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8654A - 접이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접이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654A
KR20140088654A KR1020130000424A KR20130000424A KR20140088654A KR 20140088654 A KR20140088654 A KR 20140088654A KR 1020130000424 A KR1020130000424 A KR 1020130000424A KR 20130000424 A KR20130000424 A KR 20130000424A KR 20140088654 A KR20140088654 A KR 20140088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uide
folding
fram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병태
Original Assignee
배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병태 filed Critical 배병태
Priority to KR1020130000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8654A/ko
Publication of KR20140088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55Wheeled arch-typ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overing the whole worksite, e.g. building,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8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against unfavourable weather infl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접이식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접이식 구조물은, 물건이나 자재보관 또는 실내 작업공간의 조성을 위해 펼쳐지고 크레인, 기중기 및 지게차 등의 운반 작업을 위해 접혀지도록 설치되는 접이식 구조물로서, 상기 접이식 구조물의 접힘과 펼침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덮개 프레임; 상기 덮개 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되어 접힘과 펼침 작동하도록 마련되는 접이 프레임; 상기 접이 프레임의 접힘과 펼침 작동 시 상기 덮개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덮개 프레임이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프레임이 마련되는 안내부; 및 상기 덮개 프레임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천막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레일은, 상기 접이식 구조물의 접힘과 펼침 시 상기 롤러에 일정한 직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측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마련되는 롤러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내레일에 롤러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롤러 안내부에 의해 접이식 구조물의 접힘과 펼침 시 안정적인 직진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구조물{GUIDING FOLDED STRUCTURE}
본 발명은 접이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이식 구조물의 접힘과 펼침 시 안정적인 직진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안내레일 상호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작동성 향상 및 소음을 방지하고 바람에 의한 접이식 구조물의 흔들림을 방지하며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접이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의 공터나 마당 등과 같은 야외에 물건을 적재하여 보관하거나 또는 야외에서 장기간에 걸쳐 작업을 하는 경우 비바람이나 햇빛 차단 등의 목적으로 접이식 구조물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이식 구조물은 대부분 파이프나 H빔 등과 같은 지지물을 이용하여 지면에 골격을 세우고 이후 햇빛이나 비바람 등을 차단하는 천막을 골격에 씌워 고정함으로써 설치된다. 한편 골격의 하측에는 접이식 구조물을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는 안내장치가 설치된다.
상기한 안내장치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의 상측에 레일부가 결합되는 레일과,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이송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접이식 구조물의 수직바가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를 갖는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지지플레이트의 하단부에는 레일의 양측면을 따라 회전하여 이동되는 안내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접이식 구조물은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이송롤러 및 안내롤러에 의해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전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접이식 구조물은 안내장치의 이동수단과 레일 상호 간의 결합유격에 의해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이송롤러가 유격범위 내에서 유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접이식 구조물의 접힘과 펼침 시 안정적인 직진성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접이식 구조물은 레일부와 이송롤러의 표면이 상호 면 접촉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이송롤러의 마찰력이 높아지게 되어, 접이식 구조물의 접힘과 펼침 과정에서 안내장치의 원활한 작동성을 제공할 수 없고 많은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종래의 접이식 구조물은 양측 방향에서 바람의 영향이 작용하는 경우, 심한 흔들림에 의해 안내롤러의 결합부위인 힌지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힌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힌지의 파손은 안내롤러의 분리를 의미하므로 접이식 구조물의 접힘과 펼침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없다.
이에 접이식 구조물의 접힘과 펼침 시 안정적인 직진성을 제공하고 마찰의 최소화를 통해 작동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소음을 방지하며 바람에 의한 접이식 구조물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접이식 구조물에 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1530호(등록일자: 2001년 10월 10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접이식 구조물의 접힘과 펼침 시 안정적인 직진성을 제공하고 롤러와 안내레일 상호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작동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소음을 방지하고 바람에 의한 접이식 구조물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접이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접이식 구조물의 설치 시 폭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접이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물건이나 자재보관 또는 실내 작업공간의 조성을 위해 펼쳐지고 크레인, 기중기 및 지게차 등의 운반 작업을 위해 접혀지도록 설치되는 접이식 구조물로서, 상기 접이식 구조물의 접힘과 펼침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덮개 프레임; 상기 덮개 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되어 접힘과 펼침 작동하도록 마련되는 접이 프레임; 상기 접이 프레임의 접힘과 펼침 작동 시 상기 덮개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덮개 프레임이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프레임이 마련되는 안내부; 및 상기 덮개 프레임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천막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레일은, 상기 접이식 구조물의 접힘과 펼침 시 상기 롤러에 일정한 직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측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마련되는 롤러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 안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중앙에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브이(V)자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 안내부는, 상기 롤러가 상기 안내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시 상기 안착홈과 점 접촉되도록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접이식 구조물이 바람의 영향을 받아 흔들리는 경우 상기 안내레일에 걸려 안정화될 수 있도록 양측 하단에 상기 안내레일 방향으로 상향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안내레일과 일정한 간극을 갖도록 마련되는 흔들림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 프레임은, 좌우 대칭되도록 분할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폭 조절되며 상기 안내부에 높낮이 조절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레일은, 지면에 대해 일측 방향으로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되, 상기 롤러 안내부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 안내부의 경사진 방향으로 안내될 때 상기 안내레일의 경사도와 상관없이 느린 속도로 천천히 이동될 수 있도록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내레일에 롤러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롤러 안내부를 갖는 접이식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접이식 구조물의 접힘과 펼침 시 안정적인 직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내레일과 롤러 상호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작동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구조물이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경우 안내레일의 양측에 걸림될 수 있도록 이동 프레임에 마련된 흔들림 방지부에 의하여, 접이식 구조물의 전체적인 흔들림 상태를 신속하게 안정화시켜 바람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덮개 프레임의 폭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이식 구조물의 설치 시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구조물의 안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이식 구조물의 안내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접이식 구조물의 안내부의 안내레일과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구조물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구조물의 안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이식 구조물의 안내부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접이식 구조물의 안내부의 안내레일과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구조물(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형상을 갖는 다수의 덮개 프레임(110A, 110B)과, 덮개 프레임(110A, 110B)의 사이에 접힘과 펼침 작동하도록 마련되는 접이 프레임(120)과, 덮개 프레임(110A, 110B)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안내부(130)와, 그리고 덮개 프레임(110A, 110B)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천막(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접이식 구조물(100)은 공장의 공터나 마당 등과 같은 야외에 물건이나 자재보관 또는 실내 작업공간의 조성을 위해 펼쳐지고, 크레인, 기중기 및 지게차 등의 운반 작업을 위해 펼침 상태가 접혀지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즉, 접이식 구조물(100)은 덮개 프레임(110A, 110B)이 안내부(130)를 따라 안내되는 과정에서 접이 프레임(120)의 접힘과 펼침 작동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구조를 갖는다.
다수의 덮개 프레임(110A, 110B)은 접이식 구조물(100)의 상부 프레임을 형성하며 곡면부(112)와 수직부(114)가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덮개 프레임(110A, 110B)은 다수가 접이 프레임(120) 및 안내부(130)에 의해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곡면부(112)는 터널 형상을 갖는 덮개 프레임(110A, 110B)의 상부를 형성하는 구성이며, 수직부(114)는 덮개 프레임(110A, 110B)의 하부를 형성하도록 곡면부(112)의 양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덮개 프레임(110A, 110B)은 좌우 대칭되도록 분할 형성되어 마련되되 한쪽 덮개 프레임(110A)의 곡면부(112)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제1 연결부(113)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제1 연결부(113)는 다른 쪽 덮개 프레임(110B)의 곡면부(112) 내로 삽입된다.
여기서 한쪽 덮개 프레임(112A)에 형성된 제1 연결부(113)의 표면에는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관통공(113A)이 형성되며, 다른 쪽 덮개 프레임(110B)의 곡면부(112)의 표면에는 체결공(11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공(112) 및 관통공(113A)에는 제1 체결부재(116)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때, 제1 체결부재(116)는 볼트와 너트로 마련된다.
즉, 제1 연결부(113)는 덮개 프레임(110A, 110B)을 좌우 방향으로 폭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제1 체결부재(116)는 폭 조절된 덮개 프레임(110A, 110B)을 체결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덮개 프레임(110A, 110B)은 좌우 대칭되도록 분할 형성된 상태에서 제1 연결부(113) 및 제1 체결부재(116)에 의해 자유롭게 폭 조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덮개 프레임(110A, 110B)은 수직부(114)의 하부에 일정길이를 갖는 제2 연결부(115)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제2 연결부(115)는 안내부(130)에 마련된 지지 프레임(135) 내로 삽입된다.
여기서 제2 연결부(115)의 표면에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관통공(115A)이 형성되며, 지지 프레임(135)의 표면에는 체결공(135A)이 형성된다. 체결공(135A) 및 관통공(115A)에는 제2 체결부재(118)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때, 제2 체결부재(118)는 볼트와 너트로 마련된다.
즉, 제2 연결부(115)는 덮개 프레임(110A, 110B)을 안내부(13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제2 체결부재(118)는 높낮이 조절된 덮개 프레임(110A, 110B)을 체결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덮개 프레임(110A, 110B)은 제2 연결부(115) 및 제2 체결부재(118)에 의해 안내부(130)에 대해 자유롭게 높낮이 조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접이 프레임(120)은 덮개 프레임(110A, 110B) 사이에 접힘과 펼침 작동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접이 프레임(120)은 덮개 프레임(110A, 110B)을 상호 연결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안내부(130)에 마련된 안내레일(132)을 따라 이동하는 덮개 프레임(110A, 110B)에 의해 접힘과 펼침 작동한다.
이러한 접이 프레임(120)은 본 발명의 출원 전에 널리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안내부(1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구조물(100)의 하부 프레임을 형성하여 덮개 프레임(110A, 110B)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안내레일(132)과, 그리고 덮개 프레임(110A, 110B)이 상측에 결합되며 안내레일(132)을 따라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이동 프레임(134)을 포함한다.
안내레일(132)은 이동 프레임(134)을 안내할 수 있도록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며, 상측에 마련되는 롤러 안내부(133)와 그리고 안내레일(132)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다수의 보강리브(132A)를 포함한다. 이때, 안내레일(132)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I-형강으로 형성된다.
롤러 안내부(133)는 안내레일(132)의 상측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롤러 안내부(133)는 안내레일(132)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되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안내레일(132)의 상측 표면에 일체로 마련된다.
이러한 롤러 안내부(133)에는 이동 프레임(134)에 마련된 롤러(136)가 안착된다. 이에 덮개 프레임(110A, 110B)의 접힘과 펼침 시 롤러 안내부(133)를 따라 이동되는 롤러(136)에 대해 안정적인 직진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롤러(136)는 덮개 프레임(110A, 110B)의 접힘과 펼침 시 롤러 안내부(133)에 안착되어 안내레일(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됨으로써 안내레일(132)과 이동 프레임(134) 상호 간에 발생하는 결합유격과 관계없이 롤러에 안정적인 직진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수의 보강리브(132A)는 안내레일(132)의 양측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보강리브(132A)는 안내레일(132)의 양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이에 덮개 프레임(110A, 110B)을 지지하는 이동 프레임(134)의 안내 시 안내레일(132)의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수의 이동 프레임(134)은 덮개 프레임(110A, 110B)의 접힘과 펼침을 위해 안내레일(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롤러 안내부(133)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롤러(136)와, 그리고 이동 프레임(134)의 양측 하단에 안내레일(132) 방향으로 상향 절곡되도록 마련되는 흔들림 방지부(138)를 포함한다. 즉, 이동 프레임(134)은 덮개 프레임(110A, 110B)의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안내레일(132) 상에 다수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동 프레임(134)은 상부에 덮개 프레임(110A, 110B)의 수직부(114)에 마련된 제2 연결부(115)가 삽입되며 제2 체결부재(118)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135A)을 갖는 지지 프레임(135)이 마련된다. 이에 덮개 프레임(110A, 110B)은 수직부(114)에 마련된 제2 연결부(115) 및 제2 체결부재(118)에 의해 안내부(130)에 대해 높낮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롤러(136)는 안내레일(132)에 마련된 롤러 안내부(133)에 안착되어 안내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롤러(136)는 이동 프레임(1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롤러(136)는 롤러 안내부(133)에 안착된 상태에서 덮개 프레임(110A, 110B)의 접힘과 펼침 시 이동 프레임(134)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롤러(136)에는 중앙에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브이(V)자 형상의 안착홈(137)이 형성되며, 안착홈(137)에는 롤러 안내부(133)가 수용되도록 안착된다.
이에 따라 롤러(136)에 마련된 브이(V)자 형상의 안착홈(137)과 원형 단면을 갖는 롤러 안내부(133)는 상호 점 접촉됨에 따라, 롤러(136)가 안내레일(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경우 롤러 안내부(133)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이 최소화됨으로써 덮개 프레임(110A, 110B)의 접힘과 펼침 시 마찰력을 최소화시키는 안내구조를 통해 작동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흔들림 방지부(138)는 이동 프레임(134)의 양측 하단에 일체로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흔들림 방지부(138)는 이동 프레임(134)의 양단 하측에 안내레일(132) 방향으로 상향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되 안내레일(132)과 일정한 간극(L)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흔들림 방지부(138)와 안내레일(132) 사이의 간극(L)은 대략 5mm로 유지된다. 이는 이동 프레임(134)이 덮개 프레임(110A, 110B)의 접힘과 펼침을 위해 안내레일(132)을 따라 이동되는 경우 흔들림 방지부(138)가 안내레일(132)의 표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천막으로 덮여진 덮개 프레임(110A, 110B)이 바람의 영향을 받아 흔들리는 경우 이동 프레임(134)이 안내레일(132)에 걸리도록 하여 접이식 구조물(100)의 전체적인 흔들림 상태를 신속하게 안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접이식 구조물(100)은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경우 안내레일(132)에 걸림되도록 이동 프레임(134)에 마련된 흔들림 방지부(138)에 의해 흔들림 상태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천막(140)은 덮개 프레임(110A, 110B)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천막(140)은 덮개 프레임(110A, 110B)에 결합되며 이에 덮개 프레임(110A, 110B)의 접힘과 펼침 작동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구조물의 안내부(130)에 마련된 안내레일(132)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해 일측 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각(θ)을 갖도록 설치된다. 이때, 롤러 안내부(133)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롤러(136)는 자석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롤러(136)는 롤러 안내부(133)의 경사진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안내될 때 안내레일(132)의 경사도와 상관없이 느린 속도로 천천히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롤러 안내부(133)가 비철금속인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롤러(136)가 자석으로 형성되는 경우 플레밍의 오른손법칙에 의하여, 자력은 Z축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고 운동의 방향은 X축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며 전류의 방향은 Y축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롤러(136)가 안내레일(132)의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의 세기에 따라, Z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자력의 변화는 없으나 X축과 Y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전류의 세기가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롤러(136)는 안내레일(132)의 경사진 방향으로 느린 속도를 유지하여 천천히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안내레일(132)의 일측 방향은 접이식 구조물의 접힘 방향 또는 펼침 방향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도 접이식 구조물(100)의 접힘과 펼침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안내레일(132)의 타측에는 접이식 구조물(100)을 와이어에 의해 당길 수 있는 모터가 마련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구조물(100)은, 안내레일(132)에 롤러(136)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롤러 안내부(133)에 의하여, 접이식 구조물(100)의 접힘과 펼침 시 안정적인 직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내레일(132)과 롤러(136) 상호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작동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접이식 구조물(100)이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경우 안내레일(132)의 양측에 걸림될 수 있도록 이동 프레임(134)에 마련된 흔들림 방지부(138)에 의하여, 접이식 구조물(100)의 전체적인 흔들림 상태를 신속하게 안정화시켜 바람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A, 110B: 덮개 프레임 112: 곡면부
114: 수직부 116: 제1 체결부재
118: 제2 체결부재 120: 접이 프레임
130: 안내부 132: 안내레일 133: 롤러 안내부 134: 이동 프레임
135: 지지 프레임 136: 롤러 137: 안착홈 138: 흔들림 방지부
140: 천막

Claims (5)

  1. 물건이나 자재보관 또는 실내 작업공간의 조성을 위해 펼쳐지고 크레인, 기중기 및 지게차 등의 운반 작업을 위해 접혀지도록 설치되는 접이식 구조물로서,
    상기 접이식 구조물의 접힘과 펼침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덮개 프레임;
    상기 덮개 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되어 접힘과 펼침 작동하도록 마련되는 접이 프레임;
    상기 접이 프레임의 접힘과 펼침 작동 시 상기 덮개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덮개 프레임이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프레임이 마련되는 안내부; 및
    상기 덮개 프레임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천막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레일은,
    상기 접이식 구조물의 접힘과 펼침 시 상기 롤러에 일정한 직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측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마련되는 롤러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 안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중앙에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브이(V)자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 안내부는,
    상기 롤러가 상기 안내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시 상기 안착홈과 점 접촉되도록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접이식 구조물이 바람의 영향을 받아 흔들리는 경우 상기 안내레일에 걸려 안정화될 수 있도록 양측 하단에 상기 안내레일 방향으로 상향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안내레일과 일정한 간극을 갖도록 마련되는 흔들림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프레임은,
    좌우 대칭되도록 분할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폭 조절되며 상기 안내부에 높낮이 조절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은, 지면에 대해 일측 방향으로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되,
    상기 롤러 안내부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 안내부의 경사진 방향으로 안내될 때 상기 안내레일의 경사도와 상관없이 느린 속도로 천천히 이동될 수 있도록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구조물.
KR1020130000424A 2013-01-03 2013-01-03 접이식 구조물 KR20140088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424A KR20140088654A (ko) 2013-01-03 2013-01-03 접이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424A KR20140088654A (ko) 2013-01-03 2013-01-03 접이식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654A true KR20140088654A (ko) 2014-07-11

Family

ID=51737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424A KR20140088654A (ko) 2013-01-03 2013-01-03 접이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86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8474A (zh) * 2020-07-02 2020-10-27 燕山大学 可拆卸多段折叠槽型导轨装置及其安装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8474A (zh) * 2020-07-02 2020-10-27 燕山大学 可拆卸多段折叠槽型导轨装置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7734B1 (en) A crane assembly
JP2007051426A (ja) 橋梁及び橋梁の構築方法
KR20140147217A (ko) 접이식 구조물
KR20140088654A (ko) 접이식 구조물
JPH1150666A (ja) シートの展張装置
KR89000106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JP4449061B2 (ja) 吊戸装置
JPH1016766A (ja) プラットホームスクリーンドア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2017101424A (ja) パネルゲートの転倒防止治具
JP4966159B2 (ja) テント倉庫
JP5291600B2 (ja) テント倉庫
KR200304653Y1 (ko) 중량 저감형 캔버스 도어장치
US20040079592A1 (en) Elevator shaft door
JP3413760B2 (ja) 乗客コンベアの据付装置
JPH09184296A (ja) シートによる仮設外郭構造
JP3960964B2 (ja) 建築用足場
JP3179239B2 (ja) 全天候型荷役設備のレインシールド装置
KR102515456B1 (ko) 고소작업용 장치
JP5470316B2 (ja) 仮設パネルゲート
JPH06101367A (ja) 簡易テントの支持構造
JP6723411B2 (ja) 建築用重量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マグサおよびマグサの取付け方法
JP7011258B2 (ja) 朝顔装置
JP2000129789A (ja) 折畳み構造物の伸張折畳み案内装置
JPS639747Y2 (ko)
JP6523773B2 (ja) 建築用重量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軸受プレートの取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