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098A -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방전가공기 - Google Patents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방전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3098A
KR20140083098A KR1020120151731A KR20120151731A KR20140083098A KR 20140083098 A KR20140083098 A KR 20140083098A KR 1020120151731 A KR1020120151731 A KR 1020120151731A KR 20120151731 A KR20120151731 A KR 20120151731A KR 20140083098 A KR20140083098 A KR 20140083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ylinder
guide
pi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공영군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1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3098A/ko
Publication of KR20140083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00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i.e. removing metal with a series of rapidly recurring electrical discharges between an electrode and a workpiece in the presence of a fluid dielectric
    • B23H1/10Supply or regeneration of working med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4Apparatus for supplying current to working gap; 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23H7/104Wire tens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23H7/105Wire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36Supply or regeneration of working med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션롤러로부터 이송되는 와이어의 이송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상부암과, 상기 상부암의 하단에 체결되어 상기 이송된 와이어를 결선하여 모재 가공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상부가이드와, 상기 상부암의 상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에 양전류를 공급하는 양극실린더와, 상기 양극실린더 하측에 구비되어 와이어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유닛과, 상기 상부가이드 상측에 구비되어 와이어에 음전류를 공급하는 음극실린더를 포함하는 텐션부와, 상기 음극실린더와 상부가이드 사이에서 상기 상부암에 구비되는 와이어절단유닛과, 상기 양극실린더로부터 이송되는 와이어를 상기 상부가이드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 하 이동하는 파이프유닛을 포함하는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방전가공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방전가공기{ELECTRIC DISCHARGE MACHINE WITH IMPROVED STRUCTURE}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방전가공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컬링 와이어를 전기 또는 액체를 사용하여 스트레이트 와이어로 변형할 수 있는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방전가공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모재(가공소재)와 와이어에 각각 다른 극의 전류를 흘려보내 와이어와 모재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전작용에 의해 모재를 가공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를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정면도이다.
권취릴(10)에 권선되어 있는 와이어는 다수개로 구성된 이송롤러부(20)를 거쳐 텐션롤러(30)에 유입된다. 이러한 텐션롤러(30)는 상기 텐션롤러(30)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텐션롤러(30)를 정, 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31)에 의해 구동되어 와이어를 하측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텐션롤러(30)에서 이송되는 와이어는 상부암(40)에 구비된 양극실린더(41)를 통과하여, 와이어 이송을 가이드하는 고정파이프(42) 내로 유입되어 하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고정파이프(42)에서 이송된 와이어는 이 후 와이어 절단유닛(44)을 지나, 음극실린더(45)를 통과하여, 와이어에 모재를 가공하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상부가이드(50)로 유입된다.
상기 상부가이드(50)를 통과한 와이어는 가공소재에 초기 가공홀(미도시)에 유입되고,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저면을 구성하는 베드(미도시)에 구비된 하부가이드(60)에 결선된다.
상기 하부가이드(60)는 모재 가공을 수행한 폐와이어를 미도시된 와이어 버켓에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부 가이드에 이송되는 와이어는 하부암(70)을 거쳐 와이어 버켓(미도시)에 적제된 후 폐기된다.
이러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초기에 상기 권취릴(10)에 권선되어 있으므로 구부러진 컬링 와이어(curling wire)의 형상을 가진다. 이렇게 구부러진 형태의 와이어는 모재 가공에 부적합하므로, 이러한 컬링 와이어를 스트레이트 와이어(straight wire), 즉,곧게 뻗은 와이어로 변형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컬링 와이어를 스트레이트 와이어로 변형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일단, 상기 텐션롤러(31)를 지나 상기 상부가이드(50)에 유입되기 전의 컬링 와이어는 상기 음극실린더(45)에 의해 고정됨과 동시에 음전류가 공급된다.
이 후, 양극실린더(41)에 의해 상기 컬링 와이어에 양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컬링 와이어는 스트레이트 와이어로 변형이 용이할 수 있게 히팅된다.
이 후, 상기 텐션롤러(30)를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하여 상기 컬링 와이어를 팽팽하게 텐션시킨다.
이 후, 상기 고정파이프(42)와 양극실린더(41) 사이에 구비된 에어공급유닛(43)으로써 에어를 공급하여 히팅된 컬링 와이어를 냉각시키면, 상기 컬링 와이어는 스트레이트 와이어로 변형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변형된 스트레이트 와이어 끝단은 상기 음극실린더(45)에 의해 고정된 부분으로서, 완전히 곧게 펴진 상태가 되지 않으므로 상기 음극실린더(45)의 상측에 구비된 와이어절단유닛(44)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말단이 컷팅되고, 이 후, 상기 텐션롤러(30)를 정회전 시키면 상기 스트레이트 와이어는 상부가이드(50), 가공소재 및 하부가이드(6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자동결선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동결선 여부는 상기 음극실린더(45)와 상부가이드(50) 사이에 구비된 감지센서로써 파악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로, 상기 상부암(40)에 구비된 구성요소들의 위치적 특성상, 즉, 컬링 와이러를 스트레이트 와이어로 변형하기 위하여 필수적 구성요소인 와이어절단유닛(44), 음극실린더(45)가 상기 상부가이드(50) 상측에 위치하므로, 상기 고정파이프(42)의 길이는 상기 와이어절단유닛(44) 상측까지 밖에 위치하지 못한다. 이는 상기 고정파이프(42)에서 상부가이드(50)까지 상기 와이어가 가이드 되지 않는 자유 상태이므로, 상기 상부가이드(50)에 유입되지 않고 와이어가 이탈하는 경우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가공소재의 여러 구멍을 가공하는 경우에 있어서, 한 구멍을 가공하고 다음 구멍을 가공하기 위해 와이어 방전 가공기를 이동한 후 자동결선을 실행하는 상황에서는 상기 고정파이프(42)와 상부가이드(50) 사이에서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부재가 없음으로 인해 주위의 공기 유동, 가공액 흐름, 표면 장력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해 자동결선이 되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또한, 상기 컬링 와이어를 스트레이트 와이어로 변형하기 위해 히팅유닛, 즉 양극실린더(41)와 음극실린더(45)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전기 히팅 방식은 어느 정도 두께가 있는 와이어를 사용할 때 가능한 것으로서, 미세한 가공을 위해 사용되는 얇은 와이어의 경우 열에 의해 단선되므로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전기히팅 방식 또는 수류 방식을 이용하여 컬링 와이어를 스트레이트 와이어로 변형시킬 수 있는 와이어 방전가공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를 상부가이드로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파이프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텐션롤러로부터 이송되는 와이어의 이송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상부암과, 상기 상부암의 하단에 체결되어 상기 이송된 와이어를 결선하여 모재 가공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상부가이드와, 상기 상부암의 상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에 양전류를 공급하는 양극실린더와, 상기 양극실린더 하측에 구비되어 와이어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유닛과, 상기 상부가이드 상측에 구비되어 와이어에 음전류를 공급하는 음극실린더를 포함하는 텐션부와, 상기 음극실린더와 상부가이드 사이에서 상기 상부암에 구비되는 와이어절단유닛과, 상기 양극실린더로부터 이송되는 와이어를 상기 상부가이드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 하 이동하는 파이프유닛을 포함하는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방전가공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이프유닛은 상기 에어공급유닛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양극실린더로부터 이송되는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고정파이프와, 상기 고정파이프를 수용하여 상, 하 이동하며, 하방 이동시 상기 상부가이드에 접하는 도킹파이프와, 상기 도킹파이프를 상, 하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암에 체결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이프유닛은 상기 도킹파이프 중단 외주면에 구비된 제1 브라켓과, 상기 도킹파이프 상단 외주면에 구비된 제2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실린더는 상기 제1 브라켓과 체결되어 상기 도킹파이프를 상기 음극실린더의 상측까지 상방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브라켓과 체결되어 상기 도킹파이프를 상기 와이어절단유닛의 상측까지 상방 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가이드는 상단이 상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부가 형성된 통전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가공부위에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통전홀 중단에 형성되어 가공액이 유입되는 제1 노즐부와, 상기 통전홀 자유단에 형성되어 가공액이 유입되는 제2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킹파이브의 자유단은 상기 상부가이드의 테이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상기 상부가이드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가이드에서 이송되는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하부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가이드는 소재 가공 방향으로 가공액을 분사하거나, 상기 소재에 분사되어 낙하하는 가공액을 흡입하여 상기 가이드홀 내부로 분사하기 위해, 일측에 가공액분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공액분사유닛은 가공액을 상기 가이드홀 방향으로 흡입하기 위해 아스피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와이어의 상태에 따라 전기히팅 방식 또는 수류 방식을 이용하여 컬링 와이어를 스트레이트 와이어로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정밀한 가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를 상부가이드로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파이프 유닛을 제공하여, 가공시간 단축 및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측단면도이다.
권취릴(10)에 권선되어 있는 와이어는 와이어이송부(20)를 거쳐 텐션롤러ㅂ부00)에 유입된다. 이러한 텐션롤러부(100)는 한 쌍의 텐션롤러(110)와 상기 텐션롤러(110)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텐션롤러(110)를 정, 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0)에 의해 구동되어 와이어를 도면상의 하측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텐션롤러(110)를 지나 이송되는 컬링 와이어(curling wire)를 스트레이트 와이어(straight wire)로 변환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와이어이송부(20)의 하측엔 상기 텐션롤러(110)로부터 유출된 와이어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단이 상기 와이어이송부(20)에 체결되는 상부암(40)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암(40)의 하단(자유단)에는, 상기 이송된 와이어를 결선하여 모재 가공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상부가이드(600)가 체결된다.
상기 상부암(40)의 상단과 상기 상부가이드(600)가 체결된 상부암(40)의 하단 사이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양극실린더(210), 에어공급유닛(220), 파이프유닛(400), 와이어 절단유닛(300), 음극실린더(230), 감지센서(500)가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양극실린더(210)는 에어공급유닛(220) 및 음극실린더(230)와 함께 텐션부(200)를 구성하며, 상기 텐션부(200)는 컬링 와이어를 스트레이트 와이어로 변형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서, 와이어가 전기히팅 방식으로써 변형될 수 있을 때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극실린더(210)는 상부암(40)의 상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에 양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에어공급유닛(220)은 상기 양극실린더(210) 하측에 구비되어 컬링 와이어를 스트레이트 와이어로 변형하기 위해 에어를 공급한다. 상기 음극실린더(230)는 상기 상부가이드(600) 상측에 구비되어 와이어에 음전류를 공급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부가이드(600)에 와이어를 효과적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유닛(4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이프유닛(400)은 상기 에어공급유닛(220)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양극실린더(210)로부터 이송되는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고정파이프(410)와, 상기 고정파이프(410)를 수용하여 상, 하 이동하며, 하방 이동시 상기 상부가이드(600)에 접하는 도킹파이프(420)와, 상기 도킹파이프(420)를 상, 하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암(40)에 체결되는 구동실린더(43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실린더(430)에 의해 상기 도킹파이프(420)가 상, 하 이동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유닛(400)은 상기 도킹파이프(420) 중단 외주면에 구비된 제1 브라켓(421)과, 상기 도킹파이프(420) 상단 외주면에 구비된 제2 브라켓(422)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실린더(430)는 상기 제1 브라켓(421)과 체결되어 상기 도킹파이프(420)를 상기 음극실린더(230)의 상측까지 상방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431)와, 상기 제2 브라켓(422)과 체결되어 상기 도킹파이프(420)를 상기 와이어 절단유닛(300)의 상측까지 상방 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43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킹파이프(420)의 자유단은 후술할 상부가이드(600)의 테이퍼부(61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효과적인 도킹을 위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와이어 절단유닛(300)은 상기 음극실린더(230)와 상부가이드(600) 사이에서 와이어를 컷팅하기 위해 상기 상부암(40)에 구비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전기히팅에 의한 와이어 이송 어셈블리 이외에도, 와이어가 얇아서 전기히팅 방식으로 컬링 와이어를 스트레이트 와이어로 변형할 수 없는 경우 수류를 이용한 방식으로 와이어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상부가이드(600)와 하부가이드(700)에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가이드(600)는 상단에 와이어가 진입하기 용이하기 위해 상단이 상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부(611)가 형성된 통전홀(61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가이드(600)에 진입한 와이어의 측 방향으로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고, 모재 가공시 발생하는 칩과, 가공열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상부가이드(600)는 상기 통전홀(610) 중단에 형성되어 가공액이 유입되는 제1 노즐부(620)와, 상기 통전홀(610) 자유단에 형성되어 가공액이 유입되는 제2 노즐부(63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부가이드(600)를 통과한 와이어는 가공소재에 초기 가공홀(미도시)에 유입되고,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저면을 구성하는 베드(미도시)에 구비된 하부가이드(700)에 결선된다.
상기 하부가이드(700)는 모재 가공을 수행한 폐와이어를 미도시된 와이어 버켓에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부 가이드에 이송되는 와이어는 하부암(70)을 거쳐 와이어 버켓(미도시)에 적제된 후 폐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가이드(700)는 상기 상부가이드(600)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가이드(600)에서 이송되는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홀(7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가이드(700)는 소재 가공 방향으로 가공액을 분사하거나, 상기 소재에 분사되어 낙하하는 가공액을 흡입하여 상기 가이드홀(710) 내부로 분사하기 위해, 일측에 가공액분사유닛(720)을 포함한다.
상기 가공액분사유닛(720)은 가공액을 상기 가이드홀(710) 방향으로 흡입하기 위해 아스피레이터(aspirator)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하부가이드(700)는 가공소재 방향으로 가공액을 분사하는 기능만 수행하나, 본 발명은 아스피레이터를 구비하며, 이는 전기히팅 방식이 아닌 수류 이용 방식으로 와이어를 결선할 때, 와이어의 이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단, 텐션롤러(110)의 정회전으로써 이송되는 와이어는 상부암(40)으로 하방 이동한다.
이러한 경우, 도 5의 (a)상태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는 양극실린더(210)를 지나 고정파이프(410)에 유입되어 상부가이드(600)와 도킹되어 있는 도킹파이프(420)를 통해 상부가이드(600)에 유입된다. 즉, 종래에 비하여 상부가이드(600)에 안정적인 와이어의 유입이 가능해진다.
이 후, 도 5의 상태 (b)를 참조하면, 상기 도킹파이프(420)는 제1 실린더((431)가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음극실린더(230)의 상측까지 상방 이동한다. 이 후, 와이어는 음극실린더(230)에 의해 고정되며, 양극실린더(210)와 음극실린더(230)에 전류를 인가하여 와이어를 히팅시킨다. 이 후, 텐션롤러(110)를 역회전하여 히팅된 와이어를 팽팽하게 텐션시킨 후, 에어공급유닛(220)으로써 에어를 공급하여 히팅된 컬링 와이어를 냉각시키면, 상기 컬링 와이어는 스트레이트 와이어로 변형되는 것이다.
이 후, 도 5의 상태 (c)를 참조하면, 상기 도킹파이프(420)는 제2 실린더(432)가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도킹파이프(420)를 상기 와이어 절단유닛(300)의 상측까지 상방 이동된다.
이렇게 도킹파이프(420)가 상기 와이어 절단유닛(300)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이유는, 상기 변형된 스트레이트 와이어 끝단은 상기 음극실린더(230)에 의해 고정된 부분으로서, 완전히 곧게 펴진 상태가 되지 않으므로 상기 음극실린더(230)의 상측에 구비된 와이어 절단유닛(300)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말단이 컷팅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 후, 도 5의 (a) 상태와 같이 상기 도킹파이프(420)는 다시 상부가이드(600)와 도킹되며 텐션롤러(110)를 정회전시킴으로써, 곧게 펴진 스트레이트 와이어를 상부가이드(600)에 이송시킨다. 이렇게 상부가이드(600)에 이송된 와이어는 가송소재와 하부가이드(700)에 순차적으로 자동결선된다.
한편, 본 발명은 와이어 두께가 얇은 경우 전기히팅 방식이 사용될 수 없으므로, 수류을 이용한 와이어 이송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송방법은 전기히팅 구간이 필요 없으므로, 도 5의 (b) 상태와 같은 동작은 불요하다.
즉, (a) 상태와 같이 도킹파이프(420)를 상부가이드(600)에 도킹하고, 음극실린더(230)로써 와이어를 고정한 후, 상태 (c)와 같이 도킹파이프(420)를 상방 이동시킨 후, 상태가 좋지 아니한 와이어 말단을 제거한다.
이 후, 다시 상태 (a)와 같이 도킹파이프(420)를 상부가이드(600)에 도킹한 후, 텐션롤러(110)를 정회전시키면서 에어를 공급하여 와이어를 상부가이드(600)에 진입하게 도모하고, 상부가이드(600)에 진입된 와이어는 상부가이드(600)에 구비된 제1 노즐부(620)와 제2 노즐부(630)에서 분사되는 가공액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가이드(600)를 나온 와이어는 하부가이드(700)의 아스피레이터의 가공액 흡입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하부가이드(700)에 유입되고, 유입된 가공액이 하부가이드(700)의 가이드홀(710)에 분사되어 와이어는 하부암(70)으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은 와이어의 종류에 따라 와이어의 이송방식을 달리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도킹파이프(420)를 구비하여 상부가이드(600)로의 안정적인 와이어 이송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40: 상부암 200: 텐션부
300: 와이어 절단유닛 400: 파이프유닛
410: 고정파이프 420: 도킹파이프
430: 구동실린더 500: 감지센서
600: 상부가이드 610: 통전홀
611: 테이퍼부 620: 제1 노즐부
630: 제2 노즐부 700: 하부가이드
710: 가이드홀 720: 가공액분사유닛

Claims (7)

  1. 텐션롤러로부터 이송되는 와이어의 이송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상부암;
    상기 상부암의 하단에 체결되어 상기 이송된 와이어를 결선하여 모재 가공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상부가이드;
    상기 상부암의 상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에 양전류를 공급하는 양극실린더와, 상기 양극실린더 하측에 구비되어 와이어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유닛과, 상기 상부가이드 상측에 구비되어 와이어에 음전류를 공급하는 음극실린더를 포함하는 텐션부;
    상기 음극실린더와 상부가이드 사이에서 상기 상부암에 구비되는 와이어 절단유닛; 및
    상기 양극실린더로부터 이송되는 와이어를 상기 상부가이드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 하 이동하는 파이프유닛;을 포함하는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방전가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유닛은,
    상기 에어공급유닛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양극실린더로부터 이송되는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고정파이프;
    상기 고정파이프를 수용하여 상, 하 이동하며, 하방 이동시 상기 상부가이드에 접하는 도킹파이프; 및
    상기 도킹파이프를 상, 하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암에 체결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방전가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유닛은 상기 도킹파이프 중단 외주면에 구비된 제1 브라켓과, 상기 도킹파이프 상단 외주면에 구비된 제2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실린더는 상기 제1 브라켓과 체결되어 상기 도킹파이프를 상기 음극실린더의 상측까지 상방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브라켓과 체결되어 상기 도킹파이프를 상기 와이어 절단유닛의 상측까지 상방 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방전가공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는 상단이 상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부가 형성된 통전홀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가공부위에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통전홀 중단에 형성되어 가공액이 유입되는 제1 노즐부와, 상기 통전홀 자유단에 형성되어 가공액이 유입되는 제2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방전가공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파이브의 자유단은 상기 상부가이드의 테이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방전가공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상기 상부가이드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가이드에서 이송되는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하부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가이드는 소재 가공 방향으로 가공액을 분사하거나, 상기 소재에 분사되어 낙하하는 가공액을 흡입하여 상기 가이드홀 내부로 분사하기 위해, 일측에 가공액분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방전가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액분사유닛은 가공액을 상기 가이드홀 방향으로 흡입하기 위해 아스피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방전가공기.
KR1020120151731A 2012-12-24 2012-12-24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방전가공기 KR20140083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731A KR20140083098A (ko) 2012-12-24 2012-12-24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방전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731A KR20140083098A (ko) 2012-12-24 2012-12-24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방전가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098A true KR20140083098A (ko) 2014-07-04

Family

ID=51733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731A KR20140083098A (ko) 2012-12-24 2012-12-24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방전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30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5648A (zh) * 2016-12-02 2017-05-31 宁波市江北数控设备厂 导轮调整机构
CN107335877A (zh) * 2017-08-16 2017-11-10 苏州经贸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电火花线切割机床的上丝机构
CN116727789A (zh) * 2023-07-31 2023-09-12 常熟星祥益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航空件加工用线切割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5648A (zh) * 2016-12-02 2017-05-31 宁波市江北数控设备厂 导轮调整机构
CN107335877A (zh) * 2017-08-16 2017-11-10 苏州经贸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电火花线切割机床的上丝机构
CN116727789A (zh) * 2023-07-31 2023-09-12 常熟星祥益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航空件加工用线切割设备
CN116727789B (zh) * 2023-07-31 2023-11-24 常熟星祥益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航空件加工用线切割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26085A1 (e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production system
JP2014127517A (ja) カバーテープ剥離方法、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
KR20140083098A (ko)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방전가공기
JP5917683B2 (ja) 電子部品装着機
JP6062444B2 (ja) 対基板作業機、および装着方法
KR20190030173A (ko) 자동 결선 방법 및 와이어 방전 가공기
JP2010023946A (ja) ワーク搬送装置及びワーク処理装置
JP5225516B1 (ja) ワイヤ電極送り装置およびワイヤ放電加工機
JPWO2013054377A1 (ja) ワイヤ放電加工機、及びそのワイヤ電極送り方法
JP5197889B1 (ja) ワイヤ放電加工機及びワイヤ電極除去装置
JP6511134B2 (ja) 部品供給装置、表面実装機、及び部品の供給方法
US8562778B2 (en) Tape adhering apparatus and tape adhering method
JPWO2016046967A1 (ja) メンテナンス案内システム及びメンテナンス案内方法
JP6346068B2 (ja) 部品供給装置、表面実装機、及び部品の供給方法
JP2012111078A (ja) ゴム部材の供給貼付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タイヤ用部材の成形方法
JP5923827B2 (ja) ワーク挿入装置およびワーク挿入方法
CN112296461A (zh) 线放电加工机以及控制方法
CN106029274B (zh) 线放电加工装置
JP5921792B1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およびイニシャルホール加工方法
JP6605564B2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
KR20220039453A (ko) 동파이프 축관 자동 스웨징 장치
KR20140073694A (ko) 와이어 방전가공기
KR20190035063A (ko) 터미널 실장기용 릴 자동교체 공급장치 및 이용한 릴 자동교체 공급방법
JP7429328B1 (ja) 電線切断皮剥き装置、端処理電線製造装置、及び、端処理電線の製造方法
US10398070B2 (en) Suction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