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282A - 축류 팬 - Google Patents

축류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282A
KR20140093282A KR1020147016654A KR20147016654A KR20140093282A KR 20140093282 A KR20140093282 A KR 20140093282A KR 1020147016654 A KR1020147016654 A KR 1020147016654A KR 20147016654 A KR20147016654 A KR 20147016654A KR 20140093282 A KR20140093282 A KR 20140093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hub
blade
front edge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즈미 고지마
유타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3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2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04D29/023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02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16Sealings between pressure and suction sides
    • F04D29/161Sealings between pressure and suction sid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164Sealings between pressure and suction sid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of an axial flow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8Blad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50Building or constructing in particular ways
    • F05D2230/53Building or constructing in particular ways by integrally manufacturing a component, e.g. by milling from a billet or one piec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30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D2300/40Organic materials
    • F05D2300/43Synthetic polymers, e.g. plastics; 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축류 팬(70)은, 허브(71)와 허브(71)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날개(72)가 수지 일체 성형된 축류 팬이다. 그리고, 날개(72)의 허브(71)와의 부착부(73)에는, 외주측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방사상 리브(75)가 남겨놓아지도록 제1 날개 감육부(74)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축류 팬{AXIAL FLOW FAN}
본 발명은, 축류 팬, 특히, 허브와 허브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날개가 수지 일체 형성된 축류 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등에 있어서, 허브와, 허브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날개가 수지 일체 성형된 축류 팬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축류 팬으로서, 특허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 2011-74817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의 허브와의 부착부에 감육부가 형성된 것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1-74817호 공보
그러나, 날개의 부착부에 감육부를 형성하는 것은, 축류 팬의 형성시에 있어서, 금형에 주입되는 수지가 외주측을 향해서 흐르는 공간을 좁힘으로써 연결된다. 이 때문에, 날개의 부착부에 감육부가 형성된 축류 팬에서는, 성형시에 감육부보다도 외주측의 부분에 수지가 흘러들어가기 어려워져, 날개의 외주 부분에 있어서 성형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허브와 복수의 날개가 수지 일체 성형된 축류 팬에 있어서, 날개의 외주 부분에 있어서의 성형 불량을 억제하면서, 날개의 부착부에 감육부를 형성하는 것에 있다.
제1의 관점에 관련된 축류 팬은, 허브와 허브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날개가 수지 일체 성형된 것이다. 그리고, 날개의 허브와의 부착부에는, 외주측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방사상 리브가 남겨놓아지도록 제1 날개 감육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원 발명자는, 날개의 부착부에 감육부를 형성하는데 있어, 감육부보다도 외주측의 부분에 대한 성형시의 수지의 흘러들어감을 고려하여, 감육부를 형성할 때에 남겨놓아지는 리브의 형상에 대하여 연구를 행했다. 그 결과, 본원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외주측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방사상 리브가 남겨놓아지도록 제1 날개 감육부를 형성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방사상 리브는, 성형시에 금형에 주입되는 수지가 외주측을 향해서 흐르는 것을 촉진하므로, 성형시에 있어서의 제1 날개 감육부보다도 외주측의 부분에 대한 수지의 흘러들어감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방사상 리브는, 방사상으로 연장하지 않은 리브를 남겨놓는 경우에 비하여, 성형시에 금형에 주입되는 수지가 외주측을 향해서 흐르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이 축류 팬에서는, 날개의 외주 부분에 있어서의 성형 불량을 억제하면서, 날개의 부착부에 감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의 관점에 관한 축류 팬은, 제1의 관점에 관한 축류 팬에 있어서, 방사상 리브가, 둘레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방사상 리브를 둘레방향으로 복수 배치하면, 성형시에 있어서, 제1 날개 감육부보다도 외주측의 부분에 수지가 흐르는 부분을 둘레방향으로 늘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축류 팬에서는, 성형시에 있어서, 금형에 주입되는 수지가 외주측을 향해서 흐르는 것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성형시에 있어서, 제1 날개 감육부보다도 외주측 부분의 어느 둘레방향 위치에 있어서나, 수지가 균등하게 흘러 들어가기 쉽게 할 수 있다.
제3의 관점에 관한 축류 팬은, 제1 또는 제2의 관점에 관한 축류 팬에 있어서, 방사상 리브가, 허브 및 날개를 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허브의 축심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직선 상으로 연장해 있다.
상기와 같이, 방사상 리브를 허브의 축심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직선 상으로 연장하도록 하면, 성형시에 금형에 주입되는 수지가 외주측을 향해서 곧장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이 축류 팬에서는, 성형시에 있어서, 금형에 주입되는 수지가 외주측을 향해서 더욱 흐르기 쉽게 할 수 있다.
제4의 관점에 관한 축류 팬은, 제1∼제3의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축류 팬에 있어서, 부착부 중 방사상 리브보다도 날개의 앞가장자리측의 부분에는, 날개의 앞가장자리에 연속하는 앞가장자리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앞가장자리 리브와 방사상 리브의 둘레방향 사이에는, 제1 날개 감육부보다도 큰 제2 날개 감육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 축류 팬에서는, 방사상 리브보다도 날개의 앞가장자리측의 부분에 있어서, 날개의 앞가장자리에 연속하는 앞가장자리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날개의 앞가장자리에 있어서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앞가장자리 리브를 형성하면, 성형시에 앞가장자리 리브 및 그 부근이 냉각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여기서, 이 축류 팬에서는, 상기와 같이, 앞가장자리 리브를 형성함과 더불어, 앞가장자리 리브와 방사상 리브의 둘레방향 사이에 제1 날개 감육부보다도 큰 제2 날개 감육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성형시에 앞가장자리 리브 및 그 부근이 냉각되기 어려워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축류 팬에서는, 방사상 리브뿐만 아니라 앞가장자리 리브가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형시의 싱크 마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5의 관점에 관련된 축류 팬은, 제2∼제4의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축류 팬에 있어서, 방사상 리브가,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방사상 리브를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하면, 성형시에 있어서, 복수의 방사상 리브에 대하여, 수지가 균등하게 흘러 들어가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이 축류 팬에서는, 성형시에 있어서, 제1 날개 감육부보다도 외주측의 부분에 수지가 둘레방향으로 더욱 균등하게 흘러 들어가기 쉽게 할 수 있다.
제6의 관점에 관련된 축류 팬은, 제1∼제5의 관점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날개의 뒤가장자리에, 날개의 앞가장자리측을 향해서 움푹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날개 감육부는, 허브 및 날개를 축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오목부보다도 날개의 앞가장자리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 축류 팬에서는, 날개의 뒤가장자리에 있어서, 날개의 앞가장자리를 향해서 움푹 패인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송풍 성능의 향상이나 소음의 억제를 도모한다. 그러나, 이러한 오목부를 형성하면, 성형시에 있어서, 오목부 및 그 부근에 수지가 흘러들어가기 어려워져, 오목부 및 그 부근의 성형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여기서, 이 축류 팬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 날개 감육부가 오목부보다도 날개의 앞가장자리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성형시에 있어서, 수지가 제1 날개 감육부를 통과하지 않고 오목부 및 그 부근까지 흘러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축류 팬에서는, 제1 날개 감육부 및 오목부의 양쪽이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형시의 오목부 및 그 부근으로의 수지의 흘러들어감을 확보하여, 오목부 및 그 부근의 성형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축류 팬으로서의 실외 팬이 채용된 실외 유닛의 천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실외 팬이 채용된 실외 유닛의 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실외 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실외 팬의 정압면측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실외 팬의 부압면측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실외 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날개의 부착부 및 그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I-I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앞가장자리 리브 및 그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실외 팬의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금형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외 팬의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금형의 부착부 및 그 부근을 형성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축류 팬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류 팬의 구체적인 구성은, 하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외 유닛을 구성하는 축류 팬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용도에 사용되는 축류 팬에도 적용가능하다.
(1) 실외 유닛의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축류 팬으로서의 실외 팬(70)이 채용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 1은, 실외 유닛(2)의 천판(57)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외 유닛(2)의 전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좌」, 「우」나 「전면」, 「측면」, 「배면」, 「천면」, 「저면」등의 방향이나 면을 가리키는 문언은, 특별히 양해가 없는 한, 도 2에 나타내는 실외 유닛(2)을 전면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방향이나 면을 의미한다.
실외 유닛(2)은, 유닛 케이싱(51)의 내부 공간을 연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칸막이판(58)으로 좌우로 분할함으로써 송풍기실(S1)과 기계실(S2)을 형성한 구조(소위, 트렁크형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실외 유닛(2)은, 유닛 케이싱(51)의 배면 및 측면의 일부로부터 유닛 케이싱(51) 내에 실외 공기를 빨아들여 유닛 케이싱(51)의 전면으로부터 실외 공기를 불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외 유닛(2)은, 주로, 유닛 케이싱(51)과, 압축기(21), 실외 열 교환기(24),및 이들 기기를 접속하는 냉매관을 포함하는 냉매 회로 구성 부품과, 실외 팬(70)(축류 팬)과, 벨 마우스(80)를 가지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송풍기실(S1)이 유닛 케이싱(51)의 좌측면쪽에 형성되고, 기계실(S2)이 유닛 케이싱(51)의 우측면쪽에 형성된 예를 설명하는데, 좌우가 반대여도 된다.
유닛 케이싱(51)은, 대략 직방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주로, 압축기(21), 실외 열 교환기(24), 및, 이들 기기를 접속하는 냉매관을 포함하는 냉매 회로 구성 부품과, 실외 팬(70)을 수용하고 있다. 유닛 케이싱(51)은, 바닥판(52)과, 송풍기실측 측판(53)과, 기계실측 측판(54)과, 송풍기실측 앞판(55)과, 기계실측 앞판(56)과, 천판(57)을 가지고 있다.
바닥판(52)은, 유닛 케이싱(51)의 저면 부분을 구성하는 금속제의 판상 부재이다. 바닥판(52)의 하측에는, 현지 부착면에 고정되는 2개의 기초 레그(59, 60)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기실측 측판(53)은, 유닛 케이싱(51)의 송풍기실(S1)쪽의 측면 부분을 구성하는 금속제의 판상 부재이다. 송풍기실측 측판(53)은, 그 하부가 바닥판(52)에 고정되어 있다. 송풍기실측 측판(53)에는, 실외 팬(70)에 의해 유닛 케이싱(51) 내에 빨아들여지는 실외 공기의 흡입구(53a)가 형성되어 있다.
기계실측 측판(54)은, 유닛 케이싱(51)의 기계실(S2)쪽의 측면 부분의 일부와, 유닛 케이싱(51)의 기계실(S2)쪽의 배면 부분을 구성하는 금속제의 판상 부재이다. 기계실측 측판(54)은, 그 하부가 바닥판(52)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기계실측 측판(54)은, 기계실(S2)의 측면 중 배면쪽 부분을 덮고 있다. 송풍기실측 측판(53)의 배면측의 단부와 기계실측 측판(54)의 송풍기실(S1)측의 단부 사이에는, 실외 팬(70)에 의해 유닛 케이싱(51) 내에 빨아들여지는 실외 공기의 흡입구(53b)가 형성되어 있다.
송풍기실측 앞판(55)은, 유닛 케이싱(51)의 송풍기실(S1)의 전면 부분과, 유닛 케이싱(51)의 기계실(S2)의 전면 부분의 일부를 구성하는 금속제의 판상 부재이다. 송풍기실측 앞판(55)에는, 실외 팬(70)에 의해 유닛 케이싱(51) 내에 빨아들여진 실외 공기를 외부에 불어내기 위한 취출구(55a)가 형성되어 있다. 취출구(55a)의 앞측은, 팬 그릴(55b)에 의해 덮어져 있다. 송풍기실측 앞판(55)은, 그 하부가 바닥판(52)에 고정되고, 그 좌측면측의 단부가 송풍기실측 측판(53)의 전면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기계실측 앞판(56)은, 유닛 케이싱(51)의 전면측으로부터 기계실(S2)에 액세스하여 기계실(S2) 내에 배치된 기기의 점검 등을 행하기 위해서, 시운전이나 메인티넌스 시에 제거되는 금속 제의 판상 부재이다. 기계실측 앞판(56)은, 유닛 케이싱(51)의 기계실(S2)의 전면 부분의 일부와, 유닛 케이싱(51)의 기계실(S2)의 측면 부분의 일부를 구성하는 금속 제의 판상 부재이다. 기계실측 앞판(56)은, 그 송풍기실(S1)측의 단부가 송풍기실측 앞판(55)의 기계실(S2)측의 단부에 고정되고, 그 배면측의 단부가 기계실측 측판(54)의 전면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유닛 케이싱(51)의 기계실(S2)의 전면 부분의 일부가 송풍기실측 앞판(55)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데, 기계실측 앞판(56)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실측 앞판(55) 송풍기실측 앞판(55)과 기계실측 앞판(56)이 일체의 부재여도 된다.
천판(57)은, 유닛 케이싱(51)의 천면 부분을 구성하는 금속 제의 판상 부재이다. 천판(57)은, 송풍기실 측판(53)이나 기계실측 측판(54), 송풍기실측 앞판(55)에 고정되어 있다.
칸막이판(58)은, 바닥판(52) 상에 배치되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금속 제의 판상 부재이다. 칸막이판(58)은, 유닛 케이싱(51)의 내부 공간을 좌우로 분할함으로써, 좌측면쪽의 송풍기실(S1)과, 우측면쪽의 기계실(S2)을 형성하고 있다. 칸막이판(58)은, 그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이 송풍기실(S1)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한 형상을 하고 있다. 칸막이판(58)은, 그 하부가 바닥판(52)에 고정되고, 그 전면측의 단부가 송풍기실측 앞판(55)에 고정되고, 그 배면측의 단부가 실외 열 교환기(24)의 기계실(S2)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실외 팬(70)은, 주로, 허브(71)와, 허브(71)의 외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복수(여기서는, 3장)의 날개(72)가 수지 일체 성형된 프로펠라 팬이다. 실외 팬(70)은, 송풍기실(S1) 내에 있어서, 유닛 케이싱(51)의 전면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외 팬(70)은, 실외 열 교환기(24)의 전면측의 위치에 있어서, 송풍기실측 앞판(55)에 형성된 취출구(55a)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날개(72)의 뒤가장자리에는, 송풍 성능의 향상이나 소음의 억제를 위해서, 날개(72)의 앞가장자리측을 향해서 움푹하게 패인 오목부(72a)가 형성되어 있다. 실외 팬(70)은, 실외 팬(70)과 실외 열 교환기(24)의 전후 방향 사이에 배치된 팬 모터(79)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팬 모터(79)는, 천판(57)과 바닥판(52)의 사이를 연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팬 모터대(6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실외 팬(7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벨 마우스(80)는, 중앙이 개구한 벨 형상의 개구부(81)를 가지는 부재이며, 실외 팬(70)의 외주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벨 마우스(80)는, 실외 팬(70)과 동일하게, 송풍기실(S1) 내에 있어서, 유닛 케이싱(51)의 전면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개구부(81)가 실외 팬(70)의 외주를 둘러싸고 있다. 벨 마우스(80)는, 유닛 케이싱(51)의 전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벨 마우스(80)의 송풍기실측 측판(53)쪽의 부분은, 실외 열 교환기(24)의 앞측단에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벨 마우스(80)의 기계실(S1)쪽의 부분은, 칸막이판(58)에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실외 열 교환기(24)는, 대략 L자형상의 열 교환기 패널이며, 송풍기실(S1) 내에 있어서, 유닛 케이싱(51)의 좌측면 및 배면을 따르도록 바닥판(52) 상에 배치되어 있다.
압축기(21)는, 세로형 원통 형상의 밀폐식 압축기이며, 기계실(S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압축기(21) 이외의 기기나 냉매관 등의 냉매 회로 구성 부품도 기계실(S2) 내에 배치되어 있다.
(2) 실외 팬의 상세 구성
다음에, 도 3∼도 9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축류 팬으로서의 실외 팬(7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3은, 실외 팬(7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외 팬(70)의 정압면측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외 팬(70)의 부압면측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외 팬(70)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날개(72)의 부착부(73) 및 그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I-I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앞가장자리 리브(76) 및 그 부근의 확대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외 팬(70)의 축심(회전 중심)을 축심 ○로 하고, 그 축선을 회전 축선 ○-○로 한다.
실외 팬(70)은, 상기와 같이, 주로, 허브(71)와, 허브(71)의 외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복수(여기서는, 3장)의 날개(72)가 수지 일체 성형된 프로펠라 팬이다. 또한, 날개(72)의 수는, 3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4장 이상 등이어도 된다.
날개(72)는, 전진 및 앞으로 기울어진 날개 형상을 가지고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그리고, 날개(72)의 두께는, 허브(71)와의 부착부(73)에 있어서 커지고,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서 작아진다(도 9 참조). 날개(72)의 뒤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72a)는, 부착부(73)보다도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3, 도 5 및 도 7 참조). 여기에서, 실외 팬(70)을 회전시켰을 때에 공기가 유입하는 쪽(공기의 유통 방향의 상류측)의 면을 부압면(72b)으로 하고, 그 반대측(공기의 유통 방향의 하류측)의 면을 정압면(72c)으로 한다.
날개(72)의 부착부(73)에는, 외주측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방사상 리브(75)가 남겨놓아지도록 제1 날개 감육부(7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착부(73) 중 방사상 리브(75)보다도 날개(72)의 앞가장자리측의 부분에는, 날개(72)의 앞가장자리에 연속하는 앞가장자리 리브(7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앞가장자리 리브(76)와 방사상 리브(75)의 둘레방향 사이에는, 제1 날개 감육부(74)보다도 큰 제2 날개 감육부(77)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날개 감육부(74, 77)는, 날개(72)의 부압면(72b)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날개 감육부(74, 77)는, 부압면(72b)에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정압면(72c)에만 형성되어도 되고, 부압면(72b) 및 정압면(72c)의 양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방사상 리브(75)는, 부착부(73)와 동등한 두께를 가지고 있고, 그 축방향 단부가 날개(72)의 날개면에 자연스럽게 연속하고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방사상 리브(75)는, 둘레방향으로 복수(여기서는, 4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날개 감육부(74)는, 날개(72)의 뒤가장자리측으로부터 앞가장자리측을 향하여, 방사상 리브(75)의 둘레방향 양측에 위치하도록, 복수(여기서는, 4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날개 감육부(77)는, 복수의 방사상 리브(75) 중 가장 앞가장자리측에 배치되어 있는 방사상 리브(75)의 둘레방향 앞가장자리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날개 감육부(74)를 둘레방향의 사이에 끼워넣어 인접하는 2개의 방사상 리브(75)는, 그 축방향 단부가 자연스럽게 연속하고 있다. 또한, 방사상 리브(75)의 수는, 4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개 이하나 5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방사상 리브(75)는, 허브(71) 및 날개(72)를 축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허브(71)의 축심(O)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직선 L상으로 연장해 있다(도 7 참조). 또한, 방사상 리브(75)는,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날개 감육부(74)는 모두, 어느 직경 방향 위치에 있어서나 동일한 둘레방향 칫수를 가지고 있고, 이에 따라, 방사상 리브(75)가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제2 날개 감육부(77)와 제1 날개 감육부(74) 사이의 둘레방향의 간격은, 제1 날개 감육부(74) 간의 둘레방향의 간격보다도 커진다(도 5 및 도 7 참조). 즉, 제2 날개 감육부(77)는, 동일한 직경 방향 위치에 있어서의 둘레방향 칫수가 제1 날개 감육부(74)보다도 커진다.
또한, 앞가장자리 리브(76)는, 날개(72)의 앞가장자리에 있어서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부착부(73)의 앞가장자리에 있어서, 날개(72)의 날개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앞가장자리 리브(76)는, 여기에서는, 거의 삼각 기둥 형상을 가지고 있고, 날개(72)의 부압면(72b) 및 정압면(72c)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다. 앞가장자리 리브(76)의 둘레방향의 폭은, 동일한 직경 방향 위치에 있어서의 방사상 리브(75)의 둘레방향의 폭보다도 커진다(도 5 및 도 7 참조). 앞가장자리 리브(76)의 허브(71)쪽 부분에는, 허브(71) 및 날개(72)를 축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대략 삼각형상의 패인 부분(7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앞가장자리 리브(76)는, 부압면(72b) 및 정압면(72c)의 양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부압면(72b) 또는 정압면(72c)에만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부착부(73)의 제1 날개 감육부(74)보다도 뒤가장자리측의 부분에는, 날개(72)의 날개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뒤가장자리 리브(78)가 형성되어 있다. 뒤가장자리 리브(78)는, 날개(72)의 부압면(72b) 및 정압면(72c)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날개 감육부(74) 및 방사상 리브(75)는, 부착부(73)의 앞가장자리쪽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뒤가장자리쪽의 부분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제1 날개 감육부(74)는, 허브(71) 및 날개(72)를 축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오목부(72a)보다도 날개(72)의 앞가장자리측에 위치하고 있다(도 7에 있어서의 가장 뒤가장자리쪽에 배치된 제1 날개 감육부(74)로부터 외주측으로 연장하는 직선(M)을 참조).
(3) 실외 팬의 성형
다음에,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축류 팬으로서의 실외 팬(70)의 성형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0은, 실외 팬(70)의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금형(90)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외 팬(70)의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금형(90)의 날개(72)의 접속부(73) 및 그 부근을 형성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금형(90)을 가지는 사출 성형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준비한다. 금형(90)은, 제1 금형(91)과, 제1 금형(91)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제2 금형(92)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1 금형(91)과 제2 금형(92)을 조합함으로써, 실외 팬(70)의 형상을 구성하는 캐비티(93)를 형성한다(도 10 참조).
다음에, 제1 금형(91)에 형성된 탕구(湯口)(94)로 수지를 주입한다. 탕구(94)는, 캐비티(93)의 축심(O)에 가까운 위치(여기서는, 실외 팬(70)의 허브(71)를 형성하는 부분)로부터 수지를 캐비티(93) 내에 주입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면, 수지가 캐비티(93)의 내주 부분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흘러, 수지가 캐비티(93) 내로 퍼진다. 이 때, 수지는, 캐비티(93) 중 날개 감육부(74, 77), 방사상 리브(75) 및 앞가장자리 리브(76)를 형성하는 부분 등을 통과하여 외주측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다음에, 금형(90)을 냉각수 등으로 냉각하여 수지를 고화시킨다.
다음에, 제1 금형(91)과 제2 금형(92)의 조합을 해제함으로써 금형(90)의 형 개방을 행한다. 그리고, 성형된 실외 팬(70)을 금형(90)으로부터 꺼낸다.
(4) 실외 팬의 특징
본 실시 형태의 축류 팬으로서의 실외 팬(70)에는, 이하와 같은 특징이 있다.
먼저, 본 실시 형태의 실외 팬(70)에서는, 상기와 같이, 날개(72)의 허브(71)와의 부착부(73)에, 외주측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방사상 리브(75)가 남겨놓아지도록 제1 날개 감육부(74)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방사상 리브(75)는, 허브(71) 및 날개(72)를 축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허브(71)의 축심(O)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직선(L) 상으로 연장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도 5 및 도 7 참조).
이 방사상 리브(75)는, 본원 발명자가, 날개(72)의 부착부(73)에 감육부를 형성하는데 있어, 감육부보다도 외주측의 부분에 대한 성형시의 수지의 흘러들어감을 고려한 리브 형상의 연구를 행함으로써 찾아낸 것이다.
이러한 방사상 리브(75)는, 성형시에 금형(90)에 주입되는 수지가 외주측을 향해서 흐르는 것을 촉진하므로, 성형시에 있어서의 제1 날개 감육부(74)보다도 외주측의 부분에 대한 수지의 흘러들어감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방사상 리브(74)는, 방사상으로 연장하지 않은 리브를 남겨놓는 경우에 비하여, 성형시에 금형에 주입되는 수지가 외주측을 향해서 흐르기 쉬워진다. 특히, 여기에서는, 방사상 리브(75)를 직선(L) 상으로 연장하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성형시에 금형(90)에 주입되는 수지가 외주측을 향해서 곧장 흐르게 되어, 수지가 외주측을 향해서 더욱 흐르기 쉬워진다(도 11 참조).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의 실외 팬(70)에서는, 날개(72)의 외주 부분에 있어서의 성형 불량을 억제하면서, 날개(72)의 부착부(73)에 감육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실외 팬(70)에서는, 상기와 같이, 방사상 리브(75)를 둘레방향으로 복수 (여기서는, 4개) 배치하고 있다(도 5 및 도 7 참조).
이 때문에, 성형시에 있어서, 제1 날개 감육부(74)보다도 외주측의 부분에 수지가 흐르는 부분을 둘레방향으로 늘릴 수 있다(도 11 참조).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의 실외 팬(70)에서는, 성형시에 있어서, 금형(90)에 주입되는 수지가 외주측을 향해서 흐르는 것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성형시에 있어서, 제1 날개 감육부(74)보다도 외주측 부분의 어느 둘레방향 위치에 있어서나, 수지가 균등하게 흘러 들어가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실외 팬(70)에서는, 상기와 같이, 부착부(73) 중 방사상 리브(75)보다도 날개(72)의 앞가장자리측의 부분에, 날개(72)의 앞가장자리에 연속하는 앞가장자리 리브(76)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앞가장자리 리브(76)와 방사상 리브(75)의 둘레방향 사이에, 제1 날개 감육부(74)보다도 큰 제2 날개 감육부(77)를 형성하고 있다(도 5 및 도 7 참조).
여기에서, 앞가장자리 리브(76)는, 상기와 같이, 날개(72)의 앞가장자리에 있어서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형성한 것이며, 그 둘레방향의 폭이 방사상 리브(75)보다도 커진다(도 5 및 도 7 참조). 이 때문에, 성형시에 앞가장자리 리브(76) 및 그 부근이 냉각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실외 팬(70)에서는, 상기와 같이, 앞가장자리 리브(76)와 방사상 리브(75)의 둘레방향 사이에 제1 날개 감육부(74)보다도 큰 제2 날개 감육부(75)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앞가장자리 리브(76) 및 그 부근이 냉각되기 어려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의 실외 팬(70)에서는, 방사상 리브(75)뿐만 아니라 앞가장자리 리브(76)가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형시의 싱크 홀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실외 팬(70)에서는, 방사상 리브(70)를,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있다(도 5 및 도 7 참조).
이 때문에, 성형시에 있어서, 복수(여기서는, 4개)의 방사상 리브(75)에 대하여, 수지가 균등하게 흘러들어가기 쉬워진다(도 11 참조).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의 실외 팬(70)에서는, 성형시에 있어서, 제1 날개 감육부(74)보다도 외주측의 부분에 수지가 둘레방향으로 더욱 균등하게 흘러들어가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실외 팬(70)에서는, 날개(72)의 뒤가장자리에, 날개(72)의 앞가장자리측을 향해서 움푹 패인 오목부(72a)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날개 감육부(74)는, 허브(71) 및 날개(72)를 축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오목부(72a)보다도 날개(72)의 앞가장자리측에 위치하고 있다(도 7 참조).
여기에서, 오목부(72a)는, 상기와 같이, 송풍 성능의 향상이나 소음의 억제를 도모하기 위해서 형성한 것이며, 성형시에 있어서, 오목부(72a) 및 그 부근에 수지가 흘러들어가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성형시에 오목부(72a) 및 그 부근의 성형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실외 팬(70)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 날개 감육부(74)가 오목부(72a)보다도 날개(72)의 앞가장자리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성형시에 있어서, 수지가 제1 날개 감육부(74)를 통과하지 않고 오목부(72a) 및 그 부근까지 흘러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의 실외 팬(70)에서는, 제1 날개 감육부(74) 및 오목부(72a)의 양쪽이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형시의 오목부(72a) 및 그 부근으로의 수지의 흘러들어감을 확보하여, 오목부(72a) 및 그 부근의 성형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허브와 허브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날개가 수지 일체 성형된 축류 팬에 대하여, 널리 적용가능하다.
70: 축류 팬 71: 허브
72: 날개 72a: 오목부
73: 부착부 74: 제1 날개 감육부
75: 방사상 리브 76: 앞가장자리 리브
77: 제2 날개 감육부

Claims (6)

  1. 허브(71)와 상기 허브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날개(72)가 수지 일체 성형된 축류 팬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상기 허브와의 부착부(73)에는, 외주측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방사상 리브(75)가 남겨놓아지도록 제1 날개 감육부(74)가 형성되어 있는, 축류 팬(7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리브(75)는, 둘레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는, 축류 팬(70).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리브(75)는, 상기 허브(71) 및 상기 날개(72)를 축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허브의 축심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직선 상으로 연장해 있는, 축류 팬(70).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73) 중 상기 방사상 리브(75)보다도 상기 날개(72)의 앞가장자리측의 부분에는, 상기 날개의 앞가장자리에 연속하는 앞가장자리 리브(7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앞가장자리 리브와 상기 방사상 리브의 둘레방향 사이에는, 상기 제1 날개 감육부(74)보다도 큰 제2 날개 감육부(77)가 형성되어 있는, 축류 팬(70).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리브(75)는,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축류 팬(70).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72)의 뒤가장자리에는, 상기 날개의 앞가장자리측을 향하여 들어간 오목부(7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날개 감육부(74)는, 상기 허브(71) 및 상기 날개(72)를 축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오목부보다도 상기 날개의 앞가장자리측에 위치하고 있는, 축류 팬(70).
KR1020147016654A 2011-11-21 2012-10-05 축류 팬 KR201400932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54456 2011-11-21
JP2011254456A JP5353994B2 (ja) 2011-11-21 2011-11-21 軸流ファン
PCT/JP2012/075924 WO2013077095A1 (ja) 2011-11-21 2012-10-05 軸流ファ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282A true KR20140093282A (ko) 2014-07-25

Family

ID=48469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654A KR20140093282A (ko) 2011-11-21 2012-10-05 축류 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341748A1 (ko)
EP (1) EP2784328A1 (ko)
JP (1) JP5353994B2 (ko)
KR (1) KR20140093282A (ko)
CN (1) CN103946557A (ko)
AU (1) AU2012341788A1 (ko)
WO (1) WO20130770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4589B2 (ja) * 2014-08-07 2017-11-22 三菱電機株式会社 軸流ファン、及び、その軸流ファンを有する空気調和機
CN104929968B (zh) * 2015-07-03 2017-06-16 浙江大学 一种碳纤维复合材料轴流风机叶轮
KR102600955B1 (ko) * 2016-09-21 202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펠러 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JP6926428B2 (ja) * 2016-09-27 2021-08-2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軸流ファン及びそれを用いた室外機
USD858737S1 (en) * 2017-03-16 2019-09-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ropeller fan
ES2926858T3 (es) * 2017-05-25 2022-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Ventilador de hélice y aparato de ciclo de refrigeración
CN107489646B (zh) * 2017-08-02 2024-01-12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锯齿型降噪轴流风叶
US11434924B2 (en) 2017-08-09 2022-09-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ropeller fan, air-sending device,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JP1600724S (ko) * 2017-08-09 2018-04-02
USD870254S1 (en) * 2017-08-09 2019-12-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ropeller fan
JP1600722S (ko) * 2017-08-09 2018-04-02
USD860427S1 (en) 2017-09-18 2019-09-17 Horton, Inc. Ring fan
JP6931776B2 (ja) * 2018-03-28 2021-09-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軸流ファン
JP2020012461A (ja) * 2018-07-09 2020-01-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羽根車、及び軸流ファン
WO2020028010A1 (en) 2018-08-02 2020-02-06 Horton, Inc. Low solidity vehicle cooling fan
JP7071682B1 (ja) * 2021-01-21 2022-05-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軸流ファン及び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8689B2 (ja) * 1999-05-12 2002-11-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ァ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65374B2 (ja) * 1999-10-20 2003-01-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軸流ファン用羽根車
JP4152158B2 (ja) * 2002-09-30 2008-09-1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軸流ファン
JP4467952B2 (ja) * 2003-11-10 2010-05-26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プロペラファ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用室外ユニット
JP2011074817A (ja) * 2009-09-30 2011-04-14 Sanyo Electric Co Ltd 軸流ファ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77095A1 (ja) 2013-05-30
US20140341748A1 (en) 2014-11-20
JP5353994B2 (ja) 2013-11-27
JP2013108442A (ja) 2013-06-06
AU2012341788A1 (en) 2014-06-26
EP2784328A1 (en) 2014-10-01
CN103946557A (zh)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3282A (ko) 축류 팬
KR101636185B1 (ko) 축류팬
EP2980414B1 (en) Turbofan and air conditioner
JP6394409B2 (ja) 送風装置
JP5252070B2 (ja) 軸流ファン
JPWO2008111368A1 (ja) 遠心ファン、空気調和機
US7670115B2 (en) Turbo fan
US10598190B2 (en) Centrifugal blower
EP3034884B1 (en) Centrifugal fan assembly
EP2597393B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0724824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
KR20190073342A (ko)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
WO2013021618A1 (ja) 遠心送風機
WO2017126445A1 (ja) 遠心ファン及び遠心ファンを備えた空気調和機
CN110998098B (zh) 机动车辆热系统的风扇的螺旋桨、包括这种螺旋桨的风扇及热系统
JP2000054992A (ja) プロペラファン
JP2012211576A (ja) 遠心送風機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13227938A (ja) 冷却ファン装置
KR101497327B1 (ko) 팬 쉬라우드
JPH08178343A (ja) 空気調和機
JP2016183634A (ja) 補機用熱交換器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