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498A -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498A
KR20140093498A KR1020130005968A KR20130005968A KR20140093498A KR 20140093498 A KR20140093498 A KR 20140093498A KR 1020130005968 A KR1020130005968 A KR 1020130005968A KR 20130005968 A KR20130005968 A KR 20130005968A KR 20140093498 A KR20140093498 A KR 20140093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urrent
output
current transform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4371B1 (ko
Inventor
구자일
Original Assignee
(주)테라에너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라에너지시스템 filed Critical (주)테라에너지시스템
Priority to KR1020130005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371B1/ko
Priority to EP14740166.5A priority patent/EP2947751B1/en
Priority to PCT/KR2014/000517 priority patent/WO2014112827A1/ko
Priority to JP2015553654A priority patent/JP6129347B2/ja
Priority to CA3010956A priority patent/CA3010956C/en
Priority to CN201480005251.7A priority patent/CN105122587B/zh
Priority to CA2934854A priority patent/CA2934854C/en
Priority to US14/761,938 priority patent/US9673694B2/en
Publication of KR20140093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1Energy harvesting or scaven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1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 H02M5/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for conversion of voltage or current amplitude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02M7/0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arranged for operation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5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with means for allowing continuous operation despite a fault, i.e. fault tolerant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2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5/22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comprising two stages of AC-AC conversion, e.g. having a high frequency intermediate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having a high frequency intermediate AC s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선로에 흐르는 전류로부터 변류기를 이용하여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며, 출력을 검출하여 피드백 함으로써 출력의 조절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변류기와 전력 변환부를 상시 전류가 흐르는 상황에서도 간단히 추가 혹은 제거가 가능함으로써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동시에 안정적이고 향상된 품질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는, 선로에 흐르는 1차 전류로부터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2차 전류를 유도하여 전력을 출력하는 복수의 변류기를 포함하는 변류기 모듈; 상기 복수의 변류기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각각 직류 전력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는 전원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전력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력를 합산하여 부하로 제공하는 전력 합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ELECTROMAGNETIC INDUCTIVE POW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로에 흐르는 전류로부터 변류기를 이용하여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며, 출력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여 피드백 함으로써 출력의 조절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변류기와 전력 변환부를 제거/추가 가능함으로써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동시에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한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류기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전원 공급장치는, 전력선, 나도체 배선 혹은 부스 바(Bus Bar) 등과 같이 대용량 전류가 흐르는 전력 링크에 설치 되어 전력 링크로부터 전류를 유도하고, 그 유도된 전류를 이용하여 전원을 발생시켜, 전원필요 장비의 작동 전원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전류 유도방식 기반의 전원공급 장치는, 전력 링크로부터 교류 전류를 유도하는 변류기(Current Transformer)와 변류기로부터 유도된 교류 전류를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켜 전원 필요장치로 전달하는 정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1) 전력 링크의 고장 및 교체 또는 수리시 전력 링크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 되기 때문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지 않아, 전원공급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2) 기존의 원통형 변류기를 사용하면, 전력 링크를 최초에 설치할 때 혹은 인위적으로 전력 링크의 전원을 차단한 후에 변류기를 장착 혹은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3) 전원 요구 장치의 부하가 변경되었을 때,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을 필요에 따라 가감할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전원 장치를 설계 및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4) 변류기에 의한 과전류 유도시 발생되는 전원이 그대로 전원 필요 장치에 전달 되거나, 전원공급 장치에서 필요한 시간에 소진되지 못하여, 전원 필요 장비의 수명 혹은 전원공급장치의 수명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5) 변류기에서 과전류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전원필요 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 이상을 과하게 공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을 과하게 생산 공급하여, 전원장치 및 전원필요 장비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6) 일반적인 전력 링크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15A까지 내려 갔을때도 최소한 각 변류기가 최소 1.2W 이상의 전력이 생산되어야 최소한의 전원필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기존 변류기 기반의 전원 장치는 최소 전력링크의 전류 크기가 30A 이상을 요구하거나 선로 전류크기에 따른 스위치 조작에 의존하거나 내부 전원 공급장치의 동작 전원을 위한 보조 배터리를 가지고 있어, 일반적인 전력 링크의 최소 전류의 요구에 대응하지 못하는 적용 개소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7) 다수의 변류기를 장착하는 구조에서는 대부분 변류기의 출력을 서로 병렬 연결하여 하나의 전원 모듈부에 직접 연결하여 출력을 증가 시키는 구조이나, 이는 각 변류기들이 동일한 특성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호 작용에 의해 합산된 출력이 선형적으로 증가하지 않아 전원장치의 출력 품질의 균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8) 기존의 전자기 유도 방식의 전원공급 방식은 변류기와 전력 변환부가 상호 독립적으로 설계 제작되어 있어서, 각각의 성능 및 출력에 따른 각기 모듈별 관리가 되지 않을뿐더러, 같은 시스템도 설치 방법 및 설치 순서에 따른 성능 변화가 심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필요시 전력 링크의 주 전원이 정상동작하는 상황에서 간단히 변류기 혹은 전력 변환부와 변류기를 탈부착함으로서 생성 가능한 전력을 선형적으로 증가 혹은 감소시켜 전원 필요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전력을 항시 확보할 수 있으며, 내부 전력 발생회로가 과전류 혹은 필요 이상의 전력을 생성하지 않도록 하는 제어 및 보호기능이 내장 되어 있어 장비의 오동작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최대 출력이 각 변류기 별로 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황에 맞도록 전력 공급이 가능한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선로에 흐르는 1차 전류로부터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2차 전류를 유도하여 전력을 출력하는 복수의 변류기를 포함하는 변류기 모듈;
상기 복수의 변류기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각각 직류 전력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는 전원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전력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력를 합산하여 부하로 제공하는 전력 합산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 전력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변류기 모듈의 상기 복수의 변류기의 개수 및 상기 전원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전력 변환부의 개수는 전력 요구 장치의 사양에 따라 변경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변류기로부터 제공되는 유도 전력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1차 정류부; 상기 1차 정류부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압을 펄스폭 변조 방식으로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스위칭 회로부; 및 상기 스위칭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유도된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2차 정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1차 정류부는, 상기 변류기로부터 제공받는 전류의 크기가 사전 설정된 기준 전류의 크기 이내인 경우 상기 변류기로부터 제공되는 유도 전력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칭 회로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1차 정류부는 기준 전류의 범위를 벗어나는 과도한 전류는 차단 또는 바이패스 시킴으로 과전류에 대한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2차 정류부의 출력 전압 및 상기 전력 합산부의 출력 전압 및 전류를 피드백 받아, 상기 스위칭 회로부에 이루어지는 펄스폭 변조의 펄스폭 듀티를 제어하는 피드백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변류기는 상기 선로 상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변류기이며,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변류기의 분리시 상기 변류기의 자화를 조절하는 댐핑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전력 합산부의 출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직류/교류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로에 흐르는 전류로부터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주 전원을 생성하여 전원을 요구하는 장비에 전원으로 공급함으로써 선로에 흐르는 전류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용이하게 선로 전류에 상관없이 변류기와 전원장치를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어 전력 관리의 용이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을 요구하는 장비의 전력 수요가 변화되는 경우에도, 변류기 혹은 전력 변환부와 변류기를 간단히 추가 및 제거를 함으로서 필요 전력을 확보있도록 할 수 있으며,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변류기를 사용함으로서 배전선로의 환경에 상관없이 설치 및 관리 의 편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전원 장치 각각의 출력과, 복수의 전원 장치의 출력을 합산한 최종 출력을 2중으로 피드백하여 전력 제어에 반영하므로,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각 변류기의 성능이 일정하지 않아도, 최종 출력 일정하게 제공하여 출력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에 포함된 전력 변환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는, 변류기 모듈(20), 전원 모듈(30) 및 전력 합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변류기 모듈(20)은 복수의 변류기(21-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변류기(21-25) 각각은 전력선, 나도체 배선 또는 부스 바(Bus Bar) 등과 같이 대용량 전류가 흐르는 전력 링크로부터 전류를 유도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대용량 전류가 흐르는 전력 링크는 선로라 표현될 수 있다. 변류기(21-25)는, 1차측 권선이 되는 선로에 흐르는 1차 전류를 유도할 수 있는 2차측 권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1차측 권선에 흐르는 대용량 전류에 따른 전자기 유도에 의해 2차측 권선에 유도되는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 모듈(30)은 변류기 모듈(20)에 포함된 복수의 변류기(21-25)에서 전자기 유도에 의해 유도되어 출력되는 각각의 2차 전류를 제공받아 원하는 크기의 직류 전압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모듈(30)은 각각의 변류기(21-25)로부터 출력되는 2차 전류를 제공받아 이를 변환하기 위한 복수의 전력 변환부(31-3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력 변환부(31-35) 각각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변류기(21-25)에서 출력되는 2차 전류를 제공받아 직류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원 모듈(30)은 복수의 전력 변환부의 개수를 변경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부하(60)에서 요구하는 전력의 크기에 따라 전원 모듈(30) 내 전력 변환부(31-35)를 탈부착하여 전원을 필요로 하는 장치에서 요구되는 적절한 전력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에 포함된 전력 변환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변환부(31)는, 필터부(311), 1차 정류부(312), 제어부(313), 2차 정류부(314), 및 피드백 회로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전력 변환부(31)는 변류기(21-25)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변류기(21-25)의 자화 제어용 댐핑회로부(3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311)는 2차 전류를 제공하는 변류기(21-25)에서 출력되는 유도 전류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나 기타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이다.
1차 정류부(312)는 변류기(21-25)로부터 제공받는 전력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정류부(312)는 브릿지 다이오드와 평활 캐패시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1차 정류부(312)는 변류기(21-25)로부터 제공받는 전압 혹은 전류의 크기가 사전 설정된 기준 크기 이내인 경우 다음 단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기준 전류의 크기는 외부의 조작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나의 전력 변환부에 의해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1차 정류부(312)는 기준 전류를 초과하는 전류를 차단 또는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과도 전력의 출력을 방지하고 및 보호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부(313)는, 안정된 직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해 펄스폭 변조 방식으로 그 내부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듀티를 조정하여 직류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부(313)는 스위칭 소자(예를 들어, MOSFET)를 내부에 포함하는 PWM 제어 IC로 구현될 수 있다.
2차 정류부(313)는 스위칭 회로부(313)에 의해 제공되는 1차 정류부(312)의 전력을 제공받는 1차측 권선 및 1차측 권선과 전자기적으로 결합하여 1차측 권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출력하는 2차측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와, 트랜스포머의 2차측 권선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화하는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2차 정류부(313)는 스위칭 회로부(313)를 거쳐 제공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사전 설정된 크기로 정류할 수 있다. 2차 정류부(313)는 부하(60)의 크기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는 2차 정류부(313)의 출력을 피드백 회로부(315)로 제공하여 출력이 로드 변화에 따라 크게 변동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피드백 회로부(315)는 변류기(21-25)에서 제공되는 교류 전력에 과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스위칭 회로부(313)의 스위칭 동작을 리셋하는 보호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회로부(315)는 2차 정류부(314)에서 전력 합산부(40)로 제공되는 전력 변환부(31)의 출력의 크기를 검출하여 제공받으며, 출력 전압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스위칭 회로부(313)의 듀티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피드백 회로부(315)는, 전력 합산부(40)에서 부하(60)로 제공되는 전압 및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여 제공받을 수 있으며, 부하(60)로 제공되는 최종적인 출력 전압이 과도하게 증가한 경우 시스템 보호를 위해 스위칭 회로부(313)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리셋하는 것과 같은 보호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전력 합산부(40)는 전원 모듈(30) 내의 복수의 전력 변환부(31-35) 각각에 출력되는 전력을 합산하여 부하(60)로 제공한다. 또한, 전력 합산부(40)는 최종 출력 전압의 크기를 전력 변환부(31-35)의 피드백 회로(315)으로 제공하여 최종 출력 전압에 따라 각 전력 변환부(3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전력 합산부(40)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직류/교류 변환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을 요구하는 부하에 대응되는 장치가 교류 전원을 필요로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직류/교류 변환부(50)를 선택적으로 포함함으로써 부하(60)에서 요구되는 적절한 형태의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전력 변환부(31)는 댐핑회로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회로부(316)는 자신이 속한 전력 변환부(31)가 연결된 변류기(21-25)의 교체를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로전류가 15 A 이상 흐르는 경우, 각 변류기에서 발생하는 유도전압에 의해, 분리구조로 되어 있는 변류기가 유도되는 자기력에 의해 상호 결합하여 물리적인 힘으로 이를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즉, 분리 구조의 변류기는 선로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분리가 매우 어려우므로, 선로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지 않고서는 변류기를 분리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필요시 유기되는 변류기의 자화를 제어하기 위한 댐핑회로부(316)를 구비한다. 이러한 댐핑회로부(316)를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선로전류가 흐르는 상황에서도 분리 구조의 변류기를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여 진다.
본 전술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각각의 전원 변환부(31)를 선형적으로 추가할 수 있으며, 각 전원 변환부(31)이 출력 전압은 전력 합산부(40)를 통해 서로 합산되어 부하(60) 최종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전원 변환부(31) 내의 2차 정류부(314)의 출력과 전력 합산부(40)의 최종 출력을 피드백하여 전력 제어에 반영하는 2중 피드백 구조로 구현되므로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각 변류기의 성능이 일정하지 않아도, 최종 출력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종래 기술에서는 각 변류기의 출력을 서로 합산한 전력에 따라 전원부를 설계함으로서, 성능이 균일하지 않은 각 CT 출력들이 서로 간섭 현상을 일으켜, 출력이 감소 혹은 균일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전원부 설계가 고전압, 고 전류 설계를 해야 하는 문제로 되어, 전원부 설계가 힘들고, 성능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변류기와 하나의 전력 변환부를 일대일 대응시켜 설계가 가능하므로, 제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출력에 따라서 변류기의 개수 혹은 전력변환기를 함께 추가하면 되므로 최종 출력을 용이하게 조정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는, 선로 전류 상황에 맞추어 출력을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작업 현장에 적용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최소 15 A 이상의 선로전류만 확보되면 충분히 원하는 전력을 확보함으로써 전원이 요구되는 다양한 장비의 주 전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및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선로 20: 변류기 모듈
21-25: 변류기 30: 전원 모듈
31: 전력 변환부 311: 필터부
312: 1차 정류부 313: 스위칭 회로부
314: 2차 정류부 315: 피드백 회로부
316: 댐핑회로부 40: 전력 합산부
50: 직류/교류 변환부 60: 부하

Claims (7)

  1. 선로에 흐르는 1차 전류로부터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2차 전류를 유도하여 전력을 출력하는 복수의 변류기를 포함하는 변류기 모듈;
    상기 복수의 변류기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각각 직류 전력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는 전원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전력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력를 합산하여 부하로 제공하는 전력 합산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 전력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 모듈의 상기 복수의 변류기의 개수 및 상기 전원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전력 변환부의 개수는 전력 요구 장치의 사양에 따라 변경 가능하게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 전력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변류기로부터 제공되는 유도 전력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1차 정류부;
    상기 1차 정류부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압을 펄스폭 변조 방식으로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스위칭 회로부;
    상기 스위칭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유도된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2차 정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 전력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는 상기 선로 상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 변류기이며,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변류기의 선로상에서 분리하기 위해 상기 변류기의 자화를 조절하기 위한 댐핑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 전력 공급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정류부는,
    상기 변류기로부터 제공받는 전류의 크기가 사전 설정된 기준 전류의 크기 이내인 경우 상기 변류기로부터 제공되는 유도 전력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칭 회로부로 제공하고, 상기 기준 전류의 크기를 초과하는 전류는 차단 또는 바이패스 시켜 과전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 전력 공급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2차 정류부의 출력 및 상기 전력 합산부의 출력을 피드백 받아, 상기 스위칭 회로부에 이루어지는 펄스폭 변조의 펄스폭 듀티를 제어하는 피드백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 전력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합산부의 출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부하로 제공하는 직류/교류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 전력 공급 장치.
KR1020130005968A 2013-01-18 2013-01-18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 KR101444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968A KR101444371B1 (ko) 2013-01-18 2013-01-18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
EP14740166.5A EP2947751B1 (en) 2013-01-18 2014-01-17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power supply device
PCT/KR2014/000517 WO2014112827A1 (ko) 2013-01-18 2014-01-17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
JP2015553654A JP6129347B2 (ja) 2013-01-18 2014-01-17 電磁誘導方式電力供給装置
CA3010956A CA3010956C (en) 2013-01-18 2014-01-17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power supply device
CN201480005251.7A CN105122587B (zh) 2013-01-18 2014-01-17 电磁感应方式的电源供给装置
CA2934854A CA2934854C (en) 2013-01-18 2014-01-17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power supply device
US14/761,938 US9673694B2 (en) 2013-01-18 2014-01-17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power suppl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968A KR101444371B1 (ko) 2013-01-18 2013-01-18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498A true KR20140093498A (ko) 2014-07-28
KR101444371B1 KR101444371B1 (ko) 2014-09-24

Family

ID=5120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968A KR101444371B1 (ko) 2013-01-18 2013-01-18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73694B2 (ko)
EP (1) EP2947751B1 (ko)
JP (1) JP6129347B2 (ko)
KR (1) KR101444371B1 (ko)
CN (1) CN105122587B (ko)
CA (2) CA3010956C (ko)
WO (1) WO201411282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9966A (ko) * 2016-10-11 2018-04-19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KR20210153893A (ko) * 2020-06-11 2021-12-20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시스 유기전압을 이용한 gis용 변압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98025A (zh) * 2015-06-10 2015-09-09 航天科工深圳(集团)有限公司 基于双线圈的电缆线路故障监测电路
CN104901343B (zh) * 2015-06-16 2017-07-28 黄惠娟 一种无线电源窥阴器
CN105391187A (zh) * 2015-10-17 2016-03-09 李德生 三相侧面电能磁刷
CN105305654A (zh) * 2015-10-17 2016-02-03 李德生 侧面电能磁刷
CN105281443A (zh) * 2015-10-17 2016-01-27 李德生 钳形电能磁刷
CN105515065A (zh) * 2016-01-06 2016-04-20 国网重庆市电力公司江北供电分公司 宽范围输入自动调节的输电线路感应取电装置
KR101925182B1 (ko) * 2016-08-04 2018-12-06 장성일 변류기 기반의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KR102575279B1 (ko) 2016-08-05 2023-09-06 주식회사 아모센스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
KR102030721B1 (ko) 2016-10-19 2019-10-10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CN106712314B (zh) * 2017-03-20 2023-05-12 华东交通大学 一种基于电气化铁路设备的无线取能低压电源系统
JP6351884B1 (ja) * 2017-04-21 2018-07-04 大電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電力供給方法
WO2018193661A1 (ja) * 2017-04-21 2018-10-25 大電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電力供給方法
KR102143478B1 (ko) * 2018-02-26 2020-08-11 (주)오너스 솔레노이드 밸브 감시용 센서
KR102218147B1 (ko) 2018-09-12 2021-02-23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
WO2020096974A1 (en) 2018-11-07 2020-05-1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c5+ hydrocarbon conversion
JP7414405B2 (ja) * 2019-05-23 2024-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102196510B1 (ko) * 2019-09-09 2020-12-30 주식회사 이진스 변류기를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EP4147326A1 (en) * 2020-05-05 2023-03-15 Novinium LLC System for harvesting power from a current transformer
US11476725B2 (en) 2020-06-28 2022-10-18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high fidelity communications and high power transfer
US11469626B2 (en) 2020-06-28 2022-10-11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receiver for receiving high power high frequency transfer
US11476724B2 (en) 2020-06-28 2022-10-18 Nucurrent, Inc. Higher power high frequency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11005308B1 (en) 2020-06-28 2021-05-11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high fidelity communications and high power transfer
US11404918B2 (en) 2020-07-21 2022-08-02 Nucurrent, Inc. Wireless charging in eyewear with enhanced positional freedom
CN112104022B (zh) * 2020-08-31 2022-05-06 浙江树人学院(浙江树人大学) 一种ct取电电源
CN112350450B (zh) * 2020-10-28 2023-05-02 上海明华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无源无线传感器取电电路
US11483032B2 (en) 2021-01-28 2022-10-25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and methods with selective signal damping at periodic active mode windows
US11722179B2 (en) 2021-01-28 2023-08-08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signal damping for enhanced communications fidelity
JP2024504725A (ja) * 2021-01-28 2024-02-01 ニューカレ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められた通信の忠実度に関して信号を選択的にダンピングするためのワイヤレス送電システム及び方法
US11711112B2 (en) 2021-01-28 2023-07-25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and methods with selective signal damping active mode
US11476897B2 (en) 2021-01-28 2022-10-18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high fidelity communications at high power transfer
US11489555B2 (en) 2021-01-28 2022-11-01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high fidelity communications with amplitude shift keying
US11695449B2 (en) 2021-01-28 2023-07-04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and methods with signal damping operating mode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9848A (en) * 1966-03-16 1970-07-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mory sense amplifier circuit
FR96147E (fr) * 1967-09-14 1972-05-19 Ibm Convertisseur améliore de courant continu en courant continu avec alimentation constante vers la charge.
DE2715133C3 (de) * 1977-04-05 1980-01-24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Modulationsverstärker
US4461987A (en) * 1982-09-08 1984-07-24 Allen-Bradley Company Current sensing circuit for motor controls
US4739461A (en) * 1985-09-06 1988-04-19 Canon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device for providing positive and negative DC voltages on the secondary of a transformer
US4814965A (en) * 1987-09-30 1989-03-21 Spectra Physics High power flyback, variable output voltage, variable input voltage, decoupled power supply
US5121314A (en) * 1991-02-04 1992-06-09 Maxwell Laboratories Bi-mode high voltage resonant power supply and method
JPH0670491A (ja) 1992-08-12 1994-03-11 Tokyo Gas Co Ltd 移動式防爆機器用給電装置
DE19836401A1 (de) * 1997-09-19 2000-02-17 Salcomp Oy Salo Vorrichtung zum Aufladen von Akkumulatoren
JP3361047B2 (ja) * 1998-01-30 2003-01-07 株式会社東芝 車両用電源装置
US5991169A (en) * 1998-03-16 1999-11-23 Lincoln Global, Inc. Arc welding power supply
JP3356135B2 (ja) * 1999-10-08 2002-12-09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の非接触給電装置
JP2001359279A (ja) * 2000-06-12 2001-12-26 Sony Corp ブリッジ型dc−dcコンバータ
JP2002101660A (ja) * 2000-07-04 2002-04-05 Fiderikkusu:Kk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369834B1 (ko) * 2000-12-27 2003-0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6756776B2 (en) * 2002-05-28 2004-06-29 Amperion, Inc.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and removing a current transformer on and from a current-carrying power line
CN1705217A (zh) * 2004-05-31 2005-12-07 索尼株式会社 开关电源电路
US8785816B2 (en) * 2004-07-13 2014-07-22 Lincoln Global, Inc. Three stage power source for electric arc welding
JP2006197758A (ja) * 2005-01-14 2006-07-27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架空地線の誘導電流利用電源装置
US7466565B2 (en) * 2005-06-30 2008-12-16 Tdk Corporatio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and voltage detection circuit
JP2007089279A (ja) * 2005-09-21 2007-04-05 Asyst Shinko Inc 非接触給電装置
US7388761B1 (en) * 2006-03-28 2008-06-17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High efficiency parallel post regulator for wide range input DC/DC converter
KR100943437B1 (ko) * 2007-11-06 2010-02-19 한국전기연구원 고압 배전선로용 비접촉식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87717A (ko) * 2008-02-13 2009-08-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다출력 전원 공급 장치
US8674551B2 (en) * 2008-06-06 2014-03-18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less power transfer
KR101334231B1 (ko) * 2010-09-30 2013-11-29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착탈식 계측장치
US8614615B2 (en) * 2010-12-01 2013-12-24 Power Integrations, Inc. Energy transfer assembly with tuned leakage inductance and common mode noise compensation
US9182429B2 (en) * 2012-01-04 2015-11-10 Sentient Energy, Inc. Distribution line clamp force using DC bias on coil
KR101288148B1 (ko) * 2012-05-14 2013-07-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용 신호연결장치
US20140078791A1 (en) * 2012-09-14 2014-03-20 Vijay Dayaldas Gurudasani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inverter
JP5741962B2 (ja) * 2012-11-30 2015-07-01 株式会社デンソー 非接触給電装置
JP5846173B2 (ja) * 2013-09-18 2016-01-20 株式会社デンソー 絶縁電源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9966A (ko) * 2016-10-11 2018-04-19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WO2018070779A1 (ko) * 2016-10-11 2018-04-19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US10958102B2 (en) 2016-10-11 2021-03-23 Amosense Co., Ltd Electromagnetic-inductive power supply apparatus
KR20210153893A (ko) * 2020-06-11 2021-12-20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시스 유기전압을 이용한 gis용 변압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73694B2 (en) 2017-06-06
CA3010956C (en) 2020-12-15
CN105122587B (zh) 2018-02-06
CN105122587A (zh) 2015-12-02
EP2947751B1 (en) 2018-04-11
US20150357907A1 (en) 2015-12-10
CA2934854C (en) 2018-08-21
WO2014112827A1 (ko) 2014-07-24
KR101444371B1 (ko) 2014-09-24
JP6129347B2 (ja) 2017-05-17
EP2947751A1 (en) 2015-11-25
JP2016507206A (ja) 2016-03-07
CA3010956A1 (en) 2014-07-24
CA2934854A1 (en) 2014-07-24
EP2947751A4 (en)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371B1 (ko)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
CN109417353A (zh) 用于直流电源应用的调压变压整流组件
CN103029586A (zh) 飞行器中的配电
EP2254223B1 (en) Improved self powered supply for power converter switch driver
CN105103426A (zh) 在电压调节的开关模式电源中的电压下降控制
US9088221B2 (en) High-voltage power supply module and power supply system
KR20140043865A (ko) 직류전원장치
EP3780367A1 (en) Neutral-less power supply with buck converter
US20060193153A1 (en) Power supply
KR101925182B1 (ko) 변류기 기반의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CN104081643A (zh) 具有独立的输出转换器的模块化直流电源
US11552554B2 (en) Electrical circuits for power factor correction by measurement and removal of overtones using a constant or slowly varying first frequency
GB2473598A (en) Switching regulator for a DC power supply having a current limiting mode for transient or over current protection
TW201328118A (zh) 不間斷電源系統
CN206432913U (zh) 一种多路输出开关电源
KR20150057235A (ko) 인버터의 초기충전회로
CN215186451U (zh) 电源电路和电源设备
CN103155391A (zh) 具有启用/禁用电路的开环直流到直流转换器
GB2436176A (en) Power converter with a buck power factor correction stage
KR101409355B1 (ko) 고압 배전선로용 전원 공급 장치
US20060062027A1 (en) High efficiency switching power converter
CN219322279U (zh) 一种Brown-in电路及电子设备
CN210807098U (zh) 一种中压自动转换开关控制器的电源电路
Lee et al. AC/DC notebook adapter with 22mW no-load power consumption
KR101373764B1 (ko) 복수 개의 브릿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입력교류를 정류하는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