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518A - 석재 블록들의 인공적 노후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석재 블록들의 인공적 노후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5518A
KR20140085518A KR1020147013296A KR20147013296A KR20140085518A KR 20140085518 A KR20140085518 A KR 20140085518A KR 1020147013296 A KR1020147013296 A KR 1020147013296A KR 20147013296 A KR20147013296 A KR 20147013296A KR 20140085518 A KR20140085518 A KR 20140085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stone block
aging
impact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1276B1 (ko
Inventor
한스 게브하르트
만프레드 스탈레
Original Assignee
바우스토프베르케 게브하르트 운트 죄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우스토프베르케 게브하르트 운트 죄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바우스토프베르케 게브하르트 운트 죄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40085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06Artificial ageing of stones; Providing stones with an antique app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6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impact tools, e.g. by chisels or other tools having a cutting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Revetment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지지대(1)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노후화 도관(3), 상기 지지대(1)를 움직이도록 설정하기 위한 진동 유닛(5) 및,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해 석재 블록(2)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유닛(8)을 갖춘, 석재 블록들의 인공적 노후화를 위한 장치. 상기 노후화 도관(3)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충격면 및 하나의 제2 충격면(6, 7)을 가지며, 상기 충격면들은 석재 블록(2)에 노후화 효과를 적용한다. 상기 노후화 도관(3)은 적어도 2개의 부분들을 가지며, 여기서 석재 블록(2)은 제1 공급 방향으로 제1 부분(301)을 통과하며, 제2 부분(302)은, 석재 블록(2)이 그 공급 방향에서 굴절되어 제2 공급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제1 부분(301)에 대해 각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Description

석재 블록들의 인공적 노후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evice and method for artificial ageing of stones}
본 발명은 석재 블록들의 인공적 노후화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석재 블록들의 인공적 노후화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조경 아키텍처에 이용되는 그 어떤 것들보다 벽들이 자연석 블록들 또는 인공석 블록들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석재 블록들에는 그것들의 가시면(visible side) 상에 예를 들어 자연석 블록들의 수동적 타격(manual hewing)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들과 같은 불규칙한 돋을새김 표면 구조 및/또는 부서진 모서리들이 제공된다.
이 맥락에서 스플릿(split) 석재 블록들,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스플릿 석재 블록들을 사용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상기 원석 블록들이 바람직하게는 반으로 나뉘어지는 분리 장치에 석재 블록 생산으로부터 획득된 원석 블록들이 겹겹이(in layers) 공급될 수 있다. 이 수법으로 제작된 스플릿 석재 블록들은 종종 스플릿 블록들(Spaltsteine)로 불린다. 분리 프로세스(Teilungsprozess)의 결과로서, 각 스플릿 블록들은 그것들이 부서진 쪽에 불규칙한 돋을새김 표면을 갖는다. 독일 특허 DE 22 06 732호에는 인공석의 원(raw) 블록들을 분리(split)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게다가 독일 특허출원 DE 33 32 041 A1호 및 DE 33 47 077 A1호에는 엠보싱된 스플릿 블록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시된다.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경우 및 자연석 스플릿 블록들의 형태를 갖춘 경우 둘 모두에 있어 스플릿 블록들은 날카로운 모서리들을 가져서는 아니될 것이 종종 요구된다. 이것과는 별개로, 종종 부서진 구조에 대한 그 이상의 처리가 요청된다. 이 목적을 위해, 석재 블록들의 노후화를 위한 장치들이 일반적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맥락에서, 예를 들어 유럽특허 EP 1 699 609 B1호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이것 외에도, 석재 블록들의 노후화에 대한 다른 방법들이 일반적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석재 블록들의 노후화에 있어, 특히 스플릿 블록들이 관련된 경우에 나중 단계에서 기계가공을 받을 석재 블록의 면, 즉, 전형적으로는 상기 석재 블록의 가시면이 생산 종료 후에 상기 석재 블록의 상부면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것은, 스플릿 블록들이라고 불리는 것들의 경우에 있어 상기 스플릿 블록들이 전형적으로 하나의 원석 블록 또는 2개의 절반들로 분할된 상기 블록 중의 블록으로부터 형성됨의 결과이다. 그러한 분리 방법들은 일반적 선행기술 예컨대 독일 특허 DE 22 06 732호로부터 충분히 알려져 있다. 원석 블록을 2개의 스플릿 블록들로 분리함은 상기 생성된 석재 블록들의 분리면(split face)들이 옆쪽에 배치되고 서로를 향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분리에 의해 생성된 면을 기계가공시키기 위해 또는, 기계가공을 받을 면이 옆쪽으로 향하는 석재 블록들을 일반적으로 기계가공시키기 위해, 2개의 상이한 방법들이 알려져있다. 하나의 가능성은, 대응되는 기계가공 툴(machining tool)을 수단으로 하여 석재 블록들의 측면들을 기계가공함을 가능하게 하는 노후화 방법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그런 방법들은 복잡하고 비효율적이다. 이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석재 블록의 측면이 회전하는 롤러를 타격하는 사슬 타격기(chain beater)들을 고정함이 알려져 있다. 스플릿 블록들의 경우에 서로를 향하는 부서진 면들을 갖는 석재 블록들은, 상기 기계가공 툴들이 가장 먼저 맞물리는 위치에 있는 정도로 우선 서로 공간적으로 이격되어야 한다. 석재 블록들의 측면들을 더 프로세싱하거나 노후화시키기 위한 제2의 가능성은, 대응되는 그립(gripping)하는 툴들에 의해 후자가 들어올려져 기계가공을 받을 면이 상기 석재 블록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낮추어지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석재 블록들의 들어올림 및 다시-낮춤은 비싸고 파열(disruptions) 및 시간-낭비(time-consuming)의 경향이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그러나 다른 한 편으로는 이것은 석재 블록들의 표면 상에 작용하는, 효과적이며 알려진 노후화 방법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석재 블록들의 표면 상에 작용하는 다양한 노후화 방법들은 일반적 선행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특히 적합한 방법은 유럽 특허 EP 1 699 609 B1호로부터 유래된다.
석재 블록이 쌓여지거나 가로 눕힌(laid) 상태에서, 상기 석재 블록의 상부면과의 관계에서 90°의 각도로 연장되는 일 측면 상에 기계가공을 받은 석재 블록들은 스플릿 블록들일 필요는 없다. 측면이 나중에 가시면을 형성하는 다른 석재 블록들의 경우에 이 측면도 노후화시킴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도 문제는, 나중 단계에서 석재 블록의 가시면을 형성하는, 석재 블록의 옆 방향 쪽이 상기 석재 블록의 상부면과 일치하지 않고, 따라서 상기 석재 블록의 상기 상부면의 경우에서 가능한 것만큼은 효율적으로 노후화될 수 없다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석재 블록들, 특히 스플릿 블록들의 노후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석재 블록들이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효율적으로, 그리고 신뢰성 있게 노후화됨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장치에 관한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의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상기 방법에 관한 이 목적은 청구항 19에 의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석재 블록들, 특히 콘크리트 블록들, 클링커 벽돌들 및, 자연석 블록들의 노후화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노후화 도관이 제공되고, 석재 블록들은 기계가공을 받을 상기 석재 블록의 측면이 옆쪽을 향하는 방식으로 상기 노후화 도관 상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석재 블록의 기계가공을 받을 측면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전면 모서리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후면 모서리에 의해 경계지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를 움직이도록 설정하기 위한 진동 유닛이 더 제공된다. 상기 노후화 도관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충격면 및 하나의 제2 충격면을 가지며; 상기 지지대의 움직임 때문에 상기 석재 블록은 노후화 방식으로 충격면들이 상기 석재 블록 상에 작용하는 방식으로 충격면들 위에 충격을 가하며; 상기 제1 충격면은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를 향하며, 상기 제2 충격면은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를 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충격면 및 제2 충격면은, 상기 제1 충격면은 상기 석재 블록의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에 인접하는 상기 측면의 부분-면(part-face) 및 하부면의 인접하는 부분-면도 기계가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충격면은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에 추가적으로 상기 석재 블록의 상기 측면과 상부면의 인접하는 부분-면들도 기계가공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노후화 도관은 적어도 2개의 부분들을 가지며; 상기 석재 블록은 제1 공급 방향으로 제1 부분을 통과하며; 제2 부분은, 상기 석재 블록이 굴절되어 제2 공급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바, 즉 상기 제1 부분과 평행하게 연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2개의 공급 방향들은 하나의 축 상에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노후화 도관을 통해 상기 석재 블록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유닛이 더 제공된다.
"기계가공을 받을 측면"의 특징은 그 전체 측면이 기계가공을 받음이 필수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많은 용례들의 경우에, 기계가공을 받을 상기 측면를 경계짓는 석재 블록 모서리들이 기계가공을 받는 것으로 이미 충분하다. 석재 블록 모서리들만의 기계가공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에 대응되는, 경계지어진 측면의 기계가공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결과가 특히 석재 블록의 측면의 효과적인 노후화임을 인지하였다. 본 발명은 임의의 석재 블록의 측면의 기계가공에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스플릿 블록들, 특히 나중 단계에서 보이게 될 스플릿 블록의 면을 기계가공함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석재 블록의 기계가공을 받을 측면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전면 모서리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후면 모서리의 기계가공 또는 노후화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노후화를 위해 요구되는 에너지는 진동 유닛에 의해 공급되는데, 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석재 블록들이 위에 놓여진 상기 지지대 밑에 배치된다. 상기 진동 유닛은 하나 이상의 진동 부조립체(subassembly)들을 구비할 수 있다. 진동 테이블(vibration table)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 지지대에 의해 위쪽으로 상기 석재 블록들이 밀리는 그러한 방식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고 밝혀져 있다. 따라서 상기 석재 블록들은 상기 노후화 도관 내에서 위쪽으로 점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은 수직 방향으로 발생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상기 진동 유닛이 상기 수직 성분에 추가적으로나 대안적으로, 측방향(lateral) 진동 및/또는 상기 공급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의 진동도 발생시킴도 가능하다. 그러나 그 주된 진동 방향은 수직 방향으로 됨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 및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를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충격면을 구비하고 지지대 위에 구성된 노후화 도관으로 인하여, 두 수평 모서리들 모두는 기계가공을 받고 따라서 노후화된다. 이것은 상기 노후화 도관 내의 석재 블록들이 진동 에너지, 특히 바람직하게는 주로 위아래 방향의 진동 에너지로 인해 점프함으로써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와 함께 상기 석재 블록이 위쪽으로 밀릴 때 상기 석재 블록들은 상기 제2 충격면 상에 충격을 가한다. 다시 떨어질 때, 뿐만 아니라 바깥으로 밀릴 때, 상기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는 상기 제1 충격면 상에 충격을 가한다. 원하는 노후화 결과는 진동의 강도(intensity)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노후화 결과는 진동의 지속시간(duration)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 및 상기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는 따라서 요구되는 바에 따라 자유로이 노후화될 수 있다.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모서리들의 노후화를 위해, 적어도 2개의 부분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부분(portion)들을 구비한 상기 노후화 도관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석재 블록은 초기에는 제1 공급 방향으로 제1 부분을 통과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지는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므로 상기 석재 블록은 그것의 공급 방향에서 굴절되어 제2 공급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선행하는 석재 블록이 후행하는 석재 블록과의 관계에서 그 방향을 바꿈으로 이어진다.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방향(왼쪽으로 또는 오른쪽으로)에 의존하여, 상기 석재 블록의 2개의 수직 후면 석재 블록 모서리들 중 하나는 다른 수직 후면 석재 블록 모서리와의 관계에서 보았을 때 뒤쪽으로 이동할 것이다. 상기 공급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석재 블록의 하나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모서리는 따라서 다른 석재 블록 모서리에 비해 후위 방식(rearward manner)으로 돌출(project)된다. 이것은 후행하는 석재 블록이 상기 선행하는 석재 블록의 후위로 돌출된(rearward projecting) 수직 석재 블록 모서리를 가격함(striking)으로 이어진다.
그것은 특히 상기 선행하는 석재 블록의 후위로 돌출된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모서리 상에 충격을 가하는 상기 후행하는 석재 블록의 동일면 상에 구성된 상기 후행하는 석재 블록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전면 모서리임이 실험들로 확증되어 왔다. 이것은 선행하는 석재 블록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후면 모서리 및 후행하는 석재 블록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전면 모서리를 서로 노후화시킴의 결과를 갖는다. 진동의 강도(intensity)에 따라, 그리고 상기 노후화 도관의 서로 각도를 이루는 상기 2개의 부분들에 의해 얼마나 큰 만곡(bend) 또는 방향의 변화가 발생되는지에 따라, 상기 2개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모서리들 상에서 거의 모든 노후화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모서리들의 노후화가 상기 석재 블록들 자체에 의해 발생됨이 유리하다. 이 방식으로 돌 드럼(stone drum) 내에서의 노후화와 매우 근접하거나 이를 초과하는 노후화된 외양(appearance)을 달성함이 가능하다. 그 이상의 재료(material)들이 사용되지(involved) 않으므로, 상기 노후화 도관의 마멸(wear and tear)도 이런 점에서 낮다.
상기 후행하는 석재 블록의 경우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전면 석재 블록 모서리의 노후화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선행하는 석재 블록에 의해 달성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후행하는 석재 블록의 경우에 또다른 후행하는 석재 블록에 의해 전자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후면 돌 모서리도 노후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간단한 조치를 사용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전면 모서리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후면 모서리가 기계가공을 받거나 노후화됨을 가능하게 만든다. 이것은 상기 노후화 도관 내의 단일의 방향 변화만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미 언급해왔던 바와 같이,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모서리들(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 및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도 상기 충격면들에 의해 노후화된다. 따라서 노후화될 측면을 포위하는(encircling) 모든 모서리들이 노후화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노후화될 측면은 나중 단계에서 예를 들어 벽 속의, 특히 전자가 스플릿 블록인 경우에, 가시면(visible face)을 의미한다. 많은 경우들에 있어, 나중 단계에서 상기 석재 블록의 상기 측면 또는 상기 가시면을 포위하거나 경계짓는 전술한 측면 모서리(side edge)들에 대해서만 노후화됨으로 충분하다. 만약 기계가공을 받을 측면으로부터 다른 쪽을 면한(face away) 상기 석재 블록의 측면도 노후화시키는 것이 의도라면, 이는 하기의 조치의 수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2개의 측면들의 노후화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3 부분을 구비한 상기 노후화 도관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부분(303)은 상기 제2 부분(302)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어, 그 후 상기 석재 블록(2)이 굴절되어 제3 공급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석재 블록이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 부분 속으로 이동될 때 상기 석재 블록에 부여되는 굴절(deflection)은 상기 석재 블록이 상기 제2 부분으로 들어갈 때의 굴절과는 반대 방향으로 발생됨이 규정될(provided)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석재 블록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제2 부분 속으로 이동할 때 왼쪽을 향해 굴절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제3 부분 속으로 이동할 때 오른쪽을 향해 굴절될 수 있다(또는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임). 이것을 인해, 상기 석재 블록의 상기 제1 굴절 또는 상기 제1 방향 변화의 프로세스(process)에서는 노후화되지 않았던 상기 석재 블록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모서리들이 노후화됨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부분의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각도를 이룬 배치를 통해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굴절이 다시 거꾸로 됨이 규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공급 방향이 상기 제1 공급 방향에 대응됨, 즉 상기 공급 방향들이 서로 평행하게 계속됨이 규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선택적인(optional) 것이다. 이 유형의 설계는, 특히 상기 지지대 상의 상기 노후화 도관을 특히 공간절약 방식으로 배치하기에, 또는 가능한 한 예컨대 컨베이어 스탬프(Forderstempels)와 같은 공급 부재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노후화 도관을 통해 상기 석재 블록들을 밀어넣기에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수평(horizontal) 석재 블록 모서리들(2개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들 및 2개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들)의 노후화를 위해 이미 설명된 제1 충격면 및 제2 충격면에 덧붙여, 추가적으로 노후화되어야 할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모서리들을 각각 향하는 제3 충격면 및 제4 충격면이 제공됨이 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 또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라는 용어들은, 상기 석재 블록이 상기 노후화 도관을 통해 이송되는 중에 상기 석재 블록에 수평으로 또는 측방향으로(laterally)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들 및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들, 즉 상기 공급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들 및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 석재 블록의 전면 및 후면 상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모서리들, 즉 상기 공급 방향에 가로로(transversely) 연장되는 석재 블록 모서리들도 노후화됨은 일반적으로 중요하지 않다. 상기 가로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모서리들은 그것들이 상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들 및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들과 교차하는 영역(region) 내에서만 실질적으로 노후화된다.
상기 제1 충격면 및/또는 상기 제2 충격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측벽을 상기 노후화 도관이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서 단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측벽이 하부로부터 상부로 원호의 형상으로 연장됨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바람직하게는 분할된 원 또는 반원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채널로서, 또는 또는 길이방향으로 잘린 파이프 단편(pipe piece)으로서 구성되어, 파이프 단편의 부분이 생성(creat)될 수 있다. 채널들 또는 길이방향으로 잘린 여러 파이프 단편들은 본 발명의 구현(implementation)에 특히 적합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한편으로는, 그것들은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잘린 파이프 단편 또는, 일반적인 용어로는 그것의 단면에서 보았을 때 분할된 원의 형상을 갖는 파이프 단편의, 형태의 결과로서, 상기 노후화 도관을 통해 이송될 석재 블록은 그것의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의 영역에서 그리고 그것의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의 영역에서 감싸여진다. 상기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 및 상기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를 노후화시키는 대응되는 충격면들은 간단한 설계로써 이 방식으로 파이프 단편의 부분 상에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 및 상기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가 연마 요소들을 문지르거나(rub) 충격을 가하는 방식으로 상기 연마 요소들이 위에서 언급된 상기 파이프 단편의 부분들 중 하나 안에 배치된 때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상기 연마 요소들은 예를 들어 용접 비드들 등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파이프 단편이 금속 파이프 단편인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 석재 블록이 상기 노후화 도관을 통과하는 때에 석재 블록의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와 상기 석재 블록의 측면 및 하부면의 인접하는 부분-면들 둘 모두를 감싸도록 상기 제1 충격면이 거기에서 구성되게, 상기 측벽의 하부 영역(region)이 굽혀짐이 일반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측벽의 상부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와 상기 석재 블록의 측면 및 표면의 인접하는 부분-면들 둘 모두를 상기 상부 영역이 감싸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유형의 구성은, 만약 특히 분할된 원의 형상, 또 예를 들면 반원 형상인 파이프 단편의 형태로 된 대응되는 굽혀진 측벽이 사용된다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의 금속, 특히 강철을 사용한 구성은 특히 적합하다.
상기 충격면들이 연마 요소들 및/또는 팁들 및/또는 돌출부들 및/또는 용접점들 및/또는 용접 비드들 또는 용접 심(welding seam)들 및/또는 불규칙 구조물을 갖도록 구성됨이 일반적으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일 고안(refinement)에 있어, 상기 지지대(1)의 진동 움직임으로 인하여, 기계가공될 상기 석재 블록의 상기 측면(200)의 경사면들 및/또는 오목한 부분(recess)들 및/또는 모서리(angle)들이 추가적 충격 부재들(12) 상에 충격을 가하도록, 상기 추가적 충격 부재들(12)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적 충격 부재들은 고정식으로 위치됨 및/또는 제어된 방식으로 위치조정가능(positionable)하다.
상기 충격 부재들 및/또는 충격가함을 위해 의도된 그것들의 충격 지점들은 그것들의 특정 구성과는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부터, 특히 경성의(hard) 금속, 예를 들어 강철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격 부재들은 접시(Schuppen) 또는 슁글(Schindeln)의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접시들 및 슁글들에 의해 형성된 그것들의 표면이 재료 유동(flow)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충격 부재들이 향하게 되므로, 상기 석재 블록들이 그것들 위에 충격을 특히 매우 잘 또는 강하게 가한다. 상기 충격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측벽 상에, 예를 들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충격 부재는 상기 측벽 내의 또는 상기 노후화 도관 내의 개구를 통해 상기 석재 블록들의 이송 경로 내로 돌출될 수도 있다. 상기 충격 부재들은 탄성 또는 유연성을 갖거나 탄성적으로 또는 유연성 있게 고정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 부재들은 상기 석재 블록들의 코너(corner)들 또는 모서리(edge)들만이 상기 충격 부재들 상에 충격을 가하는 방식으로 설계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충격 부재들이 상기 석재 블록의 공급 경로/이송 경로 내로 돌출되어, 상기 충격 부재가 기계가공을 받을 측면도 기계가공하는 정도까지, 또는 상기 측면의 적어도 원하지 않은 돌출부들 또는 볼록한 부분(bulge)들이 기계가공을 받는 정도까지, 이송에 이용가능한 상기 도관이 수축됨(constricted)이 유리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지지대의 진동 움직임으로 인하여, 기계가공될 상기 측면의 경사면들 및/또는 오목한 부분들 및/또는 모서리들 및/또는 볼록한 부분(bulge)들 및/또는 돌출부들이 추가적 충격 부재들 상에 충격을 가하는 방식으로, 탄성(elastic) 또는 유연성 요소(flexible element)에 의해 위치되는 상기 추가적 충격 부재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상기 석재 블록들이 상기 충격 부재들에 대해 눌려지도록 상기 추가적 충격 부재들에 의해 상기 노후화 도관이 수축되며(constricted), 상기 석재 블록이 상기 노후화 도관을 통하여 상기 공급 방향으로 이송될 때 상기 탄성 또는 유연성 요소로 인해 상기 충격 부재들은 회피(ausweichen)한다.
상기 탄성 또는 유연성 요소는 임의의 유형의 스프링 또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블록의 형태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 부재들은 진동함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노후화 도관은 적어도 한 쌍의 충격 부재들을 구비하고, 상기 충격 부재들 사이로 상기 석재 블록이 통과하도록, 제1 충격 부재는 기계가공을 받을 측면을 향하고 제2 충격 부재는 기계가공을 받을 측면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는(face away) 상기 석재 블록의 측면을 향함이 유리하다. 상기 노후화 부재(aging member)들의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는, 상기 충격 부재들이 측벽의 개구를 통해 상기 석재 블록들의 공급 경로 내로 도입될 수 있도록 상기 측벽이 상기 개구를 구비함을 규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충격 부재들이 상기 노후화 도관의 시작부(beginning)에 또는 바람직하게는 단부(end)에 위치됨도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충격 부재들의 특히 유리한 구성에는, 상기 충격 부재들이 실질적으로 원통형 방식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경우에 있어 상기 충격 부재들이 수직 회전 축(rotation axle)을 중심으로 배치됨이 규정된다. 여기서의 배치는 상기 원통형 충격 부재가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축이 수직으로 연장되고, 따라서 상기 원통형으로 구성된 충격 부재가 수직으로 연장됨이 유리하다. 여기서 유리하게는, 상기 충격 부재가 기계가공을 받을 상기 석재 블록의 측면의 높이에 걸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충격 부재의 높이는 상기 노후화 도관을 통한 석재 블록의 이송에 이용가능한 높이에 대략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원통형으로 설계된 충격 부재가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함으로 인하여, 상기 충격 부재가 공급 방향으로 이동되고 있는 석재 블록과 접촉하게 될 때, 상기 충격 부재는 회전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상기 석재 블록은 그것의 공급 방향에서 방해받지 않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여전히 상기 충격 부재에 의해 연마식(abrasive manner)으로 기계가공된다. 상기 원통형으로 설계된 충격 부재 또는 그것의 회전 축이 탄성(elastic) 또는 탄력성(resilient) 방식으로 배치되어, 상기 충격 부재가 상기 볼 블록과 접촉하게 될 때 선택적으로 후위로 물러나거나 회피하도록 함이 유리하다.
상기 노후화 도관은 상기 제1 측벽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측벽을 구비함이 유리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노후화 도관의 측벽들을 형성한다.
개념적으로 상기 제2 측벽은 이미 설명된 상기 제1 측벽 같이 설계된다. 그런데, 상기 제2 측벽은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또는 굽혀지지 않게 또는 평탄하게 연장되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측벽으로부터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석재 블록의 두 측벽들 모두의 기계가공이 의도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측벽에 연마 요소들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제2 측벽은 경계짓는 목적으로만, 또는 양 쪽으로 경계지어진 노후화 도관을 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즉, 상기 노후화 도관에서 상기 석재 블록들이 빠져나옴을 피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측벽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측벽에 실질적으로 거울상을 이루는 방식(mirror-imaged manner)으로 구성됨이 유리하다.
상기 제1 측벽에 관하여 이미 설명된 방식으로 - 두 측벽들이 파이프 단편의 부분들로서 구성될 때 특히 유리한 구성의 결과가 된다. 두 측벽들 모두가 조립된 때에 전체적으로 닫힌 파이프를 형성함이 여기서 규정될 수 있다. 그런데, 길이방향 슬롯이 특히 상기 파이프의 상부면 상에 머묾이 규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범위 내에서는 대부분의 경우들에서 상기 석재 블록의 상부면은 기계가공을 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이 영역 내에 재료(material)을 투자(invest)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라 초기에는 기계가공을 받을 측벽의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에 인접하는 영역 내에서 단지 상기 석재 블록의 상부면이 기계가공을 받음이 규정된다.
상기 측벽들은 파이프 단편 또는 파이프 단편의 2개 부분들에 의해 구성됨이 유리하다. 더욱이 상기 노후화 도관의 부분(portion)들이, 각각 파이프 단편 또는 파이프 단편의 적어도 2개의 부분들에 의해 구성됨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1 부분(301)과 상기 제2 부분(302) 사이의 각 및/또는 상기 제2 부분(302)과 상기 제3 부분(303) 사이의 각도 또는 더 뒷따르는 부분들 사이의 각도는 5°와 70° 사이이며, 바람직하게는 20°와 60° 사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20°와 45° 사이임이 규정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이송 유닛은, 연속하여 배치된 복수 개의 개별 석재 블록들에 의해 형성된 석재 블록들의 열(row)을 상기 노후화 도관 내에 또는 상기 노후화 도관을 통해 도입 또는 이송함이 유리하다.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석재 블록들을 예를 들어 연속적 방식으로 또는 간격을 두고 상기 노후화 도관을 통해 이송할 수 있다.
예컨대 컨베이어 스탬프(Forderstempels), 컨베이어 벨트 또는, 결합하여 연장되는 이송 부재를 통한 상기 이송 유닛의 구성은 본 발명의 맥락에 있어서는 중요하지 않다. 선형 방식으로 변위가능하고 상기 노후화 도관을 통해 상기 석재 블록들을 밀어넣는 컨베이어 스탬프(Forderstempels)가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부분(portion)들의 각도를 이룬 배치가 설계됨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구성에서는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대가 기울어진 방식으로 연장되어서, 즉, 공급 방향으로 아래를 향해 경사져서; 상기 석재 블록들이 더 이상의 임의의 이송 유닛 없이, 또는 이송 유닛에 의한 대응되는 하부 지지대(lower support)를 갖고, 상기 노후화 도관을 통하여 이동하도록 규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전진 운동 또는 원하는 공급 방향의 상기 석재 블록들의 운동을 일으키는 대응되는 방향의 진동도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이프의 형태를 가지고, 선택적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열린 상부면을 갖는 2개의, 바람직하게는 3개의 도관 부분들이 서로 각도를 이루는 방식으로 놓인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구현(implement)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 형태로 설계된 상기 부분들은 금속으로부터 구성됨이, 그리고 서로 용접되거나 나사 연결되거나(screwed) 또는 리벳 연결(riveted)됨이 유리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의 관계에서 왼쪽으로 또는 오른쪽으로 굽혀질 수 있으며, 상기 제3 부분은 이에 따라 각각 상기와 다른 방향으로 왼쪽으로 또는 오른쪽으로 굽혀질 수 있다. 상기 파이프 형태의 부분(portion)들은 예를 들어 원통들의 2개의 절반들을 이용하여 조립될 수도 있다. 비교적 작은 석재 블록들의 만족스러운 노후화를 위해서 또는, 선행하는 석재 블록의 후면 수직 모서리가 후행하는 석재 블록의 전면 수직 모서리 상에 충분히 충격을 가하거나 연마함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부분들의 다수의 만곡이 특별히 적합하다고 밝혀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석재 블록들은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인 방식으로 밀어넣어진다. 충격면들은 본 발명에 따라 지정된 위치들 상의 용접 심들을 통하여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노후화 도관들이 각 경우에 있어 석재 블록들의 열(row)에 대해 상기 지지대 상에 구성됨이 유리하다. 공간 요구치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노후화 도관들은 서로 밀접하게 놓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거나 경사져서 연장되어, 각을 이룬 만곡으로 인해 상기 제2 부분이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만곡이 다시 상기 제3 부분에서 거꾸로 되도록 함이 유리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상기 지지대의 폭은 최소화된다.
노후화 도관들에서 나온 후에 상기 노후화된 석재 블록들이 다시 서로 합쳐져서 그것들이 겹겹이(in layers) 앞으로 운송될 수 있도록 함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여기에서 스플릿 블록들을 제조하는 장치와 결합됨이 규정될 수 있다.
석재 블록들, 특히 콘크리트 블록들, 클링커 벽돌들 및, 자연석 블록들의 인공적 노후화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는, 지지대 상에 배치되고 그 위에 석재 블록들이 하부면과 함께, 기계가공을 받을 상기 석재 블록의 측면이 옆쪽을 향하는 방식으로 놓여질 수 있는, 노후화 도관을 상기 석재 블록들이 통과함이 규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에는, 상기 석재 블록의 기계가공을 받을 측면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전면 모서리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후면 모서리에 의해 경계지어짐이 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에는, 상기 지지대가 진동하도록 설정됨이 더 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에는, 상기 노후화 도관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충격면 및 하나의 제2 충격면을 가짐 및; 충격면들이 노후화 방식으로 상기 석재 블록 상에 작용하도록 상기 지지대들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석재 블록이 충격면들 상에 충격을 가함이; 더 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에는, 상기 제1 충격면은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를 향함 및; 상기 제2 충격면은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를 향함;이 더 규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충격면은 상기 석재 블록의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에 인접하는 상기 기계가공을 받을 측면의 부분-면(part-face) 및 하부면의 인접하는 부분-면도 기계가공하고, 상기 제2 충격면은,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에 추가적으로, 상기 석재 블록의 상기 측면과 상부면의 인접하는 부분-면들도 기계가공하도록, 상기 제1 충격면 및 제2 충격면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에 따르면, 상기 노후화 도관을 통과하는 석재 블록들은 적어도 1번의 방향 변화들을 겪도록 강제됨이 더 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에는, 공급 방향으로 복수 개의 개별 석재 블록들이 연속하여 배치된 석재 블록들의 열(row)로서 상기 석재 블록들이 상기 노후화 도관을 통하여 이송됨이 더 규정된다.
상기 노후화 도관을 통과하는 석재 블록들이 적어도 2번의 방향 변화들을 겪도록 강제됨이 유리하다.
게다가 상기 석재 블록들의 열(row)은 상기 노후화 도관을 통해 밀어넣어짐이 유리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석재 블록들의 열(row)은 연속적 방식으로 또는 간격을 두고 공급되는 방식으로 상기 노후화 도관을 통과함이 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범위 내에서, 개별적으로나 서로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유리한 고안들 및 구성들이 그 이상의 종속항들로부터 파생된다. 하기에서 예시적 실시예들이 도면들에 의해 개념적으로 도시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2에는 노후화될 석재 블록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3에는 블록으로부터 2개의 스플릿 블록들이 제조되는, 상기 블록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노후화 도관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5에는 상기 노후화 도관의 이송 방향의 도면이 도시된다.
도 6에는 충격 부재들이 제공되는 상기 노후화 도관의 단부 영역(end region)의 도면이 도시된다.
도 7에는 석재 블록이 상기 충격 부재들 사이를 통해 이송 중일 때, 상기 노후화 도관의 상기 단부 영역의 다른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노후화 도관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도 9에는 선행하는 석재 블록과 후행하는 석재 블록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옆 모서리(side edge)들 사이의 충돌을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된다.
도 10에는 상기 노후화 도관의, 제1 부분이 제2 부분과 병합되는 영역의 확대도가 도시된다.
도 11에는 상기 노후화 도관의 충격면들의 대안적 설계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된다.
예시적 실시예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 블록들의 인공적 노후화를 위한 장치가 나타나고 대응되는 방법이 설명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석재 블록들은 스플릿 블록들이라고 불리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거기에 국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하기에서 보여지는 모든 특징들이, 임의의 다른 석재 블록들의 경우에, 특히 자연석 블록들 및 클링커 벽돌들의 경우에도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그것들이 분리된(split) 표면을 갖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무관하다.
도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지지대(1)를 갖는다. 다음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노후화 도관(3)은 상기 지지대(1) 상에 배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더 상세하게 도시되고 하부면(202)을 갖는 석재 블록들(2)은 상부면(201)이 위쪽을 향하는(face) 방식으로 상기 지지대(1) 상으로 놓여지거나 상기 노후화 도관(3) 내로 놓여질 수 있다.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한 재료(material) 유동의 방향인, 석재 블록(2)의 앞에 놓여진 면(face)은 전면(205)을 나타내며 재료 유동의 방향인 석재 블록(2)의 뒤에 놓여진 면은 후면(204)을 나타낸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한 상기 석재 블록들(2)의 재료 유동의 방향은 도 1, 2 및 도 9의 방향 화살표(A)로 도시된다.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석재 블록(2)의 상부면(201)은 상기 석재 블록(2)이 나중 단계에서 건설에 이용되거나 놓이는 때에 상단(top)에 위치한다.
재료 유동(화살표(A)) 및 상기 상부면(201)의 방향과의 관계에서 상기 석재 블록들(2)은 2개의 측면들(200 및 203)을 각각 갖는데, 상기 2개의 측면들은 옆쪽을 향한다. 상기 측면들(200 및 203)은 각각 상기 상기 전면(205) 및 상기 후면(204)과의 관계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각각 상기 상부면(201) 및 상기 하부면(202)으로 연장된다.
두 측면들(200 및 203) 모두의 기계가공은 각각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경우들에서는 아래에서 기계가공을 받을 측면(200)이라고 불릴 일 측면(200)의 기계가공으로 충분할 것이다.
도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스플릿 블록들(2)은 더 큰 블록의 돌(4)을 분리함에 의해 생산된다. 여기서 상기 스플릿 블록들(2)은 측면(200) 상에 실질적으로 부서진 표면을 갖는다. 종종 상기 석재 블록들(2)은 상기 측면(200) 및 인접하는 모서리들만이 보여질 수 있는 방식으로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놓여지기도 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해결법은 상기 기계가공을 받을 측면(200)뿐만 아니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측면(203)도 기계가공을 받을 때에도 적합하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일 측면(200)의 노후화뿐만 아니라 두 측면들(200 및 2003) 모두의 유사한 노후화에도 각각 적합하다.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플릿 블록(2)의 상기 기계가공을 받을 측면(200)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200a),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200b),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전면 모서리(200c)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후면 모서리(200d)에 의해 경계지어진다. 상기 석재 블록(2)이 상기 노후화 도관(3) 내로 도입되면, 상기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200a) 및 상기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200b)는 재료 유동의 방향(A)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재료 유동의 방향(A)은 주된(main) 공급 방향을 실질적으로 나타낸다.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보여질 바와 같이,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과하는 석재 블록들이 2번의 방향 변화들을 겪도록 상기 노후화 도관(3)이 설계됨이 규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석재 블록들(2)이 전체적으로는 상기 노후화 도관(3)과의 관계에서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가 움직이도록 설정하기 위해 진동 유닛(5)이 제공된다. 상기 진동 유닛(5)은 임의의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깅 모터(jogging motor)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의 움직임은 도 1에서 양방향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다.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1)는, 그 위에 놓여진 석재 블록들(2)이 실질적으로 진동에 의하여 위아래로 움직이는 방식으로 움직이는바, 즉 그것들은 상기 지지대(1) 상에서 또는 상기 노후화 도관(3) 내에서 "점프(jump)"한다. 따라서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서 움직임의 방향은 재료 유동의 방향에 수직이거나 상기 지지대(1)에 수직인 움직임이다.
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선택적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1)의 회전가능한 탑재(mounting)가 규정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원호의 형상으로 상기 지지대(1)가 움직임(movement)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1)가 회전 축(axle) 또는 회전 샤프트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탑재됨이 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1) 상에 놓인 석재 블록들2)은 재료 유동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옆으로, 즉 왼쪽으로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도 1, 4, 5, 6, 7 및 도 11로부터, 특히 도 10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노후화 도관(3)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충격면들(6) 및 제2 충격면들(7)을 갖는다. 상기 지지대(1) 또는 상기 진동 유닛(5)의 움직임으로 인해, 상기 충격면들(6, 7)이 상기 석재 블록(2) 상에 작용하여 노후화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스플릿 블록들(2)이 상기 충격면들(6, 7) 상에 충격을 가한다. 상기 도면들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충격면(6)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200a)를 향하고, 상기 제2 충격면(7)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200b)를 향한다. 상기 제1 충격면(6)은 따라서 상기 노후화 도관(3)의 하단(bottom)에 구성되며, 상기 제2 충격면(7)은 상기 노후화 도관(3)의 상단에 구성된다.
진동으로 인하여 상기 석재 블록들(2)이 위쪽으로 점프하는 때에 상기 석재 블록들(2)은 상기 제2 충격면(7) 상에 충격을 가하며, 상기 석재 블록들(2)이 아래쪽으로 다시 떨어지거나 진동으로 인하여 위쪽으로 밀리는 때에 상기 석재 블록들(2)은 상기 제1 충격면(6) 상에 충격을 가한다.
상기 제1 충격면(6)은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200a)에 인접하는 측면(200)의 부분-면 및 상기 석재 블록(2)의 하부면(2002)의 인접하는 부분-면도 기계가공을 받도록 배치된다. 상기 부분-면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200a)에 인접하는 각각 상기 하부면(202) 또는 상기 측면(200)의 모서리 띠(edge strip)들이다.
상기 제2 충격면(7)은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200b)에 추가적으로 상기 석재 블록(2)의 측면(200) 및 상부면(201)의 인접하는 부분-면들도 기계가공을 받도록 배치된다. 상기 부분-면들은 모서리 띠(edge strip)들일 수 있다.
상기 노후화 도관(3)은 적어도 2개의 부분들(301, 302)을 가짐이 유리하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노후화 도관(3)은 적어도 3개의 부분들(301, 302 및 303)을 가짐이 규정된다. 여기서 상기 석재 블록(2)은 제1 공급 방향으로 상기 제1 부분(301)을 통과함이 규정된다. 상기 석재 블록(2)이 상기 제2 부분(302)에 의해 그 공급 방향에서 굴절되어 제2 공급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여기서 상기 제2 부분(302)은 상기 제1 부분(301)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어 배치되거나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는바, 즉 상기 제1 부분(301)에 평행하지 않다.
상기 제3 부분(303)은 상기 제2 부분(302)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면 연장되어, 상기 스플릿 블록(2)은 다시 굴절되어 제3 공급 방향으로 이동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공급 방향은 적어도 대략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정확하게 상기 제1 공급 방향에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 석재 블록(2)은 상기 지지대(1)에 의해 미리 결정된 평면 내에서 상기 제2 부분(302)에 의해 옆으로 굴절되며;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서, 재료 유동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는 왼쪽으로 굴절된다. 상기 제3 부분(303)에서 상기 석재 블록(2)은 상기 지지대(1)의 평면 내에서 다시 옆으로 굴절되며;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오른쪽으로 굴절된다.
2번의 방향 변화들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석재 블록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굴절됨이 유리하다.
상기 부분들(301, 302 및 303)을 통과할 때 상기 석재 블록들(2)에 의해 수행되는 방향 변화는, 개념적으로 도시된 도 9 및 도 8로부터 특히 잘 드러나고 노후화에 중요한 효과를 갖는다.
2개 (또는 더 많은) 석재 블록들(2)이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과할 때 상기 석재 블록들의 굴절은, 선행하는 석재 블록(2)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후면 모서리(200d)가 후행하는 석재 블록(2)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전면 모서리(200c) 상에 충격을 가함으로 이어진다. 이로 인하여 두 모서리들(200d, 200c) 모두가 노후화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의 진동으로 인하여 노후화 효과가 더 증가된다. 충돌은 도 9에서 특히 잘 보여질 수 있다. 후행하는 석재 블록(2)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전면 모서리(203c)와 선행하는 석재 블록(2)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후면 모서리(203d) 사이의 충돌은 다시 상기 제3 부분(303)으로 인해, 즉 반대 방향의 제2의 방향 변화로 인해 달성됨이 도 9 및 도 8로부터 명백하다. 상기 노후화 도관(3)이 3개의 부분들을 갖는 경우, 즉 상기 노후화 도관(3)이 상기 석재 블록들(2)의 방향 변화를 2번 강제하는 경우, 따라서 상기 석재 블록(2)의 모든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모서리들이 인접하거나, 선행하거나 또는 후행하는 석재 블록과의 충돌을 통해 전체적으로 노후화됨이 달성된다.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해 상기 석재 블록들(2)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유닛(8)이 제공됨이 유리하다. 명확성을 위해, 이송 유닛(8)에 의해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하여 이동되는 복수 개의 석재 블록들(2)이 도 8 및 도 9에만 도시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송 유닛(8)은 임의의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 유닛(8)은 스탬프(8a)를 구비함이 규정된다. 상기 스탬프(8a)의 적합한 배치 및, 이에 대응되는 작은 치수로 인해(도 8a에 미도시) 상기 스탬프(8a)가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해 거의 전체적으로 밀어넣어질 수 있음이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서로에 대한 관계에서의 개별 부분들(301, 302 및 303)의 각도 위치(angular positioning)에, 그리고 그것들 각각의 길이들에 의존할 수도 있다.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한 상기 석재 블록들(2)의 이송에 대해 다수의 변형들이 생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대(1) 위에 배치된 체인 컨베이어(chain conveyor)로서, 위로부터 상기 노후화 도관(3) 내로 맞물리고 상기 석재 블록(2)과 함께 앞으로 움직이는 대응되는 푸시 링크(push link)들이 상기 체인 컨베이어 상에 배치되는, 체인 컨베이어도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노후화 도관(3)은 하나의 제1 측벽(9) 및 하나의 제2 측벽(10)을 가짐이 규정된다. 여기서 상기 측벽들(9, 10)은 단면으로 보았을 때 원호의 형상으로 생기거나, 하부로부터 즉 상기 지지대(1)에서 보았을 때 상부로 원호의 형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측벽들(9, 10)은 단면으로 보았을 때 분할된 원을 구성함이 규정된다.
길이방향(longitudinal direction)의 채널로서 또는 하나의 파이프 컷으로서의 측벽들(9, 10)의 구성은 특히 적합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상기 측벽들(9, 10)은 예컨대 플레이트-형태의 요소에 의해 하부 영역에서 서로 연결됨이 규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측벽들(9, 10)은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상부 영역에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측벽들(9, 10)은 상기 하부 영역 내의 전체 노후화 도관(3)에 걸쳐 2차원적으로 서로 연결됨이, 오목한 부분(Vertiefung)이나 구멍들을 통해 상기 석재 블록들(2)이 이송될 때 막힘이 발생할 수 있는 상기 오목한 부분이나 구멍들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므로, 유리하다고 밝혀져 있다. 상기 측벽들(9, 10)의 상부 영역 내에서의 연결은 그 자체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리할 수 있다. 자료를 절역하기 위해, 그리고 적용가능하다면 노후화 프로세스를 관찰하기 위해 상기 상부 영역 내의 상기 측벽들(9, 10)의 연결은 부분적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벽(9) 및 상기 제2 측벽(10)은 공통 파이프로부터 만들어짐이 나타난다. 이것은 선택적 조치이다. 이 경우에, 상기 지지대(1)를 향하는, 상기 노후화 도관(3)의 바닥은 상기 측벽들(9, 10)을 구성하는 파이프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노후화 도관(3)의 특정 설계는 노후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중대한 중요성을 갖는 것은 아니다.
상기 노후화 도관(3)의 바닥은 상기 지지대(1)에 의해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에는 대안적 구성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충격면(6) 및 상기 제2 충격면(7)은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200a) 또는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200b)를 향하는 플레이트들에 의해서만 각각 형성될 수 있음이 규정된다. 상기 충격면들 또는 상기 충격면들을 구성하는 플레이트들은 상기 석재 블록(2)의 상부면(201) 및 하부면(202) 둘 모두와의 관계에서 각각 각도를 이루고, 또 측면(200)에 대하여 각도를 이룬다. 따라서, 위에서 이미 설명되고, 상기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와 상기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에 인접하는 모서리 띠들이 각각 공동으로(conjointly) 기계가공을 받거나 노후화됨이 달성된다. 도 11에는, 상기 노후화 도관(3)이 상기 충격면들(6, 7)로써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모서리들(200a, 200b)를 노후화함에 있어 상기 노후화 도관(3)이 특정 설계에 의존하지 않음이 보여진다. 도 11에서는, 측면(200) 및 측면(203) 둘 모두의 상기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들 및 상기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들도 기계가공을 받을 수 있는, 2개의 제1 충격면들(6, 6’) 및 2개의 제2 충격면들(7, 7’)이 도시된다. 이것도 또 선택적이다.
상기 제1 측벽(9)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2 측벽(10)도 각각 충격면들(6, 7 또는 6’, 7’)을 가짐이 유리하다.
상기 충격면들(6, 7)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후화 도관(3)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그러나, 상기 충격면들(6, 7)이 상기 노후화 도관(3)의 일부 길이에 걸쳐서만 연장되거나 하나 이상의 부분들(301, 302 또는 303)에 걸쳐서만 연장됨이 규정될 수도 있다.
도 10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측벽(9)의 하부 영역은 거기에서 구성되는 상기 제1 충격면(6)이 석재 블록(2)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200a)와 상기 석재 블록(2)의 측면(200) 및 하부면(202)의 인접하는 부분-면들 둘 모두를 감싸는 방식으로 굽혀짐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측벽(9)의 상부 영역은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200)와 상기 석재 블록(2)의 측면들(200) 및 상부면(201)의 인접하는 부분-면들 둘 모두를 감싸는 방식으로 설계됨이 더 규정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굽혀진 상기 측벽(9)의 구성은, 상기 측벽(9)이 파이프 또는 파이프 단편의 부분인 때에는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그런데 굽혀진 측벽(9)은 다른 수단으로써도, 예컨대 예컨대 금속 시트(sheet)를 굽힘에 의해서 또는 다른 형성 프로세스들에 의해서도 성취될 수 있다. 두 측벽들(9, 10) 모두가 동일하게 설계됨이 도 10에 도시된다. 이것도 또 선택적이다.
상기 충격면들(6, 7)은 연마 요소들 및/또는 팁들 및/또는 돌출부들 및/또는 용접점들 및/또는 용접 비드들 및/또는 불규칙 구조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도 10으로부터 특히 명백한 바와 같이, 용접 비드들(11)의 구성은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노후화 도관(3)은 실질적으로 금속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경성 금속, 특히 바람직하게는 강철로부터 구성된다. 특히 상기 노후화 도관(3)의 적어도 상기 측벽들(9 및/또는 10)은 금속으로부터 구성됨이 유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충격면들(6, 7)에는 용접 비드들(11)이 갖춰질 수 있으며, 또는 이에 부합되게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격면들(6, 7)에는 앞서 언급된 연마 요소들, 용접 비드들(11) 등이 불규칙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0에 용접 비드들(11)의 규칙적 배치가 도시됨은 간략화된 도시를 위한 것일뿐이다. 따라서, 예시적 실시예는 거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지지대(1)의 진동 움직임으로 인하여 상기 기계가공을 받을 측면(200)의 경사면들 및/또는 오목한 부분들 및/또는 모서리들이 추가적 충격 부재들 상에 충격을 가하도록, 고정식으로 위치되는 및/또는 제어된 방식으로 위치조정가능한 상기 추가적 충격 부재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 이것은 측면(203)에 대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충격 부재들은 임의의 방식으로 설계되어 상기 스플릿 블록들(2)의 공급 경로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추가적 충격 부재들(12)의 가능한 구성은 도 4, 6, 7 및 도 8에서 제공된다. 여기서, 한 쌍의 충격 부재들(12)이 제공된다. 상기 충격 부재들(12) 중 하나는 여기서 측면(200) 상에 작용하고, 다른 하나는 측면(203) 상에 작용한다. 그러나 이것은 선택적이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1)의 진동 움직임으로 인하여, 기계가공될 상기 측면들(200, 203)의 경사면들 및/또는 오목한 부분들 및/또는 모서리들 및/또는 볼록한 부분(bulge)들 및/또는 돌출부들이 추가적 충격 부재들 상에 충격을 가하는 방식으로, 탄성(elastic) 또는 유연성 요소(flexible element)(13)에 의해 상기 충격 부재들(12)이 위치됨이 마찬가지 선택적으로 규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충격 부재들(12)은 추가적으로 진동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상기 지지대(1)의 진동으로 충분하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 또 선택적으로 - 상기 석재 블록들(2)이 상기 충격 부재들(12)에 대해 눌려지는 방식으로 상기 충격 부재들(12)이 이용가능 공간, 특히 상기 노후화 도관(3)의 폭을 수축시키고, 여기서 상기 석재 블록(2)이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하여 공급 방향으로 이송될 때 상기 탄성 또는 유연성 요소들(13)로 인해 상기 충격 부재들(12)이 회피할 수 있음이 도시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 부재들(12)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14)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석재 블록(2)이 상기 충격 부재들(12)과 접촉하게 될 때, 상기 충격 부재들(12)은 따라서 상기 축(14) 상에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석재 블록(2)을 통한 이송은 간략화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충격 부재들(12)은 측면들(200, 203)을 노후화시킨다. 상기 충격 부재들(12)의 위치는 석재 블록들(2)의 폭에 의존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노후화 도관(3)은 만약 필요하다면 수축되거나 넓혀질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충격 부재들(12)은 상기 노후화 도관(3) 내에서 자유로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노후화 도관(3)이 상기 충격 부재들(12)의 삽입에 적합한 개구들을 구비함이 규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한 또는 상기 노후화 라인(aging line)을 통한 가이드(guide)가 더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충격 부재들(12)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후화 도관(3)의 단부 또는 시작부에 배치됨도 가능하다.
상기 노후화 도관(3)의 부분들(301, 302 및 303)은 각각, 파이프 단편 또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연결된 파이프 단편의 적어도 2개의 부분들에 의해 구성됨이 유리하다.
상기 제1 부분(301)과 상기 제2 부분(302)의 사이 및/또는 상기 제2 부분(302) 및 상기 제3 부분(303) 사이의 각도는 예를 들어 5°와 70° 사이, 바람직하게는 20°와 60° 사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와 45° 사이일 수 있다. 적합한 각도의 선택은 상기 석재 블록(2)의 경도(hardness), 진동의 강도(intensity) 및 원하는 노후화 결과에 의존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 유닛(8)은 석재 블록들(2)이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이송 유닛(8)은 간격을 두고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해 석재 블록들(2)을 이송함도 규정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이송 유닛(8)이 각각 하나 이상의 석재 블록들(2)을 상기 노후화 도관(3) 내로 밀어넣음이 규정될 수 있다. 그 후에 상기 석재 블록들(2)은, 상기 석재 블록들(2)이 재료 유동의 방향(A)으로 이동됨 없이 특정 간격 동안에 노후화될 수 있다. 상기 간격이 끝난 후에 상기 노후화 도관(3) 내로 밀어넣어지는 더 많은 석재 블록들(2)을 이 간격 동안에 상기 이송 유닛(8)이 이용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노후화 도관(3) 내에 이미 위치한 모든 석재 블록들(2)은 재료 유동의 방향(A)으로 앞으로 이송된다.
공급 방향으로 복수 개의 개별 석재 블록들이 연속하여 배치된 석재 블록들d의 열(row)로서 상기 석재 블록들(2)이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하여 밀어넣어짐이 유리하다. 이는 연속적인 방식으로 또는 간격을 두고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후화 도관(3)은 연속하여 배치된 석재 블록들의 열(row)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라인(line)에 각각 적합화됨이 유리하다.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해 개별적으로 석재 블록들(2)을 연속적으로 밀어넣음이 특히 유리하다고 밝혀져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2개, 3개, 4개, 5개 이상의 노후화 도관들(3)이 하나의 지지대(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공간-절약 배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노후화 도관들(3)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함이 유리하다고 밝혀져 있다. 하나의 지지대(1) 상의 복수 개의 노후화 도관들(3)의 추가적인 구성은 스플릿 블록들(2)이 상기 노후화 도관(3)에서 나온 후에 상기 스플릿 블록들은 신속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서로 합쳐져서 거기로부터 겹겹이(in layers) 운송되는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재료 유동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석재 블록들의 층(layer)은 예를 들어 상기 노후화 도관(3)의 앞에 배치되므로, 분할 후에 상기 개별 노후화 도관들(3)로 밀어넣어지는 라인(line)들로 상기 석재 블록들이 분할될 수 있다.
도 8에서 2개의 다른 노후화 도관들(3’, 3”)은 점선들을 이용하여 도시된다.
상기 석재 블록들(2)이 상기 노후화 도관(3)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노후화 도관(3)이 설계됨이 유리하다. 석재 블록들(2)이 상기 노후화 도관(3),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내에서 위아래로 점프가능하도록 하는 움직임이 제공된다. 석재 블록들(2)이 상기 노후화 도관(3) 내에서 이동가능함으로 인하여 불규칙한 노후화된 외양의 결과도 얻어지는데, 이는 상기 석재 블록들(2)이 불규칙하게, 서로 충격을 가하거나 충격면들(6, 7) 상에 충격을 가하기 때문이다.
예시적 실시예는 상기 석재 블록들(2)의 공간 요구치에 관하여는 개념적 실례(illustration)로 간주되어야만 할 것이다.
상기 노후화 도관(3)은 신속한 연결 시스템을 통해 상기 지지대(1)와 연결가능함이 유리하다. 이로 인해, 또다른 길이 또는 폭 또는 높이를 가진 석재 블록들(2)이 노후화되어야 할 때에 상기 노후화 도관(3)은 신속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교체가능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는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은 채로 남을 수 있다.

Claims (21)

  1. 석재 블록들, 특히 콘크리트 블록들, 클링커 벽돌들(clinker bricks) 및, 자연석 블록들을 인공적으로 노후화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1.1 지지대(1) 및; 상기 지지대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노후화 도관(3)을 포함하고, 석재 블록들(2)은 기계가공을 받을 상기 석재 블록(2)의 측면(200)이 옆쪽을 향하는 방식으로 상기 노후화 도관(3) 상에 놓여질 수 있으며,
    상기 석재 블록의 기계가공을 받을 측면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200a),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200b),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전면 모서리(200c)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후면 모서리(200d)에 의해 경계지어지고

    1.2 상기 지지대(1)를 움직이도록 설정하기 위한 진동 유닛(5);을 더 포함하고

    1.3 상기 노후화 도관(3)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충격면 및 하나의 제2 충격면(6, 7)을 가지며; 충격면들(6, 7)이 노후화 방식으로 상기 석재 블록(2) 상에 작용하도록 상기 지지대들(1)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석재 블록(2)이 충격면들(6, 7) 상에 충격을 가하며; 상기 제1 충격면(6)은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200a)를 향하며, 상기 제2 충격면(7)은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200b)를 향하고; 상기 제1 충격면(6)은 상기 석재 블록(2)의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200a)에 인접하는 상기 측면(200)의 부분-면(part-face) 및 하부면(202)의 인접하는 부분-면도 기계가공하고, 상기 제2 충격면(7)은,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200b)에 추가적으로, 상기 석재 블록의 상기 측면(200)과 상부면(201)의 인접하는 부분-면들도 기계가공하도록, 상기 제1 충격면(6) 및 제2 충격면(7)이 구성되며,

    1.4 상기 노후화 도관(3)은 적어도 2개의 부분들을 가지며; 상기 석재 블록(2)은 제1 공급 방향(indexing direction, Vorschubrichtung)으로 제1 부분(301)을 통과하며; 제2 부분(302)은, 상기 석재 블록(2)이 그 공급 방향에서 굴절되어 제2 공급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제1 부분(301)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고

    1.5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해 상기 석재 블록(2)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유닛(8);을 더 포함하는

    특징들을 갖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후화 도관(3)은 적어도 하나의 제3 부분(303)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고, 제3 부분(303)은 상기 제2 부분(302)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어, 그 후 상기 석재 블록(2)이 굴절되어 제3 공급(indexing)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후화 도관(3)은 상기 제1 및/또는 제2 충격면(6, 7)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측벽(9)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9)은, 단면으로 보았을 때 하부(bottom)로부터 상부(top)로 원호의 형상으로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분할된 원 또는 반원의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9)은 채널로서, 또는 길이방향으로 잘린 파이프 단편으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장치.
  6. 제3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 블록(2)이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과할 때, 석재 블록(2)의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200a)와 상기 석재 블록(2)의 측면(200) 및 하부면(202)의 인접하는 부분-면들 둘 모두를 상기 제1 충격면(6)이 감싸도록 구성되는 방식으로 상기 측벽(9)의 하부 영역이 굽혀지고(bent),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200b)와 상기 석재 블록(2)의 상기 측면(200) 및 상부면(201)의 인접하는 부분-면들 둘 모두를 상기 상부 영역이 감싸는 방식으로 상기 측벽(9)의 상부 영역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면들(6, 7)은 연마 요소들 및/또는 팁들 및/또는 돌출부들 및/또는 용접점들 및/또는 용접 비드(welding bead)들(11) 및/또는 불규칙 구조물(irregular structure)로써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의 진동 움직임으로 인하여, 기계가공될 상기 측면(200)의 경사면들 및/또는 오목한 부분(recess)들 및/또는 모서리(angle)들이 추가적 충격 부재들(12) 상에 충격을 가하도록, 상기 추가적 충격 부재들(12)이 제공되어 고정식으로 위치됨 및/또는 제어된 방식으로 위치조정가능(positionable)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의 진동 움직임으로 인하여, 기계가공될 상기 측면(200)의 경사면들 및/또는 오목한 부분들 및/또는 모서리들 및/또는 볼록한 부분(bulge)들 및/또는 돌출부들이 추가적 충격 부재들 상에 충격을 가하는 방식으로, 탄성(elastic) 또는 유연성 요소(flexible element)(13)에 의해 위치되는 상기 추가적 충격 부재들(12)이 제공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석재 블록들(2)이 상기 충격 부재들(12)에 대해 눌려지도록 상기 추가적 충격 부재들(12)에 의해 상기 노후화 도관(3)이 수축되며(constricted), 상기 석재 블록(2)이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하여 상기 공급 방향으로 이송될 때 상기 탄성 또는 유연성 요소(13)로 인해 상기 충격 부재들(12)은 회피(ausweichen)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부재들(12)은 진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장치.
  11. 제8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후화 도관(3)은 적어도 한 쌍의 충격 부재들(12)을 구비하고, 상기 충격 부재들(120) 사이로 상기 석재 블록(2)이 통과하도록, 제1 충격 부재(12)는 기계가공을 받을 측면(200)을 향하고 제2 충격 부재(12)는 기계가공을 받을 측면(200)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는(face away) 상기 석재 블록(2)의 측면(203)을 향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장치.
  12.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후화 도관(3)은 상기 제1 측벽(9)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측벽(1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9, 10)은 파이프 단편 또는 파이프 단편의 2개의 부분들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노후화 도관(3)의 부분들(301, 302, 303)은 각각의 경우에 있어 파이프 단편 또는 파이프 단편의 적어도 2개의 부분들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후화 도관(3)은 금속, 바람직하게는 강철로부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301)과 상기 제2 부분(302) 사이의 각 및/또는 상기 제2 부분(302)과 상기 제3 부분(303) 사이의 각은 5도와 70도 사이이며, 바람직하게는 20도와 60도 사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30도와 45도 사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8)은, 연속하여 배치된 복수 개의 개별 석재 블록들(20)에 의해 형성된 석재 블록들의 열(row)을 상기 노후화 도관(3) 내에 도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8)은 상기 석재 블록들(2)을 연속적 방식으로 또는 간격을 두고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해 이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장치.
  19. 석재 블록들, 특히 콘크리트 블록들, 클링커 벽돌들(clinker bricks) 및, 자연석 블록들의 인공적 노후화를 위한 방법으로서,

    19.1 상기 방법에 의해, 석재 블록들(2)은 지지대(1) 상에 배치된 노후화 도관(3)을 통과하되, 기계가공을 받을 상기 석재 블록(2)의 측면(200)이 옆쪽을 향하는 방식으로 상기 석재 블록(2)은 지지대(1) 상에서 하부면(202)과 함께 놓여질 수 있으며,
    상기 석재 블록의 기계가공을 받을 측면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200a),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200b),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전면 모서리(200c)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후면 모서리(200d)에 의해 경계지어지고;

    19.2 상기 방법에 의해, 상기 지지대(1)가 진동하도록 설정되며;

    19.3 상기 방법에 의해, 상기 노후화 도관(3)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충격면 및 하나의 제2 충격면(6, 7)을 가지며; 노후화 방식으로 충격면들(6, 7)이 상기 석재 블록(2) 상에 작용하도록 상기 지지대들(1)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석재 블록(2)은 충격면들(6, 7) 상에 충격을 가하며; 상기 제1 충격면(6)은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200a)를 향하며, 상기 제2 충격면(7)은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200b)를 향하고; 상기 제1 충격면(6)은 상기 석재 블록(2)의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하부 모서리에 인접하는 상기 석재 블록 면(stone-block face)(200)의 부분-면(part-face) 및 하부면(202)의 인접하는 부분-면도 기계가공하고, 상기 제2 충격면(7)은,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석재 블록 상부 모서리(200b)에 더하여, 상기 석재 블록의 상기 측면(200)과 상부면(201)의 인접하는 부분-면들도 기계가공하도록, 상기 제1 충격면(6) 및 제2 충격면(7)이 구성되며;

    19.4 상기 방법에 의해,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과하는 석재 블록들(2)은 적어도 1번의 방향 변화들을 겪도록 강제되며 그리고;

    19.5 공급 방향으로 복수 개의 개별 석재 블록들이 연속하여 배치된 석재 블록들의 열(row)로서 상기 석재 블록들(2)이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하여 이송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과하는 석재 블록들(2)이 적어도 2번의 방향 변화들을 겪도록 강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 블록들의 열(row)은 연속적 방식으로 또는 간격을 두고 공급(indexing)되는 방식으로 상기 노후화 도관(3)을 통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블록 인공적 노후화 방법.
KR1020147013296A 2011-10-17 2012-10-16 석재 블록들의 인공적 노후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61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84656A DE102011084656A1 (de) 2011-10-17 2011-10-17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ünstlichen Altern von Steinen
DE102011084656.5 2011-10-17
PCT/EP2012/070463 WO2013057091A1 (de) 2011-10-17 2012-10-16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ünstlichen altern von stei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518A true KR20140085518A (ko) 2014-07-07
KR101961276B1 KR101961276B1 (ko) 2019-03-22

Family

ID=47088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296A KR101961276B1 (ko) 2011-10-17 2012-10-16 석재 블록들의 인공적 노후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061438B2 (ko)
EP (1) EP2747968B8 (ko)
KR (1) KR101961276B1 (ko)
CA (1) CA2851123C (ko)
DE (1) DE102011084656A1 (ko)
DK (1) DK2747968T3 (ko)
ES (1) ES2556608T3 (ko)
HU (1) HUE026694T2 (ko)
MX (1) MX341199B (ko)
PL (1) PL2747968T3 (ko)
RU (1) RU2592918C2 (ko)
UA (1) UA112202C2 (ko)
WO (1) WO20130570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21219A1 (de) 2013-10-18 2015-04-23 Baustoffwerke Gebhart & Söhne GmbH & Co.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ünstlichen Altern von Stein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9913A1 (en) * 2003-12-29 2005-10-20 Thomas Riedle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artificial ageing of ston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79912A1 (ru) * 1949-01-19 1949-11-30 Ф.Т. Бущенко Станок дл фактурной обработки гранитных блоков
DE2206732C3 (de) 1972-02-12 1975-09-11 Fried. Krupp Gmbh, 4300 Ess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palten von Kunststeinrohlingen
US3871135A (en) * 1972-10-17 1975-03-18 King Seeley Thermos Co Discharge chute for vibratory finishing machine
US4317313A (en) * 1979-04-09 1982-03-02 Kabushiki Kaisha Shikishima Chipton Long-travel annular vibratory barrel finishing apparatus for line-processing
DE3332041A1 (de) 1983-09-06 1985-03-21 Alois 8761 Wörth Arnheiter Vorrichtung zum herstellen bossierter spaltsteine
DE3347077A1 (de) 1983-12-24 1985-07-04 Alois 8761 Wörth Arnheiter Vorrichtung zum bossieren der kanten von spaltsteinen
US4586293A (en) * 1984-04-27 1986-05-06 Carrier Vibrating Equip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rface treating a workpiece
US4829714A (en) * 1986-07-22 1989-05-16 Iowa Engineered Processes, Corp. Devurring and cleaning machine and process
US4991360A (en) * 1988-07-25 1991-02-12 Carrier Vibrating Equip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rface treating a workpiece
GB2354479A (en) * 1999-09-22 2001-03-28 Ebema Nv Method of ageing manufactured building components
US6210258B1 (en) * 1999-11-19 2001-04-03 Vibro Finish Tech Inc. Vibrational finishing assembly
NL1022840C2 (nl) * 2003-03-04 2004-09-22 Overlaat Beheer B V Werkwijze voor het verouderen van een pakket stenen.
DE202004015348U1 (de) * 2004-10-02 2004-12-02 Baustoffwerke Gebhart & Söhne GmbH & Co. KG Vorrichtung zum künstlichen Altern von Steinen
DE102005029213A1 (de) * 2004-10-02 2006-04-06 Baustoffwerke Gebhart & Söhne GmbH & Co. KG Vorrichtung zum künstlichen Altern von Steinen
US7055517B1 (en) * 2004-11-30 2006-06-06 Tiger Machine Co., Ltd. Block working blade unit, block chipping machine and block chipping process
US7651328B2 (en) * 2005-06-22 2010-01-26 Baustoffwerke Gebhart & Sohne Gmbh & Co. Kg Process and apparatus for artificially ageing bloc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9913A1 (en) * 2003-12-29 2005-10-20 Thomas Riedle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artificial ageing of st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84656A1 (de) 2013-04-18
EP2747968B8 (de) 2015-11-04
CA2851123C (en) 2020-05-05
KR101961276B1 (ko) 2019-03-22
EP2747968A1 (de) 2014-07-02
WO2013057091A1 (de) 2013-04-25
RU2592918C2 (ru) 2016-07-27
US20140251297A1 (en) 2014-09-11
MX2014004493A (es) 2014-05-28
US9061438B2 (en) 2015-06-23
DK2747968T3 (en) 2015-12-21
MX341199B (es) 2016-08-11
CA2851123A1 (en) 2013-04-25
UA112202C2 (uk) 2016-08-10
ES2556608T3 (es) 2016-01-19
EP2747968B1 (de) 2015-09-16
PL2747968T3 (pl) 2016-02-29
HUE026694T2 (en) 2016-07-28
RU2014119942A (ru) 2015-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8360B2 (ja) コンベヤ組立体
JP2006062073A (ja) 帯鋸盤及びワークの切断方法
EP3009245A1 (en) Stone cutting device
JP5253728B2 (ja) コンベヤアセンブリ
JP2006131417A5 (ko)
KR20150016285A (ko) 식품생지 신장장치 및 식품생지 신장방법
KR101961276B1 (ko) 석재 블록들의 인공적 노후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5730525B2 (ja) 選別装置
KR200479760Y1 (ko) 엘보 모형 절단기
KR102219190B1 (ko) 생선절단장치
EP3677374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join body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join body
JP7093051B2 (ja) 切削装置
JP2004042124A (ja) U形鋼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9143034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削掻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用削掻機
JP6499058B2 (ja) Uリブ切断方法
KR101255185B1 (ko)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유리기판 세정용 무한궤도형 연마벨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EP3677375B1 (en) Joint body, manufacturing method for joint body,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joint body
US7562835B2 (en) Method and devices for obtaining the continuity of the uniformity of the structure and density of a stream of transported loose material, particularly organic plant material, and particularly tobacco material
EP3677376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joined body, and joined body
JP3219466U (ja) ガラス板の切断線加工装置
JP4520541B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の加工装置
KR101469750B1 (ko) 원형 톱을 이용한 수평 구동형 절삭 장치
AU2006220370B2 (en) A slip conveyor assembly
US2006012080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tones in a stone layer
US3195714A (en) Feeding mechanism for dry flow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