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597A - 마사지 의자 - Google Patents

마사지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5597A
KR20140075597A KR1020130149292A KR20130149292A KR20140075597A KR 20140075597 A KR20140075597 A KR 20140075597A KR 1020130149292 A KR1020130149292 A KR 1020130149292A KR 20130149292 A KR20130149292 A KR 20130149292A KR 20140075597 A KR20140075597 A KR 20140075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
seat frame
arm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시 후루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이료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이료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이료키
Publication of KR20140075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47C1/03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y coupled seat and back-rest, i.e. the seat and back-rest being mov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xtension mechanism of the foot-rest is actuated at least by the relative movements of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등받이부가 후방으로 경사 이동할 때에 팔 시료부가 팔의 이동에 충분히 추종될 수 있도록 하여 팔에 대한 시료 위치가 벗어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착석을 가능하게 하는 시트부와, 후방으로 경사 이동 가능한 등받이부와, 팔에 대해 시료하는 좌우 양측의 팔 시료부를 갖춘 마사지 의자(11)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21)의 좌우 양측의 상단부에 시트부의 골조가 되는 시트 프레임(31)을 앞뒤 움직일 수 있게 지지하는 시트 레일부(25)와, 팔 시료부의 골조가 되는 팔 지지체(61)를 앞뒤 움직일 수 있게 지지하는 팔 레일부(26)을 구비한다. 시트 프레임(31)에는 등받이부의 골조가 되는 등 프레임(41)을 연결하고, 시트 프레임(31)을 등 프레임(41)의 뒤쪽으로 기울어 이동함에 따라 앞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시트 프레임(31)과 팔 지지체(61) 사이에 시트 프레임(31)이 앞쪽으로 이동할 때에 시트 프레임(31)의 전방으로의 움직임을 팔 지지체(61)의 후방으로의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연동기구(6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마사지 의자 {MASSAGE CHAIR}
본 발명은 착석 자세에 있는 인체에 마사지를 하는 마사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인체의 팔에 대한 마사지가 등받이를 넘어뜨려도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마사지 의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팔」이라는 용어에 관하여, 본 발명에 관해서는 손목보다는 앞쪽의 손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인체의 팔에 마사지를 하는 마시지 의자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마사지 의자는 등받이를 뒤쪽으로 넘어뜨렸을 때에 인체의 양 어깨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팔도 후방으로 이동되어 팔에 대한 시료(施療)가 원하는 올바른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에 착안한 것으로, 등받이부를 세우거나 눕히는 동작에 따라서 팔 시료부(施療部)가 추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팔 시료부는 마사지 의자의 베이스(基臺)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기립 벽의 위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등받이부와 링크되어 장착되어 있다.
팔 시료부는 등받이부가 후방으로 경사 이동(傾動)됨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팔 부분에 대한 시료 위치가 벗어나는 일이 없는 것으로도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등받이부가 후방으로 기울어졌을 때의 인체의 어깨의 이동 거리는 비교적 길고, 움직임은 직선적이지 않기 때문에 팔 시료부만 베이스의 기립 벽 위에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는 추종이 충분하지 않아서 시료 위치가 벗어나는 것을 충분히 해소할 수 있다고는 말하기 힘든 점이 있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8-178491호
따라서, 본 발명은 등받이부가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에 대해서 팔 시료부가 충분히 추종할 수 있도록 하여서 팔에 대한 시료 위치가 벗어나는 것을 대단히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수단은, 앉을 수 있는 시트부(座部)와, 뒤쪽으로 경사 이동 가능한 등받이부와, 팔에 대해 시료하는 좌우 양쪽의 팔 시료부를 구비한 마사지 의자로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좌우 양쪽의 상단부에 상기 시트부의 골조가 되는 시트 프레임을 전후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시트 레일부와, 상기 팔 시료부의 골조가 되는 팔 지지체를 전후 움직일 수 있게 지지하는 팔 레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프레임과 상기 팔 지지체 사이에 상기 등받이부의 후방으로의 경사에 따라 시트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시트 프레임의 전방으로의 움직임을 팔 지지체의 후방으로의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연동기구를 구비한 마사지 의자이다.
이 구성에서는 등받이부가 후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시트부를 구성하는 시트프레임이 시트 레일부를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등받이부를 넘어뜨렸을 때의 팔의 위치와 등받이부를 쓰러뜨리지 않을 때의 팔의 위치의 차이 폭을 작게 한다. 동시에 연동 기구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시트 프레임의 움직임을, 팔 시료부를 구성하는 팔 지지체의 후방으로의 움직임으로 변환해서 팔 시료부를 팔 레일부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등받이부가 뒤쪽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앞쪽으로 이동하는 시트부와, 앞쪽으로 이동하는 시트부의 움직임을 팔 시료부의 뒤쪽으로의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연동 기구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등받이부를 쓰러뜨린 때와 쓰러뜨리지 않을 때의 팔 위치의 차이 폭을 작게 할 수 있으면서, 그 작은 위치 차이는 연동 기구를 통한 팔 시료부의 후방으로의 이동으로 보완한다. 팔 시료부에 대한 팔의 위치 차이를 팔 시료부만의 이동으로 해소하는 경우에 비해 등받이부의 후방으로 의 기울어짐에 팔 시료부를 충분히 추종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팔 시료부에 필요한 이동 거리는 짧기 때문에 연동 기구는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마사지 의자의 내부 구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마사지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마사지 의자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등받이부를 넘어뜨린 상태의 마사지 의자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마사지 의자의 내부 구조 중 주요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마사지 의자의 내부 구조 중 다리 시료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다른 예에 관련한 마사지 의자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 형태를 하기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마사지 의자(11)의 내부 구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이 마사지 의자(1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12)와, 착석을 가능하게 하는 시트부(13)와, 시트부(13)의 후단 위치에서 후방으로 경사 이동할 수 있는 등받이부(14)와, 시트부(13)의 앞단 위치에서 튀어오를 수 있는 다리 시료부(15)와, 베이스(12)의 좌우 양쪽의 벽부(12a) 상단에 있어서 팔에 대해 시료하는 팔 시료부(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1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베이스 프레임(21)을 골조로 해서 내장하고, 상기 시트부(13)와 상기 등받이부(14)와 상기 팔 시료부(16)를 지지한다.
베이스 프레임(21)은 각형(角型) 강관을 조립하여 구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양측의 두 개의 기초 바닥재(22)와, 이들 기초 바닥재(22) 위에 세워져 설치되는 여러 개의 수직재(23)와, 이들 수직재(23)의 하단부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설된 횡가재(橫架材,가로로 걸치는 부재)(24)를 갖는다. 수직재(23) 부분이 마사지 의자(11)의 좌우 양쪽의 상기 벽부(12a)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여러 개의 수직재(23)는, 도 1,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마사지 의자(11)의 전방의 것일수록 길게 형성되고, 여러 개의 수직재(23)의 상단 위치를 직선으로 연결하면, 그 직선이 후방일수록 낮게 기울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수직재(23) 위에 상기 시트부(13)와 팔 시료부(16)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시트부(13)의 지지는 상기 수직재(23)의 상단에 고정된 시트 레일부(25)에 대해서 이루어지며, 팔 시료부(16)의 지지는 시트 레일부(25) 위에 적층 상태로 형성된 팔 레일부(26)에 대해 이루어진다.
시트 레일부(25)는 각형 강관으로 구성되며, 좌우 양쪽 측면에 개구된 주행 홈(25a)을 내부에 가진다. 주행홈(25a)의 개구(25b)는, 시트 레일부(25)의 앞단 위치에서 시트부(13)를 지지하는 데 필요한 후방의 적정 위치까지 연장되는 긴 홈 모양이다. 개구(25b)의 폭은 시트 레일부(25)의 폭보다 좁다.
팔 레일부(26)는 프레스 가공한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윗면에 개구된 주행 홈(26a)을 가진다. 팔 레일부(26)의 바닥판(26b)은 시트 레일부(25)의 윗면에 겹치도록 평면형태이고, 양 측판(26c)은 전방 부분에 있어서는 바닥판(26b)에서 일정한 높이로 설정되고, 후방부분에 있어서는 바닥판(26b)에서 벗어나는 방향, 즉 주행 홈(26a)이 순차적으로 깊어지도록 기울이고 높게 설정되어 있다. 팔 레일부(26)의 주행홈(26a)은 선단에서 개방되고 후단은 폐쇄되어 윗면의 개구(26d)는 전체가 개방된 상태이다.
시트 레일부(25)와 팔 레일부(26)의 외측면에는 여러 개의 보강부재(27)가 설치되어 시트 레일부(25)의 개구 폭의 유지와 시트 레일부(25) 및 팔 레일부(26)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보강부재(27)는, 시트 레일부(25)와 팔 레일부(26)에 직교하도록 장착되는 것이지만, 보강부재(27)에서의 시트 레일부(25)의 개구(25b)에 대응하는 부분은 시트 레일부(25)의 측면에서 띄워 성형되어 시트 레일부(25)의 측면과의 사이에 틈(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부(13)는 골조가 되는 시트 프레임(31)을 구비하고, 이 시트 프레임(31)은 도 4,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시트 레일부(25) 사이에 상기 등받이부(14)가 후방으로 기울어져 이동함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시트 프레임(31)은 좌우의 상기 시트 레일부(25)의 주행홈(25a) 내를 주행하는 주행체(32)와, 이들 주행체(32) 사이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마련된 횡가(橫架)체(33,34)를 가진다.
주행체(32)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태의 두 장의 주행판(32a)과, 이들 사이에 마련된 복수의 주행륜(3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주행판(32a)은 평판모양이고, 상기 시트 레일부(25)의 폭 방향에서 면들을 마주 향하게 한 상태에서 틈을 벌리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들 주행판(32a) 사이에 주행륜(32b)이 주행판(32a)의 하단에서 일부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구조이다. 이 주행체(32)는 상기 시트 레일부(25)의 외측면의 개구(25b) 부분에 형성한 상기 틈새(28)를 이동하는 규제판(32c)을 일체로 구비한다(도 3 참조).
상기 횡가체(33,34) 중 전단부의 횡가체(33)는 상기 주행판(32a)에 양단이 고정된 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횡가부재(33a)와, 이 횡가부재(33a)의 상면에 후방을 향해 튀어나오도록 마련된 횡가판(33b)과, 횡가부재(33a)의 양단부에 설치된 다리 지지체 연결부(33c)와, 횡가부재(33a)의 중간부에 나란히 설치된 두 개의 구동체 연결부(33d,33e)를 가진다.
상기 횡가체(33,34) 중 후단부의 횡가체(34)는 각형 강관으로 구성된 짧은 통 모양의 고정부(34a)와, 이 고정부(34a)에 회전하지 못하게 일체화되어 주행체 (32)와 직교하는 방향 중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는 수하부(垂下部, 아래로 늘어지는 부분)(34b)와, 이들의 수하부(34b)의 하단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횡가부(34c)를 가진다. 상기 수하부(34b)의 상단에는 위쪽을 향해 약간 연장되는 연설부(34d)가 형성되고, 이 연설부(34d)의 선단부에는 상기 등받이부(14)를 회전할 수 있게 연결하는 회전축부(34e)가 좌우 방향 안쪽을 향해 돌설되어 있다. 회전축부(34e)의 형성 위치는 착석하는 인체의 중앙, 더 구체적으로는 하복부에서의 전후방향의 중앙 근방에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트 프레임(31) 위에 인체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지탱하기 위해 더 필요한 적당한 부재가 적당의 마사지 수단과 함께 장착된다. 마사지 수단은, 에어백이나 안마 구슬 등의 적당한 부재로 구성된다.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체 연결부(33d,33e) 중 한쪽의 구동체 연결부(33d)는 상기 등받이부(14)를 기울여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의 리클라이닝용 신축기구(17)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클라이닝용 연결부(33d)이다. 리클라이닝용 신축 기구(17)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른 한쪽의 구동체 연결부(33e)는 상기 다리 시료부(15)를 연결하는 다리 올림용 연결부(33e)이다.
상기 등받이부(14)는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골조로서의 등 프레임(41)이나, 필요한 마사지 수단 등의 필요한 부재를 가진다. 등 프레임(41)은 하부에서의 전방 측에 피벗 장착부(樞着部)(42)를 가지고, 이 피벗 장착부(42)가 상기 시트 프레임(31)의 회전축부(回轉軸部)(34e)에 연결되고, 등 프레임(41)은 시트 프레임(31)에 끼워지듯이 유지되어 있다.
등 프레임(41)의 피벗 장착부(42)보다 위쪽에는 지지용 피벗 장착부(43)가 형성되고, 이 지지용 피벗 장착부(43)에는 지지막대(44)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지지막대(44)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에서의 후단의 수직재(23)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다리 시료부(15)는 골조로서의 다리 프레임(51)이나, 필요한 마사지 수단 등 필요한 부재를 가지고 있다. 다리 프레임(51)은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단의 좌우 양쪽에 피벗 장착부(52)를 가지고 있으며, 이 피벗 장착부(52)가 상기 시트 프레임(31)의 다리 지지체 연결부(33c)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다리 프레임(51)을 튀어오르도록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은 시트부(13)의 앞단부에 마련된 상기 다리 올림용 연결부(33e)에 일단이 고정되는 다리 올림용 신축기구(18)이다. 다리 올림용 신축 기구(18)의 타단은 도 6에서 나타낸 것처럼 상기 시트부(13)의 후단부에 마련된 수하부(34b)의 하단의 횡가부(34c)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즉, 등받이부(14)의 후방으로의 경사에 따라 앞쪽으로 이동하 시트부(13)에 마련된 구동수단(다리 올림용 신축기구(18))으로 다리 시료부(15) 회전을 행하는 구조이다.
다리 올림용 신축기구(18)의 선단에는 일단이 시트 프레임(31)의 하단에 피벗 장착된 누름부재(18a)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누름부재(18a)의 타단에는 회전 롤러(18b)가 마련되어 있다. 즉, 다리 올림용 신축기구(18)가 구동해서 연장되면, 도 4,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부재(18a)가 시트 프레임(31)에 대한 피벗 장착 부분(18c)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회전 롤러(18b)로 다리 프레임(51)의 이면을 누르고, 다리 프레임(51)을 튀어오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팔 시료부(16)는 골조로서의 팔 지지체(61)와 필요한 마사지 수단 등의 필요한 부재를 가진다. 팔 지지체(61)는 상기 팔 레일부(26)의 주행 홈(26a) 내를 주행하는 판상의 주행체(62)와, 이 주행체(62)의 상단에 마련된 종단면 대략 U자형을 이루는 팔 재치부(63)를 가진다. 상기 주행체(62)는 하단이 팔 레일부(26)의 바닥에 대응해서 경사져 있으며, 상단의 팔 재치부(63)를 대략 수평으로 지지한다.
주행체(62) 중 팔 레일부(26)에 수용되는 부분에는, 도 5에서와 같이 팔 레일부(26)의 바닥의 경사와 같은 기울기로 연장되는 긴 구멍(6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긴 구멍(62a)에 팔 레일부(26)에 좌우로 관통시킨 스토퍼 핀(62b)을 꽂아 넣어서 주행체(62)의 앞뒤 이동 범위를 규제한다.
주행체(62)의 앞단부에는 짧은 상부 연결막대(64a)가 회전 가능하게 피벗 장착되어 있다. 이 상부 연결막대(64a)는 상기 등받이부(14)가 후방으로 경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시트 프레임(31)이 앞쪽으로 이동할 때에 시트 프레임(31)의 앞쪽으로의 움직임을 팔 지지체(61)의 후방으로의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연동기구(64)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연결막대(64a)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팔 레일부(26)의 앞쪽 부분에 중간부가 피벗 장착된 경사이동 막대(64b)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경사이동 막대(64b)의 하단에는 하부 연결막대(64c)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피벗 장착되고, 하단 연결막대(64c)의 타단은 상기 시트 프레임(31)의 수하부(垂下部)(34b)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3, 도 4, 도 5 중 (64d)는 경사이동 막대(64b)의 피벗 장착부이다.
연동기구(64)의 각 부분의 치수 형상은 시트 프레임(31)을 전방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팔 지지체(61)가 원하는 거리만큼 뒤로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마사지 의자(11)에서는 시트부(13)가 후방에 위치하도록 리클라이닝용 신축기구(17)를 구동 제어했을 때에는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등받이부(14)(등 프레임(41))가 일어난 상태이며, 착석한 인체는 팔을 팔 시료부(16)(팔 지지체(61))에 얹고 편안한 자세로 마사지를 받을 수 있다.
등받이부(14)를 후방으로 넘어뜨린 자세로 마사지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리클라이닝용 신축기구(17)를 구동해서 시트부(13)를 앞쪽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따라서 등받이부(14)는 뒤쪽으로 넘어져 인체를 지지한다. 이때, 시트부(13)가 앞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착석 자세의 인체의 중심과 등받이부의 회전 중심이 가까운 것이 맞물려 인체의 팔의 후방으로의 변위량(위치 벗어남 폭)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팔 시료부(16)의 위치에서의 팔의 위치 차이(벗어남)가 작아진다. 이 작은 위치 차이는, 시트부(13)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하부 연결막대(64c)가 경사이동 막대(64b)의 하단을 앞쪽으로 밀고, 경사이동 막대(64b)가 피벗 장착부(64d)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에 기인하여 경사이동 막대(64b)의 상단이 뒤쪽으로 넘어짐에 따라 상부 연결막대(64a)로 팔 시료부(16)(팔 지지체(61))를 후퇴시킴으로써 흡수한다.
등받이부(14)의 후방으로의 경사이동에 따라 앞쪽으로 이동하는 시트부(13)와, 전방으로 이동하는 시트부(13)의 움직임을 팔 시료부(16)의 후방으로의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연동기구(64)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팔 시료부(16)에 대한 팔의 위치 벗어남을 팔 시료부(16)만의 이동으로 해소하는 경우에 비해 등받이부(14)의 뒤쪽으로 경사에 팔 시료부(16)를 충분히 추종시킬 수 있다.
등받이부(14)를 일으킬 때에는 리클라이닝용 신축기구(17)를 구동해서 시트부(13)를 후방으로 이동하면, 등받이부(14)가 일어나면서 동시에 연동기구(64)가 팔 시료부(16)를 적극적으로 앞으로 잡아당긴다. 즉, 연동기구(64)는 등받이부를 쓰러뜨릴 때뿐만 아니라 일으킬 때에도 작동해서 팔 시료부(16)를 적극적으로는 잡아당기기 때문에 등받이부(14)를 일으킨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동작이 원활하고, 편안한 마사지가 될 수 있도록 돕는다.
상기 시트 레일부(25)와 팔 레일부(26)는, 상하로 겹치도록 구성하고 시트 레일부(25)에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된 주행홈(25a), 팔 레일부(26)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주행홈(26a)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연동기구(64)는 시트 레일부(25)와 팔 레일부(26)의 내측면을 따르는 위치에 구비하여 간소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동기구(64)는 경사이동 막대(64b)와 2개의 연결막대(상부 연결막대(64a) 및 하부 연결막대(64c))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며, 팔 시료부의 후퇴 거리의 설정 등의 조정도 간단하다.
등받이부(14)는 시트부(13)에 따라 전방으로 잡아 당겨지면서 회전하여 넘어지기 때문에 리클라이닝을 위한 구동수단은 하나면 되어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등받이부(14)를 뒤쪽으로 넘어뜨렸을 때의 돌출 길이를 줄일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마사지 의자(11)의 후방에 확보될 공간이 좁아도 되므로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다. 바꿔말하면, 마사지 의자(11)의 후방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다리 시료부(15)의 회전을 수행하는 다리 올림용 신축기구(18)는 앞뒤 방향으로 이동하는 시트부(13)에 설치되어 있어서, 다리 시료부(15)의 회전 동작은 시트부(13)의 앞뒤 위치에 관계없이 원활히 이루어져 제어도 용이하다.
이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 있어서 앞의 구성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다른 예에 관련한 마사지 의자(11)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의 측면도이며, 이 마사지 의자(11)는 등 프레임(41)의 후방으로의 경사이동(傾動)을 시트 프레임(31)의 전방의 이동과는 별도로 실시한 예이다. 즉, 등 프레임(41)에는 등 프레임(41)을 기울이기 위한 구동 수단으로서의 리클라이닝용 신축기구(17)의 일단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
시트 프레임(31)은 구동 수단을 가지지 않지만, 착석한 상태의 인체(A)가 등 프레임(41)을 뒤쪽으로 기울였을 때에 전방으로 벗어나려 하므로, 이때의 하중에 따라 시트 프레임(31)은 등 프레임(41)의 후방으로의 경사 이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등 프레임(41)을 일으켰을 때에 시트 프레임(31)이 원활히 되돌아가도록 시트 레일부(25) 내에는 시트 프레임(31)을 뒤쪽을 향해 힘을 가세하는 탄성 수단으로서 스프링(25c)이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마사지 의자(11)도 전술된 바와 같은 작용 효과를 달성한다.
이 밖에 도시는 생략하지만, 등 프레임(41)을 기울여 움직이게 하기 위한 구동 수단에 더하여 시트 프레임(31)을 전방으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이들을 제어하여 연동시켜도 좋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등받이부(14)의 후방으로의 경사이동에 따라 시트 프레임(31)을 앞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구성에 관해서 시트 프레임(31)에 리클라이닝용 신축기구(17)를 연결한 예를 나타냈지만, 등 프레임(41)에 리클라이닝용 신축기구를 연결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구성과, 상기 일 형태의 구성과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연결막대는 상기 상부 연결막대(64a), 하부 연결막대(64c)에 대응하고, 본 발명의 시트 프레임을 앞뒤 움직이게 하는 구동수단은, 상기 리클라이닝용 신축기구(17)에 대응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밖의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11; 마사지 의자
13; 시트부
14; 등받이부
16; 팔 시료부
17; 리클라이닝용 신축 기구
21; 베이스 프레임
25; 시트 레일부
25a; 주행홈
25b; 개구(開口)
26; 팔 레일부
26a; 주행홈
26d; 개구
31; 시트 프레임
41; 등 프레임
61; 팔 지지체
64; 연동기구
64a; 상부 연결막대
64b; 경사이동(傾動) 막대
64c; 하부 연결막대

Claims (8)

  1. 착석을 가능하게 하는 시트부와, 후방으로 경사 이동할 수 있는 등받이부와, 팔에 대해 시료(施療)하는 좌우 양측의 팔 시료부를 구비한 마사지 의자로서,
    베이스(基臺)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좌우 양측의 상단부에 상기 시트부의 골조가 되는 시트 프레임을 앞뒤 움직일 수 있게 지지하는 시트 레일부와, 상기 팔 시료부의 골조가 되는 팔 지지체를 앞뒤 움직일 수 있게 지지하는 팔 레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프레임과 상기 팔 지지체 사이에 상기 등받이부의 후방으로의 경사 이동에 따라 시트 프레임이 앞쪽으로 이동할 때에, 시트 프레임의 전방으로의 움직임을 팔 지지체의 뒤쪽으로의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연동기구를 구비한 마사지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부 또는 상단부 근방에 중간부가 피벗 지지된 경사이동 막대와, 그 경사이동 막대의 양단에 연결된 연결막대로 구성된 마사지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레일부가 상기 시트 프레임을 주행 가능하게 하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된 주행홈을 가지는 형상이면서,
    상기 팔 레일부가 상기 팔 지지체를 주행 가능하게 하는 윗면에 개구된 주행홈을 가지는 형상이며, 상기 시트 레일부 위에 적층 상태로 형성된 마사지 의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레일부가 상기 시트 프레임을 주행 가능하게 하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된 주행홈을 가지는 형상이면서 동시에 상기 팔 레일부가 상기 팔 지지체를 주행 가능하게 하는 윗면에 개구된 주행홈을 가지는 형상이며, 상기 시트 레일부 위에 적층 상태로 형성된 마사지 의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이, 시트 프레임을 앞뒤로 움직이게 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면서 동시에 상기 시트 프레임에 상기 등받이부의 골조가 되는 등 프레임이 피벗 장착된 마사지 의자.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이 시트 프레임을 앞뒤 움직이게 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면서 동시에 상기 시트 프레임에 상기 등받이부의 골조가 되는 등 프레임이 피벗 장착된 마사지 의자.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이 시트 프레임을 앞뒤 움직이게 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면서 동시에 상기 시트 프레임에 상기 등받이부의 골조가 되는 등 프레임이 피벗 장착된 마사지 의자.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이 시트 프레임을 앞뒤 움직이게 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면서 동시에 상기 시트 프레임에 상기 등받이부의 골조가 되는 등 프레임이 피벗 장착된 마사지 의자.
KR1020130149292A 2012-12-11 2013-12-03 마사지 의자 KR201400755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69909A JP6013165B2 (ja) 2012-12-11 2012-12-11 マッサージ椅子
JPJP-P-2012-269909 2012-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597A true KR20140075597A (ko) 2014-06-19

Family

ID=5088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292A KR20140075597A (ko) 2012-12-11 2013-12-03 마사지 의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38057B2 (ko)
JP (1) JP6013165B2 (ko)
KR (1) KR20140075597A (ko)
CN (1) CN103860356B (ko)
TW (1) TWI5220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8548B2 (ja) * 2013-06-19 2017-06-14 株式会社フジ医療器 椅子式マッサージ機
CN105078696A (zh) * 2014-04-16 2015-11-25 宁波秉航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曲形导轨的按摩椅
CN104083008B (zh) * 2014-07-30 2017-02-22 李人英 一种多状态伸缩支架
CA2959612C (en) * 2014-09-02 2018-11-13 La-Z-Boy Incorporated Furniture member and power recline and lift mechanism
US20170128320A1 (en) * 2015-11-10 2017-05-11 Hsin Hao Health Materials Co., Ltd. Massage chair
JP6600655B2 (ja) * 2017-01-16 2019-10-30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7208775B2 (ja) * 2018-11-29 2023-01-19 株式会社フジ医療器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7189811B2 (ja) * 2019-03-08 2022-12-14 株式会社フジ医療器 コントローラチェア
CN110025157A (zh) * 2019-04-12 2019-07-19 赵洁 一种遥控家用自动化按摩座椅
CN112076058A (zh) * 2019-06-14 2020-12-15 富士医疗器股份有限公司 座椅式按摩机以及按摩机
CN112336577B (zh) * 2020-10-19 2023-10-03 福建乐摩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防占座按摩椅
CN215350385U (zh) * 2020-11-27 2021-12-31 厦门爱玛康科技有限公司 一种按摩椅结构
CN114344072A (zh) * 2022-01-18 2022-04-15 上海荣泰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按摩椅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5814A (en) * 1996-03-07 1997-08-12 Shin Yeh Enterprise Co., Ltd. Adjustable chair-armrest assembly
US6079787A (en) * 1996-07-26 2000-06-27 Nichols; Kurt O. Armrest mechanism for dental chairs
CA2497900A1 (en) * 2002-09-09 2004-03-25 Family Co., Ltd. Massaging device and forearm massaging machine
TWI250871B (en) * 2003-12-22 2006-03-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assage chair
US7537287B2 (en) * 2005-11-23 2009-05-26 Irvin Automotive Products, Inc. Sliding armrest
JP4715636B2 (ja) * 2006-05-26 2011-07-0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5289711B2 (ja) 2007-01-23 2013-09-11 株式会社フジ医療器 マッサージ椅子
JP5279190B2 (ja) * 2007-01-31 2013-09-04 株式会社フジ医療器 マッサージ椅子
CN201438907U (zh) * 2009-07-13 2010-04-21 东莞市生命动力按摩器材有限公司 一种改良的按摩椅
JP5350961B2 (ja) * 2009-09-30 2013-11-27 ファミリーイナダ株式会社 椅子型マッサージ機
DE102010014348A1 (de) * 2010-04-09 2011-10-13 Bomag Gmbh Armlehne und Bedienarbeitsplatz mit einer solchen Armlehne
JP2012070787A (ja) * 2010-09-27 2012-04-12 Panasonic Corp 椅子式マッサージ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60356A (zh) 2014-06-18
JP6013165B2 (ja) 2016-10-25
CN103860356B (zh) 2016-02-03
US9138057B2 (en) 2015-09-22
US20140159454A1 (en) 2014-06-12
JP2014113340A (ja) 2014-06-26
TWI522098B (zh) 2016-02-21
TW201422218A (zh)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5597A (ko) 마사지 의자
US9010787B2 (en) Tilt-in-space wheelchair using multiple controlling paths
KR102299335B1 (ko) 차량의 시트 위치 조절 장치
ES2556609T3 (es) Compatibilidad mejorada para un mecanismo de enlace
KR101420839B1 (ko) 가로로 오프셋될 수 있는 차량 시트
CN102160716B (zh) 一种可调节靠背位置的椅架
US8931844B2 (en) Easy slim fold seat
WO2016092249A1 (en) Adjustable furniture
CN103068677A (zh) 航空器乘客座椅倾斜机构
US20090021063A1 (en) Chair-type massage machine
JP2008254645A (ja) 車両用シート
KR20110080147A (ko) 의자형 마사지기에 구비된 등 주무르기 장치 및 이 등 주무르기 장치를 구비한 의자형 마사지기
CN104602568A (zh) 具有可调节的靠背和椅座的椅子
RU2688121C2 (ru) Посадочный узе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иденье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установочный узел для подушки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12070785A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およびこれを備える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101369405B1 (ko) 포워드 슬로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1656003B1 (ko) 의자용 틸팅장치
JP2015131605A (ja) 乗物用シート
KR102540545B1 (ko) 자동차용 시트 회전 장치
KR101558413B1 (ko) 의자의 틸팅장치
KR101465039B1 (ko) 대칭적으로 조절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
JP2012140036A (ja) 車両用シート
WO2014006768A1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6971648B2 (ja) 移乗支援装置
JP7454850B2 (ja) 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