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427A -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427A
KR20150084427A KR1020140004436A KR20140004436A KR20150084427A KR 20150084427 A KR20150084427 A KR 20150084427A KR 1020140004436 A KR1020140004436 A KR 1020140004436A KR 20140004436 A KR20140004436 A KR 20140004436A KR 20150084427 A KR20150084427 A KR 20150084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reception
delivery
postal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04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4427A/ko
Priority to US14/302,010 priority patent/US20150199785A1/en
Publication of KR20150084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50/00Postage metering systems
    • G06Q2250/50Postage metering systems with specific mail handling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는 무인으로 사용자의 우편물을 접수하여 처리하기 위해, 크기 및 선택된 서비스에 따라 우편물 요금을 산정하고, 산정된 요금에 따라 결제된 우편물이 공동 접수함에 투척되어 공동 접수함이 만재하면 수집 작업자에 의해 만재한 공동 접수함의 우편물이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편물 요금 산정기준인 우편물 크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우편종별 공동 접수함을 구성 운영함으로써 우편물 수집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공동 접수함이 만재하더라도 여유 배달함을 통해 우편물을 접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수함 부족으로 인한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Unmanned Operating Management Apparatus for Accepting Mai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인으로 우편물을 접수하여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행특허 10-2003-0004975는 우체국 창구에서 이루어지는 일반우편, 등기우편, 속달우편, 국제우편 등의 각종 우편접수업무와 우표판매업무, 홍보 업무 등을 첨단의 영상인식 및 메카트로닉스 기술을 이용하여 대행할 수 있는 지능형 무인 우편창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고객이 접수하고자 하는 서장형태의 통상우편물이나 소형의 소포우편물을 자동 도어를 통하여 투입하고, 터치스크린을 이용해 원하는 우편서비스의 종류를 선택하면, 고객의 선택사항과 자동으로 계량한 우편물의 중량, 스테레오 방식으로 구비된 2대의 CCD 카메라를 이용한 우편물 영상처리에 의하여 자동으로 측정되는 우편물 크기 등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우편요금을 계산하여 고객에게 표시한다.
표시된 우편요금을 고객이 동전, 지폐 또는 카드로 결제를 완료하면 우표 대용 요금증지, 빠른 우편이나 등기우편 여부를 표시하는 라벨 등을 인쇄 출력하고, 고객이 우편물에 이들 인쇄 출력물들을 부착하여 장치에 다시 투입하면 우편물은 최종적으로 장치 내에 구비된 우편물 저장함으로 자동 투입된다.
이러한, 지능형 무인 우편창구 시스템은 우편물의 무게를 통상의 저울에 의해 측정하여 무게 기준으로 요금산정 후 접수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영상 카메라를 통해 우편물의 상단부 면의 가로, 세로 값을 구하기 위해 4개의 모서리 점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높이 값도 측면의 영상이 정확하게 획득될 경우에 높이 값 산정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인용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무인 우편창구 장치의 본체는 전면 폭 1900mm, 전면 높이 1800mm, 전후 깊이 800mm 내외의 크기로서 좌측, 중앙, 우측의 3부분으로 구성된 자립형 구조이고, 중앙에 무게 및 크기 장치로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는 폭이 총 1900mm인 점과 중앙부의 폭과 높이와 우편물 투함구의 크기를 고려할 경우, 소형 우편물만(약, 깊이 270mm * 폭 180mm * 높이 150mm)을 접수할 수 있고, 우편물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상단 부 공간은 카메라 2대 이상을 설치하여 우편물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지능형 무인 우편창구 시스템은 우편물 크기 측정을 위해 2대 이상의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해 많은 공간이 필요하며, 영상 획득 결과를 결합하여 크기를 산정하기 때문에 처리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우편물의 크기와 영상 품질에 따라 크기 측정결과에 대한 큰 오차가 발생한다.
즉, 지능형 무인 우편창구 시스템은 작은 공간에서 다양한 우편물의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10-2002-0042062, 지능형 무인 택배물 발송 장치와 그 운영 방법은 택배물 발송 과정을 무인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의 도입과, 이 기계를 통한 택배물 발송 시스템에 대한 발명으로서 발송자가 택배물을 사람의 도움없이 발송할 수 있도록 택배물 발송의 전과정을 사람 대신 처리해 줄 수 있는 장치를 도입하고, 이 장치와 발송자와의 상호작용(interaction) 방법 및, 이 장치와 연결된 택배물 발송의 운영의 전체계에 관한 것으로서, 지능형 무인 택배물 발송 장치와 그 운영 방법은 택배물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는 우편물 또는 소포의 발송에 적용할 수 있다.
지능형 무인 택배물 발송 장치는 지능형이므로 발송자와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무인이므로 야간에도 24시간 발송 가능하고, 이 장치와 택배 회사의 중앙 시스템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택배물의 발송 장치에 투입되는 시점에서 이 택배물의 효과적인 처리 방식이 실시간으로 결정된다.
또한, 지능형 무인 택배물 발송 장치는 상호 작용으로 중앙 시스템과 거래(dealing) 등을 하고, 중앙 시스템, 발송자 및 수신자를 네트워크로 연결시켜 택배물이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수신자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며, 최적화된 운임 체계를 결정한다.
지능형 무인 택배물 발송 장치는 택배물 발송 조건의 선택 또는 입력에 따라 택배 회사가 그 조건에 상응하는 유동적인 요금을 제시하거나, 택배 회사의 택배물 발송 조건 제시에 사용자가 동의하거나, 앞의 두 과정이 혼합되어 다양한 조건에 따른 거래(deal, 흥정)에 의해 요금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택배물 발송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지능형 무인 택배물 발송 장치는 배달기에 우편물을 배달하는 방법 및 제어하기 위한 장치 등에 대하여 명시되어 있지 않아 배달기를 통한 배달 및 수령방법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흥정에 의해 요금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무게, 크기 측정에 대한 기술과 접수우편물 제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10-2008-0110135는 택배회사 및 우체국과 사용자를 온라인으로 연결하는 시스템 서버에 온라인으로 연결되는 무인 택배/우편 접수 배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수화물 보관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택배 및 우편물 관련정보를 입력 및 출력하는 입출력유닛 상기 입출력유닛에 의해 입력된 택배 및 우편물 관련정보를 스티커 방식의 송장으로 출력하는 송장출력유닛 및 무인 택배/우편 접수 배달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상기 입출력유닛에 의해 입력된 택배 및 우편물 관련정보를 실시간으로 시스템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무인 택배/우편 접수 배달장치는 택배/우편 수령시, 상기 리딩유닛을 이용하여 수취인의 전자서명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장치이며, 수령인 인증방법으로 인감/서명에 의한 인증방법이 적용되고, 수화물 발송자 정보 입력 및 수취인 정보 입력 방법을 제공하며, 스티커 방식의 송장이 출력되고, 상기 택배/우편 관련정보가 시스템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와 수화물의 무게 및 크기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발신자번호표시서비스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에서 이용고객의 휴대전화를 통해 휴대폰번호를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배달결과는 휴대전화번호로 통지되며, 수취인 본인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될 경우, 무인 택배/우편 접수 배달장치에 마련된 수화물 보관부를 개방하여, 수화물을 수취인이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무인 택배/우편 접수 배달장치는 우편물 발송 요청시마다 고객인증 절차로 휴대전화번호를 비교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수집내용에 대한 송장을 출력하는 방법이 적용되나, 접수된 우편물에 대한 수집 작업시 발송정보를 부가적으로 출력하지 않고 우편물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발송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선행특허들의 문제점 및 선행특허에 요구되는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무인으로 사용자의 우편물을 접수하여 처리하기 위해, 크기 및 선택된 서비스에 따라 우편물 요금을 산정하고, 산정된 요금에 따라 결제된 우편물이 공동 접수함에 투척되어 공동 접수함이 만재하면 수집 작업자에 의해 만재한 공동 접수함의 우편물이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우편 접수시 사용자가 회원인 경우 접수정보 입력의 간소화 지원을 위해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주소록을 조회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편 접수과정에서 우편물의 무게/크기를 측정하며, 측정된 결과정보를 토대로 우편요금을 산정하고, 우편서비스 선택 결과 및 측정된 우편물 크기에 따라 공동 접수함을 자동으로 배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우편물 수집과정에서 수집대상 우편물의 인계인수 정보를 생성하고, 접수우편물과 수거우편물의 불일치시 1:1 비교를 통해 분실 또는 접수된 우편물이 누락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운영장애 발생시 이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소모품의 상태, 현금 잔액 부족 상태 등의 정보 등을 운영관리자에게 통지하여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는 우편물류시스템 및 무인접수배달 관련 기기들의 운영을 위한 통합 제어를 요청하는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 및 상기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의 통합 제어 요청을 수행하며, 상기 통합 제어 요청에 따른 제어 결과를 제공하고, 무인 우편 접수를 위한 공동 접수함 및 배달함의 상태 관리 및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고, 저울을 통해 우편물의 무게를 측정하며, 센서 및 영상획득용 카메라를 통해 우편물 크기를 측정하여 측정된 결과를 토대로 우편물의 요금을 산정하고, 산정된 요금에 따라 현금 또는 RF 카드로 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무인 우편 접수를 위해 우편물이 무게 측정 공간에 놓이면, 상기 우편물의 수치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결과를 토대로 상기 우편물의 요금을 산정하는 단계; 및 산정된 요금에 따라 상기 우편물의 요금을 결제한 후 상기 우편물이 배정된 접수함/배달함에 투척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편물 요금 산정기준인 우편물 크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우편종별 공동 접수함을 구성 운영함으로써 우편물 수집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동 접수함이 만재하더라도 여유 배달함을 통해 우편물을 접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수함 부족으로 인한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유지보수 관련 정보를 운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시에 유지보수 작업이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우편물 접수시 사용되는 정보가 변경될 경우 변경된 정보가 적시에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수작업에 의한 변경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우편물 접수에 대한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우편물 크기 유형별 무인 우편접수기를 도입할 필요없이 무인 우체국구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우체국 구축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우편물류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통합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반통상 우편물 공동 접수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센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등기통상 및 소포 3호 크기 이하 공동 접수함 및 소포 배달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소포 4호 크기 이상 공동 접수함 및 소포 배달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획득된 우편물 영상으로부터 우편물 윗면의 길이를 산정하는 방법.
도 10은 본 발명의 우편물 접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우편물 접수 요금 산정 및 접수조건 검사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접수된 우편물의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장기 우편물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무인으로 사용자의 우편물을 접수하고, 수집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목적지로 배달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무인 우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우편물류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통합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반통상 우편물 공동 접수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센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등기통상 및 소포 3호 크기 이하 공동 접수함 및 소포 배달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소포 4호 크기 이상 공동 접수함 및 소포 배달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는 복수의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10-n) 및 복수의 통합 제어부(100,...,100-n)를 포함한다.
각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10-n)의 운영체계는 특정 접수함 및 배달함의 하드웨어 제어에 종속되지 않고, 인터넷우체국(200), 우편물류시스템(30) 및 각 통합 제어부(100,...,100n)와의 순차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운영될 수 있도록 구성(구축)된다.
각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 ...10-n)는 우편물류시스템(30) 및 무인접수배달 관련 기기들의 운영을 위한 통합 제어를 요청하며, 각 통합 제어부(100,...,100n)는 우편물 무게/크기 측정부(180), 라벨/영수증 출력부(170), 바코드 판독부(171), 요금결제부(190)를 포함하고, 각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 ...10-n)의 통합 제어 요청을 수행하며, 통합 제어 요청에 따른 제어 결과를 제공하고, 공동 접수함 및 배달함을 제어하며, 공동 접수함 및 배달함의 상태를 관리한다.
각 공동 접수함 및 배달함 제어부(140,...,140n, 150,...,150n)는 각 통합 제어부(100,...,100n)의 요청에 의한 제어를 수행하고, 공동 접수함 또는 배달함의 상태를 식별한다.
한편, 인터넷우체국(200)은 이용현황을 조회하고, 우편물류시스템(30)은 각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 ...10-n)와 접수/수집/배달/수령 업무를 연계한다.
즉, 본 발명은 각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 ...10-n)를 통해 무인 우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선된 기기들이 각 통합 제어부(100,...,100n)를 통해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공동 접수함 및 배달함의 기능 개선 발생시에도 각 통합 제어부(100,...,100n)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할 경우 개선된 공동 접수함 및 배달함도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는 무인 접수창구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우편물을 접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유인 접수창구를 통해 접수하는 것과 동일한 절차로 접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저울을 통해 우편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센서 및 영상획득용 카메라를 통해 우편물 크기를 측정하여 우편물의 요금을 산정하며, 산정된 요금에 따라 현금 또는 RF 카드로 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우편물의 종류별로 투함 가능한 공동 접수함을 포함하고, 부가서비스 제공 대상인 기록 우편물의 경우 사용자가 투함할 수 있도록 공동 접수함의 문을 자동으로 열어 주며, 사용자에 의해 우편물이 공동 접수함에 투함되면 우편물의 투함 여부를 식별하는 센서를 통해 우편물이 공동 접수함에 투함된 것을 인지하며, 인지된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우편물 접수 처리 확인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우편물을 공동 접수함을 통해 서비스별로, 우편물 종류별로 접수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공동 접수함이 만재한 것으로 감지되면 우편물 접수가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만재한 공동 접수함의 인접 공동 접수함이 만재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여 인접 공동 접수함이 만재하지 않은 경우, 만재하지 않은, 즉 접수 가능한 공동 접수함을 통해 우편물을 접수할 수 있도록 하고, 모든 공동 접수함이 만재한 경우, 우편물의 길이 및 크기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배달함을 자동 배정하여 배정된 배달함을 통해 우편물을 접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 대비 좁은 공간에서도 우편물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편물의 높이 값을 선행기술 대비 좀 더 효과적으로 측정하고, 우편물 접수시 접수요금에 영향을 주는 값을 중심으로 우편물의 높이 값을 측정하며, 우편물이 사용자에 의해 우편물 무게/크기 측정부(180)의 중앙에 놓이면 복수 개의 열로 배열되어 설치된 센서들을 통해 우편물의 높이를 측정하고, 영상획득용 카메라를 통해 우편물의 가로 길이 값, 세로길이 값(폭 및 윗 면적)을 산출하며, 우편물이 만재하면 공동 접수함 및 배달함에 투함된 우편물이 수거될 수 있도록 공동 접수함 및 배달함의 위치, 개수, 접수물량 등이 포함된 데이터를 수집 작업자에게 통지하고, 우편물 접수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소모된 물품의 상태 정보 등을 제공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편물류시스템(30)은 접수배달 통합기 인터페이스(32), 요금/운영기준 데이터 관리부(33) 및 회원데이터 관리부(37)를 포함한다.
우편물류시스템(30)은 우편주소 및 우편번호 DB(31)에 대한 데이터, 및 운영기준(우편요금, 배송 조건 등) 데이터(34)에 변동사항이 발생하면, 요금/운영기준 데이터 관리부(33)에 변경 완료일을 등록하고, 요금/운영기준 데이터 관리부(33)에 의해 변경 완료일이 등록되면, 접수배달 통합기 인터페이스(32)를 통해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에서 변경된 데이터를 반영할 수 있도록 전달한다.
회원데이터 관리부(37)는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우편물 접수시 사용할 주소록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회원 가입된 사용자는 회원데이터 관리부(37)를 통해 무인 우체국에서 우편물 접수시 사용할 주소록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우체국에 설치된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는 우편물류정보 시스템 인터페이스(11), 요금/운영기준데이터 관리부(12), 우편물 무게/크기 산출 결과 관리부(14), 접수/수집 정보 처리부(16), 회원데이터 관리부(17), 및 회원 인증부(19)를 포함한다.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는 현재 날짜가 운영관리 날짜 변경 선에 다다르면, 우편물류정보 시스템 인터페이스(11) 및 접수/배달 통합기 인터페이스(32)를 통해 요금/운영기준 데이터 변동사항 관리부(33)가 변동사항 유무를 조회하도록 하여, 조회결과로 우편주소 및 우편번호 DB(31)에 대한 데이터, 및 운영기준(우편요금, 배송 조건 등) 데이터(34)에 대한 데이터 변경 내역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데이터 변경 내역 정보를 요금/운영기준데이터 관리부(12)가 운영기준 데이터(13)에 등록하도록 한다.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는 우편물 무게/크기 산출 결과 관리부(14)가 우편물 접수를 위해 우편요금 산정에 필수적인 우편물 길이를 산출하도록 하고, 서비스가 선택되면 접수/수집 정보 처리부(16)가 선택된 서비스를 요금산정 데이터로 적용하도록 하며, 우편번호 검색 또는 주소명칭으로 검색하여 발송인/수취인 주소정보를 입력받고, 부가서비스가 선택되면 수취인 주소와 무인우체국 우편번호를 기준으로 배송 지역을 자동으로 선택하며, 장거리일 경우, 운송수단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선택된 값과 우편요금 계산을 위한 운영기준데이터(13)를 토대로 우편요금을 산정한다.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는 사용자의 우편물이 등기통상 및 등기소포일 경우, 운송수단에 대한 운송가능 물량을 조회하여 운송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우편요금을 산정하며, 추가 접수가 필요한 경우 전술된 무게/크기 측정부터 반복하여 수행한다.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는 사용자의 우편물이 일반통상과 일반소포일 경우, 발송인/수취인 주소를 입력하지 않고 배송 지역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회원일 경우, 접수시 접수정보 입력을 간소화하기 위해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주소록을 조회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는 사용자에 의해 회원번호와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우편물류시스템 인터페이스(11)를 통해 회원 데이터관리부(37)를 액세스하여 회원 인증부(19)를 통해 사용자가 인증될 경우, 회원 관리데이터인 회원의 주소 데이터와 수취인 주소록 데이터를 회원 데이터 관리부(37)로부터 수신하여 임시로 회원데이터 관리부(17)에 저장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우편물을 순차적으로 접수하고 일괄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하며, 통합 제어부(100)는 무인 우편 접수/배달을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제어부(100)는 운영관리부 데이터 인터페이스(102), 요금결제 상태 관리부(107) 및 우편요금 결제 요청부(190)를 포함한다.
통합 제어부(100)는 우편요금 결제 요청부(190)에 의해 결제요청이 발생하면, 요금결제 상태 관리부(107)가 운영관리부 데이터 인터페이스(102)를 통해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 관리부(10)의 요금결제 처리부(15)로 결제 승인요청을 전달하도록 확인한다.
요금결제 상태 관리부(107)는 RF 카드로 결제시 교통카드, 신용카드, 직불카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결제 방법 각각에 대응되는 ID에 따른 결제 정보를 획득 및 생성하여 요금결제 처리부(15)에 전달한다.
통합 제어부(100)는 현금결제기(192)에 현금 잔액이 부족할 경우, RF 결제기(191)를 통해 RF 카드로 나머지 잔액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통합 제어부(100)는 요금결제가 완료되면, 접수 순서별로 선택된 우편종류별, 서비스별 라벨을 하나씩 출력하고, 라벨 출력이 완료되면, 접수될 우편물의 수취인 명을 제공하여 문이 열린 공동 접수함에 대응되는 우편물이 제출될 수 있도록 한다.
통합 제어부(100)는 우편물류시스템 인터페이스(11)와 접수/배달 통합기 인터페이스(32)를 통해 요금결제 요청을 수행한다.
예컨대, 요금결제 처리부(35)는 접수/배달 통합기 인터페이스(32)를 통해 통합 제어부(100)로부터 요금결제 요청을 받으면, 이동통신 G/W(50)를 통해 대응되는 결제요청 VAN 사로 승인을 요청하고, 요청에 따른 결과를 G/W(50)를 통해 수신한다.
요금 결제결과는 사용자 화면을 통해 출력된다.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는 요금결제 요청 직전 접수가 진행되어 저장된 접수데이터를 우편물류시스템(30)으로 전송하고, 우편물류시스템(30)은 접수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접수데이터를 접수정보 및 마감관리부(36)를 통해 임시 저장소에 저장한다.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는 우편물류시스템(30)에서 접수데이터의 수신완료가 확인되면 마감처리 결과 확인을 위한 접수건별 요금, 우편물량 등을 임시보관하고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을 모두 삭제한다.
즉,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는 보관 데이터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접수/수집 정보처리부(16)를 통해 접수과정 중 사용된 개인정보를 삭제한다.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는 결제가 완료된 우편물을 공동 접수함 및 배달함 관리부(23)에 의해 배정된 공동 접수함에 제어요청/결과 획득부(21)를 통해 제출한다.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는 접수 또는 수집 작업이 완료되면, 접수/수집결과 등록 요청부(20)에 의해 결과를 우편물류시스템 인터페이스(11)를 통해 전달하여 접수 및 수집결과 등록부(39)를 통해 등록한다.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는 수집완료 시 접수/수집결과 등록 요청부(20)에 의해 마감처리 요청 메시지를 우편물류시스템(30)의 접수 정보 및 마감 관리부(36)로 전달하고, 마감처리 결과가 수신되면 수집 작업을 완료한다.
공동 접수함 및 배달함 제어부(140,150)는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에 의해 결정되어 통합 제어부(100)를 통해 요청된 된 문 열기 제어, 닫힘 상태 식별, 투함상태 식별 등을 수행하며, 수행된 결과와 접수/배달함의 상태(불용, 가용, 만재, 사용중 등)를, 즉 수행 상태 데이터를 통합 제어부(100)를 통해 관리될 수 있도록 통합 제어부(100)에 제공한다.
통합 제어부(100)는 공동 접수함 및 배달함의 동작상태를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에 제공하며, 관리자정보 등록부(41)에 등록된 유지보수 작업자 휴대전화로 유지보수 필요내용을 SMS로 전송 요청부(48)를 통해 전송한다.
통합 제어부(100)는 접수 및 수집 기능 수행 중, 우편물이 무게/크기 측정부(180)에 놓이고, 무게/크기 측정부(180)에 놓인 우편물이 감지센서, 즉 무게 측정기(186)에 의해 감지된 경우, 우편물 크기 측정제어부(106)에 의해 센서기반 높이 측정기(184)를 통해 높이 측정값 획득이 완료되면, 조명제어기(183)에 의해 조명을 켜고, 우편물 영상을 우편 영상 획득기(182)에 의해 획득하고, 우편물 영상의 획득이 완료되면 조명제어기(183)에 의해 조명을 끈다.
우편물 윗면길이 산출부(105)는 우편물 무게/크기 측정부(180)를 통해 획득된 우편물 영상을 토대로 우편물 윗면 및 총 길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우편물 크기 산출 결과)를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의 우편물 무게/크기 산출 결과 관리부(14)에 제공한다.
통합 제어부(100)는 우편물 요금 결제시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를 통해 제공된 요금 결제 수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결제 결과(결제 내역 데이터)를 요금결제 상태관리부(107)를 통해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의 요금결제처리부(15)에 제공하여 우편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접수배달함 관리부(114)는 공동 접수함 제어부(140)의 공동 접수함 모듈제어 관리부(141)와 배달함 제어부(150)의 배달함 모듈 제어/관리부(151)를 통해 공동 접수함과 배달함의 상태를 상태 획득부(146,155)를 통해 확인하고, 확인결과, 공동 접수함과 배달함의 운영 상태(만재 상태, 사용가, 불용 상태 등)에 대하여 변경사항이 발생하면 임시저장소에 저장하고, 발생한 변경사항을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의 공동 접수함 및 배달함 관리부(23)에 전달한다.
또한, 통합 제어부(100)는 공동 접수함의 만재 여부와 여유 배달함 존재 여부를 식별하여 접수시작 진행 중 우편물 접수가 취소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공동 접수함 및 배달함 관리부(23)는 접수과정에 우편물 크기와 서비스 선택 내용을 비교하여 선택된 함의 자동열기 제어 요청이 제어요청/결과 획득부(21)를 통해 발생하면, 통합 제어부(100)를 통해 함의 제어 요청 및 상태처리부(113)에 의해 수행된 결과를 운영관리부 테이터 인터페이스(102)를 통해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에 전달한다.
통합 제어부(100)에 연결된 각 구성요소의 동작 요청 및 결과 관리 내역, 소모품 잔량 변경 내역, 센서/문 제어 불량 건 수, 현금잔액 부족 등이 식별되면, 유지보수 데이터 생성 전달부(103)는 식별된 결과를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에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우편물 무게/크기 측정은 무인 우편 접수.배달 통합 제어부(100)를 통해 구동되며, 우편물 접수시 우편종류가 선택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편물 무게/크기 측정부(180)와 함께 일반통상 우편물 공동 접수함이 구성되며, 무인 우편물 접수시 무게 측정 공간(505)에 우편물이 놓이면, 통합 제어부(100)는 저울(500)을 통해 우편물의 무게를 측정함과 동시에 무게 측정 공간(505) 상단에 설치된 물체 감지 센서(513)를 통해 우편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며, 감시 센서에 의해 우편물이 식별되면 우편물의 높이 값을 획득하기 위해 배열된 센서 열 모듈(509)의 상태를 하단부터 순차적으로 검사하고, 우편물이 반사판(506)을 가리면, 센서가 on 상태가 되도록 하고, 센서가 on으로 감지된 결과를 사용하여 우편물의 높이 값을 생성한다.
507은 대형 소포, 508은 소형통상 우편물(규격)의 윗면에 대한 우편물 영상 획득 결과다.
전술한 바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도록 우편물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 오차와 우편물 규격 검사 기준 및 제출 조건 기준 값이 식별될 수 있도록 센서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열로 구성하고, 센서 모듈 간의 간섭 또는 센서 간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치하여 설계된 결과를 기반으로 센서의 위치(600, 601)를 배열하여 적용하고, 센서와 수평인 위치에 반사판을 부착하여 반사 여부에 따라, 센서로 감지하여 우편물의 규격 검지 및 우편물 길이를 산정한다.
예컨대, 높이 측정 센서 동작 상태를 식별하여 크기 초과, 통상우편 여부를 검출한다.
377mm위치의 센서가 on일 경우, 우편물이 접수 제한 높이를 초과한 것으로 검지(접수제한 우편물로 안내)하며, 6mm위치의 센서가 off일 경우, 우편물을 규격 우편물인 것으로 결정하고, 6mm 위치의 센서가 on일 경우, 우편물을 비규격 우편물로 결정하며, 56mm위치의 센서가 on일 경우, 소포 우편물로 배정하고, 56mm위치의 센서가 off이며, 46mm위치의 센서가 on일 경우, 우편물을 보통우편 비규격 우편물인 것으로 인식하여 소포 공동 접수함에 제출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높이 값 산출 조건 및 산정은 높이 검지 센서 위치를 기준으로 위치 값 6mm에서 위치 값 380mm방향으로 검사하여 on->off 발생 후, 다음 검사 대상 센서들이 모두 off일 경우, on->off로 전환된 on 센서 값을 높이 값으로 산정하며, 높이 검지 센서 위치를 기준으로 위치 값 6mm에서 위치 값 380mm방향으로 검사하여 on->off 발생 후, 다음 위치센서가 다시 on된 센서가 존재할 경우 제안된 방법에 의해 높이 값을 산정하며, 하기 3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우편물 높이 값을 생성한다.
높이 값 산출 예 1) on1->off1->off2 , 높이 값 = on1 값
높이 값 산출 예 2) on1->off1 ->on2->off2->off3, 높이 값 = [off1+on2]/2
높이 값 산출 예 3) on1->off1->on2->off2->on3->off3-> off4, 높이 값 = [on2+off1+on3+off2]/4
실시 예) 320mm 위치 센서(on1)-> 330mm 위치 센서(off1)-> 340mm 위치 센서(on2)-> 350mmm 위치 센서(off2)-> 360mm 위치 센서(on3)- >370mm 위치 센서(off3)-> 377mm위치 센서(off4) 높이 값 = (330+340+350+360)/4 = 345mm
한편, 일반통상 공동 접수함은 투함구(502)를 포함하며, 내부에는 우편물이 만재한 것을 감지하기 위한 3개의 센서(511)가 설치되고, 이 중 센서 1개만 on상태로 검출되면 공동 접수함이 만재한 것으로 식별하며, 바닥면이 공동 접수함 내에 우편상자를 넣을 경우 우편상자가 존재하는지, 우편상자가 없을 경우 투함된 우편물이 존재하는지 식별하기 위한 감지센서(512)와 반사판(510)으로 구성된다.
공동 접수함의 우편물 투함 여부는 3개의 센서 중 첫 번째 센서에 의해 on-off 변화가 발생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우편물의 투함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소포 우편물의 기표지 출력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위치(504)에 기표지 프린터를 고정시켜 출력된 레이블을 고객이 쉽게 인수할 수 있도록 한다.
등기통상 및 소포 3호 크기 이하 공동 접수함 및 소포 배달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투함구(703)는 등기통상 공동 접수함의 투함구이며, 잠금장치(706)는 통합 제어부(100)의 공동 접수함 제어부(140)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제어될 수 있다.
소포 3호 이하 공동 접수함은 우편물 투함을 위해 문(707)이 자동으로 열리고, 투함구(704)에 소포 우편물이 제출되면, 투함상태 및 접수우편물 투함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우편물이 50%, 100% 만재한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센서로 구성된다.
등기통상 우편물 공동 접수함의 우편물의 투함 상태 및 만재한 상태를 식별하는 방법은 일반통상 공동 접수함과 동일하다.
소포 4호 크기 이상 공동 접수함 및 소포 배달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소포 4호 이상에 대한 공동 접수함은 우편물 투함을 위해 문(804)이 자동으로 열리고, 투함구(802)에 소포 우편물이 제출되면, 투함상태 및 접수우편물 투함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우편물이 50%, 100% 만재한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센서로 구성한다.
공동 접수함 및 배달함 관리부(23)는 소포 우편물 공동 접수함을 배정하고, 소포 공동 접수함이 모두 만재한 상태로 식별되면, 여유 배달함의 크기별 개수를 기준으로 여유 배달함을 소포 우편물을 제출받는 용도로 배정한다.
이상,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를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획득된 우편물 영상으로부터 우편물 윗면의 길이를 산정하는 방법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우편물 접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우편물 접수 요금 산정 및 접수조건 검사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접수된 우편물의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장기 우편물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획득된 우편물 영상으로부터 우편물 윗면의 길이를 산정하는 방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출된 우편물 높이 값을 획득하고, 우편물 영상을 획득하며(S900), 획득된 우편물 영상을 이진화한다(S901).
우편물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기 전 배경 영상과 우편물이 놓인 상태의 영상, 즉 우편물이 포함된 영상과의 차이 값을 토대로 배경영역을 제거하며(S902), 우편물 외곽의 에지 부분을 추출하고(S903), 방향성(동일 방향성)을 고려한 직선의 짧은 면과 긴 면의 폭의 값 중 가장 큰 값을 산출하여 가장 긴 길이와 중간 길이 값으로 검출하고(S904), 우편물의 투입시 발생한 기울어진 각도 값을 산정하여 보정한다(S905).
높이 값과 획득 영상의 해상도 값에 의한 오차를 높이 값에 따른 단위 길이 당 최소 화소 수로 보정하고(S906), 높이, 긴 길이, 중간 길이 평균오차에 의한 보정을 하며(S907), 이러한 보정을 통해 높이(짧은 길이), 긴 길이, 중간 길이, 총 우편물 길이를 산출한다(S908).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단계(S906) 및 단계(S907)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우편물 영상획득 이전에 생성된 높이 값을 등록하고, 우편물 크기별 영상에 의해 획득된 값과 실제 측정값의 차이 값을 사전에 등록한 후, 긴 면과 짧은 면의 길이에 대한 평균 오차 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오차 값을 단계(S906) 및 단계(S907)에 반영하여 오차 값을 기준으로 우편물 각 변의 길이를 보정하여 우편물의 길이를 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우편물 접수 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우편물 접수요청이 발생하면, 현재까지 운영된 접수함/배달함 여유 개수를 조회하여 확인하고(S1000), 즉 접수함/배달함 여유 개수 및 접수 가능물량을 조회하며, 우편물 종류를 선택받고, 접수 가능물량 값이 확인될 경우, 선택된 우편물의 종류에 따른 우편물의 무게, 크기 측정을 실시한다(S1001).
우편물의 접수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S1002), 확인결과 우편물의 접수가 가능하면, 접수 우편물의 접수함/배달함을 배정한다(S1003).
예컨대, 배달함/접수함이 만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배달함/접수함이 모두 만재한 경우, 우편물이 접수될 수 없음을 고객에게 알리고, 확인결과, 배달함/접수함이 모두 만재한 경우가 아니면, 우편물 무게, 크기 측정 결과를 토대로 접수가능 우편물인지를 확인하며, 즉 무게 값과 크기 값을 비교하여 접수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접수 가능 우편물인 경우, 접수함 또는 배달함을 배정한다.
우편물이 보통 통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S1004), 우편물이 보통통상이 아닐 경우 등기(통상, 소포) 접수 정보를 입력받는다(S1005).
예컨대, 우편물이 통상우편물인지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결과, 우편물이 통상 우편물이 아니면, 발송인/수취인 정보를 입력받는다.
배송 서비스(동일 지역, 타지역 등)를 자동으로 선택하고, 장거리 운송편을 선택하며(S1006), 우편 부가서비스를 선택한다(S1007).
예컨대, 입력된 접수정보를 토대로 배송 지역을 자동으로 선택하며, 장거리 지역일 경우, 장거리 운송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S1006), 부가서비스를 선택한다(S1007)
단계(S1004) 확인결과, 우편물이 통상 우편물인 경우, 규격인지, 비규격인지를 자동으로 식별하고 배송 지역(동일지역, 타지역, 장거리 등)을 선택하고(S1008), 선택된 정보를 토대로 우편요금 산정하여 산정결과를 제공한다(S1009).
우편물의 추가접수가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S1010), 즉 모든 접수/배달함의 상태가 만재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결과 모든 접수/배달함이 만재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추가 접수 가능으로 판단하고, 단계(S1001)부터 수행을 반복하며, 그러나, 확인결과, 모든 접수/배달함이 만재한 상태인 경우, 추가 접수 불가능으로 판단하고, 우편요금 결제를 요청한다(S1011).
즉, 모든 우편물에 대해 추가접수까지 완료되면, 요금결제를 진행하고, 우편물 접수를 위한 요금 결제가 완료되면, 우편서비스 및 우편물 크기에 따른 우편물을 제출한다.
예컨대, 제출 우편물이 일반통상이고, 일반통상 공동 접수함에 투함 가능한 우편물로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에 의해 확인되면, 고객별 접수 건에 대하여 통합 제어부(100)를 통해 라벨을 출력하며(S1012), 출력된 라벨이 일반통상 우편물에 부착되고 라벨이 부착된 일반통상 우편물이 지정된 공동 접수함에 투함되면, 일반통상 우편물의 투함 상태를 식별하며(S1013), 우편물이 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접수함/배달함 우편물 존재 유무 식별, 만재한 상태인지 여부 식별 및 함의 문 닫힘 상태를 식별하고(S1014), 식별결과를 토대로 우편물 접수 완료 여부를 판단하며(S1015), 판단결과, 우편물 접수가 완료된 경우, 우편요금 영수증을 출력한다(S1016).
또한, 제출 우편물이 등기통상이고, 등기통상 공동 접수함에 투함 가능한 우편물로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에 의해 확인되면, 고객별 접수 건 순서로 통합제어부(100)를 통해 등기바코드 레이블을 출력하며, 등기통상 공동 접수함의 투함구를 자동으로 개방하고(S1012), 제출될 우편물인지 식별할 수 있도록 수취인 이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며, 등기통상 우편물의 투함 상태를 식별하며(S1013), 우편물이 투함완료되어 투함구의 문이 닫힘 상태로 식별되면(S1014), 우편물 접수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S1015), 우편요금 영수증을 출력한다(S1016).
제출 우편물이 일반소포일 경우, 고객별 접수 건에 대하여 통합 제어부(100)를 통해 소인라벨을 출력하며, 일반소포의 크기 측정결과 데이터를 조회하여 해당 소포 공동 접수함의 문을 자동으로 열고(S1012), 투함구를 통해 소포우편물이 투함되면, 소포우편물의 투함 상태를 식별하며(S1013), 소포 우편물이 투함된 것으로 식별되어 투함구의 문이 닫힘 상태로 식별되면(S1014), 우편물 접수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S1015), 우편요금 영수증을 출력한다(S1016).
제출 우편물이 등기소포이고, 고객별 접수 건에 대하여 접수 순으로 통합제어부(100)를 통해 기표지 라벨을 출력하며, 소포의 크기 측정결과 데이터를 조회하여 해당 소포 공동 접수함의 문을 자동으로 열고(S1012), 투함될 우편물인지 식별할 수 있도록 수취인 이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며, 투함구를 통해 소포우편물이 투함되면, 소포 우편물의 투함 상태를 식별하고(S1013), 추가 접수 물량이 존재하면 다음 기표지 라벨을 출력하며(S1012), 모든 우편물이 투함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공동 접수함의 문이 닫혀 졌는지 식별하고, 닫힘 상태이면, 접수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S1015) 우편요금 영수증을 출력한다(S1016).
한편, 공동 접수함이 만재한 상태여서 우편물이 배달함에 투함되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 우편물 크기 값을 기준으로 접수용으로 배정된 배달함의 문을 통합제어부(100)를 통해 자동으로 열며(S1012), 우편물이 투함되면 배달함 바닥면의 감지 센서에 의해 우편물의 투함상태를 식별하고(S1013), 배달함의 문이 닫힘 상태로 감지되면(S1014), 다음 우편물 접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우편물 상에 등기바코드를 고정식 바코드 판독기를 통해 판독하고, 정상이면, 해당 우편물 크기의 함이 자동으로 열리도록 할 수 있다(S1012).
접수결과 등록 운영 통계/유지보수 데이터를 등록한다(S1017).
예컨대, 고객에 의해 접수가 완료되면,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는 운영 내역을 우편물류시스템(30)에 등록하고, 또한 통합 제어부(100)로부터 획득된 유지보수 데이터를 등록하며, 유지보수 작업 담당자 단말기(이동전화)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보(유지보수 데이터 내역)를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우편물의 각 변의 길이 값과 무게 측정결과에 의해 우편물 접수 요금 산정 및 접수조건 검사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류별 선택된 우편물의 측정 결과에 따라 통상우편물에 대한 규격 검사를 하기와 같이 수행한다.
우편물의 종류가 선택되고(S1100), 선택된 우편물의 무게, 길이 등을 측정하며(S1101), 측정된 결과를 토대로 우편물의 무게, 두께, 가로, 세로 등을 비교하여 우편물이 통상우편 규격인지 여부를 식별한다(S1102).
예컨대, 우편물의 영상으로부터 획득된 길이 측정값 결과를 토대로 우편물의 길이(최소, 최대) 값을 비교하여 우편물의 길이 값이 규격 범위 이내인지 식별하며, 우편물 면의 반사율 값에 의해 규격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식별결과를 통대로 우편물이 통상 규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3).
예컨대, 측정된 우편물의 무게(무게 획득 값)가 51g 미만이고, 높이 측정값에 의해 측정된 높이 값이 6mm 미만이면 우편물이 통상 규격인 것으로 판단하며, 규격 범위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우편물이 통상 비규격인 것으로 판단한다
우편물이 통상 규격이 아닌 경우, 즉 통상 비규격인 경우, 우편물이 접수가능한 우편물인지 여부를 확인하고(S1104), 확인결과, 우편물이 접수가능한 우편물일 경우, 측정된 결과를 토대로 우편물의 무게, 두께, 가로, 세로를 비교하여 우편물이 비규격 통상우편 규격인지 여부를 식별한다(S1105).
비규격 우편물 식별 기준은 무게 측정결과가 2g 미만이거나 51g 이상인 경우이고, 6,000g 이하이면 규격검사를 수행하지 않고 비규격으로 결정하며, 무게가 6,005g을 초과하면 소포우편물로 접수되도록 한다.
또한, 우편물의 총 길이(가로+세로+높이)가 36cm 이하이고, 높이 측정 결과 측정된 높이 값이 6mm 이상이면 비규격으로 결정한다.
식별결과를 통대로 우편물이 통상 비규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6).
판단결과, 우편물이 통상 비규격이 아니면, 즉 우편물이 통상 규격이거나 소포이면, 소포 무게, 우편물 짧은 면 길이, 중간 면 길이, 최강 긴 면 길이를 비교하고(S1107), 비교결과를 토대로 우편물이 접수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8).
예컨대, 일반 및 등기통상 우편물에 대한 공동 투함구의 크기 제약으로 접수가 불가능한 우편물인지 식별하며, 식별결과, 우편물의 가장 긴 길이가 13.5cm 보다 적고, 짧은 길이가 8.5cm미만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객에게 접수불가 우편물임을 알리고, 접수되지 않도록 처리한다.
또한, 우편물 총길이(가로+세로+높이)가 91cm보다 적고, 높이 값이 56mm미만이면, 접수가능 우편물로 인식하여 통상/등기 공동 접수함을 배정하고, 식별결과, 56mm이상이면 접수가능 우편물로 인식하여 소포 (1,2,3 호) 공동 접수함을 배정하여 접수되도록 한다.
공동 접수함 및 여유 배달함이 만재한 상태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검사결과 및 투함 가능 물량을 기준으로 우편종별/서비스별 공동 접수함 및 여유 배달함을 조회하며(S1109), 우편물 서비스, 크기에 따라 접수 및 배달함을 배정하고, 우편물 크기 기준 우편요금을 산정한다(S1110).
다음 우편물 접수가 가능한지 확인하고(S1111), 확인결과 다음 접수가 가능하면, 요금결제 정보 생성 등 우편물 접수를 계속한다(S1112).
한편, 소포우편물 접수 기준 및 우편요금 산정 기준으로 취급제한 품목이 선택된 경우, 소포우편물의 무게가 무게 초과 여부 검사 기준 30,005g 이상일 경우, 가로, 세로, 높이 값 중 어느 한 면의 길이가 550mm 이상, 소포 우편물 총 길이가 137cm 이상(접수 투함구 크기 기준)일 경우, 소포로 접수 불가함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소포우편물의 길이 중 가장 긴 길이가 17cm 이상, 중간 길이가 12cm 이상, 가장 짧은 길이가 3.5cm 이상, 최장 길이가 17cm 미만일 경우, 우편물을 소포(통상 비규격)로 접수하고, 전술한 길이 값들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통상우편으로 접수됨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객에게 알리고 통상우편 요금체계가 반영되도록 한다.
또한, 공동 접수함의 크기를 고려하여 소포 4,5호 공동 접수함으로 접수 가능한 우편물 크기 범위는 총 길이 기준과 각 면의 긴 길이, 중간 길이, 높이 값의 기준과 비교하여(S1107) 비교결과에 따라 접수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1108).
예컨대, 우편물 총 길이가 100cm보다 길고, 137cm 미만인 조건을 만족할 경우, 다음 각 면의 길이 조건을 만족하면 소포 변이 길이 중, 중간 길이가 422mm(투함구 폭 값의 여유 값을 뺀 값, 약 10mm) 미만이고, 가장 짧은 길이(높이)가 377mm(투함구 높이 값의 여유 값을 뺀 값, 약 10mm) 이하이며, 가장 긴 길이가 551mm 이하인 경우, 이러한 우편물을 소포로 접수한다.
소포 1,2,3호 공동 접수함으로 접수 가능한 우편물 총 길이 크기 범위와 각 길이 값의 가장 긴 길이, 중간 길이, 높이(두께) 값을 기준으로 비교하여(S1105) 투함 가능 여부를 식별한다(S1108).
예컨대, 우편물 총 길이가 34cm이상, 101cm 미만, 각 면의 길이가 중간 길이 값이 421mm(투함구 폭 값에서 여유 값을 뺀 값, 약 10mm) 이하, 가장 짧은 길이가 252mm에서 여유 값을 뺀 값(약 10mm) 미만, 가장 긴 길이가 551mm 미만을 대상으로 투함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공동 접수함을 배정하며, 즉, 공동 접수함 및 여유 배달함이 만재한 상태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 및 투함 가능 물량을 기준으로 우편종별/서비스별 공동 접수함 및 여유 배달함을 조회하고(S1109), 우편물 서비스, 크기에 따라 접수 및 배달함을 배정하며, 우편물 크기 기준 우편요금을 산정하고(S1110), 소포우편물 공동 접수함의 만재 센서 기준으로 공동 접수함을 공동으로 사용하여 접수한다.
예컨대, 소포 1,2,3호 공동 접수함이 만재한 상태이고, 소포 4,5호 공동 접수함이 만재한 상태가 아닐 경우(100% 만재 기준) 소포 1,2,3호 크기 우편물을 소포 4,5호 공동 접수함으로 배정한다(S1110).
소포 4,5호 공동 접수함이 만재한 상태이고, 소포 1,2,3호 공동 접수함이 만재한 상태가 아닐 경우(100% 만재 기준), 소포 우편물의 중간 길이 값이 421mm미만이고, 가장 짧은 길이가 252mm미만 일 경우, 최대 우편물 총 길이 122cm까지 소포 1,2,3호 공동 접수함으로 처리되도록 공동 접수함을 배정한다(S1110).
소포 1,2,3호 공동 접수함이 50% 만재한 것으로 감지되었을 경우, 다음과 같이 접수가능 물량을 임시저장한 후, 접수절차 중 공동 접수함 배정 조건으로 사용한다(S1110).
즉, 접수가능 물량(1, 2, 3호 기준) : 5, 3, 2통 (단, 물량은 공동 접수함 크기에 따라 기준물량 값을 결정하여 등록할 수 있음)
소포 4,5호 공동 접수함이 50% 만재한 것으로 식별된 경우, 다음과 같이 접수가능 물량을 임시저장한 후, 접수절차 중 공동 접수함 배정 조건으로 사용한다.
즉, 접수가능 물량(4, 5호 기준) : 1통 (단, 물량은 공동 접수함 크기에 따라 기준물량 값을 결정하여 등록할 수 있음)
소포 1,2,3호 공동 접수함이 만재한 상태가 되어 접수가 불가능한 경우이고, 소포 4,5호 공동 접수함이 50% 만재한 것으로 식별된 경우, 소포 1,2,3호 접수 가능 물량을 임시저장한 후, 접수절차 중 공동 접수함 배정 조건으로 사용한다.
즉, 접수가능 물량 (1, 2, 3호 기준) : 5, 2, 1통 (단, 물량은 공동 접수함 크기에 따라 기준물량 값을 결정하여 등록할 수 있음)
우편종별 공동 접수함이 만재하면 수집 작업자에 의해 우편물이 회수될 수 있도록 우편물류시스템(30)에 만재한 상태 내역을 운영결과 데이터로 등록하고, 동시에 고객의 접수우편물은 여유 배달함을 선택하여 제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무인우체국을 통해 우편물이 접수되면, 운영자는 공동 접수함 및 배달함에 접수된 우편물량 및 만재 레벨값을 우편물류시스템(30)을 통해 확인하여 만재한 상태일 경우 수집작업을 수행하도록 담당자 단말기로 수거작업 수행요청 정보(공동 접수함 만재 수준, 우편종별, 우편서비스별 접수물량, 무인우체국 접수기 ID)를 제공한다(S1017).
또한, 접수된 우편물의 수집 방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 작업자에 의해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면,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가 입력된 로그인 정보를 우편물류시스템(30)을 통해 관리자 계정관리 데이터와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S1200), 인증에 의해 로그인이 완료되면 접수된 우편물에 대하여 공동 접수함 또는 배달함 별 물량을 제공하며(S1201), 수집을 위한 공동 접수함 또는 배달함의 특정 부분 또는 전체 부분이 선택되면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공동 접수함 또는 배달함의 문을 열고, 수집 작업자가 문이 열린 공동 접수함 또는 배달함의 우편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1202).
즉, 수집 작업자는 문이 열린 공동 접수함 또는 배달함에서 우편물 수거시 우편물이 보통통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수집 작업자는 확인된 우편물이 보통통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203), 판단결과, 우편물이 보통통상이 아니면, 우편물이 등기통상/등기소포인지 여부를 확인하고(S1204), 확인결과 우편물이 등기통상/등기소포인 경우, 우편물을 수집하여 우편물 수량을 비교하며(S1206), 비교결과, 수집된 우편물의 수량이 일치하지 않으면, 수집 작업자는 무선바코드 판독기 또는 고정식 바코드 판독기를 통해 우편물의 바코드를 판독한다.
예컨대,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와 공동 접수함 또는 배달함의 이동거리 등을 고려하여 무선바코드 판독기의 보관함 문은 자동으로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고, 수집 작업자는 무선바코드 판독기의 보관함에 보관된 무선바코드 판독기를 통해 우편물의 바코드를 판독하며 우편물을 수집할 수 있다.
우편물의 바코드를 판독하며 수집된 우편물의 수량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불일치 우편물을 식별한다(S1207).
불일치 우편물의 식별을 통해 수집된 우편물의 수량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8).
한편, 단계(S1203) 판단결과, 우편물이 보통통상이거나, 단계(S1204) 확인결과 우편물이 등기통상/등기소포가 아니면, 우편물의 수량을 확인하고, 공동 접수함 문 닫힘 상태를 검사하며(함에 우편물이 남아있는지 여부도 확인하며, S1209), 단계(1206) 판단결과 또는 단계(1208) 판단결과, 수집된 우편물의 수량이 일치할 경우, 공동 접수함 또는 배달함으로부터 우편물 수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10).
공동 접수함 또는 배달함에 우편물이 남아있지 않으며 공동 접수함 또는 배달함의 문이 닫혀있을 경우, 공동 접수함 또는 배달함으로부터 수집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접수우편물 창구마감/편마감/요금 마감을 처리하고(S1211), 무선바코드 판독기의 보관함이 열려있을 경우 문 닫힘 상태 및 무선바코드 판독기의 보관함에 바코드 판독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며(S1212), 무선바코드 판독기의 보관함에 무선바코드 판독기가 존재하고, 무선바코드 판독기의 보관함 문이 닫혀있으면, 운영통계/유지보수 데이터를 등록한다(S1213).
예컨대, 수집물량의 수량이 공동 접수함 또는 배달함에 투함된 접수물량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른 수집결과를 등록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바코드 판독기의 보관함이 닫혀 있을 경우에는 단계(S1212)를 생략하고 바로 단계(S1213)를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우편물 바코드 판독시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에 저장된 등기번호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판독 결과와 판독되지 않은 우편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비교하고, 판독결과 기반, 배송 지역별, 서비스별 분류를 위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으며, 우편물의 바코드 판독을 통해 우편물 수집과정에서 수집대상 우편물의 인계인수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접수우편물과 수거우편물의 불일치시 1:1 비교를 하여, 분실 또는 접수된 우편물이 수집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등기우편물의 경우, 열린 공동 접수함 또한 배달함에 접수된 우편물을 수거한 후, 함의 문이 닫혀진 상태로 식별되면 함에 우편물이 남아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통상 공동 접수함은 우체통과 같은 조건으로 사용가능하므로 투함된 우편물이 존재하는지와 투함시 식별된 수량과 접수물량 정보를 제공하여 수집물량 확인할 수 있도록 일반통상 물량 값을 제공한다.
수집완료 처리가 선택되면, 접수우편물에 대한 창구마감(부분, 전체, 요금정산)이 수행되도록 우편물류정보시스템(30)에 통지하고(S1207), 마감처리결과 검증을 위한 물량, 요금 등에 대한 데이터를 우편물류정보시스템(30)에 제공하며, 마감처리가 완료되면, 수집작업 완료 후 접수되는 우편물은 마감 후 접수우편물로 접수하여 수집작업 이후 접수된 물량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마감 후 접수는 운영관리 일자 데이터가 다음날로 변경되면 정상 접수로 접수되도록 하여 일별 접수물량 정보 관리가 용이하도록 운영한다.
상기 과정에서 유지보수를 위한 운영장애 데이터는 접수기기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소모품의 상태, 현금 잔액 부족 상태 등을 유지보수데이터로 운영관리자에게 통지하고, 우편물류시스템(30)에 유지보수데이터를 등록하여 유지보수 필요내용을 미리 인지하고 방문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며, 유지보수 결과도 등록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 지연요인이 발생할 경우 원인 분석을 위한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도록(유지보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장기 우편물 수집 방법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우편물류시스템(30)의 관리자 데이터를 토대로 운영관리자를 인증하고(S1300), 수집과정에서 장기보관우편물에 대한 목록을 조회하여 반송처리 대상을 수거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반송되어야 할 배달함을 선택하여(S1301) 배달함의 문을 자동으로 열어(S1302) 반송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수집된 반송 우편물 수량을 비교하여(S1303), 비교결과 수집된 반송 우편물 수량이 일치하지 않으면(S1304), 수집 작업자는 무선바코드 판독기 또는 고정식 바코드 판독기를 통해 우편물의 바코드를 판독한다.
예컨대,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10)와 반송되어야할 배달함의 이동거리 등을 고려하여 무선바코드 판독기의 보관함 문은 자동으로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고, 수집 작업자는 무선바코드 판독기의 보관함에 보관된 무선바코드 판독기를 통해 반송 우편물의 바코드를 판독하며 반송 우편물을 수집할 수 있다.
반송 우편물의 바코드를 판독하며 수집된 반송 우편물의 수량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불일치 반송 우편물을 식별한다(S1305).
불일치 방송 우편물의 식별을 통해 수집된 반송 우편물의 수량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6).
판단결과, 반송 우편물의 수량이 일치하지 않으면, 배달함 액세스 상태 확인 및 배달함 액세스 일자로 반송 우편물을 수령우편물 완료 우편물로 등록한다(S1307),
그러나, 반송 우편물의 수량이 일치하거나, 단계(S1303) 비교결과 수집된 반송 우편물 수량이 일치하면, 반송 우편물 수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1308), 확인결과, 반송 우편물 수집이 완료된 경우이면, 무선바코드 판독기의 보관함이 열려있는지 확인하고, 무선바코드 판독기의 보관함이 열려 있으면, 무선 바코드 판독기의 보관함 닫힘 상태 및 바코드 판독기 유무를 식별하고(S1309), 무선바코드 판독기의 보관함에 무선바코드 판독기가 존재하고, 무선바코드 판독기의 보관함 문이 닫혀있으면, 운영통계/유지보수 데이터/이용실적 등을 등록한다(S1310).
그러나, 무선바코드 판독기의 보관함 문이 닫혀 있을 경우에는 단계(S1309)를 생략하고 바로 단계(S1310)을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반송우편물 처리 데이터를 우편물류정보시스템(30)에 등록하여 기존의 배달원 PDA를 통해 반송정보를 획득하고 장기 보관되어 반송이 요구되는 우편물이 존재하는 함의 위치, 물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반송처리 내역을 별도로 전송하여 등록할 필요가 없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우편물 요금 산정기준인 우편물 크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우편종별 공동 접수함을 구성 운영함으로써 우편물 수집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공동 접수함이 만재하더라도 여유 배달함을 통해 우편물을 접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수함 부족으로 인한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유지보수 관련 정보를 운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시에 유지보수 작업이 행해지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우편물 접수시 사용되는 정보가 변경될 경우 변경된 정보가 적시에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수작업에 의한 변경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우편물 접수에 대한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우편물 크기 유형별 무인 우편접수기를 도입할 필요없이 무인 우체국구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우체국 구축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0-n : 복수의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
100,...,100-n : 복수의 통합 제어부
30 : 우편물류시스템

Claims (19)

  1. 우편물류시스템 및 무인접수배달 관련 기기들의 운영을 위한 통합 제어를 요청하는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 및
    상기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의 통합 제어 요청을 수행하며, 상기 통합 제어 요청에 따른 제어 결과를 제공하고, 무인 우편 접수를 위한 공동 접수함 및 배달함의 상태 관리 및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우편물 무게를 측정하고, 센서 및 영상획득용 카메라를 통해 우편물 크기를 측정하여 측정된 결과를 토대로 우편물의 요금을 산정하며, 산정된 요금에 따라 현금 또는 RF 카드로 요금을 결제하여 무인으로 상기 사용자의 우편물을 접수하는 것
    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는 우편물 접수를 위해 우편요금 산정에 필수적인 우편물 길이를 산출하고, 선택된 우편 서비스를 요금산정 데이터로 적용하며, 우편번호 검색 또는 주소명칭으로 검색된 발송인/수취인 주소정보를 입력받고, 부가서비스가 선택되면 수취인 주소와 우편번호를 기준으로 배송 지역을 자동으로 선택하며, 장거리일 경우, 운송수단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선택된 정보와 우편요금 계산을 위한 운영기준데이터를 토대로 우편요금을 산정하는 것
    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우편물이 등기통상 및 등기소포일 경우, 운송수단에 대한 운송가능 물량을 조회하여 운송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의 우편물이 일반통상과 일반소포일 경우, 발송인/수취인 주소를 입력하지 않고 배송 지역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가 회원일 경우, 접수시 접수정보 입력 간소화를 위해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주소록을 조회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결제요청이 발생하면, 결제 승인요청을 상기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 관리부에 전달하고, 현금결제기에 현금 잔액이 부족할 경우, RF 결제기를 통해 RF 카드로 나머지 잔액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 관리부는 RF 카드로 결제시 RF카드에 대응되는 ID에 따른 결제 정보를 획득 및 생성하여 요금결제를 처리하고, 결제 승인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G/W를 통해 대응되는 결제요청 VAN 사로 승인을 요청하며, 요청에 따른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G/W를 통해 수신하고,
    요금 결제결과는 사용자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것
    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요금결제가 완료되면, 접수 순서별로 선택된 우편종류별, 서비스별 라벨을 하나씩 출력하고, 라벨 출력이 완료되면, 접수될 우편물의 수취인 명을 제공하여 문이 열린 공동 접수함에 대응되어 우편물이 제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
    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 관리부는 상기 통합 제어부로부터 요금결제 요청 직전 접수가 진행되어 저장된 접수데이터를 상기 우편물류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임시 저장소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우편물류시스템에서 접수데이터의 수신완료가 확인되면 마감처리 결과 확인을 위한 접수건별 요금, 우편물량이 포함된 정보를 임시보관하며, 보관 데이터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접수과정 중 사용된 개인정보를 삭제하는 것
    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공동 접수함 및 배달함의 동작상태를 상기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에 제공하여, 관리자정보에 등록된 유지보수 작업자 휴대전화로 유지보수 관련내용이 전송되도록 하는 것
    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접수 및 수집 기능 수행 중, 우편물이 무게/크기 측정 공간에 놓이고, 상기 무게/크기 측정 공간에 놓인 우편물의 높이 측정값을 센서 모듈에 의해 획득되면, 카메라 모듈에 의해 우편물 영상을 획득하며, 획득된 우편물 영상을 토대로 우편물 윗면 및 총 길이를 산출하는 것
    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공동 접수함과 배달함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공동 접수함과 배달함의 운영 상태에 대해 변경사항이 발생하면 임시저장소에 저장하고, 발생한 변경사항을 상기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에 전달하며, 상기 공동 접수함의 만재 여부와 여유 배달함 존재 여부를 식별하여 접수시작 진행 중 우편물 접수가 취소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
    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에 연결된 각 구성요소의 동작 요청 및 결과 관리 내역, 소모품 잔량 변경 내역, 센서/문 제어 불량 건 수 및 현금잔액 부족 중 적어도 하나가 식별되면, 식별된 결과를 상기 접수/배달 통합기 운영관리부에 제공하는 것
    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우편물 접수시 무게 측정 공간에 우편물이 놓이면, 상기 저울을 통해 우편물의 무게를 측정함과 동시에 상기 무게 측정 공간 상단에 설치된 물체 감지 센서를 통해 우편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물체 감지 센서에 의해 우편물이 식별되면 우편물의 높이 값을 획득하기 위해 배열된 센서 열 모듈의 상태를 하단부터 순차적으로 검사하고, 우편물이 반사판을 가리면 센서가 on 상태가 되도록 하여, 센서가 on으로 감지된 결과를 사용하여 우편물의 높이 값을 생성하는 것
    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12.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무인 우편 접수를 위해 우편물이 무게 측정 공간에 놓이면, 상기 우편물의 수치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결과를 토대로 상기 우편물의 요금을 산정하는 단계; 및
    산정된 요금에 따라 상기 우편물의 요금을 결제한 후 상기 우편물이 배정된 접수함/배달함에 투척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한 우편물 접수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접수함/배달함이 만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결과, 접수함/배달함이 모두 만재한 경우가 아니면, 상기 우편물의 무게, 크기 측정 결과를 토대로 접수가능 우편물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결과, 접수가능 우편물인 경우, 상기 접수함/배달함을 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측정된 결과를 토대로 상기 우편물의 무게, 두께, 가로, 세로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상기 우편물이 통상우편 규격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결과, 상기 우편물이 통상 규격이 아닌 경우, 상기 우편물이 투함구의 크기에 따른 접수가능한 우편물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게/크기 측정 공간에 놓인 우편물의 높이 측정값을 센서 모듈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토대로 산출하는 단계; 및
    카메라 모듈에 의해 획득된 우편물 영상을 토대로 우편물 윗면 및 총 길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의 요금을 결제 전 상기 우편물이 등기통상 및 등기소포일 경우, 운송수단에 대한 운송가능 물량을 조회하여 운송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우편물이 일반통상과 일반소포일 경우, 발송인/수취인 주소를 입력하지 않고 배송 지역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회원일 경우, 접수시 접수정보 입력 간소화를 위해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주소록을 조회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투척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는,
    요금 결제요청이 발생하면, 현금결제기에 현금 잔액이 부족할 경우, RF 결제기를 통해 RF 카드로 나머지 잔액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RF 카드로 결제시 RF카드에 대응되는 ID에 따른 결제 정보를 획득 및 생성하여 요금결제를 처리하되, 이동통신 G/W를 통해 대응되는 결제요청 VAN 사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요청에 따른 결과를 G/W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우편물이 접수되면, 공동 접수함 및 배달함에 접수된 우편물량 및 만재 레벨값을 확인하여 만재한 상태일 경우, 수집작업을 수행하도록 담당자 단말기로 수거작업 수행요청 정보(공동 접수함 만재 수준, 우편종별, 우편서비스별 접수물량, 무인우체국 접수기 ID)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투척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는,
    요금결제가 완료되면, 접수 순서별로 선택된 우편종류별, 서비스별 라벨을 하나씩 출력하는 단계; 및
    라벨 출력이 완료되면, 접수될 우편물의 수취인 명을 제공하여 상기 우편물을 투척할 수 있도록 배정된 접수함/배달함의 문을 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004436A 2014-01-14 2014-01-14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44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436A KR20150084427A (ko) 2014-01-14 2014-01-14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4/302,010 US20150199785A1 (en) 2014-01-14 2014-06-11 Unmanned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for accepting mai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436A KR20150084427A (ko) 2014-01-14 2014-01-14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427A true KR20150084427A (ko) 2015-07-22

Family

ID=5352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436A KR20150084427A (ko) 2014-01-14 2014-01-14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99785A1 (ko)
KR (1) KR201500844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640B1 (ko) 2015-11-05 2016-11-22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우편물 자동 기표지 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039323A1 (ko) * 2015-09-01 2017-03-09 이재용 무인 우편/택배 접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125B1 (ko) * 2014-01-14 2020-08-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우편물 크기 측정 및 우편물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US20170323256A1 (en) * 2016-05-06 2017-11-09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freight charges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JP7060339B2 (ja) * 2017-05-15 2022-04-2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運送受付システム
JP6999289B2 (ja) * 2017-05-15 2022-01-1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運送受付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9482A1 (en) * 1991-04-10 2004-05-13 Uship Intellectual Properties, Llc Automated package shipping machine
US6279899B1 (en) * 1999-09-03 2001-08-28 Lexmark International, Inc. Substrate sensing mechanism for use in a printer output bin
DE102008062002A1 (de) * 2008-12-12 2010-06-17 Francotyp-Postalia Gmbh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Poststückannahme
US20140081729A1 (en) * 2012-09-20 2014-03-20 Alexander Ocher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sumer Discou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323A1 (ko) * 2015-09-01 2017-03-09 이재용 무인 우편/택배 접수장치
KR101674640B1 (ko) 2015-11-05 2016-11-22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우편물 자동 기표지 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99785A1 (en)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3662B2 (en) Smart drop box
US10679174B2 (en) Multifunctional self-service shipping and mail processing system
KR20150084427A (ko) 무인 우편물 접수 운영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2973116B (zh) 智能邮箱系统以及控制方法
US11170458B2 (en) Enhanced payments for shipping
US7158941B1 (en) Residential and business logistics system and method
US9256844B2 (en) Passive RFID postage stamp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0758444B1 (en) System for mailing and collecting items
US20170352122A1 (en) Postal system of recognition of physical correspondence
JP2008521606A (ja) 郵便物のコンテナ方式発送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301821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mail pieces that require special handling
US20140067665A1 (en) Delivery Service System
KR20090046743A (ko) 무인 택배/우편 접수 배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인 택배/우편 발송 및 수령방법
KR101936867B1 (ko)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및 그 접수 방법
JP5934941B2 (ja) 宅配物発送受付装置
JP2004083149A (ja) 配送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301821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mail pieces that require special handling
JP2004083148A (ja) ポスト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60052249A (ko)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및 시스템
CN203786770U (zh) 智能集装箱化存储系统
CN112668955A (zh) 一种现代物流费用智慧结算方法
KR101884613B1 (ko)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및 방법
EP1614073B1 (en) Device for handling banknotes and coins in shops with a surveillance system
JP2008068962A (ja) 配送情報処理端末及びその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90139124A (ko) 무인 보관함을 활용한 택배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