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615A - 전기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5615A
KR20140085615A KR1020120149957A KR20120149957A KR20140085615A KR 20140085615 A KR20140085615 A KR 20140085615A KR 1020120149957 A KR1020120149957 A KR 1020120149957A KR 20120149957 A KR20120149957 A KR 20120149957A KR 20140085615 A KR20140085615 A KR 20140085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roval
charging
charging device
slave
m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6697B1 (ko
Inventor
김범열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9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697B1/ko
Priority to US14/094,244 priority patent/US20140180922A1/en
Priority to JP2013258973A priority patent/JP5792790B2/ja
Priority to EP13197583.1A priority patent/EP2746094A3/en
Priority to CN201310712495.6A priority patent/CN103887843A/zh
Publication of KR20140085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7Controlling two or more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8Off-site monitoring or control, e.g.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2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plural electronic cash registers [ECR] or to host computer, e.g. network details, transfer of information from host to ECR or from ECR to EC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5/00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 G07F15/003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for electricity
    • G07F15/005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for electricity dispensed for the electrical charging of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70Interactions with external data bases, e.g. traffic cent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슬레이브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마스터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은 결재 정보를 수신하고, 결재 정보를 포함하는 결재 승인 요청 메시지를 외부 통신망을 통해 결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결재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통신망을 통해 결재 승인을 수신하여, 결재 승인이 수신되면, 복수의 슬레이브 충전 장치 중에서 상기 결재 정보에 해당하는 슬레이브 충전 장치에 전기 자동차 충전 지시를 내부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Description

전기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TO CHARGE BATTERY VOLT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전기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구의 환경오염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요즈음 무공해 에너지의 사용은 날로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특히, 대도시의 대기오염 문제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데, 차량의 배기가스는 그 주요원인 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무공해 에너지인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이른바 전기 차량을 실용화하기 위한 연구가 근래 들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 차량은 외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이를 배터리에 충전한 후, 배터리에 충전된 전압으로 차륜과 결합된 모터를 통해 기계적 에너지인 동력을 얻는다. 즉, 전기 차량은 배터리에 충전된 전압으로 모터를 구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하며, 이러한 대용량의 충전식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기 충전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 충전 장치는 충전시간에 따라 급속 충전기와 완속 충전기로 구분된다. 급속 충전기는 주유소와 같이 주행 중 긴급하게 충전하기 위한 장소에 설치되고 충전시간은 약 20분 정도 소요된다. 반면, 완속 충전기는 주차장이나 쇼핑몰 등 장시간 주차가 예상되는 장소에 설치되고 충전시간은 약 5시간 정도 소요된다.
또한, 종래에는 모든 구성품을 포함한 전기 충전 장치만을 제작 또는 운용함에 있어서 비용상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 경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가 설치된 곳에서만 충전 요청을 입력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곳까지 이동해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요청을 입력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스터 충전 장치와 슬레이브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충전 장치의 동작방법은 복수의 슬레이브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마스터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결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재 정보를 포함하는 결재 승인 요청 메시지를 외부 통신망을 통해 결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재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통신망을 통해 결재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재 승인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충전 장치 중에서 상기 결재 정보에 해당하는 슬레이브 충전 장치에 전기 자동차 충전 지시를 내부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충전 대상 장치를 충전하는 슬레이브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충전 대상 장치와 연결됨을 확인하는 단계; 마스터 충전 장치로부터 내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충전 대상 장치에 대한 충전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결재 정보에 따라 상기 충전 대상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단계; 및 전기 공급이 완료되면, 단말기에 충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충전 스탠드를 통해 결재 정보가 입력되면, 마스터 충전 스탠드를 결재 서버에 결재 승인을 요청하고, 결재 서버로부터 결재 승인을 받으면 이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에게 충전을 지시하는 과정을 통해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를 통해 결재 정보가 입력되면, 단말기는 결재 정보를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로 전송하고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는 결재 정보를 마스터 충전 스탠드로 전송한다. 마스터 충전 스탠드를 결재 서버에 결재 승인을 요청하고, 결재 서버로부터 결재 승인을 받으면 이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에게 충전을 지시하는 과정을 통해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보여준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전 방법에 대한 레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전 방법에 대한 레더 다이어그램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내부 통신망(10), 외부 통신망(20),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 단말기(300), 결재 서버(400) 및 전기 자동차(500)를 포함한다.
내부 통신망(1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와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외부 통신망(2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와 결재 서버(400)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전 장치를 설명한다.
마스터(Master)충전 스탠드(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결재모듈(120), 내부 통신 모듈(130), 외부 통신 모듈(135), 제어부(140) 및 전원 공급 장치(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마스터(Master)충전 스탠드(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단말기(300)와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간의 연결 상태 또는 전기자동차 와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간의 연결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결재정보 또는 충전에 관련 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를 입력 장치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 될 필요는 없다. 마스터(Master)충전 스탠드(100)는 별도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결재모듈(120)은 RFID 리더기, 신용카드결재기, 현금결재기 또는 기타 결재 수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통신 모듈(130)은 근거리 통신,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한다. 내부 통신 모듈(130)은 내부 통신망(10)을 통해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와 정보를 공유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통신 모듈(130)은 내부 통신망(10)을 통해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의 내부 통신 모듈(210)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외부 통신 모듈(135)는 외부 통신망(20)을 이용하여 결재 서버(400)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는 외부 통신망(20)을 이용하여 결재 서버(400)에게 결재 승인을 요청한다. 결재 서버(400)는 외부 통신망(20)을 이용하여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에게 결재 승인의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어부(140)는 마스터(Master)충전 스탠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 또는 결재 서버(400)간의 통신 등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전원 공급 장치(150)는 전기 충전이 필요한 장치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 장치(150)는 전기 자동차(500)에게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슬레이브(Slave)충전 스탠드(200)는 내부 통신 모듈(210), 단말 통신 모듈(215), 제어부(220) 및 전원 공급 장치(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슬레이브(Slave)충전 스탠드(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레이브(Slave)충전 스탠드(200)는 다수가 동시에 운영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와 슬레이브(Slave)충전 스탠드(200)는 일대 다수의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는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부(110), 결재 모듈(120), 외부 통신 모듈(135)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는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보다 저가일 수도 있다. 따라서 모든 구성품이 포함된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대신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를 사용함으로써 비용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내부 통신 모듈(210)은 근거리 통신,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한다. 내부 통신 모듈(210)은 내부 통신망(10)을 통해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와 정보를 공유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통신 모듈(210)은 내부 통신망(10)을 통해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의 내부 통신 모듈(130)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은 단말 통신 모듈(215)을 이용하여 단말기(300)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통신망을 이용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일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300)와 통신할 때, 단말 통신 모듈(215)는 근거리 통신 모듈일 수도 있다.
제어부(220)는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 또는 단말기(300)간의 통신 등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단말기(300)는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와 연결되어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전 방법에 대한 레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전 방법을 설명한다.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의 제어부(220)는 전기 자동차(500)와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의 전원 공급 장치(150)이 연결됨을 확인한다(S101). 본 명세서에서는 전기 자동차(500)을 예를 들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 충전이 필요한 기기로 대체가 가능하다.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의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 선택 창을 디스플레이 한다(S102).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의 제어부(140)는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 선택 입력을 수신 한다(S10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와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는 일대 다수의 관계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 선택 입력을 통해 자신의 전기 자동차(500)에 연결된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를 선택할 수 있다.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는 결재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창을 디스플레이 한다(S10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재 정보는 결재 방식, 결재자의 개인 정보, 결재 금액, 전기 자동차에 충전할 전기 용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의 제어부(140)은 결재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S105).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의 제어부(140)는 외부 통신 모듈(135)를 통하여 결재 서버(400)에 결재 승인을 요청한다(S107). 결재 승인 요청에는 결재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결재 서버(400)는 결재 승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에게 결재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다(S109). 결재 승인 메시지에는 결재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가 결재 서버(400)로부터 결재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는 내부 통신 모듈(130)을 통해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에게 전기 자동차(500)의 충전을 지시한다(S111). 이 때 충전은 결재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의 제어부(220)은 전원 공급 장치(150)를 통해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와 연결된 전기 자동차(500)를 충전한다(S113). 이때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가 충전하는 전기의 양은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가 입력 받은 결재 정보에 따른다.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는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완료 메시지를 단말기(300)에 전송한다(S115). 이때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는 단말 통신 모듈(215)을 이용하여 충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전 방법에 대한 레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전 방법을 설명한다.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의 제어부(220)는 전기 자동차(500)와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의 전원 공급 장치(150)이 연결됨을 확인한다(S201). 본 명세서에서는 전기 자동차(500)을 예를 들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 충전이 필요한 기기로 대체가 가능하다.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의 제어부(220)는 단말기(300)과 연결됨을 확인한다(S20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와 단말기(300)의 연결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기타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도 있다.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가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의 단말기(300)와의 연결 알림을 수신하면,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는 결재 승인 요청 수신 대기 상태에 있는다(S207).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하거나, 별도의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단말기(300)의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말기(300)는 결재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잇는 창을 디스플레이 한다(S209).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재 정보는 결재 방식, 결재자의 개인 정보, 결재 금액, 전기 자동차에 충전할 전기 용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300)는 결재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S211).
단말기(300)는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에 결재 승인을 요청한다(S213). 이때 결재 승인 요청에는 결재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가 단말기(300)로부터 결재 승인 요청을 받으면,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의 제어부(220)는 외부 통신 모듈(135)를 통하여 결재 서버(400)에 결재 승인을 요청한다(S215). 이때 결재 승인 요청에는 결재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가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로부터 결재 승인 요청을 받으면,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의 제어부(140)는 외부 통신 모듈(135)를 통하여 결재 서버(400)에 결재 승인을 요청한다(S217). 이때 결재 승인 요청에는 결재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결재 서버(400)는 결재 승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에게 결재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다(S219). 이때 결재 승인 메시지에는 결재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가 결재 서버(400)로부터 결재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마스터 충전 스탠드(100)는 내부 통신 모듈(130)을 통해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에게 전기 자동차(500)의 충전을 지시한다(S221).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의 제어부(220)은 전원 공급 장치(150)를 통해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와 연결된 전기 자동차(500)를 충전한다(S223). 이때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가 충전하는 전기의 양 결재 정보에 기초한다.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는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완료 메시지를 단말기(300)에 전송한다(S225). 이때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는 단말 통신 모듈(215)을 이용하여 충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마스터충전 스탠드(100), 슬레이브 충전 스탠드(200) 및 단말기(3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복수의 슬레이브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마스터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결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재 정보를 포함하는 결재 승인 요청 메시지를 외부 통신망을 통해 결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재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통신망을 통해 결재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재 승인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충전 장치 중에서 상기 결재 정보에 해당하는 슬레이브 충전 장치에 전기 자동차 충전 지시를 내부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터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결재 정보에 대한 입력을 수신 할 수 있는 창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창을 통해서 결재 정보에 대한 입력을 수신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스터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결재 정보에 해당하는 슬레이브 충전 장치로부터 상기 결재 정보를 상기 내부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터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충전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외부 통신 모듈을 포함하지 않는
    마스터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
  5. 충전 대상 장치를 충전하는 슬레이브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충전 대상 장치와 연결됨을 확인하는 단계;
    마스터 충전 장치로부터 내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충전 대상 장치에 대한 충전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결재 정보에 따라 상기 충전 대상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단계; 및
    전기 공급이 완료되면, 단말기에 충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충전 장치는,
    상기 결재 정보에 대한 입력을 수신 할 수 있는 창을 디스플레이 하며, 상기 창을 통해 상기 결재 정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결재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대상 장치에 대한 충전 지시를 송신하는
    슬레이브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재 정보는 결재 방식, 결재자의 개인 정보, 결재 금액, 전기 자동차에 충전할 전기 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슬레이브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대상 장치와 연결됨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충전 장치로부터 내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충전 대상 장치에 대한 충전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단말기와 연결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와 연결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충전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결재 승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재 승인 요청을 상기 마스터 충전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슬레이브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마스터 충전 장치 대신에 상기 결재 정보에 대한 입력을 수신 할 수 있는 창을 디스플레이 하며, 상기 창을 통해 상기 결재 정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슬레이브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20149957A 2012-12-20 2012-12-20 전기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66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957A KR101666697B1 (ko) 2012-12-20 2012-12-20 전기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4/094,244 US20140180922A1 (en) 2012-12-20 2013-12-02 Electric char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258973A JP5792790B2 (ja) 2012-12-20 2013-12-16 充電装置の動作方法
EP13197583.1A EP2746094A3 (en) 2012-12-20 2013-12-17 Electric char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310712495.6A CN103887843A (zh) 2012-12-20 2013-12-20 充电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957A KR101666697B1 (ko) 2012-12-20 2012-12-20 전기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615A true KR20140085615A (ko) 2014-07-08
KR101666697B1 KR101666697B1 (ko) 2016-10-14

Family

ID=4991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957A KR101666697B1 (ko) 2012-12-20 2012-12-20 전기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180922A1 (ko)
EP (1) EP2746094A3 (ko)
JP (1) JP5792790B2 (ko)
KR (1) KR101666697B1 (ko)
CN (1) CN1038878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9079A (zh) * 2015-02-04 2015-05-06 佛山市顺德区卓顺项目管理有限公司 一种智能电动汽车充电管理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7944A1 (ko) * 2014-09-26 2016-03-31 주식회사 스타코프 전기 자판기 및 전기 자판기 통합 관리 방법, 시스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10383795B2 (en) * 2016-10-18 2019-08-20 Handi-Craft Company Bubble formation inhibiting vent assembly for a vented bottle assembly
CN106882063B (zh) * 2017-02-06 2019-05-10 山东鲁能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银联闪付的电动汽车充电支付系统及方法
CN107176048A (zh) * 2017-06-07 2017-09-19 深圳巴士集团股份有限公司公共汽车分公司 一种电动车停车场的充电系统
US10946760B2 (en) * 2017-08-29 2021-03-16 Enel X North America, Inc. Remote indicator of state of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FI20205553A1 (fi) * 2020-05-28 2021-11-29 Liikennevirta Oy / Virta Ltd Latausliittimen automaattinen valinta
US11884173B2 (en) * 2021-03-29 2024-01-30 Siemens Industry, Inc. Network-based energy management of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network infra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073A (ko) * 2010-05-20 2011-11-28 한국전력공사 모바일 통신 기술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스탠드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KR20120034428A (ko) * 2010-10-01 2012-04-12 삼성전기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7066A (en) * 1993-05-25 1994-07-05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Associates Of Connecticut,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consumable energy source to a vehicle
JP2005044065A (ja) * 2003-07-25 2005-02-17 Kts:Kk ホテル料金決済システム及びホテル料金決済方法
JP4591823B2 (ja) * 2005-03-15 2010-12-01 東京電力株式会社 電力供給システム
WO2009104634A1 (ja) * 2008-02-18 2009-08-27 ローム株式会社 車両、及び、その充電システム
CN101364653A (zh) * 2008-09-16 2009-02-11 刘爱诗 电动车自助式公用充电器
US9030153B2 (en) * 2008-12-22 2015-05-1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energy to an electric vehicle with parking fee collection
US20100274570A1 (en) * 2009-04-24 2010-10-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le charging authorization
EP2385507A1 (de) * 2009-07-08 2011-11-09 SkiData AG System zur Stromversorgung eines Elektrofahrzeugs auf einem Stellplatz
WO2011044543A2 (en) * 2009-10-09 2011-04-14 Levy Paul Method and process of administrating electric vehicle charge stations and billing for the re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leveraging a single connection action using low cost charge stations
US20110153474A1 (en) * 2009-12-17 2011-06-23 Tormey Milton T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accounting
WO2011077780A1 (ja) * 2009-12-24 2011-06-30 株式会社 日立製作所 電気自動車を用いた電力系統制御システム、電力系統制御装置、情報配信装置及び情報配信方法
CN102110994B (zh) * 2009-12-29 2013-03-20 力柏时代锂动力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电动车充电站管理系统及充电方法
US11183001B2 (en) * 2010-01-29 2021-11-23 Chargepoint, Inc.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host definable pricing
JP4954304B2 (ja) * 2010-02-10 2012-06-13 株式会社エネゲート 電動車両用給電システム
DE102010009583A1 (de) * 2010-02-26 2011-09-01 EnBW Energie Baden-Württemberg AG Verfahren zum ortsunabhängigen Strombezug und/oder zur ortsunabhängigen Stromeinspeisung einer mobilen Speicher- und Verbrauchseinheit an einer ortsfesten Stromtankstelle eines beliebigen Betreibers
CN101799956A (zh) * 2010-03-01 2010-08-11 李建锋 银行卡刷卡结算式充放电设备及自动计费结算方法
JP5582824B2 (ja) * 2010-03-02 2014-09-03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駐車場用電気自動車充電システム及び駐車場用電気自動車充電方法
CN102339401A (zh) * 2010-07-27 2012-02-01 李葛亮 用于立体车库的ic卡以及管理方法
JP5417280B2 (ja) * 2010-08-04 2014-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蓄電池制御装置,充電スタンド及び蓄電池制御方法
JP5234081B2 (ja) * 2010-10-29 2013-07-1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
JP4763852B1 (ja) * 2010-12-21 2011-08-31 福西電機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装置、及び、電力供給制御システム
US20120173061A1 (en) * 2011-01-03 2012-07-05 James Patrick Hanley Systems and methods for hybrid vehicle fuel price point comparisons
JP5396404B2 (ja) * 2011-01-14 2014-01-22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充電装置、充電システム
KR20120133481A (ko) * 2011-05-31 2012-12-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CN202210704U (zh) * 2011-09-13 2012-05-02 珠海赛迪生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刷卡联网式电动车交直流充电系统
CN202333898U (zh) * 2011-11-29 2012-07-11 威胜集团有限公司 智能化电动汽车交流充电桩
WO2013132449A1 (en) * 2012-03-06 2013-09-12 Success Parking Ltd Payment/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cars' charging st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073A (ko) * 2010-05-20 2011-11-28 한국전력공사 모바일 통신 기술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스탠드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KR20120034428A (ko) * 2010-10-01 2012-04-12 삼성전기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HEV/EV용 통합 충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2011.07. 공개)*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9079A (zh) * 2015-02-04 2015-05-06 佛山市顺德区卓顺项目管理有限公司 一种智能电动汽车充电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80922A1 (en) 2014-06-26
EP2746094A3 (en) 2016-11-23
CN103887843A (zh) 2014-06-25
JP5792790B2 (ja) 2015-10-14
EP2746094A2 (en) 2014-06-25
JP2014131468A (ja) 2014-07-10
KR101666697B1 (ko) 2016-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697B1 (ko) 전기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785221B2 (ja) ケーブル一体型充電制御装置に取り付けられるアドオン通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US10124682B2 (en) Charge control system
KR102414210B1 (ko) 차량 무선 충전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CN104105615A (zh) 用于远程监测电动交通工具的蓄电池充电的系统和方法、用在所述系统和方法中的充电器和设备
CN104009501B (zh) 电动车充电系统及其适用的充电方法
WO2015013686A1 (en) Scoring charging stations used by electric vehicles
CN104424511A (zh) 用于提供电动车辆的驾驶路线信息的方法和系统
KR101820994B1 (ko)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175687B2 (en) Managing electric vehicle loads on a home network
CN104283254B (zh) 附着于电缆安装型充电控制设备的附加通信设备
CN105984527A (zh) 蓄电池收纳装置及其控制方法和信息终端的控制方法
CN104467131A (zh) 一种基于WiFi定位的自动无线充电系统及其方法
CN204391838U (zh) 一种电池管理系统
KR20150000280A (ko) D2d 통신 기반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전기 자동차 상태 관리 및 제어 시스템
KR20120057060A (ko) 무선 제어 안전 삼각대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031987A (ko) 전기 충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61429A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612786B1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3847536A (zh) 电动车辆充电监控的车用装置及其方法
CN205725168U (zh) Hud
KR20140145683A (ko) 전기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011333B2 (ja) 伝送デバイス、伝送システム、及び伝送制御方法
CN114435156A (zh) 控制装置、非接触供电程序以及非接触供电系统
WO2020209323A1 (ja)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