90 ℃에서 수성 베이스와 유성 베이스를 혼합시키며, 2000 ~ 5000 rpm으로 2 ~ 10분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온도가 너무 높으면 입자 분포가 조밀해져서 액정 구조가 깨어질 우려가 있고, 또 너무 낮으면 불규칙한 크기의 유화입자가 많이 생겨서 유화 안정성 및 균일한 액정의 형성에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2000 rpm 미만으로 교반할 경우 액정 입자의 크기가 너무 커져서 유화입자의 균열이 발생할 위험이 있고, 5000 rpm 보다 빠르게 교반하면 입자의 크기가 너무 작아져서 안정적인 액정의 생성과 유지가 어려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불소계 원료를 유성 베이스에 포함하는 크림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수성 베이스와 유성 베이스를 각각 80 ℃로 가열, 용해하였다. 그 후, 수성 베이스의 온도를 80 ℃로 유지하면서 유성 베이스를 첨가하여 얻은 혼합물을 호모믹서로 30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3분간 유화시킨 다음, 30 ℃까지 자연 냉각시켰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 1(중량%)
유성 베이스 Nikkomulese LC-EF 5.00
스테아릴 알코올 2.50
세틸 팔미테이트 3.0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5.00
퍼플루오로폴리메틸이소프로필 에테르 3.00
수성 베이스 정제수 63.30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20
1,2-헥산디올 2.00
1,3-부틸렌 글리콜 3.00
글리세린 3.00
실시예 2 ~ 3: 불소계 원료를 수성 베이스에 포함하는 크림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그 조성비는 하기 표 2와 표 3에 각각 나타내었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 2(중량%)
유성 베이스 Nikkomulese LC-EF 5.00
스테아릴 알코올 2.50
세틸 팔미테이트 3.0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5.00
수성 베이스 정제수 63.30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20
폴리퍼플루오로에테옥시메톡시 디플루오로하이드록시에틸 에테르 3.00
1,2-헥산디올 2.00
1,3-부틸렌 글리콜 3.00
글리세린 3.00
구분 원료명 실시예 3(중량%)
유성 베이스 Nikkomulese LC-EF 5.00
스테아릴 알코올 2.50
세틸 팔미테이트 3.0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5.00
수성 베이스 정제수 63.30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20
폴리퍼플루오로에테옥시메톡시 디플루오로에틸 피이지 포스페이트 3.00
1,2-헥산디올 2.00
1,3-부틸렌 글리콜 3.00
글리세린 3.00
비교예 1 ~ 3: 불소계 원료를 포함하지 않는 크림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그 조성비는 표 4, 표 5 및 표 6에 각각 나타내었다.
구분 원료명 비교예 1(중량%)
유성 베이스 Nikkomulese LC-EF 5.00
스테아릴 알코올 2.50
세틸 팔미테이트 3.0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5.00
수성 베이스 정제수 64.30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20
1,2-헥산디올 2.00
1,3-부틸렌 글리콜 3.00
글리세린 5.00
구분 원료명 비교예 2(중량%)
유성 베이스 Nikkomulese LC-EF 5.00
스테아릴 알코올 2.50
세틸 팔미테이트 3.0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5.00
수성 베이스 정제수 66.30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20
1,2-헥산디올 2.00
1,3-부틸렌 글리콜 3.00
글리세린 3.00
구분 원료명 비교예 3(중량%)
유성 베이스 Nikkomulese LC-EF 3.00
스테아릴 알코올 2.50
세틸 팔미테이트 3.0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5.00
수성 베이스 정제수 68.30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20
1,2-헥산디올 2.00
1,3-부틸렌 글리콜 3.00
글리세린 3.00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한 액정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수분 보유능 및 사용감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실험예 1: 수분 보유능 시험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크림 제형 화장료 조성물들의 수분 보유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피부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피험자의 안쪽 팔뚝에 3cm x 3cm의 면적에 시료를 바른 후 피부수분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시간대 별 수치의 최대, 최소값을 제외한 평균값을 표 7에 나타내었다. 이때, 측정에는 피부 수분함량 측정장치(Corneometer CM 825, 독일 CK electronic)를 이용하였고, 측정값의 범위는 최저 0에서 최고 120 사이이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사용 전 63.4 60.9 60.1 63.6
1시간 후 93.7 90.6 82.5 87.0
6시간 후 84.7 83.6 72.0 71.8
상기 표 7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유화 크림의 보습유지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사용감 시험
실시예 2 ~ 3 및 비교예 2 ~ 3의 크림 제형 화장료 조성물들의 사용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 남녀 12명의 팔뚝 안쪽에 4개의 3cm x 3cm 정사각형을 그리고 각각의 시료들을 발라보고 사용감을 1점에서 5점의 5점 척도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이때, 척도의 기준은 높을수록 좋은 사용감을 의미한다.
구분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2 비교예 3
사용감 평균 3.9 4.3 2.2 1.9
상기 표 8에서 보듯이, 실시예 2와 3의 사용감 수치가 비교예 2와 3에 비해 높으며, 불소계 원료가 포함되었을 때 액정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5)

  1. 불소계 원료 및 액정 유화제를 포함하는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원료는 퍼플루오로폴리메틸이소프로필 에테르, 폴리퍼플루오로에테옥시메톡시 디플루오로하이드록시에틸 에테르, 폴리퍼플루오로에테옥시메톡시 디플루오로에틸 피이지 포스페이트 및 폴리퍼플루오로에테옥시메톡시 디플루오로메틸 디스테아라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유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원료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유화제는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피토스테롤,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토코페롤, 피이지-20 피토스테롤, 세틸 알코올 및 하이드로지네이티드 레시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인 유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유화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액정 막강화제, 점증제, 보습제 및 정제수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막강화제는 고급 알코올, 고급 지방산 및 지방산 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유화 화장료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잔탄검 및 카르복시 비닐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유화 화장료 조성물.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1,3-부틸렌 글리콜, 1,2-헥산디올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유화 화장료 조성물.
  10. 제 6 항에 있어서,
    전제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액정막강화제 1.0 내지 40 중량부, 점증제 0.05 내지 5 중량부, 보습제 0.5 내지 20 중량부 및 정제수 50 내지 9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수, 크림, 로션, 에센스, 스프레이, 팩,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운데이션 또는 파우더의 제형인 유화 화장료 조성물.
  12. 유성 베이스 및 수성 베이스를 각각 가온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및
    수성 베이스와 유성 베이스를 혼합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유성 베이스 및/또는 수성 베이스에 불소계 원료를 포함하는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베이스는 액정 유화제 및 액정 막강화제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베이스는 점증제, 보습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은 70 ~ 9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2000 ~ 5000 rpm으로 2 ~ 10분간 교반하여 수행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30006881A 2013-01-22 2013-01-22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101535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881A KR101535327B1 (ko) 2013-01-22 2013-01-22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881A KR101535327B1 (ko) 2013-01-22 2013-01-22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274A true KR20140094274A (ko) 2014-07-30
KR101535327B1 KR101535327B1 (ko) 2015-07-08

Family

ID=5174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881A KR101535327B1 (ko) 2013-01-22 2013-01-22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3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812A (ko) * 2017-08-09 2019-02-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화제 조합으로 점도를 컨트롤하는 액정유화 조성물
KR20190070644A (ko) 2017-12-13 2019-06-21 주식회사 코스모코스 액정형성능력이 우수한 유화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961B1 (ko) * 2021-04-29 2024-05-08 코스맥스 주식회사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0644B1 (fr) * 1998-07-03 2001-07-20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sous forme d'une dispersion d'une phase huileuse et d'une phase aqueuse, stabilisee a l'aide de particules de gel cubique
KR20110078630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수중유형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812A (ko) * 2017-08-09 2019-02-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화제 조합으로 점도를 컨트롤하는 액정유화 조성물
KR20190070644A (ko) 2017-12-13 2019-06-21 주식회사 코스모코스 액정형성능력이 우수한 유화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327B1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811B1 (ko)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RU2459613C2 (ru) Композиция эмульсии "масло в воде"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KR101682452B1 (ko) 피부장벽 회복을 위한 액정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60833A (ko) O/w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2008231010A (ja) 皮膚外用剤
KR20150116655A (ko) 난용성 기능성 성분을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CN105997608A (zh) 锁水保湿霜及其制备方法
KR20140012695A (ko) O/w 유화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32479A (ko) 피부침투가 용이한 펩타이드를 함유한 나노리포좀 입자의 제조방법
JP5695388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101535327B1 (ko)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101256785B1 (ko)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JP5755517B2 (ja) 油性ゲル状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WO2020071464A1 (ja) グリチルレチン酸誘導体を構成成分とするαゲル、αゲルを含む組成物、αゲルの製造方法、αゲルを含む化粧料
JP2016094398A (ja) 乳化組成物
JP6116966B2 (ja) 油性組成物
JP2005281133A (ja) 皮膚外用剤
KR20140110168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7246B1 (ko)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71500A (ko) 유성성분을 함유한 안정화된 나노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투명 화장료 조성물
KR101690144B1 (ko) 한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각질형성 세포 분화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JP6662606B2 (ja) 皮膚化粧料組成物
JP6571001B2 (ja) 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17920B1 (ko) 안정화된 푸코잔틴의 나노리포좀 입자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나노리포좀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50081932A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