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716A -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3716A
KR20140083716A KR1020120153781A KR20120153781A KR20140083716A KR 20140083716 A KR20140083716 A KR 20140083716A KR 1020120153781 A KR1020120153781 A KR 1020120153781A KR 20120153781 A KR20120153781 A KR 20120153781A KR 20140083716 A KR20140083716 A KR 20140083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amp
protrusion
boss
carrier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5534B1 (ko
Inventor
민옥렬
박성욱
소원섭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3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534B1/ko
Publication of KR20140083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35Mounting or fastening of the hous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xterior fittings, e.g. bumpers, lights, wipers, exhausts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램프를 캐리어에 장착시 캐리어의 헤드램프클립이 탄성변형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헤드램프클립의 파손을 방지하는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의 헤드램프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캐리어에 장착되어 조명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결합보스가 돌출형성되는 헤드램프와, 상기 캐리어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램프의 임시고정을 위해 상부가 개구된 삽입부가 형성되는 헤드램프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램프의 결합보스를 상기 삽입부에 삽입한 후, 상기 헤드램프를 일정각도 회전함에 의해 상기 결합보스가 헤드램프클립에 고정되어 상하 전후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 {Front end modu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의 헤드램프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램프를 캐리어에 장착시 캐리어의 헤드램프클립이 탄성변형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헤드램프클립의 파손을 방지하는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의 헤드램프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엔진룸에는 라디에이터, 콘덴서, 그리고 팬 등의 냉각장치가 설치되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냉각장치를 모듈화하여 차체에 설치하는 프론트엔드모듈(Front End Module : FEM)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프론트엔드모듈(FEM)은 중앙에 배치된 캐리어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캐리어의 내부에 라디에이터와 콘덴서, 그리고 팬을 포함하는 쿨링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캐리어의 헤드램프장착부에는 헤드램프가 장착되어 모듈화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론트엔드모듈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프론트엔드모듈(1)은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엔진룸에 차량의 폭 방향으로 장착되는 캐리어(10)와, 상기 캐리어(10)에 형성되는 냉각장치지지공(50)에 구비되는 냉각장치, 그리고 상기 캐리어(10)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헤드램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10)는 하부패널(11)과 상부패널(12), 그리고 상기 상하부패널(11,12)을 연결하는 우측패널(13)과 좌측패널(14)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사각 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캐리어(10)의 중앙에는 냉각장치장착공(50)이 구비되는데, 상기 냉각장치장착공(50)에는 냉각장치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패널(13,14)에는 헤드램프장착부(15)가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헤드램프장착부(15)에는 차량의 헤드램프(20)가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헤드램프(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램프(20)의 하단에 돌출형성된 결합보스(21)가 상기 헤드램프장착부(15)에 형성된 헤드램프클립(30)에 끼움방식으로 임시 고정된 후에, 상기 헤드램프(20)의 상단과 상기 상부패널(12)을 볼트를 통해 체결함으로써 상기 캐리어(10)에 고정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결합보스(21)는, 상기 헤드램프의 하단에서 연장형성되는 몸체부(23)와, 상기 몸체부(23)의 선단에서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원형돌기(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램프클립(30)은, 상기 헤드램프안착부(15)의 전방으로 연장성형되는 상부본체(31) 및 하부본체(33)와, 상기 상부본체(31)의 선단에서 아래쪽 후방으로 기울어져 연장되는 상부안내부(32), 상기 하부본체(33)의 선단에서 위쪽 후방으로 기울어져 연장되는 하부안내부(34), 그리고 상기 상부안내부(32)와 하부안내부(34)의 선단에서 상기 원형돌기(25)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안착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안내부(34)의 상면에는 걸림턱(37)이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턱(37)은 상기 원형돌기(25)가 상기 안착부(35)에 안착된 후, 상기 원형돌기(25)가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헤드램프(20)를 헤드램프클립(30)에 조립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헤드램프(20)에 형성된 결합보스(21)의 원형돌기(25)를 상기 헤드램프안착부(15)에 형성된 헤드램프클립(30)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헤드램프클립(30)의 상부안내부(32)와 걸림턱(37)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폭(D)이 상기 원형돌기(25)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램프클립(30)의 상부본체(31)와 상부안내부(32)는 위쪽 방향으로 탄성변형하고, 상기 하부본체(33)와 하부안내부(34)는 아래쪽 방향으로 탄성변형하게 되어 개구부의 폭(D)이 상하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원형돌기(25)가 안착부(35)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돌기(25)가 안착부(35)에 안착된 후에는, 상부본체(31)와 상부안내부(32), 그리고 하부본체(33)와 하부안내부(34)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상기 원형돌기(25)의 후단이, 상기 하부안내부(34)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37)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원형돌기(25)가 헤드램프클립(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상기 헤드램프(20)의 상단을 상기 상부패널(12)과 볼트를 통해 체결함으로써 상기 헤드램프(20)가 캐리어(10)에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램프(20)를 헤드램프클립(3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헤드램프클립(30)의 상부본체(31)와 상부안내부(32), 그리고 하부본체(33)와 하부안내부(33)가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하면서 조립이 되기 때문에 상기 헤드램프클립(30)의 탄성력이 부족하여 상기 안착부(35) 주변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캐리어(10)는 프론트엔드모듈(10)의 전체 골격을 형성하기 때문에 강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탄성력이 큰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할 수 없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이 탄성력이 작은 고강성의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원형돌기(25)가 헤드램프클립(3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부본체(31)와 상부안내부(32), 그리고 하부본체(33)와 하부안내부(33)가 탄성변형하는 경우, 상기 안착부(35) 주변에 응력이 집중하게 되므로, 상기 안착부(35) 주변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겨울철과 같이 외부 온도가 낮아지는 때에는 플라스틱의 경화현상이 심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는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헤드램프(20)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헤드램프클립(30)이 파손되는 경우에는 상기 캐리어(10)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용 캐리어에 헤드램프를 조립할 때 헤드램프클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새로운 구조의 헤드램프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캐리어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매를 냉각하는 컨덴서와,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 그리고 상기 컨덴서와 라디에이터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 및 슈라우드로 구성되는 쿨링모듈과, 상기 쿨링모듈이 장착되며 상부와 하부가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패널, 상기 상부패널의 양단에서 상기 하부패널의 양단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좌우패널로 구성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에 장착되어 조명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결합보스가 돌출형성되는 헤드램프, 그리고 상기 캐리어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램프의 임시고정을 위해 상부가 개구된 삽입부가 형성되는 헤드램프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헤드램프의 결합보스를 상기 삽입부에 삽입한 후, 상기 헤드램프를 일정각도 회전함에 의해 상기 결합보스가 헤드램프클립에 고정되어 상하 전후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결합보스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걸림턱과 상기 결합보스의 상단 후방에는 받침턱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램프클립에는 상기 결합보스의 후방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턱의 하단이 안착되는 상부돌기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기와 일정거리 떨어진 전방 하단에는 상기 결합보스의 전방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걸림턱의 상측과 맞물리는 하부돌기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헤드램프클립에는 상기 결합보스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상부돌기의 하단에 상기 결합보스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경사부와, 상기 하부돌기의 상단에 상기 결합보스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보스의 전후방향 두께는, 상기 상부돌기의 전단과 하부돌기의 후단 사이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턱의 하단과 하부걸림턱의 상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상부돌기의 상단과 하부돌기의 하단과의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램프에 형성된 결합보스를 헤드램프클립의 삽입부에 삽입하고 일정 각도 회전함에 의해 결합보스가 헤드램프클립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헤드램프 결합시 헤드램프클립이 탄성변형함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헤드램프클립과 결합보스의 결합 전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헤드램프클립과 결합보스의 결합 후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의 좌측상부를 확대한 부분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보스의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보스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램프클립의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램프클립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램프와 헤드램프클립의 결합 과정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프론트엔드모듈의 좌측상부를 확대한 부분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프론트엔드모듈(100)은 차량의 전방 엔진룸에 설치되고 외곽을 형성하는 캐리어(110)와, 상기 캐리어(1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냉각장치장착공(150)에 설치되는 냉각장치(도시되지 않음), 그리고 상기 캐리어(110)의 좌우측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램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110)는, 하부와 상부 골격을 각각 형성하는 하부패널(111)과 상부패널(112), 그리고 상기 상하부패널(111,112)을 좌우측에서 각각 연결하는 우측패널(113)과 좌측패널(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캐리어(110)는 상하부패널(111,112)과 좌우측패널(113,114)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사각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각 틀의 중앙에는 냉각장치장착공(150)이 형성된다. 상기 냉각장치장착공(150)에는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라디에이터와, 콘덴서, 그리고 팬 등의 냉각장치 부품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패널(112)의 좌우측에는 상기 헤드램프(12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다수의 관통홀(112h,112h')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패널(113,114)에는 헤드램프장착부(115)가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헤드램프장착부(115)에는 차량의 헤드램프(120)가 설치된다. 상기 헤드램프(120)는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도와주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램프를 점등시킴으로써 조명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램프(120)의 상단에는 다수의 결합편(127,127')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편(127,127')에는 상기 관통홀(112h,112h')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홀(127h,127h')이 형성된다.
상기 헤드램프(120)를 캐리어(11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캐리어(110)의 헤드램프장착부(110)에 구비된 헤드램프클립(130)에 임시고정한 후, 상기 헤드램프(120)의 상부와 상부패널(112)를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헤드램프(120)의 하단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보스(121)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보스(121)의 하단에는 하부걸림턱(122)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보스(121)의 상단후방에는 받침턱(123)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헤드램프클립(13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램프클립(130)은 상기 헤드램프안착부(115)에서 전방으로 상부돌기(131)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돌기(131)와 전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상기 상부돌기(131)보다 낮은 위치에 하부돌기(133)가 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돌기(131)와 하부돌기(133)의 사이에 삽입부(135)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35)를 통해 상기 결합보스(121)가 헤드램프클립(130)에 삽입된다.
상기 상부돌기(131)는, 상기 결합보스(121)의 후방을 지지하여 상기 결합보스(121)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턱(123)의 하단을 받침으로써 상기 헤드램프(120)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하부돌기(133)는, 상기 결합보스(121)의 전방을 지지하여 상기 결합보스(121)가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걸림턱(122)의 상단과 맞물려 상기 헤드램프(120)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결합보스(121)의 전후방향 두께(T)는, 상기 상부돌기(131)의 전단과 상기 하부돌기(133)의 후단 사이의 돌기폭(W)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턱(123)의 하단과 상기 하부걸림턱(122)의 상단 사이의 턱높이(Hb)는, 상기 상부돌기(131)의 상단과 상기 하부돌기(133)의 하단과의 돌기높이(He)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보스(121)의 전후방향 두께(T)와 돌기폭(W)이 동일하게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결합보스(121)가 상기 상부돌기(131)의 전방과 상기 하부돌기(133)의 후방사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결합보스(121)가 헤드램프클립(130)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턱높이(Hb)와 상기 돌기높이(He)가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결합보스(121)의 받침턱(123)이 상기 헤드램프클립(130)의 상부돌기(131) 상단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걸림턱(122)의 상단이 상기 하부돌기(133)의 하단에 맞물리게 되어 상기 결합보스(121)가 헤드램프클립(130)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받침턱(123)과 상부돌기(131), 그리고 상기 하부걸림턱(122)과 하부돌기(133)가 서로 협력하여 상기 헤드램프(120)가 헤드램프클립(130)에 결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헤드램프(120)가 헤드램프클립(130)에 결합된 후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헤드램프클립(130)의 상부돌기(131)의 하단에는 후방 아래쪽으로 상부경사부(132)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돌기(133)의 상단에는 하부경사부(134)가 후방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경사부(132)와 하부경사부(134)가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결합보스(121)가 삽입부(135)를 통해 원활히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헤드램프(120)와 헤드램프클립(130)의 조립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0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결합보스(121)을 상기 헤드램프클립(130)의 삽입부(135)에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위에서 아래쪽으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결합보스(121)의 후면이 상기 헤드램프클립(130)의 상부경사부(132)를 따라 삽입 방향이 안내되고, 상기 결합보스(121)의 하부걸림턱(122)의 전면이 상기 하부경사부(134)를 따라 삽입 방향이 안내되어 상기 헤드램프(120)가 헤드램프클립(130)에 쉽게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보스(121)을 삽입한 후에는, 상기 헤드램프(120)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헤드램프클립(130)에 고정하게 된다(도 10b 참조). 이때, 상기 결합보스(121)의 받침턱(123) 하단이 상기 상부돌기(131)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결합보스(121)의 하부걸림턱(122)은 상단은 상기 하부돌기(133)의 하단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보스(121)의 결합 후에 상기 헤드램프클립(130)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결합보스(121)의 후면은 상기 상부돌기(131)의 전방과 밀착되고, 상기 결합보스(121)의 전면은 상기 하부돌기(133)의 후방과 밀착되어 상기 결합보스(121)가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상부패널(112)에 형성된 관통홀(112h,112h')을 관통하여 상기 헤드램프(120)에 형성된 결합편(127,127')의 나사홀(127h,127h')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헤드램프(120)를 캐리어(1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캐리어의 헤드램프 장착구조에 의하면, 상기 헤드램프(120)를 헤드램프클립(130)에 장착할 때, 종래 기술과 같은 헤드램프클립(130)이 탄성변형하면서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헤드램프클립(130)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프론트엔드모듈
110:캐리어
120:헤드램프
121:결합보스
122:하부걸림턱
123:받침턱
130:헤드램프클립
131:전방돌기
133:후방돌기

Claims (6)

  1. 냉매를 냉각하는 컨덴서와,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 그리고 상기 컨덴서와 라디에이터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 및 슈라우드로 구성되는 쿨링모듈과;
    상기 쿨링모듈이 장착되며 상부와 하부가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패널(111,112), 상기 상부패널(112)의 양단에서 상기 하부패널(111)의 양단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좌우패널(113,114)로 구성되는 캐리어(110);
    상기 캐리어(110)에 장착되어 조명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결합보스(121)가 돌출형성되는 헤드램프(120); 그리고
    상기 캐리어(110)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램프(120)의 임시고정을 위해 상부가 개구된 삽입부(135)가 형성되는 헤드램프클립(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헤드램프(120)의 결합보스(121)를 상기 삽입부(135)에 삽입한 후, 상기 헤드램프(120)를 일정각도 회전함에 의해 상기 결합보스(121)가 헤드램프클립(130)에 고정되어 상하 전후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보스(121)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걸림턱(122)과 상기 결합보스(121)의 상단 후방에는 받침턱(123)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램프클립(130)에는 상기 결합보스(121)의 후방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턱(123)의 하단이 안착되는 상부돌기(131)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기(131)와 일정거리 떨어진 전방 하단에는 상기 결합보스(121)의 전방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걸림턱(122)의 상측과 맞물리는 하부돌기(133)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램프클립(130)에는 상기 결합보스(121)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상부돌기(131)의 하단에 상기 결합보스(121)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경사부(132)와,
    상기 하부돌기(133)의 상단에 상기 결합보스(121)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경사부(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보스(121)의 전후방향 두께는, 상기 상부돌기(131)의 전단과 하부돌기(133)의 후단 사이의 폭(w)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턱(123)의 하단과 하부걸림턱(122)의 상단 사이의 거리(Hb)는, 상기 상부돌기(131)의 상단과 하부돌기(133)의 하단과의 거리(He)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
KR1020120153781A 2012-12-26 2012-12-26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 KR101925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781A KR101925534B1 (ko) 2012-12-26 2012-12-26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781A KR101925534B1 (ko) 2012-12-26 2012-12-26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716A true KR20140083716A (ko) 2014-07-04
KR101925534B1 KR101925534B1 (ko) 2018-12-05

Family

ID=51734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781A KR101925534B1 (ko) 2012-12-26 2012-12-26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53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4152U (de) * 1967-07-01 1967-12-07 Nordmende Einrichtung zum tragen von elektrischen geraeten.
DE19741522C2 (de) * 1997-09-20 2002-08-22 Bosch Gmbh Robert Vormontierbare Baueinheit
KR20050005080A (ko) * 2003-07-01 2005-01-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램프
KR20070005260A (ko) * 2005-07-05 2007-01-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조등 모듈
KR20080016066A (ko) * 2006-08-17 2008-02-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의 마운팅구조
KR20100000684U (ko) * 2008-07-14 2010-01-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정비성 향상을 위한 공구함 부착식 사이드 도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4152U (de) * 1967-07-01 1967-12-07 Nordmende Einrichtung zum tragen von elektrischen geraeten.
DE19741522C2 (de) * 1997-09-20 2002-08-22 Bosch Gmbh Robert Vormontierbare Baueinheit
KR20050005080A (ko) * 2003-07-01 2005-01-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램프
KR20070005260A (ko) * 2005-07-05 2007-01-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조등 모듈
KR20080016066A (ko) * 2006-08-17 2008-02-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의 마운팅구조
KR20100000684U (ko) * 2008-07-14 2010-01-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정비성 향상을 위한 공구함 부착식 사이드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534B1 (ko)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633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JP2005263146A (ja) 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取付構造
US7029153B2 (en) Lighting fixture frame and mounting panel apparatus
KR101925529B1 (ko)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
KR101925534B1 (ko)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
US8585267B2 (en) Head lamp attachment structure
KR20130024031A (ko) 차량용 캐리어
KR101566128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쿨링 모듈 마운팅 구조
KR101857687B1 (ko)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
KR101824906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CN201544770U (zh) 一种混合动力车型冷却风扇安装支架结构
US20110120792A1 (en) Air guide device for front face structure of vehicle
KR101902219B1 (ko) 차량용 캐리어
JP2008265553A (ja) ランプベゼル取付構造
CN208760564U (zh) 前保险杠的安装结构
KR101250715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CN217022431U (zh) 前保险杠与分体式大灯的安装结构以及具有其的汽车
CN219622771U (zh) 一种汽车散热板的结构
KR101918507B1 (ko) 쿨링 모듈
CN205836719U (zh) 电机控制器总成和具有其的车辆
JP2006088825A (ja) 内装部材の取付構造
KR200349143Y1 (ko) 차량용 열교환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
KR102141639B1 (ko)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100388282B1 (ko) 차량의 헤드램프 취부구조
KR200460962Y1 (ko) 헤드 램프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