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814B1 - 프리락 가스스프링 - Google Patents

프리락 가스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814B1
KR101597814B1 KR1020140166810A KR20140166810A KR101597814B1 KR 101597814 B1 KR101597814 B1 KR 101597814B1 KR 1020140166810 A KR1020140166810 A KR 1020140166810A KR 20140166810 A KR20140166810 A KR 20140166810A KR 101597814 B1 KR101597814 B1 KR 101597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e
piston rod
gas spring
pist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정밀
Priority to KR1020140166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프리락 가스스프링을 개시한다.
이러한 프리락 가스스프링은, 실린더, 피스톤 및 피스톤로드를 구비한 가스스프링 본체와, 상기 실린더 내부의 유체 흐름을 제한하면서 상기 피스톤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일단이 돌출된 상태로 상기 피스톤로드의 내측에 설치되는 프리락 핀 그리고, 상기 피스톤로드 측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상기 프리락 핀의 돌출 단부를 누름 및 누름 해제 상태로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조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리락 가스스프링{A FREE-LOCK GAS SPRING}
본 발명은 프리락 가스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스프링은, 각종 도어류(예: 자동차, 가구 등)의 개폐 편의성 및 제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가스스프링은 형태와 기능에 따라 여러 가지의 타입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조작 및 제어 성능이 향상된 구조로는 프리락 가스스프링이 있다.
프리락 가스스프링은, 일반 가스스프링의 기능은 물론이거니와, 특히 피스톤의 이동을 프리락 작용으로 제한하여 피스톤로드의 작동 구간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지점에 피스톤로드를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프리락 가스스프링의 구조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9330호가 있다.
하지만,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9330호에 적용된 프리락 가스스프링은, 락 버튼의 누름 조작력이 풀 케이블을 통해서 락 핀 측에 전달되는 방식이므로 프리락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케이블류(와이어)를 통해서 조작력을 전달하는 조작 방식은, 특히 설치 공간이 협소한 장치나 기구(예: 자동차 암레스트)의 틸팅 기능 제어를 위해 설치될 때, 부피가 커서 설치 공간의 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락(FREE LOCK) 작동을 위한 제어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한층 향상된 조작 안정성 및 조작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프리락 가스스프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실린더, 피스톤 및 피스톤로드를 구비한 가스스프링 본체;
상기 실린더 내부의 유체 흐름을 제한하면서 상기 피스톤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일단이 돌출된 상태로 상기 피스톤로드의 내측에 설치되는 프리락 핀;
상기 피스톤로드 측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상기 프리락 핀의 돌출 단부를 누름 및 누름 해제 상태로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조작부;
를 포함하는 프리락 가스스프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히 프리락 핀의 조작을 위한 고정조작부가 피스톤로드의 단부(자유단) 측에 고정 설치된 일체형의 구조로 제공되므로 예를 들어, 피스톤로드 측에 와이어(케이블)를 연결하여 이 와이어를 통해서 프리락 핀을 조작하는 비(非) 일체형의 조작 구조들과 비교할 때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부피를 대폭 줄여서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로드의 단부 측에 고정조작부가 일체형의 구조로 제공되면, 신속한 조작 제어가 가능하고, 오작동을 줄일 수 있으므로 한층 향상된 조작 안정성 및 조작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프리락 가스스프링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프리락 가스스프링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프리락 가스스프링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7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면 부호 2는 실린더, 도면 부호 4는 피스톤로드 그리고, 도면 부호 6은 프리락 핀을 지칭한다.
실린더(2)는 도 1에서와 같이 내부에 피스톤(A1), 로드가이드(A2) 등을 구비하고, 유체(Q, 예: 오일 및 가스)가 채워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피스톤(A1) 측에는 도 2에서와 같은 유체홀(H)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체홀(H)은 프리락 핀(6)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면서 프리락 작용과 부합하는 상태로 유체(Q)가 통과되거나 차단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한다.
피스톤로드(4)는 일단이 실린더(2) 측에 끼워져서 피스톤(A1)과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더(2) 외측을 향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즉, 피스톤로드(4)는 로드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움직일 때 피스톤(A1)이 함께 움직이면서 실린더(2) 내부의 유체(Q) 저항에 의해 가스스프링 작용이 가능하게 작동된다.
프리락 핀(6)은 피스톤(A1)의 유체홀(H)을 개폐할 수 있도록 작동 가능한 상태로 피스톤로드(4) 내측에 설치된다.
프리락 핀(6)은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일단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피스톤로드(4) 내측에 대략 동축을 이루도록 끼워지고, 타단이 피스톤(A1)의 유체홀(H)과 대응하는 지점까지 연장 형성된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프리락 핀(6)의 단부(삽입단) 측에는 유체홀(H)을 개폐하기 위한 차단부(B)가 형성되며, 이 차단부(B)는 예를 들어, 프리락 핀(6) 둘레를 단차지게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부재(원판, 고무링)를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프리락 핀(6)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 해제 동작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셋팅될 수 있다. 그러면, 프리락 핀(6)에 의해 유체홀(H)이 탄력적으로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프리락 핀(6)은 돌출 단부(B1)를 누르거나 누름 해제하는 동작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도 3에서와 같이 차단부(B)로 피스톤(A1)의 유체홀(H)을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즉, 프리락 핀(6)을 눌러서 피스톤(A1)의 유체홀(H)을 개방하면, 홀 내부로 유체(Q)가 통과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피스톤로드(4)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록킹 해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프리락 핀(6)을 누름 해제하여 유체홀(H)이 닫히면, 유체(Q) 흐름이 차단되면서 피스톤(A1)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이로 인하여 피스톤로드(4)는 록킹 상태가 된다.
이러한 프리락 핀(6)의 누름 또는 누름 해제 동작에 의해 피스톤(A1)의 움직임을 제한하면서 피스톤로드(4)를 록킹 또는 록킹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프리락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프리락 가스스프링은, 프리락 핀(6)과 대응하는 고정조작부(8)를 포함한다.
고정조작부(8)는 레버 조작 방식으로 프리락 핀(6)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고정조작부(8)는 피스톤로드(4) 측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프리락 핀(6)을 조작할 수 있는 일체형의 조작 구조로 제공된다.
고정조작부(8)는, 도 1에서와 같이 고정브라켓트(C) 및 조작레버(D)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브라켓트(C)는 피스톤로드(4)의 단부 측에 조작레버(D)를 고정 상태로 잡아주기 위한 것으로서, 피스톤로드(4)의 단부(자유단) 측에 연결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고정브라켓트(C)는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대략 "⊂"자 모양을 갖는 브라켓트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면 일측을 관통하는 상태로 피스톤로드(4)의 단부가 끼워져서 나사 결합이나 용접 접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프리락 핀(6)의 돌출 단부(B1)는 피스톤로드(4)와 고정브라켓트(C)의 결합에 의해 이 고정브라켓트(C)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조작레버(D)는 프리락 핀(6)의 돌출 단부(B1)와 직접 접촉되는 상태로 누름 및 누름 해제 동작이 가능하게 고정브라켓트(C) 측에 셋팅된다.
조작레버(D)는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일측에 접촉부(D1)를 구비하고, 고정브라켓트(C) 내측에서 힌지핀(D2)의 결합에 의해 회동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조작레버(D)는 힌지핀(D2)의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조작될 수 있으며, 회동 조작시 접촉부(D1)가 프리락 핀(6)의 돌출 단부(B1)와 접촉되는 방식으로 누름 및 누름 해제 동작이 가능하게 셋팅된다.
조작레버(D)는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비틀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핀(D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누름 해제 상태가 탄력적으로 유지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조작부(8)는, 가스스프링의 피스톤로드(4) 단부(자유단) 측에 고정 설치된 일체형의 타입으로 제공되어 조작레버(D)의 조작에 의해 도 6에서와 같이 프리락 핀(6)을 작동시켜서 프리락 기능이 가능하게 피스톤(A1)의 유체홀(H)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개방 및 차단 가능한 조작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고정조작부(8)는 접촉회전판(E)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접촉회전판(E)은, 조작레버(D)와 프리락 핀(6) 간의 접촉시 접촉 충격이나 마모 등에 의해 조작레버(D)의 접촉부(D1)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현상에 대응할 수 있는 접촉 구조를 제공한다.
접촉회전판(E)은, 복수 개의 접촉가이드면(E1)을 구비하고, 프리락 핀(6)의 돌출 단부(B1)와 대응하는 상태로 조작레버(D) 측에 배치된다.
특히 접촉회전판(E)은, 복수 개의 접촉가이드면(E1)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이드면(E1)이 프리락 핀(6)의 돌출 단부(B1)와 대응하도록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조작레버(D) 측에 설치된다.
즉, 접촉회전판(E)은, 도 7에서와 같은 원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접촉회전판(E)은 원판 중심부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조작레버(D)의 접촉부(D1) 측에 끼움 결합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가이드면(E1)들은 접촉회전판(E)의 원판 둘레 내측에서 간격을 띄우고 복수 개의 지점에 도 7에서와 같이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접촉가이드면(E1)들은 예를 들어, 프리락 핀(6)의 돌출 단부(B1)가 약간 끼워진 상태로 접촉 가이드 동작이 가능하도록 타원형의 홈부 형태(장홈)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접촉회전판(E)은 조작레버(D)의 접촉부(D1) 측에서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셋팅되므로, 도 8에서와 같이 어느 하나의 접촉가이드면(E1)이 프리락 핀(6)의 돌출 단부(B1)와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셋팅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회전판(E)의 구조 및 작용에 의하면, 예를 들어 프리락 핀(6)의 돌출 단부(B1)와 잦은 접촉에 의해 어느 하나의 접촉가이드면(E1)이 파손 및 변형되더라도 다른 접촉가이드면(E1)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 조작이 가능하므로 조작레버(D)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프리락 가스스프링은, 피스톤로드(4)의 단부(자유단) 측에 일체형의 타입으로 고정 설치된 고정조작부(8)의 조작레버(D)로 프리락 핀(6)의 작동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프리락 기능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일체형의 고정조작부(8)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별도의 케이블 등으로 조작력을 전달하면서 프리락 기능을 조작 제어하는 일반 구조들과 비교할 때, 신속하고 정확한 조작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체 부피를 대폭 줄여서 경량화 및 소형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나 암레스트 등의 틸팅 작동을 프리락 기능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될 때, 경량화 및 소형화에 의해 조립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신속하고 정확한 조작 제어에 의해 한층 향상된 조작 안정성 및 조작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2: 실린더 4: 피스톤로드 6: 프리락 핀
8: 고정조작부 A1: 피스톤 H: 유체홀
D: 조작레버 E: 접촉회전판

Claims (7)

  1. 실린더, 피스톤 및 피스톤로드를 구비한 가스스프링 본체;
    상기 실린더 내부의 유체 흐름을 제한하면서 상기 피스톤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일단이 돌출된 상태로 상기 피스톤로드의 내측에 설치되는 프리락 핀;
    상기 피스톤로드 측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상기 프리락 핀의 돌출 단부를 누름 및 누름 해제 상태로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조작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조작부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단부(자유단) 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트;
    상기 프리락 핀의 돌출 단부를 누름 및 누름 해제가 가능하게 조작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고정브라켓트 측에 설치되는 조작레버;
    복수 개의 접촉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프리락 핀의 돌출 단부와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조작레버 측에 설치되는 접촉회전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리락 가스스프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락 핀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된 유체홀을 개폐하는 상태로 유체 흐름을 제한하면서 상기 피스톤로드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셋팅되는 프리락 가스스프링.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고정브라켓트 측에 힌지핀으로 고정되어 이 힌지핀의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조작되도록 셋팅되는 프리락 가스스프링.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회전판은,
    원판 형태를 가지며 원판 중심부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조작레버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접촉가이드면들이 원판 둘레 내측에서 간격을 띄우고 복수 개의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락 가스스프링.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촉가이드면들은,
    상기 접촉회전판의 일면에 장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락 가스스프링.
KR1020140166810A 2014-11-26 2014-11-26 프리락 가스스프링 KR101597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810A KR101597814B1 (ko) 2014-11-26 2014-11-26 프리락 가스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810A KR101597814B1 (ko) 2014-11-26 2014-11-26 프리락 가스스프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814B1 true KR101597814B1 (ko) 2016-02-25

Family

ID=5544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810A KR101597814B1 (ko) 2014-11-26 2014-11-26 프리락 가스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8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733B1 (ko) 2016-05-25 2017-11-08 주식회사 한일정밀 프리락 댐퍼
KR102177253B1 (ko) 2019-06-11 2020-11-10 (주) 씨엠텍 프리락 완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4950A (ja) * 1993-03-15 1994-09-20 Tokico Ltd ガススプリング
JPH08197991A (ja) * 1994-10-20 1996-08-06 Yanagisawa Seiki Seisakusho:Kk 背凭れ角度調節装置
JPH10211028A (ja) * 1997-01-29 1998-08-11 Okamura Corp ガススプリングの操作装置
JP2000346116A (ja) * 1999-03-26 2000-12-12 Takano Co Ltd ガススプリング及びこれを利用する椅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4950A (ja) * 1993-03-15 1994-09-20 Tokico Ltd ガススプリング
JPH08197991A (ja) * 1994-10-20 1996-08-06 Yanagisawa Seiki Seisakusho:Kk 背凭れ角度調節装置
JPH10211028A (ja) * 1997-01-29 1998-08-11 Okamura Corp ガススプリングの操作装置
JP2000346116A (ja) * 1999-03-26 2000-12-12 Takano Co Ltd ガススプリング及びこれを利用する椅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733B1 (ko) 2016-05-25 2017-11-08 주식회사 한일정밀 프리락 댐퍼
KR102177253B1 (ko) 2019-06-11 2020-11-10 (주) 씨엠텍 프리락 완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7211B2 (en) Lock unit having a multi-part pawl and a spring-loaded blocking pawl
US9534429B2 (en) Latch apparatus
JP6155488B2 (ja) 複数パーツを備えた爪部を有するロック装置
JP5466284B1 (ja) 飲料用容器の栓体
US6988752B2 (en) Pinless inside door handle assembly
US8960738B2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JP2019148160A (ja) 車両のリッド開閉装置
US10457177B2 (en) Armrest
JP2015004221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WO2007037004A1 (ja) 車両シートのラッチ装置
KR101597814B1 (ko) 프리락 가스스프링
US9970536B2 (en) Shift device
EP2700776A1 (en) Position holding device for rotating lever and vehicle door lock device provided with said position holding device for rotating lever
JP6711722B2 (ja) 車両ドアの開閉装置
KR20080069629A (ko) 언록킹 장치
US20140047874A1 (en) Child protector mechanism
CN110644874B (zh) 用于门锁的手柄装置
WO2019167867A1 (ja) 車両のリッド開閉装置
US10731386B2 (en) Lock for a motor vehicle
JP4825325B2 (ja) シリンダ錠装置
US8528441B2 (en) Handle for latching mechanism
WO2019167869A1 (ja) 車両のリッド開閉装置
JP5741355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US20190352945A1 (en) Latch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00803088B1 (ko) 밸브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5