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409A - 마름모꼴 널 패턴을 갖는 전기 접점 - Google Patents

마름모꼴 널 패턴을 갖는 전기 접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409A
KR20140089409A KR1020147014883A KR20147014883A KR20140089409A KR 20140089409 A KR20140089409 A KR 20140089409A KR 1020147014883 A KR1020147014883 A KR 1020147014883A KR 20147014883 A KR20147014883 A KR 20147014883A KR 20140089409 A KR20140089409 A KR 20140089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tact
serration
electrical
disposed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5487B1 (ko
Inventor
커트 피. 사이페르트
윌리엄 제이. 팜
브루스 제이. 세르빈
리사 엘. 플라우토
Original Assignee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8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having an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to improve th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전기 접점(122)은 전기 접점(122)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서 전기 접점(122)의 내표면(136)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형 세레이션(153)을 구비한다. 상기 길이는 종축을 따라서 배치되며, 상기 부분은 와이어 케이블(10)의 리드(18)를 부착되도록 축방향으로 수용하고 따라서 부착된 리드(18)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형 세레이션(153)의 오목면(159)에 대해 적어도 결합식으로 접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홈형 세레이션(153)은 깊이를 갖고 상기 깊이를 따라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157)을 구비한다. 상기 측벽(157)은 내표면(136)으로부터, 상기 깊이를 따라서 측벽(157)에 배치된 내표면(136)으로부터 오목한 지점까지 경사식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마름모꼴 널 패턴을 갖는 전기 접점{ELECTRICAL CONTACT WITH ROMBOID KNURL PATTERN}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미국에서 2012년 4월 19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3/450936호 및 미국에서 2011년 11월 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556,452호의 특허협력조약(PCT) 제8조 하의 이익을 청구한다. 이익이 청구되는 양 출원의 전체 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원용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세레이션(serration) 및 내표면에 형성되는 널(knurl) 패턴을 구비하는 전기 접점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접점은 외측으로 경사진 측벽을 갖는 세레이션, 및 제1 쌍의 대향하는 대체로 축방향의 내부 코너 사이에 형성되고 제2 쌍의 대향 내부 코너 사이의 메이저 거리보다 짧은 축방향 마이너 거리를 갖는 복수의 오목한 요소를 갖는 널 패턴을 구비한다.
단자에 부착되는 와이어 케이블 사이의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자의 내표면에 배치되는 홈형(grooved) 세레이션의 사용이 공지되어 있다.
경화된 티쓰 형태, 불규칙한 표면, 톱니 형상, 정방형 또는 장방형 형상, 리지(ridge)형 티쓰 형태, 및 언더컷 측벽을 갖는 세레이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통상적인 단면상 홈형 세레이션 프로파일이 배선 분야에 사용되어 왔다. 알루미늄 케이블 배선 용도로 사용되는 단자(2)에 형성되는 통상적인 세레이션(1)의 다른 형태가 도 1의 종래 기술에 도시되어 있다. 세레이션(1)은, 각각 램프(ramp) 각도(θ)를 갖는 복수의 경사 측벽(3)을 구비한다. 램프 각도(θ)는 세레이션(1)의 오목면(5)을 따라서 형성되는 평면(4)에 대해 84도의 각도 값을 갖는다. 램프 각도(θ)가 84도이면 측벽(2)은 6도의 각도 값을 갖는 대응 드래프트 각도(draft angle)(α)로 경사 배치된다. 드래프트 각도(α)는 제조 과정 중에 단자(2) 내의 세레이션(1)의 스탬핑을 촉진한다. 그러나, 급격한 램프 각도(θ)는 알루미늄 케이블과 단자(2)의 압착(crimp)이 형성될 때 알루미늄 와이어 케이블의 리드의 와이어 스트랜드의 부분이 세레이션(1) 내로 압출될 때 알루미늄 케이블의 와이어 스트랜드를 바람직하지 않게 손상시킬 수 있다. 세레이션(1)을 압출 및 충전하는 동안 와이어 스트랜드가 절입(nick) 또는 절단되면,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게 와이어 스트랜드와 세레이션(1) 사이의 표면적 접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지 않게 압착의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알루미늄 와이어 케이블은 유사한 구리계(copper-based) 와이어 케이블에 비해서 감소된 중량 및 비용으로 인해 자동차 용도로 사용하기에 점차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알루미늄 와이어 케이블을 사용하는 차량은 무게가 감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바람직하게 차량의 연료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알루미늄 와이어 케이블과 단자 사이에 형성되는 압착의 전술한 통상적인 세레이션에 비해서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을 적어도 유지하거나 바람직하게 향상시키고, 또한 판금 스톡으로부터 단자의 고품질의 고속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세레이션 형상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알루미늄 와이어 전도체와 전기 접점 사이에 형성되는 압착 연결체의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고, 또한 전기 접점의 고품질의 고속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세레이션 형상을 갖는 세레이션을 구비하는 전기 접점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중심에는, 전기 접점 또는 단자의 고품질의 고속 제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세 개의 인자를 조합하여 고려하고 전기 접점의 내표면에 형성되는 세레이션 형상의 발견이 있다. 첫 번째 인자는 와이어 케이블과 단자 사이에 형성되는 압착 내의 저항이 감소되도록 와이어 케이블의 와이어 스트랜드에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절입 및 절단의 기회를 감소시키는 세레이션 형상을 갖고자 하는 것이다. 저항의 감소는 전류가 와이어 케이블/전기 접점 연결체를 통해서 보다 자유롭게 흐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두 번째 인자는 단자 제조 다이에서의 단자 제조 중에 하류 공구 스테이션에서 적절한 단자 정렬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제조 과정 중에 재료가 단자를 향해 성장할 수 있게 하는 식으로 세레이션 형상이 형성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하류 공구 스테이션에서의 단자의 오정렬은 단자 내에 제조되는 다른 특징부의 오정렬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은 단자 품질 결함을 형성한다. 너무 깊거나 너무 얕은 깊이를 갖는 세레이션 또는 특정한 단면상 세레이션 형상은 단자 제조 다이에서의 오정렬 가능성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세 번째 인자는 또한 동일한 고속 단자 제조 과정에서 와이어 케이블과 단자 사이에 형성되는 압착의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을 더 향상시키는 소정의 널 패턴과 함께 세레이션 형상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접점은 전기 접점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서 전기 접점의 내표면에 형성되는 홈형 세레이션을 구비한다. 홈형 세레이션은 내표면으로부터 세레이션의 오목면까지 깊이를 가지며, 이 깊이를 따라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추가로 구비한다. 측벽은 내표면으로부터, 깊이를 따라서 배치되는 내표면으로부터 오목한 측벽 상의 지점까지 경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구비한다.
경사-측부를 갖는 홈형 세레이션은 전기 접점의 내표면에 널 패턴과 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널 패턴은 마름모꼴 오목한 요소를 구비한다. 널 패턴에서의 각각의 마름모꼴 오목한 요소는 축방향 마이너 거리를 갖는다.
전기적 연결 시스템은 경사-측부를 갖는 홈형 세레이션 및/또는 마름모꼴 오목한 요소를 갖는 널 패턴을 포함하는 전기 접점을 구비한다. 전기적 연결 시스템은 자동차 용도에 사용되는 케이블 하네스(harness)와 연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사용 및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 제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 상세한 설명을 숙독할 때 보다 명료하게 드러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6도의 드래프트 각도를 허용하는 세레이션의 오목면에 대해 84도의 램프 각도를 갖는 경사면을 갖는 종래의 세레이션을 갖는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케이블을 수용하는 전기 접점의 길이의 일부분을 따라 널 패턴을 구비하는 전기 접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널 패턴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2의 와이어 케이블을 도 3의 전기 접점에 부착하는 압착 연결체의 도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압착 연결체의, 5-5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널 패턴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6의 널 패턴의 오목한 마름모꼴 요소의 확대도이다.
도 8은 경사진 램프 측벽을 구비하는 도 7의 오목한 마름모꼴 요소의, 8-8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복수의 오목한 마름모꼴 요소 중의 단일의 오목한 마름모꼴 요소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전기 접점의 내표면에 도 6의 오목한 마름모꼴 요소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스 공구의 다이와 연관된 대응 융기 돌출 요소의 3차원 등각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프레스 공구의 다이의 대응 요소의 11-11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대체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점의 내표면에 오목한 마름모꼴 피라미드 요소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스 공구의 다이와 연관된 대응 요소의 3차원 등각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대체 실시예에 따른 단일의 홈형 경사 세레이션과 도 3의 널 패턴을 갖는 전기 접점의 도시도이다.
도 13a는 도 13의 경사 세레이션의 단면도로서, 그 램프 각도(γ)와 드래프트 각도(β) 상세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체 실시예에 따른 세레이션의 단면도로서, 여기에서 세레이션의 측벽의 일부는 그 램프 각도(Φ)와 드래프트 각도(Σ) 상세를 구비하는 경사 측벽을 갖는다.
도 15는 도 13 및 도 13a의 전기 접점에 널 패턴과 경사 세레이션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투-피스 조합 펀치의 등각도이다.
전기 접점과 부속 와이어 케이블은 전동식 차량, 트럭, 보트 및 항공기에 배치되는 전력 계통의 초석이다. 이들 수송 제품은 세계적으로 소비자에 의한 시장 수요가 지속적으로 강력하므로, 소정의 연비 증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들 수송 제품을 보다 가볍게 제조하는 것도 점차적으로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및 본 발명에 따라서, 도 2를 참조하면, 와이어 전도체 또는 와이어 케이블(10)이 종축(A)을 따라서 배치된다. 와이어 케이블(10)은 절연성 외부 커버(12)와 알루미늄계(aluminum-based) 내부 코어(14)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알루미늄계"라는 용어는 순수 알루미늄, 또는 합금에서 알루미늄이 주요 금속인 알루미늄 합금을 의미하도록 정의된다. 외부 커버(12)는 내부 코어(14)를 둘러싼다. 내부 코어(14)는, 내부 코어(14)가 전기 접점(22)에 수용될 때 내부 코어(14) 내에 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 개별 와이어 스트랜드(16)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내부 코어는 함께 다발화되고(bundled) 비틀리는 복수의 개별 와이어 스트랜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와이어 스트랜드가 함께 비틀리고 다발화될 때, 리드는 전기 접점 내에 축방향으로 수용될 수 있지만, 비틀린 와이어 스트랜드는 그 안에 축방향으로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와이어 스트랜드(16)는, 와이어 케이블(10)이 차량의 제조 도중의 경우와 같을 수 있는 배선 용도(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될 때 와이어 케이블(10)의 유연성을 제공하기에 유용하다. 대안적으로, 와이어 케이블의 내부 코어는 단일의 솔리드 와이어 스트랜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내부 코어(14)의 일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해 와이어 케이블(10)의 외부 커버(12)의 단부 부분(도시되지 않음)이 제거된다. 내부 코어(14)의 노출된 부분이 와이어 케이블(10)의 리드(18)이다. 리드(18)는 외부 커버(12)의 축방향 에지(20)로부터 연장된다.
구리계 단자 또는 전기 접점(22)은 교합 단부(24) 및 개방 날개 단부(28)를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전기 접점은 임의의 전기-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날개 단부(28)는 축(A)을 따라서 리드(18)를 수용한다. 날개 단부(28)는 한 쌍의 코어 날개(31)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절연 날개(29)를 구비한다. 절연 날개(29)는 와이어 케이블(10)을 수용하는 전기 접점(22)의 베이스(21)를 따라서 코어 날개(31)의 후방에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구리계"라는 용어는 순수 구리, 또는 합금에서 구리가 주요 금속인 구리 합금을 의미하도록 정의된다. 전기 접점(22)은 차량(도시되지 않음)에 사용되는 배선 하네스(도시되지 않음)의 부분인 복수의 전기 접점(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는 커넥터(도시되지 않음)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는 전동차에 사용되는 대응 교합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교합될 수 있다. 교합 단부(24)는 암형 박스 접점(30) 부분을 포함하며, 공지되어 있듯이 전기 접점 및 배선 분야에 사용된다. 암형 박스 접점(30)은 차량(도시되지 않음)에 배치된 대응 교합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과 같은 대응 수형 전기 접점(도시되지 않음)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암형 박스 접점(30)은 내부 코어(14) 상에서 전달되는 전기 신호를 대응 수형 수용 전기 접점이 부착된 다른 전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대안적으로, 암형 교합 단부는 수형 교합 단부일 수도 있으며 전기 접점은 날개와 교합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다른 추가 섹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절연 날개(29)와 코어 날개(31)는 각각 전기 접점(22)의 베이스(21)로부터 외측으로 경사 연장된다. 베이스(21)는 중립 상태에서 아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접점(22)의 중립 상태는 도 2 및 도 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초기 구축 이후 및 압착 연결체(46) 형성 이전의 전기 접점(22)의 형태이다. 와이어 케이블(10)이 전기 접점(22)에 수용될 때 아치형 베이스(21)는 리드(18)의 형상에 대체로 합치된다. 절연 날개(29)는 외부 커버(12)에 압착되도록 구성되며 코어 날개(31)는 리드(18)에 압착되도록 구성된다.
전기 접점(22)은, 날개 단부(28)가 전기 접점(22)과 와이어 케이블(10) 사이의 효과적인 압착이 가능하도록 리드(18) 및 리드(18)에 인접한 외부 커버(12) 부분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크기이도록 주어진 전기 용도를 위해 선택된다. 코어 날개(31)는 와이어 케이블(10)이 전기 접점(22)에 압착될 때 리드(18)의 적어도 일부분을 충분히 둘러싸고, 커버하며, 결합하도록 크기를 갖는다. 코어 날개(31)는, 와이어 케이블(10)과 전기 접점(22)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와이어 케이블(10)이 전기 접점(22)에 압착될 때 리드(18)의 내부 코어(14)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는 내표면 또는 인접(abutting)면(36)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코어 날개(31)는, 리드(18)가 전기 접점(22)에 수용될 때 널 패턴(44)이 리드(18)의 축방향 전체 길이와 결합하고 압착 연결체(46)가 형성될 때 전기 접점(22)의 후방 에지(50)가 외부 커버(12)의 에지(20)에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리드(18)에 대해 크기결정된다.
리드(18)의 적어도 외표면과 리드(18)의 단부(38)를 따라서 유체 컨포멀(conformal) 코팅(40)이 배치된다. 추가로, 코팅(40)은 에지(20) 위에도 적용되며 리드(18)에 인접한 절연성 외부 커버(12) 부분 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코팅(40)의 시일 커버링(42)은, 와이어 케이블(10)이 전기 접점(22)의 날개 단부(28)에 수용될 때 와이어 케이블(10)의 리드(18)에 내식성 보호층을 제공하기 위해 리드(18)를 매장한다. "유체"는 "유동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시일 커버링(42)은 압착 연결체(46)에 전해 부식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코팅(40)의 점성은 코팅(40)이 적어도 리드(18)의 외표면을 완전히 커버하도록 충분한 두께를 달성하기 위해 와이어 케이블(10) 상으로 적절히 유동할 수 있도록 변경될 수 있다. 코팅(40)의 시일 커버링(42)은 적하(dripping), 분사, 전해 이송, 및 브러시 스폰지 적용 등에 의해 와이어 케이블(10)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일 커버링의 하나가, 2010년 9월 16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밀봉 압착 연결 방법(SEALED CRIMP CONNECTION METHODS)"이며 본 명세서에 참조로 원용되는 미국 공개 제2011/0083324호에 기재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리드는, 유체 코팅이 전혀 적용되지 않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 접점(22)은 널 패턴(44)을 구비한다. 널 패턴(44)은 전기 접점(22)의 길이(L)의 일부분을 따라서 전기 접점(22)의 코어 날개(31)의 인접면(36) 내에 형성된다. 길이(L)는 축(A)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압착 연결체(46)를 형성하기 위해 전기 접점(22)이 와이어 케이블(10)에 부착될 때, 널 패턴(44)은 적어도 리드(18)의 외표면에 대해 결합식으로 접촉된다. 널 패턴(44)은 전기 접점 및 배선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듯이 다이 프레스를 사용하여 내표면(36) 내에 형성 및 스탬핑될 수 있다. 압착 연결체(46)는 코어 날개(31)의 후방 에지(50)와 전방 에지(52) 사이에 형성되는 시임(48)을 구비한다. 압착 연결체(46)는 와이어 케이블(10) 및 전기 접점(22)을 구비하는 와이어 조립체(49)의 부분이다.
널 패턴(44)은,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인접면(36) 아래에 놓이는 플로어(55)를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요소(54)를 구비한다. 각 요소(54)의 오목면(60)은 플로어(55)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플로어(55)는 인접면(36)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오목하다. 요소(54)들 사이에는 융기부(65)가 배치되며 융기부는 주위 인접면(36)과 대체로 평면을 이루는 상부 편평면(66)을 갖는다. 복수의 요소(54)의 각각은 복수의 측벽(61)을 구비한다. 각 요소(54)의 에지(63)는 측벽(61)과 융기부(65)의 상부 편평면(66) 사이의 경계면에 형성된다. 각 요소(54)는 각 요소(54)를 둘러싸는 복수의 에지(63)로 형성된 주변 에지를 갖는다. 복수의 요소(54)의 각 요소에 있어서 복수의 측벽(61)의 각 측벽은 오목면(60)으로부터 상부 편평면(66)을 향해서 기울어진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며, 에지(63)가 형성되도록 상부 편평면(66)으로 이행된다. 따라서, 측벽(61)은 도 8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단면 도시로 볼 때 경사진 램프이다. 유리하게, 복수의 경사진 측벽(61)은 널 패턴이 스탬핑될 때 전기 접점(22)으로부터 다이의 제거를 보조한다. 바람직하게, 측벽의 경사진 램프는 플로어(55)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평면에 대해 예각인 드래프트 각도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요소의 각 요소에서의 복수의 측벽은 플로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 요소(54)에서의 오목면(60)은 인접면(36) 및 축(A)과 대체로 평행하다. 융기부(65)는 도 7 및 도 8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널 패턴(44)에서의 각 요소(54)를 인접하여 둘러싼다. 융기부(65)의 상부 편평면(66)은 도 6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주위 인접면(36)과 이행적으로 연통한다. 대안적으로, 융기부의 상부 편평면은 플로어와 주위 인접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오목할 수도 있다. 에지(63)는 압착 연결체(46)가 형성될 때 리드(18) 상에 배치되는 알루미늄 산화물을 파괴시키기에 효과적이다. 측벽(61), 에지(63) 및 융기부(65)의 구조적 상관 관계는 도 8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플로어(55)는 인접면(36)과 이격된 대략 평행한 관계를 갖는다. 각각의 오목면(60)은 제1 쌍의 대향하는 대략 축방향의 내부 코너(56)를 구비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1 쌍의 대향 내부 코너(56) 사이에는 제1의 또는 축방향 마이너 거리(x1)가 형성된다. 제1 쌍의 대향 내부 코너(56)와 상이한 제2 쌍의 대향 내부 코너(58) 사이에는 제2의 또는 메이저 거리(x2)가 형성된다. 메이저 거리(x2)는 도 9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마이너 거리(x1)에 대해 2등분 수직 관계를 갖는다. 축방향 마이너 거리(x1)는 메이저 거리(x2)보다 작다. 각각의 요소(54)에서의 오목면(60)은 마름모꼴을 형성하는 표면적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축방향 마이너 거리는 축(A)과 실질적으로 축방향일 수도 있으며 메이저 거리는 실질적으로 축방향 마이너 거리에 수직하다. 각각의 요소(54)에 있어서, 제1 쌍의 축방향 대향 내부 코너(56)의 각각은, 각각의 제2 쌍의 대향 내부 코너(56)의 각도 값보다 큰 각도 값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도 9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제1 쌍의 축방향 대향 내부 코너(56)의 내부 코너는 둔각의 각도 값을 가지며 제2 쌍의 대향 내부 코너(58)의 내부 코너는 예각의 각도 값을 갖는다. 추가 대체 실시예에서, 제1 쌍의 축방향 대향 내부 코너의 내부 코너는 100도보다 클 수 있는 둔각의 각도 값을 갖는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대응 널 패턴(70)이 다이 프레스의 다이(둘 다 도시되지 않음)와 연관된다. 다이 프레스는 전기 접점 및 배선 분야에서 공지 및 사용되는 널 패턴(70)을 만들어내기에 효과적인 임의의 종류의 다이 프레스일 수 있다. 전기 접점(22)의 널 패턴(44)에 복수의 오목한 요소(54)를 구축하기 위해서, 널 패턴(70)의 융기된 마름모꼴 돌출부(71)가, 다이 프레스에 사용되는 다이 상에 활용된다. 홈(72)은 다이 상에 배치된 널 패턴(70)에서 각각의 마름모꼴 돌출부(71)를 둘러싼다. 널 패턴(70)을 갖는 다이는 경화 탄소강을 사용하는 등에 의해 전기 접점 또는 단자보다 단단한 경화 금속으로 구축된다. 홈(72)은 플로어(55)로부터 측정되는 널 패턴(44)의 융기부(65)의 깊이보다 더 깊은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72)은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마름모꼴 돌출부(71)의 표면으로부터 다이 내의 플로어(73)까지의 깊이를 갖는다.
전기 접점(22)의 널 패턴(44)은 도 2 및 도 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와이어 케이블(10)이 부착되지 않을 때는 사용되지 않는다.
전기 접점(22)의 널 패턴(44)은, 도 3 및 도 4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널 패턴(44)이 압착 연결체(46)를 형성하기 위해 리드(18)와 결합할 때 사용된다. 압착 연결체(46)는 전기 접점 및 배선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프레스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압착 연결체(46)가 형성되고 있을 때, 복수의 요소(54)는 프레스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알루미늄 리드(18)에 결합되도록 강요되며 따라서 알루미늄 리드(18)의 부분이 복수의 요소(54) 내로 압출된다. 축방향 마이너 거리(x1) 및 메이저 거리(x2)의 마름모꼴 배향과 조합되는 복수의 요소(54)의 에지(63)는 압착 연결체(46)의 전기적 및 기계적 견고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와이어 케이블(10)의 리드(18)의 전체 외표면을 따라서 알루미늄 산화물을 파쇄시키는데 추가로 도움이 된다.
어떤 특정한 이론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지만, 축방향 마이너 거리(x1) 및 메이저 거리(x2)의 배향을 갖는 복수의 요소(54)의 사용은 리드(18)에 대한 전기 접점(22)의 압착 중에 요소(54)를 장기간 동안 개방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 알려졌다. 알루미늄 리드(18)의 부분은 요소(54) 내로 오목면(60)에 대해 압출되어 요소(54)가 압출 알루미늄 리드(18)의 부분에 대해 밀착 결합되게 하며 따라서 전술한 보이드가 발생하지 않는다. 메이저 축 거리(x2)가 리드(18)에 수직하기 때문에, 임의의 특정 와이어 스트랜드(16)에 있어서의 더 큰 접촉 표면적은 오목한 요소(54) 내로 압출되는 동안 개벌 와이어 스트랜드(16) 상에 배치된 알루미늄 산화물을 파괴 및 파쇄시키기에 보다 용이하다. 코어 날개(31) 상의 널 패턴(44)의 표면적 재료(36, 60, 61, 63, 66)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리드(18)의 적어도 외표면 상의 순수 알루미늄의 더 큰 접촉 표면적은 보다 확실하고 견고한 전기적 연결을 보장한다. 더 큰 표면적 접촉은 또한 리드(18)와 코어 날개(31) 사이의 기계적 인터로크를 증진시키며 이는 압착 연결체(46)에서 리드(18)와 전기 접점(22) 사이의 견고한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표면(36, 60, 61, 63, 66)과 리드(18) 사이의 이러한 더 큰 표면적 접촉은 도 5 및 도 8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널 패턴(44)은 압착 연결체(46)가 형성될 때 리드(18)와 전기 접점(22) 사이의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유리하게 최대화할 수 있다. 더욱이, 코어 날개(31)는, 압착 연결체(46)가 중립 상태로부터 최종 상태로 형성될 때 코어 날개(31)가 압착 연결체(46)의 형성 중에 대체로 아치 형태를 유지하도록 압착되는 것도 중요하다. 코어 날개(31)의 최종 상태는 도 4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코어 날개(31)가 압착 연결체(46)에 형성될 때이다. 압착 과정 중에 코어 날개(31)의 아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은, 도 5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알루미늄 리드(18)의 압출된 부분을 폐쇄된 요소(54) 내에 포획시키기 위해 요소(54)가 부분적으로 결합 폐쇄되기 전에 알루미늄 리드(18)의 부분이 요소(54) 내로 압출되도록 요소(54)가 장기간 동안 충분히 개방 상태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널 패턴(44)이 코어 날개(31)의 내표면(36)에 형성될 때 오목한 요소(54)가 대각선 열(67)로 형성되므로, 메이저 거리(x2)는, 와이어 케이블(10)과 전기 전도체(22)의 견고한 전기적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적어도 리드(18)의 전체 표면적이 코어 날개(31) 상의 널 패턴(44)의 길이와 폭에 걸쳐서 복수의 요소(54)에 의해 충돌되도록 코어 날개(31)의 폭을 집합적으로 커버한다. 널 패턴(44)에서의 요소(54)의 주변 에지는, 압착 연결체(46)가 형성될 때 널 패턴(44)이 리드(18) 상의 알루미늄 산화물을 파쇄하는 능력을 증가시키기에 효과적이다.
압착 연결체(46)가 분해되고 코어 날개(31)가 리드(18)로부터 언래핑될 때 널 패턴(44)의 상당한 부분은 와이어 케이블(10)의 리드(18)의 외표면에 압인된 상태로 남아있는 것이 알려졌다. 많은 분해된 압착 연결체에 있어서, 널 패턴의 백퍼센트(100%)가 각각의 와이어 케이블의 리드 상에 압인된 상태로 남아있다.
대안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다이는 피라미드형 마름모꼴 돌출부(101)를 사용하며, 연관된 인접한 홈(102)이 사용될 수 있다. 돌출부(101) 각각은 평탄한 절두 상부를 갖는다. 전기 접점의 베이스와 코어 날개 상에 오목한 널 패턴을 스탬핑하기 위해 피라미드형 돌출부(101) 및 연관된 인접한 홈(102)을 사용하는 다이가 사용될 때, 전기 접점의 내표면에는 복수의 오목한 피라미드형 마름모꼴 요소가 형성된다. 각각의 오목한 피라미드형 마름모꼴 요소에서의 각각의 평탄한 절두 상부는 전기 접점의 내표면의 플로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도 13의 실시예의 다이는 전술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이와 유사한 재료로 제조된다.
이제 도 13 및 도 13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대체 실시예를 검토하면, 전기 접점(122)은 코어 날개(131)의 전방 에지(152)에 가까운 널 패턴(144)의 전방에 배치되는 단일의 홈형 채널 또는 세레이션(153)을 구비한다.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요소와 유사한 도 13 및 도 13a에서의 요소는 숫자 100만큼 차이나는 참조 부호를 갖는다. 세레이션(153)은 축(A)과 유사한 축(A')에 수직한 코어 날개(131)의 폭을 따라서 배치되며 인접면(136)에 형성된다. 널 패턴(144)은 코어 날개(131)의 후방 에지(150)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널 패턴(144)은 복수의 오목한 요소(154)를 구비한다. 세레이션(153)은 인접면(136)으로부터 세레이션(153)의 편평한 오목면(159)으로 연장되는 경사 측벽(157)을 구비한다. 인접면과 평행한 오목면(159)을 따라서 평면이 형성된다. 경사 측벽(157)은 오목면(159)으로부터 내표면(136)까지 경사진 램프를 형성한다. 각 측벽(157)의 경사진 램프는 평면(168)에 대해 램프 각도(γ)를 갖는다. 램프 각도(γ)는 최대값이 84도 미만인 예각 범위의 각도 값을 갖는다. 최대값이 84도 미만인 이러한 예각의 각도 값을 갖는 것은, 가단성 알루미늄 재료의 압착 과정 중에 와이어 스트랜드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손상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전기 접점에 대한 리드의 고품질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보장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램프 각도(γ)는 15도 내지 60도 범위의 값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 램프 각도(γ)는 30도 내지 45도 범위의 값을 갖는다. 대응하여, 드래프트 각도(β)는 6도보다 큰 값을 갖는다. 임의의 주어진 용도에 있어서 전기 접점의 제조는 드래프트 각도(β)와 가산되거나 합산될 때 플로어(168)에 대해 총 90도가 되는 램프 각도(γ)를 산출한다. 일반적으로, γ 및 β에 대한 각도 값은 세레이션의 각각의 경사 벽에 대한 것과 동일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세레이션의 각각의 경사 벽에 대한 γ 및 β의 값은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세레이션(153)은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에 대해 전술했듯이 와이어 전도체의 리드가 코어 날개에 수용되고 알루미늄 와이어 전도체가 전기 접점에 압착될 때 사용된다. 알루미늄 리드의 부분은 측방향으로 압출되어 세레이션(153)을 충전하기 위해 다이 프레스의 힘 하에 가압된다. 알루미늄 리드의 부분은 압착 연결체가 형성될 때 홈형 세레이션을 실질적으로 충전하고 측벽 및 오목면에 대해 결합되는 것이 알려졌다. 경사진 램프 측벽은 와이어 전도체의 와이어 스트랜드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압착 연결체에 대한 소정의 기계적 강도를 얻기 위해 알루미늄 리드가 세레이션 내로 압출되기 위한 보다 점진적인 이행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 1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전방 배치된 세레이션은 후방 배치된 세레이션에 비해서, 스탬프 공구가 제공하는 성장이 스탬프 공구에 의해 추가로 억제되지 않기 때문에 세레이션 및/또는 세레이션/널 패턴이 스탬프 공구에 의해 재료 스톡에 압인될 때 단자 재료의 소정 성장을 제공하기 위해 보다 양호하게 적합해질 수 있는 것이 알려졌다. 또한, 단일의 전방 세레이션과 마름모꼴 널 패턴의 조합은 와이어 케이블과 전기 접점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의 최대화를 위해서 압착 날개의 내표면의 대부분을 커버해야 하고, 마름모꼴 널 패턴과 세레이션 특징부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전기 접점의 내표면의 양이 최소화되어야 하는 것도 알려졌다.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대체 실시예에서, 전기 접점(222)은 측벽을 구비하는 세레이션(253)을 갖는다. 측벽은 경사 벽 부분(257)으로 이행되는 수직 벽 섹션(275)을 구비한다. 경사 벽 부분(257)은 세레이션(253)의 편평한 오목면(259)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배치된다. 경사 벽 부분(257)은 전기 접점(222)의 인접면(236)으로부터 세레이션(253)의 깊이를 따르는 지점으로 하향 연장된다. 세레이션(253)의 깊이는 내표면(236)으로부터 편평한 오목면(259)까지 측정된다. 깊이를 따르는 지점은 경사 벽 부분(257)이 수직 벽 섹션(275)으로 이행되는 장소이다. 플로어(268) 및 인접면(236)과 수직인 지점을 따라서 평면(270)이 형성된다. 알루미늄 리드는 전술한 세레이션(153)과 유사한 방식으로 세레이션(253)을 충전한다. 대안적으로, 수직 벽은 또한, 세레이션이 스탬핑될 때 펀치의 용이한 제거를 적어도 보장하기 위해 경사 벽 부분(257)과 다른 경사를 가질 수 있는 경사 벽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램프 각도(Φ)는 84도 미만이며 드래프트 각도(Σ)는 6도를 초과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4에 도시하듯이 수직 벽(275)을 형성하는 벽의 경사는 약 6도의 드래프트 각도를 가질 수도 있다. 임의의 주어진 용도에 있어서, 전기 접점의 제조는 드래프트 각도(Σ)와 가산되거나 합산될 때 플로어(268)에 대해 총 90도가 되는 램프 각도(Φ)를 산출한다. 일반적으로, Φ 및 Σ에 대한 각도 값은 세레이션의 각각의 경사 벽에 대한 것과 동일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세레이션의 각각의 경사 벽에 대한 Φ 및 Σ의 값은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5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투-피스 조합 다이 펀치(280)는 전기 접점(122)에서의 세레이션(153) 및 널 패턴(144)을 스탬핑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 펀치(280)는 단일 공구에서 함께 조립되는 상부 피스 또는 상부 부분(281) 및 하부 피스 또는 하부 부분(282)을 구비한다. 다이 펀치(280)는 고속 제조 라인을 따라서 고체적 제조 과정에서 고품질의 단자 구축을 보장하기 위해 널 패턴과 세레이션을 바람직한 폭과 깊이로 일관성있게 스탬핑하기에 유용하다. 투-피스 펀치는, 널 패턴(44)을 포함하지 않는 전기 접점을 생성하기 위해 하부 부분(282)이 다른 세레이션 요소를 구비할 수 있는 다른 펀치로 교환 및 대체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대안적으로, 와이어 케이블의 내부 코어는 비알루미늄, 도전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기 접점은 임의의 종류의 적절한 도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케이블은 구리계 금속으로 형성된 내부 코어를 가질 수 있다.
추가 대안적으로, 널 패턴은 와이어 케이블의 리드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전기 접점의 내표면의 길이 및 폭의 임의의 부분을 따라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대체 실시예에서, 와이어 조립체는 견고한 전기적 연결이 요구되는 임의의 형태의 전기 용도에 사용되는 전기적 연결 시스템과 연관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대체 실시예에서, 와이어 케이블의 내부 코어는 함께 밀집되거나(compacted) 용접되는 복수의 와이어 스트랜드를 갖는 리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용접된 리드의 하나가, 2011년 6월 24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알루미늄 케이블에 대한 압착 연결체(CRIMP CONNECTION TO ALUMINUM CABLE)"이며 본 명세서에 참조로 원용되는 미국 출원 제13/168,309호에 기재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세레이션은 대응 널 패턴도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 전기 접점의 내표면에 사용될 수도 있다. 세레이션은 또한 축에 수직한 직선과는 다른 임의의 패턴화 형태를 내표면 상에 가질 수 있다. 추가 대체 실시예에서, 세레이션은 전기 접점의 부분의 후방 에지에 가까운 널 패턴의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추가 대안적으로, 전기 접점에는 임의의 개수의 세레이션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복수의 세레이션은 내표면을 따르는 임의의 위치에서 내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대응 널 패턴을 갖거나 갖지 않고서 사용된다.
또 다른 대체 실시예에서, 도 13 및 도 13a의 실시예에서 세레이션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이 프레스는 전체적으로 장방형 형상을 갖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세레이션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경사 측벽과 널를 갖는 세레이션을 구비하는 전기 접점이 제공되었다. 84도 미만의 램프 각도를 갖는 세레이션의 경사 측벽은 알루미늄 리드가 세레이션의 측벽 및 오목면에 대해 결합하기 위해 세레이션 내로 보다 점진적으로 압출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와이어 전도체/전기 접점 연결체를 전기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덜 견고하게 만들 수 있는 개별 와이어 스트랜드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들 특징을 갖는 세레이션은 알루미늄 리드가 보이드 없이 세레이션 내에 완전히 압출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접촉 요소와의 견고한 전기적 연결을 보장한다. 널 패턴의 각각의 오목한 마름모꼴 요소는 전기 접점에 수용되는 와이어 케이블에 대해서, 전기 접점과 알루미늄 와이어 케이블 사이의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개선할 수 있는 배향을 갖는다. 각각의 오목한 마름모꼴 요소는 축방향 내부 코너 사이에 배치되는 축방향 마이너 거리를 갖는다. 각각의 마름모꼴 요소는 또한 비축방향 내부 코너 사이에 배치되는 메이저 거리를 갖는다. 축방향 마이너 거리는 메이저 거리보다 짧다. 오목한 마름모꼴 요소는 와이어 케이블의 리드를 축방향으로 수용하는 전기 접점의 내표면의 임의의 범위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널 패턴은 코어 날개의 폭을 따라서 및 전기 접점의 내표면에 형성된 전기 접점의 아치형 베이스를 따라서 연장된다. 압착 과정은 베이스의 아치형 형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압착 연결체가 구축될 때 코어 날개를 중립 상태에서 최종 상태까지 내내 아치형 형태로 압착한다. 이 압착 과정은, 압착 연결체가 형성될 때 오목한 요소에 보이드가 발생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오목한 마름모꼴 요소가 부분적으로 폐쇄되기 전에 오목한 마름모꼴 요소의 적어도 상당한 부분을 리드의 압출된 알루미늄으로 충전할 수 있다. 오목한 마름모꼴 요소의 상당한 부분이 순수 알루미늄으로 충전될 때, 순수 알루미늄이 마름모꼴 요소의 오목면의 표면적의 상당한 부분과 완전한 접촉을 이루는 경우에, 알루미늄 리드와 전기 접점 사이에 더 큰 표면 접촉 영역이 실현되며 이는 와이어 조립체의 내용 수명에 걸쳐서 개선된 기계적 및 전기적 압착 연결체가 달성되도록 보장한다. 널 패턴의 복수의 요소에서의 에지의 총합의 증가된 주변 거리와 각각의 마름모꼴 요소의 축방향 마이너 거리 배향의 조합은, 와이어 케이블의 리드 상에 배치된 알루미늄 산화물이, 압착 연결체가 형성될 때 널 패턴에 의해 포위되는 리드의 길이를 따라서 리드의 적어도 외표면을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파쇄 및 분쇄되도록 보장한다. 와이어 케이블의 리드를 커버하는 유체 컨포멀 코팅은 전기 접점과 리드 사이에 압착이 형성될 때 견고한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추가로 제공하는 추가 내식 층을 보장한다. 투-피스 조합 펀치는 단자에서 84도 미만의 램프 각도를 갖는 세레이션 및 마름모꼴 널 패턴이 고체적 제조 조립 라인에서 제조될 수 있게 한다. 단자의 내표면 상의 마름모꼴 널 패턴의 전방에 배치된 세레이션은, 재료 스탬핑 과정 중의 소정 성장이 재료 스톡 내에 압인되는 스탬프 공구에 의해 억제됨이 없이 널 패턴 및 세레이션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나타나있는 정도까지만 제한되도록 의도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광범위하게 이용 및 적용될 수 있음을 쉽게 알 것이다. 전술한 것 이외의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 및 적응예뿐 아니라 여러가지 변형예, 수정예 및 균등한 구성이,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본 발명과 상기 내용으로부터 자명하거나 상기 내용에 의해 합리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본 발명을 그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것은 본 발명을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충실한 실현가능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임을 알아야 한다. 이상의 내용은 본 발명을 제한하거나 일체의 다른 실시예, 적응예, 변형예, 수정예 및 균등한 구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의도되거나 간주되지 않아야 하며, 본 발명은 하기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19)

  1. 전기 접점이며,
    상기 전기 접점(122)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서 전기 접점(122)의 내표면(136)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형 세레이션(153)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는 종축을 따라서 배치되며, 상기 부분은 와이어 케이블(10)의 리드(18)를 부착되도록 축방향으로 수용하고 따라서 부착된 리드(18)를 상기 홈형 세레이션(153)의 오목면(159)에 대해 결합식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홈형 세레이션(153)은 깊이를 갖고 상기 깊이를 따라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157)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157)은 전기 접점(122)의 내표면(136)으로부터, 상기 깊이를 따라서 측벽(157)에 배치된 내표면(136)으로부터 오목한 지점까지 경사식으로 연장되는 그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구비하는 전기 접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의 내표면(136) 상에 배치되는 널 패턴(144)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부분은 와이어 케이블(10)의 리드(18)를 축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후방 에지(150)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널 패턴(144)은 세레이션(153)과 후방 에지(150) 사이의 내표면(136) 상에 배치되는 전기 접점(122).
  3. 제1항에 있어서, 측벽(157)의 상기 섹션은 오목면(159)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점으로부터 상기 내표면(136)까지 배치되는 경사 램프이며, 따라서 그곳에서의 경사 램프는 램프 각도로 기울어지고, 상기 램프 각도는 상기 지점을 통해서 형성되는 수평 평면(168)에 대한 것이며, 상기 수평 평면(168)은 내표면(136)과 대체로 평행한 관계를 갖고, 상기 램프 각도는 예각과 관련된 범위 내의 값을 갖는 전기 접점(122).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은 오목면(159)에 배치되는 전기 접점(122).
  5.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벽(157)은 오목면(159)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오목면(159)에 배치된 상기 지점으로부터 상기 내표면(136)까지 배치되는 경사 램프이며, 따라서 경사 램프는 램프 각도로 기울어지고, 상기 램프 각도는 오목면(159)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지점을 통해서 형성되는 수평 평면(168)에 대한 것이며, 상기 수평 평면(168)은 내표면(136)과 평행한 관계를 갖고, 상기 램프 각도는 예각과 관련된 범위 내의 값을 가지며, 상기 예각은 84도 미만의 최대값을 갖는 전기 접점(122).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레이션(153)은 폭을 가지며, 상기 폭은 축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전기 접점(122).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점(122)의 길이의 일부분을 따라서 전기 접점(122)의 내표면(136)에 형성되는 널 패턴(144)을 추가로 구비하며, 전기 접점(122)의 상기 부분은 와이어 케이블(10)의 리드(18)를 부착되도록 축방향으로 수용하고 따라서 리드(18)를 널 패턴(144)에 대해 결합식으로 접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널 패턴(144)은 복수의 요소(154)를 구비하고, 복수의 요소(154)의 각각의 요소(154)는 복수의 내부 코너, 그 사이에 대체로 축방향의 마이너 거리가 형성되는 제1 쌍의 대향하는 대체로 축방향의 내부 코너(56), 및 상기 제1 쌍의 대향 내부 코너(58)와 다르고 그 사이에 메이저 거리가 형성되는 제2 쌍의 대향 내부 코너(58)를 구비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대체로 축방향의 마이너 거리는 상기 메이저 거리보다 짧은 전기 접점(122).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154)의 각각의 요소(154)는 상기 내표면(136)에 대해 이격된 오목한 관계를 갖는 표면을 구비하는 전기 접점(122).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154)의 각각의 요소(154)는 마름모꼴 형상을 형성하는 영역을 갖는 표면을 구비하는 전기 접점(122).
  10. 제9항에 있어서, 세레이션(153)과 널 패턴(144)은 투-피스 다이 펀치(280)로 형성되는 전기 접점(122).
  11. 전기적 연결 시스템이며,
    하나 이상의 와이어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접점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점의 적어도 하나는,
    전기 접점(122)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서 전기 접점(122)의 내표면(136)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형 세레이션(153)을 구비하며, 상기 길이는 종축을 따라서 배치되며, 상기 부분은 와이어 케이블(10)의 리드(18)를 부착되도록 축방향으로 수용하고 따라서 부착된 리드(18)를 상기 홈형 세레이션(153)의 오목면(159)에 대해 결합식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홈형 세레이션(153)은 깊이를 갖고 상기 깊이를 따라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157)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157)은 전기 접점(122)의 내표면(136)으로부터, 상기 깊이를 따라서 측벽(157)에 배치된 내표면(136)으로부터 오목한 지점까지 경사 연장되는 그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구비하는 전기적 연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측벽(157)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섹션은 오목면(159)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점으로부터 상기 내표면(136)까지 배치되는 경사 램프이며, 따라서 경사 램프는 램프 각도로 기울어지고, 상기 램프 각도는 상기 지점을 통해서 형성되는 수평 평면(168)에 대한 것이며, 상기 수평 평면(168)은 내표면(136)과 대체로 평행한 관계를 갖고, 상기 램프 각도는 예각과 관련된 범위 내의 값을 갖는 전기적 연결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은 오목면(159)에 배치되는 전기적 연결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벽(157)은 오목면(159)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오목면(159)에 배치된 상기 지점으로부터 상기 내표면(136)까지 배치되는 경사 램프이며, 따라서 경사 램프는 램프 각도로 기울어지고, 상기 램프 각도는 오목면(159)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지점을 통해서 형성되는 수평 평면(168)에 대한 것이며, 상기 수평 평면(168)은 내표면(136)과 평행한 관계를 갖고, 상기 램프 각도는 예각과 관련된 범위 내의 값을 가지며, 상기 예각은 84도 미만의 최대값을 갖는 전기적 연결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점의 적어도 하나는 전기 접점(122)의 길이의 일부분을 따라서 전기 접점(122)의 내표면(136)에 형성되는 널 패턴(144)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길이는 종축을 따라서 배치되고, 전기 접점(122)의 상기 부분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 케이블의 리드(18)를 부착되도록 축방향으로 수용하고 따라서 리드(18)를 널 패턴(144)에 대해 결합식으로 접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널 패턴(144)은 복수의 요소(154)를 구비하고, 복수의 요소(154)의 각각의 요소(154)는 복수의 내부 코너, 그 사이에 대체로 축방향의 마이너 거리가 형성되는 제1 쌍의 대향하는 대체로 축방향의 내부 코너(56), 및 상기 제1 쌍의 대향 내부 코너(56)와 다르고 그 사이에 메이저 거리가 형성되는 제2 쌍의 대향 내부 코너(58)를 구비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대체로 축방향의 마이너 거리는 상기 메이저 거리보다 짧은 전기적 연결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154)의 각각의 요소(154)는 상기 내표면(136)에 대해 이격된 오목한 관계를 갖는 표면을 구비하는 전기적 연결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154)의 각각의 요소(154)는 마름모꼴 형상을 갖는 표면을 구비하는 전기적 연결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소(154)의 각각의 요소(154)의 마름모꼴 표면은 상기 내표면(136)에 대해 이격된 오목한 관계를 갖는 전기적 연결 시스템.
  19. 제1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배선 케이블(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접점(122)은 전동 차량 내에 배치되는 배선 하네스와 연관되는 전기적 연결 시스템.
KR1020147014883A 2011-11-07 2012-09-21 마름모꼴 널 패턴을 갖는 전기 접점 KR101495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56452P 2011-11-07 2011-11-07
US61/556,452 2011-11-07
US13/450,936 US8622774B2 (en) 2011-11-07 2012-04-19 Electrical contact having channel with angled sidewalls and romboid knurl pattern
US13/450,936 2012-04-19
PCT/US2012/056546 WO2013070327A1 (en) 2011-11-07 2012-09-21 Electrical contact with romboid knurl patt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409A true KR20140089409A (ko) 2014-07-14
KR101495487B1 KR101495487B1 (ko) 2015-02-24

Family

ID=4822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883A KR101495487B1 (ko) 2011-11-07 2012-09-21 마름모꼴 널 패턴을 갖는 전기 접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22774B2 (ko)
EP (1) EP2777102A4 (ko)
JP (1) JP5749867B2 (ko)
KR (1) KR101495487B1 (ko)
CN (1) CN104025395B (ko)
BR (1) BR112014010880A2 (ko)
WO (1) WO20130703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561A (ko) * 2014-10-24 2016-05-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세레이션부를 구비한 단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9382B2 (ja) * 2010-04-13 2014-06-11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22390A (ja) * 2010-04-13 2011-11-04 Yazaki Corp 端子金具
JP5690095B2 (ja) * 2010-08-04 2015-03-25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JP5777357B2 (ja) * 2011-03-08 2015-09-09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JP5890992B2 (ja) * 2011-10-05 2016-03-22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JP5909345B2 (ja) * 2011-11-11 2016-04-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
JP5829937B2 (ja) * 2012-02-15 2015-12-09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接続構造
WO2014024938A1 (ja) * 2012-08-07 2014-02-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接続構造体、コネクタ、ワイヤハーネス、並びに圧着端子の製造方法、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EP2731203B1 (de) * 2012-08-29 2018-05-09 Nexans Verfahren zum feuchtigkeitsdichten Abdecken einer Verbindungsstelle zwischen einem elektrischen Leiter und einem Kontaktelement
JP6074336B2 (ja) 2013-08-06 2017-02-01 日新製鋼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電線の接続構造
JP6749039B2 (ja) * 2013-11-13 2020-09-02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US9649717B2 (en) 2013-12-24 2017-05-16 Innovative Weld Solutions, Ltd. Welding assembly and method
US9937583B2 (en) 2013-12-24 2018-04-10 Innovative Weld Solutions Ltd. Welding assembly and method
WO2015194640A1 (ja) * 2014-06-19 2015-12-23 株式会社フジクラ 圧着端子
JP6634210B2 (ja) * 2014-12-25 2020-01-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及びそれを備えるコネクタ
EP3098905A1 (en) * 2015-05-28 2016-11-30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shield connector
JP6663714B2 (ja) * 2015-12-28 2020-03-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及びコネクタ
CA2961220C (en) 2016-03-17 2023-01-31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Battery contact with a surface texture
JP6518207B2 (ja) * 2016-03-17 2019-05-22 タツタ電線株式会社 端子金具および端子金具付き絶縁電線
US9853368B2 (en) 2016-05-03 2017-12-26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rimp terminal
US9997846B1 (en) * 2017-02-21 2018-06-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indow electrical terminals
US10516238B2 (en) 2017-06-08 2019-12-24 Delphi Technologies, Llc Method for forming a shielded electrical terminal and an electrical terminal formed by said method
JP6904147B2 (ja) * 2017-08-01 2021-07-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電線
JP6768742B2 (ja) * 2018-06-04 2020-10-1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19212458A (ja) * 2018-06-04 2019-12-12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US10665964B2 (en) * 2018-07-13 2020-05-26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s having bi-directional serra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200067251A1 (en) * 2018-08-21 2020-02-27 Lear Corporation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DE102019109460A1 (de) * 2019-04-10 2020-10-15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Crimpkontakt
US11646510B2 (en) * 2021-04-29 2023-05-09 Aptiv Technologies Limited Shielding electrical terminal with knurling on inner contact wall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9786A (en) 1969-04-04 1970-12-22 Thomas & Betts Corp Insulation piercing connector
US3735331A (en) 1972-04-19 1973-05-22 Ark Les Switch Corp Electrical connector
US3812448A (en) 1972-11-24 1974-05-21 Thomas & Betts Corp Electrical connector
US4142771A (en) 1974-10-16 1979-03-06 Amp Incorporated Crimp-type terminal
US3953103A (en) 1975-01-27 1976-04-27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Plug-in terminal
JPH05152011A (ja) 1991-11-26 1993-06-18 Sumitomo Wiring Syst Ltd 圧着端子
US5252088A (en) 1992-10-05 1993-10-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aled pass through electrical connector
US5558545A (en) 1995-05-01 1996-09-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Battery terminal connector having pad contacts
DE19549174A1 (de) * 1995-10-28 1997-07-03 Bosch Gmbh Robert Kontaktelement mit Crimpabschnitt
JP3343880B2 (ja) * 1996-10-21 2002-11-1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JP3868234B2 (ja) 2001-07-13 2007-01-17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JP3776356B2 (ja) 2002-01-15 2006-05-17 東京通信機工業株式会社 メモリ機能付き光コネクタ
JP2003243057A (ja) 2002-02-18 2003-08-2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線接続端子
US20050273122A1 (en) 2004-06-02 2005-12-08 Microline, Inc. Clip with enhanced gripping arrangement
JP4818151B2 (ja) * 2007-02-14 2011-11-1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外導体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JP4834605B2 (ja) * 2007-05-15 2011-12-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外導体端子
JP5400318B2 (ja) 2008-04-15 2014-01-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アルミ電線用圧着端子
JP2010010000A (ja) * 2008-06-27 2010-01-1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
JP2010010086A (ja) 2008-06-30 2010-01-1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
JP5099225B2 (ja) * 2008-07-15 2012-12-19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JP5071288B2 (ja) * 2008-07-22 2012-11-1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および端子金具付き電線
US7722416B2 (en) * 2008-10-02 2010-05-25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use on aluminum wires
JP4979147B2 (ja) * 2009-04-24 2012-07-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US8181343B2 (en) 2009-10-08 2012-05-22 Delphi Technologies, Inc. Sealed crimp connection methods
JP5777357B2 (ja) * 2011-03-08 2015-09-09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JP5890992B2 (ja) * 2011-10-05 2016-03-22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US8485853B2 (en) * 2011-11-03 2013-07-16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tact having knurl pattern with recessed rhombic elements that each have an axial minor dist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561A (ko) * 2014-10-24 2016-05-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세레이션부를 구비한 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487B1 (ko) 2015-02-24
JP2014532968A (ja) 2014-12-08
US8622774B2 (en) 2014-01-07
EP2777102A4 (en) 2015-07-22
US20130115830A1 (en) 2013-05-09
CN104025395A (zh) 2014-09-03
JP5749867B2 (ja) 2015-07-15
CN104025395B (zh) 2016-08-24
BR112014010880A2 (pt) 2017-05-02
WO2013070327A1 (en) 2013-05-16
EP2777102A1 (en)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487B1 (ko) 마름모꼴 널 패턴을 갖는 전기 접점
KR101357976B1 (ko) 마름모꼴 널 패턴을 갖는 전기 접점
US8246394B2 (en) Terminal connector with a crimping portion with recesses
JP5311962B2 (ja) アルミ電線用圧着端子及びアルミ電線用圧着端子の製造方法
US8303355B2 (en) Terminal connector and electric wire with terminal connector
US8251759B2 (en) Terminal fitting, a terminal fitting chain, a wire with a terminal fitting and a processing device therefor
US7828611B2 (en) Terminal fitting
US9954308B2 (en) Terminal-attached electric wire
US9768526B2 (en) Crimp-connection structural body, wire harness, method of manufacturing crimp-connection structural body, and device of manufacturing crimp-connection structural body
US20100035487A1 (en) Terminal fitting and a wire connected with a terminal fitting
JP2010198776A (ja) アルミ電線用圧着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アルミ電線への圧着構造
US10886686B2 (en) Method for crimping an electrical contact to a cable and tool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CN104904067A (zh) 装备有端子的电线和用于制造该装备有端子的电线的方法
JP2010010000A (ja)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
WO2013110503A1 (en) Electrical contact terminal comprising a crimping section
EP4002591B1 (en) Power terminal with improved crimping portion and crimping method thereof
US11677167B2 (en) Electric wire with terminal and terminal crimping device
JP5842802B2 (ja) 端子付き電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