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020A - 피스톤 링 - Google Patents

피스톤 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3020A
KR20140083020A KR1020147012614A KR20147012614A KR20140083020A KR 20140083020 A KR20140083020 A KR 20140083020A KR 1020147012614 A KR1020147012614 A KR 1020147012614A KR 20147012614 A KR20147012614 A KR 20147012614A KR 20140083020 A KR20140083020 A KR 20140083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gsten carbide
nickel
phase
present
the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유키 사이토
다케시 야마다
요시유키 우메모토
노부아키 가토
히로아키 미즈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가부시키가이샤 디젤 유나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가부시키가이샤 디젤 유나이티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Publication of KR20140083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04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04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4/06Metall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9/00Alloys based on carbides, oxides, nitrides, borides, or silicides, e.g. cermet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 C22C29/02Alloys based on carbides, oxides, nitrides, borides, or silicides, e.g. cermet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based on carbides or carbonitrides
    • C22C29/06Alloys based on carbides, oxides, nitrides, borides, or silicides, e.g. cermet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based on carbides or carbonitrides based on carbides, but not containing other metal compounds
    • C22C29/08Alloys based on carbides, oxides, nitrides, borides, or silicides, e.g. cermet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based on carbides or carbonitrides based on carbides, but not containing other metal compounds based on tungsten carbid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04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4/10Oxides, borides, carbides, nitrides or silicides; Mixtur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12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praying
    • C23C4/129Flame spra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5/00Piston rings, e.g. associated with piston cr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9/00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 F16J9/26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ating By Spraying Or Casting (AREA)
  • Pistons, Piston Rings, And Cylinders (AREA)

Abstract

경질상으로서 탄화 텅스텐 및 탄화 크롬을 함유하고, 금속 결합상으로서 니켈을 함유하는 용사 피막(3)을 구비하고, 용사 피막(3)은 탄화 텅스텐의 평균 입자경을 BET법으로 0.15㎛ 이상 0.45㎛ 이하의 범위에서 조정한 경질 입자를 포함하는, 조립 소결법으로 제작된 용사 분말을 용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링(1).

Description

피스톤 링{Piston ring}
본 발명은 피스톤 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사 피막을 구비하는 피스톤 링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1년 10월 25일에 일본 출원된 특원 2011-233998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일반적으로 디젤 엔진 등의 내연 기관에 설치된 피스톤 링은, 실린더 라이너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에 내소부성(耐燒付性; seizure resistance)을 가지는 보호 피막을 구비하고 있다. 종래 이러한 보호 피막으로서는 복층 크롬 도금이 많이 이용되었지만, 최근 내연 기관의 피스톤 링의 슬라이딩 환경 변화에 의해, 복층 크롬 도금이 보호 피막으로서 잔존하고 있어도, 실제 기기에서 눌러붙음(燒付; seizure)이 발생하는 사례가 보였다. 이는, 복층 크롬 도금은 균일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반면, 피막의 미소한 눌러붙음부의 탈락이 발생하기 어려워 한번에 눌러붙음이 광범위하게 확대되기 쉽기 때문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복층 크롬 도금을 대신하는 보호 피막으로서 용사 피막(서멧 용사 피막)을 구비하는 피스톤 링이 개시되어 있다. 이 용사 피막은 경질상(硬質相)이 탄화 텅스텐(WC), 탄화 크롬(Cr3C2) 등의 경질 입자로 이루어지고, 금속 결합상이 몰리브덴(Mo), 코발트(Co), 니켈(Ni), 크롬(Cr) 등으로 이루어지는 피막으로서, 복층 크롬 도금보다 미소한 피막의 탈락이 발생하기 쉬워 우수한 내소부성을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5-155711호 공보
그런데, 이 용사 피막은 우수한 내소부성을 구비하지만 그 경도 및 취성에 의해 크랙(균열)이 생기기 쉽고 복층 크롬 도금보다 가공성이 나쁘기 때문에 실용화하기 어렵고, 실제로 실제 기기 수준에서는 거의 실용화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층 크롬 도금보다 우수한 내소부성을 가짐과 동시에 복층 크롬 도금과 동등 이상의 가공성을 가지는 용사 피막을 구비하는 피스톤 링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면밀히 실험을 거듭한 결과, 용사 분말에 포함되는 소정의 경질 입자의 평균 입자경을 소정의 범위에서 조정함으로써 내소부성 및 가공성이 양립된 용사 피막을 형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상도하였다.
즉,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의하면, 경질상(硬質相)으로서 탄화 텅스텐 및 탄화 크롬을 함유하고, 금속 결합상으로서 니켈을 함유하는 용사 피막을 구비하고, 상기 용사 피막은 탄화 텅스텐의 평균 입자경(粒子俓; particle diameter)을 BET법으로 0.15㎛ 이상 0.45㎛ 이하의 범위에서 조정한 경질 입자를 포함하는, 조립(造粒) 소결법으로 제작된 용사 분말을 용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 링을 채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용사 피막은 상기 금속 결합상으로서의 니켈을 7.0wt% 이상 18.5wt%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한다는 구성을 채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1 또는 제2 태양에 있어서, 상기 용사 피막은 상기 금속 결합상으로서의 니켈을 7wt%, 상기 경질상으로서의 탄화 크롬을 20wt% 함유하고, 잔부가 상기 경질상으로서의 탄화 텅스텐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가진다는 구성을 채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1 또는 제2 태양에 있어서, 상기 용사 피막은 상기 금속 결합상으로서의 니켈을 12.5wt%, 상기 경질상으로서의 탄화 크롬을 37.5wt% 함유하고, 잔부가 상기 경질상으로서의 탄화 텅스텐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가진다는 구성을 채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용사 피막의 기공률(氣孔率)은 3% 이하라는 구성을 채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용사 피막은 고속 프레임 용사법에 따른 용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층 크롬 도금보다 우수한 내소부성을 가짐과 동시에 복층 크롬 도금과 동등 이상의 가공성을 가지는 용사 피막을 구비하는 피스톤 링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피스톤 링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내소부성 평가 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가공성 평가 시험 후의 시험편의 가공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가공성 평가 시험 후의 시험편의 가공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가공성 평가 시험 후의 시험편의 가공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가공성 평가 시험 후의 시험편의 가공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가공성 평가 시험 후의 시험편의 가공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탄화 텅스텐의 평균 입자경과 크랙 길이 및 눌러붙음 시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탄화 텅스텐의 평균 입자경과 크랙 길이 및 비커스 경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니켈의 바인더량과 눌러붙음 시간 및 비커스 경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니켈의 바인더량과 크랙 길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니켈의 바인더량과 크랙 길이 및 눌러붙음 시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니켈의 바인더량과 크랙 길이 및 비커스 경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피스톤 링(1)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피스톤 링(1)은, 디젤 엔진 등의 내연 기관이 가지는 피스톤(100)에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100)은 실린더 라이너(101)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피스톤 링(1)은 그 슬라이딩면에 모재(2)의 보호 피막으로서 용사 피막(3)을 가진다.
용사 피막(3)은 경질상으로서 탄화 텅스텐(WC: 텅스텐 카바이드) 및 탄화 크롬(Cr3C2: 크롬 카바이드)을 함유하고, 금속 결합상(바인더)으로서 니켈(Ni)을 함유하고 있다. 이 용사 피막(3)은, 탄화 텅스텐의 평균 입자경을 0.15㎛ 이상 0.45㎛ 이하의 범위에서 조정한 경질 입자를 포함하는, 조립 소결법으로 제작된 용사 분말을 용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조립 소결법에 따른 용사 분말의 제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소정의 범위에서 조정한 탄화 텅스텐 분말을 분산매에 첨가하여 슬러리 형상으로 한다. 이 때, 슬러리에는 적당한 유기 바인더 혹은 무기 바인더를 첨가해도 좋다. 다음에, 분무형 조립기를 이용하여 슬러리 형상으로부터 과립 형상으로 하고, 이를 소결하고 나아가 해쇄, 분급한다. 이에 의해, 탄화 텅스텐의 평균 입자경을 상기 소정의 범위에서 조정한 경질 입자를 포함하는, 조립 소결법으로 제작된 용사 분말을 제작할 수 있다.
원료인 탄화 텅스텐(1차 입자)의 평균 입자경 계측에는, 퀀타크롬사 제품 전자동 비표면적 측정 장치, 모노소브를 사용한 BET(Brunauer, Emmet and Teller's equation)식에 의해 구해지는 비표면적으로부터 하기의 식으로 구해지는 환산값을 사용하였다.
D = 6/(ρS)
여기서, D는 평균 입자경(㎛)을 나타내고, ρ는 WC의 이론 밀도(15.7(g/㎤))를 나타내며, S는 BET법으로 계측된 비표면적(㎡/g)을 나타낸다. 즉, D는 BET법으로부터 구한 분말의 비표면적에 의해 입자를 구체(球體)라고 가정하고, 그 직경을 계산하여 얻어진 평균 입자경이다. 또, 그 BET법에 사용한 가스는 N2-70vol% He이다.
따라서, 상술한 탄화 텅스텐의 평균 입자경을 0.15㎛ 이상 0.45㎛ 이하의 범위에서 조정한다는 것은 엄밀하게는 BET법에 의한 평균 입자경으로 0.15㎛ 이상 0.45㎛ 이하의 범위에서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설명하는 평균 입자경도 마찬가지로 BET법에 의한 평균 입자경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의 용사 피막(3)은, 예를 들어 탄화 텅스텐의 평균 입자경을 0.15㎛로 조정한 경질 입자를 포함하는 용사 분말을 용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탄화 텅스텐(WC)은 디젤 엔진의 연료유에 포함되는 경질 입자에 뒤지지 않는 경도를 가지며, 그 연료유 중 경질 입자에 의한 어브레시브 마모(긁힘 마모)를 억제함과 동시에 내소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탄화 텅스텐의 평균 입자경이 0.45㎛를 넘으면, 그 경도 및 취성에 의해 용사 피막(3)에 크랙(균열)이 생기기 쉬워져 복층 크롬 도금보다 가공성이 나빠진다. 한편, 가공성 관점에서는 탄화 텅스텐의 평균 입자경은 작을수록 바람직하지만, 0.15㎛ 미만이 되면 내마모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탄화 텅스텐의 평균 입자경을 0.15㎛ 이상 0.45㎛ 이하의 범위에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사 피막(3)은, 금속 결합상으로서의 니켈(Ni)을 7.0wt% 이상 18.5wt%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은 금속 강도가 너무 높지 않아 미소한 피막의 탈락을 발생시키기 쉽게 하기 때문에 내소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니켈이 18.5wt%를 넘으면 반대로 적절히 피막이 탈락하기 어려워져 복층 크롬 도금보다 내소부성이 나빠진다. 한편, 니켈이 7.0wt% 미만이면 바인더로서 불충분하게 된다.
용사 피막(3)은, 특히 금속 결합상으로서의 니켈을 7.0wt%, 경질상으로서의 탄화 크롬을 20wt% 함유하고, 잔부가 경질상으로서의 탄화 텅스텐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사 피막(3)은, 특히 금속 결합상으로서의 니켈을 12.5wt%, 경질상으로서의 탄화 크롬을 37.5wt% 함유하고, 잔부가 경질상으로서의 탄화 텅스텐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사 피막(3)은, 특히 금속 결합상으로서의 니켈을 18.5wt%, 경질상으로서의 탄화 크롬을 17.5wt% 함유하고, 잔부가 경질상으로서의 탄화 텅스텐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평균 입자경이 작은 탄화 텅스텐(WC)으로 이루어지는 경질상의 비율을 높임으로써, 기공률이 작고 치밀하면서 평활한 용사 피막(3)을 형성할 수 있다.
용사 피막(3)의 기공률은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공률이 3%를 넘으면, 큰 기공을 다수 가지게 되어 유막 형성 능력이 나쁘고 피막 수명이 짧아지기 때문이다. 또, 여기서 말하는 기공률이란 경면 연마 후의 용사 피막(3)의 피막 단면(斷面) 혹은 소결체의 단면을 화상 해석법에 의해 계측하여 구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로서 Image-Pro(Media Cybernetics사 제품)를 사용하였다.
용사 피막(3)의 기공률에는 용사법도 관계된다. 따라서, 용사 피막(3)의 형성에는 기공률이 작고 치밀하면서 평활한 피막을 형성하기 위해 고속 프레임 용사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속 프레임 용사법으로서는 HVOF(High Velocity Oxy Fuel) 용사법, HVAF(High Velocity Air Fuel)법 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HVOF 용사법을 사용하였다.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피스톤 링(1)은, 용사 피막(3)으로서 유막 형성 능력이 뛰어나고 연료유 중 경질 입자에 뒤지지 않는 경도를 가지며 미소한 피막의 탈락이 발생하기 쉬운 피막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용사 피막(3)은, 기공률이 작고 치밀하면서 평활한 피막임과 동시에 경질 입자(WC, Cr3C2)의 비율이 높고 바인더의 금속(Ni)은 강도가 너무 높지 않아 적절히 탈락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질 입자(WC)의 평균 입자경을 작게 함으로써, 복층 크롬 도금보다 우수한 내소부성을 가짐과 동시에 복층 크롬 도금과 동등 이상의 가공성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명확히 한다. 또,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우선, 고속 프레임 용사에 의해 복수의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이 시험편 제작시의 용사 조건은 이하와 같다.
용사기 : 고속 프레임 용사기 JP-5000(Praxair/TAFA사 제품)
산소 유량 : 1900scfh(893 l/min)
등유 유량 : 5.1gph(0.32 l/min)
용사 거리 : 380mm
배럴 길이 : 4inches(약 100mm)
분말 공급량 : 약 80g/min
다음에, 제작한 시험편에 대해 내소부성 평가 시험 및 가공성 평가 시험을 행하였다.
내소부성 평가 시험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여 행하고, 눌러붙음 시간의 길이를 계측하여 그 내소부성을 평가하였다.
내소부성 평가 시험은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재(10)에 대해 시험편이 되는 링재(11)의 용사 피막측을 소정의 하중으로 눌러대면서 라이너재(10)를 회전시킨다. 처음에는 링재(11)와 라이너재(10)의 사이에 윤활유를 공급하고, 링재(11)가 복수 단계에서 소정의 하중까지 승압하면, 윤활유 공급을 정지하고 윤활유 단절에 의한 눌러붙음 시간을 계측한다.
가공성 평가 시험은, 제작한 용사 피막에 대해 소정 깊이 연마 가공을 행하고, 그 가공에 의해 발생한 단위면적당 크랙(균열) 길이를 계측하여 그 가공성을 평가하였다.
도 3a~도 3c 및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가공성 평가 시험 후의 시험편의 가공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도 3c 및 도 4a, 도 4b 중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이 가공에 의해 발생한 크랙이다. 또, 도 3a~도 3c 및 도 4a, 도 4b는 1회당 절삭 깊이를 0.002mm로 하였을 때의 각 시험편의 가공면 상태를 나타낸다(도 3a~도 3c 및 도 4a, 도 4b).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탄화 텅스텐의 평균 입자경과 크랙 길이 및 눌러붙음 시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탄화 텅스텐의 평균 입자경과 크랙 길이 및 비커스 경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또, 도면 중에 나타내는 각 목표값은 종래의 보호 피막인 복층 크롬 도금의 값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편(U-1, U-42, U-31, U-11, U-41)의 조성이 같은 경우, 평균 입자경(Ø)이 0.15㎛까지는 탄화 텅스텐(WC)의 평균 입자경(Ø)이 작아질수록 내소부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탄화 텅스텐(WC)의 평균 입자경(Ø)이 0.1㎛인 시험편 U-41, 0.15㎛인 시험편 U-11, 0.30㎛인 시험편 U-31, 0.45㎛인 시험편 U-42, 0.60㎛인 시험편 U-1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복층 크롬 도금보다 내소부성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시험편의 조성이 같은 경우, 평균 입자경(Ø)이 0.15㎛까지는 탄화 텅스텐(WC)의 평균 입자경(Ø)이 작아질수록 단위면적당 발생하는 크랙이 짧아지고 가공성이 향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탄화 텅스텐(WC)의 평균 입자경(Ø)이 0.15㎛ 미만 혹은 0.45㎛를 넘으면, 극단적으로 크랙이 길어지고 복층 크롬 도금보다 가공성이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다(시험편 U-1, 시험편 U-41 참조).
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편의 조성이 같은 경우, 탄화 텅스텐(WC)의 평균 입자경(Ø)이 작아질수록 경도가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시험편 U-41 참조). 그리고, 시험편 U-1, 시험편 U-42, 시험편 U-31, 시험편 U-11, 시험편 U-41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복층 크롬 도금보다 경도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니켈의 바인더량과 눌러붙음 시간 및 경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니켈의 바인더량과 크랙 길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또, 도면 중에 나타내는 각 목표값은 마찬가지로 종래의 보호 피막인 복층 크롬 도금의 값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편(U-11, U-22, U-21)의 탄화 텅스텐(WC)의 평균 입자경(Ø)이 같은 경우, 금속 결합상으로서의 니켈(Ni)의 바인더량(wt%)이 작아질수록 내소부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니켈(Ni)의 바인더량이 12.5wt%를 넘으면, 극단적으로 눌러붙음 시간이 짧아지고 복층 크롬 도금보다 내소부성이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다(시험편 U-21 참조).
또한, 시험편의 탄화 텅스텐(WC)의 평균 입자경(Ø)이 같은 경우, 금속 결합상으로서의 니켈(Ni)의 바인더량이 작아질수록 경도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험편 U-11, 시험편 U-22, 시험편 U-21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복층 크롬 도금보다 경도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화 텅스텐(WC)의 평균 입자경(Ø)이 같은 경우, 시험편 U-11, 시험편 U-22, 시험편 U-21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복층 크롬 도금보다 가공성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니켈의 바인더량과 크랙 길이 및 눌러붙음 시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니켈의 바인더량과 크랙 길이 및 비커스 경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또, 도면 중에 나타내는 각 목표값은 마찬가지로 종래의 보호 피막인 복층 크롬 도금의 값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편(U-43, U-11, U-44, U-45, U-46)의 탄화 텅스텐(WC)의 평균 입자경(Ø)이 같고 탄화 텅스텐(WC)과 탄화 크롬(CrC)의 혼합 비율이 같은 경우, 바인더량이 7wt%까지는 금속 결합상으로서의 니켈(Ni)의 바인더량이 작아질수록 경도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험편 U-43, 시험편 U-11, 시험편 U-44, 시험편 U-45, 시험편 U-46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복층 크롬 도금보다 경도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편의 탄화 텅스텐(WC)의 평균 입자경(Ø)이 같고 탄화 텅스텐(WC)과 탄화 크롬(CrC)의 혼합 비율이 같은 경우, 바인더량이 7wt%까지는 금속 결합상으로서의 니켈(Ni)의 바인더량(wt%)이 작아질수록 내소부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니켈(Ni)의 바인더량이 7wt% 미만 혹은 18.5wt%를 넘으면, 극단적으로 눌러붙음 시간이 짧아지고 복층 크롬 도금보다 내소부성이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다(시험편 U-43, 시험편 U-46 참조).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편의 탄화 텅스텐(WC)의 평균 입자경(Ø)이 같고 탄화 텅스텐(WC)과 탄화 크롬(CrC)의 혼합 비율이 같은 경우, 니켈(Ni)의 바인더량이 7wt% 미만이 되면, 극단적으로 크랙이 길어지고 복층 크롬 도금보다 가공성이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다(시험편 U-43 참조).
이상으로부터, 탄화 텅스텐의 평균 입자경은 0.15㎛ 이상 0.45㎛ 이하의 범위에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금속 결합상으로서의 니켈은 7.0wt% 이상 18.5wt%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용사 피막(3)을 구비하는 피스톤 링(1)에서는, 복층 크롬 도금보다 우수한 내소부성을 가짐과 동시에 복층 크롬 도금과 동등 이상의 가공성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여러 가지 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례로서, 본 발명의 주지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설계 요구 등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디젤 엔진의 피스톤 링뿐만 아니라 다른 내연 기관의 피스톤 링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피스톤 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사 피막을 구비하는 피스톤 링에 이용할 수 있다.
1…피스톤 링
2…모재
3…용사 피막
10…라이너재
11…링재
100…피스톤
101…실린더 라이너

Claims (6)

  1. 경질상(硬質相)으로서 탄화 텅스텐 및 탄화 크롬을 함유하고, 금속 결합상으로서 니켈을 함유하는 용사 피막을 구비하고,
    상기 용사 피막은, 탄화 텅스텐의 평균 입자경(粒子俓; particle diameter)을 BET법으로 0.15㎛ 이상 0.45㎛ 이하의 범위에서 조정한 경질 입자를 포함하는, 조립(造粒) 소결법으로 제작된 용사 분말을 용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 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사 피막은, 상기 금속 결합상으로서의 니켈을 7.0wt% 이상 18.5wt%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피스톤 링.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용사 피막은 상기 금속 결합상으로서의 니켈을 7.0wt%, 상기 경질상으로서의 탄화 크롬을 20wt% 함유하고, 잔부가 상기 경질상으로서의 탄화 텅스텐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가지는 피스톤 링.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용사 피막은 상기 금속 결합상으로서의 니켈을 12.5wt%, 상기 경질상으로서의 탄화 크롬을 37.5wt% 함유하고, 잔부가 상기 경질상으로서의 탄화 텅스텐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가지는 피스톤 링.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사 피막의 기공률(氣孔率)은 3% 이하인 피스톤 링.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사 피막은, 고속 프레임 용사법에 따른 용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 링.
KR1020147012614A 2011-10-25 2012-10-25 피스톤 링 KR201400830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33998 2011-10-25
JP2011233998 2011-10-25
PCT/JP2012/077597 WO2013062045A1 (ja) 2011-10-25 2012-10-25 ピストンリン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020A true KR20140083020A (ko) 2014-07-03

Family

ID=4816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614A KR20140083020A (ko) 2011-10-25 2012-10-25 피스톤 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40225330A1 (ko)
EP (1) EP2772562B1 (ko)
JP (1) JP5948216B2 (ko)
KR (1) KR20140083020A (ko)
CN (1) CN103857823B (ko)
DK (1) DK2772562T3 (ko)
WO (1) WO20130620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4281B2 (en) * 2012-12-11 2017-05-30 Kabushiki Kaisha Riken Piston ring sprayed coating, piston ring, and method for producing piston ring sprayed coating
US10458505B2 (en) 2015-03-13 2019-10-29 Komatsu Ltd. Cylinder rod
EP3414356B1 (de) * 2016-02-12 2021-04-21 Oerlikon Surface Solutions AG, Pfäffikon Tribologisches system eines verbrennungsmotors mit beschichtung
KR102177464B1 (ko) * 2016-02-19 2020-11-11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서멧 분말, 보호 피막 피복 부재 및 그 제조 방법과 전기 도금욕중 롤 및 그 제조 방법
CN109136813A (zh) * 2018-02-28 2019-01-04 德州章源喷涂技术有限公司 一种矿用液压支架立柱表面处理方法
CN112135919A (zh) * 2018-05-21 2020-12-25 帝伯爱尔株式会社 气缸套及其制造方法
JP7162128B2 (ja) * 2018-10-17 2022-10-27 キョウセラ センコ インダストリアル ツールズ インク. ドライバアセンブリ
US11746405B2 (en) * 2018-11-02 2023-09-05 Nissan Motor Co., Ltd. Thermal sprayed coating for sliding member, and sliding device provided with thermal sprayed coating for sliding member
JP7105909B2 (ja) * 2018-11-02 2022-07-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摺動部材用溶射被膜及び該摺動部材用溶射被膜を備える摺動装置
US11255432B2 (en) * 2019-04-05 2022-02-22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Low friction, wear resistant piston seal
CN110608213A (zh) * 2019-10-17 2019-12-24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动力缸和工程车辆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1489A (en) * 1958-05-28 1963-01-01 Union Carbide Corp Process of flame spraying a tungsten carbide-chromium carbide-nickel coating, and article produced thereby
US4515763A (en) * 1981-07-15 1985-05-07 Board Of Trustees Of Leland Stanford Jr. Univeristy High specific surface area carbides and nitrides
JPH0586452A (ja) * 1991-09-27 1993-04-06 Kobe Steel Ltd 溶射用粉末材料
US20080311306A1 (en) * 1997-08-22 2008-12-18 Inframat Corporation Superfine ceramic thermal spray feedstock comprising ceramic oxide grain growth inhibitor and methods of making
JP2001234320A (ja) * 2000-02-17 2001-08-31 Fujimi Inc 溶射粉末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溶射方法並びに溶射皮膜
DE10046956C2 (de) * 2000-09-21 2002-07-25 Federal Mogul Burscheid Gmbh Thermisch aufgetragene Beschichtung für Kolbenringe aus mechanisch legierten Pulvern
DE10061750B4 (de) * 2000-12-12 2004-10-21 Federal-Mogul Burscheid Gmbh Wolframhaltige Verschleißschutzschicht für Kolbenringe
DE10061749C2 (de) * 2000-12-12 2003-08-07 Federal Mogul Burscheid Gmbh Kolbenring für Brennkraftmaschinen
JP3952252B2 (ja) 2001-01-25 2007-08-01 株式会社フジミ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溶射用粉末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速フレーム溶射方法
JPWO2004035852A1 (ja) * 2002-10-15 2006-02-16 株式会社リケン ピストンリング及びそれに用いる溶射皮膜、並びに製造方法
JP2005155711A (ja) 2003-11-21 2005-06-16 Riken Corp 溶射ピストンリ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CN1997474A (zh) * 2004-05-28 2007-07-11 普莱克斯S·T·技术有限公司 耐磨合金粉末及涂层
JP2008525631A (ja) * 2004-12-27 2008-07-17 ユミコア 超硬合金のための複合粉末製品
US20070099027A1 (en) * 2005-10-28 2007-05-03 Anand Krishnamurthy Wear resistant coatings
JP4824989B2 (ja) * 2005-11-02 2011-11-3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硬質皮膜
PT2118534T (pt) * 2007-01-09 2017-05-30 Federal Mogul Burscheid Gmbh Anel de segmento com estrutura multicamadas e processo para a sua produção
DE102007019510B3 (de) * 2007-04-25 2008-09-04 Man Diesel A/S Zu einer Gleitpaarung gehörendes Maschinenteil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09016650B3 (de) * 2009-04-07 2010-07-29 Federal-Mogul Burscheid Gmbh Gleitelement mit einstellbaren Eigenschaften
WO2010135721A2 (en) * 2009-05-22 2010-11-25 Mesocoat, Inc.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lated to nanocomposite overlays
CN101644206A (zh) * 2009-07-21 2010-02-10 南京飞燕活塞环股份有限公司 一种内燃机活塞环
JP5371102B2 (ja) * 2009-08-10 2013-12-18 地方独立行政法人 大阪市立工業研究所 超硬合金の改質方法および該方法によって改質された超硬合金
CN102586713A (zh) * 2012-03-11 2012-07-18 赣州章源钨业新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WC-Cr3C2-Ni热喷涂粉末及其制备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72562B1 (en) 2018-06-13
US10689743B2 (en) 2020-06-23
CN103857823B (zh) 2015-09-30
US20160281202A1 (en) 2016-09-29
EP2772562A4 (en) 2015-04-08
US20140225330A1 (en) 2014-08-14
JP5948216B2 (ja) 2016-07-06
WO2013062045A1 (ja) 2013-05-02
DK2772562T3 (en) 2018-08-13
JP2013108174A (ja) 2013-06-06
EP2772562A1 (en) 2014-09-03
CN103857823A (zh)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3020A (ko) 피스톤 링
US9919358B2 (en) Sintered molybdenum carbide-based spray powder
TWI661058B (zh) 新穎粉末
EP1564309B1 (en) Piston ring and thermal sprayed coating for use therein,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KR101603637B1 (ko) 조절가능한 특성을 가진 슬라이딩 요소
US20120180747A1 (en) Thermal spray coating with a dispersion of solid lubricant particles
CN107810290B (zh) 用于为气缸曲轴箱的气缸工作面涂层的方法、具有被涂层的气缸工作面的气缸曲轴箱以及发动机
EP2413006B1 (en) Piston ring
EP2511388B1 (en) Sintered sliding member
EP2402474B1 (en) Piston ring
CN102471862A (zh) 具有热喷涂涂层的滑动部件及其生产方法
KR101908332B1 (ko) 합금 복합재 용사분말, 이를 이용하여 용사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및 용사피막이 형성된 그레이트바
US4678511A (en) Spray micropellets
JP2005155711A (ja) 溶射ピストンリ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5455149B2 (ja) 鉄系溶射被膜
KR101915593B1 (ko) 피스톤 링 및 그 제조 방법
KR102080540B1 (ko) 피스톤 링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070193546A1 (en) Valve Seat Rings Made Of Basic Co Or Co/Mo Alloys, And Production Thereof
KR20100084310A (ko) 선박엔진의 부품 코팅용 고속화염용사 복합분말 및 그 제조방법
DK3141628T3 (en) Sliding element and piston ring
KR102106486B1 (ko) 내열성,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용사분말, 이를 이용하여 용사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및 용사피막이 형성된 그레이트바
KR20230162694A (ko) 용사 피막, 슬라이딩 부재 및 피스톤 링
JP2004353045A (ja) 硼化物系サーメット溶射用粉末
WO2020194628A1 (ja) 耐摩耗部材
CN114769622A (zh) 一种网络状的金属陶瓷硬质合金激光增材制造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05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404

Effective date: 2018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