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019A - 전지 모듈 및 배선 모듈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및 배선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019A
KR20140087019A KR1020147013863A KR20147013863A KR20140087019A KR 20140087019 A KR20140087019 A KR 20140087019A KR 1020147013863 A KR1020147013863 A KR 1020147013863A KR 20147013863 A KR20147013863 A KR 20147013863A KR 20140087019 A KR20140087019 A KR 20140087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or
holding portions
wiring module
terminals
electrode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3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야 오카모토
히로오미 히라미츠
히로키 히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Publication of KR20140087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정극 및 부극의 전극 단자(12A, 12B)를 갖는 복수의 단전지(11)를 포함하는 단전지군(13)과, 인접하는 전극 단자(12A, 12B)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15)와, 단전지군(13)에 조립되는 배선 모듈(20)을 구비하고, 배선 모듈(20)은, 단전지(11)의 상태를 검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복수의 전선(W)의 단말부에 접속된 복수의 전압 검지 단자(21)와, 각 검지 단자를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부(29)와, 인접하는 복수의 유지부(29) 사이에 설치되며 유지부(29)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수단(4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지 모듈 및 배선 모듈{BATTERY MODULE AND WIRING MODULE}
본 발명은 전지 모듈 및 배선 모듈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차용의 전지 모듈은, 정극(正極) 및 부극(負極)의 전극 단자를 갖는 단전지가 복수개 나란히 배열되어 있고, 인접하는 단전지의 전극 단자 사이가 버스바(접속 부재)로 접속됨으로써 복수의 단전지가 직렬이나 병렬로 접속된다.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합성 수지제의 복수의 단위 유닛에, 전극 단자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 및 이 접속 부재에 겹쳐지는 전압 검지 단자가 수용되어 있고, 인접하는 단위 유닛을 연결함으로써 전지 접속 어셈블리(배선 모듈)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지 접속 어셈블리(배선 모듈)의 전압 검지 단자에 접속된 전선은, 홈부를 통과하여 전지 ECU에 연장되어 있고, 전지 ECU에서 단전지의 전압이 검지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75928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전압 검지 단자가 접속 부재에서의 전극 단자 사이를 잇는 영역에 겹쳐 있지만, 전압 검지 단자를 전극 단자 사이를 잇는 영역과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단전지에 있어서 접속 부재로 접속되는 전극 단자와는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 전압 검지용 전극에 접속하기 위한 전압 검지 단자인 경우나, 전압 검지 단자에 이어지는 전선의 라우팅 경로를 간소화하기 위해 전압 검지 단자의 위치를 바꾸는 경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 부재에서의 전극 단자 사이를 잇는 영역 밖에 배치된 전압 검지 단자가 배선 모듈 내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접속 부재의 스페이스에 더하여, 배선 모듈 내에 전압 검지 단자만을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배선 모듈의 소형화의 장애가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배선 모듈을 소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 정극 및 부극의 전극 단자를 갖는 복수의 단전지를 포함하는 단전지군과, 인접하는 상기 전극 단자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와, 상기 단전지군에 조립되는 배선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배선 모듈은, 단전지의 상태를 검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복수의 전선의 단말부에 접속된 복수의 검지 단자와, 상기 각 검지 단자를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부와, 인접하는 상기 복수의 유지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유지부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점에 특징을 갖는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접속 부재가 배선 모듈과는 별도로 구성되기 때문에, 배선 모듈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접하는 단전지 사이의 치수 공차에 대해서는, 인접하는 유지부 사이에 간격 조정 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 인접하는 단전지 사이의 치수 공차에 의한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의 실시양태로서 이하의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ㆍ상기 접속 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전극 단자 사이를 접속하는 전극간 접속부와, 상기 검지 단자에 겹쳐서 상기 검지 단자와 접속되는 검지 접속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접속 부재를 배선 모듈과는 별도로 구성했다 하더라도, 간소한 구성으로 검지 단자에 의해 전극 단자 사이의 상태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ㆍ상기 간격 조정 수단은, 상기 유지부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유지부의 배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 가요부(flexible portion)이다.
이와 같이 하면, 간소한 구성으로 단전지 사이의 치수 공차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ㆍ상기 가요부는, 상기 배선 모듈의 상기 단전지군에 대한 조립 방향으로 두꺼운 형상이다.
이와 같이 하면 배선 모듈에서의 조립 방향의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ㆍ상기 단전지군은, 상기 전극 단자가 2열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선 모듈은, 상기 복수의 유지부 및 상기 간격 조정 수단을 갖는 수지 프로텍터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프로텍터는, 상기 전극 단자의 각 열에 각각 조립되는 제1 프로텍터와 제2 프로텍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로텍터 및 상기 제2 프로텍터는, 모두 상기 검지 단자에 접속된 전선이 배치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프로텍터 및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상기 홈부는, 서로 교대로 이어져 일렬의 전선 수용홈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1열의 전선 수용홈에 전선을 라우팅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선을 라우팅하는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선 모듈은, 정극 및 부극의 전극 단자를 갖는 복수의 단전지를 포함하는 단전지군의 인접하는 전극 단자 사이가 접속 부재에 의해 접속된 상기 단전지군에 조립 가능한 배선 모듈로서, 단전지의 상태를 검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복수의 전선의 단말부에 접속된 복수의 검지 단자와, 상기 각 검지 단자를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부와, 인접하는 상기 복수의 유지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유지부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접속 부재가 배선 모듈과는 별도로 구성되기 때문에, 배선 모듈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접하는 단전지 사이의 치수 공차에 대해서는, 인접하는 유지부 사이에 간격 조정 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 인접하는 단전지 사이의 치수 공차에 의한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의 실시양태로서 이하의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ㆍ상기 접속 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전극 단자 사이를 접속하는 전극간 접속부와, 상기 검지 단자에 겹쳐서 상기 검지 단자와 접속되는 검지 접속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접속 부재를 배선 모듈과는 별도로 구성했다 하더라도, 간소한 구성으로 검지 단자에 의해 전극 단자 사이의 상태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ㆍ상기 간격 조정 수단은, 상기 유지부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유지부의 배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 가요부이다.
이와 같이 하면, 간소한 구성으로 단전지 사이의 치수 공차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ㆍ상기 가요부는, 상기 배선 모듈의 상기 단전지군에 대한 조립 방향으로 두꺼운 형상이다.
이와 같이 하면 배선 모듈에서의 조립 방향의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ㆍ상기 단전지군은, 상기 전극 단자가 2열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선 모듈은, 상기 복수의 유지부 및 상기 간격 조정 수단을 갖는 수지 프로텍터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프로텍터는, 상기 전극 단자의 각 열에 각각 조립되는 제1 프로텍터와 제2 프로텍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로텍터 및 상기 제2 프로텍터는, 모두 상기 검지 단자에 접속된 전선이 배치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프로텍터 및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상기 홈부는, 서로 교대로 이어져 일렬의 전선 수용홈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1열의 전선 수용홈에 전선을 라우팅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선을 라우팅하는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선 모듈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접속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배선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전압 검지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수지 프로텍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수지 프로텍터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9는 수지 프로텍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수지 프로텍터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11은 단전지군에 접속 부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실시형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전지 모듈(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단전지(11)를 나열하여 구성된 단전지군(13)에 배선 모듈(20)을 부착하여 구성되는 것이며, 이 전지 모듈(10)은, 예컨대,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구동원으로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상하 방향에 관해서는 도 3을 기준으로 하고, 전후 방향에 관해서는 도 2의 하측을 전방, 상측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전지 모듈)
전지 모듈(1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개의 단전지(11)를 포함하는 단전지군(13)과, 인접하는 전극 단자(12A, 12B)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15)와, 단전지군(13)의 상면에 조립되는 배선 모듈(2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단전지(11)는,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발전 요소가 수용된 직방체형의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한쌍의 전극 단자(12A, 12B)를 갖는다.
전극 단자(12A, 12B)(정극을 12A, 부극을 12B로서 도시)는, 볼트이며, 본체부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설치되어 있고, 외주에 나사홈을 갖는다.
각 단전지(11)의 극성(정부)의 방향은, 서로 인접하는 단전지(11)가 역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서로 이극(異極)의 전극 단자(12A, 12B)가 인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단전지(11)는 도시하지 않은 유지판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전지군(13)은 전극 단자(12A, 12B)가 전후 2열로 나열되어 있고, 접속 부재(15)를 조립함으로써 복수의 단전지(11)가 직렬로 접속된다.
(접속 부재)
접속 부재(15)는,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등의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T자형으로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접하는 전극 단자(12A, 12B) 사이를 접속하는 전극간 접속부(16)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압 검지 단자(21)와 접속되는 검지 접속부(18)를 갖는다.
전극간 접속부(16)에는 좌우 한쌍의 관통 구멍(17, 17)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7, 17)은 약간 좌우 방향으로 긴 타원형을 이룬다.
검지 접속부(18)는, 좌우 방향(전극간 접속부(16)의 연장 방향)의 중간부로부터 전후 방향(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폭치수가 전극간 접속부(16)의 폭치수보다 직경이 작다.
검지 접속부(18)의 선단부에는, 원형의 단자 고정 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 고정 구멍(19)은, 접속 부재(15)와 전압 검지 단자(21) 사이를 고정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 고정 부재에 의한 고정은, 예컨대, 단자 고정 구멍(19)의 부분에 버링(burring) 가공을 하여 그 내면에 나사홈을 형성하거나, 너트의 나사 구멍이 단자 고정 구멍(19)에 이어지도록 너트를 검지 접속부(18)의 이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단자 고정 구멍(19)의 내면으로 이어지는 나사홈을 형성하여, 볼트 등의 고정 부재로 체결하도록 하면 된다.
(배선 모듈)
배선 모듈(2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선(W)의 단말부에 접속되어 단전지(11)의 전압을 검지하는 복수의 전압 검지 단자(21)(본 발명의 구성인 「검지 단자」의 일례)와, 복수의 전압 검지 단자(21)가 수용되는 합성 수지제의 수지 프로텍터(2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압 검지 단자)
전압 검지 단자(2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전지(11)의 전압을 검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고, 판형부(22)와, 전선(W)의 단말에 접속되는 전선 접속부(25)를 구비한다.
판형부(22)는, 직사각형이며, 중심부에 원형의 접속 부재 고정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 부재 고정 구멍(23)은, 접속 부재(15)의 검지 접속부(18)에 형성된 단자 고정 구멍(19)에 이어지도록 되어 있고, 접속 부재 고정 구멍(23) 및 단자 고정 구멍(19)에 고정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과시켜 전압 검지 단자(21)와 접속 부재(15) 사이의 전기적 접속 및 상대적 위치의 고정을 행한다.
판형부(22) 선단측의 한쪽 모서리부에는, 직사각형의 결합편(24)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전선 접속부(25)는, 전선(W)의 도체부가 접속되는 와이어 배럴부(26)와, 전선(W) 피복(절연층)의 위로부터 유지하는 인슐레이션 배럴부(27)를 구비한다.
전선(W)은, 피복 전선이며, 단말부에서 절연 피복(절연층)을 박리하여 노출시킨 도체가 전압 검지 단자(21)에 접속되어 있다.
전선(W)은, 후술하는 전선 수용홈(43)에 모여 전지 ECU(도시하지 않음)로 유도된다. 이 전지 ECU는, 마이크로 컴퓨터, 소자 등이 탑재된 것이며, 단전지(11)의 전압ㆍ전류ㆍ온도 등의 검지, 각 단전지(11)의 충방전 컨트롤 등을 행하기 위한 기능을 갖춘 주지의 구성이다.
(수지 프로텍터)
수지 프로텍터(28)는, 합성 수지제이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1 프로텍터(28A)와, 후방측에 배치되며 제1 프로텍터(28A)와는 별체로 형성된 제2 프로텍터(28B)를 가지며, 모두 각 전압 검지 단자(21)를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부(29)와, 각 전압 검지 단자(21)에 접속된 전선(W)이 통과하는 홈부(34)와, 좌우에 인접하는 유지부(29) 사이를 접속하며, 인접하는 유지부(29)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간격 조정 수단(40)을 구비한다.
유지부(29)는, 전압 검지 단자(21)가 배치되는 직사각형의 바닥판(30)과, 바닥판(30)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세워져 있는 구획벽(32)을 구비하고 있다.
바닥판(30)에는, 직사각형의 개구부(31)가 바닥판(30)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31)를 전압 검지 단자(21)와 접속 부재(15)를 접속하는 고정 부재가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구획벽(32)은, 공구 등이 전압 검지 단자(21)에 접촉하여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구 등의 접촉이 방지되는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며, 전압 검지 단자(21)를 포위하도록 세워져 있다.
구획벽(32)은, 판형부(22)의 전후로부터 끼워 넣음으로써 판형부(22)를 유지부(29)에 유지하고 있다. 판형부(22)와 좌우의 구획벽(32) 사이에는, 바닥판(30)의 위에 판형부(22)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또, 구획벽(32)의 내면에, 예컨대 구획벽(32)을 절결하여 내측으로 손톱형으로 돌출된 가요편을 설치하고, 이 가요편의 손톱 아래에 판형부(22)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배치함으로써, 전압 검지 단자(21)의 유지부(29)로부터의 이탈을 규제하도록 해도 좋다.
구획벽(32) 중 홈부(34)와는 반대측에는, 전압 검지 단자의 결합편(24)이 삽입 관통되는 결합편 삽입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편 삽입 관통 구멍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형이며, 결합편의 선단부가 결합편 삽입 관통 구멍으로부터 약간 돌출된다. 또, 바닥판(30)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편 삽입 관통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관통 구멍(33A)이 결합편 삽입 관통 구멍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획벽(32)에서의 결합편 삽입 관통 구멍의 외측의 면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편 삽입 관통 구멍을 덮는 보조벽(33B)이 설치되어 있다.
홈부(34)는, 유지부(29) 중 접속 부재(15)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통과홈(35)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통과홈(35)은, 그 홈 내에 전압 검지 단자(21)의 전선 접속부(25)가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홈부(34)는, 통과홈(35)의 홈바닥에 이어지는 홈바닥과, 이 홈바닥의 전후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세워져 있는 홈벽을 가지며, 홈벽에서의 통과홈(35)에 이어지는 부분은, 홈벽이 분단되어 전압 검지 단자(21)의 단말에 이어지는 전선(W)을 통과홈(35)으로부터 홈부(34) 내로 유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 프로텍터(28A) 및 제2 프로텍터(28B)에서의 각 유지부(29)에 대응하여 형성된 홈부(34)는, 홈부(34)의 연장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제1 프로텍터(28A)와 제2 프로텍터(28B)에 관해 서로 간격을 둔 부분에 다른 쪽 홈부(34)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제1 프로텍터(28A)와 제2 프로텍터(28B)의 각 홈부(34)가 좌우로 일렬로 이어져 전선 수용홈(43)을 구성하고 있다.
간격 조정 수단(40)은, 인접하는 유지부(29) 사이를 연결하고, 단전지군(13)에 대한 조립시의 치수 공차에 대하여 인접하는 유지부(29) 사이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조립시의 치수 공차를 흡수하는 것이며, 구획벽(32)의 모서리부로부터 좌우 방향(유지부(29)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가요부(41)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우에 인접하는 가요부(41) 사이를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부(42)를 구비한다.
한쌍의 가요부(41)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가요부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대략 55도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한쌍의 가요부(41)는, 상하 방향(배선 모듈의 단전지군에 대한 조립 방향)의 치수가, 구획벽(32)의 높이 치수와 거의 같은 두꺼운 두께의 치수이다. 또한, 두께 치수(도 7에 표시되어 있는 가요부의 두께)는, 구획벽(32)의 두께 치수와 거의 같은 얇은 두께의 치수로 되어 있다.
또, 가요부(41)의 좌우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상하 방향의 치수 및 두께 치수는, 상기 값에 한정되지 않고, 단전지군(13)에 대한 부착시의 치수 공차를 흡수할 수 있을 정도의 값으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연결부(42)는, 가요부(41)와 동일한 높이 및 두께 치수로 가요부(41)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배선 모듈(20)의 조립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1 프로텍터(28A) 및 제2 프로텍터(28B)를 서로의 홈부(34)가 전선 수용홈(43)으로서 이어지도록 배치하여 수지 프로텍터(28)를 형성한다(도 7). 또한, 복수의 전선(W)의 단말에 접속된 복수의 전압 검지 단자(21)를 각 유지부(29)에 유지시키고, 전선(W)을 통과홈(35)으로부터 전선 수용홈(43)에 통과시킨다.
이에 따라, 배선 모듈(20)이 형성된다(도 5).
다음으로 복수의 접속 부재(15)의 각 관통 구멍(17, 17)을 단전지군(13)의 인접하는 전극 단자(12A, 12B)에 삽입 관통시켜, 접속 부재(15)를 단전지군(13)에 조립한다(도 11).
접속 부재(15)의 단자 고정 구멍(19) 및 전압 검지 단자(21)의 접속 부재 고정 구멍(23)이 연통하도록 단전지군(13)의 위에 배선 모듈(20)을 장착한다(도 2). 이 때 전극 단자(12A, 12B) 사이의 치수 공차에 따라 전압 검지 단자(21)의 접속 부재 고정 구멍(23)의 위치가 접속 부재(15)의 단자 고정 구멍(19)의 위치에 대하여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배선 모듈(20)의 간격 조정 수단(40)의 한쌍의 가요부(41)를 가요시키는(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전극 단자(12A, 12B) 사이의 치수 공차를 흡수시켜, 접속 부재 고정 구멍(23)과 단자 고정 구멍(19)의 위치를 맞춘다(연통시킨다).
그리고, 접속 부재 고정 구멍(23) 및 단자 고정 구멍(19)에 고정 부재를 통과시켜 접속 부재(15)와 전압 검지 단자(21) 사이를 나사를 조여 고정한다. 또, 이것과는 달리, 접속 부재(15)와 전압 검지 단자(21) 사이를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한 후에, 단전지군(13)에 조립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전극 단자(12A, 12B)를 너트로 체결하여 각 접속 부재(15)를 단전지군(13)에 고정한다. 이에 따라, 단전지군(13)에 배선 모듈(20)이 조립된 전지 모듈(10)이 형성된다. 이 때, 접속 부재(15)가 단전지군(13)에 고정됨으로써, 접속 부재(15)에 고정된 전압 검지 단자(21)의 위치가 고정되고(단전지군(13)에 대하여), 전압 검지 단자(21)를 유지하는 수지 프로텍터(28)에 관해서도 전압 검지 단자(21)가 고정됨으로써(단전지군(13)에 대하여) 상대적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이하의 작용ㆍ효과를 나타낸다.
(1) 전지 모듈(10)은, 정극 및 부극의 전극 단자(12A, 12B)를 갖는 복수의 단전지(11)를 포함하는 단전지군(13)과, 인접하는 전극 단자(12A, 12B)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15)와, 단전지군(13)에 조립되는 배선 모듈(20)을 구비하고, 배선 모듈(20)은, 단전지(11)의 상태를 검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복수의 전선(W)의 단말부에 접속된 복수의 전압 검지 단자(21)(검지 단자)와, 각 전압 검지 단자(21)를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부(29)와, 인접하는 복수의 유지부(29) 사이에 설치되며 유지부(29)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수단(40)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속 부재(15)가 배선 모듈(20)과는 별도로 구성되기 때문에, 배선 모듈(20)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접하는 단전지(11) 사이의 치수 공차에 대해서는, 인접하는 유지부(29) 사이에 간격 조정 수단(40)을 설치했기 때문에, 인접하는 단전지(11) 사이의 치수 공차에 의한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접속 부재(15)는, 인접하는 전극 단자(12A, 12B) 사이를 접속하는 전극간 접속부(16)와, 전압 검지 단자(21)(검지 단자)에 겹쳐서 전압 검지 단자(21)와 접속되는 검지 접속부(18)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접속 부재(15)를 배선 모듈(20)과는 별도로 구성했다 하더라도, 간소한 구성으로 전압 검지 단자(21)에 의해 전극 단자(12A, 12B) 사이의 전압(상태)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간격 조정 수단(40)은, 전압 검지 단자(21)(검지 단자)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전압 검지 단자(21)의 배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 가요부(41)이다.
이와 같이 하면, 간소한 구성으로 단전지(11) 사이의 치수 공차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가요부(41)는, 배선 모듈(20)의 단전지군(13)에 대한 조립 방향으로 두꺼운 형상이다.
이와 같이 하면 배선 모듈(20)에서의 조립 방향의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5) 단전지군(13)은, 전극 단자(12A, 12B)가 2열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배선 모듈(20)은, 복수의 유지부(29) 및 간격 조정 수단(40)을 갖는 수지 프로텍터(28)를 구비하고, 수지 프로텍터(28)는, 전극 단자(12A, 12B)의 각 열에 각각 조립되는 제1 프로텍터(28A)와 제2 프로텍터(28B)를 구비하고, 제1 프로텍터(28A) 및 제2 프로텍터(28B)는, 모두 전압 검지 단자(21)(검지 단자)에 접속된 전선이 배치되는 홈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제1 프로텍터 및 제2 프로텍터의 홈부(34)는, 서로 교대로 이어져 일렬의 전선 수용홈(43)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1열의 전선 수용홈(43)에 전선(W)을 라우팅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선(W)을 라우팅하는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프로텍터(28)는 플레이트형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수지 프로텍터를 복수의 별체의(동일 형상의) 연결 유닛을 좌우에 연결하여 구성한 것에 본 발명의 구성을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검지 단자가 유지되는 각 연결 유닛에 피결합부와, 인접하는 연결 유닛의 피결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설치하고, 결합부와 피결합부로 연결 유닛 사이를 접속하고 연결 유닛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수단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간격 조정 수단(40)으로서 한쌍의 가요부(41)를 설치했지만, 간격 조정 수단으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유지부(29)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예컨대 한쌍의 가요부(41) 중의 한쪽 가요부에 의해서만 간격 조정 수단을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3) 전지 모듈(10)을 구성하는 단전지(11)의 수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갯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유지부(29)나 간격 조정 수단(40)의 수에 관해서도 단전지(11)의 수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극 단자(12A, 12B)에 접속 부재(15)를 삽입 관통시켜 너트로 체결하는 구성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단전지(11)가 너트형의 전극 단자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 볼트를 너트형의 전극 단자에 체결하도록 해도 좋다.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29)에는 단전지(11)의 전압을 검지하는 전압 검지 단자(21)가 유지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전압을 검지하는 전압 검지 단자(21)에 한정되지 않고, 단전지(11)의 상태(예컨대 전류나 온도 등)를 검지하는 검지 단자가 유지부(29)에 유지되도록 해도 좋다.
(6) 접속 부재(15)에 관해서는, 배선 모듈(20)(수지 프로텍터(28))과는 별체로 구획벽을 갖는 수용 부재에 수용하여 접속 부재(15)를 외부와 절연하도록 해도 좋다.
(7)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속 부재(15)는, 이극의 전극 단자(12A, 12B)를 접속(직렬 접속)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동극의 전극 단자(12A(12B))를 접속(병렬 접속)하는 것이어도 좋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의 전지 모듈(10)에 또 다른 단전지(11)를 병렬 접속하고, 이 병렬 접속에서의 동극의 전극 단자(12A(12B))를 복수의 접속 부재(15)로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8)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압 검지 단자(21)는 접속 부재(15)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단전지에 접속 부재에 접속되는 전극 단자와는 별도로 전압 검지용 전극을 설치하고, 배선 모듈의 전압 검지 단자(21)를, 접속 부재(15)에 접속하지 않고 단전지의 전압 검지용 전극에 접속하여, 단전지의 전압(상태)을 검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10 : 전지 모듈 11 : 단전지
12A, 12B : 전극 단자 13 : 단전지군
15 : 접속 부재 16 : 전극간 접속부
18 : 검지 접속부 19 : 단자 고정 구멍
20 : 배선 모듈 21 : 전압 검지 단자(검지 단자)
22 : 판형부 23 : 접속 부재 고정 구멍
28 : 수지 프로텍터 28A : 제1 프로텍터
28B : 제2 프로텍터 29 : 유지부
30 : 바닥판 32 : 구획벽
34 : 홈부 40 : 간격 조정 수단
41 : 가요부 42 : 연결부
43 : 전선 수용홈 W : 전선

Claims (10)

  1. 정극(正極) 및 부극(負極)의 전극 단자를 갖는 복수의 단전지를 포함하는 단전지군과,
    인접하는 상기 전극 단자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와,
    상기 단전지군에 조립되는 배선 모듈
    을 구비하고,
    상기 배선 모듈은,
    단전지의 상태를 검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복수의 전선의 단말부에 접속된 복수의 검지 단자와,
    상기 각 검지 단자를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부와,
    인접하는 상기 복수의 유지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유지부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수단
    을 구비하는 전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전극 단자 사이를 접속하는 전극간 접속부와, 상기 검지 단자에 겹쳐서 상기 검지 단자와 접속되는 검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인 전지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정 수단은, 상기 유지부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유지부의 배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 가요부(flexible portion)인 것인 전지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부는, 상기 배선 모듈의 상기 단전지군에 대한 조립 방향으로 두꺼운 형상인 것인 전지 모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전지군은, 상기 전극 단자가 2열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선 모듈은, 상기 복수의 유지부 및 상기 간격 조정 수단을 갖는 수지 프로텍터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프로텍터는, 상기 전극 단자의 각 열에 각각 조립되는 제1 프로텍터와 제2 프로텍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로텍터 및 상기 제2 프로텍터는, 모두 상기 검지 단자에 접속된 전선이 배치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프로텍터 및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상기 홈부는, 서로 교대로 이어져 일렬의 전선 수용홈을 구성하고 있는 것인 전지 모듈.
  6. 정극 및 부극의 전극 단자를 갖는 복수의 단전지를 포함하는 단전지군의 인접하는 전극 단자 사이가 접속 부재에 의해 접속된 상기 단전지군에 조립 가능한 배선 모듈로서,
    단전지의 상태를 검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복수의 전선의 단말부에 접속된 복수의 검지 단자와,
    상기 각 검지 단자를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부와,
    인접하는 상기 복수의 유지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유지부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수단
    을 구비하는 배선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전극 단자 사이를 접속하는 전극간 접속부와, 상기 검지 단자에 겹쳐서 상기 검지 단자와 접속되는 검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인 배선 모듈.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정 수단은, 상기 유지부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유지부의 배열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 가요부인 것인 배선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부는, 상기 배선 모듈의 상기 단전지군에 대한 조립 방향으로 두꺼운 형상인 것인 배선 모듈.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전지군은, 상기 전극 단자가 2열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선 모듈은, 상기 복수의 유지부 및 상기 간격 조정 수단을 갖는 수지 프로텍터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프로텍터는, 상기 전극 단자의 각 열에 각각 조립되는 제1 프로텍터와 제2 프로텍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로텍터 및 상기 제2 프로텍터는, 모두 상기 검지 단자에 접속된 전선이 배치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프로텍터 및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상기 홈부는, 서로 교대로 이어져 일렬의 전선 수용홈을 구성하고 있는 것인 배선 모듈.
KR1020147013863A 2011-10-25 2012-10-11 전지 모듈 및 배선 모듈 KR201400870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33811A JP5838721B2 (ja) 2011-10-25 2011-10-25 電池モジュール及び配線モジュール
JPJP-P-2011-233811 2011-10-25
PCT/JP2012/076294 WO2013061787A1 (ja) 2011-10-25 2012-10-11 電池モジュール及び配線モジュ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019A true KR20140087019A (ko) 2014-07-08

Family

ID=4816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863A KR20140087019A (ko) 2011-10-25 2012-10-11 전지 모듈 및 배선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64661B2 (ko)
EP (1) EP2772961B1 (ko)
JP (1) JP5838721B2 (ko)
KR (1) KR20140087019A (ko)
CN (1) CN103891007B (ko)
WO (1) WO20130617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59509B2 (en) * 2011-10-13 2017-01-31 Keihin Corporatio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JP5741948B2 (ja) * 2011-11-11 2015-07-0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池配線モジュール
JP5910487B2 (ja) * 2012-12-25 2016-04-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用モジュール
JP6011876B2 (ja) * 2013-09-13 2016-10-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JP6238161B2 (ja) * 2013-10-23 2017-11-29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池集合体と導電路付き端子との接続構造
JP6085589B2 (ja) * 2014-12-15 2017-02-2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池配線モジュール
JP2016119188A (ja) * 2014-12-19 2016-06-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柔軟連結端子及び蓄電モジュール
JP6590212B2 (ja) * 2015-07-17 2019-10-1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及び蓄電モジュール
JP6634853B2 (ja) * 2016-02-01 2020-01-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温度検知モジュール
JP6658052B2 (ja) * 2016-02-16 2020-03-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ハーネスユニット、及び、電池モジュール
JP6565751B2 (ja) * 2016-03-15 2019-08-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モジュール
KR101829347B1 (ko) * 2016-04-26 2018-02-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 조립체
JP6699464B2 (ja) * 2016-09-05 2020-05-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接続モジュール
CN106384898A (zh) * 2016-11-07 2017-02-08 惠州市亿能电子有限公司 一种电压采集端子组件
JP6870313B2 (ja) * 2016-12-19 2021-05-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カバーユニット、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6741215B2 (ja) * 2017-01-20 2020-08-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接続モジュール
KR101959913B1 (ko) * 2018-06-12 2019-03-19 주식회사 경신 배터리팩 장착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1959912B1 (ko) * 2018-06-12 2019-03-19 주식회사 경신 배터리팩 장착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1959911B1 (ko) * 2018-06-12 2019-03-19 주식회사 경신 배터리팩 장착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JP7077833B2 (ja) * 2018-07-13 2022-05-31 株式会社デンソー 監視装置
JP7028106B2 (ja) * 2018-08-29 2022-03-02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池配線モジュール
US11289775B2 (en) * 2018-08-29 2022-03-29 Sumitomo Wiring Systems, Ltd. Battery wiring module including elastic joiners
JP7140005B2 (ja) * 2019-03-07 2022-09-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池配線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アッセンブリ
KR20210006771A (ko) * 2019-07-09 2021-01-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용 전기적 연결장치
JP7207238B2 (ja) * 2019-08-29 2023-01-18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池配線モジュール
CN117013167A (zh) * 2021-09-24 2023-11-07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电池组及用电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21470C (zh) * 2000-03-14 2007-06-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二次电池及其引线接合方法和采用该二次电池的电池电源装置
JP4080132B2 (ja) * 2000-03-15 2008-04-23 新神戸電機株式会社 組電池
JP2006324348A (ja) * 2005-05-17 2006-11-30 Honda Motor Co Ltd 接続部材と蓄電装置
JP2009059663A (ja) * 2007-09-03 2009-03-19 Honda Motor Co Ltd 蓄電池ユニット
JP2009266614A (ja) * 2008-04-25 2009-11-12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
JP5308841B2 (ja) * 2009-01-23 2013-10-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バスバモジュールの組み立て方法
JP5506307B2 (ja) 2009-09-24 2014-05-2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配索装置
JP5521639B2 (ja) 2010-02-25 2014-06-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池接続ア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91007A (zh) 2014-06-25
US20140295225A1 (en) 2014-10-02
US9564661B2 (en) 2017-02-07
JP5838721B2 (ja) 2016-01-06
EP2772961A4 (en) 2015-03-11
EP2772961B1 (en) 2016-08-03
EP2772961A1 (en) 2014-09-03
JP2013093163A (ja) 2013-05-16
CN103891007B (zh) 2016-11-09
WO2013061787A1 (ja)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7019A (ko) 전지 모듈 및 배선 모듈
WO2013069756A1 (ja) 配線モジュール
US9184432B2 (en) Cell wiring module
JP2016090286A (ja) 温度検出体の取付構造
JP6780288B2 (ja) 接続モジュール
US10734628B2 (en) Terminal and wiring module
CN109075279B (zh) 蓄电装置
US20180212224A1 (en) Wiring module
JP5382149B2 (ja) 配線モジュール
WO2015163113A1 (ja) 配線モジュール
JP2020205186A (ja) 電線保持構造及びバスバーモジュール
US11532856B2 (en) Electric wire holding structure and bus bar module
US20180366858A1 (en) Conductor module attachment structure
JP6988687B2 (ja) 配線モジュール
US11424515B2 (en) Bus bar module
US10923292B2 (en) Wiring module
JP5757180B2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のカバー、電池配線モジュール及び電池モジュール
EP3754746B1 (en) Bus bar module
JP2021125430A (ja) バッテリ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82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212

Effective date: 201703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