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401A - 자동 청소기 - Google Patents

자동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3401A
KR20140083401A KR1020120153101A KR20120153101A KR20140083401A KR 20140083401 A KR20140083401 A KR 20140083401A KR 1020120153101 A KR1020120153101 A KR 1020120153101A KR 20120153101 A KR20120153101 A KR 20120153101A KR 20140083401 A KR20140083401 A KR 20140083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side brush
gear
casing
rotation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0972B1 (ko
Inventor
장재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3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972B1/ko
Priority to CN201310699680.6A priority patent/CN103892774B/zh
Publication of KR20140083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7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9/0433Toothed gearings
    • A47L9/0438Toothed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g. planetary gea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8Combinations or arrangements of several tools, e.g. edge clea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자동 청소기는, 흡입구를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제1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부재; 상기 가동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가동 부재로 전달하는 제1동력 전달부; 상기 가동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회전 중심과 이격된 제2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사이드 브러시; 및 상기 가동 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사이드 브러시로 전달하는 제2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청소기{Automatic cleaner}
본 명세서는 자동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란, 바닥면의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가전기기이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청소기 중 특히, 자동으로 청소가 이루어지는 청소기를 자동 청소기라 칭한다. 상기 자동 청소기는, 충전지에 의하여 동작하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바닥면의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제거한다.
일반적인 자동 청소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에는 이동 장치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장치에 의하여 상기 자동 청소기가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바닥면에 위치되는 이물질을 흡입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싱의 저면에는 바닥면의 이물질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 상에는, 이물질과 직접 접촉하여 이물질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도록 하는 메인 브러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자동 청소기는, 상기 케이싱의 하방에 해당하는 영역, 실질적으로는 상기 흡입구의 하방에 해당하는 영역의 이물질만 흡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의 외측에 해당되는 영역의 경우에는, 청소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상기 케이싱의 저면에 사이드 브러시가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 브러시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브러시는, 상기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케이싱, 실질적으로 상기 흡입구의 외측에 해당하는 영역의 이물질을 상기 흡입구를 향하여 쓸어 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 청소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브러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의 외측에 해당하는 영역의 이물질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브러시의 길이가 증가될수록 실질적으로 상기 자동 청소기에 의하여 청소되는 영역이 증가된다. 그러나 상기 사이드 브러시의 길이가 증가되면, 청소 과정 또는 보관 중에 상기 사이드 브러시의 손상이 우려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브러시의 길이가 증가되면, 상기 자동 청소기가 차지하는 영역이 증가되어 상기 자동 청소기의 보관이 불편해지는 단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드 브러시 조립체의 청소 영역이 증가될 수 있는 자동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자동 청소기는, 흡입구를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제1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부재; 상기 가동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가동 부재로 전달하는 제1동력 전달부; 상기 가동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회전 중심과 이격된 제2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사이드 브러시; 및 상기 가동 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사이드 브러시로 전달하는 제2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가 온되면,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1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자전하고, 상기 사이드 브러시는, 상기 제2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자전함과 동시에 상기 제1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브러시의 자전 방향과 공전 방향은 동일한 회전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제1회전 중심과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지는 기어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동력 전달부는 상기 기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 전달부는, 상기 가동 부재 내에 수용되며, 상기 제1회전 중심과 동일 선 상에 위치되는 태양 기어와, 상기 태양 기어와 맞물리는 유성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유성 기어에 상기 사이드 브러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성 기어의 일부는 상기 가동 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가동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사이드 브러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브러시의 일부는 상기 가동 부재의 외측에서 가동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유성 기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를 관통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성 기어는 상기 가동 부재 내측에서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브러시는 상기 가동 부재 외측에서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연결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축은 상기 가동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태양 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자전하고, 상기 태양 기어는 상기 가동 부재의 자전 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동 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상하 방향 오버랩 면적은 가변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자동 청소기는, 흡입구를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며, 회전 가능한 제1사이드 브러시; 및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면, 회전 가능한 제2사이드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의 회전에 따른 청소 가능 영역은 상기 제2사이드 브러시의 청소 가능 영역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사이드 브러시는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는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가동 부재의 회전 중심과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의 회전 중심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가동 부재로 전달하는 제1동력 전달부; 상기 가동 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사이드 브러시로 전달하는 제2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에는 제1기어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1기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 전달부는,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에 연결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 및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와 연결되는 제3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제1기어와 함께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자전하고, 상기 제2기어는 상기 가동 부재의 자전 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3기어는 상기 제2기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자전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 브러시의 청소 가능한 영역이 증가되어, 상기 사이드 브러시에 의한 효과적인 청소가 가능하게 되고, 상기 사이드 브러시의 손상 및 상기 사이드 브러시 조립체의 보관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가 케이싱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6의 (a)에는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가 정지된 상태가 도시되고, 도 6의 (b)에는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된다.
도 7은 자동 청소기가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저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1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10)은 납작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케이싱(11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상기 자동 청소기(1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이물질의 흡입을 위한 흡입 장치(180) 및 흡입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집진 장치(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10)의 저면에는 흡입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12)는, 상기 흡입 장치(180)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 실질적으로 상기 집진 장치로 이물질이 흡입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 상기 흡입구(112)는 상기 케이싱(110)의 저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10) 내부의 상기 흡입구(11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메인 브러시(120)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브러시(120)는, 상기 흡입구(112)를 관통하여 바닥면의 이물질과 접촉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 브러시(120)는, 상기 케이싱(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케이싱(110)에는 상기 메인 브러시(12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10)에는 상기 케이싱(110)의 이동을 위한 이동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바퀴 구동부(142)와, 상기 바퀴 구동부(142)에 의해서 회전되는 복수의 바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바퀴 구동부(142)는 바퀴(14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10)의 하측에는 하나 이상의 사이드 브러시 조립체(200)(30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예로 상기 케이싱(110)에 복수의 사이드 브러시 조립체(200)(300)가 설치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사이드 브러시 조립체(200)(300)는, 상기 케이싱(110)의 앞쪽 일측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200)와, 상기 케이싱(110)의 앞쪽 타측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 브러시 조립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사이드 브러시 조립체(300)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200)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자전임)하는 제1사이드 브러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이드 브러시 조립체(300)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자전임)하는 제2사이드 브러시(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250)는, 제1브러시 홀더(251)와, 상기 제1브러시 홀더(251)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브러시 모(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이드 브러시(310)는, 제2브러시 홀더(311)와, 상기 제2브러시 홀더(311)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브러시 모(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200)는 상기 케이싱(110)의 하측에 위치되거나,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케이싱(1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200)는 회전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각 사이드 브러시 조립체(200)(300)는, 상기 흡입 장치(180)가 상기 흡입구(112)의 외측에 해당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이물질을 상기 흡입구(112)를 통하여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싱(110)은,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25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부(210)와, 상기 제2사이드 브러시(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구동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청소기(10)는, 상기 자동 청소기(10)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170)와,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장애물 센서(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장애물 센서(190)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바퀴 구동부(14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센서(190)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장애물 센서의 종류 및 개수에 제한이 없으며, 공지의 기술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가 케이싱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200)는,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2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230)는, 상기 제1구동부(2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210)의 동력은 제1동력 전달부(220)에 의해서 상기 가동 부재(23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210)는 일 예로 모터일 수 있다.
상기 제1동력 전달부(220)는, 다수의 기어(221, 222, 223, 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기어(221, 222, 223, 224)는, 상기 제1구동부(210)에 연결되는 구동 기어(221)와, 상기 구동 기어(221)와 연결되는 제1중간 기어(222)와, 상기 제1중간 기어(222)와 연결되는 제2중간 기어(223)와, 상기 제2중간 기어(223)와, 연결되는 종동 기어(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기어(221)와 제1 및 제2중간 기어(222, 223)는 기어 하우징(226, 227)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226, 227)은, 하부 하우징(226)과, 상부 하우징(2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226, 227)은 상기 케이싱(1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224)는 상기 기어 하우징(226, 227)의 외측에서 상기 제2중간 기어(223)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중간 기어(223)와 상기 종동 기어(224)는 단일의 회전축(22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230)는, 하부 부재(231)와, 상기 하부 부재(231)의 상측에 체결되는 상부 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부재(232)에는 제1기어(24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240)에는 상기 종동 기어(224)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종동 기어(224)가 회전되면, 상기 제1기어(240)와 함께 상기 가동 부재(23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동 부재(230) 내에는 상기 가동 부재(230)의 회전력을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250)로 전달하는 제2동력 전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 전달부는, 상기 가동 부재(23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2기어(241)와, 상기 제2기어(241)와 맞물리는 제3기어(2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241)가 상기 가동 부재(230)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 부재(230)는 상기 제2기어(241)와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241)는 상기 케이싱(110)에 고정되는 연결 샤프트(243)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 샤프트(243)의 단면은 비원형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샤프트(243)는 상기 하부 부재(231)의 하측에서 상기 하부 부재(231), 상기 제2기어(241) 및 상기 제1기어(24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부재(231)에는 상기 연결 샤프트(243)가 관통하기 위한 제1홀(233)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어(240)에는 상기 연결 샤프트(243)가 관통하기 위한 제2홀(23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홀(233, 234)은 상기 가동 부재(230)가 회전할 때, 상기 연결 샤프트(243)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 샤프트(243)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 부재(230)가 회전할 때, 상기 제2기어(241)는 상기 연결 샤프트(243)에 의해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연결 샤프트(243)는 상기 가동 부재(230)의 회전 중심(제1회전 중심)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3기어(242)는 상기 하부 부재(3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기어(242)의 하측은 상기 하부 부재(341)를 관통한 후에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25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250)의 일부는 상기 하부 부재(231)를 관통한 후에 상기 제3기어(242)와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상기 하부 부재(231)를 관통하는 연결 부재(미도시)에 상기 제3기어(242)와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25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기어(241)는 태양 기어이고, 상기 제3기어(242)는 유성 기어이다.
따라서, 상기 가동 부재(230)가 회전하면, 상기 제3기어(242)는 상기 가동 부재(230)와 함께 회전된다. 즉, 상기 제3기어(242) 및 상기 제3기어(242)와 연결된 제1사이드 브러시(250)는 상기 연결축(234)을 회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기어(242)가 공전할 때, 상기 제3기어(242)는 정지된 상기 제2기어(241)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3기어(242) 및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250)는 상기 연결축(243)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기어(241)에 의해서 자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제3기어(242)의 회전 중심과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250)의 회전 중심(제2회전 중심이라 할 수 있음)은 일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 중심은 상기 가동 부재(230)의 회전 중심인 제1회전 중심과 이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6의 (a)에는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가 정지된 상태가 도시되고, 도 6의 (b)에는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된다. 도 7은 자동 청소기가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는 자동 청소기의 저면도가 도시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자동 청소기를 이용하여 피청소면(일 예로 바닥면)을 청소하기 위하여 상기 자동 청소기의 전원이 온된다. 상기 자동 청소기가 온된 후 자동으로 또는 시작 명령의 입력에 의해서 상기 자동 청소기는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자동 청소기가 청소를 시작하면, 상기 자동 청소기는 이동 장치에 의해서 움직이면서 청소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부(210) 및 상기 제2구동부(330)가 온된다.
상기 제2구동부(330)가 온되면, 상기 제2사이드 브러시(310)는 자전하게 된다. 상기 제1구동부(210)가 온되면, 상기 제1구동부(210)의 동력이 상기 제1동력 전달부(220)에 의해서 상기 가동 부재(230)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가동 부재(230)는 상기 연결축(243)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가동 부재(230)가 회전되면, 상기 가동 부재(230)와 상기 케이싱(210)의 상하 방향 오버랩 면적은 가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동 부재(230)가 회전되면,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220)는 B방향으로 공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동 부재(230)가 회전되면, 상기 제3기어(242)가 상기 제2사이드 브러시(241)에 의해서 자전하므로,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220) 또한 A방향으로 자전하게 된다. 이 때, A방향과 B방향은 도 7을 기준으로 각각 시계 방향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사이드 브러시 조립체(300)의 회전에 따른 청소 영역은 X이고,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200)의 회전에 따른 청소 영역은 Y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250)는 자전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 부재(230)와 함께 연결축(243)을 중심으로 공전하므로,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250)의 회전 반경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250)의 청소 가능 영역이 증가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동 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250)의 청소 영역이 상기 제2사이드 브러시(310)의 청소 영역에 비하여 확장된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제1사이드 브러시(250)와 제2사이드 브러시(310)가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단일의 구동부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와 제2사이드 브러시 조립체의 회전 방식이 다른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2사이드 브러시 조립체의 구조가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110: 케이싱 200: 제1사이드 브러시 조립체
300: 제2사이드 브러시 조립체

Claims (16)

  1. 흡입구를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제1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부재;
    상기 가동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가동 부재로 전달하는 제1동력 전달부;
    상기 가동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회전 중심과 이격된 제2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사이드 브러시; 및
    상기 가동 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사이드 브러시로 전달하는 제2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자동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온되면,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1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자전하고,
    상기 사이드 브러시는, 상기 제2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자전함과 동시에 상기 제1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하는 자동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브러시의 자전 방향과 공전 방향은 동일한 회전 방향인 자동 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제1회전 중심과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지는 기어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동력 전달부는 상기 기어에 연결되는 자동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 전달부는, 상기 가동 부재 내에 수용되며, 상기 제1회전 중심과 동일 선 상에 위치되는 태양 기어와,
    상기 태양 기어와 맞물리는 유성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유성 기어에 상기 사이드 브러시가 연결되는 자동 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기어의 일부는 상기 가동 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가동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사이드 브러시와 연결되는 자동 청소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브러시의 일부는 상기 가동 부재의 외측에서 가동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유성 기어와 연결되는 자동 청소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를 관통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성 기어는 상기 가동 부재 내측에서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브러시는 상기 가동 부재 외측에서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자동 청소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연결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축은 상기 가동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태양 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자전하고,
    상기 태양 기어는 상기 가동 부재의 자전 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자동 청소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동 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상하 방향 오버랩 면적은 가변되는 자동 청소기.
  11. 흡입구를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며, 회전 가능한 제1사이드 브러시; 및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면, 회전 가능한 제2사이드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의 회전에 따른 청소 가능 영역은 상기 제2사이드 브러시의 청소 가능 영역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청소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이드 브러시는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는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가동 부재의 회전 중심과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의 회전 중심은 이격되는 자동 청소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가동 부재로 전달하는 제1동력 전달부; 및
    상기 가동 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사이드 브러시로 전달하는 제2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청소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에는 제1기어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1기어에 연결되는 자동 청소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 전달부는,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에 연결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 및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와 연결되는 제3기어를 포함하는 자동 청소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제1기어와 함께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자전하고,
    상기 제2기어는 상기 가동 부재의 자전 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3기어는 상기 제2기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자전하는 자동 청소기.
KR1020120153101A 2012-12-26 2012-12-26 자동 청소기 KR101450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101A KR101450972B1 (ko) 2012-12-26 2012-12-26 자동 청소기
CN201310699680.6A CN103892774B (zh) 2012-12-26 2013-12-18 自动吸尘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101A KR101450972B1 (ko) 2012-12-26 2012-12-26 자동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401A true KR20140083401A (ko) 2014-07-04
KR101450972B1 KR101450972B1 (ko) 2014-10-15

Family

ID=5098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101A KR101450972B1 (ko) 2012-12-26 2012-12-26 자동 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0972B1 (ko)
CN (1) CN1038927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9216A1 (de) * 2017-08-22 2019-02-28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Kehrbürste für ein sich selbsttätig fortbewegendes Reinigungsgerät
TWI757493B (zh) * 2017-08-31 2022-03-11 日商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自主行走型掃除機
CN107468165B (zh) * 2017-09-21 2020-09-18 深圳市锦凌电子有限公司 抽吸刷扫地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046A (ja) * 1993-08-03 1995-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走式掃除機
JP3039643B1 (ja) 1999-01-08 2000-05-08 株式会社石亀工業 洗浄機の自動旋回ノズル
JP4201747B2 (ja) * 2004-07-29 2008-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自走式掃除機
KR100704483B1 (ko) * 2005-04-25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구석 청소 장치
KR101492069B1 (ko) * 2008-10-29 2015-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22537B1 (ko) * 2009-06-30 2013-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972B1 (ko) 2014-10-15
CN103892774A (zh) 2014-07-02
CN103892774B (zh)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4263B1 (en) Robot cleaner
KR102137524B1 (ko) 로봇청소기
AU2013203861B2 (en) Method of controlling automatic cleaner
KR101420972B1 (ko) 전기 청소기
KR101892652B1 (ko) 전기청소기
KR101249864B1 (ko) 로봇청소기
KR101667716B1 (ko) 로봇청소기
EP3000368B1 (en) Robot cleaner
JP6757575B2 (ja) 自走式掃除機
KR102022104B1 (ko) 자동 청소기
KR101469333B1 (ko) 자동 청소기
KR101450972B1 (ko) 자동 청소기
KR102155002B1 (ko) 로봇청소기
CN210643909U (zh) 一种物联网控制的扫地机器人
KR100876705B1 (ko) 자동 청소기
KR20110133902A (ko) 로봇청소기
JP2014176508A (ja) 電気掃除機
KR101423838B1 (ko) 로봇청소기
JP5892098B2 (ja) 自走式掃除機
KR200336735Y1 (ko) 스팀 걸레겸용 진공청소기
KR100677259B1 (ko) 로봇 청소기의 브러쉬 장치
CN219557157U (zh) 地刷结构及清洁设备
CN214631978U (zh) 滚刷组件及扫地机器人
JP2018082988A (ja) 電気掃除機
KR101306483B1 (ko) 자동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