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404A -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및 그 접수 방법 - Google Patents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및 그 접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404A
KR20140090404A KR20130002387A KR20130002387A KR20140090404A KR 20140090404 A KR20140090404 A KR 20140090404A KR 20130002387 A KR20130002387 A KR 20130002387A KR 20130002387 A KR20130002387 A KR 20130002387A KR 20140090404 A KR20140090404 A KR 20140090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size
unit
inpu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6867B1 (ko
Inventor
송재관
김영원
최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02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867B1/ko
Priority to US13/944,166 priority patent/US20140195451A1/en
Publication of KR20140090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7/00Franking apparatus
    • G07B17/02Frank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omputing or 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50/6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7/00Franking apparatus
    • G07B17/00459Details relating to mailpieces in a franking system
    • G07B17/00661Sensing or measuring mailpie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7/00Franking apparatus
    • G07B17/00459Details relating to mailpieces in a franking system
    • G07B17/00661Sensing or measuring mailpieces
    • G07B2017/00685Measuring the dimensions of mailpie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7/00Franking apparatus
    • G07B17/00459Details relating to mailpieces in a franking system
    • G07B17/00661Sensing or measuring mailpieces
    • G07B2017/00701Measuring the weight of mailpiec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및 그 접수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은 기 지정된 투입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우편물이 투입되면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을 미리 결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우편물의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에 미리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중량 및 크기 측정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배송 방식, 상기 측정된 상기 우편물의 중량 및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우편물의 배송 요금을 계산하는 배송 요금 연산부; 및 상기 우편물이 접수되면 상기 접수된 상기 우편물을 상기 우편물의 배송 방식, 크기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적재 공간으로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적재 공간으로 상기 접수된 상기 우편물을 적재하는 우편물 적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및 그 접수 방법{System for accepting unmanned mai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우편물 무인 접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유로운 시간에 자신의 우편물을 접수할 수 있고, 접수된 우편물의 종류, 중량, 크기 등에 따라 적재 위치를 결정하여 적재함으로써, 수거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및 그 접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산업사회가 발전하면서 물류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케이블 TV등에 의한 통신판매 증가와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의 결과로 물류의 배송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물류를 담당하는 대표적인 기관으로는 우체국이나 택배회사 등이 있다.
우편물을 접수하기 위해서는 우편고객이 우편물을 지참하고 우체국을 방문하여 창구를 통해 접수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여성인력의 경제활동 참여와 시간을 초월한 다양한 사회활동 속에서 우체국 운영시간에 우편물을 접수하는 것은 개인의 사생활을 제약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금융 및 행정처리 측면에 있어 고객을 위주로 한 무인 시스템의 확대보급은 시사 하는 바가 크다.
마찬가지로, 우체국에서도 개개인의 사생활을 유지하면서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 가운데 우편물을 접수할 수 있는 수단이 증대되고 있다.
기존의 우편물 접수는 우편고객이 자신의 우편물을 우체국 창구직원에게 제출하면 창구직원은 우편물의 규격 여부, 우편물의 수량 및 중량측정, 요금계산, 요금 수납 및 영수증 발급 등의 프로세스를 거쳐 우편물을 접수한다.
일반적으로, 우편물을 접수하는 우체국 업무는 근무시간외에는 업무를 하지 않고 특정시간에는 우편물을 접수하고자 하는 고객이 줄을 서서 일정시간을 기다리는 경우가 많고 또한, 우편고객이 우체국 근무시간에 우편물을 접수해야 하는 제약이 있다.
따라서, 자유로운 시간대에 우편물을 접수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15207호 (등록일 2005.09.0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가 자유로운 시간에 자신의 우편물을 접수할 수 있고, 접수된 우편물의 종류, 중량, 크기 등에 따라 적재 위치를 결정/적재하여 우편물의 수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및 그 접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은 기 지정된 투입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우편물이 투입되면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을 미리 결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우편물의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에 미리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중량 및 크기 측정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배송 방식, 상기 측정된 상기 우편물의 중량 및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우편물의 배송 요금을 계산하는 배송 요금 연산부; 및 상기 우편물이 접수되면 상기 접수된 상기 우편물을 상기 우편물의 배송 방식, 크기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적재 공간으로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적재 공간으로 상기 접수된 상기 우편물을 적재하는 우편물 적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량 및 크기 측정부는 상기 결정된 위치의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간격 단위로 배치된 복수의 감지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들 중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을 감지한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량 및 크기 측정부는 상기 결정된 위치의 적어도 두 개의 측면에 배치된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에 배치된 제1 스위치와 제2 측면에 배치된 제2 스위치가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과 접촉되면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우편물 적재부에 적재된 우편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재된 우편물을 수거할 운반용기의 크기 및 수량 그리고 차량 규모를 산출하고 관리하는 우편물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상기 영상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고 문자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바코드 라벨에 인쇄될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상기 바코드 라벨을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에 부착하는 라벨 생성 및 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미리 결정된 규격의 우편물을 접수받기 위한 규격 통상 우편물 투입부; 및 상기 규격의 우편물을 제외한 비규격 통상 우편물과 소포 우편물을 접수받기 위한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 투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량 및 크기 측정부는 상기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 투입부로 투입된 우편물에 대해 크기와 중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우편물 무인 접수 방법은 기 지정된 투입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우편물이 투입되면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을 미리 결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우편물의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에 미리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배송 방식, 상기 측정된 상기 우편물의 중량 및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우편물의 배송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우편물이 접수되면 상기 접수된 상기 우편물을 상기 우편물의 배송 방식, 크기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적재 공간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적재 공간으로 상기 접수된 상기 우편물을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위치의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간격 단위로 배치된 복수의 감지 센서들 중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을 감지한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위치의 적어도 두 개의 측면에 배치된 스위치들이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과 접촉되면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무인 접수 방법은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상기 영상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고 문자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바코드 라벨에 인쇄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기 바코드 라벨을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이 미리 결정된 규격의 우편물인 규격 통상 우편물인지 아닌지 판단하고,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이 상기 규격 통상 우편물이 아닌 경우 상기 우편물의 중량과 크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편물을 발송하고자 하는 우편고객이 우편물을 발송하고자 할 때, 공공장소나 우체국에 설치된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을 이용하여 우편물을 접수하게 되면, 우체국 창구에 줄을 서서 기다리는 시간이 절약되고, 우체국 근무시간 외의 자유로운 시간에 자신의 우편물을 접수할 수 있어 편리하고 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아서 개인 생활을 보장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체국 창구 직원의 경우 고객의 우편을 접수하기 위한 업무부하를 줄일 수 있어서 우편처리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수된 우편물을 수거할 경우,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의 접수 결과를 서버에 저장된 접수 우편 물량 정보를 통해 사전에 알 수 있으므로, 우편물을 담아서 운반하는데 필요한 운송용기나 운반차량을 적절하게 준비할 수 있기 때문에 우편물 수거에 대한 시간 및 노력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우편접수 고객이 많지 않은 농어촌지역에 유인 우체국 대신 본 발명의 시스템을 설치할 경우 우체국을 운영하기 위한 각종 경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우편물 투입부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된 우편물을 적재하는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투입된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규격 통상 우편물을 처리하는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을 처리하는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수된 우편물을 적재하는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 우편물을 수거하는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및 그 접수 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100) 및 우편물 관리 서버(200)를 포함한다.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100)은 우편물을 접수하고, 접수된 우편물의 종류, 배송 방식, 크기, 중량 등을 고려하여 우편물을 적재하는 적재 위치를 할당하며, 할당된 적재 위치에 접수된 우편물을 적재한다.
이런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100)은 규격 통상 우편물과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을 각각 접수받기 위한 투입부 즉, 고객으로부터 우편물을 투입 받기 위한 투입부를 별도로 구비하고, 투입된 우편물에 포함된 문자를 영상 획득을 통한 문자 인식 결과를 통해 획득하며, 획득된 문자 인식 결과와 우편물의 중량, 배송 방식, 크기 등에 따라 결정되는 배송 요금 등을 포함하는 라벨을 생성하여 투입된 우편물에 부착할 수 있다. 이런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한다.
우편물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으로 접수된 우편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관리하고,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100)에 접수된 우편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우편물을 수거할 운반용기의 크기 및 수량 그리고 차량 규모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우편물 관리 서버(200)는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100)에서 처리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상황에 따라 운영자 또는 해당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요청된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100)만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100)과 우편물 관리 서버(200)를 모두 포함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접수된 우편물에 대한 요금을 결제하기 위하여 요금 결제망(미도시)과 연동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100)은 우편물 투입부(110), 카메라부(120), 우편물 이송부(130), 우편요금 정보부(140), 정보 생성부(150), 우편물 적재부(160), 사용자 UI부(170), 요금 결제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우편물 투입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배송될 우편물이 투입되는 수단으로, 규격 통상 우편물과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을 투입(또는 접수) 받을 수 있다.
이런 우편물 투입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격통상 우편물 투입부(111), 중량 및 크기 측정부(112), 이미지 인쇄부(113),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 투입부(114), 문자 인식부(115), 저장소(116), 영상 획득부(117), 우편물 대기부(118) 및, 라벨 생성 및 부착부(119)를 포함한다.
규격 통상 우편물 투입부(111)는 사용자로부터 규격 통상 우편물을 접수 받기 위한 구성이다.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 투입부(114)는 사용자로부터 비규격 통상 우편물 및 소포 우편물을 투입 받기 위한 구성이다.
영상 획득부(117)는 사용자로부터 접수된 규격 통상 우편물 또는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 때 영상 획득부(117)는 영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투입된 우편물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중량 및 크기 측정부(112)는 사용자로부터 접수된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에 대한 중량과 크기(가로, 세로, 높이)를 측정하고, 사용자로부터 접수된 규격 통상 우편물에 대해서는 중량만을 측정한다.
바람직하게, 중량 및 크기 측정부(112)는 크기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에 대한 크기만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중량 및 크기 측정부(112)는 투입된 우편물을 미리 결정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결정된 위치의 적어도 두 개의 측면에 배치된 스위치들을 이용하여 투입된 우편물이 제1 측면에 배치된 제1 스위치, 제2 측면에 배치된 제2 스위치와 접촉되면 투입된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런 중량 및 크기 측정부(112)는 투입된 우편물의 중량을 우편물이 투입되는 그 시점에 바로 측정할 수도 있지만,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시점에 측정할 수도 있다.
나아가, 중량 및 크기 측정부(112)는 결정된 위치의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간격 단위로 배치된 복수의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투입된 우편물의 크기 또는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
문자 인식부(115)는 영상 획득부(117)로부터 획득된 영상에서 문자를 추출하여 인식한다.
이 때, 문자 인식부(115)는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우편주소를 추출하여 인식할 수 있다.
우편물 대기부(118)는 우편물 요금결제 및 이미지 인쇄를 위해 우편물을 대기시키는 구성이다.
이미지 인쇄부(113)는 규격 통상 우편물에 각종 정보 및 로고 등을 인쇄한다.
물론, 상황에 따라 이미지 인쇄부(113)는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에도 각종 정보 및 각종 로고 등을 인쇄할 수도 있다.
저장소(116)는 투입된 우편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우편물의 크기, 중량, 형상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 때, 우편물의 형상 정보는 영상 획득부(117)에 의해 획득된 영상의 이미지 처리를 통해 획득될 수도 있고, 중량 및 크기 측정부(112)에 의한 크기 측정을 통해 획득될 수도 있다.
라벨 생성 및 부착부(119)는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문자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바코드 라벨에 인쇄될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바코드 라벨을 투입된 우편물에 부착한다.
이런, 라벨 생성 및 부착부(119)는 비규격 통상 우편물 및 소포 우편물에 부착될 라벨을 생성한다. 물론, 상황에 따라 라벨 생성 및 부착부(119)는 규격 통상 우편물에 대한 라벨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부(120)는 고객의 요구를 화상을 통해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상황에 따라 도 3의 영상 획득부(117)와 같이 우편물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카메라부(120)는 우편물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저장소에 저장하는 기능 외에, 고객과 본 발명의 시스템을 관리 또는 운용하는 관리자 또는 고객 센터를 연결하여 고객의 요구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우편요금 정보부(140)는 접수된 우편물의 크기 및 중량을 기반으로 우편요금을 산정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이 때, 우편요금 정보부(140)는 우편물의 크기와 중량 필요에 따라, 배송 방식 예를 들어, 일반 배송, 등기 배송 등을 고려하여 우편 요금 또는 배송 요금을 산정할 수 있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
정보 생성부(150)는 획득된 이미지 영상으로부터 주소 등을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바코드 등에 인쇄할 정보를 생성한다. 즉, 정보 생성부(150)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성되는 라벨에 인쇄될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정보 생성부(150)는 우편주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우편주소 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하여 인쇄할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 UI부(170)는 우편물 접수에서부터 종료까지 우편 고객이 시스템을 조작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요금 결제부(180)는 외부망 예를 들어, 요금 결제망과 연동되어 접수된 우편물의 요금을 결제한다.
이 때, 요금 결제부(180)는 우편 요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우편물의 크기 및 중량 나아가 배송 방식 대비 요금을 산정하고, 이에 대한 요금을 현금, T-money, 신용카드 등을 이용하여 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우편물 이송부(130)는 우편물 투입부(110)를 통해 접수된 우편물을 우편물 적재부(160)로 이송시키는 수단으로, 우편물 적재부(160)의 적재칸에 접수된 우편물이 적재될 수 있도록 수평 또는 상하로 이동하는 수단일 수 있다.
우편물 적재부(160)는 우편물 이송부(130)로부터 이송된 우편물 즉, 결제까지 처리된 접수 우편물을 적재하기 위한 구성으로, 우편물의 종별,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적재칸을 할당하고 자동 적재한다.
이 때, 우편물 적재부(160)는 우편물 이송부(130)로부터 우편물이 도착하게 되면 우편물의 형상 정보 또는 크기 정보를 제어부(190)로부터 받아서 해당 우편물의 크기에 맞는 적재칸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우편물 적재부(160)는 적재된 우편물의 종류별 수량, 접수 요금, 필요한 용기 규모 등의 통계정보와 적재된 우편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과, 접수된 우편물을 적재할 수 있는 다수의 적재칸 그리고 적재된 우편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우편물을 배출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우편물 적재부(160)는 접수된 우편물을 다수의 적재칸 중 우편물의 종류, 크기, 형상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적재칸에 적재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의 모든 구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우편 고객 즉, 사용자가 자신의 우편물을 접수하기 위해 공공장소에 설치된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을 이용하여 우편물을 접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처리 가능한 우편물은 규격 통상 우편물과 비규격 통상 우편물 및 소포 우편물인데, 규격 통상 우편물은 다수의 우편물을 한 번에 접수할 수 있고, 비규격 통상 우편물 및 소포 우편물은 한 통 또는 한 개씩 접수할 수 있다.
먼저 규격 통상 우편물의 접수 절차를 설명한다. 사용자 UI부(170)에서 규격 통상 메뉴가 선택되면 우편물 투입부(110)의 규격 통상 우편물을 접수할 수 있는 규격 통상 우편물 투입부(111)가 열리게 되고, 우편물을 투입하면 영상 획득부(117), 중량 및 크기 측정부(112)에서 우편물이 잠시 진행을 멈추게 되고 우편물을 스캔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동시에 우편물의 중량을 측정하여 저장소(116)에 저장한다. 우편물이 계속 진행하여 우편물 대기부(118)에 대기하는 동안 문자 인식부(115)는 저장소(116)에 저장된 우편물 영상을 순차적으로 호출하여 문자 인식을 하게 된다. 투입된 다수의 우편물이 위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고, 접수자가 다음 버튼을 눌러 요금결제까지 진행하게 되면, 시스템은 우편물에 각종 정보가 수록된 이미지를 인쇄하여 접수를 완료하게 된다.
다음은 비규격 우편물 및 소포 우편물의 처리 절차를 기술한다. 사용자 UI부(170)에서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 메뉴가 선택되면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 투입부(114)가 열리게 된다. 우편물이 투입부에 투입되면 해당 투입부 도어가 닫히고 바닥에 설치된 로울러는 우편물을 가로 및 세로방향의 기준면으로 정렬하고 잠시 멈추게 된다. 이 때 영상 획득부(117)는 우편물의 영상을 획득하고, 동시에 중량 및 크기 측정부(112)는 우편물의 3면(가로, 세로 및 높이)의 크기와 중량을 측정하여 이 결과를 역시 저장소(116)에 저장한다.
우편물의 크기(가로, 세로,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수자가 우편물을 시스템의 투입부에 올려 놓으면, 360도 방향으로 회전하는 로울러(920)가 투입부의 왼쪽방향으로 회전하여 우편물을 왼쪽 면에 일치시킨 다음, 안쪽으로 회전하여 안쪽 면에 일치시키게 되는데, 우편물을 각각의 면에 일치시키기 위해 멈추게 하는 역할은 각 면에 배치되어 있는 스위치(900)가 담당한다. 즉, 적어도 두 측면에 배치된 스위치에 우편물이 접촉되면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우편물이 멈추게 된다. 우편물이 두 면에 밀착되어 정지하게 되면, 카메라 즉 영상 획득부(117)가 우편물 윗면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중량 및 크기 측정부(112)가 우편물의 가로, 세로 및 높이를 각각의 센서의 신호에 의해 측정하게 되며, 중량을 측정하게 된다.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원리는 센서의 근접 여부를 검출하되, X축은 우편물의 가로를 측정하는데, X1센서 신호가 검출되면 X2신호 여부를 호출하고, X2 신호가 검출되면 이웃하는 신호를 연속적으로 호출하여 n번째 센서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n-1번째 센서까지의 길이가 되므로 쉽게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센서를 10mm 마다 설치했다면, 원점에서 10번째 센서의 신호가 검출되면 100mm가 된다. 마찬가지 원리로, 우편물의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신호를 검출하여 우편물의 세로 및 높이를 산출하게 된다. 이 산출된 길이는 우편요금 정보부(140)의 요율표와 비교하여 우편요금을 산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두 면에 일치되었던 우편물은 그 위치에서 반대 방향으로 로울러에 의해 후진하게 되고, 라벨을 부착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문자 인식부(115)는 저장소(116)에 저장된 우편물 영상을 순차적으로 호출하여 문자 인식을 수행하게 되고, 그 결과를 라벨 생성 및 부착부(119)로 전달한다. 라벨 생성 및 부착부(119)는 우편물에 부착될 정보의 라벨을 생성하여 인쇄하며, 처리된 우편물이 라벨을 부착하기 위한 라벨러 부분에 도착하게 되면 우편물의 정해진 위치에 라벨을 부착하게 된다.
이렇게 처리된 우편물은 도 4에 도시된 적재 대기부(630) 즉, 우편물 대기부(118)로 이송되어 우편물 이송부(130)에 의해 우편물 적재부(160)에 적재된다.
우편물이나 라벨에 인쇄되는 내용을 살펴보면, 보통 우편물은 요금정보, 중량정보, 우편번호 및 특정 이미지만 인쇄되는 반면, 등기 우편물은 보통 우편물의 인쇄 내용에 더해 등기번호 및 특정 이미지를 인쇄하게 되며, 등기 우편물 여부는 사용자 UI부(17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수자가 선택할 수 있다.
고객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우편물을 접수하는 동안 원격지원을 요청할 필요가 있을 경우, 원격지원을 요청할 수도 있다. 우편물 접수자가 사용자 UI부(170)에서 제공하는 원격지원 버튼을 누르면 우편물 콜센터 또는 고객센터 직원이 호출되고 작업자의 요청사항을 음성 및 영상을 통해 해결해 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된 우편물을 적재하는 개념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대해 설명하면, 시스템은 규격 통상 우편물 및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을 각각 다른 투입구(610, 620)를 통해 접수할 수 있다.
고객이 자신의 우편물을 시스템(600)의 투입부(610, 620)에 올려놓고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메뉴를 선택하여 마지막 단계인 결제까지 완료하면, 우편물은 시스템의 적재 대기부(630)에 잠시 대기하고 바로 우편물 이송부(700)에 의해 할당된 적재부(800)의 특정 구분 칸에 적재된다. 우편물 적재부(800)의 적재칸은 높이가 다양하게 구성되며, 적재효율을 높이기 위해 적재될 우편물의 크기에 따라 적재칸을 할당하여 적재한다. 즉, 접수된 우편물이 우편물 이송부(700)에 의해 대응하는 적재 칸을 찾고 적재층마다 구성된 로울러(820)가 구동하여 우편물을 적재하며, 규격 통상 우편물(810)은 일정 규모단위로 띠묶음 되어 적재되고, 비규격 우편물(830)과 소포 우편물(840)은 우편물의 크기에 따라 해당 적재칸에 적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규격 통상 우편물을 처리하는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편 접수 고객이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로그인(보내는 사람의 성명, 주소, 연락처 입력)하고 메뉴 가운데 규격통상 우편물을 선택한 후 접수할 규격 통상 우편물 투입부에 우편물을 장착한 다음 일반 우편물로 발송할 것인지, 아니면 등기 우편물로 발송할 것인지를 선택하고 우편물을 순차적으로 투입시킨다(S101 내지 S106).
순차적으로 투입된 우편물은 이송라인을 따라 진행하면서 우편물 영상이 획득되어 저장소에 저장되고 바로 이어서 중량 및 크기 측정부에 우편물이 순간적으로 멈추면서 우편물의 중량을 측정하여 역시 저장소에 저장한다(S107, S108).
물론, 규격 통상 우편물의 경우 중량만을 측정하면 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중량을 측정하는 부분과 크기를 측정하는 부분을 별도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저장소에 저장된 영상은 순차적으로 호출되어 문자 인식부 또는 문자 인식기에 의해 우편주소를 추출하여 인식하고 미리 저장된 주소 DB를 참조하여 인식된 문자인식 결과를 해석하게 된다(S109 내지 S112).
우편물 인식 결과, 인식에 실패(F)한 우편물은 배출구로 배출되어 재투입되거나 배출구로 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수자가 우편주소를 입력하여 정상적으로 처리되고, 정상적(S)으로 인식된 우편물은 고객이 선택한 방법에 따라 일반 우편물 이미지나 등기 우편물 이미지를 우편물의 지정된 위치에 인쇄하게 된다(S113, S114).
이미지가 인쇄된 우편물은 시스템 내에 마련된 임시 저장소에 대기하게 되고 일정 규모가 되면 띠로 묶여 적재 대기부에 대기한다(S115, S116, S120, S121). 임시 적재함이 일정량만큼 쌓이지 않으면 시스템은 우편물 투입부에 우편물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되고, 우편물이 있으면 우편물을 계속 장치에 투입하게 되고 위에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S117).
반면, 단계 S117 판단 결과, 우편물 투입부에 투입될 우편물이 없고 임시저장소에 대기하고 있는 우편물이 한 개 이상이면 역시 띠로 묶어 적재 대기부에 대기하고, 동시에 우편요금정보 DB를 참조하여 우편요금을 산정함으로써, 우편물 접수자가 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S118, S119).
접수자가 요금을 결제하면 영수증이 출력되고 모든 처리 결과는 우편물 관리 서버로 보내져 저장되며 시스템은 일정 시간 후 정지하게 된다(S122 내지 S124)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을 처리하는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우편물을 접수하고자 하는 고객이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보내는 사람의 성명, 주소, 연락처 등을 입력(사용자 로그인)하고 메뉴 가운데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을 선택한 후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 투입부에 우편물을 하나씩 넣고 등기 우편물로 발송할 것인지, 아니면 익일 특급 우편물로 발송할 것인지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눌러 우편물을 투입시킨다(S201 내지 S205).
우편물이 투입되면, 투입구 문이 닫히고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편물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그 결과를 저장소에 저장하고 바로 이어 중량을 측정하여 저장소에 저장한다(S206, S207).
문자인식기는 저장소에 저장된 이미지를 호출하여 우편주소를 추출하고 문자열을 추출하여 인식을 수행하고 미리 저장된 주소 DB를 참조하여 주소를 해석한다(S208, S210, S211). 동시에 우편물 형상측정모듈 즉, 중량 및 크기 측정부는 우편물의 형상(가로, 세로, 높이)을 산출하여 저장한다(S209).
단계 S207과 S209의 과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우편물의 크기(또는 형상)와 중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문자 인식에 의한 문자인식결과가 비정상(F)인 경우 수작업 주소 입력을 수행하고(key-in), 문자인식결과가 정상(S)인 경우 우편물의 요금정보 DB를 참조하여 우편요금을 산정하고 우편물 표면에 부착할 라벨을 생성하며, 우편물 표면의 어디에 라벨을 부착할 것인지를 결정한 다음 라벨을 우편물의 표면에 부착하게 되고 라벨이 부착된 우편물은 우편물 적재 대기부에 대기하게 된다(S212 내지 S219).
접수할 우편물이 더 이상 없으면, 고객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요금결제 버튼을 선택하여 요금을 결제하고 영수증을 받으면 되며 처리 결과는 우편물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된다(S220 내지 S223).
단계 S220 판단 결과, 고객이 우편물을 계속하여 투입하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우편물 투입버튼을 선택함으로써,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 투입부에 우편물을 공급하는 과정으로 넘어가게 되어 위에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수된 우편물을 적재하는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접수된 우편물은 적재 대기부에 의해 우편물 이송부로 옮겨지게 되고, 시스템에 접수될 때 산정된 해당 우편물의 크기에 따라 적재부의 특정 적재층의 적재칸에 적재되는데,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의 적재 대기부(630)에 우편물이 검출되면 접수된 우편물의 접수정보를 기반으로 우편물의 종류가 규격 통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규격 통상이면 규격 통상 우편물 적재칸을 할당하고 할당된 적재칸에 우편물을 적재한 다음 이 정보를 서버에 저장한다(S302, S303, S307 내지 S309).
마찬가지로, 우편물 종류가 규격 통상 우편물이 아니면 즉,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인 경우에는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 적재칸을 할당하고 할당된 적재칸에 우편물을 적재하며, 서버에 적재정보를 저장한다(S304 내지 S306).
이 때, 단계 S304는 비규격 통상 우편물인 경우 비규격 통상 우편물에 대한 적재칸을 할당하고, 소포 우편물인 경우 소포 우편물에 대한 적재칸을 할당할 수 있다.
그 다음, 대기부(620)에 우편물이 검출되는지 판단하여 새로운 우편물이 존재하면 단계 S303 과정으로 피드백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새로운 우편물이 검출되지 않으면 시스템은 멈추게 된다(S310, S311). 즉, 시스템의 대기부(620)에 접수된 우편물이 존재하면 우편물 종류가 규격 통상인가 아닌가를 판별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하고, 일정시간 동안 대기부(620)에 검출된 우편물이 없으면 시스템은 멈추게 된다.
시스템의 적재부에 적재된 우편물 현황은 우편물 관리 서버를 통해 관리자가 볼 수 있고, 적재된 우편물을 수거할 경우 이 정보가 활용되며, 적재부에 적재된 우편물은 수거하여 우편 집중국이나 총괄국으로 보내지게 되는데, 이 우편물을 수거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운반용기나 차량의 규모를 적정하게 판단하여 나가게 되며, 이런 정보는 서버를 통해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 우편물을 수거하는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시스템에 수거 작업자가 로그인을 하고, 시스템의 적재부에 적재된 우편물이 있는지 판단한다(S401 내지 S403).
단계 S403 판단 결과, 수거할 우편물이 있을 경우, 작업자는 수거할 방법을 적재부 UI 메뉴에서 선택하고, 선택된 수거 방법을 통해 우편물이 순차적으로 배출된다(S404, S405). 우편물 수거방법은 접수된 우편물 종류에 상관없이 역순으로 수거하거나, 우편물 종별로 수거하는 등의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우편물이 배출되면 배출된 우편물이 가져온 운반용기에 적재되며 이렇게 수거된 우편물의 수거 정보가 우편물 관리 서버에 저장된다(S406, S407).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110: 우편물 투입부
120: 카메라부
130: 우편물 이송부
140: 우편요금 정보부
150: 정보 생성부
160: 우편물 적재부
170: 사용자 UI부
180: 요금 결제부
190: 제어부
200: 우편물 관리 서버

Claims (12)

  1. 기 지정된 투입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우편물이 투입되면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을 미리 결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우편물의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에 미리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중량 및 크기 측정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배송 방식, 상기 측정된 상기 우편물의 중량 및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우편물의 배송 요금을 계산하는 배송 요금 연산부; 및
    상기 우편물이 접수되면 상기 접수된 상기 우편물을 상기 우편물의 배송 방식, 크기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적재 공간으로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적재 공간으로 상기 접수된 상기 우편물을 적재하는 우편물 적재부;
    를 포함하는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및 크기 측정부는,
    상기 결정된 위치의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간격 단위로 배치된 복수의 감지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들 중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을 감지한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및 크기 측정부는,
    상기 결정된 위치의 적어도 두 개의 측면에 배치된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에 배치된 제1 스위치와 제2 측면에 배치된 제2 스위치가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과 접촉되면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 적재부에 적재된 우편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재된 우편물을 수거할 운반용기의 크기 및 수량 그리고 차량 규모를 산출하고 관리하는 우편물 관리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상기 영상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고 문자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바코드 라벨에 인쇄될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상기 바코드 라벨을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에 부착하는 라벨 생성 및 부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규격의 우편물을 접수받기 위한 규격 통상 우편물 투입부; 및
    상기 규격의 우편물을 제외한 비규격 통상 우편물과 소포 우편물을 접수받기 위한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 투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및 크기 측정부는,
    상기 비규격 통상/소포 우편물 투입부로 투입된 우편물에 대해 크기와 중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8. 기 지정된 투입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우편물이 투입되면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을 미리 결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우편물의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에 미리 구비된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배송 방식, 상기 측정된 상기 우편물의 중량 및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우편물의 배송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우편물이 접수되면 상기 접수된 상기 우편물을 상기 우편물의 배송 방식, 크기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적재 공간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적재 공간으로 상기 접수된 상기 우편물을 적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우편물 무인 접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위치의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간격 단위로 배치된 복수의 감지 센서들 중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을 감지한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무인 접수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위치의 적어도 두 개의 측면에 배치된 스위치들이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과 접촉되면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무인 접수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상기 영상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고 문자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바코드 라벨에 인쇄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기 바코드 라벨을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에 부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무인 접수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이 미리 결정된 규격의 우편물인 규격 통상 우편물인지 아닌지 판단하고, 상기 투입된 상기 우편물이 상기 규격 통상 우편물이 아닌 경우 상기 우편물의 중량과 크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무인 접수 방법.
KR1020130002387A 2013-01-09 2013-01-09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및 그 접수 방법 KR101936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387A KR101936867B1 (ko) 2013-01-09 2013-01-09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및 그 접수 방법
US13/944,166 US20140195451A1 (en) 2013-01-09 2013-07-17 Unmanned system for accepting mail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387A KR101936867B1 (ko) 2013-01-09 2013-01-09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및 그 접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404A true KR20140090404A (ko) 2014-07-17
KR101936867B1 KR101936867B1 (ko) 2019-04-09

Family

ID=5106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387A KR101936867B1 (ko) 2013-01-09 2013-01-09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및 그 접수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195451A1 (ko)
KR (1) KR1019368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961A (ko) 2015-03-31 2016-10-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수의 동일 중량 우편물 접수가 가능한 무인 우편물 접수 관리장치 및 그 방법
WO2017039323A1 (ko) * 2015-09-01 2017-03-09 이재용 무인 우편/택배 접수장치
KR101959639B1 (ko) * 2017-11-17 2019-07-02 이재용 우편/소포 접수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0339B2 (ja) * 2017-05-15 2022-04-2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運送受付システム
CN108961548A (zh) * 2018-07-20 2018-12-07 拉扎斯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物品信息获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10138310A (ko) 2020-05-12 2021-11-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택배 부피 측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557A (ko) * 2001-03-29 2002-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량의 등기 우편물 자동 접수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04975A (ko) * 2001-10-29 2003-01-15 삼경정보통신 주식회사 지능형 무인우편창구 시스템
KR100515207B1 (ko) 2003-06-04 2005-09-16 세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무인 물류 접수 방법 및 장치
KR20070009204A (ko) * 2005-07-15 2007-0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기 우편물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40500A (ko) * 2010-10-19 2012-04-27 주식회사 포스트큐브 무인우편창구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8368A (en) * 1950-12-21 1955-05-17 Continental Silver Co Inc Equipment for rating by volume, weight, and zone
US5272640A (en) * 1986-10-17 1993-12-21 Wu Sheng J Automatic mail-processing device with full functions
US20040089482A1 (en) * 1991-04-10 2004-05-13 Uship Intellectual Properties, Llc Automated package shipping machine
US20010042055A1 (en) * 2000-02-07 2001-11-15 Jan Didriksen Parcel self-servicing machine
US20040260661A1 (en) * 2002-10-24 2004-12-23 Lytle Peter C. Security mailing system
US7596516B2 (en) * 2003-07-02 2009-09-29 Yrc Worldwide, Inc. Reverse logistics process
US8321258B2 (en) * 2006-08-31 2012-11-27 Sap Aktiengeselleschaft Vehicle scheduling and routing with compartments
US20120182588A1 (en) * 2011-01-14 2012-07-19 Mampe John J Distributed image acquisition for postal process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557A (ko) * 2001-03-29 2002-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량의 등기 우편물 자동 접수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04975A (ko) * 2001-10-29 2003-01-15 삼경정보통신 주식회사 지능형 무인우편창구 시스템
KR100515207B1 (ko) 2003-06-04 2005-09-16 세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무인 물류 접수 방법 및 장치
KR20070009204A (ko) * 2005-07-15 2007-0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기 우편물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40500A (ko) * 2010-10-19 2012-04-27 주식회사 포스트큐브 무인우편창구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961A (ko) 2015-03-31 2016-10-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수의 동일 중량 우편물 접수가 가능한 무인 우편물 접수 관리장치 및 그 방법
WO2017039323A1 (ko) * 2015-09-01 2017-03-09 이재용 무인 우편/택배 접수장치
KR101959639B1 (ko) * 2017-11-17 2019-07-02 이재용 우편/소포 접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867B1 (ko) 2019-04-09
US20140195451A1 (en) 201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867B1 (ko)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및 그 접수 방법
US6728597B2 (en) Storage system for storing items to be distributed
US10032239B2 (en) Enhanced payments for shipping
CN104134290A (zh) 一种智能快递寄送存取终端及方法
CN104134291A (zh) 一种智能快递寄送存取终端
US200301821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mail pieces that require special handling
CN104794822A (zh) 一种智能快递寄送存取终端及其寄送存取方法
US20160252893A1 (en) Robotic Self-Service Device and Methods for Banking and Vending
KR101496296B1 (ko) 무인 택배 시스템을 이용한 무인 배송 방법
CN104183060A (zh) 一种智能快递存取的方法
US20220309443A1 (en) Package management system, packag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storing storage medium
CN105550841A (zh) 一种智能快递方法与系统
KR20150084427A (ko)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5173820A1 (en) Goods delivery system
JP2004083149A (ja) 配送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3025378A (ja) 宅配物発送受付装置
JP2004083148A (ja) ポスト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30129346A (ko)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233262A (zh) 一种基于中间件的快递柜系统及控制方法
US8970899B2 (en) System for accepting mail matter, including a labeler attaching a label containing a registered barcode to mail matter
EP1299198B1 (en) A parcel self-servicing machine
KR20140071558A (ko) 우편물 원격 접수 시스템 및 방법
JP2012070800A (ja) 宅配ボックス装置
CN213149811U (zh) 寄件柜机
CN110728801A (zh) 一种带x光自动验视功能的自助寄件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