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072A - 개선된 흡수성 지혈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흡수성 지혈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072A
KR20140086072A KR1020120156122A KR20120156122A KR20140086072A KR 20140086072 A KR20140086072 A KR 20140086072A KR 1020120156122 A KR1020120156122 A KR 1020120156122A KR 20120156122 A KR20120156122 A KR 20120156122A KR 20140086072 A KR20140086072 A KR 20140086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ostatic
fabric
biodegradable polymer
hemostatic ag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4625B1 (ko
Inventor
김현균
윤혜성
여규동
김준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Priority to KR1020120156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625B1/ko
Publication of KR20140086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흡수성 지혈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혈효과 강화성분, 생분해성 고분자 및 흡수성 직물 또는 편물인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 (Oxidized Regenerated Cellulose, ORC)를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ORC 단독재료 대비 현저히 개선된 지혈 효과 및 상처치유 효과를 나타내는 흡수성 지혈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흡수성 지혈제 및 그 제조방법{Improved absorbable hemostatic materia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개선된 흡수성 지혈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혈효과 강화성분, 생분해성 고분자 및 흡수성 직물 또는 편물인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 (Oxidized Regenerated Cellulose, ORC)를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ORC 단독재료 대비 현저히 개선된 지혈 효과 및 상처치유 효과를 나타내는 흡수성 지혈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직물 또는 편물인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Oxidized Regenerated Cellulose, ORC)를 사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ORC계 지혈제는 생체 내의 혈액 응고 캐스캐이드(Coagulation cascade)에 참여하지 않고, 출혈부위의 혈액과 접촉하게 되면 팽윤(swelling)되어 일종의 ‘Cork 마개’역할을 하여 출혈부위를 뒤덮고, 응혈(Clot formation)에 스캐폴드(scaffold)를 제공하며, 혈관주위의 조직을 수축시켜서 지혈작용을 하게 된다(A New Surgical Absorbable Hemostatic Agent; American Journal of Surgery, Volume 100, 439-446, September 1960).
그러나,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는 지혈작용시 산성(acidic)의 특성을 띠게 되어, 혈액 응고 캐스캐이드에 관여하는 트롬빈과 피브리노겐 등의 활성을 변성시킬 수 있고, 이러한 변성을 막기 위해서는 폴리사카라이드 같은 흡수성 발포제를 사용하여야 하나, 흡수성 발포제를 사용하면 그 지혈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을 직물(woven fabric), 부직포(non-woven fabric) 또는 편물(knit) 형태로 제조하고, 여기에 트롬빈(Thrombin)을 고정화시킨 지혈제가 소개된 바 있으나(한국공개특허 제2005-0084954호), 그 지혈 효과 및 상처치유 효과가 충분치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기존의 지혈재료들 보다 현저히 개선된 지혈 효과 및 상처치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흡수성 지혈제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기존의 지혈재료들 보다 현저히 개선된 지혈 효과 및 상처치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흡수성 지혈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i) 트롬빈(Thrombin), 트롬보플라스틴(Thromboplastin), 피브리노겐(Fibrinogen), 카세인 키나제 II(Casein-kinase II), 티슈 팩터(tissue factor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지혈효과 강화성분, (ii) 생분해성 고분자 및 (iii) 흡수성 직물 또는 편물인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Oxidized Regenerated Cellulose, ORC)를 포함하는 흡수성 지혈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1) 트롬빈(Thrombin), 트롬보플라스틴(Thromboplastin), 피브리노겐(Fibrinogen), 카세인 키나제 II(Casein-kinase II), 티슈 팩터(tissue factor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지혈효과 강화성분을 함유하는 용액과,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직물, 부직포 또는 편물을 접촉시키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결과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결과물 또는 그의 분쇄물을 흡수성 직물 또는 편물인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성 지혈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흡수성 지혈제는 기존의 지혈재료들 보다 현저히 개선된 지혈 효과 및 상처치유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혈효과 강화성분
본 발명의 흡수성 지혈제는 트롬빈(Thrombin), 트롬보플라스틴(Thromboplastin), 피브리노겐(Fibrinogen), 카세인 키나제 II(Casein-kinase II), 티슈 팩터(tissue factor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지혈효과 강화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지혈효과 강화성분으로 트롬빈, 피브리노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롬빈과 피브리노겐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지혈제에 포함되는 지혈효과 강화성분의 양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지혈효과 강화성분의 종류 및 원하는 지혈효과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흡수성 지혈제 단위 면적당 트롬빈은 1~200 IU/cm2,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0 IU/cm2에 해당하는 양으로 존재할 수 있고, 피브리노겐은 1~100 mg/cm2,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 mg/cm2에 해당하는 양으로 존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분해성 고분자
본 발명의 흡수성 지혈제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한다. 생분해성 고분자로는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oly(lactic-co-glycolic acid), PGLA), 폴리(1,4-디옥산-2-온)(poly(1,4-dioxan-2-one), PDO), 염소화된 폴리락타이드(PCL), PGA-PCL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생분해성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생분해성 고분자로 폴리글리콜산(PGA),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GLA), 폴리(1,4-디옥산-2-온)(PDO)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GLA), 폴리(1,4-디옥산-2-온)(PDO)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감마선 조사(예컨대, Cobalt 60 radiation)되어 체내 흡수 시간을 2~4주 정도로 단축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GLA910 멀티-필라메멘트(multi-filament)는 생체 내 흡수 기간이 70일 정도이지만, 50Mrad의 Cobalt 60 radiation을 쪼여주면 평균 흡수 시간이 14일 정도가 된다. 이렇게 감마선 조사를 통해 체내 흡수 시간이 2주 정도로 줄어든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지혈효과를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지혈제에 포함되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가 직물, 부직포 또는 편물의 형태로 흡수성 지혈제에 존재할 수 있고,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그러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직물, 부직포 또는 편물을 분쇄한 결과물(예컨대, 파우더)의 형태로 흡수성 지혈제에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지혈제에 포함되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양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원하는 지혈효과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생분해성 고분자와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의 합계 100중량부당 5 내지 50 중량부의 생분해성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분해성 고분자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보다 우수한 지혈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생분해성 고분자를 직물, 부직포 또는 편물 형태로 제조하여 산화 재생 셀룰로오스와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약 50 중량부까지의 생분해성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생분해성 고분자를 동결건조하고 분쇄하여 파우더 형태로 산화 재생 셀룰로오스에 도포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5~10 중량부 정도까지의 상대적으로 소량의 생분해성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 ORC )
본 발명의 흡수성 지혈제는 흡수성 직물 또는 편물인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지혈제에 있어서 상기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의 직물 또는 편물은 지혈제의 지지 기재(supporting substrate) 역할을 함과 동시에 출혈부위의 혈액과 접촉시 출혈부위를 뒤덮고, 응혈(Clot formation)에 스캐폴드(scaffold)를 제공하며, 혈관주위의 조직을 수축시켜서 지혈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흡수성 지혈제에 포함되는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의 양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원하는 지혈효과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생분해성 고분자와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의 합계 100중량부당 50 내지 95 중량부의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보다 우수한 지혈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수성 지혈제에는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 흡수성 지혈제에 통상 사용되는 성분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지혈제는, 바람직하게는, (1) 상기 지혈효과 강화성분을 함유하는 용액과,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직물, 부직포 또는 편물을 접촉시키는 단계; (2) (1)단계의 결과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3) (2)단계의 결과물 또는 그의 분쇄물을, 상기한 흡수성 직물 또는 편물인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흡수성 지혈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혈효과 강화성분을 함유하는 용액은, 예컨대 상기 설명한 트롬빈, 피브리노겐, 티슈 펙터 등의 지혈효과 강화성분(들)을 정제수, 생리식염수(saline) 또는 완충액(예컨대, pH 8.0~8.5의 완충용액)에 용해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지혈효과 강화성분 함유 용액과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바람직하게는, 감마선 조사 처리된 것)를 포함하는 직물, 부직포 또는 편물을 접촉시킴으로써 생분해성 고분자 직물, 부직포 또는 편물에 지혈효과 강화성분을 포함시킨다. 접촉은, 예컨대 지혈효과 강화성분 함유 용액에 생분해성 고분자 직물, 부직포 또는 편물을 일정시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1)단계의 결과물, 즉, 지혈효과 강화성분이 포함된 생분해성 고분자 직물, 부직포 또는 편물을 건조시킨다. 지혈효과 강화성분의 활성을 변성시키지 않는 한, 건조의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저온 동결건조, 상온 진공건조 등의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 건조 결과물을 분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온 동결건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2)단계의 건조 결과물은 그대로(즉, 직물, 부직포 또는 편물의 형태로), 또는 분쇄된 뒤에,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ORC)의 직물 또는 편물에 적용된다. (2)단계의 건조 결과물이 직물, 부직포 또는 편물의 형태로 ORC에 적용되는 경우, 이들은 예컨대 열을 가한 압착을 통해 웹을 형성함으로써 복합 지혈제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르게는, (2)단계의 건조 결과물을 분쇄한 뒤 그 분쇄물(예컨대, 파우더)을 ORC 직물 또는 편물에 골고루 도포시킴으로써 복합 지혈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분쇄의 방법 및 조건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된 복합 지혈제는 이후 질소가스와 함께 알미늄 파우치에 넣고 포장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 1~5
하기 표 1에 나타낸 지혈효과 강화성분(트롬빈 및/또는 피브리노겐)을 pH 8.0~8.5 완충용액에 용해시켜 만든 용액을 준비하고, 여기에, 감마선 조사(50Mrad의 Cobalt 60 radiation)를 통해 체내 흡수 기간을 14일로 맞춘 PGLA910 multi-filament로 만든 직물(5x7cm)을 1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그 결과물을 -80℃에서 3시간 동안 동결건조하고, 상온에서 진공건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건조 직물을 산화 재생 셀룰로오스 기재(ORC, 삼양바이오팜)에 적용한 후, 열을 가한 압착을 통해 산화 재생 셀룰로오스와 웹(web)을 형성하여 복합 지혈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10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지혈효과 강화성분 용액에 PGLA910 직물을 침지시키고, 그 결과물을 -80℃에서 3시간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파우더 형태로 만들고, 이 파우더를 실시예 1~5과 같은 ORC 기재에 골고루 도포시켜 복합 지혈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PGLA370 공중합체(glycolide/lactide = 35/65 mole%)로 만든 섬유와 PDO 섬유를 70:30 무게비로 섞어서 형성한 부직포(5x7cm)를 PGLA910 직물 대신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복합 지혈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제조된 복합 지혈제를 사용하여, 돼지의 신장을 15mm의 길이와 3 mm 깊이로 부분 절제한 뒤 지혈효과를 테스트하였다. 지혈에 소요되는 시간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수술용 거즈 단독의 지혈효과를 테스트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된 PGLA910 직물 단독의 지혈효과를 테스트하였다.
비교예 3~7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 및 건조된 PGLA910 직물을 사용하여 지혈효과를 테스트하였다.
비교예 8
실시예 1에서 사용된 ORC 기재 단독의 지혈효과를 테스트하였다.
비교예 9
실시예 1에서 사용된 PGLA910 직물을 ORC 기재에 결합시킨 뒤, 그 지혈효과를 테스트하였다.
비교예 10
실시예 1에서 사용된 PGLA910 직물을 동결건조하여 분쇄하고, 그 파우더를 ORC 기재에 도포한 뒤, 그 지혈효과를 테스트하였다.
비교예 11
실시예 11에서 사용된 PGLA370+PDO 부직포 단독의 지혈효과를 테스트하였다.
비교예 12~16
실시예 11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 및 건조된 PGLA370+PDO 부직포를 사용하여 지혈효과를 테스트하였다.
Figure pat00001

Claims (11)

  1. (i)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피브리노겐, 카세인 키나제 II, 티슈 팩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지혈효과 강화성분,
    (ii) 생분해성 고분자 및
    (iii) 흡수성 직물 또는 편물인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
    를 포함하는 흡수성 지혈제.
  2. 제1항에 있어서, 지혈효과 강화성분이 트롬빈과 피브리노겐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지혈제.
  3. 제1항에 있어서, 지혈효과 강화성분으로서 트롬빈이 흡수성 지혈제 단위 면적당 1~200 IU/cm2에 해당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지혈제.
  4. 제1항에 있어서, 지혈효과 강화성분으로서 피브리노겐이 흡수성 지혈제 단위 면적당 1~100 mg/cm2에 해당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지혈제.
  5. 제1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고분자가 폴리글리콜산(PGA),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GLA), 폴리(1,4-디옥산-2-온)(PDO), 염소화된 폴리락타이드(PCL), PGA-PCL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지혈제.
  6. 제1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고분자가 감마선 조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지혈제.
  7. 제1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고분자가 직물, 부직포 또는 편물의 형태로 흡수성 지혈제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지혈제.
  8. 제1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고분자가 직물, 부직포 또는 편물의 분쇄물 형태로 흡수성 지혈제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지혈제.
  9. (1) 트롬빈, 트롬보플라스틴, 피브리노겐, 카세인 키나제 II, 티슈 팩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지혈효과 강화성분을 함유하는 용액과,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직물, 부직포 또는 편물을 접촉시키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결과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결과물 또는 그의 분쇄물을 흡수성 직물 또는 편물인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에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흡수성 지혈제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2)단계의 건조 결과물이 직물, 부직포 또는 편물의 형태로,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와 열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지혈제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2)단계의 건조 결과물을 분쇄한 뒤 그 분쇄물이,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지혈제의 제조방법.
KR1020120156122A 2012-12-28 2012-12-28 개선된 흡수성 지혈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624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122A KR101624625B1 (ko) 2012-12-28 2012-12-28 개선된 흡수성 지혈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122A KR101624625B1 (ko) 2012-12-28 2012-12-28 개선된 흡수성 지혈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072A true KR20140086072A (ko) 2014-07-08
KR101624625B1 KR101624625B1 (ko) 2016-05-26

Family

ID=5173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122A KR101624625B1 (ko) 2012-12-28 2012-12-28 개선된 흡수성 지혈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62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560A1 (ko) * 2015-04-15 2016-10-20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다기능성 지혈제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07024A (ko) 2015-07-10 2017-01-18 (주)헵틸와이 이중 가교구조의 생체친화성 지혈제 및 그 제조방법
US20180043054A1 (en) * 2016-08-15 2018-02-15 Guangzhou Bioseal Biotech Co. Ltd. Hemosta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10034957B2 (en) 2015-11-06 2018-07-31 Ethicon Llc Compacted hemostatic cellulosic aggregates
KR20190005106A (ko) * 2017-07-05 2019-01-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혈가능 트롬빈 결합 생분해성 plga 메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17731A (ko) 2018-08-09 2020-02-19 이영우 이중 가교구조의 생체친화성 지혈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4604A (ko) 2020-11-27 2022-06-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지혈용 코팅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지혈용 부재
US11413335B2 (en) 2018-02-13 2022-08-16 Guangzhou Bioseal Biotech Co. Ltd Hemosta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11998656B2 (en) 2016-08-15 2024-06-04 Guangzhou Bioseal Co., Ltd. Hemosta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552B1 (ko) * 2017-10-23 2019-11-01 이재혁 상처 부위에 도포되는 발포성 밴드
KR102029926B1 (ko) 2017-12-14 2019-10-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풀루란을 이용한 하이드로젤 지혈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980063B1 (ko) 2019-01-25 2019-05-17 주식회사 휴메딕스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스펀지형 생분해성 지혈제 조성물
KR102319171B1 (ko) 2019-11-07 2021-10-29 주식회사 에스엔비아 광가교형 히알루론산 스펀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7913B1 (ko) 2020-11-20 2023-09-14 주식회사 에스엔비아 광가교형 공중합 히알루론산 스펀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5714B1 (ko) 2021-03-23 2024-04-08 주식회사 에스티원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이용한 의료용 나노시트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의료용 나노시트
KR102655715B1 (ko) 2021-03-23 2024-04-08 주식회사 에스티원 폴리카프로락톤을 이용한 의료용 나노시트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의료용 나노시트
KR102655713B1 (ko) 2021-03-23 2024-04-08 주식회사 에스티원 폴리비닐알코올을 이용한 의료용 나노시트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의료용 나노시트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560A1 (ko) * 2015-04-15 2016-10-20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다기능성 지혈제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23422A (ko) * 2015-04-15 2016-10-26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다기능성 지혈제 및 그 제조 방법
CN107580494A (zh) * 2015-04-15 2018-01-12 株式会社三养生物制药 多功能性止血剂及其制备方法
KR101878774B1 (ko) * 2015-04-15 2018-07-17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다기능성 지혈제 및 그 제조 방법
EP3284461A4 (en) * 2015-04-15 2018-12-26 Samyang Biopharmaceuticals Corporation Multifunctional hemostatic agent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20170007024A (ko) 2015-07-10 2017-01-18 (주)헵틸와이 이중 가교구조의 생체친화성 지혈제 및 그 제조방법
US11896732B2 (en) 2015-11-06 2024-02-13 Cilag Gmbh International Compacted hemostatic cellulosic aggregates
US10034957B2 (en) 2015-11-06 2018-07-31 Ethicon Llc Compacted hemostatic cellulosic aggregates
US11235085B2 (en) 2015-11-06 2022-02-01 Cilag Gmbh International Compacted hemostatic cellulosic aggregates
US11229720B2 (en) * 2016-08-15 2022-01-25 Guangzhou Bioseal Biotech Co., Ltd. Hemosta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AU2017311658B2 (en) * 2016-08-15 2021-09-23 Ethicon, Inc. Hemosta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JP2019524348A (ja) * 2016-08-15 2019-09-05 コウシュウ・バイオシール・バイオテック・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Guangzhou Bioseal Biotech Co., Ltd. 止血組成物及びその作製方法
US20180043054A1 (en) * 2016-08-15 2018-02-15 Guangzhou Bioseal Biotech Co. Ltd. Hemosta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11998656B2 (en) 2016-08-15 2024-06-04 Guangzhou Bioseal Co., Ltd. Hemosta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KR20190005106A (ko) * 2017-07-05 2019-01-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혈가능 트롬빈 결합 생분해성 plga 메쉬 및 이의 제조방법
US11413335B2 (en) 2018-02-13 2022-08-16 Guangzhou Bioseal Biotech Co. Ltd Hemosta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KR20200017731A (ko) 2018-08-09 2020-02-19 이영우 이중 가교구조의 생체친화성 지혈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4604A (ko) 2020-11-27 2022-06-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지혈용 코팅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지혈용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625B1 (ko)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625B1 (ko) 개선된 흡수성 지혈제 및 그 제조방법
DK1809342T3 (en) absorbable hemostat
AU2011256403B2 (en) Reinforced absorbable synthetic matrix for hemostatic applications
KR101832518B1 (ko) 지혈용 스펀지
CN103957947B (zh) 使用聚乙二醇粘合剂的可生物吸收的止血装置
CN1502375A (zh) 含有醛改性多糖的止血伤口敷料和止血剂
CN107754005B (zh) 止血组合物及其制造方法
JPWO2004064878A1 (ja) 止血用材料
CA2862545C (en) Biodegradable non-woven material for medical purposes
KR20150075516A (ko) 지혈 또는 유착방지용 겔 형성용 조성물 및 키트
KR101878774B1 (ko) 다기능성 지혈제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44792A (ko) 산화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팽창성 지혈재
KR20130090882A (ko) 조직 접착용 시트 제제
JP2019526305A (ja) 生体組織補強材料及び人工硬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