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6114A -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 - Google Patents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6114A
KR20140076114A KR1020120144288A KR20120144288A KR20140076114A KR 20140076114 A KR20140076114 A KR 20140076114A KR 1020120144288 A KR1020120144288 A KR 1020120144288A KR 20120144288 A KR20120144288 A KR 20120144288A KR 20140076114 A KR20140076114 A KR 20140076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door
magnet
handle
lever
link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8272B1 (ko
Inventor
남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4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2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76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Luggage compartment lids for b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화물칸을 개폐하는 플랩도어의 안쪽면에 설치하여 승객이 플랩도어를 쉽게 닫을 수 있도록 한 이너 핸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랩도어의 안쪽면에 승객이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는 이너 핸들을 설치하여, 플랩도어가 위로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적당한 위치에 놓여져 있는 이너 핸들을 잡고 플랩도어를 손쉽게 닫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성 승객이나 키가 작은 승객이 플랩도어를 닫을 때 겪었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등 플랩도어를 닫을 때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Flap door inner handle for bus}
본 발명은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의 화물칸을 개폐하는 플랩도어의 안쪽면에 설치하여 승객이 플랩도어를 쉽게 닫을 수 있도록 한 이너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수단으로서, 버스의 측면바디 하부 양측에는 승객들이 소지하고 탑승하기에 비교적 큰 화물이 적재될 수 있도록 화물 적재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버스에는 승객실 하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화물 적재공간은 차체의 측면에 힌지 체결되어 상하 회동하면서 날개 형태로 개방되는 플랩도어(Flap door)를 개폐시킴으로써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플랩도어의 전면 하부에는 아우터 핸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플랩도어의 내부 좌우 및 상부에는 각각 래치가 마련되어 있어서, 래치에 의하여 플랩도어가 닫혀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아우터 핸들을 조작하면 레버가 내려가면서 여러 개의 로드를 당기게 되고, 이렇게 로드가 당겨짐에 따라 각각의 래치가 해제되면서 플랩도어가 개방되는 것이다.
보통 플랩도어는 힌지를 매개로 회전되면서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그 무게 또한 만만치 않아서, 사용자가 플랩도어를 개방할 때에 보다 쉽게 적은 힘으로 열리도록 하고, 닫을 때에는 자중을 갖는 플랩도어가 갑자기 닫힘으로써 플랩도어 및 버스차체가 손상되거나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주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버스에 설치되어 있는 플랩도어의 경우, 특히 슈퍼 하이덱(Super high deck) 고급버스 등에 설치되어 있는 플랩도어의 경우 승객이 플랩도어를 닫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즉,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슈퍼 하이덱 차종의 경우 플랩도어(10)의 높이가 일반 버스에 비해서 더 높은 관계로 승객, 특히 여성 승객들이 플랩도어를 닫는데 불편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플랩도어의 안쪽면에 승객이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는 이너 핸들을 설치하여, 플랩도어가 위로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적당한 위치에 놓여져 있는 이너 핸들을 잡고 플랩도어를 손쉽게 닫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성 승객이나 키가 작은 승객이 플랩도어를 닫을 때 겪었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등 플랩도어를 닫을 때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플랩도어 이너 핸들은 플랩도어의 안쪽면에 설치되어 플랩도어 열림시 아래로 젖혀지고 플랩도어 닫힘시 안쪽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단 힌지부에 의해 플랩도어측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후면에는 자석이 부착되어 있는 핸들 판체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플랩도어 이너 핸들의 핸들 판체는 플랩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링크 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라 플랩도어 열림시 링크 어셈블리측에서 떨어질 수 있게 되고, 플랩도어 닫힘시 링크 어셈블리측으로 붙어서 고정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 판체는 후면에 있는 자석과 링크 어셈블리에 있는 자석 간의 반력에 의해 링크 어셈블리측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후면에 있는 자석을 이용하여 링크 어셈블리측에 붙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서로 연계되어 작동하는 제1레버와 제2레버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1레버와 제2레버의 연결부위에 핸들 판체의 자석과 반력을 형성하는 자석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석의 경우 플랩 도어 열림을 위한 제1레버와 제2레버의 회전작동에 의해 아래로 내려온 위치에서 핸들 판체에 있는 자석과 근접되면서 반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레버는 자석 부착부위의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자석 부착판을 통해 핸들 판체에 있는 자석이 부착될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할 수 있고, 또 상기 핸들 판체는 링크 어셈블리에 있는 자석의 영향을 받지 않는 비철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플랩도어 열림상태에서 이너 핸들이 적당한 위치에 펼쳐지기 때문에 여성 승객이나 키작은 승객 등 모든 승객이 쉽게 플랩도어를 닫을 수 있는 등 승객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상품성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일부 응용 및 구성 부품만 간단하게 치환할 경우, 버스의 플랩도어 뿐만 아니라 승용차의 테일게이트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있다.
셋째, 여성 승객을 배려하기 위하여 이너 핸들 구성시 복잡한 전기장치 및 구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가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버스의 플랩도어를 닫는 승객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과 링크 어셈블리의 닫힘시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정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과 링크 어셈블리의 열림시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의 플랩도어 열림시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랩도어 이너 핸들은 사용자가 플랩도어(10)를 닫을 때 손으로 잡는 부분인 핸들 판체(13)와 이 핸들 판체(13)를 플랩도어(10)의 안쪽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부착시킨 자석(12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핸들 판체(13)는 플랩도어(10)의 안쪽면에 고정되어 있는 핸들 브라켓(18)에 상단의 힌지부(11)를 통해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자석(12a)은 핸들 판체(13)의 후면 하단쪽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 판체(13)는 플랩도어(10)의 닫힘 상태에서는 플랩도어(10)의 안쪽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링크 어셈블리(14)측에 자석(12a)을 이용하여 밀착되는 자세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핸들 판체(12)는 비철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링크 어셈블리(14)에 있는 후술하는 자석(12b)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떨어지거나 붙어 있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핸들 판체(13)는 플랩도어(10)에 설치되어 있는 링크 어셈블리(14)의 작동에 따라 플랩도어(10)가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링크 어셈블리(14)측에서 떨어질 수 있게 되고, 또 플랩도어(1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링크 어셈블리(14)측으로 붙어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플랩도어(10)의 열림상태에서는 핸들 판체(13)의 후면에 있는 자석(12a)과 링크 어셈블리(14)에 있는 자석(12b) 간의 반력에 의해 핸들 판체(13)가 링크 어셈블리(14)측에서 떨어질 수 있게 되고, 플랩도어(10)의 닫힘상태에서는 핸들 판체(13)의 후면에 있는 자석(12a)이 링크 어셈블리(14)측에 붙어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4a 및 4b와 도 5a 및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어셈블리(14)는 플랩도어(10)의 전면에 있는 아우터 핸들(미도시)을 조작하면 이때의 조작력을 각 래치 어셈블리(미도시)측으로 전달하여(중간에 매개하여) 래치가 해제되도록 해주는 수단으로서, 양쪽의 로드(19a,19b)를 연동시켜주는 제1레버(15)와 제2레버(16)를 포함하며, 이때의 제1레버(15)와 제2레버(16)는 링크 브라켓(20)상에 그 중심부를 통해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레버(15)와 제2레버(16)는 서로의 일단이 핀구조로 연결되어 있어서, 서로 연계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로드(19a,19b) 또한 연동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아우터 핸들을 조작하게 되면, 제1레버(1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레버(16)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결국 제1레버(15)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19a)는 도면의 좌측으로, 제2레버(16)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19b)는 도면의 우측으로 각각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아우터 핸들의 조작으로 레버와 로드가 연계적으로 동작하는 메카니즘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 제1레버(15)와 제2레버(16)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위에는 자석(12b)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때의 자석(12b)은 핸들 판체(13)에 있는 자석(12a)과 서로 근접했을 때 이 자석(12a)을 밀어낼 수 있는 반력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레버(15)와 제2레버(16)에 있는 자석(12b)의 경우, 레버 작동 전상태인 플랩도어(10)의 닫힘 상태에서는 도 4a와 4b에서 볼 수 있듯이 윗쪽으로 위치되어 그 아래쪽에 위치를 잡고 있는 핸들 판체측 자석(12a)과는 거리를 두게 되므로, 이때의 핸들 판체(13)는 링크 어셈블리(14)측에 밀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플랩도어(10)를 열기 위해 아우터 핸들을 조작하게 되면, 도 5a와 5b에서 불 수 있듯이 제1레버(15)와 제2레버(16)의 연결부위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12b)은 제1레버(15)와 제2레버(16)의 회전작동과 함께 아래쪽으로 위치되면서 그 바로 앞쪽에 위치를 잡고 있는 핸들 판체측 자석(12a)과 서로 마주보며 근접된 상태가 되고, 결국 이때의 자석(12a,12b) 간에 작용하는 반력에 의해 핸들 판체(13)가 링크 어셈블리(14)측에서 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레버(15)에는 자석(12b)이 부착되어 있는 일단의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자석 부착판(17)이 구비되며, 이때의 자석 부착판(17)에 핸들 판체(13)에 있는 자석(12a)이 부착되므로서, 핸들 판체(13)가 링크 어셈블리(14)측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의 플랩도어 열림시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웃터 핸들 작동 후 약 20°오픈시 플랩도어(10)가 자동 오픈되는 구조로서, 이때의 이너 핸들(100)은 자석에 의해서 뒤로 나오게 된다(a).
이너 핸들(100)은 자중에 의해 플랩도어(10)가 오픈되는 동안 중력방향으로 쳐지게 되고, 이때 자석과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이너 핸들(100)이 플랩도어(10)에 붙는 현상은 없게 된다(b).
플랩도어(10)가 위로 완전히 오픈된 상태에서 이너 핸들(100)은 아래로 최대한 쳐진 상태가 되고, 이렇게 쳐진 위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는 위치가 된다(c).
한편, 플랩도어 클로즈시 이너 핸들의 위치변화는 다음과 같다.
플랩도어 클로즈시 열림과 마찬가지로 이너 핸들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게 되고, 이후 완전 닫힘 구간에서는 이너 핸들이 자중에 의하여 플랩도어와 같은 방향에 놓이게 된다.
계속해서, 플랩도어와 같은 방향에 놓이는 시점에서 자석에 의하여 플랩도어와 붙어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도어(10)가 위로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이너 핸들(100)은 자중에 의하여 아래로 회전하여 승객이 팔을 뻗으면 잡을 수 있는 적당한 위치에 오게 되고, 결국 여성 승객이나 키가 작은 승객도 이너 핸들(100)을 쉽게 아래로 젖혀 내려서 닫을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한편, 플랩도어(10)의 오픈시 키가 큰 승객의 경우에는 이너 핸들(100)이 시야를 가리거나, 머리에 닿는 등의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며, 이때에는 이너 핸들(100)을 회전시켜서 링크 어셈블리측의 금속 부위에 이너 핸들(100)에 있는 자석을 붙혀 놓으면, 키가 큰 승객도 손쉽게 플랩도어(10)를 닫을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10 : 플랩도어 11 : 힌지부
12a,12b : 자석 13 : 핸들 판체
14 : 링크 어셈블리 15 : 제1레버
16 : 제2레버 17 : 자석 부착판
18 : 핸들 브라켓 19a,19b : 로드
20 : 링크 브라켓

Claims (6)

  1. 플랩도어(10)의 안쪽면에 설치되어 플랩도어 열림시 아래로 젖혀지고 플랩도어 닫힘시 안쪽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단 힌지부(11)에 의해 플랩도어측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후면에는 자석(12a)이 부착되어 있는 핸들 판체(13)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 판체(13)는 플랩도어(10)에 설치되어 있는 링크 어셈블리(14)의 작동에 따라 플랩도어 열림시 링크 어셈블리(14)측에서 떨어질 수 있게 되고, 플랩도어 닫힘시 링크 어셈블리(14)측으로 붙어서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 판체(13)는 후면에 있는 자석(12a)과 링크 어셈블리(14)에 있는 자석(12b) 간의 반력에 의해 링크 어셈블리(14)측에서 떨어질 수 있게 되고, 후면에 있는 자석(12a)을 이용하여 링크 어셈블리(14)측에 붙어서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플랩도어 인너 핸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14)는 서로 연계되어 작동하는 제1레버(15)와 제2레버(16)를 포함하며, 상기 제1레버(15)와 제2레버(16)의 연결부위에 핸들 판체(13)의 자석(12a)과 반력을 형성하는 자석(12b)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석(12b)은 플랩 도어 열림을 위한 제1레버(15)와 제2레버(16)의 회전작동에 의해 아래로 내려온 위치에서 핸들 판체(13)에 있는 자석(12a)과 근접되면서 반력이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15)는 자석 부착부위의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자석 부착판(17)을 통해 핸들 판체(13)에 있는 자석(12a)이 부착될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핸들 판체(13)는 비철 소재로 이루어져 링크 어셈블리(14)에 있는 자석(12b)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
KR1020120144288A 2012-12-12 2012-12-12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 KR101428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288A KR101428272B1 (ko) 2012-12-12 2012-12-12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288A KR101428272B1 (ko) 2012-12-12 2012-12-12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114A true KR20140076114A (ko) 2014-06-20
KR101428272B1 KR101428272B1 (ko) 2014-08-07

Family

ID=5112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288A KR101428272B1 (ko) 2012-12-12 2012-12-12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2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6406A1 (en) 2017-11-17 2019-05-23 Volvo Bus Corporation A hatch operating mechanism
CN116394818A (zh) * 2023-06-07 2023-07-07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一种隐藏式车用顶棚拉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4370A (ja) * 1994-07-22 1996-02-06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リッドのヒンジ構造
JPH10338033A (ja) * 1997-06-10 1998-12-22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の跳ね上げ式ドア
KR20080008486A (ko) * 2006-07-20 2008-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플랩도어 핸들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6406A1 (en) 2017-11-17 2019-05-23 Volvo Bus Corporation A hatch operating mechanism
CN116394818A (zh) * 2023-06-07 2023-07-07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一种隐藏式车用顶棚拉手
CN116394818B (zh) * 2023-06-07 2023-09-19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一种隐藏式车用顶棚拉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272B1 (ko)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4921B2 (ja) 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CN106150236B (zh) 用于车辆的外把手装置
JP2008231747A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ITTO941013A1 (it) Struttura di porta posteriore per autoveicoli.
US10202788B2 (en) Door outer handle
AU2013218765B2 (en) Retractable latch bumper
CN101519037B (zh) 一种加油口盖与滑门之间的锁止机构
KR101428272B1 (ko) 버스용 플랩도어 이너 핸들
JP6239277B2 (ja) スライディングドア用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CN112776572A (zh) 用于车辆的滑动/摆动复合车门
US20080296914A1 (en) Door opening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JP2010127054A (ja) 建設機械の乗降口開閉装置
JP5079596B2 (ja) ドア開閉機構
CN106515432B (zh) 一种商用车加油口的开启控制装置
JP2009209653A (ja) 車両用中折れ式ドアのロック装置
CN207683291U (zh) 一种带有开启限位功能的汽车滑动门
CN206539157U (zh) 背门锁体总成、背门锁、汽车背门及汽车
JP2017128245A (ja) ドアトリム
JP5778924B2 (ja) 車両用リアゲートの開閉装置
JP6252180B2 (ja) 車両用ドア構造
JP5271376B2 (ja) 車両用ドア
CN202483289U (zh) 一种汽车车门锁的内开启装置
KR20080107806A (ko) 자동차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과 도어래치의 연결구조
KR100837005B1 (ko) 플랩도어 잠금장치
JP4705800B2 (ja) 車両用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