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961B1 -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961B1
KR102663961B1 KR1020210055955A KR20210055955A KR102663961B1 KR 102663961 B1 KR102663961 B1 KR 102663961B1 KR 1020210055955 A KR1020210055955 A KR 1020210055955A KR 20210055955 A KR20210055955 A KR 20210055955A KR 102663961 B1 KR102663961 B1 KR 102663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osmetic composition
weight
parts
viscosity mo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8632A (ko
Inventor
김선영
박현정
지진구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5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961B1/ko
Priority to PCT/KR2022/004154 priority patent/WO2022231139A1/ko
Priority to CN202280031341.8A priority patent/CN117222391A/zh
Priority to JP2023565979A priority patent/JP2024515806A/ja
Publication of KR20220148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탄성감이 느껴지는 텍스쳐를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액정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 조절제의 선택적 혼합 사용으로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의 액정 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하며, 저농도 오일을 함유하여 기존의 액정 화장료 조성물보다 수분감이 느껴지는 산뜻하고 라이트한 사용감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High hardness liquid crystal cosmetic composition with bouncy tex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탄성감이 느껴지는 텍스쳐를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Liquid crystal)이라 함은 고체와 액체의 중간적 상태로서, 이는 대개 친수성 부분과 친유성 부분을 동시에 갖고 있는 유기 분자들이 친수성 부분은 친수성 부분끼리 친유성 부분은 친유성 부분끼리 일정하게 배열하여 여러 층을 이루고 있는 라멜라 구조가 생성되는 계를 말한다. 액정은 점도 및 유동성 면에서는 액체처럼 행동하나, 빛의 산란과 반사 같은 물성에 있어서는 고체의 물성을 나타내는 등 독특한 성질을 나타내어, 화장품, 의약품, 식품 및 전자공업 등 여러 분야에서 그 응용범위가 넓다. 화장품, 의약품 분야에 있어서 액정은 유화물의 제조 시 계면에서 생성되어 유화물을 안정화하며, 생체세포막 간지질의 구성형태와 유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피부 보호막 형성 및 보습 기능뿐만 아니라 각종 수용성, 유용성 약효 성분들의 보존안정성 향상 및 그 효과적인 전달매체로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액정 제형의 다양화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KR 등록특허 10-713564), 아직은 일반적인 O/W 유화 크림이 대부분이며 제형의 다양화가 미비한 실정이다.
일 양상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액정 형성제 5 내지 10 중량부; 및 점도 조절제 0.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액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수상부에 점도 조절제를 투입하는 단계; 및
점도 조절제가 투여된 수상부에 액정 형성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액정 형성제 5 내지 10 중량부; 및 점도 조절제 0.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액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액정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감과 탄성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의 액정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액정 형성제는 고급 지방족 알코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족 알코올은 C12-16알코올, C14-22 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및 미리스틸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솔비탄올리베이트, 솔비탄팔미테이트, 수크로오스폴리스테아레이트,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일은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에틸헥실팔미테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카프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다이카프릴릴에터,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아이소스테아레이트,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및 에틸헥실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액정 형성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9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액정 형성제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액정 형성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일상이 높은 비율로 포함됨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액정 구조가 사라져 제형 안정성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점도 조절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카보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11 및 소듐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점도 조절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7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6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점도 조절제의 함량이 0.0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점증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의 장기 안정도를 확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수분감이 줄어들어 사용감이 저하되고, 조성물의 특징인 탄성감이 사라져 일반적인 밤(balm) 타입 제형과 차별화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경도가 80 내지 150 dyne/cm2일 수 있다.
상기 경도 범위일 때, 피부 도포시 우수한 사용감을 발휘할 수 있다. 경도가 80 미만일 경우 흐름성이 과도해져 제형의 탄성 또는 복원력을 해치고, 그에 따라 탄성감과 수분감에 따른 우수한 사용감을 느끼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15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교반이 용이하지 않아 제조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경도가 너무 높아 피부에 도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 비누산, 용매, 착색제, 보존제, 항산화제, 소포제, 항균제, 항재침착제, 효소, 식물 또는 미네랄 오일, 지방,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체, 방향제, 방향제 담체, 보존제, 단백질, 실리콘,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왁스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가용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적용하고자 하는 피부 면적에 따라 적절한 양을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루 1회 내지 수 회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용하는 양 및 횟수는 개인의 피부 상태, 연령 등에 따라 필요에 의해 증감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수상부에 점도 조절제를 투입하는 단계; 및
점도 조절제가 투여된 수상부에 액정 형성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액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수상부에 점도 조절제를 선투입한 뒤, 유상을 투입하여 액정을 형성하는 순서로 수행됨에 따라, 만들어진 화장료 조성물이 고경도 제형을 띄는 특징이 있다. 상기 방법을 통해, 점도 조절제 및 소량의 유상만으로도 고경도의 제형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만들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고경도 제형에 비해 왁스 및 오일 함량이 적어 제형의 탄성력이 우수하고 사용감 또한 가벼운 것이 특징이다.
상기 액정 형성제는 C12-16알코올, C14-22알코올, 팔미틱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세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솔비탄올리베이트, 솔비탄팔미테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및 세라마이드엔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도 조절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카보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11 및 소듐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액정 형성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점도조절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수상부에 액정 형성제를 혼합함에 따라 형성된 유화된 에멀젼 (emulsion)에 중화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화제는 예를 들어 트로메타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화제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도 조절제 및 액정 형성제에 대하여, 액정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일 양상에 따른 액정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 조절제의 선택적 혼합 사용으로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의 액정 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하며, 저농도 오일을 함유하여 기존의 액정 화장료 조성물보다 수분감이 느껴지는 산뜻하고 라이트한 사용감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일 양상에 따른 액정 화장료 조성물의 액정 형성 여부를 나타낸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6: 탄성감이 느껴지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저농도 오일을 함유하여 기존의 액정 화장료 조성물 보다 더 수분감이 느껴지면서 탄성감이 있는 외관의 고경도 화장료 조성물의 최적의 점도조절제 혼합 중량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의 조성 및 함량으로 실시예 1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수상부에 포함될 원료가 함유된 비커를 70∼80℃까지 가온하여 수상 성분을 녹이고, 모든 성분이 균일하게 분산될 때까지 호모 믹서(제품명: Mark II, 제조사: PRIMIX일본)로 혼합하였다. 수상부의 혼합이 완료된 후에는 점도조절제를 투입하여 균일하게 분산한다. 이후 유상부에 포함될 원료가 함유된 비커를 수상부와 동일한 방법으로 가온 용해하여 혼합한 후 호모 믹서로 혼합하여 유화하였다. 이 후 중화제를 유화된 에멀젼에 투입하여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함량(%)
수상부 정제수 78.60 78.60 78.60 78.60 78.60 78.60
글리세린 5.00 5.00 5.00 5.00 5.00 5.00
부틸렌글라이콜 5.00 5.00 5.00 5.00 5.00 5.00
펜틸렌글라이콜 2.00 2.00 2.00 2.00 2.00 2.00
점도
조절제
아크릴레이트/
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40 0.50 0.30 0.25 0.20 -
카보머 0.10 - 0.20 0.25 0.30 0.50
유상부 카프릴릭/
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5.00 5.00 5.00 5.00 5.00 5.00
베헤닐알코올 2.00 2.00 2.00 2.00 2.00 2.00
세테아릴알코올 1.00 1.00 1.00 1.00 1.00 1.00
C14-22알코올 0.50 0.50 0.50 0.50 0.50 0.50
세라마이드엔피 0.10 0.10 0.10 0.10 0.10 0.10
중화제 트로메타민 0.30 0.30 0.30 0.30 0.30 0.30
[실험예]
실험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액정 형성 여부 확인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액정 형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뚜렷한 형태의 안정적인 액정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외에 실시예 3~5의 화장료 조성물에서도 안정적인 액정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의 경우 액정 형성이 명확하게 보이지 않았으며, 실시예 6의 경우 제조 시 점도조절제 투입에 의한 형성된 점도가 높아 교반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안정한 에멀젼 및 액정도 형성되지 않았다.
실험예 2: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 및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를 하루 동안 상온보관 후에 측정하였다. 경도는 Rheotec Co사의 Fudoh Rheometer RT-3005D를 이용하여 작동 속도 2 cm/분으로 시료 25mm 깊이까지의 경도를 측정하였다. 5회 측정 후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경도(dyne/cm2) 100 80 120 120 130 -
탄성력 O O O O -
그 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실시예 3~5의 화장료 조성물은 탄성감이 느껴지는 고경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만들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경도이지만 적당한 탄성감으로 피부에 도포 시 으깨지는 듯한 독특한 발림성과 수분감이 느껴지는 산뜻하고 가벼운 텍스쳐로 빠르게 흡수되며 전반적인 사용감이 우수하였다. 반면 점도조절제 중 유화력이 있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단독으로 사용한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실시예 1, 실시예 3-5의 화장료 조성물보다 탄성감이 덜 느껴지며 일반 크림과 같이 롤링 시 다소 두께감이 있고 뻑뻑하여 수분감이 덜 느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점도조절제 중 유화력이 없고 점증력이 큰 카보머만을 사용한 실시예 6의 경우에는 투입 시 에멀젼의 점도가 크게 향상되어 교반이 용이하지 않아 안정한 에멀젼이 형성되지 않았고, 경도가 너무 높아 피부에 도포할 수 없었다.
실험예 3: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온 및 45℃의 고온 조건에서 5일, 10일, 15일 및 한달 동안 보관하면서 경도하강, 오일의 부유나 분리 등의 발생 여부에 따른 제형 안정도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온 45℃
5일 10일 15일 한달 5일 10일 15일 한달
실시예 1 O O O O O O O O
실시예 2 O O O O O O O
실시예 3 O O O O O O O O
실시예 4 O O O O O O O O
실시예 5 O O O O O O O O
실시예 6 분리현상 있음 분리현상 있음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경우 고온에서 한달 보관 시 경도 하강이 확인되었고 실시예 6의 경우 상온 및 고온에서 오일이 부유 등의 분리 현상이 확인되었고 제형 안정성이 좋지 않았다. 이에 반해, 실시예 1, 실시예 3~5의 경우 보관 온도 및 기간에 관계없이 제형 안정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통해, 일 양상에 따른 액정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 조절제의 선택적 혼합 사용으로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의 액정 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하면서도 우수한 사용감과 높은 안정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9)

  1.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액정 형성제 5 내지 10 중량부; 및 점도 조절제 0.3 내지 0.7 중량부를 포함하는 액정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점도 조절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및 카보머의 혼합인 것이고,
    상기 액정 형성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베헤닐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및 C14-22 알코올의 혼합인 것인, 액정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경도가 80 내지 150 dyne/cm2인 것인, 액정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분크림 형태인 것인, 액정 화장료 조성물.
  6. 수상부에 점도 조절제를 투입하는 단계; 및
    점도 조절제가 투여된 수상부에 액정 형성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액정 형성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점도 조절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0.7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점도 조절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및 카보머의 혼합인 것이고,
    상기 액정 형성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베헤닐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및 C14-22 알코올의 혼합인 것인, 액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055955A 2021-04-29 2021-04-29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63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955A KR102663961B1 (ko) 2021-04-29 2021-04-29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CT/KR2022/004154 WO2022231139A1 (ko) 2021-04-29 2022-03-24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202280031341.8A CN117222391A (zh) 2021-04-29 2022-03-24 具有弹性的高硬度液晶化妆品组合物以及其制备方法
JP2023565979A JP2024515806A (ja) 2021-04-29 2022-03-24 弾性感のある高硬度の液晶化粧料の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955A KR102663961B1 (ko) 2021-04-29 2021-04-29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632A KR20220148632A (ko) 2022-11-07
KR102663961B1 true KR102663961B1 (ko) 2024-05-08

Family

ID=8384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955A KR102663961B1 (ko) 2021-04-29 2021-04-29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4515806A (ko)
KR (1) KR102663961B1 (ko)
CN (1) CN117222391A (ko)
WO (1) WO2022231139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694B1 (ko) * 2010-11-30 2017-11-13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백 및 탄력 제고 화장료 조성물
KR101535327B1 (ko) * 2013-01-22 2015-07-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CN104000747A (zh) * 2013-02-22 2014-08-27 詹尼克(上海)化妆品有限公司 液晶乳化凝胶组合物及面膜
KR101682452B1 (ko) * 2015-03-04 2016-12-05 주식회사 지오코스 피부장벽 회복을 위한 액정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0171A (ko) * 2018-09-12 2020-03-20 주식회사 풀무원 오리자놀, 고 장쇄고급지방알코올, 생체모방 피부지질 보습 성분 및 액정 유화제를 함유하는 고 보습 및 수분증발 억제능이 우수한 다중층 베시클 액정 젤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1981068B1 (ko) * 2018-10-17 2019-05-22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액정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폼형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3442B1 (ko) * 2018-11-08 2024-01-11 (주)아모레퍼시픽 다중 유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004679B1 (ko) * 2019-06-27 2019-07-2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키토산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1139A1 (ko) 2022-11-03
KR20220148632A (ko) 2022-11-07
JP2024515806A (ja) 2024-04-10
CN117222391A (zh)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3459B1 (en) Emulsifier composition for skin care formulations
KR101466650B1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0930866A1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gele auf der basis von mikroemulsionen
US9827194B2 (en) Surfactant-free oil-in-water type emulsion,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its uses
US10342755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pecific combination of surfactants
KR20130055069A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6506392A (ja) 安定なマルチプルエマルジョン
KR20180023537A (ko)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617410B1 (en) Oil-in-water type cosmetic
CN115919666A (zh) 化妆品用组合物
PT1438013E (pt) Emulsionante natural para cosméticos baseado em azeite
KR102248067B1 (ko) 화장료 조성물
WO2024083001A1 (zh) 稳态双层型化妆水及其制备方法
KR20110072022A (ko) 성상 변화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25922B1 (ko)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4153A (ko) 고체 유성 성분을 안정화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CN107997987A (zh) 透明质酸纳米乳制剂及其制备方法
KR102663961B1 (ko)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71500A (ko) 유성성분을 함유한 안정화된 나노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투명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5B1 (ko) 지방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4B1 (ko)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453278B1 (ko) 유화제 조합으로 점도를 컨트롤하는 액정유화 조성물
KR102646279B1 (ko) 유화 안정성이 향상된 하이드로퀴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17728B1 (ko) 토코페롤 3중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502255B1 (ko) 상처 치유, 피부 재생 또는 자극 완화 효과를 가지는 아줄렌 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