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751A - 장미 꽃잎과 보리 순을 활용한 고단위 영양 드레싱(고명 또는 소스)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미 꽃잎과 보리 순을 활용한 고단위 영양 드레싱(고명 또는 소스)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751A
KR20140090751A KR1020130002739A KR20130002739A KR20140090751A KR 20140090751 A KR20140090751 A KR 20140090751A KR 1020130002739 A KR1020130002739 A KR 1020130002739A KR 20130002739 A KR20130002739 A KR 20130002739A KR 20140090751 A KR20140090751 A KR 20140090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tion
dressing
food
various
eff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4379B1 (ko
Inventor
배준서
Original Assignee
배준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준서 filed Critical 배준서
Priority to KR1020130002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379B1/ko
Publication of KR20140090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3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60Salad dressings; Mayonnaise; Ketch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양과 각종 약효의 보고인 장미꽃잎과 보리 순의 섭취를 생활화 하며, 영양과 고유의 색상을 최대한 유지 상승 하도록 냉동 저압 건조 하여 분말로 만든 후 천연 식초와 배합하여 숙성시킴으로 색상을 더욱 아름답게 하며 숙성 과정에서 효소화 하여 소화촉진 및 기타 효능의 상승효과를 얻으며 식초와 조청의 배합으로 식품으로 매력적인 맛을 만들며, 영양과 효능 또한 상승 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 장미꽃 드레싱과 보리순 드레싱의 색상의 대비로 식품의 시각적인 효과와 품위를 상승 시키며, 영양과 효능의 보완 상승효과를 얻도록 한 고단위 장미꽃과 보리 순의 분말과, 드레싱 제조 공정과, 그 조성물이다.
각종 비타민과 각종 무기질을 골고루, 균형 잡힌 영양을 섭취하며 노화방지, 성장촉진, 각종 질병 예방 효과를 무공해 식품을 통하여 섭취함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하며 또 원재료의 효능을 최대한 살리며 보완 상승 하도록 제조 과정을 최적화하며 식품으로 매력적인 맛과 향과 색상과 편리함을 두루 갖추어 꽃과 잎이 식품으로 탄생 하도록 만드는 제조공정과 그 조성물로서 각 가정의 식탁에서 쉽게 야채 드레싱이나, 생선, 육류 등의 소스나 갖가지 고명으로 사용 가능 하며, 또 각종 아이스크림의 첨가 및 장식으로 맛과 영양을 살릴 수 있으며, 또 이를 희석 또는 첨가하여 음료로 사용 가능 하며, 각종 화장품 재료와 생약제로 활용가능 하다.
또 이를 기타 식물에 적용할 경우 다양한 식품 개발이 가능 하며, 식품 개발 사업 역시 활발히 발전 가능하다. 식용 원예사업 또한 크게 발전 가능케 한다.

Description

장미 꽃잎과 보리 순을 활용한 고단위 영양 드레싱(고명 또는 소스)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Unit using high nutritional famous dressing (or source) rose petals and barley net manufacturing methods and compositions thereof.}
본 발명은 장미 꽃잎과 보리 순을 활용한 고단위 영양 드레싱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미 꽃잎과 보리 순은 영양의 보고이지만 그 맛이 먹기에 매력적이지 못하므로 식용으로 대중화 되지 못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장미꽃잎과 보리 순을 캐찹처럼 대중화 될 수 있도록 풍미를 개선하고 사용 또한 간편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는 천연 고단위 영양 드레싱 제조에 관한 것과, 또 장미꽃잎과 보리 순의 고유의 영양과 효능과 색상을 유지 및 상승토록 제조하는 방법과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류의 식생활은 서구화와 인스탄트 식품으로 인한 영양의 불균형과 각종 첨가물로 인하여 인류의 건강이 심히 위협을 받고 있으며, 또한 노령인구의 증가로 건강한 노후를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개인에게는 행복한 삶이 될 수 없으며 사회나 국가 또한 심각한 사회적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이는 올바른 생활습관만으로도 상당한 부분 개선이 가능 하며 특히 식습관이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다. 각종 패스트푸드의 영양 불균형 및 유해 첨가물의 폐해가 심각 하다.
또 식품으로 각종 질병, 성인병 및 노화 방지를 가능하게 하는 많은 식물이 있으나 이를 식품으로 개발하여 활발히 상용화 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해결해야 할 우리의 과제이다.
최근 각종 성인병 예방 및 균형 잡힌 영양 공급을 통하여 보다 건강하고 행복한 삶에 보탬이 되는 식품 개발에 세계적인 관심이 쏠리고 있으며, 특히 장미 꽃잎 등 노화 방지 ,고단위 영양을 함유한 식물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는 획기적인 식품개발 사업에 각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심과 지원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궁극에는 개인에게는 건강하고 행복한 삶과 국가적으로 고령화로 인한 국민건강의 많은 사회적 문제를 예방하며 획기적인 식품 개발은 사업성으로도 국익에 크게 기여 하리라 판단되고 있다.
장미꽃잎과 보리 순에는 탁월한 노화 방지 효과와 고단위 영양이 함유되어 있으나 식품으로 개발하여 상용화하기엔 그 맛이 식품으로 매력적이지 못한 점과, 식품화 과정에 영양 파괴 효능 상실 색상 변질 등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를 안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면 인류 건강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식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은 장미 꽃잎과 보리 순을 활용한 고단위 영양 드레싱(고명 또는 소스)을 제조하여 캐찹처럼 쉽게 상용화 하여 현시대의 문제인 성인병, 갱년기 장애 치료 등 각종 질병의 치료 시 화학약품, 신경안정제, 진정제 등 2차적 후유증을 유발하는 약제를 사용하므로 노화의 가속화와 질병의 악화를 초래하므로 이를 개선함에 도움이 되고자 하며, 또한 각종 건강 보조 식품이 많으나 일부 자연생태계를 파괴하여 얻을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궁극적으로 환경파괴를 가속화하므로 이를 개선하며, 고령화 시대에 보다 건강한 삶을 영위코자 한다. 또 천연 식품 개발 과정에 고유의 영양과, 각종 유익한 효능 및 그 빛깔을 유지하지 못하여 이를 해결함이 큰 과제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 하고자 본 발명을 개발 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우리 주변에 많은 식물 가운데 인류 건강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는 장미꽃잎과 보리 순 등을 최적의 영양 상태에서 수확하는 방법과, 보유한 영양과 약효를 최대한 유지하며, 고유의 빛깔을 유지하며, 결합 과정에서 상승 보완 하는 방법과, 매력적인 식품으로 거듭나도록 제조하는 과정과, 보관하는 방법 및 편리하게 활용 가능케 하며 또 시각적인 구성 등 최상의 식품으로 생산하여 상용 가능케 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먼저
장미꽃잎은 꽃잎이 2∼3장 피기 시작할 때( 가장 영양 상태가 좋은 때) 수확하여 꽃잎만 선별 하여 냉동 건조 함으로 영양을 최대한 유지 하며 또한 고유의 색상을 유지하며, 고운 분말로 만들어 즉시 천연식초와 배합함으로 고유의 색상과, 맛과, 영양 및 효능을 상승 하도록 하며, 특수 저장 용기( 유리 및 도기로 만든 용기에 맥반석 누름돌을 장착한 용기)에 70여일 숙성한 후 현미와 잡곡으로 만든 묽은 조청과 배합하여 장미 드레싱을 만든다.
보리 순은 11cm ∼15cm 정도 자라도록 수경 재배 하여 보리 순만 채취 하여 냉동저압건조 하는 등 상기 장미 드레싱 공정의 과정을 거쳐 보리순 드레싱을 만든다. 장미꽃잎 드레싱과 보리순 드레싱을 특수 용기(용기를 수직으로 절반 나누고, 뚜껑에 출구를 2개에서 하나로 합쳐지게 하여 두 가지 색상이 함께 꼬아져서 나오게 하며 각각의 출구에 밸브를 만들어 양을 조절하게 한 용기)에 담아 진공 포장하며 섭취하기 직전에 2개의 출구에서 나오면서 배합하므로 초록색과 붉은 색의 조화를 이루어 시각적인 효과를 상승시키며, 녹색 식물과 적색 식물의 영양과 효능을 함께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미 꽃잎과 보리 순을 활용한 고단위 영양 드레싱은 천연의 고단위 영양식물을 엄선하여 만든 식자재로 각종 유해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고 오로지 천연물로만 생산 가능토록 구성됨으로 안전한 드레싱으로 야채샐러드, 아이스크림, 각종 육류와 생선의 소스, 물로 희석하여 음료로 사용 가능 하며, 피부보호를 위한 팩으로도 사용 가능 하며 또 정제하여 생약제로도 사용 가능 하며, 장미꽃잎과 보리 순과 천연 식초에 함유된 영양은 인체에 필요한 거의 모든 비타민과 무기질이 함유 되어 있어 장기적으로 섭취할 경우 많은 질병을 치료하며, 노화 방지 및 어린이 성장 촉진에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특히 노화로 인한 노인성 채취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 원재료를 얻기 위해 보리수경재배와 장미꽃 재배로 원예농업의 발전에도 보탬이 되며 기타 많은 식품의 개발에 크게 기여 하리라 여겨진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 식초로 인한 살균 기능과 맥반석 저장 용기를 통하여 각종 미네랄이 자연 첨가 되며 혹시 함유 되어 있을 수 있는 중금속 등 유해 물질을 정화 하며 숙성을 통하여 소화 흡수를 돕는 효소가 생성 되며, 천연 잡곡 초청으로 맛과 영양을 첨가하며 음식의 맛은 입안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눈으로도 맛보 듯이 아름다운 초록 ,빨강의 대비되는 두 빛깔은 음식의 품격을 높여 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품인 장미 꽃잎과 보리 순을 활용한 고단위 영양 드레싱은 동서양, 세계인이의 기호에 맞는 식품으로 국가적으로 우리의 식품사업을 세계화로 나아가는데 큰 역할을 하리라 기대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 예는 무농약과 깨끗한 환경과 햇볕에서 잘 자란 장미꽃잎을 꽃잎이 2∼3잎 피기 시작할 무렵 선별하여 채취한 후 꽃잎만 선별하여 냉동시켜 진공 저기압에서 건조한다. 이를 진공 분쇄하여 천연식초에 배합하여 70여일 맥반석을 이용하여 만든 특수 저장 용기에 넣어 숙성 한다. 이를 천연 잡곡조청에 믹서 하여 장미 드레싱을 만든다.
보리 순 드레싱의 경우는 먼저 무농약 보리씨를 불려 수경재배기에서 숯과 맥반석으로 정화한 물에 충분한 산소공급이 가능한 장치로 산소를 공급하여 살아있는 물을 사용하여 보리 순을 수경 재배하며, 보리 순이 11cm∼15cm 정도 자랐을 때, 가장 영양상태가 좋을 때 이를 채취하여 상기 장미꽃잎과 같은 방법으로 냉동, 건조, 분쇄, 식초배합, 숙성 하여 천연 잡곡 조청에 믹서 하여 보리순 드레싱을 만든다.
또 장미꽃잎 드레싱과 보리순 드레싱을 2분화된 용기에 담아 각각의 출구에서 모아져 나오므로 시각적인 효과와 두 가지 드레싱의 고유의 영양과, 효능과 빛깔의 효과를 함께 누릴 수 있도록 구성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기타 영양과 효능이 뛰어난 식물이나 해조류 등으로 또 다른 드레싱을 만들 수 있으므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4)

  1. 장미꽃잎을 잎이 2∼3장 필 무렵, 꽃잎의 영양 상태가 가장 좋은 상태에서 채취하여 -21도C이하에서 냉동 저압 건조하여 분쇄하여 만든 천연의 장미꽃 분말과 이를 천연 잡곡식초와 배합하여 숙성하는 과정과, 이를 조청과 배합하여 만든 고단위 장미꽃잎 영양드레싱 조성물.
  2. 보리를 수경 재배하여 그 잎이 11cm∼15cm 정도로 자랐을 때, 영양상태가 가장 좋을 때 채취하여 -21도C이하에서 냉동 저압 건조하여 분쇄하여 만든 분말과 이를 천연 잡곡식초와 배합하여 숙성하는 과정과, 이를 조청과 배합하여 만든 고단위 보리순 영양드레싱 조성물.
  3. 상기 1항과 2항을 각각 맥반석을 활용한 저장 용기에서 70여일 숙성하여 각종 미네랄이 자연 첨가 되도록 하며, 또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 하도록 하는 숙성 방법과.
  4. 상기 장미꽃잎 영양드레싱과 보리순 영양드레싱을 2분화된 용기에 담아 각각의 배출구를 만들어 시각적인 효과를 얻고 이 두 가지 드레싱의 영양과 효능을 함께 섭취 가능토록 고안한 장미꽃잎과 보리순 드레싱 배출 방법.
KR1020130002739A 2013-01-10 2013-01-10 장미 꽃잎과 보리 순을 활용한 고단위 영양 드레싱(고명 또는 소스)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424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739A KR101424379B1 (ko) 2013-01-10 2013-01-10 장미 꽃잎과 보리 순을 활용한 고단위 영양 드레싱(고명 또는 소스)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739A KR101424379B1 (ko) 2013-01-10 2013-01-10 장미 꽃잎과 보리 순을 활용한 고단위 영양 드레싱(고명 또는 소스)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751A true KR20140090751A (ko) 2014-07-18
KR101424379B1 KR101424379B1 (ko) 2014-07-31

Family

ID=5173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739A KR101424379B1 (ko) 2013-01-10 2013-01-10 장미 꽃잎과 보리 순을 활용한 고단위 영양 드레싱(고명 또는 소스)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3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4318A (zh) * 2015-02-05 2015-06-03 云南玖香鲜花食品科技有限公司 鲜花酱及其制备方法
CN105831704A (zh) * 2016-04-08 2016-08-10 云南卓轩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红糖玫瑰花酱及其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011A (ko) * 1999-09-07 1999-12-06 김주형 무우잼과 이를 이용한 저칼로리 와사비(고추냉이) 드레싱제조방법
KR20070055740A (ko) * 2005-11-28 2007-05-3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삼백초를 함유한 요구르트 드레싱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99141A (ko) * 2008-03-17 2009-09-22 이형재 보리순을 주재료로 하는 건강음료용 조성물
KR20110009267A (ko) * 2011-01-11 2011-01-27 김호승 식용장미꽃잎으로부터 과립 차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4318A (zh) * 2015-02-05 2015-06-03 云南玖香鲜花食品科技有限公司 鲜花酱及其制备方法
CN105831704A (zh) * 2016-04-08 2016-08-10 云南卓轩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红糖玫瑰花酱及其生产方法
CN105831704B (zh) * 2016-04-08 2019-01-04 云南卓轩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红糖玫瑰花酱及其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379B1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979B1 (ko) 꾸지뽕나무의 열매, 잎, 줄기와 신선초를 이용한 발효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550766A (zh) 无花香茶及其制作方法
CN103053766A (zh) 橄榄茶及其制作工艺
KR102662426B1 (ko) 유산균 발효숙성 노니와 코코넛 슈가를 포함하는 유산균 발효 노니 식초의 제조방법
KR101658618B1 (ko) 연잎을 이용한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280455B1 (ko) 약초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2094001B1 (ko)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060096394A (ko) 생식물을 이용한 녹즙생식환의 제조방법
WO2006067906A1 (ja) 蓮からの抽出エキスを含有してなる組成物
CN106343519A (zh) 一种方便型发酵山葵酱油的制备工艺
KR101424379B1 (ko) 장미 꽃잎과 보리 순을 활용한 고단위 영양 드레싱(고명 또는 소스)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Renna et al. Ethnobotany, nutritional traits, and healthy properties of some halophytes used as greens in the Mediterranean basin
KR101995715B1 (ko) 아연 및 셀레늄이 융합된 기능성 인삼김치의 제조방법
CN103689169B (zh) 一种鼓槌石斛花茶的制作方法
KR101063973B1 (ko) 떡의 제조방법
KR100884844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사과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Meena et al. Underutilized fruit crops of Indian arid and semi-arid regions: importanc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strategies. Horticulturae 2022, 8, 171
Kumar Management of nutritional and health needs of malnourished and vegetarian people in India
Yampolsky et al. Feijoa (lat. Ácca sellowiána)
CN104186820A (zh) 一种大麦苗茶冲剂及其制备方法
KR101674658B1 (ko) 석류 엑기스 제조방법
KR102415159B1 (ko) 혼합 벌꿀 제조 시스템
KR101905329B1 (ko) 차가버섯 모링가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90621B1 (ko) 해양심층수 및 해양심층수염을 이용한 미네랄 함량이 증가된 고추장의 제조 방법
Jagtap et al. Custard apple—Annona squamosa 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