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437A -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5437A
KR20140075437A KR1020120143771A KR20120143771A KR20140075437A KR 20140075437 A KR20140075437 A KR 20140075437A KR 1020120143771 A KR1020120143771 A KR 1020120143771A KR 20120143771 A KR20120143771 A KR 20120143771A KR 20140075437 A KR20140075437 A KR 20140075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accelerator
coupled
connecting rod
accelerator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0653B1 (ko
Inventor
민정선
김범준
양희수
최지혁
김은식
조양래
최호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3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653B1/ko
Publication of KR20140075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4Stops for limiting movement of members, e.g. adjustable s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를 가속시키는 악셀레이터 페달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페달의 하단에 결합되어 페달을 거치시키되 페달에 답력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페달을 우측으로 슬라이드 회동시키고, 페달에 답력이 해제되면 우측으로 회동된 페달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브라켓부; 상기 악셀레이터 페달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 일단이 상기 결합부에 결착되어 상기 페달의 답력을 동력기관에 전달하는 암;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mis―operation of accelator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를 가속시키는 악셀레이터 페달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페달의 하단에 결합되어 페달을 거치시키되 페달에 답력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페달을 우측으로 슬라이드 회동시키고, 페달에 답력이 해제되면 우측으로 회동된 페달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브라켓부; 상기 악셀레이터 페달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 일단이 상기 결합부에 결착되어 상기 페달의 답력을 동력기관에 전달하는 암;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악셀레이터 페달(이하, '악셀페달'로 약칭)은 운전석의 하부, 즉, 운전자의 발이 위치하는 공간에 배치되어, 운전자의 발로 밟아 조작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자, 운전석의 하부에 배치되는 악셀페달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브레이크페달과 유사한 위치에 배치되는 점과, 상기 악셀페달의 조작 방향 및 조작감이 상기 브레이크페달과 매우 유사하므로,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오조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악셀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을 나타낸 것으로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동일한 조작, 즉, 운전자의 발로 페달을 동일한 방향으로 밟아서 조작이 이루어지는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악셀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은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아야 할 상황에서 악셀페달을 오인하여 밟음으로써 급가속하여 사고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반대로 운전자가 악셀페달을 밟아야 하는 상황에서 브레이크페달을 오인하여 밟음으로써 급제동하여 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브레이크페달과 악셀페달의 구조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구조가 요구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악셀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의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동차의 악셀 오조작 방지 장치가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자동차의 악셀 오조작 방지 장치는 악셀 페달암에 악셀 페달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액츄에이터를 구성해 악셀 페달이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움직인 것을 검지해 액츄에이터를 작동해 구속 및 해제하는 광 센서 장치를 갖추고, 완충 부재 및 자동 스위치를 구성함으로써 악셀이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작동시 이를 감지하여 악셀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악셀 페달과 스로틀 케이블 간의 연결 부위에 영구자석과 흡착판을 이용한 분리가능 결합구를 배치하여 페달의 회전 각속도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영구 자석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있던 흡착판이 떨어지면서 페달과 스로틀 케이블 사이의 결합을 끊음으로써, 악셀의 작동을 정지시켜 오조작을 방지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악셀 오조작 방지 장치는 주로 액츄에이터와 같은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되며, 따라서 그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으며, 원가 상승이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악셀레이터 페달의 오조작을 방지하여 차량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악셀레이터 페달의 오조작 방지장치의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악셀레이터 페달의 오조작 방지장치의 구성은, 페달의 하단에 결합되어 페달을 거치시키되 페달에 답력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페달을 우측으로 슬라이드 회동시키고, 페달에 답력이 해제되면 우측으로 회동된 페달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브라켓부; 상기 악셀레이터 페달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 일단이 상기 결합부에 결착되어 상기 페달의 답력을 동력기관에 전달하는 암;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악셀레이터 페달의 오조작 방지장치는 악셀레이터 페달을 밟을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스토퍼에 의하여 악셀레이터 페달이 밟혀지지 않게 되므로, 운전자가 정지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실수로 악셀레이터 페달을 밟더라도 악셀레이터가 미작동되어 차량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브라켓부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 브라켓부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 브라켓부의 저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 브라켓부의 스토퍼 상세도,
도 6 은 본 발명 결합부의 상세도,
도 7 은 본 발명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7a 는 악셀레이터 미작동시의 상태도, 도 7b 는 악셀레이터 작동시의 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이하, '오조작 방지장치'라 약칭)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 오조작 방지장치(1)는, 악셀레이터 페달(10)을 거치시키는 브라켓부(100)와, 상기 악셀레이터 페달(10)의 배면에 결합하는 결합부(30)와, 일단은 상기 결합부(20)에 결착되고 타단은 동력기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30)에 전달되는 상기 페달(10)의 답력을 동력기관에 전달하는 악셀레이터 암(arm)(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부(100)는 상기 페달(10)을 거치시키는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운전자가 악셀레이터 페달(10)를 밟으려고 하는 경우, 페달(10)의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페달(10)을 우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켰다가 다시 제자리로 복귀시키는 작동을 수행함으로써 운전자의 악셀레이터 페달의 오조작을 방지하게 한다.
이때, 운전자가 상기 페달(10)을 우방향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페달(10)의 표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리브(rib)(11)가 형성되고, 운전자의 발 부분을 상기 리브(11)에 접촉시켜 우방향으로 밀면 페달(10)이 전체적으로 슬라이드된다.
도 2 는 상기와 같은 브라켓부(100)의 사시도, 도 3 은 브라켓부(100)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브라켓부(100)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부(100)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110)의 내부에 몸체(110)의 측면(111)으로 개구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채널(112)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112)에 상기 페달(10)의 하단에 결합되는 가이드(120)가 슬라이드 회동가능하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채널(112)은 측면(111)의 대향면에 부설된 막음판(113)에 의하여 폐쇄되며, 상기 막음판(113)의 내측면에 스프링(150)을 거치시키는 거치홈(11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120)는 육면체의 베이스(121)의 상단에 상기 페달(10)의 하단과 결합되는 부채꼴 형상의 연결단(122)이 형성된다.
또한, 도 2 의 별도 도시된 그 저면부 사시도와 같이, 상기 베이스(121)의 하부는 베이스(121)의 바닥면과 단차진 단차면(123)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측면으로부터 단차면(123)에 평행하게 돌출된 삽입봉(12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봉(124)에는 가이드(120)의 슬라이드 회동상태로부터 제자리로 복귀하는 작동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50)이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150)은 일측이 상기 삽입봉(124)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채널(112)을 폐쇄하는 막음판(113)의 거치홈(115)에 거치되어 안정된 자세로 수축 및 이완 작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측면(111)은 측판(130)에 의하여 그 개구가 폐쇄되며, 상기 측판(130)의 내측면에는 돌기(131)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111)에는 상기 돌기(131)가 내삽되는 결합공(114)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4 의 브라켓부(100)의 저면부 결합상태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12)에 삽입된 가이드(120)는 스프링(150)에 의한 탄성력이 제공되므로 채널(112)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하다.
한편, 도 5 의 스토퍼(140)의 측면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의 작동 설명시 후술하겠지만, 악셀레이터에 답력이 부여될 필요가 없을 경우, 운전자가 페달(10)을 밟더라도 페달(10)면이 밟혀지지 않도록 작용하는 페달(10)의 배면에 접촉되는 스토퍼(140)가 상기 몸체(110)의 표면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40)는 'ㄱ' 자 형상으로서 몸체(110)의 표면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본체와 이 본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접촉편(141)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6 은 본 발명 결합부(30)를 도시한 것으로서, 좌측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10)을 암(2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30)는, 상기 브라켓부(100)의 가이드(120)의 슬라이드 회동 작동과 연동되도록 내부에 공간부(31)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1)의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봉(32)이 부설된다.
또한, 우측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봉(32)에 상기 페달(10)과 접촉되어 연결되는 연결구(33)가 힌지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구(33)의 바디(35)의 일단에 상기 연결봉(32)을 관통시키는 관통공(34)이 형성되고, 바디(35)의 타단에 상기 페달(10)에 체결되는 체결단자(3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결합부(30)는 상기 페달(10)의 답력을 암(20)을 통하여 동력기관에 전달하는 동시에, 페달(10)의 좌우방향의 슬라이드 회동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연결구(33)가 연결봉(32)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의 작동을 도 7 의 작동상태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 는 본 발명 오조작 방지장치의 페달(10)이 초기위치에 있는 상태도이다. 운전자가 악셀레이터 페달(10)를 밟을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악셀레이터 페달(10)에 운전자의 답력이 부여되지 아니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실수로 오조작하여 악셀레이터 페달(10)을 밟더라도 페달(10)의 배면이 브라켓부(100)의 몸체(110)상에 부설된 스토퍼(140)의 접촉편(141)에 접촉되면서 페달(10)면이 밟혀지지 않게 됨으로써, 부주의에 의한 운전자의 악셀레이터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악셀레이터 페달(10)을 밟아서 악셀레이터 페달(10)에 답력을 부여할 필요가 있을 경우, 운전자의 발을 페달(10)면의 리브(11)에 접촉시켜 페달(10)의 정면방향에서 볼 때 우측으로 페달(10)을 미는힘을 유지하게 되면, 페달(10)에 하단부에 결합한 가이드(120)의 연결단(122)에 페달(10)의 미는힘이 전달되면서 가이드(120)가 채널(112) 내부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드 회동되며, 이러한 가이드(120)의 회동에 연동하여 페달(10)의 상단에 결합된 결합부(30)의 연결구(33)도 우측으로 슬라이드 회동된다.
이때, 이렇게 페달(10)이 우측으로 슬라이드 회동된 상태에서는 페달(10)이 스토퍼(140)로부터 이격되면서 그 배면이 접촉편(141)과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 운전자는 페달(10)을 우측으로 미는힘을 유지한 채로 악셀레이터 페달(10)을 밟아서 자동차를 가속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동차를 가속시킨 후 운전자가 페달(10)로부터 발을 떼게 되면, 페달(10)에 작용하고 있던 페달(10)을 우측으로 미는 힘도 동시에 해제되면서 가이드(120)에 작용하고 있던 스프링(150)의 수축 상태가 이완되며, 이로 인하여 자동적으로 가이드(120)가 좌측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러한 가이드(120)의 좌측 방향의 회동 운동에 따라서 연결단(122)에 연결된 페달(10)도 가이드(120)를 따라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페달(10)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
10; 페달 11; 리브
20; 악셀 암
30; 접촉부
31; 공간부 32; 연결봉
33; 연결구 34; 관통공
35; 바디 36; 체결단자
100; 브라켓부
110; 몸체
111; 측면 112; 채널
113; 막음판 114; 결합공
115; 스프링 거치홈
120; 가이드
121; 베이스 122; 연결단
123; 단차면 124; 삽입봉
130; 측판 131; 결합돌기
140; 스토퍼 150; 스프링

Claims (7)

  1.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페달(10)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달(10)의 하단에 결합되어 페달(10)을 거치시키되 페달(10)에 답력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페달(10)을 우측으로 슬라이드 회동시키고, 페달(10)에 답력이 해제되면 우측으로 회동된 페달(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브라켓부(100);
    상기 악셀레이터 페달(10)의 배면에 결합되는 결합부(30);
    일단이 상기 결합부(20)에 결착되어 상기 페달(10)의 답력을 동력기관에 전달하는 암(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100)는,
    몸체(110) 내부에 몸체(110)의 측면(111)으로 개구된 중공의 채널(112)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112)에 상기 페달(10)의 하단에 결합되는 가이드(120)가 슬라이드 회동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120)는,
    베이스(121)의 상단에 상기 페달(10)의 하단과 결합되는 연결단(122)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21)의 하부는 베이스(121)의 바닥면과 단차진 단차면(123)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측면에서 단차면(123)과 평행하게 돌출된 삽입봉(124)이 형성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112)은 측면(111)의 대향면에 부설된 막음판(113)에 의하여 폐쇄되며, 상기 막음판(113)의 내측면에 스프링(150)을 거치시키는 거치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150)은 일측이 상기 삽입봉(124)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막음판(113)의 거치홈(115)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측면(111)은 측판(130)에 의하여 그 개구가 폐쇄되며,
    상기 측판(130)의 내측면에는 돌기(131)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111)에는 상기 돌기(131)가 내삽되는 결합공(1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악셀레이터 페달(10)에 답력이 부여될 필요가 없을 경우 운전자가 페달(10)을 밟더라도 페달(10)면이 밟혀지지 않도록,
    상기 몸체(110)의 표면 일측에 상기 페달(10)의 배면에 접촉하는 스토퍼(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0)는,
    내부에 공간부(31)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1)의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봉(32)이 부설되며,
    상기 연결봉(32)에 상기 페달(10)과 접촉되어 연결되는 연결구(33)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33)의 바디(35)의 일단에 상기 연결봉(32)을 관통시키는 관통공(34)이 형성되고, 바디(35)의 타단에 상기 페달(10)에 체결되는 체결단자(3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10)의 우방향 회동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페달(10)의 표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리브(1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
KR1020120143771A 2012-12-11 2012-12-11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 KR101410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771A KR101410653B1 (ko) 2012-12-11 2012-12-11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771A KR101410653B1 (ko) 2012-12-11 2012-12-11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437A true KR20140075437A (ko) 2014-06-19
KR101410653B1 KR101410653B1 (ko) 2014-06-24

Family

ID=5112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771A KR101410653B1 (ko) 2012-12-11 2012-12-11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6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880A (ko) 2014-12-17 2016-06-27 정종옥 연비개선 장치 및 설치방법
CN106740101A (zh) * 2016-08-31 2017-05-31 广西民族大学 一种防止把油门当刹车误操作的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986U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페달 장치
JP2005132197A (ja) 2003-10-30 2005-05-26 Hiroshi Iwata オートマチック自動車の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100911560B1 (ko) 2008-06-02 2009-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
KR101316439B1 (ko) * 2010-11-30 2013-10-08 주식회사 동희산업 펜턴트형 조정식 오르간 엑셀 페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880A (ko) 2014-12-17 2016-06-27 정종옥 연비개선 장치 및 설치방법
CN106740101A (zh) * 2016-08-31 2017-05-31 广西民族大学 一种防止把油门当刹车误操作的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653B1 (ko)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2447B2 (en)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KR101957135B1 (ko) 히스테리시스 조립체를 갖는 차량 페달 조립체
KR101419208B1 (ko) 차량의 페달 조립체
US20170015219A1 (en) Lock
KR101410653B1 (ko)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오조작 방지장치
WO2010069105A1 (en) Lock-on switch system for hand drill and hand drill having the same
KR20140130790A (ko) 시프트 바이 와이어 방식의 자동변속기의 주차모드 수동 해제 장치에 사용되는 케이블 당김 장치
US11117466B2 (en) Operation device and vehicular shifting apparatus using operation device
JPH06509860A (ja) 自動車ギヤ装置シフトレバーの錠止装置
EP2468590A1 (en) Control switch for a vehicular parking brake
KR101051090B1 (ko)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KR100928281B1 (ko) 하우징 셸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케이스를 구비하는 용기조립체
KR101048402B1 (ko) 페달 오조작 보정기능이 구비된 액셀러레이터
CN109509651B (zh) 开关装置和相关联的开关
US20130257064A1 (en) Heart shaped lock with sliding breakaway feature
WO2006065796A3 (en) Track release mechanism
KR101968616B1 (ko) 실용성을 갖는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KR101050775B1 (ko) 차량용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KR101410654B1 (ko) 악셀페달의 오조작 방지 구조
KR101597814B1 (ko) 프리락 가스스프링
KR20090058872A (ko) 자동차의 턴 시그널 스위치용 브라켓
JP2017512511A (ja) シートベルト装置のベルトバックルのためのスイッチ
KR101410651B1 (ko) 악셀페달의 커넥팅 조인트 구조
US20230420200A1 (en) Module for Generating Opening Signals
KR101303068B1 (ko) 전자석을 이용한 차량의 시프트록 캠을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