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173A - 자동 결선 방법 및 와이어 방전 가공기 - Google Patents

자동 결선 방법 및 와이어 방전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173A
KR20190030173A KR1020180108181A KR20180108181A KR20190030173A KR 20190030173 A KR20190030173 A KR 20190030173A KR 1020180108181 A KR1020180108181 A KR 1020180108181A KR 20180108181 A KR20180108181 A KR 20180108181A KR 20190030173 A KR20190030173 A KR 20190030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lectrode
wire
lower nozzle
contact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리 마키노
히로미츠 가도쿠라
Original Assignee
화낙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낙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화낙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30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23H7/102Automatic wire thr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00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i.e. removing metal with a series of rapidly recurring electrical discharges between an electrode and a workpiece in the presence of a fluid dielectric
    • B23H1/02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power supply, control, preventing short circuits or other abnormal dis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00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i.e. removing metal with a series of rapidly recurring electrical discharges between an electrode and a workpiece in the presence of a fluid dielectric
    • B23H1/04Electr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r their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1/00Auxiliary apparatu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23H7/101Supply of working med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23H7/105Wire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는, 하측 노즐 (32) 에 형성되고,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하는 접촉 검출부 (76) 와, 하측 노즐 (32) 내에 가공액을 흡입하는 흡입부 (38) 와, 와이어 전극 (12) 을, 워크 (14) 의 가공공을 통과시켜, 하측 노즐 (32) 을 향하여 이송하는 와이어 공급 기구 (45) 를 갖고, 가공조 (20) 내에 가공액을 저류한 상태에서 자동 결선을 실시할 때에는, 흡입부 (38) 에 의해 하측 노즐 (32) 내에 가공액을 흡입시킴과 함께, 와이어 공급 기구 (45) 에 의해, 와이어 전극 (12) 을 하측 노즐 (32) 을 향하여 이송하고, 접촉 검출부 (76) 가,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와이어 공급 기구 (45) 에 의해 와이어 전극 (12) 을 되감는다.

Description

자동 결선 방법 및 와이어 방전 가공기{AUTO WIRE FEEDING METHOD AND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본 발명은, 와이어 전극의 자동 결선을 실시하는 자동 결선 방법 및 와이어 방전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177234호에는, 와이어 전극을, 와이어 전극 공급부로부터 피가공물의 가공 개시공으로 통과시켜, 와이어 전극 회수부에 결합시키는 와이어 자동 공급에 있어서, 와이어 전극이 와이어 전극 회수부에 결합되지 않을 때에는, 와이어 전극을 초기 상태로 자동적으로 되감는 와이어 컷 방전 가공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177234호의 기술에서는, 와이어 전극의 결선이 실패할 때마다, 와이어 전극을 초기 상태까지 되감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 전극의 결선이 완료되기까지 장시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와이어 전극의 자동 결선의 완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화하고, 또한, 자동 결선의 결선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결선 방법 및 와이어 방전 가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전극의 자동 결선을 실시하는 자동 결선 방법으로서, 상기 와이어 방전 가공기는, 가공액을 저류 가능한 가공조와, 상기 가공조 내에 형성되고 워크가 설치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하부에 형성되고, 노즐 구멍에 와이어 전극이 삽입 통과되는 하측 노즐과, 상기 하측 노즐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전극이 상기 하측 노즐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하는 접촉 검출부와, 상기 하측 노즐 내에 가공액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와이어 전극을, 상기 워크의 가공공을 통과시켜, 상기 하측 노즐을 향하여 이송하는 와이어 공급 기구를 갖고, 상기 가공조 내에 가공액을 저류한 상태에서 자동 결선을 실시할 때에는, 상기 흡입부에 의해 상기 하측 노즐 내에 상기 가공액을 흡입시킴과 함께,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극을 상기 하측 노즐을 향하여 이송하고, 상기 접촉 검출부가, 상기 와이어 전극이 상기 하측 노즐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극을 되감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 전극의 자동 결선의 완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모식도이다.
도 2 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자동 결선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3 은,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자동 결선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4 는, 워크의 판두께와 자동 결선의 성공률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는, 와이어 전극의 선단이 하측 노즐의 외부에 접촉하고, 와이어 전극이 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모식도이다.
도 6 은, 와이어 전극의 선단이 하측 노즐의 외부에 접촉하고, 와이어 전극이 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모식도이다.
도 7 은,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자동 결선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8 은,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자동 결선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9 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자동 결선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제 1 실시형태]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구성]
도 1 은,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의 모식도이다.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는, 와이어 전극 (12) 과 워크 (14) 로 형성되는 극간에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워크 (14) 에 대해 방전 가공을 실시하는 공작 기계이다. 와이어 전극 (12) 의 재질은, 예를 들어, 텅스텐계, 구리 합금계, 황동계 등의 금속 재료이다. 한편, 워크 (14) 의 재질은, 예를 들어, 철계 재료 또는 초경 재료 등의 금속 재료이다.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는, 가공기 본체 (16) 와 제어 장치 (18) 를 적어도 갖고 있다. 가공기 본체 (16) 는, 워크 (14) 를 방전 가공할 때에 사용되는 탈이온수 또는 오일 등의 가공액을 저류 가능한 가공조 (20) 를 구비하고 있다. 가공조 (20) 내에는 워크 (14) 가 고정되는 테이블 (22) 이 설치되어 있다. 가공조 (20) 는, 도시되지 않은 서보 모터에 의해 수평면 상을 이동 가능하다. 가공조 (20) 가 이동함으로써, 테이블 (22) 에 고정된 워크 (14) 는 와이어 전극 (12) 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워크 (14) 를 와이어 전극 (12) 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면서 방전 가공함으로써, 워크 (14) 를 임의의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다.
가공기 본체 (16) 는, 상측 와이어 가이드 (24) 및 하측 와이어 가이드 (26) 를 갖고 있다. 상측 와이어 가이드 (24) 는 워크 (14) 의 상부에 형성되고, 하측 와이어 가이드 (26) 는 워크 (14) 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측 와이어 가이드 (24) 는, 와이어 전극 (12) 이 삽입 통과되는 노즐 구멍으로부터 가공액을 토출하는 상측 노즐 (28), 및 와이어 전극 (12) 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측 전극핀 (30) 을 갖고 있다. 하측 와이어 가이드 (26) 는, 와이어 전극 (12) 이 삽입 통과되는 노즐 구멍으로부터 가공액을 흡입, 토출하는 하측 노즐 (32), 및 와이어 전극 (12) 에 전력을 공급하는 하측 전극핀 (34) 을 갖고 있다.
상측 노즐 (28) 및 하측 노즐 (32) 에는, 제어 장치 (18) 의 제어 하에서 구동하는 펌프 (36) 가 접속되어 있다. 펌프 (36) 는, 상측 노즐 (28) 및 하측 노즐 (32) 의 내부에 가공액을 공급하고, 또 하측 노즐 (32) 의 내부로부터 가공액을 흡입한다. 펌프 (36) 는, 흡입부 (38) 를 구성하고 있다.
가공기 본체 (16) 는, 와이어 전극 (12) 을 보빈 (40) 으로부터 워크 (14) 의 가공공을 통과시켜, 회수 박스 (42) 까지 반송하는 주행 기구 (44) 를 갖고 있다. 주행 기구 (44) 는, 와이어 전극 (12) 의 주행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순으로, 보빈 (40), 가이드 롤러 (48), 가이드 롤러 (50), 브레이크 롤러 (52), 가이드 롤러 (56), AWF 파이프 (58), 상측 와이어 가이드 (24), 하측 와이어 가이드 (26), 가이드 롤러 (62), 하측 파이프 (64), 핀치 롤러 (66), 및 피드 롤러 (68) 를 적어도 갖고 있다. 이 주행 기구 (44) 에 의해, 와이어 전극 (12) 의 주행 경로가 규정된다. 주행 기구 (44) 는, 와이어 공급 기구 (45) 를 구성하고 있다.
보빈 (40) 은, 제어 장치 (18) 의 제어 하에서 구동하는 모터 (46) 로부터 부여된 토크에 의해 회전한다. 보빈 (40) 에는, 장척인 와이어 전극 (12) 이 감겨져 있고, 보빈 (40) 이 회전함으로써, 보빈 (40) 으로부터 와이어 전극 (12) 이 공급된다.
보빈 (40) 으로부터 공급된 와이어 전극 (12) 은, 가이드 롤러 (48) 및 가이드 롤러 (50) 에 놓여진다. 가이드 롤러 (48) 및 가이드 롤러 (50) 는, 보빈 (40) 으로부터 송출된 와이어 전극 (12) 의 반송 방향을 변화시켜, 와이어 전극 (12) 을 브레이크 롤러 (52) 를 향하여 안내한다.
브레이크 롤러 (52) 는, 제어 장치 (18) 의 제어 하에서 구동하는 모터 (54) 로부터 부여된 토크에 의해 회전한다. 브레이크 롤러 (52) 는, 와이어 전극 (12) 을 미끄러뜨리지 않고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모터 (46) 로부터 브레이크 롤러 (52) 에 부여하는 토크를 조정함으로써, 와이어 전극 (12) 에 대해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브레이크 롤러 (52) 로부터 이송된 와이어 전극 (12) 은, 가이드 롤러 (56) 에 놓여진 후, AWF 파이프 (58) 로 이송된다. 브레이크 롤러 (52) 와 가이드 롤러 (56) 사이에는, 장력 검출부 (60) 가 형성되어 있다. 장력 검출부 (60) 는, 와이어 전극 (12) 의 장력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AWF 파이프 (58) 로 이송된 와이어 전극 (12) 은, AWF 파이프 (58) 내를 통과하여 상측 와이어 가이드 (24) 로 이송된다. 상측 와이어 가이드 (24) 로 이송된 와이어 전극 (12) 은, 워크 (14) 의 가공공을 통과하고, 하측 와이어 가이드 (26) 를 향하여 이송된다.
하측 와이어 가이드 (26) 로 이송된 와이어 전극 (12) 은, 하측 와이어 가이드 (26) 내에 형성된 가이드 롤러 (62) 에 놓여진 후, 하측 파이프 (64) 로 이송된다. 하측 파이프 (64) 로 이송된 와이어 전극 (12) 은, 하측 파이프 (64) 를 통과한 후, 와이어 전극 (12) 을 협지하는 핀치 롤러 (66) 및 피드 롤러 (68) 에 의해 회수 박스 (42) 내로 이송된다. 피드 롤러 (68) 는, 제어 장치 (18) 의 제어 하에서 구동하는 모터 (70) 로부터 부여된 토크에 의해 회전한다.
주행 기구 (44) 는, 워크 (14) 의 방전 가공 중에 와이어 전극 (12) 이 단선된 경우에는, 와이어 전극 (12) 의 결선을 자동적으로 실시한다 (자동 결선). 자동 결선은, 가공조 (20) 에 가공액이 저류된 상태에서 실시된다. 자동 결선이 실패했을 때에는, 와이어 전극 (12) 을 되감고, 다시 와이어 전극 (12) 의 결선을 자동적으로 실시한다. 자동 결선이 실패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공기 본체 (16) 에 휨 검출부 (72) 및 접촉 검출부 (76) 가 형성되어 있다.
자동 결선시에, 가이드나 롤러의 안내에 의존하지 않고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이 이동하는 거리가 가장 긴 지점은, 상측 노즐 (28) 과 하측 노즐 (32) 사이이다. 그 때문에, 상측 노즐 (28) 로부터 하측 노즐 (32) 을 향하여 와이어 전극 (12) 이 이송될 때,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이 하측 노즐 (32) 의 노즐 구멍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에 의한 자동 결선의 실패가 많다.
휨 검출부 (72) 는, 가이드 롤러 (56) 와 AWF 파이프 (58) 사이에 형성되고,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이 하측 노즐 (32) 의 노즐 구멍으로부터 벗어나,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와이어 전극 (12) 의 휨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접촉 검출부 (76) 는, 하측 노즐 (32) 에 형성되고,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또, 자동 결선이 완료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AWF 검출부 (78) 가 형성되어 있다. AWF 검출부 (78) 는, 핀치 롤러 (66) 및 피드 롤러 (68) 와 회수 박스 (42) 사이에 형성되고,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이 AWF 검출부 (78) 의 위치까지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자동 결선 처리]
다음으로, 워크 (14) 의 방전 가공 중에 와이어 전극 (12) 이 단선되고, 가공조 (20) 에 가공액이 저류된 상태에서 자동 결선하는 경우의, 제어 장치 (18) 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워크 (14) 의 판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제어 장치 (18) 는, 펌프 (36) 및 주행 기구 (44) 를 제어하고, 하측 노즐 (32) 로부터 가공액을 흡입하면서 자동 결선을 실시한다.
제어 장치 (18) 는, 워크 (14) 의 판두께가 150 [㎜] 이상인 경우에 워크 (14) 의 판두께가 두꺼운 것으로 판정하고, 워크 (14) 의 판두께가 150 [㎜] 미만인 경우에 워크 (14) 의 판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정한다. 워크 (14) 의 판두께는, 워크 (14) 의 방전 가공을 개시하기 전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입력 장치 등에 의해 제어 장치 (18) 에 입력된다. 또는, 워크 (14) 의 판두께를 자동으로 계측하는 판두께 계측 기구를 형성하여, 판두께 계측 기구로부터 제어 장치 (18) 에 워크 (14) 의 판두께가 입력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어 장치 (18) 는, 자동 결선 제어부 (19) 를 구성하고 있다.
도 2 및 도 3 은, 제어 장치 (18) 에 있어서의 자동 결선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스텝 S1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워크 (14) 의 판두께가 두꺼운지 여부를 판정한다. 워크 (14) 의 판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스텝 S2 로 이행하고, 워크 (14) 의 판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스텝 S12 로 이행한다.
스텝 S2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모터 (46), 모터 (54) 및 모터 (70) 를 구동시켜 와이어 전극 (12) 의 자동 결선을 개시하고, 스텝 S3 으로 이행한다. 스텝 S3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펌프 (36) 를 구동시켜 하측 노즐 (32) 로부터 가공액을 흡입하고, 스텝 S4 로 이행한다.
스텝 S4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접촉 검출부 (76) 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유무에 따라,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 장치 (18) 는, 접촉 검출부 (76) 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자동 결선이 실패한 것으로 판정한다.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5 로 이행하고,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9 로 이행한다.
스텝 S5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모터 (46) 및 모터 (54) 를 구동시켜 와이어 전극 (12) 을 되감고, 스텝 S6 으로 이행한다. 스텝 S6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접촉 검출부 (76) 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유무에 따라,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5 로 돌아오고,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7 로 이행한다.
스텝 S7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모터 (46) 및 모터 (54) 를 정지시켜 와이어 전극 (12) 의 되감기를 정지하고, 스텝 S8 로 이행한다. 스텝 S8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모터 (46), 모터 (54) 및 모터 (70) 를 구동시켜 와이어 전극 (12) 의 결선을 재개하고, 스텝 S9 로 이행한다. 스텝 S9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AWF 검출부 (78) 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유무에 따라, 와이어 전극 (12) 의 결선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와이어 전극 (12) 의 결선이 완료된 경우에는 스텝 S10 으로 이행하고, 와이어 전극 (12) 의 결선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4 로 돌아온다.
스텝 S10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펌프 (36) 를 정지시켜 하측 노즐 (32) 로부터의 가공액의 흡입을 종료하고, 스텝 S11 로 이행한다. 스텝 S11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모터 (46), 모터 (54) 및 모터 (70) 를 정지시켜 와이어 전극 (12) 의 자동 결선을 종료하고, 자동 결선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1 에 있어서, 모터 (46), 모터 (54) 및 모터 (70) 를 정지시키지 않고 , 계속하여 방전 가공을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스텝 S12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모터 (46), 모터 (54) 및 모터 (70) 를 구동시켜 와이어 전극 (12) 의 자동 결선을 개시하고, 스텝 S13 으로 이행한다. 스텝 S13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휨 검출부 (72) 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유무에 따라, 와이어 전극 (12) 에 휨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 장치 (18) 는, 휨 검출부 (72) 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자동 결선이 실패한 것으로 판정한다. 와이어 전극 (12) 에 휨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4 로 이행하고, 와이어 전극 (12) 에 휨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8 로 이행한다.
스텝 S14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모터 (46) 및 모터 (54) 를 구동시켜 와이어 전극 (12) 을 되감고, 스텝 S15 로 이행한다. 스텝 S15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휨 검출부 (72) 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유무에 따라, 와이어 전극 (12) 에 휨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와이어 전극 (12) 에 휨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4 로 돌아오고, 와이어 전극 (12) 에 휨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6 으로 이행한다.
스텝 S16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모터 (46) 및 모터 (54) 를 정지시켜 와이어 전극 (12) 의 되감기를 정지시키고, 스텝 S17 로 이행한다. 스텝 S17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모터 (46), 모터 (54) 및 모터 (70) 를 구동시켜 와이어 전극 (12) 의 결선을 재개하고, 스텝 S18 로 이행한다. 스텝 S18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AWF 검출부 (78) 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유무에 따라, 와이어 전극 (12) 의 결선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와이어 전극 (12) 의 결선이 완료된 경우에는 스텝 S11 로 이행하고, 와이어 전극 (12) 의 결선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13 으로 돌아온다.
또한, 제어 장치 (18) 는, 워크 (14) 의 판두께가 200 [㎜] 이상인 경우에 워크 (14) 의 판두께가 두꺼운 것으로 판정하고, 워크 (14) 의 판두께가 200 [㎜] 미만인 경우에 워크 (14) 의 판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제어 장치 (18) 는, 워크 (14) 의 판두께가 250 [㎜] 이상인 경우에 워크 (14) 의 판두께가 두꺼운 것으로 판정하고, 워크 (14) 의 판두께가 250 [㎜] 미만인 경우에 워크 (14) 의 판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제어 장치 (18) 는, 워크 (14) 의 판두께가 300 [㎜] 이상인 경우에 워크 (14) 의 판두께가 두꺼운 것으로 판정하고, 워크 (14) 의 판두께가 300 [㎜] 미만인 경우에 워크 (14) 의 판두께가 얇은 것으로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스텝 S1 에 있어서, 워크 (14) 의 판두께가 두껍거나 또는 얇은 것을 판정하고, 판두께에 따라, 스텝 S2 ∼ 스텝 S9 의 처리와, 스텝 S12 ∼ 스텝 S18 의 처리를 나누어 실행하고 있었지만, 판두께에 상관없이, 스텝 S2 ∼ 스텝 S9 의 처리만을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작용 효과]
가공조 (20) 의 가공액을 배출한 상태에서, 펌프 (36) 에 의해 상측 노즐 (28) 에 가공액을 공급하고, 상측 노즐 (28) 의 노즐 구멍으로부터 가공액을 토출하면서, 와이어 전극 (12) 이 이송됨으로써, 와이어 전극 (12) 의 진직성을 높여, 자동 결선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워크 (14) 의 방전 가공 중에 와이어 전극 (12) 이 단선된 경우에, 가공조 (20) 의 가공액을 배출한 상태에서 자동 결선이 실시되면, 자동 결선의 전후로, 가공액의 배출과 공급이 실시될 필요가 있고, 방전 가공 재개까지 장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공조 (20) 에 가공액을 저류한 상태에서 자동 결선이 실시되도록 하고, 방전 가공 재개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는 것으로 하였다.
가공조 (20) 에 가공액이 저류된 상태에서 자동 결선이 실시되는 경우에는, 가공조 (20) 로부터 가공액이 배출된 상태에서 자동 결선이 실시되는 경우에 비하여, 자동 결선은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것은, 상측 노즐 (28) 의 노즐 구멍으로부터 가공액을 토출하면서, 와이어 전극 (12) 이 이송되도록 해도, 가공액 중에서는, 상측 노즐 (28) 의 노즐 구멍으로부터 가공액의 흐름을 바로 약해지고, 와이어 전극 (12) 의 진직성을 충분히 높일 수 없기 때문이다. 또, 가공액의 부력에 의해, 와이어 전극 (12) 이 뜨기 쉬워지는 것도 원인으로서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공조 (20) 에 가공액이 저류된 상태에서 자동 결선이 실시되는 경우에 있어서, 자동 결선의 완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화하기 위하여, 자동 결선의 성공률의 향상과, 자동 결선의 실패시의 와이어 전극 (12) 의 되감기 길이의 단축화를 실현한다.
(자동 결선의 성공률의 향상)
도 4 는, 워크 (14) 의 판두께와 자동 결선의 성공률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가공조 (20) 에 가공액이 저류된 상태로서, 하측 노즐 (32) 로부터의 가공액의 흡입이 실시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자동 결선의 성공률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크 (14) 의 판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상측 노즐 (28) 과 하측 노즐 (32) 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자동 결선의 성공률은 저하된다. 또, 와이어 전극 (12) 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상측 노즐 (28) 로부터 와이어 전극 (12) 을 이송할 때의 진직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자동 결선의 성공률은 저하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전극 (12) 의 직경에 상관없이, 워크 (14) 의 판두께가 150 [㎜] 이상인 범위에서는, 150 [㎜] 미만인 범위에 비하여, 자동 결선의 성공률의 저하의 비율이 커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워크 (14) 의 판두께가 150 [㎜] 이상일 때는, 펌프 (36) 에 의해 하측 노즐 (32) 로부터 가공액을 흡입하면서 자동 결선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하측 노즐 (32) 의 노즐 구멍을 향하는 가공액의 흐름에 따라, 상측 노즐 (28) 로부터 이송된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을 하측 노즐 (32) 의 노즐 구멍으로 안내할 수 있고, 자동 결선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와이어 전극의 되감기 길이의 단축화)
워크 (14) 의 판두께가 두꺼울 (150 [㎜] 이상) 때에는, 휨 검출부 (72) 에서는,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와이어 전극 (12) 의 휨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도 5 는, 워크 (14) 의 판두께가 얇은 (150 [㎜] 미만) 경우에,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와이어 전극 (12) 이 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가공기 본체 (16) 의 모식도이다. 도 6 은, 워크 (14) 의 판두께가 두꺼운 (150 [㎜] 이상) 경우에,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와이어 전극 (12) 이 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가공기 본체 (16) 의 모식도이다.
자동 결선에 실패하여,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맞닿은 경우,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보빈 (40) 으로부터 와이어 전극 (12) 이 계속 공급되면 와이어 전극 (12) 이 휜다. 와이어 전극 (12) 을 지지하는 2 개의 지지점 사이에 있어서, 와이어 전극 (12) 의 길이가 긴 지점에서, 와이어 전극 (12) 의 휨은 발생하기 쉽다.
워크 (14) 의 판두께가 얇은 (150 [㎜] 미만) 경우에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롤러 (52) 와 휨 검출부 (72) 사이의 와이어 전극 (12) 의 길이 (A) 가, 상측 와이어 가이드 (24) 와 하측 와이어 가이드 (26) 사이의 와이어 전극 (12) 의 길이 (B) 에 반하여 길다. 그 때문에, 가이드 롤러 (56) 와 AWF 파이프 (58) 사이에서 와이어 전극 (12) 이 휘기 쉽다. 이 경우, 휨 검출부 (72) 에 의해 와이어 전극 (12) 의 휨을 검출할 수 있다.
워크 (14) 의 판두께가 두꺼운 (150 [㎜] 이상) 경우에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롤러 (52) 와 휨 검출부 (72) 사이의 와이어 전극 (12) 의 길이 (A) 가, 상측 와이어 가이드 (24) 와 하측 와이어 가이드 (26) 사이의 와이어 전극 (12) 의 길이 (C) 에 반하여 짧다. 그 때문에, 상측 와이어 가이드 (24) 와 하측 와이어 가이드 (26) 사이에서 와이어 전극 (12) 이 휘기 쉽다. 이 경우, 휨 검출부 (72) 에 의해 와이어 전극 (12) 의 휨을 검출할 수는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휨 검출부 (72) 에 의해 와이어 전극 (12) 의 휨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여도, 하측 노즐 (32) 의 접촉 검출부 (76) 에 의해,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맞닿은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이 하측 노즐 (32) 의 노즐 구멍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를 따라 이동하고, 하측 와이어 가이드 (26) 의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와이어 전극 (12) 에 휨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휨 검출부 (72) 의 검출 신호로부터는, 제어 장치 (18) 는 자동 결선이 실패한 것을 판정할 수 없다. 한편, 하측 노즐 (32) 의 접촉 검출부 (76) 는,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 검출부 (76) 의 검출 신호에 의해, 제어 장치 (18) 는 자동 결선이 실패한 것을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휨 검출부 (72) 에 의해 와이어 전극 (12) 의 휨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접촉 검출부 (76) 를 사용하지 않아도, 제어 장치 (18) 는 자동 결선이 실패한 것을 판정할 수 있다. 자동 결선을 개시한 후 보빈 (40) 으로부터 공급한 와이어 전극 (12) 의 길이가 소정 길이 이상이 되어도, AWF 검출부 (78) 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 (18) 는, 자동 결선이 실패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소정 길이는, 와이어 전극 (12) 의 주행 경로 상에 있어서의, 상측 와이어 가이드 (24) 에서 AWF 검출부 (78) 까지의 길이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와이어 전극 (12) 의 되감기량이 길어져, 자동 결선의 완료까지 장시간 필요로 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접촉 검출부 (76) 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했을 때에, 자동 결선의 실패를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 전극 (12) 의 되감기 길이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촉 검출부 (76) 에 의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와이어 전극 (12) 이 접촉하고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접촉 검출부 (76) 에 의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와이어 전극 (12) 이 접촉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지 않게 될 때까지, 와이어 전극 (12) 을 되감도록 하였다. 이로써, 와이어 전극 (12) 의 되감기는,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이 하측 노즐 (32) 의 노즐 구멍에 삽입 통과되기 직전의 위치가 될 때까지 실시되게 되기 때문에, 와이어 전극 (12) 의 되감기 길이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을, 하측 노즐 (32) 의 내부로의 흡입력이 강한 지점인 하측 노즐 (32) 의 노즐 구멍의 근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을, 가공액의 흐름을 따라 하측 노즐 (32) 의 노즐 구멍을 향하여 안내할 수 있고, 자동 결선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촉 검출부 (76) 에 의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와이어 전극 (12) 이 접촉하고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와이어 전극 (12) 을 소정 길이 되감는다. 이로써, 와이어 전극 (12) 의 되감기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변형예 1]
변형예 1 은, 제 1 실시형태의 도 3 의 스텝 S13 과 스텝 S15 의 처리의 내용을, 후술하는 스텝 S21 과 스텝 S22 의 처리의 내용으로 변경한 것이다. 도 7 은, 제어 장치 (18) 에 있어서의 자동 결선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스텝 S1 ∼ 스텝 S11 의 처리의 흐름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 3 의 플로 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 처리의 흐름과 동일하다.
스텝 S12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모터 (46), 모터 (54) 및 모터 (70) 를 구동시켜 와이어 전극 (12) 의 자동 결선을 개시하고, 스텝 S21 로 이행한다.
스텝 S21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휨 검출부 (72) 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유무, 및 접촉 검출부 (76) 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유무에 따라, 와이어 전극 (12) 에 휨이 발생하고 있거나, 또는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와이어 전극 (12) 에 휨이 발생하고 있거나, 또는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4 로 이행한다. 와이어 전극 (12) 에 휨이 발생하고 있지 않거나, 또한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18 로 이행한다.
스텝 S14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모터 (46) 및 모터 (54) 를 구동시켜 와이어 전극 (12) 을 되감고, 스텝 S22 로 이행한다.
스텝 S22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휨 검출부 (72) 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유무, 및 접촉 검출부 (76) 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유무에 따라, 와이어 전극 (12) 에 휨이 발생하고 있거나, 또는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와이어 전극 (12) 에 휨이 발생하고 있거나, 또는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4 로 돌아온다. 와이어 전극 (12) 에 휨이 발생하고 있지 않거나, 또한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16 으로 이행한다.
스텝 S16 ∼ 스텝 S18 의 처리의 흐름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 3 의 플로 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 처리의 흐름과 동일하다.
[변형예 2]
변형예 2 는, 제 1 실시형태의 도 2 의 스텝 S6 과 도 3 의 스텝 S15 의 처리의 내용을, 후술하는 스텝 S31 과 스텝 S32 의 처리의 내용으로 변경한 것이다. 도 8 및 도 9 는, 제어 장치 (18) 에 있어서의 자동 결선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스텝 S1 ∼ 스텝 S4 의 처리의 흐름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 3 의 플로 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 처리의 흐름과 동일하다. 스텝 S5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모터 (46) 및 모터 (54) 를 구동시켜 와이어 전극 (12) 을 되감고, 스텝 S31 로 이행한다.
스텝 S31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접촉 검출부 (76) 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유무, 및 브레이크 롤러 (52) 의 모터 (54) 의 되감기량에 따라,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와이어 전극 (12) 을 소정 길이 되감은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와이어 전극 (12) 을 소정 길이 되감은 경우에는, 스텝 S7 로 이행한다. 와이어 전극 (12) 이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거나, 또한 와이어 전극 (12) 을 소정 길이 되감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5 로 돌아온다.
스텝 S7 ∼ 스텝 S13 의 처리의 흐름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 3 의 플로 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 처리의 흐름과 동일하다. 스텝 S14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모터 (46) 및 모터 (54) 를 구동시켜 와이어 전극 (12) 을 되감고, 스텝 S32 로 이행한다.
스텝 S32 에서는, 제어 장치 (18) 는, 브레이크 롤러 (52) 의 모터 (54) 의 되감기량에 따라, 와이어 전극 (12) 을 소정 길이 되감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와이어 전극 (12) 을 소정 길이 되감은 경우에는, 스텝 S16 으로 이행하고, 와이어 전극 (12) 을 소정 길이 되감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4 로 돌아온다.
스텝 S16 ∼ 스텝 S18 의 처리의 흐름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 3 의 플로 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 처리의 흐름과 동일하다.
[실시형태로부터 얻어지는 기술적 사상]
상기 실시형태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해, 이하에 기재한다.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의 와이어 전극 (12) 의 자동 결선을 실시하는 자동 결선 방법으로서, 상기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는, 가공액을 저류 가능한 가공조 (20) 와, 상기 가공조 (20) 내에 형성되고 워크 (14) 가 설치되는 테이블 (22) 과, 상기 테이블 (22) 의 하부에 형성되고, 노즐 구멍에 와이어 전극 (12) 이 삽입 통과되는 하측 노즐 (32) 과, 상기 하측 노즐 (32) 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이 상기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하는 접촉 검출부 (76) 와, 상기 하측 노즐 (32) 내에 가공액을 흡입하는 흡입부 (38) 와,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을, 상기 워크 (14) 의 가공공을 통과시켜, 상기 하측 노즐 (32) 을 향하여 이송하는 와이어 공급 기구 (45) 를 갖고, 상기 가공조 (20) 내에 가공액을 저류한 상태에서 자동 결선을 실시할 때에는, 상기 흡입부 (38) 에 의해 상기 하측 노즐 (32) 내에 상기 가공액을 흡입시킴과 함께,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 (45) 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을 상기 하측 노즐 (32) 을 향하여 이송하고, 상기 접촉 검출부 (76) 가,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이 상기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 (45) 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을 되감아도 된다. 이로써, 와이어 전극 (12) 의 자동 결선의 완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다.
상기의 자동 결선 방법으로서, 상기 워크 (14) 의 판두께가 150 [㎜] 이상일 때로서, 상기 가공조 (20) 내에 가공액을 저류한 상태에서 자동 결선을 실시할 때에는, 상기 흡입부 (38) 에 의해 상기 하측 노즐 (32) 내에 상기 가공액을 흡입시킴과 함께,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 (45) 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을 상기 하측 노즐 (32) 을 향하여 이송하고, 상기 접촉 검출부 (76) 가,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이 상기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 (45) 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을 되감아도 된다. 이로써, 와이어 전극 (12) 의 자동 결선의 완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다.
상기의 자동 결선 방법으로서, 상기 워크 (14) 의 판두께가 200 [㎜] 이상일 때로서, 상기 가공조 (20) 내에 가공액을 저류한 상태에서 자동 결선을 실시할 때에는, 상기 흡입부 (38) 에 의해 상기 하측 노즐 (32) 내에 상기 가공액을 흡입시킴과 함께,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 (45) 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을 상기 하측 노즐 (32) 을 향하여 이송하고, 상기 접촉 검출부 (76) 가,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이 상기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 (45) 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을 되감아도 된다. 이로써, 와이어 전극 (12) 의 자동 결선의 완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다.
상기의 자동 결선 방법으로서, 상기 접촉 검출부 (76) 가,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이 상기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접촉 검출부 (76) 가,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이 상기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지 않게 될 때까지,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을 되감아도 된다. 이로써, 와이어 전극 (12) 의 자동 결선의 완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다.
상기의 자동 결선 방법으로서, 상기 접촉 검출부 (76) 가,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이 상기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을 소정 길이 되감아도 된다. 이로써, 와이어 전극 (12) 의 되감기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는, 가공액을 저류 가능한 가공조 (20) 와, 상기 가공조 (20) 내에 형성되고 워크 (14) 가 설치되는 테이블 (22) 과, 상기 테이블 (22) 의 하부에 형성되고, 노즐 구멍에 와이어 전극 (12) 이 삽입 통과되는 하측 노즐 (32) 과, 상기 하측 노즐 (32) 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이 상기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하는 접촉 검출부 (76) 와, 상기 하측 노즐 (32) 내에 가공액을 흡입하는 흡입부 (38) 와,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을, 상기 워크 (14) 의 가공공을 통과시켜, 상기 하측 노즐 (32) 을 향하여 이송하는 와이어 공급 기구 (45) 와, 상기 가공조 (20) 내에 가공액을 저류한 상태에서 자동 결선을 실시할 때에는, 상기 하측 노즐 (32) 내에 상기 가공액을 흡입시키도록 상기 흡입부 (38) 를 제어함과 함께,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을 상기 하측 노즐 (32) 을 향하여 이송하도록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 (45) 를 제어하고, 상기 접촉 검출부 (76) 가,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이 상기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을 되감도록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 (45) 를 제어하는 자동 결선 제어부 (19) 를 갖는다. 이로써, 와이어 전극 (12) 의 자동 결선의 완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다.
상기의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로서, 상기 자동 결선 제어부 (19) 는, 상기 접촉 검출부 (76) 가,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이 상기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접촉 검출부 (76) 가,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이 상기 하측 노즐 (32) 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지 않게 될 때까지, 상기 와이어 전극 (12) 을 되감도록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 (45) 를 제어해도 된다. 이로써, 와이어 전극 (12) 의 자동 결선의 완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다.

Claims (7)

  1.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의 와이어 전극 (12) 의 자동 결선을 실시하는 자동 결선 방법으로서,
    상기 와이어 방전 가공기는,
    가공액을 저류 가능한 가공조 (20) 와,
    상기 가공조 내에 형성되고 워크 (14) 가 설치되는 테이블 (22) 과,
    상기 테이블의 하부에 형성되고, 노즐 구멍에 와이어 전극 (12) 이 삽입 통과되는 하측 노즐 (32) 과,
    상기 하측 노즐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전극이 상기 하측 노즐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하는 접촉 검출부 (76) 와,
    상기 하측 노즐 내에 가공액을 흡입하는 흡입부 (38) 와,
    상기 와이어 전극을, 상기 워크의 가공공을 통과시켜, 상기 하측 노즐을 향하여 이송하는 와이어 공급 기구 (45) 를 갖고,
    상기 가공조 내에 가공액을 저류한 상태에서 자동 결선을 실시할 때에는, 상기 흡입부에 의해 상기 하측 노즐 내에 상기 가공액을 흡입시킴과 함께,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극을 상기 하측 노즐을 향하여 이송하고, 상기 접촉 검출부가, 상기 와이어 전극이 상기 하측 노즐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극을 되감는, 자동 결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의 판두께가 150 [㎜] 이상일 때로서, 상기 가공조 내에 가공액을 저류한 상태에서 자동 결선을 실시할 때에는, 상기 흡입부에 의해 상기 하측 노즐 내에 상기 가공액을 흡입시킴과 함께,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극을 상기 하측 노즐을 향하여 이송하고, 상기 접촉 검출부가, 상기 와이어 전극이 상기 하측 노즐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극을 되감는, 자동 결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의 판두께가 200 [㎜] 이상일 때로서, 상기 가공조 내에 가공액을 저류한 상태에서 자동 결선을 실시할 때에는, 상기 흡입부에 의해 상기 하측 노즐 내에 상기 가공액을 흡입시킴과 함께,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극을 상기 하측 노즐을 향하여 이송하고, 상기 접촉 검출부가, 상기 와이어 전극이 상기 하측 노즐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극을 되감는, 자동 결선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검출부가, 상기 와이어 전극이 상기 하측 노즐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접촉 검출부가, 상기 와이어 전극이 상기 하측 노즐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지 않게 될 때까지, 상기 와이어 전극을 되감는, 자동 결선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검출부가, 상기 와이어 전극이 상기 하측 노즐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와이어 전극을 소정 길이 되감는, 자동 결선 방법.
  6. 가공액을 저류 가능한 가공조 (20) 와,
    상기 가공조 내에 형성되고 워크 (14) 가 설치되는 테이블 (22) 과,
    상기 테이블의 하부에 형성되고, 노즐 구멍에 와이어 전극 (12) 이 삽입 통과되는 하측 노즐 (32) 과,
    상기 하측 노즐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전극이 상기 하측 노즐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하는 접촉 검출부 (76) 와,
    상기 하측 노즐 내에 가공액을 흡입하는 흡입부 (38) 와,
    상기 와이어 전극을, 상기 워크의 가공공을 통과시켜, 상기 하측 노즐을 향하여 이송하는 와이어 공급 기구 (45) 와,
    상기 가공조 내에 가공액을 저류한 상태에서 자동 결선을 실시할 때에는, 상기 하측 노즐 내에 상기 가공액을 흡입시키도록 상기 흡입부를 제어함과 함께, 상기 와이어 전극을 상기 하측 노즐을 향하여 이송하도록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를 제어하고, 상기 접촉 검출부가, 상기 와이어 전극이 상기 하측 노즐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와이어 전극을 되감도록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를 제어하는 자동 결선 제어부 (19) 를 갖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결선 제어부는, 상기 접촉 검출부가, 상기 와이어 전극이 상기 하측 노즐의 외부에 접촉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접촉 검출부가, 상기 와이어 전극이 상기 하측 노즐의 외부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지 않게 될 때까지, 상기 와이어 전극을 되감도록 상기 와이어 공급 기구를 제어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
KR1020180108181A 2017-09-13 2018-09-11 자동 결선 방법 및 와이어 방전 가공기 KR201900301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75317 2017-09-13
JP2017175317A JP2019051561A (ja) 2017-09-13 2017-09-13 自動結線方法およびワイヤ放電加工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173A true KR20190030173A (ko) 2019-03-21

Family

ID=63556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181A KR20190030173A (ko) 2017-09-13 2018-09-11 자동 결선 방법 및 와이어 방전 가공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076946A1 (ko)
EP (1) EP3456455A1 (ko)
JP (1) JP2019051561A (ko)
KR (1) KR20190030173A (ko)
CN (1) CN109482988A (ko)
TW (1) TW2019198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1521B2 (ja) * 2019-04-19 2023-01-1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機および自動結線方法
CN110988633B (zh) * 2019-12-20 2021-10-26 中南大学 一种电火花线切割加工过程自适应调整的多功能监测方法
CN111168169B (zh) * 2020-01-10 2021-03-16 安徽工业大学 电解阴极、阴极加工方法、含该阴极的电解系统及系统使用方法
CN112496483A (zh) * 2020-12-15 2021-03-16 牧野机床(中国)有限公司 一种线切割机床用自动接线机构及线切割机床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36291A5 (fr) * 1980-07-15 1983-05-31 Charmilles Sa Ateliers Procede et dispositif pour introduire le bout d'une electrode-fil dans l'orifice de depart d'une piece a decouper par etincelage erosif.
JPS58177234A (ja) 1982-04-07 1983-10-17 Mitsubishi Electric Corp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装置におけるワイヤ自動供給方法
JPH0253529A (ja) * 1988-08-16 1990-02-22 Mitsubishi Electric Corp ワイヤ放電加工装置のワイヤ電極供給装置
JP2009050926A (ja) * 2007-08-24 2009-03-12 Seibu Electric & Mach Co Ltd ワイヤ放電加工機におけるワイヤ送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82988A (zh) 2019-03-19
US20190076946A1 (en) 2019-03-14
TW201919800A (zh) 2019-06-01
JP2019051561A (ja) 2019-04-04
EP3456455A1 (en)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0173A (ko) 자동 결선 방법 및 와이어 방전 가공기
JP3882751B2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のワイヤ電極自動供給装置
KR101929132B1 (ko) 와이어 방전 가공기 및 자동 결선 방법
JP2009050926A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におけるワイヤ送り方法
US9884383B2 (en) Wire-cut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machine in which position of liquid level of machining fluid is adjusted at time of automatic wire threading
US5001321A (en) Wire electrode supplying device for use in a wire cut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EP0581493B1 (en) Wire refeeding device and method for wire-cut electroerosion apparatus
EP3395486A1 (en)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system and jig
CN109967806B (zh) 线放电加工机以及线放电加工机的自动接线方法
CN112296461B (zh) 线放电加工机以及控制方法
CN110605443B (zh) 线放电加工机以及加工条件调整方法
JP3744968B2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自動ワイヤ供給装置
JPH0471647B2 (ko)
JP5921792B1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およびイニシャルホール加工方法
JP2019217559A5 (ko)
JP2002239841A (ja) ワイヤ放電加工時の短絡回避方法
KR101299804B1 (ko) 자동 결선장치를 갖는 와이어 방전기계 및 그 결선방법
JPH04365515A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断線検出装置
JPH054123A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自動結線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