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147B1 -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147B1
KR102218147B1 KR1020180109184A KR20180109184A KR102218147B1 KR 102218147 B1 KR102218147 B1 KR 102218147B1 KR 1020180109184 A KR1020180109184 A KR 1020180109184A KR 20180109184 A KR20180109184 A KR 20180109184A KR 102218147 B1 KR102218147 B1 KR 102218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ower supply
magnetic induction
supply device
induc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0385A (ko
Inventor
한철승
나원산
박진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180109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147B1/ko
Priority to CN201980058837.2A priority patent/CN112703658A/zh
Priority to PCT/KR2019/011590 priority patent/WO2020055050A1/ko
Priority to JP2021513970A priority patent/JP7181650B2/ja
Priority to US17/274,938 priority patent/US11936195B2/en
Publication of KR20200030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01R15/186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using current transformers with a core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e.g. clamp-on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7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6One coil at each side, e.g. with primary and secondary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코일에 설치된 차단부 동작에 의해 변류기를 쇼트 모드로 변경시켜 활선 상태의 전력선으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를 제시한다. 제시된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선에 설치되는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와 하나 이상의 코일을 구비한 변류기 및 하나 이상의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차단부를 포함하고, 차단부는 하나 이상의 코일 중 적어도 하나와 폐회로를 형성하여 변류기를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의 분리가 가능한 쇼트 모드로 변환하여 활선 상태인 전력선에 근접하거나 설치된 경우 자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전력선으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ELECTROMAGNETIC INDUCTIVE POW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한 전원 취득 및 전류 센싱을 위해 송전선로 또는 배전선로에서 설치되는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한 전원 공급 방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의 전원 공급 장치는 송전선로, 배전 선로 등과 같이 대용량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에 설치되는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는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에서 자기 유도 현상을 통해 취득한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여 부하로 공급한다.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전원 취득 또는 전류 센싱을 위해 전력선에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설치를 위해 활선 상태인 전력선에 근접하는 경우 자기장이 생성되어 매우 센 진동 및 매우 큰 소음이 발생한다. 그에 따라, 종래의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소음 밑 진동이 발생하여 설치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활선 상태의 전력선에 의해 자기장이 생성된다. 종래의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선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영향으로 분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40732호(명칭: 송배전선로 감시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코일에 설치된 차단부 동작에 의해 변류기를 쇼트 모드로 변경시켜 활선 상태의 전력선으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선에 설치되는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와 하나 이상의 코일을 구비한 변류기 및 하나 이상의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차단부를 포함하고, 차단부는 하나 이상의 코일 중 적어도 하나와 폐회로를 형성하여 변류기를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의 분리가 가능한 쇼트 모드로 변환한다.
이때, 변류기는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 중 적어도 하나에 권선된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차단부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 중 적어도 하나와 폐회로를 형성하여 변류기를 쇼트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는 푸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는 전자식 스위치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전자식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하나 이상의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서 유도된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하나 이상의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정류부와 연결하는 스위칭부 및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압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압을 부하로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류부는 정류한 전압을 부하로 직접 공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코일에 차단부를 설치하여 설치 또는 유지 보수시 쇼트 모드로 변경함으로써, 활선 상태인 전력선에 근접하거나 설치된 경우 자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활선 상태인 전력선에 의한 자기장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하고, 전력선으로부터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활선 상태의 전력선로부터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활선 상태인 전력선에서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도 2의 차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는 송전선로, 배전 선로 등과 같이 대용량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10)에 설치된다.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는 자기 유도 현상을 통해 취득한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여 부하(200)로 공급한다.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전원 취득 이외에도 전력선(10)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는 변류기(110), 스위칭부(120), 정류부(130), 배터리(140) 및 차단부(150)를 포함한다.
변류기(110)는 대용량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10)에 설치되어, 전력선(10)에 흐르는 대용량 전류로부터 전압(또는 전류, 전력)를 유도한다. 변류기(110)는 클램프 타입 등과 같이 전력선(10)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일례로, 변류기(110)는 전력선(10)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내부의 코어를 2 분할하여 상부 코어(112) 및 하부 코어(114)를 구성한다.
상부 코어(112) 및 하부 코어(114)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하나 이상의 코일이 권선된다. 여기서, 도 2에서는 하부 코어(114)에 제1 코일(116) 및 제2 코일(118)이 권선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코어(112)에 제1 코일(116) 및 제2 코일(118)이 권선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코어(112) 및 하부 코어(114) 중 하나에 제1 코일(116) 및 제2 코일(118) 중 하나의 코일이 권선될 수도 있다. 상부 코어(112)에 제1 코일(116) 및 제2 코일(118) 중 하나의 코일이 권선되고, 하부 코어(114)에 제1 코일(116) 및 제2 코일(118) 중 나머지 하나의 코일이 권선될 수도 있다.
제1 코일(116)은 전력선(10)의 외주에 배치되는 하부 코어(114)에 권선된다. 제1 코일(116)은 하부 코어(114)를 복수회 권선하는 코일로 구성된다. 이때, 제1 코일(116)의 표면은 절연물로 코팅될 수 있다. 제1 코일(116)의 양단은 스위칭부(120)에 연결된다.
제2 코일(118)은 하부 코어(114)에 권선된다. 제2 코일(118)은 하부 코어(114)를 복수회 권선하는 코일로 구성된다. 제2 코일(118)은 제1 코일(116)과 다른 위치에 권선되거나, 동일 위치에 중복(중첩)되어 권선될 수 있다. 이때, 제2 코일(118)의 표면은 절연물로 코팅될 수 있다. 제2 코일(118)의 양단은 스위칭부(120)에 연결된다.
한편, 제1 코일(116) 및 제2 코일(118)은 서로 다른 권선비를 갖도록 형성된다. 일례로, 제1 코일(116)은 코어를 대략 150회 정도 권선하는 코일로 구성되고, 제2 코일(118)은 코어를 대략 50회 정도 권선하는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칭부(120)는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의 초기 구동 여부 및 전압을 근거로 자기 유도 제1 코일(116) 및 제2 코일(118) 중 적어도 하나가 정류부(130)에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한다.
일례로, 스위칭부(120)는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의 초기 구동시 설정시간(예를 들면, 대략 1분 정도) 동안 제1 코일(116) 및 제2 코일(118) 중 낮은 권선 수를 갖는 코일이 정류부(130)에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한다.
스위칭부(120)는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의 초기 구동 후 설정시간이 지나면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에서 감지된 전압을 근거로 제1 코일(116) 및 제2 코일(118) 중 적어도 하나가 정류부(130)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한다.
이때, 스위칭부(120)는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에서 감지된 전압이 최소 기준 전압 미만이면 제1 코일(116) 및 제2 코일(118)이 정류부(130)에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한다. 이를 통해, 스위칭부(120)는 제1 코일(116) 및 제2 코일(118)에 유도된 모든 전압을 정류부(130)로 인가하여 최소 기준 전압 이상의 전압이 정류부(130)로 인가한다.
스위칭부(120)는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에서 감지된 전압이 최소 기준 전압 이상이고 최대 기준 전압 이하이면 제1 코일(116) 및 제2 코일(118) 중 높은 권선수를 갖는 코일이 정류부(130)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여, 높은 권선 수의 코일에서 유도된 전압을 정류부(130)로 인가한다.
스위칭부(120)는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에서 감지된 전압이 최대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제1 코일(116) 및 제2 코일(118) 중 낮은 권선수를 갖는 코일이 정류부(130)와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여, 낮은 권선수의 단일 코일에서 유도된 전압을 정류부(130)로 인가한다.
정류부(130)는 스위칭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한다. 정류부(130)는 직류로 정류된 전압을 배터리(140)로 공급한다. 정류부(130)는 직류로 정류된 전압을 배터리(140)를 거치지 않고 부하(200)로 바로 공급할 수도 있다.
정류부(130)는 복수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전파(全波) 정류회로 또는 반파(半波) 정류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정류부(130)는 스위칭부(120)의 스위칭 구동에 따라 제1 코일(116) 및 제2 코일(118) 중 적어도 하나에서 유도된 전압을 직류로 변환하여 배터리(140) 또는 부하(200)로 공급한다.
배터리(140)는 정류부(130)에서 공급되는 전압(즉, 직류 전압)을 충전한다. 배터리(140)는 충전된 전압을 부하(200)로 공급한다.
차단부(150)는 스위치(152)를 포함하며, 작업자의 스위치(152) 조작에 의해 구동하여 활선 상태의 전력선(10)에 설치되거나 근접 배치된 변류기(110)에 자기장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차단부(150)는 제1 코일(116) 및 제2 코일(118) 중 적어도 하나와 폐회로를 형성하여 자기 변류기(110)를 쇼트 모드로 변환한다. 그에 따라, 차단부(150)는 상부 코어(112) 및 하부 코어(114)에 흐르는 자기력을 감소시켜 활선 상태인 전력선(10)에 의해 변류기(110)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을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는 활선 상태인 전력선(10)에 근접하거나 설치된 경우 자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는 활선 상태인 전력선(10)에 의한 자기장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하고, 전력선(10)으로부터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는 활선 상태의 전력선(10)로부터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활선 상태인 전력선(10)에서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단부(150)는 제1 코일(116) 및 제2 코일(118)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다, 차단부(150)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하여 제1 코일(116) 및 제2 코일(118) 중 하나와 폐회로를 형성하여 변류기(110)를 쇼트 모드로 변환한다. 그에 따라, 차단부(150)는 코어(112, 114)에 흐르는 자기력을 감소시켜 활선 상태인 전력선(10)에 의해 변류기(110)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을 최소화한다.
차단부(150)는 제2 코일(118)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된다. 차단부(150)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여 제2 코일(118)을 쇼트시킨다. 즉, 차단부(150)는 제2 코일(118)을 쇼트시켜 제2 코일(118)과 차단부(150) 사이에 폐회로를 형성한다. 그에 따라, 차단부(150)는 코어(112, 114)에 흐르는 자기력을 감소시켜 활선 상태인 전력선(10)에 의해 변류기(110)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을 최소화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단부(150)는 제1 코일(116)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차단부(150)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여 제1 코일(116)을 쇼트시킨다. 즉, 차단부(150)는 제1 코일(116)을 쇼트시켜 제1 코일(116)과 차단부(150) 사이에 폐회로를 형성한다. 그에 따라, 차단부(150)는 코어(112, 114)에 흐르는 자기력을 감소시켜 활선 상태인 전력선(10)에 의해 변류기(110)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을 최소화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단부(150)는 제1 코일(116)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된 제1 차단부(150a), 제2 코일(118)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된 제2 차단부(150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제1 차단부(150a)는 제1 코일(116)을 쇼트시켜 제1 코일(116)과 차단부(150) 사이에 폐회로를 형성하고, 제2 차단부(150b)는 제2 코일(118)을 쇼트시켜 제2 코일(118)과 차단부(150) 사이에 폐회로를 형성한다. 그에 따라, 제1 차단부(150a) 및 제2 차단부(150b)는 코어(112, 114)에 흐르는 자기력을 감소시켜 활선 상태인 전력선(10)에 의해 변류기(110)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을 최소화한다.
한편,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는 차단부(150)의 동작시 순간적인 큰 전압 또는 전류가 흘러 변류기(110) 또는 차단부(150)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차단부(150)는 댐핑을 위한 저항 등의 댐핑 소자(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댐핑 소자(미도시)는 차단부(150)의 스위치(152)와 직렬로 연결된 것을 일례로 한다. 여기서, 댐핑 소자는 변류기(110)가 쇼트 모드로 변환된 경우 폐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소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스위치(152)는 기계식 스위치인 푸시 스위치(PUSH SWITCH)인 것을 일례로 한다. 푸시 스위치는 누를 때마다 온(ON), 오프(OFF)가 반복되는 얼터니트 타입의 푸시 스위치, 누르는 순간에만 온(ON)되는 노멀 오픈(N/O) 타입의 푸시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푸시 스위치는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푸시 스위치의 설치 위치는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는 설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활선 상태의 전력선(10)에 변류기(110)가 설치되고 스위치(152)가 오프(OFF) 상태이면, 코어(112, 114)에 전류가 흘러 자기장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 코어(112) 및 하부 코어(114)의 분리가 어렵게 된다.
반면, 스위치(152)가 온(ON) 상태이면, 제2 코일(118) 및 차단부(150, 스위치(152)) 사이에 폐회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코어(112, 114)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그에 따라, 상부 코어(112) 및 하부 코어(114)는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도 8을 참조하면,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는 차단부(150)가 정지(오프(OFF)) 상태이면 정상 모드로 동작하여 일정한 출력 전류가 출력된다.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는 차단부(150)가 동작(온(ON)) 상태로 변경되면 쇼트 모드로 변경되어 출력 전류가 차단(즉, '0')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차단부(150)는 전자식 스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전자식 스위치를 차단부(150)로 구성하는 경우 통신 모듈(미도시), 제어부(160) 및 별도의 연결 장비를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기계식 스위치를 적용한 경우에 비해 추가적인 비용이나 실장 공간을 필요로 하지만, 기계식 스위치와 동일한 기능(즉, 쇼트 모드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전력선 100: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
110: 변류기 112: 상부 코어
114: 하부 코어 116: 제1 코일
118: 제2 코일 120: 스위칭부
130: 정류부 140: 배터리
150: 차단부 150a: 제1 차단부
150b: 제2 차단부 160: 제어부
200: 부하

Claims (10)

  1. 전력선에 설치되는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에 설치되는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와 하나 이상의 코일을 구비한 변류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코일 중 적어도 하나와 폐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변류기를 상기 상부 코어 및 상기 하부 코어의 분리가 가능한 쇼트 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변류기는 상기 상부 코어 및 상기 하부 코어 중 적어도 하나에 권선된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1 코일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코일과 폐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변류기를 쇼트 모드로 변환하는 제1 차단부를 포함하는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 코일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코일과 폐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변류기를 쇼트 모드로 변환하는 제2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푸시 스위치를 포함하는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전자식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식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서 유도된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정류부와 연결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정류한 전압을 부하로 공급하는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압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압을 부하로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
KR1020180109184A 2018-09-12 2018-09-12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 KR102218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184A KR102218147B1 (ko) 2018-09-12 2018-09-12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
CN201980058837.2A CN112703658A (zh) 2018-09-12 2019-09-06 电磁感应电力供应装置
PCT/KR2019/011590 WO2020055050A1 (ko) 2018-09-12 2019-09-06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
JP2021513970A JP7181650B2 (ja) 2018-09-12 2019-09-06 電磁誘導電源供給装置
US17/274,938 US11936195B2 (en) 2018-09-12 2019-09-06 Electromagnetic-induction power suppl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184A KR102218147B1 (ko) 2018-09-12 2018-09-12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385A KR20200030385A (ko) 2020-03-20
KR102218147B1 true KR102218147B1 (ko) 2021-02-23

Family

ID=6977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184A KR102218147B1 (ko) 2018-09-12 2018-09-12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36195B2 (ko)
JP (1) JP7181650B2 (ko)
KR (1) KR102218147B1 (ko)
CN (1) CN112703658A (ko)
WO (1) WO202005505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294B1 (ko) 2011-05-19 2012-09-14 백승국 휴대용 전압 및 전류 측정 장치
KR101695768B1 (ko) * 2016-11-29 2017-01-13 (주) 웨이브링크 개선된 변류기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 유도 방식의 전원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6776B2 (en) * 2002-05-28 2004-06-29 Amperion, Inc.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and removing a current transformer on and from a current-carrying power line
KR20100090009A (ko) 2009-02-05 2010-08-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류 유도 방식 기반의 전원 공급 장치
US8339110B2 (en) * 2010-04-05 2012-12-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ngle stage hybrid charge pump
KR101040732B1 (ko) 2010-11-29 2011-06-10 주식회사 이피이 송배전선로 감시장치
KR101444371B1 (ko) * 2013-01-18 2014-09-24 (주)테라에너지시스템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
JP6204505B2 (ja) * 2013-02-21 2017-09-27 フェラリスパワ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センサ用ctと発電用ctが線路上に並列に分離設けられる電流変成システム、及びこれを無線通信網で管理する統合システム
CN106062906B (zh) 2014-01-22 2019-06-04 苹果公司 感应功率传输装置及其控制方法
CN105119388B (zh) * 2015-09-01 2018-03-27 国网新疆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宽电流范围工作的电流互感取能电源
ES2816601T3 (es) * 2015-11-05 2021-04-05 Tixon Energy S R L Método y dispositivo para obtener energía destinada a suministrar un aparato receptor desde un conductor atravesado por una corriente eléctrica alterna
EP3220505B8 (en) * 2016-03-16 2018-10-31 Blue Inductive GmbH Inductive power transfer control
KR101925182B1 (ko) * 2016-08-04 2018-12-06 장성일 변류기 기반의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KR20180016311A (ko) 2016-08-05 2018-02-14 주식회사 아모센스 변류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KR102030721B1 (ko) 2016-10-19 2019-10-10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JP6580196B1 (ja) * 2018-04-27 2019-09-25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294B1 (ko) 2011-05-19 2012-09-14 백승국 휴대용 전압 및 전류 측정 장치
KR101695768B1 (ko) * 2016-11-29 2017-01-13 (주) 웨이브링크 개선된 변류기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 유도 방식의 전원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81650B2 (ja) 2022-12-01
CN112703658A (zh) 2021-04-23
US11936195B2 (en) 2024-03-19
JP2022500988A (ja) 2022-01-04
KR20200030385A (ko) 2020-03-20
WO2020055050A1 (ko) 2020-03-19
US20220037922A1 (en)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8257B2 (en) Distribution line clamp force using DC bias on coil
JP4135299B2 (ja) 非接触電力伝達装置
US20170162320A1 (en) Current harvesting transformer with protection from high currents
EP2947751A1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power supply device
US20130328546A1 (en) Power Line Takeoff Clamp Assembly
KR102154251B1 (ko)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US10622838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ower extraction
AU2018315503B2 (en) System for generating a power output and corresponding use
JP6783372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の1次側に位置する整流ダイオードから生成される雑音を低減する方法と装置
US117286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a power draw from an induction power harvester (IPH)
JP5300337B2 (ja) 電源装置及び照明器具
KR101925182B1 (ko) 변류기 기반의 유도형 전원공급 장치
KR102030721B1 (ko)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KR102218147B1 (ko) 자기 유도 전원 공급 장치
JP2014003784A (ja) 照明用電源装置および照明器具
TW201044424A (en) Electromagnetic apparatus using shared flux in a multi-load parallel magnetic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on
TWI420790B (zh) 交換電源供應器之控制器
CN113193664A (zh) 自适应感应取电装置
EP2548274A2 (de) Leuchtmittel-betriebsgerät mit temperaturabhängiger schutzschaltung
CN105340168A (zh) 装置的设备内部能量供给
KR100501802B1 (ko) 전력용 스위치를 이용하여 인가 자계의 크기조절이 가능한고온초전도 전류제한기
RU2782150C2 (ru)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ования выходной мощност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применение
JPS5810279Y2 (ja) リレ−駆動回路
JP2013188017A (ja) 漏電検知装置
JP2000083375A (ja) 電源装置とそのオンオ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