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124A - 광고 제공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광고 제공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4124A
KR20140094124A KR1020130006391A KR20130006391A KR20140094124A KR 20140094124 A KR20140094124 A KR 20140094124A KR 1020130006391 A KR1020130006391 A KR 1020130006391A KR 20130006391 A KR20130006391 A KR 20130006391A KR 20140094124 A KR20140094124 A KR 20140094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user terminal
request signal
providing
advertisemen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5572B1 (ko
Inventor
정재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어쨘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어쨘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어쨘컴퍼니
Priority to KR1020130006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572B1/ko
Priority to US14/762,244 priority patent/US20150348079A1/en
Priority to CN202110791934.1A priority patent/CN113393280A/zh
Priority to JP2015553649A priority patent/JP6400600B2/ja
Priority to PCT/KR2014/000370 priority patent/WO2014112760A1/ko
Priority to CN201480005406.7A priority patent/CN105103175A/zh
Publication of KR20140094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572B1/ko
Priority to US15/863,454 priority patent/US11410193B2/en
Priority to JP2018166274A priority patent/JP6667587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4Referral rewar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2Targeted advertisements during computer stand-by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광고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하도록 요청하는 활성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상기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광고가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광고에 관련된 광고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하는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른 제1 리워드 및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에 따른 제2 리워드를 적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광고 제공 방법 및 서버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AND SERVER THEREFOR}
본 발명은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로 활성화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로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단말의 보급률 증가와 함께, 스마트 단말은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다.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를 할 뿐 아니라, 각종 정보를 검색하기도 하고, 음악 및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 미디어를 감상하기도 하고, 지인들과 대화를 나누기도 하고, 물품의 대금을 결제하기도 하는 등, 생활의 대부분의 영역에 스마트 단말을 활용하고 있다.
이처럼 생활의 대부분의 영역에 스마트 단말을 활용하면서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을 휴대하다가, 이동 시 또는 대기 시에 습관적으로 자신의 단말을 꺼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키는 조작을 수행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활성화 조작을 통해 활성화된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는 단순히 사용자가 지정해둔 이미지와 시간 정보만이 노출될 뿐, 특별한 기능이 수행되거나 특별한 정보가 제공되지는 않는다.
대부분의 스마트 단말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단말기가 활성화된 상태, 즉, 디스플레이부가 켜진 상태에서 어떠한 조작을 가하여야만 하므로, 단말기를 활성화시키는 조작은 단말의 기능 실행을 위한 필수 조작이다.
또한, 스마트 단말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스마트 단말을 활용한 광고의 종류와 방법도 증가하고 있으며,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광고 노출 빈도가 커지고 있다.
특히나, 스마트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광고 제공 방법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광고 제공 방법은, 스마트 단말에 광고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한다.
이러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꼭 실행하고, 광고를 플레이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며, 광고 시청을 하는 동안은 스마트 단말을 통한 다른 작업이 불가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활성화 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사용자 단말로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각 정보에 따라 상이한 광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시간, 분 단위의 마케팅이 가능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로 광고가 제공될 때 사용자에게 적립되는 리워드를 사용자의 지인들과 공유할 수 있는 광고 제공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지인들과의 유대감을 증대시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광고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하도록 요청하는 활성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상기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광고가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광고에 관련된 광고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하는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른 리워드 및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에 따른 리워드를 적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와 함께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시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b) 단계는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시각 정보에 상응하는 광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시각 정보에 상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광고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 복수의 카테고리 리스트에 포함된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카테고리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광고 및 광고 컨텐츠가 상이해질 수 있고,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되는 상기 광고에 대한 클릭 신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잠금 해제 요청 신호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잠금 해제 요청 신호인 경우,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잠금 해제된 대기 화면으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적립된 상기 리워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지정한 하나 이상의 지인들의 단말로 전송하여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하도록 요청하는 활성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광고에 관련된 광고 컨텐츠를 요청하는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른 리워드 및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에 따른 리워드를 적립하는 리워드 제공부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활성화 요청 신호와 함께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시각 정보를 수신하고, 이때, 상기 광고 제공부는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시각 정보에 상응하는 광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시각 정보에 상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광고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 복수의 카테고리 리스트에 포함된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제3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테고리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광고 및 광고 컨텐츠가 상이해질 수 있다.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되는 상기 광고에 대한 클릭 신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잠금 해제 요청 신호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광고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잠금 해제 요청 신호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잠금 해제된 대기 화면으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적립된 상기 리워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지정한 하나 이상의 지인들의 단말로 전송하여 공유하는 리워드 공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광고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다른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별도로 실행하지 않아도, 간단한 활성화 버튼을 누르는 조작을 통하여 광고를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분 단위의 시각 정보에 따라 달라지는 광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의 선택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광고를 제공받을 수 있어 관심이 없는 광고를 시청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공된 리워드를 지인들에게 선물하거나 기부를 함으로써, 지인들과의 유대감이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로 광고가 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및 광고 제공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광고 제공 서버(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광고 제공 서버(200)로부터 각종 광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 광고 제공 서버, 이동통신사 서버 등의 외부 대상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무선통신망일 수 있으며, Wifi(Wireless fidelity), 3G,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의 이동통신 방식에 기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 폰, 태블릿 피씨, PDA 등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 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광고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광고를 제공받기 위하여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광고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00)로 활성화 요청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별다른 추가 요청 절차 없이 광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광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활성화 요청 신호는, 사용자 단말(100)이 활성화 상태가 되도록 요청하는 신호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활성화 상태”라 함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온(on) 상태인 경우를 의미하며, 온 상태인 디스플레이 화면에 어떠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지는 불문한다. 예를 들면, 단지 잠금 화면만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라 할지라도, 단말기의 "활성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활성화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100)의 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로 광고 제공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던 광고를 추출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되는 광고는 광고하고자 하는 브랜드의 특정 이미지 광고 및 광고하고자 하는 재화의 동영상 광고 등, 다양한 종류의 광고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되는 광고는, 미리 사용자 단말(100)이 광고 제공 서버(20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한 카테고리 선택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취향 또는 감정 상태 등이 반영되어 제공될 수 있다.
광고 제공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로 광고를 제공할 때,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광고와 관련된 광고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해당 광고와 관련된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 제공 요청이란,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광고에 대한 클릭 신호 및 광고가 제공되고 있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잠금 해제 요청 신호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광고 컨텐츠는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된 광고와 관련된 다양한 컨텐츠로서, 광고하는 물품에 대한 상세 정보, 광고하는 브랜드의 프로모션 정보, 광고하는 브랜드의 웹 페이지, 광고하는 물품의 구매를 위한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고와 관련되어 생성된 내용물이면 그 어느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광고를 사용자가 클릭하거나, 혹은 광고가 제공되고 있는 사용자 단말(100)로 잠금 해제 요청 신호를 입력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로 광고와 관련된 광고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 제공 요청이 잠금 해제 요청 신호를 통해서 이루어진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은 잠금 해제되고, 잠금 해제된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으로 광고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해제된 화면은 사용자 단말(100)의 대기 상태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광고 및 광고 컨텐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미리 수신한 카테고리 선택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사용자 단말(100)이 활성화 요청 신호를 감지한 순간의 시각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로 활성화 요청 신호가 입력된 순간의 시각이, 11시 11분인 경우 빼빼로 데이와 관련된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8시 15분인 경우 독도 수호와 관련된 캠페인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공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 미리 공지한 시각에 활성화 요청 신호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각종 혜택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결정하는 활성화 요청 신호 입력 시각에 대한 정보는 미리 광고 제공 서버(200)에서 설정하거나, 해당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작성한 광고주가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시각에 제공될 광고 및 광고 컨텐츠는 시각 정보에 상응하게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된 광고에 대하여 사용자가 광고에 대한 흥미를 가지고,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광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 경우, 광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에게 포인트와 같은 형태의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다. 물론, 활성화 요청 신호의 입력을 통해 광고 만을 제공 받은 사용자 단말(100)에 대해서도 리워드 적립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의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인의 연락처 중 일정 개수의 연락처를 선택하여, 선택된 연락처에 해당하는 지인들의 단말로 사용자 단말(100)별로 적립된 리워드 중 일부를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인이 아닌 자선 단체 등을 리워드 공유 대상으로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적립된 리워드를 기부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로 입력된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라 광고를 제공하게 되는데, 활성화 요청 신호가 입력된 시각 정보, 사용자의 카테고리 선택 정보 등에 따라 차별화된 광고를 제공할 수 있어, 광고의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서버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서버(200)는, 제1 수신부(210), 광고 제공부(220), 제2 수신부(230), 광고 컨텐츠 제공부(240), 리워드 제공부(250), 리워드 공유부(260) 및 제 3 수신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활성화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활성화 요청 신호는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를 온 상태로 변경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로서, 사용자 단말(100)로 활성화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활성화 요청 신호를 광고 제공 서버(200)의 제1 수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는 오프 상태에서온 상태로 변경이 되고, 활성화 요청 신호를 수신한 광고 제공 서버(200)에 포함된 광고 제공부(220)는 사용자 단말(100)의 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신부(210)는 활성화 요청 신호와 함께 활성화 요청 신호가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된 시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로 활성화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순간의 시각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시각 정보를 활성화 요청 신호와 함께 제1 수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시각 정보란 활성화 요청 신호가 사용자 단말(100)로 입력되는 순간의 시각을 나타낸 정보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1 수신부(210)가 활성화 요청 신호와 함께 시각 정보를 수신하면, 광고 제공부(220)는 사용자 단말(100)로 시각 정보에 상응하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광고 컨텐츠 제공부(24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때, 시각 정보에 따른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시각 정보에 상응하는 광고 및 광고 컨텐츠란 특정 시각 정보가 수신된 경우 광고 제공 서버(20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광고 제공 서버(200)에서 설정한 시각에, 해당 시각에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도록 설정한 광고 혹은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고, 광고 제공 서버(200)에 접속한 광고주 단말이 설정한 시각에 제공하도록 설정한 광고 혹은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제1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시각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광고와 광고 컨텐츠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부(210)가 8시 15분 이라는 시각 정보를 활성화 요청 신호와 함께 수신한 경우, 광고 제공부(220) 및 광고 컨텐츠 제공부(240)는 광복절과 관련된 프로모션 정보 예를 들어 "독도 지키기 프로젝트"와 같은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하는 브랜드의 광고 혹은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활성화 요청 신호와 함께 수신된 시각 정보가 “11시 11분” 인 경우, 막대 과자에 대한 광고 혹은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2 수신부(230)는, 광고가 제공되고 있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광고와 관련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는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광고에 대한 클릭 신호 및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잠금 해제 요청 신호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광고 컨텐츠 제공부(240)는 제2 수신부(20)가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광고와 관련된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광고와 관련된 컨텐츠인 광고 컨텐츠는 광고와 관련된 물품 또는 브랜드와 관련하여 작성된 내용물로서, 광고하는 물품에 대한 상세 정보, 광고하는 브랜드의 프로모션 정보, 광고하는 브랜드의 웹 페이지, 광고하는 물품의 구매를 위한 웹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신부(230)에서 수신한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가 광고에 대한 클릭 신호인 경우, 광고 컨텐츠 제공부(240)는 광고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부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잠금 해제 요청 신호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를 잠금 해제하고 잠금이 해제된 사용자 단말의 대기 화면으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광고 컨텐츠 제공부(24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는 광고 컨텐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각 정보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제공 서버(200)가 미리 특정 시각에 활성화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할 것이라는 예고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고, 실제로 예고 정보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알린 특정 시각에 활성화 요청 신호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다면, 사용자 단말(100)에 특정 시각 정보에 따른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100)로 포인트 및 할인 쿠폰 등과 같은 혜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제공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에 푸쉬 메시지 등의 형태로 “1월 27일 1시 15분 새로운 세계로 당신을 인도합니다” 라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들의 기대감을 고조시키고, 실제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1월 27일 1시 15분에 활성화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100)로 특정 물품에 대한 광고 및 할인 정보를 제공을 하거나, 특정 브랜드의 이미지 광고를 제공하고 해당 광고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100)의 개수 즉, 1월 27일 1시 15분에 활성화 요청 신호가 광고 제공 서버(200)로 수신된 개수에 따라 특정 브랜드의 광고주가 기부처에 기부를 하는 등의 프로모션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분 단위의 시각 정보에 따른 마케팅이 가능할 수 있다.
제1 수신부 (210) 및 제2 수신부(230)에서 수신한 활성화 요청 신호 및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에 대하여 리워드 제공부(250)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다. 이때,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라 적립되는 제1 리워드의 금액과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에 따라 적립되는 제2 리워드의 금액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리워드 금액이 제1 리워드 금액 보다 클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 대하여 적립된 리워드는 광고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 혹은 제휴처 등에서 현금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하여 적립된 리워드를 사용자가 지정한 지인들에게 선물하거나 특정 기부처에 기부할 수도 있다.
리워드 공유부(260)는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적립된 리워드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지정한 연락처에 해당하는 단말로 전송하여, 적립된 리워드를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의 연락처에서 자신의 리워드를 공유하고자 하는 지인들의 연락처를 선택하여 지정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지인의 연락처에 해당하는 단말로 해당 리워드가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리워드를 공유할 수 있는 지인의 수는 광고 제공 서버(200)에서 일정 명수로 제한을 둘 수 있으며, 사용자가 광고 제공 서버(200)에서 정한 일정 수 이상의 지인들과 리워드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지인들과 리워드를 공유하기 위한 사용권을 자신에게 적립된 리워드 혹은 현금을 사용하여 구매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연락처에 포함된 지인이 아닌, 광고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기부처(후원사)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간편한 프로세스를 통하여, 리워드를 특정 기부처에 기부할 수도 있다.
제3 수신부(27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된 복수의 카테고리 리스트에 포함된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에 대한 카테고리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카테고리 선택 정보는 후에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될 광고 및 광고 컨텐츠의 종류를 정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및 광고 컨텐츠는 복수의 카테고리 별로 분류되어 광고 제공 서버(200)에 저장 될 수 있다.
복수의 카테고리 리스트는,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주의 업종을 분류한 정보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감정 상태 혹은 관심사에 따라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분류한 정보 및 특정 색깔 별로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분류한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카테고리 리스트는 “외식업, 의류업, 제화업, 자동차업, 통신업 등” 이거나 “ 패션 미용, 독서, 여행, 취업, 연애 등” 이거나 “ 우울, 기쁨, 절망, 슬픔, 행복 등” 이거나 “ 빨강, 파랑, 노랑, 흰색 등” 일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된 복수의 카테고리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카테고리 선택 정보가 제3 수신부(270)로 수신되고, 광고 제공부(220) 및 광고 컨텐츠 제공부(240)는 수신된 카테고리 선택 정보에 맞는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제공 서버(200)는 광고주로부터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수신할 때, 어떤 카테고리 선택 정보에 따라 광고주의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지를 나타내는 광고주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광고 및 광고 컨텐츠 등과 연관시켜 저장하고, 제3 수신부(270)로 카테고리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카테고리 선택 정보에 따른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광고 제공 서버(200)에서 직접 저장하고 있는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분류된 카테고리 정보와 함께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수신부(270)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카테고리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카테고리 선택 정보에 따라 선별된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게 되므로 사용자 선호를 반영한 광고 및 광고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어 광고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로 광고가 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광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활성화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310). 활성화 요청 신호는 디스플레이부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로서, 활성화 요청 신호가 사용자 단말(100)로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는 온 상태로 변경된다.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과 같이 디스플레이부가 오프 상태(410)에 있을 때, 사용자 단말(100)의 활성화 요청 버튼(401)을 누르면 활성화 요청 신호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광고 제공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활성화 요청 신호와 함께, 활성화 요청 신호가 사용자 단말(100)로 입력된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가 광고 제공 서버(200)로 수신될 수 있는데, 수신된 시각 정보에 따라 후술될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광고 및 광고 컨텐츠가 달라 질 수 있다.
광고 제공 서버(200)는 활성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420)로 광고를 제공한다(S32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420)가 온 상태로 변경되고, 온 상태인 디스플레이부(420)로 특정 브랜드의 광고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광고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하고자 하는 브랜드의 심볼과 간단한 카피만을 포함한 간단한 형태의 광고 일 수 있다.
광고를 제공 받고 있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S330), 광고 제공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 광고 컨텐츠(430)를 제공 할 수 있다(S340).
광고 컨텐츠(431)는 광고와 관련된 물품에 대한 상세 정보, 광고하는 브랜드의 프로모션 정보, 광고하는 브랜드의 웹 페이지, 광고하는 물품의 구매를 위한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고와 관련되어 생성된 내용물이면 그 어느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광고 컨텐츠(431)는 광고 보다 상세한 내용의 정보를 포함하는 내용물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된 광고를 시청한 사용자가 광고하는 물품 혹은 브랜드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여, 보다 상세한 정보의 제공 혹은 구매와 같은 보다 적극적인 액션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광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는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광고에 대한 클릭 신호 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잠금 해제 요청 신호 일 수 있다.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가 광고에 대한 클릭 신호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광고를 시청한 사용자가 광고 컨텐츠의 제공에 대한 요청을 하고자 하면, 제공되는 광고의 화면을 클릭하는 것을 통하여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광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광고 이외에 광고 컨텐츠의 제공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이 수행하기를 원하는 기능에 대한 명령 신호를 사용자 단말(100)로 입력하면, 광고 제공 서버(200)는 광고의 제공을 중단하고,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로 입력된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공의 중지를 요청하는 신호를, 광고 제공 중에 활성화 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100)로 입력하거나, 잠금 해제 요청 신호를 입력하는 동작과 같이 별도로 설정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광고 제공 중 활성화 요청 신호 또는 잠금 해제 요청 신호를 광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여 광고 제공의 중지를 요청할 수 있다.
만약,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가 잠금 해제 요청 신호인 경우에는, 잠금 해제 요청 신호가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잠금 해제되고, 잠금 해제된 사용자 단말(100)의 대기 화면(430)으로 광고 컨텐츠(431)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고 컨텐츠의 제공을 원하지 않는 사용자는 광고를 클릭하거나, 활성화 요청 신호를 재입력 하는 등과 같은 별도의 동작을 통하여 광고 제공의 중지 등을 광고 제공 서버(200)로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무분별하게 광고를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본인에 의지에 의하여 광고 컨텐츠 제공을 원하는 경우에만 선별적으로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광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여, 해당 광고 컨텐츠를 제공받게 됨으로써 광고 제공으로 인한 사용자의 피로도가 감소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광고 및 광고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이 사전에 광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 카테고리 선택 정보 및 활성화 요청 신호가 수신된 시각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광고주가 특정 시각 정보에 대하여, 특정 시각 정보가 수신되었을 때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될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미리 설정해둔 경우, 광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활성화 요청 신호가 수신된 시각 정보가 광고주가 설정한 시각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 해당 시각 정보에 상응하는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가 “10시 04분”을 자신의 브랜드의 광고 a및 광고 컨텐츠 b가 제공되는 시각으로 설정해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활성화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각이 “10시 04분”일 때, 광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광고 a를 제공하고, 광고 a를 제공 받고 있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광고 컨텐츠 b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제공 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하여 사용자 정보 등록을 하면서, 광고 제공 서버(20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는 복수의 카테고리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카테고리 선택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될 광고 및 광고 컨텐츠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카테고리 선택 정보란, 복수의 카테고리 리스트에 포함된 카테고리 중 하나이상의 카테고리에 대한 선택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카테고리 선택 정보에 따른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광고 및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및 광고 컨텐츠는 복수의 카테고리 별로 분류되어 광고 제공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카테고리 리스트는,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주의 업종을 분류한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감정 상태 혹은 관심사에 따라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분류한 정보 및 특정 색깔 별로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분류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광고 및 광고 컨텐츠를 제공 받은 사용자 단말(100)에 대해서 광고 제공 서버(200)는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다(S350).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른 제1 리워드 및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에 따른 제2 리워드가 적립될 수 있는데(S350), 물론, 광고만을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100)로도 제1 리워드가 제공될 수 있다.
적립된 리워드는 일정 액수 이상이 되면 현금으로 변환되어 사용자의 계좌로 입금되거나, 광고 제공 서버(200)가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 혹은 제휴처 등에서 물품을 구매할 때 또는 할인 받을 때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리워드 중 일부를 지인들에게 전송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연락처 정보 중 자신이 리워드를 공유하고자 하는 지인들의 연락처 정보를 선택하여, 선택한 연락처 정보에 해당하는 단말로 일정 액수의 리워드를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인의 연락처가 아닌, 광고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후원사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공유 요청을 하는 경우, 해당 후원사로 사용자가 설정한 액수만큼의 리워드가 기부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리워드를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는 지인의 수는 기본적으로 제한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본 설정된 수 이상의 지인들에게 리워드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광고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리워드 공유를 위한 사용권을 구매해야 리워드의 공유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리워드 선물을 받은 지인들은 리워드 공유에 의미를 더욱 부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와 지인들간의 유대감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200: 광고 제공 서버
210: 제1 수신부
220: 광고 제공부
230: 제2 수신부
240: 광고 컨텐츠 제공부
250: 리워드 제공부

Claims (15)

  1.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광고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하도록 요청하는 활성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상기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광고가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광고에 관련된 광고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하는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른 리워드 및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에 따른 리워드를 적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와 함께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시각 정보에 상응하는 광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시각 정보에 상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광고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 복수의 카테고리 리스트에 포함된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테고리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광고 및 광고 컨텐츠가 상이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되는 상기 광고에 대한 클릭 신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잠금 해제 요청 신호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잠금 해제 요청 신호인 경우,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잠금 해제된 대기 화면으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적립된 상기 리워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지정한 하나 이상의 지인들의 단말로 전송하여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고 제공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9.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하도록 요청하는 활성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광고에 관련된 광고 컨텐츠를 요청하는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른 리워드 및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에 따른 리워드를 적립하는 리워드 제공부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활성화 요청 신호와 함께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시각 정보를 수신하는, 광고 제공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부는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시각 정보에 상응하는 광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광고 제공 서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시각 정보에 상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광고 제공 서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광고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 복수의 카테고리 리스트에 포함된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제3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테고리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광고 및 광고 컨텐츠가 상이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서버.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되는 상기 광고에 대한 클릭 신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잠금 해제 요청 신호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광고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잠금 해제 요청 신호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잠금 해제된 대기 화면으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서버.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적립된 상기 리워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지정한 하나 이상의 지인들의 단말로 전송하여 공유하는 리워드 공유부를 더 포함하는, 광고 제공 서버.
KR1020130006391A 2013-01-21 2013-01-21 광고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625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391A KR101625572B1 (ko) 2013-01-21 2013-01-21 광고 제공 방법 및 서버
US14/762,244 US20150348079A1 (en) 2013-01-21 2014-01-13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and Server Therefor
CN202110791934.1A CN113393280A (zh) 2013-01-21 2014-01-13 广告提供方法及服务器
JP2015553649A JP6400600B2 (ja) 2013-01-21 2014-01-13 広告提供方法及びサーバー
PCT/KR2014/000370 WO2014112760A1 (ko) 2013-01-21 2014-01-13 광고 제공 방법 및 서버
CN201480005406.7A CN105103175A (zh) 2013-01-21 2014-01-13 广告提供方法及服务器
US15/863,454 US11410193B2 (en) 2013-01-21 2018-01-05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and server therefor
JP2018166274A JP6667587B2 (ja) 2013-01-21 2018-09-05 広告提供アプリケーションおよび使用者端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391A KR101625572B1 (ko) 2013-01-21 2013-01-21 광고 제공 방법 및 서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397A Division KR20160062756A (ko) 2016-05-24 2016-05-24 광고 제공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124A true KR20140094124A (ko) 2014-07-30
KR101625572B1 KR101625572B1 (ko) 2016-05-31

Family

ID=5120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391A KR101625572B1 (ko) 2013-01-21 2013-01-21 광고 제공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50348079A1 (ko)
JP (2) JP6400600B2 (ko)
KR (1) KR101625572B1 (ko)
CN (2) CN105103175A (ko)
WO (1) WO20141127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428A (ko) * 2014-10-20 2016-04-29 주식회사 브링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8037A (zh) * 2015-10-16 2015-12-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消息推送方法及移动终端和消息推送服务器
CN110069701A (zh) * 2016-01-13 2019-07-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信息推送方法及装置
KR102173401B1 (ko) 2020-03-13 2020-11-03 주식회사 소셜허그 정부 캠페인 시청 및 리워딩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5958A (ja) * 1999-04-30 2000-11-14 Casio Comput Co Ltd 情報受信装置
KR19990078840A (ko) * 1999-08-12 1999-11-05 이준서 인터넷용 광고프로그램의 등록 및 운용방법
KR20010088221A (ko) * 2000-03-11 2001-09-26 설융석 광고 프로그램을 가지는 기록 매체 및 광고 방법
KR20010094698A (ko) * 2000-04-06 2001-11-01 오병석 주문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2099812A (ja) 2000-09-21 2002-04-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広告提供方法、この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広告提供システム
US20030006911A1 (en) * 2000-12-22 2003-01-09 The Cadre Group Inc. Interactive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JP4717902B2 (ja) * 2002-12-24 2011-07-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配信方法、情報配信装置、および携帯端末
JP2004252498A (ja) 2002-12-24 2004-09-09 Hitachi Ltd 広告管理方法、携帯端末、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広告配信サーバ
JP2005115099A (ja) * 2003-10-08 2005-04-28 Oki Electric Ind Co Ltd 広告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自動取引装置
KR20050108869A (ko) * 2004-05-14 2005-11-17 주식회사 스테이션지 광고파일 재생이 가능한 휴대형 멀티미디어기기와 이를이용한 광고 방법 및 그 휴대형 멀티미디어기기로광고파일을 전송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
JPWO2006051971A1 (ja) * 2004-11-12 2008-05-29 株式会社ジャストシステム 広告管理装置、広告配信装置、広告表示装置、広告配信方法および広告表示方法
JP2007102423A (ja) * 2005-10-03 2007-04-19 Koji Tomiyama 広告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携帯機
JP2007159072A (ja) * 2005-11-30 2007-06-21 Daiki Miyamoto 通信機能を有する携帯端末に対しての広告配信及びインセンティブ付与システム
JP4495098B2 (ja) 2006-03-14 2010-06-3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制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
KR20080111177A (ko) 2007-04-09 2008-12-23 김갑종 화면 보호기 동작 상태에 따른 광고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장치
US20080281940A1 (en) * 2007-05-11 2008-11-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dvertising o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90058131A (ko) 2007-12-04 2009-06-09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 화면을 이용하여 코디네이션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117255A (ko) 2008-05-09 2009-11-12 유석호 화면보호기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운용 방법
US8265607B2 (en) * 2008-08-07 2012-09-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content portal on a mobile device
KR101102852B1 (ko) * 2008-11-21 2012-01-05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오입력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화면에 디스플레이 광고를 게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5558877B2 (ja) * 2010-03-25 2014-07-23 株式会社野村総合研究所 広告配信装置、広告配信システムおよび広告配信方法
US20120198113A1 (en) * 2011-01-27 2012-08-02 Ziarnik Gregory P Time measurement of power button signal activation
KR20120100497A (ko) * 2011-03-04 2012-09-12 김진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863004B2 (en) * 2011-10-28 2014-10-14 Navteq B.V.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functionality of a user device in a locked state
CN102572737A (zh) * 2012-01-07 2012-07-11 辜进荣 手机广告互动系统
EP2805568A4 (en) * 2012-01-18 2015-12-16 Kinectu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S BETWEEN USERS OF MOBILE DEVICES
US20140019253A1 (en) * 2012-07-10 2014-01-16 Richard Ricasata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interactive advertising content with a lock screen
US20140040035A1 (en) * 2012-08-03 2014-02-06 Elijah Cusack Method and system of using smartphone lockscreens as personal advertising billboards
US20140114737A1 (en) * 2012-10-18 2014-04-24 Raul Augusto Triveno Espejo Business to network rewar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428A (ko) * 2014-10-20 2016-04-29 주식회사 브링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30082A1 (en) 2018-05-10
JP6667587B2 (ja) 2020-03-18
KR101625572B1 (ko) 2016-05-31
US20150348079A1 (en) 2015-12-03
US11410193B2 (en) 2022-08-09
CN113393280A (zh) 2021-09-14
JP2019016374A (ja) 2019-01-31
WO2014112760A1 (ko) 2014-07-24
JP2016508630A (ja) 2016-03-22
JP6400600B2 (ja) 2018-10-03
CN105103175A (zh)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94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ustomer acquisition by businesses
JP5763148B2 (ja) モバイル広告のマイクロ・ターゲッティングのためのキーワード追跡
JP5307159B2 (ja) クリティカル・マス・ビルボード
JP5399414B2 (ja) モバイル広告のための複数のアクションおよびアイコン
JP5677854B2 (ja) プロモーションの永続的なマイクロ・ターゲッティング及びモバイル広告のためのプラットフォーム
US8626586B1 (en) Coordinated advertising for multiple wearable advertising display systems
US9519919B2 (en) In-store advertisement customization
KR102227646B1 (ko) 디지털 콘텐츠 및 정보 공유 시스템 내의 타깃 인사이트를 취득 및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61861A (ko) 동적 모바일 쿠폰의 관리
JP6667587B2 (ja) 広告提供アプリケーションおよび使用者端末
US201002870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coupon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network
JP2019016374A5 (ko)
US20150356629A1 (en) Multi-channel information distribution platform
KR20170048259A (ko) 광고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60062756A (ko) 광고 제공 방법 및 서버
Kuriachan et al. Place-Based Strategies, Multichannel Merger, and Context-Driven Alerts for Engagement With Mobile Marketing
Abhishek et al. Strategic application of mobile couponing in Indian market
Srinivas Emerging trends in mobile marketing communication
Narwal et al. The evolution of advertising: from stone carving to the old spice gu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213

Effective date: 201604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