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988A - 안정화 부재를 갖는 흡수 용품 - Google Patents

안정화 부재를 갖는 흡수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988A
KR20140090988A KR1020147011769A KR20147011769A KR20140090988A KR 20140090988 A KR20140090988 A KR 20140090988A KR 1020147011769 A KR1020147011769 A KR 1020147011769A KR 20147011769 A KR20147011769 A KR 20147011769A KR 20140090988 A KR20140090988 A KR 20140090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absorbent article
stabilizing member
absorben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9439B1 (ko
Inventor
귀영 유
형우 박
민재 이
형범 김
카린 씨 슈로이더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090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a reinforc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제품이 용품 사용 동안에 착용자가 흔히 가하는 횡방향 압축력을 받을 때 제품의 수직방향 뭉침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의도된 디자인을 갖는 안정화 부재를 용품 내에 이용하는 흡수 용품을 게재하고 청구한다.

Description

안정화 부재를 갖는 흡수 용품{ABSORBENT ARTICLE WITH STABILIZATION MEMBER}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소변, 대변 및 월경분비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체액 또는 신체 삼출물을 수집하고 보유하는 데 이용되는 흡수 용품 및 특히, 개인 위생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품과 관련해서, 착용자 편안함 및 흡수성은 두 가지 주요 속성이고 착용자의 관심 영역이다. 이것은 여성 위생 제품, 예컨대 생리대, 팬티 라이너 및 실금자용 제품의 경우에 특히 적용된다.
흡수 용품, 예컨대 생리대의 흔한 문제는 그것이 사용 중에 뭉쳐서 둔부 및 질을 포함하는 신체의 윤곽 안으로 위로 올라가는 경향이다. 이것은 사용자들의 흔한 불만이고, 이 때문에 제품의 흡수 능력에도 불구하고 제품에 전체적으로 불만을 갖는다. 대부분의 흡수 용품은 착용하기 전에는 디자인이 상대적으로 평면이고, 평면은 제품의 종축 및 횡축에 상응하는 제품의 X-Y 평면으로 정의된다. 제품이 계획된 대로 착용자의 언더가먼트의 가랑이 영역에 놓일 때, 제품은 종방향에서 (언더가먼트의 전방부에서 후방부까지) 상대적으로 굽은 모양을 취하지만, 넓은 커버리지를 유지하고 제품이 체액, 예컨대 소변 및 월경분비물을 가두고 보유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품이 가로방향 또는 횡방향에서 그대로 상대적으로 평평하고 평면일 것이 요망된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물질이 제거된 층 및/또는 전체 제품 디자인의 영역이 있는 층 및/또는 전체 디자인을 이용하는 많은 디자인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아마도 인체공학적 핏(fit)을 제공하고 강성을 감소시키는, 패드의 두 말단에서 절단된 하나 이상의 V 모양 노치를 갖는 흡수 용품을 게재하는 미국 특허 제5,514,104호를 참조한다. 미국 공개 제2007/0135788 A1호는 제품에 위치하는 말단 노치 및 측부 노치를 갖는 팬티 라이너를 게재한다. 미국 공개 제2005/0124953호는 가로방향에서 유연성 대역에 의해 분리되는 세그먼트로 나누어진 흡수 패드를 갖는 흡수 용품을 게재한다. 유연성 대역은 최소의 흡수성이고, 세그먼트로 나누어진 흡수 패드 앞에서 우선적으로 변형한다고 쓰여 있다. 흡수 용품에 대한 횡방향 힘이 유연성 대역을 압축하여 흡수 용품의 가로 폭을 감소시킨다. 제WO2008/004961호는 용품의 가랑이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후방부 쪽으로 용품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다리를 포함하는 제1 영역을 가지고 다리 사이의 최대 대향 거리를 가랑이 부분에서 가지는 코어를 갖는 흡수 용품을 게재한다. 미국 특허 제6,740,069호는 흡수 코어의 한 층이 제1 다리 및 제2 다리로 분할된 흡수 용품을 게재한다. 제WO 2003/059222호는 용품의 후방부에 배열되고 가랑이 부분 위에서 일부 연장되는 제2 강성화 부분 요소를 갖는 흡수 용품을 게재한다. 제2 강성화 부분 요소는 그의 말단 가장자리에서부터 가랑이 부분 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려낸 부분을 가지고, 그 때문에 강화 요소가 도려낸 부분의 양옆에 위치하고 제2 부분 요소의 나머지보다 더 유연성인 다리를 형성한다.
이들 디자인 시도에도 불구하고, 착용할 때 제품의 X-Y 평면에 대해 제품의 수직 또는 Z 방향으로 뭉치거나 또는 위로 올라가는 경향에 저항하는 제품이 여전히 필요하다. 이 문제를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은 제품이 특히 제품의 전방부 및/또는 후방부에서 더 평면인 구성으로 그대로 있는 것을 허용하는 안정화 부재를 이용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은 다음 설명에서 아래에서 제시되거나, 또는 그 설명으로부터 자명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흡수 용품은 전방 말단을 갖는 전방 말단부, 후방 말단을 갖는 후방 말단부, 및 전방 말단부와 후방 말단부를 분리하는 중앙부를 포함한다. 용품은 액체 투과성 신체측 층 및 가먼트측 층을 포함하고, 흡수 코어가 용품의 신체측 층과 가먼트측 층 사이에 위치한다. 용품은 용품의 신체측 층과 가먼트측 층 사이에 위치하는 안정화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안정화 부재는 안정화 물질로부터 제조되고, 용품의 전방 말단부 또는 후방 말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1 쌍의 로브(lobe)를 포함한다. 1 쌍의 로브는 중앙부로부터 용품의 각 전방 말단 또는 후방 말단 쪽으로 연장되고, 1 쌍의 로브는 그 사이에 안정화 부재 물질이 없는 보이드를 형성한다. 1 쌍의 로브에 의해 그렇게 형성된 보이드는 일반적으로 용품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중심을 두고, 1 쌍의 각 로브는 중간 구역에 의해 분리되는, 중앙부에 인접한 근위 말단 및 원위 말단을 갖는다. 각 로브의 원위 말단은 원위 거리로 분리되고, 각 로브의 근위 말단은 근위 거리로 분리되고, 각 로브의 중간 구역은 중간 거리로 분리된다. 1 쌍의 각 로브 사이의 원위 거리는 근위 거리보다 길고, 중간 거리는 근위 거리보다 짧다. 추가로, 1 쌍의 로브에 의해 형성된 보이드는 용품의 중앙부 내로 연장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흡수 용품은 용품의 전방 말단부 및 후방 말단부 둘 모두에 위치하는 1 쌍의 로브를 가질 수 있다. 1 쌍의 로브 각각의 모양은 다른 1 쌍의 로브와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고, 1 쌍의 로브의 근위 거리, 중간 구역 및 원위 거리는 각각 다른 1 쌍의 로브와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대안적 실시양태에서, 용품은 안정화 부재 및 안정화 부재에 의해 형성된 보이드의 적어도 일부 위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엠보싱은 흡수 용품의 다수의 층에 있을 수 있다.
근위 말단에 인접하는 로브의 부분은 흡수 용품의 길이방향 중심선에서 상대적 V 모양에 의해 보이드가 형성되게 하는 모양으로 끝날 수 있고, V 모양의 개방된 말단이 흡수 용품의 중앙부 쪽으로 향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상기한 것과 독립적으로 및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안정화 부재가 중앙 영역에 인접해서 실질적으로 둥근 말단 또는 중앙 영역에 인접해서 실질적으로 삼각형 말단 또는 중앙 영역에 인접해서 다이아몬드 모양 말단을 갖는 보이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흡수 용품의 흡수 코어는 적어도 80 중량%의 비스코스 레이온을 포함하는 섬유 부직 웹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대안적 실시양태에서는, 이 웹 물질이 수력학적으로 얽힌 비스코스 레이온 스펀 레이스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안정화 부재는 다른 물질 중에서도 발포체 물질, 쓰루 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 또는 화학적 본디드 카디드 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별 실시양태에서, 흡수 용품은 약 10 내지 약 40 ㎜의 근위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독립적으로 또는 그와 함께, 용품은 약 1 내지 약 30 ㎜의 중간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독립적으로 또는 그와 함께, 용품은 약 30 내지 약 70 ㎜의 원위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흡수 용품은 흡수 코어의 길이의 약 80 내지 약 120 %인 길이를 갖는 안정화 부재를 가질 수 있다. 독립적으로 또는 그와 함께, 용품은 흡수 코어의 폭의 약 70 내지 약 140 %인 폭을 갖는 안정화 부재를 가질 수 있다. 독립적으로 또는 그와 함께, 용품은 약 40 내지 약 120 g/㎡의 기초 중량을 갖는 안정화 부재를 가질 수 있다.
당 업계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명세서를 검토함으로써 이러한 실시양태의 특징 및 측면 및 다른 것들을 더 잘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충분하고 권능적인 게재가 첨부 도면에 대한 언급을 포함해서 명세서의 나머지에서 더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도 1 및 1a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상면도.
도 2는 도 1의 선 2-2를 따라서 절취한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의 하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안정화 부재의 상면도.
도 5a, 5b, 5c 및 5d는 본 발명에 따르는 대안적 안정화 부재의 부분 상면도.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상세한 설명
이제, 본 발명의 현 실시양태를 상세히 언급할 것이고, 그의 하나 이상의 예가 첨부 도면에 도시된다. 각 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사실상,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정신에서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에 변형 및 변화를 가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실시양태의 일부로서 도시되거나 또는 기술된 특징들을 또 다른 실시양태에 이용해서 추가의 실시양태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의 동등물의 범위 내에 있는 이들 변형 및 변화 및 그러한 다른 변형 및 변화를 망라하는 것을 의도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체액 또는 신체 삼출물을 가로채어 보유하기 위한 흡수 용품 (10)에 관한 것이다. 첨부 도면은 흡수 용품 (10)을 일반적으로 둥근 말단을 가지는 기다란 모양을 갖는 여성 위생용 생리대로서 도시하지만; 흡수 용품 (10)은 또한 팬티 라이너, 쉴드, 기저귀, 배변연습용 팬츠, 성인 실금자용 가먼트, 또는 붕대를 포함해서 당 업계에 알려진 어떠한 다른 일회용 흡수 용품도 될 수 있다. 게다가, 흡수 용품 (10)은 특정 응용에 의존해서 다른 모양, 예컨대 모래시계 또는 직사각형 모양, 및 다양한 크기 및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1, 2 및 3에 대해 설명하면, 흡수 용품 (10)은 일반적으로 상면 시트, 신체측 층 또는 커버 (20), 임의의 이송 또는 서지 층 (30), 배면 시트, 가먼트측 층 또는 배플 (40), 및 흡수 코어 (50)를 포함한다.
상면 시트 또는 커버 또는 신체측 층 (20)은 흡수 용품 (10)에 사용자 피부와 접촉하는 액체 투과성 표면을 제공한다. 신체측 층 (20)은 유연성이고 순응적이고 피부에 비자극적임으로써 사용자 피부와의 편안한 체형합치성 계면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신체측 층 (20)은 유체를 신속하게 밑에 있는 층들로 이송해야 하고 사용 동안 여전히 건조하고 깨끗해야 한다. 액체 투과성인 것 외에, 또한, 신체측 층 (20)은 최소의 흡수로 삼출물을 자유롭게 통과시키는 개구(나타내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측 층 (20)은 흡수 코어 (50)로의 투과성을 더 증진하고 신체측 층 (20)에 의한 유체 체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계면활성제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신체측 층 (20)은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표면을 생성하고 신체측 층 (20)을 통과하는 삼출물을 더 분산시키기 위해 엠보싱 (24), 예컨대 엠보싱된 채널 (24a) 및 아치형 엠보싱 (24b)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요망된다면, 이 엠보싱 (24)은 제품의 유체 취급 성질을 증진하기 위해 제품의 하나 이상의 다른 층 내로 아래로 연장될 수 있고, 신체측 층 (20)을 아래에 있는 층들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신체측 층 (20)은 체액을 통과시키고 게다가 사용자에게 여전히 편안한 어떠한 제직 또는 부직 물질도 될 수 있다. 적당한 부직 물질은 스테이플 섬유로부터 제조된 스펀본드 웹 및 본디드 카디드 웹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개구가 있는 필름도 적당한 커버 물질이다. 적당한 커버 물질의 예는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의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나일론, 또는 다른 열결합성 섬유, 및 지방족 에스테르, 예컨대 폴리락트산을 포함한다.
적당한 본디드 카디드 웹 커버 물질의 한 예는 일반적으로 25 내지 50 ㎜의 길이 범위의 스테이플 길이 섬유로부터 제조된 쓰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TABCW)이다. 요망된다면, TABCW는 다른 적당한 섬유 웹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체 흡입을 증가시키도록 기계적으로 천공될 수 있고/있거나 유체 취급 성질을 증가시키도록 엠보싱될 수 있다.
이러한 TABCW 물질의 또 다른 예는 파이버비전스 코포레이션(FiberVisions Corporation; 미국 조지아주 둘루쓰에 사무실을 가짐)으로부터 입수가능한 약 35 ㎜의 스테이플 길이를 갖는 1.5 데니어(d) 폴리에틸렌 시드, 폴리프로필렌 코어 이성분 스테이플 섬유로 제조된 25 gsm(gram per square meter) 웹이다. 이들 섬유는 상표명 ESC215로 입수가능하다.
추가로, 커버 물질은 제품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서 뻗고 종방향 중심선을 가로지르는 중앙 구역(나타내지 않음)을 가지고, 중앙 구역의 양옆에 있고 거기에 접합된 횡방향 측부 구역(나타내지 않음)을 갖는 다성분 물질일 수 있다. 중앙 구역은 상기 TABCW 물질 뿐만 아니라 다른 부직포로부터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천공된 필름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횡방향 측부 구역은 중앙 구역에 접합되는 상이한 섬유상 부직 물질 또는 필름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물질의 다른 예는 커비(Kirby) 등의 미국 특허 제5,533,991호 및 제5,415,640호, 및 코우(Coe) 등의 미국 특허 제5,961,505호에서 찾을 수 있고, 이들 각 특허는 본원과 상충하지 않는 한에서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서지 또는 이송 층 (30)은 신체측 층 (20)과 흡수 코어 (50) 사이에 임의의 층을 제공한다. 이송 층 (30)이 존재할 때, 그것은 신체측 층 (20)을 통과하는 유체를 흡상하고 그 유체를 흡수 코어 (50)를 포함하는 아래에 있는 층으로 분산시킨다. 이송 층 (30)은 섬유 부직 웹, 필름 및 개인 위생 흡수 용품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쉽게 입수가능하고 그들에게 알려진 커버 물질 뿐만 아니라 어떠한 서지 물질에 관해서 위에서 언급한 섬유, 중합체 및 섬유 및 필름 구조 중 어느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서지 또는 이송 층 (30)의 한 예는 삼보 컴퍼니, 엘티디(Sambo Company, LTD; 대한민국 대구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한 섬유상 단일 층 부직 웹이다. 이러한 웹은 20 내지 40 gsm의 범위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이 특이한 웹은 35 - 40 ㎜ 섬유 길이를 갖는 ESC-UB HR6 폴리에틸렌 쉬드/폴리프로필렌 코어 이성분 5 데니어(d) 스테이플 섬유(상기한 파이버비전스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입수가능함) 80 중량% 및 후비스 컴퍼니, 엘티디(Huvis Company, LTD; 대한민국 서울)로부터 입수가능하고 상표명 SD-10으로 판매되는 35 - 40 ㎜의 섬유 길이를 갖는 폴리에스테르(PET) 3d 스테이플 섬유 20 중량%의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25 gsm TABCW이다.
어떤 서지 물질이 이용되든, 서지 또는 이송 층은 제품의 전길이에 뻗을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더 짧을 수 있고 또는 제품의 특정 영역에 전략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추가로, 그것은 제품의 횡방향 측부까지 연장되는 전폭 층일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더 짧은 폭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그것은 일반적으로 제품의 종방향 중심선 (96)에 중심을 둘 것이다.
배면 시트, 또는 가먼트측 층 또는 배플 (40)은 보통 제품의 외주에서 신체측 층 (20)에 직접적으로 또는 중간 층을 통해 간접적으로 외주 접합될 수 있다. 그것은 삼출물이 흡수 용품 (10)을 완전히 침투하여 사용자의 언더가먼트를 더럽히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 불투과성 및 임의로, 증기 투과성 표면을 흡수 용품 (10)에 제공한다. 이상적으로, 가먼트측 층 (40)은 부드럽고 유연성이고 온화하고 통기성이고, 흡수 코어 (50)에 대향하는 면에 어느 정도 흡수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대해 설명하면, 가먼트측 층 (40)의 외표면은 흡수 용품 (10)을 사용자의 언더가먼트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성 스트립 또는 다른 적당한 체결 기구 (42)(42a 및 42b)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 전, 용품 (10)의 주 몸체에 있는 접착성 스트립 (42a)은 박리 스트립 (44)으로 덮이고, 이 박리 스트립은 나중에 착용자의 언더가먼트의 안쪽 표면 또는 바깥쪽 표면에 나중에 부착하기 위해 제거되어 접착성 스트립을 노출한다. 가먼트측 층 (40)은 당 업계에 알려진 어떠한 적당한 물질도 될 수 있고, 예컨대 엠보싱된 및 비엠보싱된 열가소성 필름, 부직 웹, 적층된 티슈, 및 앞에 열거한 것들의 조합일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가먼트측 층 (40)은 미세기공성 필름에 적층된 부직 물질을 포함하고, 이 부직 물질은 흡수 용품 (10)에 부드럽고 편안한 외표면을 형성한다. 별법으로, 가먼트측 층 (40)은 통기성 폴리에틸렌(PE)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이러한 필름은 약 0.03 내지 약 0.07 ㎜의 두께를 가질 수 있지만, 제품의 특정 최종 용도에 의존해서 다른 두께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필름은 통기성일 수 있고, 500 내지 2500 gsm/일의 수증기 전달률(WVTR)을 갖지만, 제품의 특정 최종 용도에 의존해서 다른 전달률도 이용될 수 있다.
가먼트측 층 (40)으로 이용하기에 적당한 필름의 한 예는 대명 케미컬 컴퍼니, 엘티디(DaeMyung Chemical Company, LTD; 대한민국 경상북도 문경시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한 50 중량%의 탄산칼슘 및 50 중량%의 PE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것은 0.05 ㎜의 두께, 35 gsm의 기초 중량 및 500 gsm/일의 WVTR을 갖는다.
흡수 코어 (50)는 사용 동안 계속 가볍고 건조한 느낌이 들면서 체액 또는 신체 삼출물을 수집하여 보유하는 작용적 물질을 제공한다. 흡수 코어 (50)가 부드럽고 심지어 젖을 때조차도 그의 형상을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코어 (50)는 신체측 층 (20)과 가먼트측 층 (40) 사이에 있고, 흡수 코어 (50)를 제자리에 유지하고 흡수 코어 (50)를 마모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어느 한 층에 또는 두 층 모두에 또는 임의의 서지 층 (30) 같은 중간층에 부착될 수 있다. 흡수 코어 (50)는 두께가 대표적으로 약 2 내지 약 10 ㎜이지만, 특정 응용에 의존해서 이 범위 밖의 두께도 허용된다.
흡수 코어 (50)는 일반적으로 압축성이고 체형에 합치할 수 있고 사용자 피부에 비자극적이고 체액을 흡수하여 보유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 또는 어떠한 성분 조합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 코어 (50)는 셀룰로오스 섬유, 예컨대 목재 펄프 섬유의 흡수 웹, 다른 천연 섬유, 합성 섬유, 제직 또는 부직 시트, 스크림 네팅 또는 다른 안정화 구조, 초흡수 물질, 결합제 물질, 계면활성제, 선택된 소수성 및 친수성 물질, 안료, 로션 및 냄새 제어제, 뿐만 아니라 그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흡수 코어 (50)는 초흡수 히드로겔 형성 입자를 갖는 셀룰로오스 플러프의 매트릭스이다. 흡수 코어 (50)는 당 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 및 기술, 예컨대 건식 성형, 에어 성형, 습식 성형, 및 발포 성형, 뿐만 아니라 그의 조합을 이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초흡수 물질은 당 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천연 중합체 및 물질, 합성 중합체 및 물질, 및 개질된 천연 중합체 및 물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흡수 코어 (50)는 일반적으로 초흡수 물질을 포함하고, 초흡수 물질은 응용 및 요망되는 흡수성에 의존해서 흡수 코어 (50)의 약 1 내지 90 중량%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총 흡수성은 유아용 위생 제품의 경우 0.9 중량% 염수 용액 약 200 내지 900 g일 수 있고; 이에 반해, 성인용 위생 제품의 경우 총 흡수성은 0.9 중량% 염수 용액 약 400 내지 2000 g일 수 있다. 여성용 위생 제품의 경우, 총 흡수성은 월경액 약 7 - 50 g의 범위 내이다. 임의로, 흡수 코어 (50)는 티슈 또는 부직포, 예컨대 스펀본드 또는 멜트블로운 부직포 또는 스펀본드층 및 멜트블로운층의 적층체로부터 제조된 코어 랩(나타내지 않음)이라고 불리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코어 랩의 목적은 초흡수 입자를 흡수 코어 (50) 내에 보유하고 흡수 코어 (50)의 습윤 및 건조 강도 및 완전성 둘 모두를 증가시키는 것을 돕는 것이다.
흡수 코어 (50)로서 특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발견된 물질은 스펀레이스 물질, 특히 적어도 80 중량%의 비스코스 레이온을 함유하는 물질이다. 이러한 한 가지 물질은 1.7 데시텍스 비스코스 레이온, 40 ㎜ 길이 스테이플 섬유로부터 전부 제조된 100 gsm의 기초 중량을 갖는 수력학적으로 얽힌 비스코스 레이온 스펀레이스 웹이다. 섬유 자체는 렌징 악티엔게젤샤프트(Lenzing Aktiengesellschaft; 오스트리아 렌징)에서 제조되고, 비스코스 레이온(Viscose Rayon) 55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된다. 스펀레이스 웹 자체는 백산 컴퍼니, 엘티디(BaikSan Company, LTD; 대한민국 경기도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하다.
이러한 스펀레이스 층은 접착제를 단독으로 또는 다른 결합 기술, 예컨대 열 및/또는 압력 또는 초음파를 이용한 엠보싱과 함께 이용해서 안정화 부재 (60)에 접착제로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3에 대해 설명하면, 흡수 용품은 제품의 중앙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날개 또는 플랩 (52)이라고 불리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날개 또는 플랩 (52)은 당 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용품의 다른 성분들, 예컨대 신체측 층 (20) 및 가먼트측 층 (40)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별도의 물질로부터 형성된 후 제품의 측부에 부착될 수 있다. 그것도 접착제 (42b) 및 박리 스트립 (44)을 갖춘다. 이러한 날개의 목적은 날개를 언더가먼트의 아랫면 또는 외부로 접어서 흡수 용품 (10)의 주 몸체에 이용되는 가먼트 접착제 (42b)와 동일한 일반적 방법으로 가먼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날개를 언더가먼트의 외표면에 또는 그 자체에 부착시킴으로써 흡수 용품을 착용자의 언더가먼트에 더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이다.
흡수 용품 (10)의 다양한 층은 특정 제품의 설계 기준에 의존해서 서로 간에 접합될 수 있거나 또는 접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접착제, 열 및/또는 압력을 이용한 결합 및 엠보싱 기술, 초음파 결합, 니들링, 수력학적 얽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어떠한 통상적인 접합 기술도 이용될 수 있다. 대부분 경우에서는, 흡수된 체액의 누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품의 외주에서 하나 이상의 층을 함께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 및 1a 및 특히, 도 4, 5 및 5a 내지 5d에 대해 설명하면, 흡수 용품 (10)은 사용 중에 제품의 윤곽 및 뭉침을 조절하기 위한 안정화 부재 (60)를 함유한다. 흡수 용품, 예컨대 생리대의 흔한 문제는 그것이 사용 중에 뭉쳐서 엉덩이 및 질을 포함한 신체의 윤곽 안으로 올라가는 경향이다. 이것은 사용자들의 흔한 불만이고, 이 때문에 제품의 흡수 능력에도 불구하고 제품에 전체적으로 불만을 갖는다. 대부분의 흡수 용품은 착용하기 전에는 제품의 X-Y 평면이라고 불리는 곳에서 디자인이 상대적으로 평면이다. 제품이 설계된 대로 착용자의 언더가먼트의 가랑이 영역에 놓일 때, 제품은 종방향에서 (언더가먼트의 전방부에서부터 후방부까지) 상대적으로 굽은 모양을 취하지만, 제품은 넓은 커버리지를 유지하고 제품이 체액, 예컨대 소변 및 월경분비물을 가두고 보유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횡방향에서 그대로 상대적으로 평평하고 평면일 것이 여전히 요망된다. 이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제품이 특히 제품의 전방 말단 및 후방 말단에서 더 평면인 구성으로 그대로 있는 것을 허용하는 독특한 안정화 부재 (60)를 이용한다. 따라서, 제품은 X축 및 Y축에 의해 형성되는 제품의 평면에 수직인 제품의 Z축을 따라서 수직 방향에서 뭉쳐서 비뚤어지는 성향에 저항하는 경향이 있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안정화 부재 (60)는 흡수 코어 (50) 위에 신체측 층 (20)에 더 인접해서 위치하지만, 또한 안정화 부재를 흡수 코어 (50) 아래에 가먼트측 층 (40)에 더 인접해서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시, 서지 층 (30)이 임의적임을 주목해야 한다.
제품 전체 및 특히 안정화 부재 (60)의 특수한 측면들을 이해하기 위해, 흡수 용품 (10)은 전방 말단 또는 가장자리 (88)를 갖는 전방 말단부 (82), 후방 말단 또는 가장자리 (90)를 갖는 후방 말단부 (84), 및 전방 말단부 (82)와 후방 말단부 (84)를 분리시키는 중앙부 (86)를 갖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추가로, 용품은 대표적으로 신체 대향 측이라고 불리는 제1 측 또는 표면 (92) 및 대표적으로 가먼트 대향 측 또는 표면 (94)이라고 불리는 제2 측 또는 표면 (94)을 갖는다. 추가로, 용품은 종방향 또는 길이방향 중심선 또는 X축 (96) 및 횡방향 또는 가로방향 중심선 또는 Y축 (98)을 갖는다. Z축 (99)은 도 2에 나타낸 X 축 및 Y 축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수직이다.
중앙부 (86)는 제품의 중간 구역에 위치하고, 신체 삼출물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가장 많은 제품의 영역이다. 중앙부 (86)는 전방 말단 또는 가장자리 (88)에서부터 후방 말단 또는 가장자리 (90)까지 종방향에서 측정되는 제품의 전체 길이의 거의 중간 1/3로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중앙부 (86)를 점선 (87) 및 (89)으로 경계를 정한다. 중앙부는 안정화 부재 (60)의 이후에 정의되는 로브 (62) 또는 보이드 영역 (64)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정의된다. 로브 (62)의 가장 낮은 끝점은 횡방향 중심선 (98)에 가장 가까운 보이드 영역 (64)의 최하부에 접하는 선 (85)을 그림으로써 형성되고, 그렇게 그린 접선은 횡방향 중심선 (98)에 평행하다(도 5 및 5c 참조). 따라서, 점선 (87) 및 (89)을 그릴 때, 점선은 중앙부 (86)를 형성하는 제품의 부분 내에 이들 로브 (62) 및 보이드 (64)를 포함하지 않는 지점에 위치해야 한다. 그러나, 최소한으로, 중앙부 (86)는 제품 (10)의 횡방향 중심선 (98), 및 용품 (10)의 종방향에서 측정되는 흡수 용품 (10)의 최대 길이(전방 가장자리 (88)에서부터 후방 가장자리 (90)까지)의 적어도 20%를 포함하는 전체 흡수 용품 (10)의 영역을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최소한으로, 중앙부 (86)는 제품의 전체 길이의 20%를 포함할 것이고, 일반적으로, 흡수 용품 (10)의 측부 쪽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될 것이다. 제품의 길이의 나머지는 전방 말단부 (82) 및 후방 말단부 (84)로 나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것 같이 중앙부 (86)가 일반적으로 제품의 횡방향 중심선 (98)에 중앙을 두고, 전방 말단부 (82) 및 후방 말단부 (84)가 제품의 나머지 길이를 똑같이 나눈다. 또한, 특정 디자인 매개변수 또는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세 부분(전방부, 중앙부 및 후방부)의 치수를 치우치게(skew)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후방 말단부 (84)의 크기 및 길이가 전방 말단부 (82)보다 큰 비대칭 패드가 널리 입수가능하다. 도 1a를 참조한다. 따라서, 또한, 중앙부 (86)를 횡방향 중심선 (98)으로부터 제품의 전방 말단부 또는 후방 말단부 쪽으로 더 이동시키고 전방 말단부 (82) 및 후방 말단부 (84)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대해 중앙부 (86)의 전체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1, 4 및 5에 대해 설명하면, 안정화 부재 (60)는 용품 (10)의 전방 말단부 (82) 및 후방 말단부 (84)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위치할 수 있는 1 쌍의 횡방향에서 대향하는 로브 (62)(62a 및 62b)를 갖는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말단부 (82) 및 후방 말단부 (84) 둘 모두에 각각 1 쌍의 로브 (62)가 위치한다. 로브 (62a) 및 (62b)는 용품 (10)의 중앙부 (86)로부터 각각 제품의 전방 말단 (88) 또는 후방 말단 (90) 쪽으로 연장된다. 로브 (62a) 및 (62b)는 안정화 부재 (60)로부터의 물질 제거로 인해 또는 별개의 물질 조각으로부터 로브 (62) 형성 후 함께 접합됨으로 인해 대표적으로 제품의 종방향 중심선 (96)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로브 사이에 보이드 (64)를 형성한다. 별법으로, 보이드 (64) 및 로브 (62a) 및 (62b)는 안정화 부재 (60)가 섬유 구조와 관련해서 형성 드럼에 포켓을 이용할 때처럼 요망되는 말단 모양을 갖는 금형에서 또는 발포체 물질을 이용할 때는 형상화된 금형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형성될 수 있다. 보이드 영역 (64)은 일반적으로 전체 용품 (10)의 길이방향 중심선 (96)에 중심을 둔다. 각 로브 (62)는 중앙부 (86)에 인접하는 근위 말단 (68)(68a 및 68b) 및 제품의 각각의 전방 가장자리 (88) 및 후방 가장자리 (90)에 인접하는 원위 말단 (70)(70a 및 70b)을 갖는다. 로브 (60)(60a 및 60b)의 근위 말단 (68) 및 원위 말단 (70)은 중간 구역 (72)(72a 및 72b)에 의해 분리된다. 로브의 각각의 모양에 의해 생성되는 보이드 (64)는 패드가 로브 및 보이드를 함유하는 용품의 부분에서 용품 (10)의 수직 또는 Z 방향 (99)에서의 제품의 뭉침 및 이동에 저항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용품을 착용자에게 더 편안하게 한다. 로브 (62)(62a 및 62b)의 원위 말단 (70)(70a 및 70b)은 원위 거리 (74)로 분리되고, 로브 (62)의 근위 말단 (68)(68a 및 68b)은 근위 거리 (76)로 분리되고, 로브 (62)의 중간 구역 (72)(72a 및 72b)은 중간 거리 (78)로 분리된다. 원위 거리 (74)는 근위 거리 (76)보다 길고, 중간 거리 (78)는 근위 거리 (76)보다 짧다.
로브 (62) 및 그에 따른 그 사이의 보이드 (64)의 디자인은 다수의 모양을 취할 수 있지만, 단, 근위 거리 (76), 중간 거리 (78) 및 원위 거리 (74)가 위에서 제시한 매개변수를 충족시킨다. 원위 거리 (74)는 일반적으로 두 로브 사이의 가장 넓은 거리이고, 로브 (62)에 인접해서 또는 로브 (62)의 영역에서 안정화 부재 (60)의 원위 말단 (70)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따라서 보이드 (64)의 가장 넓은 부분을 형성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위 거리는 이 경우에서는 안정화 부재 (60)에서 각 로브 (62)의 원위 말단 (70)에 접하는 선 (74)을 따라서 측정된다. 도 5d에서, 상이한 모양을 갖는 로브 (62)를 나타내지만, 그것은 근위 거리, 중간 거리 및 원위 거리에 관해서 위에서 제시한 상대 거리를 여전히 포함한다.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로브 (62a)와 (62b) 사이의 가장 넓은 거리는 바로 로브 (62)의 말단이 아니고, 대신, 선/원위 거리 (74a)로 나타낸 바와 같이 말단으로부터 안쪽이다.
로브 (62)의 근위 말단 (68)과 원위 말단 (70) 중간에서, 로브 (62)는 근위 거리 (76)보다 짧고 따라서 원위 거리 (74)보다 짧은 중간 거리 (78)로 분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들 선 및 그에 따른 거리는 본 발명을 정의하는 공간 관계를 만족시키는 하나 초과의 위치에서 그릴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간 구역 선 및 거리 (78)는 중간 거리 (78)가 근위 거리 (76)보다 짧아야 한다는 요건을 여전히 충족시키는 로브 (62a)와 (62b) 사이의 여러 지점 (78a 및 78b)에서 그릴 수 있다. 또한, 근위 거리 (76) 및 원위 거리 (74)를 위한 선을 그리는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5 및 5b의 요소 (76a) 및 (74b)를 참조한다.
근위 거리 (76)는 중간 거리 (78)를 지나고 중간 거리 (78)보다 용품 (10)의 중앙부 (86)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거리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것도 다수의 위치에서 그릴 수 있고, 단, 로브 (62)의 모양 때문에 선택된 거리가 중간 구역 거리 (78)보다 더 길다는 공간 관계를 충족시킨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근위 거리 및 선은 기준 지점 (76) 또는 (76a)에서 그릴 수 있고, 본 발명의 공간 요건을 여전히 충족시킨다. 근위 거리 (76a)가 보이드 영역 (64)의 최하위 부분 바로 안쪽에 그려지는 것으로 나타내고, 또한 그것은 근위 거리 (76)를 로브 (62)(62a 및 62b)의 근위 말단 (68)(68a 및 68b)에 접하여 그릴 때 안정화 부재 물질 (60)의 일부와 교차한다.
도 1, 1a, 4, 5 및 5d에서, 로브 (62)는 그의 근위 말단 (68)에 인접해서 일반적으로 흡수 용품 (10)의 길이방향 중심선 (96)에 위치하는 보이드 영역 (64)에 상대적 V 모양을 형성하는 방식의 모양을 갖는다. 나타낸 바와 같이, 로브 (62)가 이 V 모양으로 끝나기 때문에, V의 개방된 말단이 용품 (10)의 중앙부 (86) 쪽으로 향하고, 따라서 힌지 지점을 형성함으로써, 용품이 제품 착용자에 의해 횡방향 압축력을 받을 때 로브 (62)의 원위 말단 (70)이 흡수 용품 (10)의 종방향 중심선 (96) 쪽으로 안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5a, 5b 및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브 (62)는 다른 모양을 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요건을 여전히 충족시킨다. 예를 들어, 도 5a에서, 로브 (62)의 근위 말단 (68)은 로브의 근위 말단 (68)에 인접해서 도 5에 나타낸 것보다 더 둥근 모양을 갖는 보이드 영역 (64)을 형성하도록 하는 모양을 갖는다. 도 5b에서, 로브 (62)는 보이드 영역 (64)이 상대적으로 평평한 하부 말단을 갖는 더 삼각형인 모양이도록 하는 모양을 가지고, 도 5c에서, 보이드 영역 (64)은 좀더 다이아몬드 모양이다. 그러나, 각 실시양태에서, 원위 거리 (74)가 근위 거리 (76)보다 더 길고 중간 거리 (78)가 근위 거리 (76)보다 더 짧아야 한다는 요건이 충족된다는 것을 주목한다.
여성용 위생 제품, 예컨대 생리대 및 팬티 라이너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과 관련해서, 근위 거리 (76)는 약 10 내지 약 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근위 거리 (76)는 약 15 내지 약 30 ㎜이다.
여성용 위생 제품, 예컨대 생리대 및 팬티 라이너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과 관련해서, 중간 거리 (78)는 약 1 내지 약 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중간 거리 (78)는 약 3 내지 약 15 ㎜이다.
여성용 위생 제품, 예컨대 생리대 및 팬티 라이너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과 관련해서, 원위 거리 (74)는 약 30 내지 약 7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원위 거리 (74)는 약 40 내지 약 60 ㎜이다.
전체 길이에 관해서, 여성용 위생 제품, 예컨대 생리대 및 팬티 라이너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과 관련해서, 안정화 부재 (60)는 일반적으로 흡수 코어 (50)의 크기와 비슷해야 하지만, 요망된다면, 그것은 흡수 코어보다 클 수 있거나 또는 작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정화 부재 (60) 길이는 흡수 코어 (50)의 길이의 약 80% 내지 약 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안정화 부재 (60)의 전체 길이는 흡수 코어 (50)의 길이의 약 90% 내지 약 110%일 것이다. 이 계산을 할 때는 각 물질의 종축 (96)에 평행한 최대 길이를 이용해야 한다.
전체 폭에 관해서, 여성용 위생 제품, 예컨대 생리대 및 팬티 라이너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과 관련해서, 안정화 부재 (60)는 일반적으로 흡수 코어 (50)의 크기와 비슷해야 하지만, 요망된다면, 그것은 흡수 코어보다 클 수 있거나 또는 작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정화 부재 (60)는 흡수 코어 (50)의 폭의 약 70% 내지 약 140%의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안정화 부재 (60)의 전체 폭은 흡수 코어 (50)의 폭의 약 90% 내지 약 120%일 것이다. 이 계산을 할 때는 각 물질의 가로축 (98)에 평행한 최대 길이를 이용해야 한다.
기초 중량에 관해서, 안정화 부재 (60)는 특정 최종 용도에 상응하는 어떠한 기초 중량도 가질 수 있다. 여성용 위생 제품, 예컨대 생리대 및 팬티 라이너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과 관련해서, 약 40 내지 약 120 g/㎡의 기초 중량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100 g/㎡이다. 추가로, 안정화 부재 (60)의 전방 말단부 (82), 후방 말단부 (84) 및 중앙부 (86) 각각에서의 기초 중량은 서로에 대해 다를 수 있다. 게다가, 제품의 한 말단 또는 두 말단에서 로브 중 하나 (62a)의 기초 중량은 다른 한 로브 (62b)의 기초 중량과 다를 수 있다.
안정화 부재의 주기능은 횡방향 압축력을 받을 때 Z 방향 (99)(제품의 X-Y 평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과도하게 뭉치지 않고 변형하지 않으면서 착용자 신체에 좋은 핏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강직성을 제품에 제공하는 적절한 양의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 안정화 부재 (60)가 전체 제품 디자인 및 기능성에 비해 다른 기능, 예컨대 제품을 따라서 횡방향 및 종방향에서의 유체 분포, 그 부재 위 및 아래의 인접 층에 유체 이송, 및 누출에 대해 보호하는 유체 체류를 수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안정화 부재 (60)는 임의의 이송 층 (30) 및 흡수 코어 (50)의 일부 유체 취급 성질을 맡을 수 있다. 어쨌든, 안정화 부재 (60)가 유체, 예컨대 소변, 월경분비물 또는 대변을 신체측 또는 제1 측 (92)으로부터 흡수 용품 (10) 안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유체 투과성이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화 부재 (60)가 제품의 유체 취급 성질에 대해서 적어도 어느 정도의 기능성을 가질 것이라는 사실 때문에, 로브 (62) 및 그에 따른 보이드 영역 (64)이 제품의 중앙부 (86) 내로 연장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브 (62)가 전방 말단부 (82) 및 후방 말단부 (84)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있기 때문에 이렇게 중앙부 (86)에 보이드 영역 (64)이 없는 것은 대표적으로 해부학적으로 착용자에 대해 신체 삼출물의 가장 직접적인 인설트와 마주치는 영역에 위치하는 중앙부 (86)가 그의 유체 취급 능력을 최대화하는 것을 허용한다.
안정화 부재 (60)를 위한 적당한 물질은 스테이플 섬유 길이 부직포, 예컨대 쓰루 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TABCW)을 포함하는 본디드 카디드 웹 및 화학적 본디드 웹 및 더 연속인 섬유 웹, 예컨대 스펀본드 웹 및 멜트블로운 웹을 포함하는 섬유 부직 웹 물질 뿐만 아니라 이러한 웹 및 다른 물질로부터 형성된 적층체 물질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게다가, 다공성 필름 층도 또한 안정화 부재 (60)의 일부로 이용될 수 있다. 안정화 부재 (60)에서 상기 섬유의 적어도 일부가 어떠한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서도, 예컨대 열 및/또는 압력 결합, 초음파 결합, 화학 결합, 결합제, 접착제, 니들링, 수력학적 얽힘 또는 앞에 열거한 것들의 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부직 웹의 섬유간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더 낮은 용융점 부분을 갖는 결합제 섬유, 예컨대 이성분 섬유가 이용될 수 있다. 발포체 물질, 예컨대 개방 셀 또는 망상형 발포체 및 폐쇄 셀 발포체가 단독으로 또는 다른 물질과 함께 안정화 부재 (60)를 형성하는 데 적당하다. 추가로, 상기 물질 중 어느 것도 또는 상기 물질 모두가 예컨대 개구 형성, 적층 및 엠보싱에 의해 추가로 조합될 수 있고 가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의 다른 층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안정화 부재 (60)는 하나 이상의 엠보싱된 영역 (24)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엠보싱은 중앙부 (86), 전방 말단부 (88) 또는 후방 말단부 (90) 뿐만 아니라 상기 부분들의 어떠한 조합에도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엠보싱은 대표적으로 추가의 유체 취급을 위해 체액을 받아서 제품의 다른 부분으로 유도하는 채널로 기능을 한다. 다른 엠보싱, 예컨대 점 엠보싱은 추가로 섬유들을 함께 결합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층에 충분한 섬유간 결합 강도 및 완전성을 제공한다. 도 1에 대해 설명하면, 제품의 주 구조의 윤곽과 일반적으로 유사하고, 이렇게 해서 제품의 많은 층을 덮는 경주트랙형 엠보싱 (24a)을 볼 수 있다. 또한, 이 엠보싱 (24a)은 안정화 부재 (60)의 전방 말단부 (82), 후방 말단부 (84) 및 중앙부 (86)에서 연장된다. 그것은 로브 (62)의 원위 말단 (70)에 인접해서 로브 (62) 사이의 보이드 영역 (64) 내로 및 그 위에서 연장된다. 다시 도 1에 대해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아치 모양인 또 다른 엠보싱 (24b)을 나타낸다. 그것은 로브 (62)의 근위 말단 (68)에 인접해서 로브 (62) 사이의 보이드 영역 (64) 내로 및 그 위에서 연장된다. 이들 엠보싱은 제품의 층 중 어느 것에도 또는 층 모두에 함유될 수 있고 그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열 및/또는 압력 및/또는 초음파를 이용해서 형성될 수 있고, 요망되면, 특히 제품이 젖었을 때 엠보싱의 완전성을 보유하기 위해 접착제로 보완될 수 있다.
안정화 부재 (60)를 위한 특히 적당한 한 물질은 화학적 본디드 카디드 웹이다. 이러한 웹 및 그의 형성은 쉽게 입수가능하고, 섬유 부직 웹 및 개인 위생 흡수 용품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학적 본디드 카디드 웹은 코리아 바일렌 컴퍼니, 엘티디.(Korea Vilene Company, LTD.; 대한민국 경기도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하고 CB-070ADL라는 상표명으로 입수가능하다. 이 웹은 70 gsm의 기초 중량을 가지고, 상기한 후비스 컴퍼니, 엘티디.에서 판매하는 HCF라고 명명되는 중공 PET 섬유 70 중량% 및 웨커 케미컬 코리아(Wacker Chemical Korea; 대한민국 서울)로부터 비나파스(Vinnapas)® 192라는 상표명으로 에멀전으로 입수가능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결합제 물질 30 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기술된 다른 섬유 부직 웹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화학적 본디드 카디드 웹은 섬유 중합체 블렌드에 안료를 이용함으로써 또는 예를 들어 그라비아, 잉크젯 또는 플렉소그래픽 인쇄 기술을 이용해서 웹의 표면에 색을 인쇄함으로써 착색될 수 있다.
안정화 부재를 위한 또 다른 적당한 물질은 본디드 카디드 웹, 예컨대 섬유들이 열 및/또는 압력을 이용해서 함께 결합된 쓰루 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TABCW)이다. 이러한 웹은 신체측 층 (20) 및 임의의 서지층 (30)에 관해서 위에서 기술되고, 결합제 섬유, 예컨대 용융되어서 웹 내의 다른 섬유 및 성분과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한 중합체가 웹의 다른 중합체보다 더 낮은 용융점을 갖는 이성분 또는 다구성(multi-constituent)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예로서, 이러한 본디드 카디드 웹은 약 25 내지 약 50 ㎜ 및 더 바람직하게는 약 35 내지 약 40 ㎜의 스테이플 길이를 갖는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섬유 크기는 약 2 내지 약 10 데니어의 범위일 수 있고, 기초 중량은 약 40 내지 약 100 gsm의 범위일 수 있다. 그러나, 쉽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특정 필요를 맞추기 위해 다른 섬유 크기, 기초 중량, 스테이플 길이 및 데니어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해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범위들은 예시하는 것일 뿐이고, 따라서 본 발명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여긴다. 또한, 섬유의 블렌드, 예컨대 이성분 섬유 및 통상적인 스테이플 섬유, 예컨대 PET 섬유의 믹스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로, 이성분 섬유는 그의 구성 성분에 관해서 다양할 수 있고, 예컨대 폴리에틸렌(PE) 쉬드/폴리프로필렌(PP) 코어, PE 쉬드/PET 코어 및 PET 쉬드/PET 코어(상이한 용융 온도) 섬유일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섬유는 예를 들어 동심형 쉬드/코어, 이심형 쉬드/코어, 사이드-바이-사이드 및 해도 구성일 수 있다.
안정화 부재 (60)를 위한 또 다른 적당한 물질은 발포체 물질이다. 대표하는 흡수성 발포체 물질은 모크(Mork) 등의 미국 특허 제6,627,670 B2호, 블랜드(Bland) 등의 미국 특허 제6,071,580호, 스트랜드버그(Strandburg) 등의 미국 특허 제7,439,276 B2호, 및 밴슈머렌(Vansumeren) 등의 PCT 공개 제WO2008/036942A2호, 킴(Kim) 등의 제WO2007/011728A2호, 멘닝(Menning)의 제WO2008/052122A1호 및 스톡톤(Stockton) 등의 제WO2008/100842A1호에서 기술되고, 이들 각 문헌은 그것이 본원과 상충하지 않는 한에서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안정화 부재 (60)로 이용하기에 적당한 한 범주의 물질의 또 다른 예는 에어레이드 웹 물질이다. 이러한 한 물질은 삼보 컴퍼니, 엘티디(대한민국 대구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한 80 gsm 에어레이드 웹 물질이다. 이 특정 물질은 웨이어하우저 컴퍼니(Weyerhaeuser Company; 미국 워싱톤 페더럴 웨이에 본사를 둠)로부터 NB416이라는 상표명으로 입수가능한 펄프 셀룰로오스 섬유 70 중량% 및 폴리에틸렌 쉬드 및 폴리프로필렌 코어를 가지는 쉬드/코어 구성을 갖는 1.5 데니어 3 ㎜ 길이 이성분 섬유 20 중량%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이들 섬유는 파이버비전스 코포레이션(미국 조지아주 둘루쓰에 사무실을 둠)으로부터 AL-어드히전-C ES(AL-Adhesion-C) ES 섬유라는 상표명으로 입수가능하다. 에어레이드 웹의 나머지 부분은 웨커 케미컬 컴퍼니(대한민국 서울)로부터 비나파스® 192라는 상표명으로 에멀전으로 입수가능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결합제 20 중량%이다. 임의로, 요망되면, 에어레이드 물질은 소량의 안료(대표적으로, 0.1 중량% 미만)을 첨가함으로써 또는 그라비아 또는 플렉소그래픽 인쇄 기술을 이용해서 에어레이드의 외부 표면을 컬러 인쇄함으로써 착색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중합체 발포체 물질은 상호연결된 개방 셀들의 친수성 유연성 중합체 발포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중합체 발포체 형성에 유용할 수 있는 특징은 셀 구조이다. 발포체 셀, 및 특히, 상대적으로 단량체가 없는 수상 액적을 둘러싸는 단량체 함유 오일상을 중합함으로써 형성된 셀은 빈번히 실질적으로 구 모양일 것이다. 이들 구형 셀은 셀 사이에서 이후에는 홀(hole)이라고 부르는 구멍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형 셀의 크기 또는 "직경" 및 셀 사이의 구멍(홀)의 직경 둘 모두가 발포체를 일반적으로 특성화하는 데 흔히 이용된다. 중합체 발포체의 주어진 샘플에서 셀 및 셀 사이의 홀이 반드시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져야 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평균 셀 및 구멍 크기(즉, 평균 셀 및 홀 직경)가 종종 명시될 것이다.
셀 및 홀 크기는 이들 발포체의 유체 흡상 성질, 뿐만 아니라 발포체 구조 내에서 발달된 모세관 압력을 포함하는 발포체의 많은 중요한 기계적 특징 및 성능 특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매개변수이다. 발포체의 평균 셀 및 홀 크기를 결정하는 데 많은 기술이 입수가능하다. 가장 유용한 기술은 발포체 샘플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에 기초한 간단한 측정을 포함한다. 수성 유체의 흡수제로서 유용한 발포체는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200 ㎛,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190 ㎛,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0 내지 약 180 ㎛의 평균 셀 크기, 및 약 5 내지 약 45 ㎛, 더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약 40 ㎛,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35 ㎛의 수 평균 홀 크기를 가질 것이다.
예를 들어, 블랜드(Bland) 등의 미국 특허 제6,071,580호는 흡수성 압출된 개방 셀 열가소성 발포체를 기술한다. 발포체는 약 50% 이상의 개방 셀 함량 및 약 1.5 ㎜ 이하의 평균 셀 크기를 갖는다. 발포체는 액체를 흡수할 때 그의 이론적 부피 용량의 약 50% 이상의 액체를 흡수할 수 있다. 발포체는 바람직하게는 약 5 ㎛ 이상의 평균 등가 기공 크기를 갖는다. 발포체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셀 벽 및 셀 지주의 구조를 갖는다. 또한, 압출 다이의 압출물을 늘임으로써 발포체를 이용하여 액체를 흡수하는 방법 및 계면활성제가 표면에 그대로 있고 발포체 안으로 실질적 거리를 침투하지 않도록 발포체의 노출 표면에 계면활성제를 적용함으로써 개방 셀 발포체의 흡수성을 증진시키는 방법도 기술된다.
또한, 적당한 발포체 물질은 코(Ko) 등의 미국 특허 제7,053,131호, 크루에거(Krueger) 등의 미국 특허 제7,358,282호, 및 데스마레이스(DesMarais) 등의 미국 특허 제5,692,939호, 및 래드완스키(Radwanski)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US2006/0148917호에 게재된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열가소성 발포체, 고내상 에멀전(HIPE) 발포체 및 역고내상 에멀전(I-HIPE) 발포체, 및 다른 적당한 중합체 발포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유형의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 문헌은 그것이 본원과 상충하지 않는 한에서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적당한 발포체 물질의 이러한 한 예는 음의 푸아송비(Poisson ratio)를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이다. 또한, 통상적인 여성용 패드에서 배면시트 물질로 대표적으로 이용되는 물질도 적당할 수 있다. 연신성 배면시트 물질의 예는 오스본 3세(Osborn, III) 등의 미국 특허 제5,611,790호에 기술되어 있고, 이 특허는 그것이 본원과 상충하지 않는 한에서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적당한 흡수성 발포체 물질의 추가의 예는 장(Zhang)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US2006/0246272호에 기술되어 있고, 이 문헌은 그것이 본원과 상충하지 않는 한에서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다른 안정화 부재 물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발포체 물질은 요망되는 최종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블랭크(blank)로서 형성된 후 요망되는 모양으로 스탬핑되거나 또는 절단될 수 있다.
안정화 부재는 이러한 개인 위생 흡수 용품의 층들을 함께 접합하는 데 이용되는 업계에 알려진 어떠한 수단에 의해서도 인접하는 층에 부착될 수 있다. 예는 접착제, 열 및/압력을 이용한 결합 및 엠보싱, 초음파, 스티칭, 열 결합성 섬유 및 입자, 수력학적 얽힘 및 니들 펀칭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 업계 숙련자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에 많은 변형 및 변화를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서 제시된 상세한 설명 및 예는 단지 예시하는 것을 의도하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본 발명의 범위를 어떤 방식으로도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Claims (18)

  1. 전방 말단을 갖는 전방 말단부, 후방 말단을 갖는 후방 말단부, 및 상기 전방 말단부와 상기 후방 말단부를 분리하는 중앙부,
    액체 투과성 신체측 층,
    가먼트측 층,
    용품의 상기 신체측 층과 상기 가먼트측 층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 코어, 및
    용품의 상기 신체측 층과 상기 가먼트측 층 사이에 위치하는 안정화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정화 부재가 안정화 물질로부터 제조되고, 용품의 상기 전방 말단부 또는 상기 후방 말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1 쌍의 로브를 포함하고, 상기 1 쌍의 로브가 상기 중앙부로부터 각 전방 말단 또는 후방 말단 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1 쌍의 로브가 그 사이에 상기 안정화 부재 물질이 없는 보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1 쌍의 로브 사이의 상기 보이드가 일반적으로 용품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중심을 두고, 상기 1 쌍의 상기 각 로브가 중간 구역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중앙부에 인접한 근위 말단 및 원위 말단을 가지고, 상기 각 로브의 상기 원위 말단이 원위 거리로 분리되고, 상기 각 로브의 상기 근위 말단이 근위 거리로 분리되고, 상기 각 로브의 상기 중간 구역이 중간 거리로 분리되고, 상기 원위 거리가 상기 근위 거리보다 길고, 상기 중간 거리가 상기 근위 거리보다 짧고, 상기 1 쌍의 로브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보이드가 상기 용품의 상기 중앙부 내로 연장되지 않는
    흡수 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품이 상기 용품의 상기 전방 말단부 및 상기 후방 말단부 둘 모두에 위치하는 1 쌍의 로브를 갖는 흡수 용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품이 상기 안정화 부재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보이드의 적어도 일부 위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을 갖는 흡수 용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브의 상기 근위 말단에 인접하는 상기 로브는, 상기 보이드가 상기 흡수 용품의 상기 길이방향 중심선에서 상대적 V 모양에 의해 형성되게 하는 모양으로 끝나고, 상기 V 모양의 개방 말단이 상기 흡수 용품의 상기 중앙부 쪽으로 향하는 흡수 용품.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 중에 상기 용품이, 착용자의 횡방향 압축력을 받을 때, 상기 로브를 함유하는 상기 용품의 영역에서 수직 방향 뭉침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는 흡수 용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가 적어도 80 중량%의 비스코스 레이온을 포함하는 섬유 부직 웹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웹 물질이 수력학적으로 얽힌(hydroentangled) 비스코스 레이온 스펀레이스 물질인 흡수 용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부재가 발포체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품이 생리대인 흡수 용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거리가 약 10 내지 약 40 ㎜인 흡수 용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거리가 약 1 내지 약 30 ㎜인 흡수 용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거리가 약 30 내지 약 70 ㎜인 흡수 용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부재의 길이가 상기 흡수 코어의 길이의 약 80 내지 약 120 %인 흡수 용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부재의 폭이 상기 흡수 코어의 폭의 약 70 내지 약 140 %인 흡수 용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부재가 약 40 내지 약 120 g/㎡의 기초 중량을 갖는 흡수 용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부재가, 상기 중앙 영역에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둥근 말단을 갖는 보이드 영역을 형성하는 흡수 용품.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부재가, 상기 중앙 영역에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삼각형 말단을 갖는 보이드 영역을 형성하는 흡수 용품.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부재가, 상기 중앙 영역에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다이아몬드 모양 말단을 갖는 보이드 영역을 형성하는 흡수 용품.
KR1020147011769A 2011-11-08 2011-11-08 안정화 부재를 갖는 흡수 용품 KR101849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1/059712 WO2013070190A1 (en) 2011-11-08 2011-11-08 Absorbent article with stabilization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988A true KR20140090988A (ko) 2014-07-18
KR101849439B1 KR101849439B1 (ko) 2018-04-16

Family

ID=4829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769A KR101849439B1 (ko) 2011-11-08 2011-11-08 안정화 부재를 갖는 흡수 용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08135B2 (ko)
KR (1) KR101849439B1 (ko)
AU (1) AU2011380943B2 (ko)
BR (1) BR112014011066B1 (ko)
GB (1) GB2509865B (ko)
MX (1) MX339288B (ko)
WO (1) WO20130701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617A (ko) * 2018-11-28 2021-06-3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 용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69037C (en) 2013-10-29 2022-02-15 Fempro I Inc. Resilient absorbent products with enhanced resistance to tearing
MX368019B (es) * 2015-05-29 2019-09-12 Kimberly Clark Co Artículo absorbente flexible con capa absorbente lobulada.
CN111885988A (zh) * 2018-04-11 2020-11-03 宝洁公司 一次性吸收制品
KR20200002457A (ko) * 2018-06-29 2020-01-08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3d 엠보싱을 갖는 셀룰로오스 부직포 라미네이트
US11461090B2 (en) 2020-06-26 2022-10-04 Whatfix Private Limited Element detection
US11704232B2 (en) 2021-04-19 2023-07-18 Whatfix Private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testing of digital guidance content
US20230141346A1 (en) * 2021-11-05 2023-05-11 Trillium Medical Products, LLC Infused undergarment
US11669353B1 (en) 2021-12-10 2023-06-06 Whatfix Private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ing digital guidance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49693B (sv) * 1985-10-03 1987-05-18 Moelnlycke Ab Absorberande langstreckt alster sasom en bloja eller ett inkontinensskydd
ES2039047T5 (es) 1988-03-31 2004-06-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ulo absorbente.
DE68929358T2 (de) 1988-03-31 2002-08-22 Procter & Gamble Absorbierender Gegenstand
US6231556B1 (en) 1990-10-29 2001-05-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enerally thin, flexible sanitary napkin with stiffened center
US5591150A (en) 1991-07-23 1997-01-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having a resilient body-conforming portion
GR920100299A (el) 1991-08-02 1993-06-07 Johnson & Johnson Inc Μέ?οδος για την ενίσχυση αποδοχής από μέρους του κοινού ενός απορρίψιμου μετά την χρήση απορροφητικού πυρήνα και το προϊόν που προκύπτει.
SE508402C2 (sv) 1992-04-28 1998-10-05 Sca Hygiene Prod Ab Absorptionskropp i ett absorberande alster såsom en dambinda, trosskydd, inkontinensskydd, blöja och liknande samt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ett banformat absorptionsmaterial
DE69221333T2 (de) 1992-10-26 1997-11-20 Procter & Gamble Absorptionsfähiges hygieneprodukt mit einem aufsaugenden aus gemischten fasern bestehendem kern
AU687766B2 (en) * 1993-02-22 1998-03-05 Mcneil-Ppc, Inc. Absorbent articles
BR9407549A (pt) 1993-09-16 1996-12-31 Procter & Gamble Absorvente feminino
EP0771182B1 (en) 1994-07-18 2001-1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folded absorbent articles having improved fit
USH1698H (en) 1994-10-21 1997-1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s having thermally bonded resilient web for improved fit and comfort
SE508041C2 (sv) 1994-12-30 1998-08-17 Moelnlycke Ab Absorberande alster
AU713984B2 (en) 1995-09-01 1999-12-16 Mcneil-Ppc,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stabilizing absorbent element
SE513203C2 (sv) 1996-10-24 2000-07-31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måga att motstå deformation
SE513198C2 (sv) 1996-11-15 2000-07-31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hög styvhet
US6007528A (en) 1996-12-31 1999-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having stabilized members in the end regions
SE517717C2 (sv) * 1998-05-12 2002-07-09 Sca Hygiene Prod Ab Ett formelement med korrugeringar samt ett absorberande alster med ett sådant formelement
SE517881C2 (sv) 1998-06-18 2002-07-30 Sca Hygiene Prod Ab Ämne för framställning av ett formelement, formelementet, ett absorberande alster innefattande formelementet,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formelementet, samt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det absorberande alstret
JP3639451B2 (ja) 1999-01-20 2005-04-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3851737B2 (ja) 1999-01-21 2006-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処理用吸収性物品
JP4033580B2 (ja) 1999-04-23 2008-01-1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7166093B2 (en) * 2000-12-06 2007-01-23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rear portion including a first and second leg
USD455829S1 (en) 2000-12-06 2002-04-16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product
SE518364C2 (sv) 2000-12-06 2002-10-01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skikt separat i två ben och mellanliggande elastikorgan
SE518195C2 (sv) 2000-12-15 2002-09-10 Sca Hygiene Prod Ab Ett absorberande alster såsom en dambinda, en blöja, ett inkontinensskydd eller ett trosskydd
US6740069B2 (en) 2000-12-15 2004-05-25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such as a sanitary napkin, a diaper, an incontinence guard, or a panty-liner
US6929629B2 (en) 2001-04-20 2005-08-16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fit
US6945967B2 (en) 2001-04-20 2005-09-20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product with improved fit
SE518908C2 (sv) 2001-04-20 2002-12-03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passform
US7316673B2 (en) * 2001-04-20 2008-01-08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fit
SE518909C2 (sv) 2001-04-20 2002-12-03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passform
SE518910C2 (sv) 2001-04-20 2002-12-03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passform
SE518911C2 (sv) 2001-04-20 2002-12-03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d passform
US6866658B2 (en) 2001-04-20 2005-03-15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product with improved fit
US7601144B2 (en) * 2001-12-06 2009-10-13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fit
SE520684C2 (sv) 2001-12-06 2003-08-12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passform
US7156832B2 (en) 2001-12-06 2007-01-02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having a stiffening element and elongate through-hole
SE520685C2 (sv) * 2001-12-06 2003-08-12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passform
SE520686C2 (sv) 2001-12-06 2003-08-12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passform
US6953451B2 (en) 2002-09-30 2005-10-11 Mcneil-Ppc, Inc. Thin comfortable sanitary napkin having reduced bunching
SE0303599D0 (sv) 2003-12-30 2003-12-30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samt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absorberande alster
CA2614735A1 (en) * 2005-07-13 2007-01-18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fit
US20070135788A1 (en) * 2005-12-12 2007-06-14 Emmanuelle Damay Pants liner
GB2439719A (en) * 2006-07-05 2008-01-09 Sca Hygiene Prod Ab Absorbent article with differing core density regions
JP4456159B2 (ja) * 2008-02-26 2010-04-2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877999B2 (en) * 2011-10-07 2014-11-04 Sca Hygiene Products Ab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with shaped fluid storage structures
US9192524B2 (en) * 2012-07-12 2015-11-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insert with positioning notch
USD701367S1 (en) * 2013-03-13 2014-03-25 Michelle L Wexler Lower body garment gusset panel with heart shape
USD724819S1 (en) * 2014-03-06 2015-03-24 The Underwares Group, Llc Lower body garment gusset panel with butterfly sha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617A (ko) * 2018-11-28 2021-06-3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 용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407214D0 (en) 2014-06-11
BR112014011066A8 (pt) 2017-06-20
AU2011380943A1 (en) 2014-04-24
US9308135B2 (en) 2016-04-12
GB2509865A (en) 2014-07-16
GB2509865B (en) 2017-11-15
AU2011380943B2 (en) 2016-10-13
MX339288B (es) 2016-05-18
WO2013070190A1 (en) 2013-05-16
MX2014005475A (es) 2014-08-08
US20140316363A1 (en) 2014-10-23
BR112014011066B1 (pt) 2021-01-12
KR101849439B1 (ko) 2018-04-16
BR112014011066A2 (pt)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439B1 (ko) 안정화 부재를 갖는 흡수 용품
US20170239108A1 (e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superabsorbent yarn
CA2636673C (en) Sanitary napkin including body-facing protrusions and arcuately arranged embossed channels
EP1551344B1 (en) Absorbent article with multiple core
EP2858615B1 (en) Absorbent article
CA2630713C (en) Sanitary napkin including body-facing protrusions for preventing side leakage and obliquely arranged embossed channels
US20080294138A1 (en) Absorbent Product
JP2014532525A (ja) 二重コアを有する吸収性物品
US20080300564A1 (en) Absorbent Product
JP2007117727A (ja) 吸収性物品
KR20180132033A (ko) 흡수성 코어층 및 이러한 층을 함유한 흡수 개인 위생 용품
EP3437600B1 (en) Absorbent article
WO2019227299A1 (en) Absorbent article with body conforming structure
WO2021015657A1 (e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core comprising alternating high density and low density areas of absorbent material
JP2021083694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US11617692B2 (e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 conformance zone which includes absorbent clusters
RU2798261C2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о структурой, прилегающей к телу
JP7087239B2 (ja) 軟便漏れ防止用吸収性パッド
US20210353475A1 (en) Multiple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015650A1 (en)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conformance zone with a plurality of absorbent clusters.
JP2020081536A (ja) 吸収性物品
MX2008006367A (en) Absorbent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