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0426A - 연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0426A
KR20140080426A KR1020130157357A KR20130157357A KR20140080426A KR 20140080426 A KR20140080426 A KR 20140080426A KR 1020130157357 A KR1020130157357 A KR 1020130157357A KR 20130157357 A KR20130157357 A KR 20130157357A KR 20140080426 A KR20140080426 A KR 20140080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low rate
internal combustion
volume flow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8713B1 (ko
Inventor
아르트우어 코펠
안드레아스 프랑케
베른하르트 포에클
Original Assignee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filed Critical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40080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76Details of the fuel feeding system related to the fuel tank
    • F02M37/0088Multiple separate fuel tanks or tanks being at least partially partitio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02M37/0064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for engines being fed with multiple fuels or fuels having special properties, e.g. bio-fuels; varying the fuel com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3/00Fuel-injection apparatus operating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fuels, or on a liquid fuel and another liquid, e.g. the other liquid being an anti-knock addi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제1 펌프 장치(6)를 경유하여 제1 연료 타입에 대한 제1 연료 탱크(12)로부터 제1 연료, 특히 중유 연료가, 또는 제2 연료 타입에 대한 제2 연료 탱크(13)로부터 제2 연료, 특히 증류물 연료가, 혼합 탱크(14)의 방향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 피더 연료 회로(4) 및, 제2 펌프 장치(21)를 경유하여 연료가 혼합 탱크(14)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방향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스터 연료 회로(5)를 포함하며, 정상 작동 모드에서 상기 피더 연료 회로(4)의 상기 제1 펌프 장치(6)가 상기 제1 연료 또는 상기 제2 연료를 제1 송출 체적 유량으로 각각의 연료 탱크(12, 13)로부터 흡입하고, 상기 제1 송출 체적 유량의 제1 부분 송출 체적 유량을 상기 혼합 탱크(14)의 방향으로 송출하며, 상기 제1 송출 체적 유량의 제2 부분 송출 체적 유량을 상기 피더 연료 회로(4)에서 순환시키며, 그리고 상기 정상 작동 모드에서 상기 부스터 연료 회로(5)의 제2 펌프 장치(21)는 상기 제1 송출 체적 유량보다 큰 제2 송출 체적 유량으로 연료를 상기 혼합 탱크(14)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방향으로 송출하고, 상기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 내에서 미연소 연료를 다시 상기 혼합 탱크(14)로 송출한다. 상기 피더 연료 회로(4)의 상기 제1 펌프 장치(6)는, 상기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작동을 위해 제1 연료 타입으로부터 제2 연료 타입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전환 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2 연료를 상기 제2 연료 탱크(13)로부터 제3 송출 체적 유량으로 흡입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3 송출 체적 유량은 상기 제1 송출 체적 유량보다 크다.

Description

연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FUEL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용 연료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선박 디젤 내연기관이 상이한 타입의 연료들로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선박 디젤 내연기관은 한편으로는 중유 연료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증류물 연료로 작동될 수 있다. 중유 연료는 경제적이지만, 그것의 높은 황 함량으로 인해 비교적 높은 연료 배출을 야기한다. 증류물 연료는 더 적은 배기가스 배출을 야기하지만, 더 비싸다. 공해에서, 선박 디젤 내연기관은 비용상 중유 연료로 작동된다. 이에 반해, 선박이 근해에서 소위 SECA(Sulphur Emission Control Areal)-구역에서 작동되어야 하면, 배기가스 문제로 선박 디젤 내연기관의 작동은 중유 연료로부터 증류물 연료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바뀌어야 한다. 선박 디젤 내연기관이 증류물 연료의 연소로 인해 유해 물질 배출과 관련해서 SECA-구역의 배출 규정을 충족시킬 때만, 선박은 SECA-구역 내로 들어갈 수 있다.
선박 디젤 내연기관에 중유 연료 또는 증류물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선박 디젤 내연기관용 연료 공급 시스템은 실제로 소위 피더(feeder) 연료 회로 및 소위 부스터 연료 회로를 포함한다.
피더 연료 회로를 경유하여 제1 펌프 장치에 의해 제1 연료 또는 제2 연료가 혼합 탱크의 방향으로 송출될 수 있다. 부스터 회로의 제2 펌프 장치에 의해, 연료는 혼합 탱크로부터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의 방향으로 송출될 수 있다. 피더 연료 회로의 제1 펌프 장치는 각각의 연료를 제1 송출 체적 유량으로 흡입하고, 상기 제1 송출 체적 유량의 제1 부분 송출 체적 유량은 혼합 탱크의 방향으로 송출되며, 상기 제1 송출 체적 유량의 제2 부분 송출 체적 유량은 피더 연료 회로 내에서 순환된다. 부스터 연료 회로의 제2 펌프 장치는 연료를 혼합 탱크로부터 제2 송출 체적 유량으로 흡입하며, 상기 제2 송출 체적 유량은 제1 송출 체적 유량보다 훨씬 더 크다. 따라서, 초과량의 연료를 특히 냉각 과제 및 윤활 과제를 위해 제공하기 위해 선박 디젤 내연기관이 실제로 소비하는 것보다 많은 연료가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을 통해 송출된다. 상기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내연기관에 의해 소비되지 않은 연료는 부스터 연료 회로의 리턴부를 통해 혼합 탱크 내로 재송출된다.
피더 연료 회로 및 부스터 연료 회로에서 상기 상이한 송출 체적으로 인해, 피더 연료 회로에서 중유 연료로부터 증류물 연료로 연료 송출의 전환시, 부스터 연료 회로에서 중유 연료를 증류물 연료로 교체하는 것이 비교적 느리게 이루어진다. 중유 연료 작동으로부터 증류물 연료 작동으로 전환 과정에서, 피더 회로로부터, 중유 연료가 부스터 회로 내에서 소비되는 정도의 증류물 연료만이 혼합 탱크로 안내된다. 따라서, 부스터 연료 회로에서, 증류물 연료에 의한 중유 연료의 비교적 느린 희석만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SECA-구역의 배출 규정을 충족시키기 위해, 부스터 회로 내에서 중유 연료가 증류물 연료로 충분히 대체될 때까지 비교적 긴 시간이 필요하다.
실제로 공지된 연료 공급 시스템에 따르면, 피더 연료 회로에서 중유 연료로부터 증류물 연료로 연료 송출의 전환 후에, 부스터 연료 회로에서 충분한 연료 교체로 인해 SECA-구역의 배출 규정이 충족될 수 있을 때까지 10 시간을 초과하는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적어도 하나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용 새로운 연료 공급 시스템과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항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피더 연료 회로의 제1 펌프 장치는,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의 작동 동안 제1 연료 타입으로부터 제2 연료 타입으로 전환이 이루어지는 전환 작동 모드에서, 제2 연료를 제2 연료 탱크로부터 제3 송출 체적 유량으로 흡입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3 송출 체적 유량은 제1 송출 체적 유량보다 더 크다.
본 발명에 따라 피더 연료 회로의 제1 펌프 장치는 전환 작동 모드에서 제3 송출 체적 유량을 제2 연료 타입에 대한 연료 탱크로부터 흡입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3 송출 체적 유량은 정상 작동 모드에서 제1 송출 체적 유량보다 더 크다. 이로 인해, 부스터 연료 회로에서 제1 연료, 특히 중유 연료를 훨씬 더 신속하게 제2 연료, 특히 증류물 연료로 교체할 수 있어서,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은 SECA-구역의 배출 규정을 지금까지보다 훨씬 더 신속하게 충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은 피더 연료 회로에서 중유 연료로부터 증류물 연료로 연료 전환을 시작한 후 더 신속하게 SECA-구역 내로 들어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피더 연료 회로의 제1 펌프 장치는 전환 작동 모드에서 제2 연료를 상기 제3 송출 체적 유량으로 흡입하도록 설계되고, 혼합 탱크의 방향으로 송출된, 제3 송출 체적 유량의 제1 부분 송출 체적 유량은 부스터 연료 회로의 제2 송출 체적 유량에 상응한다. 이로 인해, 부스터 연료 회로에서 제1 연료 타입이 제2 연료 타입으로 특히 바람직하고 신속하게 교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연료 타입으로부터 제2 연료 타입으로 연료 송출의 전환 후 SECA-구역의 배출 규정이 훨씬 더 신속하게 충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 부스터 연료 회로의 리턴부에서 혼합 탱크의 상류에 제1 차단 밸브가 접속되고, 상기 차단 밸브는 정상 작동 모드에서 개방되며 전환 작동 모드에서 폐쇄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차단 밸브의 상류에서 리턴부로부터 연료 배출 라인이 분기되고, 상기 연료 배출 라인 내에 제2 차단 밸브가 접속되며, 상기 제2 차단 밸브는 정상 작동 모드에서 폐쇄되고 전환 작동 모드에서 개방된다.
상기 2개의 차단 밸브에 의해, 특히 바람직하게 전환 작동 모드에서 부스터 연료 회로에 있는 제1 연료를 제3 송출 체적 유량으로 피더 연료 회로의 전환 후에 부스터 연료 회로로부터 신속히 제거하고 부스터 연료 회로에서 제1 연료를 신속히 제2 연료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료 공급 시스템의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방법은 청구항 제 7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하기 설명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되지만, 이것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용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의 개략도.
본 발명은 선박의 적어도 하나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용 연료 공급 시스템 및 상기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및 3)의 연료 공급을 위해 사용되는 연료 공급 시스템(1)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연료 공급 시스템(1)은 단 하나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 또는 2개를 초과하는 선박 디젤 내연기관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연료 공급 시스템(1)은 피더(feeder) 연료 회로(4) 및 부스터 연료 회로(5)를 포함한다.
피더 연료 회로(4)는 제1 펌프 장치(6)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 장치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병렬 접속된 연료 펌프(7 및 8)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펌프들(7 및 8) 중 각각의 전방에 차단 밸브(9 및 10)가 배치된다. 제1 펌프 장치(6)가 2개의 연료 펌프(7 및 8) 대신에 단 하나의 연료 펌프 또는 2개를 초과하는, 병렬 접속된 연료 펌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피더 연료 회로(4)의 제1 펌프 장치(6)에 의해, 밸브(11)의 스위칭 위치에 따라 제1 연료 탱크(12)로부터 제1 연료,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유 연료가 또는 제2 연료 탱크(13)로부터 제2 연료,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증류물 연료가 흡입될 수 있고, 피더 연료 회로(4)의 제1 펌프 장치(6)에 의해 흡입된 연료는 혼합 탱크(14)의 방향으로 송출될 수 있다.
연료 공급 시스템(1)의 정상 작동 모드에서, 피더 연료 회로(4)의 제1 펌프 장치(6)는 2개의 연료 탱크(12 또는 13) 중 하나로부터 상응하는 연료를 규정된 제1 송출 체적 유량으로 흡입하고, 제1 송출 체적 유량의 제1 부분 송출 체적 유량은 혼합 탱크(14)의 방향으로 송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송출 체적 유량의 제2 부분 송출 체적 유량은 순환 라인(15)을 통해 피더 연료 회로(4)에서 순환되고, 상기 순환 라인 내에는 압력 제한 밸브(16)가 통합된다.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2 및 3)이 전부하로 작동되면 총 100% 연료가 소비되고, 펌프 장치(6)에 의해 2개의 연료 탱크(12 및 13) 중 하나로부터 흡입되는 제1 송출 체적 유량은 통상 상기 연료 소비의 160% 이고, 이 경우 상기 혼합 탱크(14)의 방향으로 송출된 제1 부분 송출 체적 유량은 100% 이며, 순환 라인(15)을 통해 안내된 제2 부분 송출 체적 유량은 60% 이다.
피더 연료 회로(4)의 제1 펌프 장치(6)를 통해 혼합 탱크(14)의 방향으로 송출된, 제1 송출 체적 유량의 제1 부분 송출 체적 유량은 특히 유량 측정 장치(17) 전방에 접속된 밸브(18)가 개방된 경우, 도 1에 따라 유량 측정 장치(17)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예컨대 유량 측정 장치(17)가 결함을 가지면 제1 송출 체적 유량의 제1 부분 송출 체적 유량을 바이패스 라인(19)을 통해 유량 측정 장치(17)를 바이패스하게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밸브(18)는 폐쇄되고, 바이패스 라인(19) 내에 통합된 밸브(20)는 개방된다.
순환 라인(15)을 통해 피더 연료 회로(4) 내에서 순환되는, 제1 송출 체적 유량의 제2 부분 송출 체적 유량은 압력 제한 밸브(16)에 의해, 혼합 탱크(14)를 향해 송출된 제1 부분 송출 체적 유량에 대해 일정한 압력 레벨이 형성되도록, 조절된다. 상기 압력 레벨은 예컨대 7 bar 일 수 있다.
제1 연료 타입으로서 중유 연료가 제1 연료 탱크(12)로부터 피더 연료 회로(4)를 통해 혼합 탱크(14)의 방향으로 송출되면, 상기 중유 연료는 제1 연료 탱크(12) 내에서 예열되고, 이 경우 중유 연료의 온도는 혼합 탱크(14)를 향해 송출된 제1 부분 송출 체적 유량에서 전형적으로 약 90℃이다.
부스터 회로(5)는 제2 펌프 장치(21)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 장치에 의해 혼합 탱크(14)로부터 연료가 흡입될 수 있고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방향으로 송출 가능하다. 연료가 혼합 탱크(14)로부터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으로 송출될 수 있게 하는 부스터 연료 회로(5)의 부분은 부스터 연료 회로(5)의 공급부(22)라고도 한다. 그러나, 상기 공급부(22)를 통해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방향으로 송출되는 연료는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 내에서 연소되지 않고, 부스터 연료 회로(5)의 리턴부(23)를 통해 혼합 탱크(14)의 방향으로 리턴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혼합 탱크(14)로부터 부스터 연료 회로(5)의 제2 펌프 장치(21)를 통해 흡입된 연료는,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이 중유 연료로 작동되는 경우, 예열 장치(24)를 통해 송출 가능하다.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이 증류물 연료로 작동되는 경우, 증류물 연료를 밸브(27)의 개방시 바이패스 라인(26)을 통해 안내하기 위해, 예열 장치(24) 전방에 배치된 밸브(25)가 폐쇄된다. 예열 장치(24)의 하류에서 부스터 연료 회로(5)의 공급부(22) 내에 점성 측정 장치(28)가 통합되고, 상기 점성 측정 장치는 중유 연료가 예열 장치(24)를 통해 안내되는 경우 예열 장치(24)에 의해 중유 연료의 점성에 영향을 주기 위해 예열 장치(24)의 작동을 조절한다.
전형적으로 중유 연료는 12-14 c St(Stokes)의 점성을 설정하기 위해 예열 장치(24)에 의해 가열된다. 이 경우, 부스터 연료 회로(5)에서 제2 펌프 장치(21) 하류의 압력 레벨은 예컨대 12 bar 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스터 연료 회로(5)의 제2 펌프 장치(21)는 연료를 혼합 탱크(14)로부터 흡입하고 연료를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방향으로, 즉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전방에 배치된 밸브(29, 30)의 개방 위치에 따라 송출한다. 부스터 연료 회로(5)의 제2 펌프 장치(21)는 연료를 혼합 탱크(14)로부터, 피더 연료 회로(4)의 제1 송출 체적 유량보다 훨씬 더 큰 제2 송출 체적 유량으로 흡입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피더 연료 회로(4)의 제1 송출 체적 유량이 160% 이면, 부스터 연료 회로(5)의 제2 송출 체적 유량은 300% 이고, 이 경우 2개의 밸브(29, 30)가 개방되면,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을 통해 각각 150% 부분 송출 체적 유량이 안내된다.
그러나, 2개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은 전부하 상태에서 함께 최대 100% 연료를, 즉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에 대해 각각 최대 50%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2개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 내에서 연소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연료가 2개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3)을 통해 송출되고, 상기 초과량의 연료는 냉각 및 윤활을 위해 사용되며 리턴부(23)를 통해 혼합 탱크(14)의 방향으로 리턴될 수 있다.
2개의 밸브(29, 30) 중 하나가 폐쇄되면, 즉 2개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 중 하나가 부스터 연료 회로(5)의 공급부(22)로부터 분리되면, 분리된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을 통해 송출될 수 없는 연료는 바이패스 라인(31)을 통해 다른 선박 디젤 내연기관(3, 2)을 바이패스하게 안내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바이패스 라인(31) 내에 통합된 바이패스 밸브(32)가 개방된다.
부스터 연료 회로(5)의 리턴부(23)를 통해 혼합 탱크(14)의 방향으로 재송출될 수 있는 연료는 리턴부(23) 내에 통합된 밸브(32)의 위치에 따라 냉각 장치(34) 또는 바이패스 라인(35)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 내에서 연료로서 중유 연료가 연소되면, 초과량의, 미연소 중유 연료는 바이패스 라인(35)을 통해 냉각 장치(34)를 바이패스하게 안내된다.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 내에서 연료로서 증류물 연료가 연소되면, 초과량의, 미연소 증류물 연료는 그 온도에 따라 냉각 장치(34)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도 1에 따라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밸브(29, 30)의 하류에서 각각의 내연기관(2, 3) 전방에 거친 필터(36, 37)가 배치됨으로써, 부스터 연료 회로(5) 내에서 송출된 연료로부터 거친 불순물이 필터링되고, 그에 따라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이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여기에 제시된 본 발명의 의미에서, 피더 연료 회로(4)의 제1 펌프 장치(6)는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작동 동안 제1 연료, 즉 중유 연료로부터 제2 연료, 즉 증류물 연료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전환 작동 모드에서, 제2 연료를 제2 연료 탱크(13)로부터 제1 송출 체적 유량으로 흡입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송출 체적 유량보다 큰 제3 송출 체적 유량으로 흡입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피더 연료 회로(4)의 제1 펌프 장치(6)는 전환 작동 모드에서 제2 연료를 상기 제3 송출 체적 유량으로 제2 연료 탱크(13)로부터 흡입하도록 설계되고, 혼합 탱크(14)의 방향으로 송출된, 제3 송출 체적 유량의 부분 송출 체적 유량은 부스터 연료 회로(5)의 제2 송출 체적 유량, 즉 부스터 연료 회로의 제2 펌프 장치(21)의 송출 체적 유량보다 크거나 같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전환 작동 모드 동안, 피더 연료 회로(4)의 펌프 장치(6)로부터 혼합 탱크(14)의 방향으로 송출되는 제3 송출 체적 유량의 제1 부분 송출 체적 유량은 300%이며, 즉 부스터 연료 회로(5)의 제2 송출 체적 유량에 상응한다.
이 경우, 피더 연료 회로(4)는 펌프 장치(6)의 2개의 펌프들(7, 8) 중 각각을 통해 각각 제2 연료의 160%를 제2 연료 탱크(13)로부터 흡입하여, 300%를 혼합 탱크(14)에 공급하고, 나머지 20%를 순환 라인(15)을 통해 피더 연료 회로(4)에서 순환시킬 수 있다.
부스터 연료 회로(5)의 리턴부(23)에서 혼합 탱크(14)의 상류에 제1 차단 밸브(38)가 접속되고, 상기 차단 밸브는 정상 작동 모드에서 개방되며 전환 작동 모드에서 폐쇄된다. 상기 제1 차단 밸브(38)의 상류에서 부스터 연료 회로(5)의 리턴부(23)로부터 연료 배출 라인(39)이 분기하고, 상기 연료 배출 라인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유 연료용 제1 연료 탱크(12) 내로 통한다. 상기 연료 배출 라인(39) 내에 제2 차단 밸브(40)가 접속되고, 상기 제2 차단 밸브는 정장 작동 모드에서 폐쇄되며 전환 작동 모드에서 개방된다.
본 발명에 의해, 중유 연료로부터 증류물 연료로 연료 공급의 전환시 피더 연료 회로(4)의 제1 펌프 장치(6)의 송출 출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여전히 부스터 연료 회로(5) 내에 있는 중유 연료를 신속하게 부스터 연료 회로로부터 제거하고 중유 연료를 신속히 증류물 연료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피더 연료 회로(4)의 제1 펌프 장치(6)의 송출 출력의 증가 후에, 먼저 제2 차단 밸브(40)가 개방된 다음 제1 차단 밸브(38)가 폐쇄된다.
전환 작동 모드로 전환 후에, 피더 연료 회로(4)의 제1 펌프 장치(6)는 바람직하게 규정된 시간 간격 동안 또는 규정된 체적 유량 동안 증가된 송출 출력으로 작동되므로, 전환 작동 모드가 규정된 시간 간격 동안 또는 규정된 체적 유량 동안 능동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시간 간격의 경과 후에 또는 상기 체적 유량의 달성 후에, 정상 작동 모드로의 재전환이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먼저 2개의 차단 밸브(38 및 40)가 제어된다. 즉, 제1 차단 밸브(38)가 개방되고, 제2 차단 밸브(40)가 폐쇄됨으로써, 후속해서 피더 연료 회로(4)의 제1 펌프 장치(6)의 송출 출력이 감소하고, 즉, 제3 송출 체적 유량으로부터 제1 송출 체적 유량으로 줄어들고, 상기 제1 송출 체적 유량은 정상 작동 모드에서 제1 펌프 장치(6)에 의해 각각의 연료 탱크(12, 13)로부터 흡입된다.
본 발명에 의해, 중유 연료 공급으로부터 증류물 연료 공급으로 전환시, 부스터 연료 회로(5)에 있는 중유 연료가 신속하게 상기 부스터 연료 회로(5)로부터 제거되고, 증류물 연료로 신속하게 교체됨으로써, 증류물 연료 공급으로 연료 공급의 전환 후 짧은 시간 내에 선박이 SECA-구역 내로 들어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조절 밸브(41)가 제2 차단 밸브(40)에 대해 병렬 접속된다. 상기 조절 밸브(41)는 유량 측정 장치(17)의 측정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조절 밸브(41)에 의해,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이 비교적 적은 연료를 연소하고 그에 따라 피더 연료 회로(4)로부터 비교적 적은 연료가 혼합 탱크(14) 내로 재송출되면, 조절 밸브(41)의 상응하는 개방에 의해 연료를 리턴부(23)로부터 연료 배출 라인(39)의 방향으로 배출함으로써, 부스터 연료 회로(5) 내에서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실제 연료 소비와 무관하게 부스터 연료 회로(5)에서 일정한 소비를 설정하고, 따라서 피더 연료 회로(4)를 통해 일정량의 연료를 혼합 탱크(14) 내로 재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특히 정상 작동 모드로부터 전환 작동 모드로 전환시 피더-연료 회로(4)의 제1 펌프 장치(6)의 송출 출력의 증가 전에 연료 공급 시스템(1)의 부스터 연료 회로(5) 내의 온도가 낮아져야 하는 경우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유 연료 작동 중 부스터 연료 회로(5) 내의 온도 레벨은 약 140℃ 이다. 증류물 연료 작동으로의 전환 전에, 부스터 연료 회로(5) 내의 온도 레벨은 약 45℃로 떨어져야 한다.
이러한 냉각 과정을 위해 필요한 시간은 실제로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실제 연료 소비에 의존한다. 유량 측정 장치(17)의 측정 신호에 따라 조절 밸브(41)를 제어함으로써, 냉각 과정은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실제 소비와 무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증류물 연료 작동으로 전환될 수 있는 시점은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실제 소비와 무관하다.
조절 밸브(41)의 개방에 의해,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일정하게 높은 연료 소비가 시뮬레이션되므로, 펌프 장치(6)를 통해 일정한 송출 체적이 혼합 탱크(14) 내로 송출될 수 있다. 유량 측정 장치(17)의 측정 신호가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비교적 낮은 소비를 나타내면, 조절 밸브(41)가 계속 개방되는 한편, 유량 측정 장치(17)의 측정 신호가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비교적 높은 소비를 나타내면, 조절 밸브(41)는 계속 폐쇄된다.
바람직하게 조절 밸브(41)의 제어는 유량 측정 장치(17)의 측정 신호에 따라, 유량 측정 장치(17)의 측정 신호가 설정 값과 비교되도록 이루어진다. 유량 측정 장치(17)의 측정 신호가 설정 값보다 크거나 또는 설정 값에 상응하면, 즉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실제 소비가 상응하게 크면, 조절 밸브(41)는 폐쇄된다. 이에 반해, 유량 측정 장치(17)의 측정 신호가 설정 값보다 작으면, 즉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실제 소비가 더 작아지면, 일정한 소비를 시뮬레이션하고 피더 연료 회로(4)를 통해 일정한 연료 체적 유량을 혼합 탱크(14) 내로 송출하기 위해, 조절 밸브(41)가 측정 신호의 설정 값과 실제 값 사이의 편차에 따라 개방된다. 이는 부스터 연료 회로(5) 내의 온도 레벨을 신속하게 그리고 출력에 따라 낮춘다.
1: 연료 공급 시스템 2: 선박 디젤 내연기관
3: 선박 디젤 내연기관 4: 피더 연료 회로
5: 부스터 연료 회로 6: 펌프 장치
7: 연료 펌프 8: 연료 펌프
9: 차단 밸브 10:차단 밸브
11: 밸브 12: 중유 연료 탱크
13: 증류물 연료 탱크 14: 혼합 탱크
15: 순환 라인 16: 압력 제한 밸브
17: 유량 측정 장치 18: 밸브
19: 바이패스 라인 20: 밸브
21: 펌프 장치 22: 공급부
23: 리턴부 24: 예열 장치
25: 밸브 26: 바이패스 라인
27: 밸브 28: 점성 측정 장치
29: 밸브 30: 밸브
31: 바이패스 라인 32: 바이패스 밸브
33: 밸브 34: 냉각 장치
35: 바이패스 라인 36: 거친 필터
37: 거친 필터 38: 차단 밸브
39: 연료 배출 라인 40: 차단 밸브
41: 조절 밸브

Claims (9)

  1. 제1 펌프 장치(6)를 경유하여 제1 연료 타입에 대한 제1 연료 탱크(12)로부터 제1 연료, 특히 중유 연료가, 또는 제2 연료 타입에 대한 제2 연료 탱크(13)로부터 제2 연료, 특히 증류물 연료가, 혼합 탱크(14)의 방향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 피더 연료 회로(4) 및, 제2 펌프 장치(21)를 경유하여 연료가 혼합 탱크(14)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방향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스터 연료 회로(5)를 포함하며, 정상 작동 모드에서 상기 피더 연료 회로(4)의 상기 제1 펌프 장치(6)가 상기 제1 연료 또는 상기 제2 연료를 제1 송출 체적 유량으로 각각의 연료 탱크(12, 13)로부터 흡입하고, 상기 제1 송출 체적 유량의 제1 부분 송출 체적 유량을 상기 혼합 탱크(14)의 방향으로 송출하며, 상기 제1 송출 체적 유량의 제2 부분 송출 체적 유량을 상기 피더 연료 회로(4)에서 순환시키며, 그리고 상기 정상 작동 모드에서 상기 부스터 연료 회로(5)의 제2 펌프 장치(21)는 상기 제1 송출 체적 유량보다 큰 제2 송출 체적 유량으로 연료를 상기 혼합 탱크(14)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방향으로 송출하고, 상기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 내에서 미연소 연료를 다시 상기 혼합 탱크(14)로 송출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피더 연료 회로(4)의 상기 제1 펌프 장치(6)는, 상기 선박 디젤 내연기관들 또는 각각의 선박 디젤 내연기관(2, 3)의 작동을 위해 제1 연료 타입으로부터 제2 연료 타입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전환 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2 연료를 상기 제2 연료 탱크(13)로부터 제3 송출 체적 유량으로 흡입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3 송출 체적 유량은 상기 제1 송출 체적 유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 연료 회로(4)의 상기 제1 펌프 장치(6)는 상기 전환 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2 연료를 상기 제3 송출 체적 유량으로 흡입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혼합 탱크(14)의 방향으로 송출되는, 상기 제3 송출 체적 유량의 제1 부분 송출 체적 유량은 상기 부스터 연료 회로(5)의 상기 제2 송출 체적 유량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 연료 회로(5)의 리턴부(23)에서 상기 혼합 탱크(14)의 상류에 제1 차단 밸브(38)가 접속되고, 상기 차단 밸브는 상기 정상 작동 모드에서 개방되며 상기 전환 작동 모드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 밸브(38)의 상류에서 상기 리턴부(23)로부터 연료 배출 라인(39)이 분기되고, 상기 연료 배출 라인 내에 제2 차단 밸브(40)가 접속되며, 상기 차단 밸브는 상기 정장 작동 모드에서 폐쇄되고 상기 전환 작동 모드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배출 라인(39)은 상기 제1 연료 탱크(12)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조절 밸브(41)가 상기 제2 차단 밸브(40)에 대해 병렬 접속되고, 상기 조절 밸브(41)는 상기 전환 작동 모드에서 상기 피더 연료 회로(4) 내의 유량 측정 장치(17)의 측정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정상 작동 모드로부터 전환 작동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먼저 상기 피더 연료 회로(4)의 상기 제1 펌프 장치(6)가 상기 제1 송출 체적 유량으로부터 상기 제3 송출 체적 유량으로 전환된 다음, 상기 제2 차단 밸브(40)가 개방되고 상기 제1 차단 밸브(38)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작동 모드로부터 상기 정상 작동 모드로 전환을 위해, 먼저 상기 제1 차단 밸브(38)가 개방되고, 상기 제2 차단 밸브(40)가 폐쇄되고, 후속해서 상기 피더 연료 회로(4)의 상기 제1 펌프 장치(6)는 상기 제3 송출 체적 유량으로부터 상기 제1 송출 체적 유량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작동 모드로부터 상기 전환 작동 모드로 전환 후에 상기 전환 작동 모드는 규정된 시간 간격 동안 또는 규정된 체적 유량 동안 능동적으로 유지되고, 상기 시간 간격의 경과 후에 또는 상기 체적 유량의 도달 후에 상기 정상 작동 모드로의 재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0130157357A 2012-12-20 2013-12-17 연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2038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210025020 DE102012025020A1 (de) 2012-12-20 2012-12-20 Kraftstoffversorgungs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DE102012025020.7 2012-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426A true KR20140080426A (ko) 2014-06-30
KR102038713B1 KR102038713B1 (ko) 2019-10-30

Family

ID=5068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357A KR102038713B1 (ko) 2012-12-20 2013-12-17 연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922085B2 (ko)
KR (1) KR102038713B1 (ko)
CN (1) CN103883446B (ko)
DE (1) DE102012025020A1 (ko)
FI (1) FI125999B (ko)
IT (1) ITMI201320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7117B2 (ja) * 2015-09-16 2019-05-22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MX2018006854A (es) * 2016-01-06 2018-08-01 Micro Motion Inc Caracterizacion de periodo de flujo de combustible mezclado.
JP2018135775A (ja) * 2017-02-21 2018-08-30 株式会社 エムエムシーセンター バイオディーゼル発電装置
CN113482814B (zh) * 2021-06-30 2022-08-05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船舶发电机燃油供给系统及燃油供给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117B1 (ko) * 1987-11-13 1991-04-04 쌍용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발전용 디젤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
JP2001214822A (ja) * 2000-02-03 2001-08-10 Niigata Eng Co Ltd ディーゼル機関の運転装置
JP2010038018A (ja) * 2008-08-04 2010-02-18 Conhira Co Ltd 燃焼システム及び燃焼方法
KR20110092978A (ko) * 2010-02-11 2011-08-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엔진 운전장치
KR20110130059A (ko) * 2010-05-27 2011-1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다중연료 공급장치
KR20120061293A (ko) * 2010-12-03 2012-06-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동 연료유 전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2115U (ja) * 1982-02-08 1983-08-19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低質燃料油の粘度自動制御装置
JPS5937239A (ja) * 1982-08-26 1984-02-2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デイ−ゼル機関の燃料油切換装置
JPS6453436U (ko) * 1987-09-29 1989-04-03
DE19828772B4 (de) * 1998-06-27 2005-11-24 Man B & W Diesel A/S Brennkraftmaschine
JP2012524207A (ja) * 2009-04-20 2012-10-11 ディージーシー インダストリーズ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間接噴射システム用のデュアルフューエル供給システム
WO2011088830A1 (en) * 2010-01-25 2011-07-28 York Industries International Hk. Ltd Dual fuel supply system, methods f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fuel types and method for retro-fitting a heavy fuel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117B1 (ko) * 1987-11-13 1991-04-04 쌍용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발전용 디젤기관의 연료공급시스템
JP2001214822A (ja) * 2000-02-03 2001-08-10 Niigata Eng Co Ltd ディーゼル機関の運転装置
JP2010038018A (ja) * 2008-08-04 2010-02-18 Conhira Co Ltd 燃焼システム及び燃焼方法
KR20110092978A (ko) * 2010-02-11 2011-08-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엔진 운전장치
KR20110130059A (ko) * 2010-05-27 2011-1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다중연료 공급장치
KR20120061293A (ko) * 2010-12-03 2012-06-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동 연료유 전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22085B2 (ja) 2016-05-24
KR102038713B1 (ko) 2019-10-30
DE102012025020A1 (de) 2014-06-26
CN103883446B (zh) 2017-04-26
JP2014122632A (ja) 2014-07-03
CN103883446A (zh) 2014-06-25
FI20136280A (fi) 2014-06-21
FI125999B (en) 2016-05-31
ITMI20132051A1 (it) 201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258B1 (ko) 연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US9765736B2 (en) Fuel supply system
JP5023152B2 (ja) 2種燃料システム
KR102100435B1 (ko) 선박
US8651089B2 (en) Injec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20026496A (ko) 디젤 엔진의 간접분사 시스템을 위한 듀얼 연료 공급 시스템
JP7181196B2 (ja) 船舶用燃料油の転換システム及び転換方法
KR20140080426A (ko) 연료 공급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JP2010504455A5 (ko)
EP2585705B1 (en) Fuel system for injection of a fuel mixture in a combustion engine
JP7479918B2 (ja) コモンレール燃料供給システム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及び制御装置
KR101805511B1 (ko) 연료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PL222798B1 (pl) Układ zasilający silniki spalinowe w paliwo
KR200492594Y1 (ko)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
EP3578784A1 (en) Petrol/diesel and lpg fuel supply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1823974B1 (ko) 선박의 유청정 장치
CN104454281A (zh) 用于在紧急行驶运行中运行内燃机的方法
US20150053162A1 (en) Ethanol/castor oil based fuel conditioning
EP3168445B1 (en) Dual fuel system for powering combustion engines
CN111173650A (zh) 用于内燃发动机的喷射系统,用于运行喷射系统的方法
CZ2009283A3 (cs) Zpusob privádení paliva do dvojpalivového systému spalovacího vznetového motoru a dvojpalivový systém spalovacího vznetového motoru
CZ305312B6 (cs) Způsob a zařízení ke zdokonalení provozu dvojpalivového spalovacího vznětového motoru
CZ19766U1 (cs) Zařízení k přivádění paliva u dvojpalivového systému spalovacího vznětového motor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