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9346A -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9346A
KR20230129346A KR1020230113602A KR20230113602A KR20230129346A KR 20230129346 A KR20230129346 A KR 20230129346A KR 1020230113602 A KR1020230113602 A KR 1020230113602A KR 20230113602 A KR20230113602 A KR 20230113602A KR 20230129346 A KR20230129346 A KR 20230129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storage box
courier
goods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3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성
Original Assignee
(주)위키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키박스 filed Critical (주)위키박스
Priority to KR1020230113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9346A/ko
Publication of KR20230129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9346A/ko

Links

Classification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postal parcels and letters
    • G01G19/005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postal parcels and letters with electric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 G07C2009/0047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dynamically
    • G07C2009/00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dynamically whereby the code is a random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택배물을 무인으로 접수하는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택배물을 무인으로 접수 시, 발송할 택배물의 부피와 무게에 따라 보관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함에 택배 발송 물품을 발송하기 위한 보관함에 투입시 잠금장치로 제어되는데, 등록된 택배기사의 택배발송 단말기로 SMS을 발급하고, 택배기사에 대한 인증 성공시 택배발송을 위한 수거가 가능하도록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 및 그 방법{Smart system for unmanned delivery of courier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택배물을 무인으로 접수하는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배 수화물을 발송하기 위해, 사용자는 택배회사를 선정하여 택배회사에 유선 또는 온라인으로 수화물 집화를 요청하고, 택배 기사의 방문을 통해 수화물을 발송하게 된다. 택배 기사의 방문은 택배 회사별로 차이는 있지만, 수 시간에서 하루 가까운 시간이 허비되기도 한다. 또한 택배 기사 방문 시, 발송될 주소와 같은 택배정보는 PDA와 같은 개인 단말기로 입력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택배 기사가 수기로 작성하고, 이후 수화물이 모이는 집화 터미널에서 전산으로 재차 입력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택배 기사 또는 전산 입력 과정의 오류가 발생한 경우, 수화물이 엉뚱한 곳으로 발송될 수도 있으며, 전산 입력 등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배송이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고자, 사용자가 직접 수화물을 발송할 수 있는 무인장치가 제안되고 있는데, 공개특허 제10-2012-0039150호, '무인택배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무인택배 시스템은 택배할 물품을 무인 택배함의 지정 사물함을 선택하고, 수령자 및 수령자 주소 등을 입력하여 택배할 물품을 보관한 후 택배비용을 결제하면 택배 정보가 무인택배 관리서버에 전송되고, 무인택배 관리서버는 택배업체에 택배 정보를 전송하고, 택배업체는 택배 정보를 수신하여 택배 영업소로 전송하고, 택배영업소의 택배 담당자가 상기 사물함에서 택배 물품을 수거하여 해당 수령자 주소지에 소재하는 택배영업소의 지역으로 운반되고, 택배영업소의 택배 담당자는 해당 택배물품을 수령자 주소지의 무인 택배함에서 특정 사물함을 선택하여 택배 물품을 투입하면 택배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이메일이나 핸드폰 문자메시지가 해당 수령자 핸드폰으로 전송하여 택배받을 물품을 받아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택배 발송할 물품을 무인 택배함의 지정 사물함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택배 발송할 물품의 무피와 무게에 대한 고려없이 사물함을 선택하여 다양한 크기의 사물함을 구비하고 있더라도 물품 발송자의 선택에 따라 크기가 큰 사물함에 부피와 무게가 작은 물품을 보관할 수 있어서, 정작 부피와 무게에 맞는 물품을 보관함에 투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택배물을 무인으로 접수하는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발송할 택배물의 부피와 무게에 따라 보관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에서, 택배 발송 물품의 발송인 및 수령지에 관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100); 상기 택배 발송 물품의 부피와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부(200); 상기 택배 발송 물품의 수령지, 부피, 무게에 따른 가격 결제 및 해당 내용 운송장을 출력하는 물품 접수부(300); 상기 운송장이 부착된 물품의 영상을 촬영하고, 측정부의 부피/무게 측정결과에 따라 보관함 위치를 선택하도록 하는 보관함 위치 선택부(400); 및 상기 보관함 위치 선택부를 통한 물품영상과 보관함 위치를 택배발송 단말기로 SMS를 발급하는 발송 처리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일 측면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택배물을 무인으로 접수 시, 발송할 택배물의 부피와 무게에 따라 보관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관함에 택배 발송 물품을 발송하기 위한 보관함에 투입시 잠금장치로 제어되는데, 등록된 택배기사의 택배발송 단말기로 SMS 발급를 발급하고, 택배기사에 대한 인증 성공시 택배발송을 위한 수거가 가능하도록 잠금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택배발송 단말기를 통해 보관함 위치별 물품의 발송 수거 예상시간에 따른 택배 발송 물품 신규 보관 가능 예상시간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택배 발송 보관함의 신규 보관 가능한 예상시간을 키오스크 디스플레이나 회원등록을 통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빈 공간이 없다하더라도 수거 예상시간에 따라 키오스크 또는 사용자 단말로 택배 발송 보관가능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의 외형에서 부피/무게 측정열(2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의 외형에서 부피/무게 측정열(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의 외형에서 접수 제어열(3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은 택배물을 무인으로 접수 시, 발송할 택배물의 부피와 무게에 따라 보관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일 측면이 있다. 또한 보관함에 택배 발송 물품을 발송하기 위한 보관함에 투입시 잠금장치로 제어되는데, 등록된 택배기사의 택배발송 단말기로 SMS을 발급하고, 택배기사에 대한 인증 성공시 택배발송을 위한 수거가 가능하도록 잠금장치를 제어한다.
이러한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0), 측정부(200), 물품 접수부(300), 보관함 위치 선택부(400), 발송 처리부(50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입력부(100)는 택배 발송 물품의 발송인 및 수령지에 관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구성이다. 이러한 입력부는 택배사 기준 보낼 수 있는 물품을 안내하고, 운송장 출력에 필요한 내용을 입력받는다.
측정부(200)는 택배 발송 물품의 부피와 무게를 측정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측정부는 부피 측정모듈(210), 무게 측정모듈(220)을 포함한다. 부피 측정모듈은 택배 발송 물품의 가로, 세로, 높이 3각 측량으로 부피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 또는 Tof 카메라이고, 무게 측정모듈은 부피 측정모듈과 동시에 택배 발송 물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전자 저울이다. 본 실시예에서 초음파 센서 또는 Tof 카메라, 전자 저울로 특정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품 접수부(300)는 택배 발송 물품의 수령지, 부피, 무게에 따른 가격 결제 및 해당 내용 운송장을 출력한다.
보관함 위치 선택부(400)는 운송장이 부착된 물품의 영상을 촬영하고, 측정부의 부피/무게 측정결과에 따라 보관함 위치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보관함 위치 선택부는 택배발송 단말기를 통해 보관함 위치별 물품의 발송 수거 예상시간에 따른 택배 발송 물품 신규 보관 가능 예상시간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보관함 위치별 관리모듈(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보관함 위치별 관리모듈은 택배발송 단말기를 통해 보관함 위치별 물품의 발송 수거 예상시간에 따른 택배 발송 물품 신규 보관 가능 예상시간을 키오스크 또는 회원등록을 통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보관함이 모두 꽉차있더라도, 택배 발송 보관함의 신규 보관 가능한 예상시간을 키오스크 디스플레이나 회원등록을 통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빈 공간이 없다하더라도 수거 예상시간에 따라 키오스크 또는 사용자 단말로 택배 발송 보관가능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발송 처리부(500)는 보관함 위치 선택부를 통한 물품영상과 보관함 위치를 택배발송 단말기로 SMS를 발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발송 처리부(500)는 SMS 발급시 5자리 난수를 이용한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택배발송 단말기의 택배기사에 대한 인증 성공시 택배발송을 위한 수거가 가능하도록 잠금장치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은 다수 크기별 보관함을 갖는 택배 보관함열(10), 부피/무게 측정열(20), 접수 결제열(30)을 구비하며, 각 열은 보관함의 잠금장치 제어를 위한 컨트롤 박스(미도시)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택배 보관함열(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보관함이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의 외형에서 부피/무게 측정열(2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의 외형에서 부피/무게 측정열(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과 측면 규격을 예시적으로 표기하였고, 부피별로 1호 ~ 6호로 표기 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센서 또는 Tof 카메라, 전자저울, 전자식 제어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전자식 제어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의 전원 및 키오스크, 외부장치 관리/제어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의 외형에서 접수 제어열(3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TV 카메라를 통해 택배 발송 물품을 촬영하고, 음성 안내 스피커, 17인치 디스플레이, 신용카드 결제기, 운송장을 출력하는 송장 프린터를 구비한다.
한편,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은 입력부를 통해 택배 발송 물품의 발송인 및 수령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a). 이러한 (a)단계는 택배사 기준 보낼 수 있는 물품을 안내하고, 운송장 출력에 필요한 내용을 입력받는다.
다음으로 측정부를 통해 택배 발송 물품의 부피와 무게를 측정한다(b). 이러한 (b)단계에서,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은 초음파 센서 또는 Tof 카메라를 통해 상기 택배 발송 물품의 가로, 세로, 높이 3각 측량으로 부피를 측정하고, 전자 저울로 상기 택배 발송 물품의 무게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물품 접수부로 택배 발송 물품의 수령지, 부피, 무게에 따른 가격 결제 및 해당 내용 운송장을 출력하도록 한다(c).
다음으로 운송장이 부착된 물품의 영상을 촬영하고, 측정부의 부피/무게 측정결과에 따라 보관함 위치를 선택하도록 한다(d). 이러한 (d)단계에서 택배발송 단말기를 통해 보관함 위치별 물품의 발송 수거 예상시간에 따른 택배 발송 물품 신규 보관 가능 예상시간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운송장이 부착된 물품의 영상과 보관함 위치를 택배발송 단말기로 SMS를 발급한다(e). 이러한 (e)단계에서,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은 SMS 발급시 5자리 난수를 이용한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택배발송 단말기의 택배기사에 대한 인증 성공시 택배발송을 위한 수거가 가능하도록 잠금장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은 택배물을 무인으로 접수 시, 발송할 택배물의 부피와 무게에 따라 보관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관함에 택배 발송 물품을 발송하기 위한 보관함에 투입시 잠금장치로 제어되는데, 등록된 택배기사의 택배발송 단말기로 SMS 발급를 발급하고, 택배기사에 대한 인증 성공시 택배발송을 위한 수거가 가능하도록 잠금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택배발송 단말기를 통해 보관함 위치별 물품의 발송 수거 예상시간에 따른 택배 발송 물품 신규 보관 가능 예상시간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택배 발송 보관함의 신규 보관 가능한 예상시간을 키오스크 디스플레이나 회원등록을 통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빈 공간이 없다하더라도 수거 예상시간에 따라 키오스크 또는 사용자 단말로 택배 발송 보관가능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입력부
200 : 측정부
300 : 물품 접수부
400 : 보관함 위치 선택부
410 : 보관함 위치별 관리모듈
500 : 발송 처리부
10 : 택배 보관함열
20 : 부피/무게 측정열
30 : 접수 결제열

Claims (11)

  1. 택배 발송 물품의 발송인 및 수령지에 관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100);
    상기 택배 발송 물품의 부피와 무게를 측정하되, 초음파 센서 또는 Tof 카메라를 통해 상기 택배 발송 물품의 가로, 세로, 높이 3각 측량으로 부피를 측정하고, 전자 저울로 상기 택배 발송 물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부(200);
    상기 택배 발송 물품의 수령지, 부피, 무게에 따른 가격 결제 및 해당 내용 운송장을 출력하는 물품 접수부(300);
    상기 운송장이 부착된 물품의 영상을 촬영하고, 측정부의 부피/무게 측정결과에 따라 보관함 위치를 선택하도록 하는 보관함 위치 선택부(400); 및
    상기 보관함 위치 선택부를 통한 물품영상과 보관함 위치를 택배발송 단말기로 SMS를 발급하는 발송 처리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함 위치 선택부는 택배발송 단말기를 통해 보관함 위치별 물품의 발송 수거 예상시간에 따른 택배 발송 물품 신규 보관 가능 예상시간을 키오스크 디스플레이나 회원등록을 통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되,
    상기 보관함이 모두 꽉차있더라도, 택배 발송 물품 신규 보관 가능 예상시간을 키오스크 디스플레이나 회원등록을 통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고, 빈 공간이 없다하더라도 수거 예상시간에 따라 키오스크 또는 사용자 단말로 택배 발송 보관가능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무인택배 발송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00)는 택배사 기준 보낼 수 있는 물품을 안내하고, 운송장 출력에 필요한 내용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은 다수 크기별 보관함을 갖는 택배 보관함열(10), 부피/무게 측정열(20), 접수 결제열(30)을 구비하며, 각 열은 보관함의 잠금장치 제어를 위한 컨트롤 박스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200)는 초음파 센서 또는 Tof 카메라를 통해 상기 택배 발송 물품의 가로, 세로, 높이 3각 측량으로 부피를 측정하는 부피 측정모듈(210); 및
    상기 부피 측정모듈과 동시에 전자 저울로 상기 택배 발송 물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모듈(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 처리부(500)는 SMS 발급시 5자리 난수를 이용한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택배발송 단말기의 택배기사에 대한 인증 성공시 택배발송을 위한 수거가 가능하도록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위치 선택부(400)는 상기 택배발송 단말기를 통해 보관함 위치별 물품의 발송 수거 예상시간에 따른 택배 발송 물품 신규 보관 가능 예상시간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보관함 위치별 관리모듈(4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
  7.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이 택배 발송 물품의 발송인 및 수령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측정부를 통해 상기 택배 발송 물품의 부피와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
    (c) 물품 접수부로 상기 택배 발송 물품의 수령지, 부피, 무게에 따른 가격 결제 및 해당 내용 운송장을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
    (d) 상기 운송장이 부착된 물품의 영상을 촬영하고, 측정부의 부피/무게 측정결과에 따라 보관함 위치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
    (e) 상기 운송장이 부착된 물품의 영상과 보관함 위치를 택배발송 단말기로 SMS를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단계는 상기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이 보관함 위치별 관리모듈과 택배발송 단말기를 통해 보관함 위치별 물품의 발송 수거 예상시간에 따른 택배 발송 물품 신규 보관 가능 예상시간을 키오스크 디스플레이나 회원등록을 통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관함 위치별 관리모듈을 통해 보관함이 모두 꽉차있더라도, 택배 발송 물품 신규 보관 가능 예상시간을 키오스크 디스플레이나 회원등록을 통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고, 빈 공간이 없다하더라도 수거 예상시간에 따라 키오스크 또는 사용자 단말로 택배 발송 보관가능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택배사 기준 보낼 수 있는 물품을 안내하고, 운송장 출력에 필요한 내용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초음파 센서 또는 Tof 카메라를 통해 상기 택배 발송 물품의 가로, 세로, 높이 3각 측량으로 부피를 측정하고, 전자 저울로 상기 택배 발송 물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SMS 발급시 5자리 난수를 이용한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택배발송 단말기의 택배기사에 대한 인증 성공시 택배발송을 위한 수거가 가능하도록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택배발송 단말기를 통해 보관함 위치별 물품의 발송 수거 예상시간에 따른 택배 발송 물품 신규 보관 가능 예상시간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방법.
KR1020230113602A 2020-09-29 2023-08-29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29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3602A KR20230129346A (ko) 2020-09-29 2023-08-29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059A KR20220043539A (ko) 2020-09-29 2020-09-29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30113602A KR20230129346A (ko) 2020-09-29 2023-08-29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059A Division KR20220043539A (ko) 2020-09-29 2020-09-29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346A true KR20230129346A (ko) 2023-09-08

Family

ID=811825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059A KR20220043539A (ko) 2020-09-29 2020-09-29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30113602A KR20230129346A (ko) 2020-09-29 2023-08-29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059A KR20220043539A (ko) 2020-09-29 2020-09-29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435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237B1 (ko) * 2022-11-25 2023-05-11 (주) 매직타운 탑차 인공지능 안면인식에 의한 도난 방지 및 화물 적재 위치 알림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539A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9174B2 (en) Multifunctional self-service shipping and mail processing system
US202001517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smart containers
US10643172B2 (en) Hybrid secure locker system for mailing, deposition and retrieval of shipments
US11170458B2 (en) Enhanced payments for shipping
CN110648470B (zh) 一种寄件方法、装置、快递柜和介质
CN102973116B (zh) 智能邮箱系统以及控制方法
JP2016212750A (ja) 宅配ボックス管理サーバ、宅配ボックス管理システム、および、宅配ボックス管理方法
JP2016095782A (ja) 宅配ボックス管理システム
JP2017120535A (ja) 配送受付システム
KR20230129346A (ko) 스마트 무인 택배 발송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117875A1 (en) Storage compartment coordination and tracking
KR101496296B1 (ko) 무인 택배 시스템을 이용한 무인 배송 방법
US202400053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smart containers
KR20160053681A (ko) 무인 택배 보관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5550841A (zh) 一种智能快递方法与系统
WO2015173820A1 (en) Goods delivery system
EP3171338B1 (en) A device for handling consignments and a method of handling consignments
JP2004083149A (ja) 配送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902589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hybrid shipping intake
KR20160052249A (ko)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및 시스템
JP7207822B2 (ja) 荷物引受装置及び荷物引受システム
CN111815246A (zh) 寄件柜机、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241859A (zh) 物品寄送方法及装置、物品寄送设备、介质和电子设备
KR101884613B1 (ko)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959639B1 (ko) 우편/소포 접수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